KR102589978B1 - Electrostatic precipitator - Google Patents

Electrostatic precipit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978B1
KR102589978B1 KR1020210046047A KR20210046047A KR102589978B1 KR 102589978 B1 KR102589978 B1 KR 102589978B1 KR 1020210046047 A KR1020210046047 A KR 1020210046047A KR 20210046047 A KR20210046047 A KR 20210046047A KR 102589978 B1 KR102589978 B1 KR 102589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on
collection electrode
dust
electrod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1852A (en
Inventor
조경준
Original Assignee
(주)동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기연 filed Critical (주)동일기연
Publication of KR2022002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8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97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소정 공간 내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및 세균 등 미생물을 포함하는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전기집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전기집진장치는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대전부에서 대전된 입자를 집진시키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집진부는, 제1집진전압이 인가되는 제1집진전극과; 제1집진전극과의 전압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제2집진전압이 인가되는 제2집진전극과; 제1집진전극과 제2집진전극을 상호 이격시켜 공기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며, 제1 및 제2집진전극이 캐패시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전체 역할을 하는 유전스페이서와; 제1집진전극과 제2집진전극 사이의 전압차(Vdc)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집진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한 집진전극에 입자가 포집되도록 하고, 포집 과정에서 대전된 미생물이 집진판에 충돌 및 전기적 방전에 의하여 사멸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is disclosed for removing particles including fine dust and microorganism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floating in a predetermined space.
This disclosed electric dust collector includes a charging unit that charges particles, and a dust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charged particles in the charging unit.
The dust collection unit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to which a first dust collection voltage is applied; a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to which a second dust collection voltage is applied such that a voltage difference with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occurs; a dielectric spacer that separates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air can move, and serves as a dielectric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perform a capacitor func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voltage difference (Vdc)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Therefore, particles can be collect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and the possibility that charged microorganisms are killed by collision with the dust collection plate and electrical discharge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ELECTROSTATIC PRECIPITATOR}Electrostatic precipitat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의 집진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바이러스나 세균을 사멸시킬 수 있도록 된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ic dust collector capable of killing viruses and bacteria while increas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 중에는 미세 먼지와, 바이러스, 세균 등과 같은 유해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질에 사람이 노출되면, 호흡기나 폐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기집진장치가 널리 이용된다.Generally, indoor air contains harmful microorganisms such as fine dust, viruses, and bacteria. When people are exposed to these substances, various diseases, including respiratory and lung diseases, can occur. Therefore, electric dust collectors are widely used as a means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indoor air.

전기집진장치는 미세먼지 등의 입자상 오염물질을 강한 전계에 의하여 하전시킨 후, 하전 된 오염물질을 이동 포집하는 장치이다. 이 전기집진장치는 유해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 뿐만 아니라 집진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극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의 최적화 설계가 요구된다.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a device that charges particulate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by a strong electric field and then moves and collects the charged pollutants. This electrostatic precipitator requires not only a means to remove harmful microorganisms but also an optimized design of spacers installed between electrodes to increase dust collection efficiency.

특허문헌 1에는 광조사 살균 기능을 구비한 전기 집진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이 개시된 전기 집진 장치는 집진부와 광 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기에 포함된 유해 미생물을 포함한 입자상 오염물질을 전기적인 방법으로 포집하고, 포집된 유해미생물을 광조사를 통해 살균한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a light irradiation sterilization function. This disclosed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includes a dust collection unit and a light irradiation unit, and collects particulate contaminants including harmful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air by an electrical method, and sterilizes the collected harmful microorganisms through light irradiation.

이 개시된 전기 집진 장치는 별도의 광 조사부를 구비하여, 입자상 물질에 광선을 조사함으로써 유해 미생물을 살균하는 것으로, 자외선 광 등을 조사하는 별도의 광 조사부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This disclos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s a separate light irradiation unit to sterilize harmful microorganisms by irradiating light to particulate matter, but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light irradiation unit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특허문헌 2에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세입자를 포집 및 제거하는 공기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장치는 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포함한다. 이 이온 발생기에서 생성된 이온은 미세입자와 충돌하기 되며, 이 충돌에 의하여 미생물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정화장치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별도의 이온 발생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n air purification device that collects and removes fine particles, including microorganisms, floating in the air. This disclosed device includes an ion generator that generates ions by applying a voltage. Ions generated from this ion generator collide with fine particles, and through this collision, microorganisms are eliminate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configured in this way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be equipped with a separate ion generator to remove microorganisms.

공개특허 10-2016-0134069 (공개일: 2016.11.23.)Publication Patent 10-2016-0134069 (Publication Date: 2016.11.23.) 등록특허 10-1569629 (공고일: 2015.11.17.)Registered Patent 10-1569629 (Announcement Date: 2015.11.1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광 조사부 내지 이온 발생기 없이도,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세포와 같은 유해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pable of removing fine dust and harmful microorganisms such as viruses and cells without a light irradiation unit or ion generator.

또한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집진부의 풍량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wind volum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and increas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spacer.

상기한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공간 내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및 세균 등 미생물을 포함하는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상기 대전부에서 대전된 상기 입자를 집진시키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제1집진전압이 인가되는 제1집진전극과; 상기 제1집진전극과의 전압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제2집진전압이 인가되는 제2집진전극과; 상기 제1집진전극과 상기 제2집진전극을 상호 이격시켜 공기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집진전극이 캐패시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전체 역할을 하는 유전스페이서와; 상기 제1집진전극과 상기 제2집진전극 사이의 전압차(Vdc)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집진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한 집진전극에 상기 입자가 포집되도록 함과 아울러, 포집 과정에서 대전된 상기 미생물이 상기 집진판에 충돌 및 전기적 방전에 의하여 사멸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particles including fine dust and microorganism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floating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includes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particles, and charging in the charging unit. An electric dust collector including a dust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particles, wherein the dust collection unit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to which a first dust collection voltage is applied; a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to which a second dust collection voltage is applied to generate a voltage difference with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 dielectric spacer that separates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 which air can move, and serves as a dielectric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perform a capacitor function;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voltage difference (Vdc)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so that the particles are collect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the possibility of the charged microorganisms being killed by collision with the dust collection plate and electrical discharge can be increased.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집진전극 각각은, 절연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 형성된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includes a base plate made of an insulating film; It may include a conductive layer attach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pl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전층 상에 형성된 항균 코팅층을 포함하여, 상기 도전층 상에 집진되는 상기 입자에 대해 살균 및 제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항균 코팅층은 구리(Cu), 아연(Zn) 및 은(Ag)으로 이루어진 금속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ibacterial coating layer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and can improve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performance for the particles collected on the conductive layer. Here, the antibacterial coating layer may be made of at least one metal material selected from metals including copper (Cu), zinc (Zn), and silver (Ag).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집진전극과 상기 제2집진전극 사이의 전압차(Vdc)가 10 내지 20 [kV] 범위의 값을 만족하도록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집진전극은 접지되고, 상기 제1집진전극에 대해 전압 Vdc 값이 인가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pplied voltage so that the voltage difference (Vdc)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satisfies a value in the range of 10 to 20 [kV]. Here,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is grounded, and a voltage Vdc value can be a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상기 유전스페이서는, 소정 피치(P2)를 주기로 하여 소정 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그 설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제1스페이서부와 제2스페이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electric spac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is repeatedly formed at a predetermined pitch (P2), and may include a first spacer portion and a second spacer portion that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ir installation positions.

여기서 상기 제1스페이서부는 일 면이 상기 제1집진전극에 접하며, 다른 면은 제2집진전극에 대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마주보는 구조를 가지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반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2집진전극과의 사이에 제1공기통과공간(SP1)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pacer part has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other surface faces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while remaining spaced apart,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repe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 first air passing space (SP1) can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상기 제2스페이서부는 상기 제1스페이서부 사이에 상기 제1스페이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일 면은 상기 제2집진전극에 접촉 형성되며, 다른 면은 상기 제1집진전극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진전극(310)과의 사이에 제2공기통과공간(SP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통과공간(SP1)의 부피와 상기 제2공기통과공간(SP2)의 부피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pacer pa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pacer part between the first spacer parts, one surface of which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other surf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By being placed facing each other in a spaced-apart state, a second air passage space SP2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dditionally, the volume of the first air passage space (SP1) and the volume of the second air passage space (SP2) may be formed differently.

상기 제2집진전극과 마주하는 상기 제1스페이서부의 면적(제1면적)과, 상기 제1집진전극과 마주하는 상기 제2스페이서부의 면적(제2면적)을 상호 비교하여 볼 때, 제2면적이 제1면적 보다 3배 이상 크게 형성될 수 있다.When comparing the area (first area) of the first spacer portion facing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area (second area) of the second spacer portion facing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the second area It can be formed to be more than three times larger than this first area.

상기 유전스페이서의 높이(H2)는 1.2 mm 이하이고, 피치(P2)는 7.0 m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The height (H2) of the dielectric spacer may be set to 1.2 mm or less, and the pitch (P2) may be set to 7.0 mm or less.

또한, 상기 제1집진전극, 상기 제2집진전극 및 상기 유전스페이서는 롤 형태로 말려 있을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dielectric spacer may be rolled in a roll shape.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제1집진전극과 제2집진전극 사이의 전압차(Vdc)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하여, 전압차(Vdc)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입자 내에 포함된 미생물을 대전시키고, 대전 된 미생물(바이러스, 세포)이 집진전극에 충돌됨과 아울러 전기적 방전에 의하여 사멸시킬 수 있다.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voltage difference (Vdc) through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voltage difference (Vdc)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ccordingly, th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particles are charged, and the charged microorganisms (viruses, cells) collide with the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can be killed by electrical discharge.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또는 제2집진전극에 항균코팅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전압차(Vdc)에 의한 포집과정에서 사멸되지 않은 입자에 대해 2차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ntibacterial coating layer on the first and/or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so that particles that are not killed in the collection process by voltage difference (Vdc) can be killed secondari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유전체 스페이서의 형상 및 배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집진성능을 향상시키고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and increase wind volume by improv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ielectric spac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부의 일 예에 따른 제1집진전극, 제2집진전극 및 유전스페이서의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유전스페이서의 일 예에 따른 형상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도 4b는 도 3의 유전스페이서의 다른 예에 따른 형상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의 일부 구성 및 바이러스와 세균을 포함한 입자의 포집 및 사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8 각각은 집진부 인가전압(Vdc)의 변화에 따른 부유세균 집진력, 표면 살균력 및 총 살균력을 보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의 또 따른 예에 따른 제1집진전극, 제2집진전극 및 유전스페이서의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 및 도 11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의 설치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전체적인 배치 구조를 분리하여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ion part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a dielectric spac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shown in FIG. 2.
FIG. 4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an example of the dielectric spacer of FIG. 3. FIG. 4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another example of the dielectric spacer of FIG. 3.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ion unit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nciple of collecting and killing particles including viruses and bacteria.
Figures 6 to 8 are graphs showing the floating bacteria dust collection power, surface sterilization power, and total sterilization power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pplied voltage (Vdc) of the dust collection unit.
Figure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a dielectric spac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a dust collection part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a dust collection unit of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isol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실내 공간 등의 소정 공간 내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및 세균 등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100)와, 상기 대전부(100)에서 대전된 상기 입자를 집진시키는 집진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이러스 및 세균 등의 미생물은 부유하는 미세먼지에 달라붙어 번식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경우 미생물도 함께 포집할 수 있다.Figure 1 shows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moving fine dust floating in a predetermined space such as an indoor space and harmful particles including microorganism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and includes a charging unit that charges the particles. It includes (100) and a dust collection unit (300) that collects the particles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100). Here, microorganism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can attach to floating fine dust and reproduce. Therefore, when collecting fine dust, microorganisms can also be collec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를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의 일부 구성 및 바이러스와 세균을 포함한 입자의 포집 및 사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및 도 5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집진부의 일 예 및 다른 예에 따른 제1집진전극, 제2집진전극 및 유전스페이서의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ion part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and Figure 3 shows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part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llection and control of particles including viruses and bacteria.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principle of death. In addition, FIGS. 4 and 5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dielectric spacer according to one example and another exampl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shown in FIG. 2.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집진부(300)는 제1집진전극(310), 제2집진전극(330), 유전스페이서(35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to 5 , the dust collection unit 300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a dielectric spacer 350, and a control unit 370.

제1 및 제2집진전극(310)(330)은 소정 두께의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집진전극(310)(330) 각각은 항균 성능을 위하여 0.1 mm 두께의 구리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310 and 330 may be made of metal plates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310 and 330 may be made of a 0.1 mm thick copper plate for antibacterial performance.

제1집진전극(310)에는 제1집진전압이 인가되고, 제2집진전극(330)에는 제1집진전극(310)과의 전압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제2집진전압이 인가된다. 예를 들어, 제1집진전극(310)과 제2집진전극(330) 중 하나는 포지티브 전압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접지되거나 네거티브 전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은 캐패시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대전된 미세먼지의 극성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에 인력 및 척력을 가하여 대전된 미세먼지가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집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제1 및 제2집진전극(310)(330)에 의한 미생물을 사멸하는 원리는 후술하기로 한다.A first dust collection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a second dust collection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o generate a voltage difference with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For example, one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may have a positive voltage, and the other may be grounded or have a negative voltage.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capacitor, and apply attractive and repulsive forces to the fine dust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charged fine dust to remove the charged fine dust. Dust is collected by sticking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he principle of killing microorganisms using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310 and 330 will be described later.

유전스페이서(350)는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을 이격시켜 공기가 이동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유전스페이서(350)는 제1 및 제2집진전극(310)(330)이 캐패시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전체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유전스페이서(350)가 유전체의 역할을 하면서 제1집진전극(310)과 제2집진전극(330)의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집진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ielectric spacer 35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o space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o create a space through which air can move. form Additionally, the dielectric spacer 350 serves as a dielectric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310 and 330 perform a capacitor function. In this way, the dust collec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because the dielectric spacer 350 acts as a dielectric and maintains the gap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집진전극(310)의 양면 각각에 유전스페이서(350)가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제2집진전극(330)의 양면 각각에 유전스페이서(350)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집진전극(310), 유전스페이서(350), 제2집진전극(330), 유전스페이서(350), 제1집진전극(310), …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dielectric spacer 350 is arranged to contact both sides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dielectric spacer 350 is arranged to contact both sides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It can be. Accordingly,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the dielectric spacer 350,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he dielectric spacer 350,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 Can be arranged in order.

이와 같이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의 양면 각각에 유전스페이서(350)가 접촉하므로 집진부(3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유전스페이서(350)의 폭은 제1집진전극(310) 폭 및 제2집진전극(330) 폭의 3/4 배 이상 3/2 배 이하일 수 있다. 유전스페이서(350)의 폭은 제1집진전극(310) 폭 및 제2집진전극(330) 폭의 3/4 배보다 작을 경우, 유전율로 인하여 집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유전스페이서(350)의 폭이 제1집진전극(310) 폭 및 제2집진전극(330) 폭의 3/2 배보다 클 경우, 도 1의 집진 케이스(500)의 부피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dielectric spacer 350 contacts both surfaces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he volum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300 can be reduced. Meanwhile, the width of the dielectric spacer 350 may be 3/4 times or more and 3/2 times or less the widths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If the width of the dielectric spacer 350 is smaller than 3/4 times the width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width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dust collection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due to dielectric constant. In addition, if the width of the dielectric spacer 350 is larger than 3/2 times the width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width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he volume of the dust collection case 500 of FIG. 1 may become excessively large. there is.

한편, 유전스페이서(350)는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함으로써 공간을 형성하면서도 유전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각각은 절연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34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1)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 형성된 도전층(343)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electric spacer 350 include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toward at least one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hereby forming a space and acting as a dielectric. Also, 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is attached to a base plate 341 made of an insulating film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plate 341. It may include a formed conductive layer 343.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341)는 PET(Polyethylene phthalate) 수지와 같은 유연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층(343)의 부착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도전 쉬트가 부착되거나 도전 물질이 베이스 플레이트(341)의 양면에 증착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41)의 양면에 도전층(343)이 형성되므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집진전극(310), 유전스페이서(350), 제2집진전극(330), 유전스페이서(350), 제1집진전극(310), …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base plate 341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PET (polyethylene phthalate) resin. Attachment of the conductive layer 343 may be implemented by attaching a conductive sheet using a conductive adhesive or deposi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341. Since the conductive layer 343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341,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the dielectric spacer 350,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he dielectric spacer 35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341. 1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 Can be arranged in order.

유전스페이서(350)(350')는 제1집진전극(310)과 제2집진전극(33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제1집진전극(310)과 제2집진전극(330)을 소정 간격만큼 이격 시킨다. 이 경우 유전스페이서(35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소정 속도로 통과한다. 여기서 공기 내에 포함된 유해입자가 제1 및/또는 제2집진전극(310)(330)에 집진된다. 이를 위하여, 유전스페이서(35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electric spacers 350 and 350' are positioned to form a space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hereby form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Separate them by a certain distance. In this case, air passes at a predetermined speed through the space formed by the dielectric spacer 350. Here, harmful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re collected in the first and/or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310 and 330. To this end, the dielectric spacer 350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S. 4A and 4B.

도 4a는 도 3의 유전스페이서의 일 예에 따른 형상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4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an example of the dielectric spacer of FIG. 3.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유전스페이서(350)는 판상의 유전체를 주름 형태로 구부려 형성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제1집진전극(310)과 제2집진전극(330)이 높이 H1 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이 유전스페이서(350)의 단면 형상은 소정 파형 즉, 정현파(sinusoida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전스페이서는 소정 피치(P1)를 주기로 하여 산(351)과 골(355)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치(P1)와 높이(H1)는 집진 성능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유전스페이서(350)를 이용하여 집진 성능 및 풍량을 테스트한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표 1은 피치(P1)를 7mm, 높이(H1)를 1mm로 하고, 유해입자의 크기가 0.3㎛ 이상의 조건에서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이다. 여기서, 집진부가 없는 즉 무부하시 측정 풍량은 90 CMH이다.Referring to FIGS. 3 and 4A, the dielectric spacer 350 has a structure formed by bending a plate-shaped dielectric into a wrinkle shape, and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are spaced apart by a height of H1. Make it possibl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ielectric spacer 350 may be formed as a predetermined waveform, that is, a sinusoidal shape. That is, the dielectric spacer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eaks 351 and valleys 355 are repeatedly formed at a predetermined pitch (P1). Here, the pitch (P1) and height (H1) are designed considering dust collection performance. The results of testing dust collection performance and air volume using the dielectric spacer 350 manufactured in this way are shown in Table 1 below.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a test conducted under conditions where the pitch (P1) was 7 mm, the height (H1) was 1 mm, and the size of harmful particles was 0.3 μm or more. Here, the measured air volume without a dust collector, that is, at no load, is 90 CMH.

도 4a에 도시된 구조로 유전스페이서(350)를 설계하고, 평판 상으로 집진부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1집진전극(310)과 유전스페이서(350) 사이의 공간(제1공기통과공간)과 제2집진전극(330)과 유전스페이서(350) 사이의 공간(제2공기통과공간)이 실질상 동일한 부피를 가진다. 따라서 제1집진전극(310)과 제2집진전극(330)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한 두 공간으로 양분되어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 두 공간 각각에서 공기 저항은 실질상 동일하다. 한편 집진기를 롤링(rolling) 구조로 제작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력에 견디는 힘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이에 따라 롤링 구조의 집진부를 구성하는 경우, 제1공기통과공간과 제2공기통과공간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는데 이에 따라 공기가 고르게 통과하지 못하고, 간격이 넓은 쪽으로 많은 공기가 유입되어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When the dielectric spacer 350 is designed with the structure shown in FIG. 4A and the dust collection part is formed and us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dielectric spacer 350 (first air passing space) The space (second air passage space) between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and the dielectric spacer 350 has substantially the same volume. Therefore, the air flowing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is divided into two spaces and passes through them. In this case, the air resistance in each of the two spaces is substantially the same. On the other hand, when the dust collector is manufactured in a rolling structure, the force to withstand pressure is relatively weak, as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when forming a dust collection unit with a rolling structure, the first air passage space and the second air passage space are not formed uniformly. As a result, air does not pass evenly, and a lot of air flows in toward the wide gap, which reduces dust collection performance. It can be.

도 4b는 도 3의 유전스페이서의 다른 예에 따른 형상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4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another example of the dielectric spacer of FIG. 3.

도 4b를 참조하면, 유전스페이서(350')는 판상의 유전체를 주름 형태로 구부려 형성한 구조를 가지는 점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유전스페이서(350)과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집진전극(310)과 제2집진전극(330)이 높이 H2 만큼 이격되도록 하며, 유전스페이서(350')의 단면 형상이 상하 비대칭 구조가 되도록 변경한 점에서 일 예에 따른 유전스페이서(350)와 구별된다.Referring to FIG. 4B, the dielectric spacer 350' is the same as the dielectric spacer 350 shown in FIG. 4A in that it has a structure formed by bending a plate-shaped dielectric material into a wrinkle shape.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are spaced apart by a height of H2,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ielectric spacer 350' is changed to have a vertically asymmetric structure.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dielectric spacer 350 according to .

본 실시예에 따른 유전스페이서(350')를 적용하는 경우, 제1집진전극(310)과 유전스페이서(350') 사이의 공간이 유전스페이서(350')와 제2집진전극(330) 사이의 공간에 비하여 큰 부피를 가질 수 있다.When applying the dielectric spacer 3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pace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dielectric spacer 350' is the space between the dielectric spacer 35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It can have a large volume compared to space.

유전스페이서(350')는 소정 피치(P2)를 주기로 하여 소정 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제1스페이서부(351')와 제2스페이서부(355')로 구분된다. 제1스페이서부(351')는 일 면이 상기 제1집진전극(310)에 접하며, 다른 면은 제2집진전극(330)에 대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마주보는 구조를 가진다. 이 제1스페이서부(351')는 일 예에서 따른 유전스페이서(350)의 산(351)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스페이서부(351')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반복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스페이서부(351')를 형성함으로써, 제1스페이서부(351')와 제2집진전극(330) 사이에 제1공기통과공간(SP1)이 형성된다.The dielectric spacer 35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is repeatedly formed at a predetermined pitch (P2), and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r part 351' and a second spacer part 355' according to its installation location. do. The first spacer portion 351'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other side faces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while remaining spaced apart. This first spacer portion 351'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similar to the acid 351 structure of the dielectric spacer 350 according to one example. This first spacer portion 351' has a structure that is repe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forming the first spacer portion 351' as described above, a first air passage space SP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pacer portion 35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제2스페이서부(355')는 제1스페이서부(35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평판상의 구조를 가진다. 이 제2스페이서부(355')의 일 면은 제2집진전극(330)에 접촉 형성되며, 다른 면은 제1집진전극(310)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스페이서부(351')를 형성함으로써, 제2스페이서부(355')와 제1집진전극(310) 사이에 제2공기통과공간(SP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공기통과공간(SP1)과 제2공기통과공간(SP2)의 부피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집진전극(330)과 마주하는 상기 제1스페이서부(351')의 면적(제1면적)과, 상기 제1집진전극(310)과 마주하는 상기 제2스페이서부(355')의 면적(제2면적)을 상호 비교하여 볼 때, 제2면적이 제1면적 보다 3배 이상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면적을 제1면적 보다 크게 형성하고, 이에 마주하는 제1집진전극(310)의 노출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유해 미생물과 제1집진전극(310)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성능 및 살균 성능을 보다 더 향상할 수 있다.The second spacer portion 355' is formed integrally between the first spacer portions 351' and has an overall flat structure. One side of the second spacer portion 355'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and the other side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By forming the second spacer portion 351' in this way, a second air passage space SP2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pacer portion 355' and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Here, the volumes of the first air passage space (SP1) and the second air passage space (SP2) are formed differently. For example, the area (first area) of the first spacer portion 351' facing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and the second spacer portion facing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 When comparing the area (second area) of 355'), the second area can be formed to be more than three times larger than the first area. In this way, by making the second area larger than the first area and widening the exposed area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facing it, the contact area between harmful microorganisms and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dust collection performance and steriliza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여기서 피치(P2)와 높이(H2)는 집진성능 및 풍량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유전스페이서(350)를 이용하여 집진 성능 및 풍량을 테스트한 결과는 아래 표 2과 같다. 표 2는 피치(P2)를 2.8mm, 7.0mm, 높이(H2)를 1.0mm, 1.2mm, 1.5mm 각각으로 하고, 유해입자의 크기가 0.3㎛ 이상의 조건에서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이다. 여기서, 집진부가 없는 즉 무부하시 측정 풍량은 90 CMH이다.Here, the pitch (P2) and height (H2) are designed considering dust collection performance and wind volume. The results of testing dust collection performance and air volume using the dielectric spacer 350 manufactured in this way are shown in Table 2 below.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a test conducted under conditions where the pitch (P2) was 2.8 mm and 7.0 mm, the height (H2) was 1.0 mm, 1.2 mm, and 1.5 mm, and the size of harmful particles was 0.3 μm or more. Here, the measured air volume without a dust collector, that is, at no load, is 90 CMH.

표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전스페이서(350')와 일 예에 따른 유전스페이서(350)의 집진성능을 비교하여 볼 때, 유전스페이서(350')의 높이(H2)가 1.2mm 이하에서 집진성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높이(H2)가 1.0mm 인 경우, 집진성능은 95% 이상으로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when comparing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of the dielectric spacer 3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dielectric spacer 350 according to an example, the height (H2) of the dielectric spacer 350' is 1.2 mm. From the following, it can be seen that dust colle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In particular, when the height (H2) is 1.0 mm, it can be seen that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is greatly improved to over 95%.

또한 풍량을 비교하여 볼 때, 피치(P2)가 길어지고, 높이(H2)가 증가할 수로 풍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치(P2)가 7.0 mm인 경우는 높이 1.0 mm, 1.2 mm, 1.5 mm 모두에서 풍량이 50 CMH를 초과하여 풍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Also, when comparing the air volume, it can be seen that the air volume increases as the pitch (P2) becomes longer and the height (H2) increases. For example, when the pitch (P2) is 7.0 mm, the air volume exceeds 50 CMH at all heights of 1.0 mm, 1.2 mm, and 1.5 mm, showing that the air volume is improved.

상기한 테스트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유전스페이서(350')의 높이(H2) 대략 1.2 mm 이하, 피치(P2)는 대략 7.0 mm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Considering the above test results, the height (H2) of the dielectric spacer 350' can be set to approximately 1.2 mm or less, and the pitch (P2) can be set to approximately 7.0 mm or less.

이와 같이 유전스페이서(350')를 개선하는 경우는 제2공기통과공간(SP2)의 부피가 일 예에 따른 유전스페이서(350)의 대응 공간에 비하여 넓어지므로, 집진성능이 개선되어 제1집진전극(310)에 흡착되는 이물질 비율이 증가하게 되며, 풍량이 30% 이상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of improving the dielectric spacer 350' in this way, the volume of the second air passage space SP2 is expanded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space of the dielectric spacer 350 according to an example, so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and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The proportion of foreign substances adsorbed to (310) increases, and the air volume increases by more than 30%.

또한, 유전스페이서 압력 테스트 결과, 유전스페이서의 버티는 힘이 4배 이상 증가하였다. 압력 테스트는 IMADA(사)의 푸시-풀 스케일 장비를 이용하였으며, 스페이서에 압력을 가하여, 스페이서의 형상의 무너져 바닥에 닿을 때의 힘을 측정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유전 스페이서로서, 도 4a 및 도 4b 각각에 도시된 형상을 가지며, 피치 7 mm, 높이 1 mm를 가지는 지는 유전 스페이서를 사용하였다.Additionally, as a result of the dielectric spacer pressure test, the holding force of the dielectric spacer increased by more than four times. The pressure test used IMADA's push-pull scale equipment, applied pressure to the spacer, and measured the force when the shape of the spacer collapsed and touched the floor. As a dielectric spacer used in the measurement, a ground dielectric spacer having the shape shown in FIGS. 4A and 4B, respectively, with a pitch of 7 mm and a height of 1 mm was used.

테스트 결과 도 4a에 따른 유전 스페이서는 2kgf, 도 4b에 따른 유전 스페이서는 8kgf의 압력에 견디는 것으로 측정되어, 다른 예에 따른 유전스페이서(350')가 일 예에 따른 유전스페이서(350)에 비하여 버티는 힘이 4배 정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예에 따른 유전스페이서(350')를 적용하는 경우, 집진기의 형상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상으로 변형하여 사용하더라도, 제1집진전극과 제2집진전극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공기통과공간(SP1)이 일정한 부피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서, 공기가 고르게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집진성능이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상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test, the dielectric spacer according to FIG. 4A was measured to withstand a pressure of 2kgf and the dielectric spacer according to FIG. 4B was measured to withstand a pressure of 8kgf, and the dielectric spacer 35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was measured to withstand a pressure of 8kgf compared to the dielectric spacer 350 according to on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strength is improved by about 4 times. Therefore, when applying the dielectric spacer 35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even if the shape of the dust collector is modified into a roll shape as shown in FIG. 10, the gap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must be kept constant. It can be maintained. Therefore, the plurality of first air passing spaces SP1 can maintain a constant volume, allowing air to pass through evenly. Accordingly, dust collec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s shown in Table 2.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70)는 제1집진전극(310)과 제2집진전극(330) 사이의 전압차(Vdc)를 제어한다. 즉, 제1 및 제2집진전극(310)(330) 각각에 인가되는 제1집진전압 및/또는 제2집진전압을 제어하여 Vdc의 전압차가 발생되도록 한다. 도 5는 제2집진전극(330)이 접지되고, 제1집진전극(310)에 대해 전압을 인가하여 제1 및 제2집진전극(310)(330) 사이에 전압차(Vdc)가 되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370)는 상기 제1 및 제2집진전극(310)(330) 사이의 전압차(Vdc)가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370 controls the voltage difference (Vdc)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hat is, the first dust collection voltage and/or the second dust collection voltage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310 and 330 are controlled to generate a voltage difference of Vdc. Figure 5 is configured so that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is grounded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to create a voltage difference (Vdc)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310 and 330. It shows an example. Here, the control unit 370 can control the applied voltage so that the voltage difference (Vdc)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310 and 330 satisfies the condition of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10 ≤ Vdc ≤ 20 [kV]10 ≤ Vdc ≤ 20 [kV]

이는 제2집진전극(330)에 상기 입자가 포집되도록 함과 아울러, 포집 과정에서 상기 미생물이 충돌하여 사멸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is not only allows the particles to be collected by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but also increases the possibility that the microorganisms will collide and die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즉, 대전부에서 하전된 입자는 소정 공간 내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및 세균 등 미생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미생물은 실내 공간과 같은 소정 공간 내에서 미세먼지에 붙어 번식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기집진 원리에 의하여 먼지를 잡을 때 미생물도 함께 포집할 수 있다.That is, the charged particles in the charging portion include fine dust floating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microorganism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Here, microorganisms attach to fine dust and reproduce within a given space, such as an indoor space. Therefore, when catching dus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lectrostatic dust collection, microorganisms can also be collected.

미생물이 달라붙은 미세먼지를 집진부 내에서 포획함에 있어서, 상기한 전압차(Vdc)의 크기에 따라 집진력 내지 살균력이 결정된다.When capturing fine dust with attached microorganisms in the dust collection unit, the dust collection or sterilizing power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voltage difference (Vdc).

도 6은 내지 도 8 각각은 집진부 인가전압(Vdc)의 변화에 따른 부유세균 집진력, 표면 살균력 및 총 살균력을 보인 그래프이다.Figures 6 to 8 are graphs showing the floating bacteria dust collection power, surface sterilization power, and total sterilization power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pplied voltage (Vdc) of the dust collection unit.

도 6을 참조하면, 부유세균 집진력은 먼지에 부착되어 번식하는 부유세균을 채집하여, 전기집진장치의 인가전압(Vdc)을 제외한 다른 조건은 동일한 상태에서, 제어부를 통하여 인가전압(Vdc)을 5, 10, 15 및 20 [kV]에서 세균수를 측정 비교함으로써, 집진력(제균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부유세균 집진력(제균력)은 5, 10, 15, 20 [kV] 각각에서 52.2%, 95.0%, 97.5% 및 99.4%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5 에서 10 [kV] 구간에서 집진력이 급증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airborne bacteria dust collection power collects airborne bacteria that attach to and multiply on dust, and other conditions except the applied voltage (Vdc)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re the same, and the applied voltage (Vdc) is applied through the control unit. By measuring and comparing the number of bacteria at 5, 10, 15, and 20 [kV], the dust collection power (bactericidal power) (%) can be measured.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floating bacteria collection power (bactericidal power) is 52.2%, 95.0%, 97.5%, and 99.4% at 5, 10, 15, and 20 [kV],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dust collection power increases rapidly in the 5 to 10 [kV] range.

도 7을 참조하면, 집진 순간의 표면 살균력은 세균이 집진부에 포집될 때 충돌 에너지 또는 전기력에 의하여 사멸하는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 표면 살균력은 공기 중에서 집진부에 포집되는 세균수와 집진부 표면에 남아있는 세균수를 비교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집진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절연성이 강한 절연필름으로 구성되므로, 전기력에 의한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 the surface sterilizing power at the moment of dust collection represents the rate at which bacteria are killed by collision energy or electric force when they ar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unit. This surface sterilizing power can be obtain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bacteria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part from the air and the number of bacteria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part. Here, since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ion unit is made of a highly insulating insulating film, the sterilization effect by electric force can be increased.

여기서 표면 살균력은 5, 10, 15, 20 [kV] 각각에서 43.5%, 62.3%, 68.9% 및 70.5%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5 에서 10 [kV] 구간에서 표면 살균력이 급증함을 알 수 있다.Here, it can be seen that the surface sterilizing power is 43.5%, 62.3%, 68.9%, and 70.5% at 5, 10, 15, and 20 [kV],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surface sterilizing power increases rapidly in the range from 5 to 10 [kV].

도 8을 참조하면, 집진기의 총 살균력은 공기 중 부유세균이 집진기에 의해 죽은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부유세균의 집진력과 표면 살균력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총 살균력은 5, 10, 15, 20 [kV] 각각에서 22.71%, 59.19%, 67.18% 및 70.08%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적은 인가전압인 5 [kV]에서는 집진 후 사멸한 미생물이 약 22.7%로 대부분 생존할 수 있다. 반면, 인가전압 10 [kV] 이상에서는 59.19% 이상의 미생물이 사멸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total sterilizing power of the dust collector represents the proportion of floating bacteria in the air killed by the dust collector, and can be expressed as the product of the dust collecting power of floating bacteria and the surface sterilizing power.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total sterilizing power is 22.71%, 59.19%, 67.18%, and 70.08% at 5, 10, 15, and 20 [kV], respectively. In other words, at a relatively low applied voltage of 5 [kV], most of the microorganisms killed after dust collection (about 22.7%) can survive.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at an applied voltage of 10 [kV] or more, more than 59.19% of microorganisms die.

상기한 실험 결과를 고려하여, 인가전압(Vdc)은 상기한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sidering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it is desirable that the applied voltage (Vdc) satisfies the conditions of Equation 1 abov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의 또 따른 예에 따른 제1집진전극, 제2집진전극 및 유전스페이서의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ure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a dielectric spac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a dust collection part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집진부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집진전극(310)(330) 각각은 도전층(343) 상에 형성된 항균 코팅층(3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항균 코팅층(345)은 구리(Cu), 아연(Zn) 및 은(Ag)으로 이루어진 금속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 소재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항균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항균 코팅층(345)을 형성함으로써 도전층(343) 상에 집진되는 상기 입자에 대해 살균 및 제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310 and 330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ntibacterial coating layer 345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343. Here, the antibacterial coating layer 345 may be made of at least one metal material selected from metals including copper (Cu), zinc (Zn), and silver (Ag). As is well known, such a metal material has an antibacterial function, and by forming an antibacterial coating layer 345, the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performance of the particles collected on the conductive layer 343 can be improved.

도 10 및 도 11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의 설치예를 보인 사시도이다.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a dust collection unit of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집진전극(310), 제2집진전극(330) 및 유전스페이서(350)는 롤 형태로 말려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롤의 형태는 원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길게 연장된 하나의 제1집진전극(310)과 길게 연장된 하나의 제2집진전극(330) 사이에 하나로 길게 연장된 유전스페이서(350)가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10 and 11,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and the dielectric spacer 350 may be rolled into a roll shape. Here, the shape of the roll may be circular or square. Accordingly, one elongated dielectric spacer 350 may be disposed between one elongated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one elongate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도 10에서 도면 번호 510은 집진 케이스(500)와 롤 형태의 제1집진전극(310)과 제2집진전극(330) 사이의 공간을 메우기 위한 충진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집진전극(310)과 제2집진전극(330)이 롤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제1집진전극(310)과 제2집진전극(3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In Figure 10, reference number 510 may be a filling part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ion case 500 and the roll-shaped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Accordingly, the roll shape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the positions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can be fixed.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케이스(500)에 복수의 제1집진전극(310), 복수의 제2집진전극(330) 및 복수의 유전스페이서(350)가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집진 케이스(500)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제1전집전극 및 복수의 제2집진전극(330)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집진전극(310), 유전스페이서(350), 제2집진전극(330), 유전스페이서(350), 제1집진전극(310), …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s 310, a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330, and a plurality of dielectric spacers 350 may be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on case 500.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rst collection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collection electrodes 33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ase 500. Accordingly, as explained through FIGS. 3 and 4,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the dielectric spacer 350,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the dielectric spacer 350,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Can be arranged in order.

한편,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에 공급되는 제1집진전압 및 제2집진전압의 극성이 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에 각각 포지티브 전압 및 네거티브 전압이 각각 공급되다가 극성이 바뀌어 네거티브 전압 및 포지티브 전압이 각각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olarities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voltag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voltage su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may be reversed. For example, a positive voltage and a negative voltage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respectively, and then the polarity may be changed to supply a negative voltage and a positive voltage, respectively.

제1집진전압 및 제2집진전압에 따라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에 대전된 미세먼지가 부착되는데, 시간에 지남에 따라 기름이나 끈적이는 물질 등으로 인하여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에서 떼어내는 게 어려워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에 공급되는 제1집진전압 및 제2집진전압의 극성을 필요에 따라 서로 바꿈으로써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Charged fine dust is attached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according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voltag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voltage. Over time, fine dust is attached due to oil or sticky substances, etc. It may become difficult to remove dust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olarities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voltag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voltage su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are changed as needed to remove the attached fine dust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3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이와 같은 극성 변화 이외에 제1집진전극(310) 및 제2집진전극(330)에 고전압의 제1집진전압과 저전압의 제2집진전압이 공급되다가 저전압의 제1집진전압과 고전압의 제2집진전압이 공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is polarity change, a high-voltage first dust-collecting voltage and a low-voltage second dust-collecting voltage are supplied to the first dust-collecting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dust-collecting electrode 330, and then the low-voltage first dust-collecting voltage and the high-voltage second dust-collecting voltage are supplied. This may be supplied.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전체적인 배치 구조를 분리하여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ure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isolation.

필터링 모듈(FM)은 서로 겹쳐진 대전부(100)와 집진부(300)를 포함하며, 연결 레일(910)은 복수의 필터링 모듈(FM)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연결 레일(910)에는 필터링 모듈(FM)이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한 가이딩 홈(91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필터링 모듈(FM)의 일측 및 타측이 상하로 이격된 배치된 연결 레일(910)의 가이딩 홈(911)에 삽입되어 가이딩 홈(911)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적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필터링 모듈(FM)이 연결 레일(910)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넓은 영역의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필터링 모듈(FM)의 연결 개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설치 공간이나 설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The filtering module (FM) includes a charging unit 100 and a dust collecting unit 300 that overlap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rail 910 can connect a plurality of filtering modules (FM) to each other. To this end, a filtering module (FM)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rail 910 to form a sliding guiding groove 911.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ltering modules (FM) can be plac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by being inserted into the guiding groove 911 of the vertically spaced connection rail 910 and sliding along the guiding groove 911. . In this way, a plurality of filtering modules (FM)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rail 910, so that fine dust can be filtered over a wide area.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connections of the filtering module (FM) can be changed as desir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pace or installation situation of the place where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와 같은 연결 레일(910)의 내측면에는 필터링 모듈(FM)의 대전부(100)에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을 인가하는 대전 접촉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빔 전극(130)은 공통 노드(common node)에 연결되고 공통 노드가 제1 전압을 인가하는 대전 접촉 단자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라인 전극(150) 역시 공통 노드에 연결되고 라인 전극의 공통 노드는 제2 전압을 인가하는 대전 접촉 단자와 접촉할 수 있다. A charging contact terminal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rail 910 to apply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to the charging unit 100 of the filtering module FM. The plurality of beam electrodes 130 are connected to a common node, and the common node may be in contact with a charging contact terminal that applies the first voltage.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line electrodes 150 are also connected to a common node, and the common node of the line electrode may be in contact with a charging contact terminal that applies the second voltage.

마찬가지로 연결 레일(910)의 내측면에는 필터링 모듈(FM)의 집진부(300)에 제1집진전압 및 제2집진전압을 인가하는 집진 접촉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Likewise, a dust collection contact terminal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rail 910 to apply the first dust collection voltag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voltage to the dust collection unit 300 of the filtering module (FM).

이 때 대전 접촉 단자와 집진 접촉 단자는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레일(910)은 부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전 접촉 단자와 집진 접촉 단자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harging contact terminal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ct terminal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to prevent short circuit. For example, the connection rail 910 may be made of a non-conductor, and the charging contact terminal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ct terminal may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연결 레일(910)의 내측면에 대전 접촉 단자 및 집진 접촉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필터링 모듈(FM)에 제1 전압, 제2 전압, 제1집진전압 및 제2집진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이 줄어들게 되므로 필터링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설치의 용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charging contact terminal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ct terminal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rail 910, the first voltage, the second voltage, the first dust collection voltag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voltage ar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ltering modules (FM). Since the wiring for the filtering device is reduced, the structure of the filtering device can be simplified and the ease of installation can be increased.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100: 대전부 300: 집진부
310: 제1집진전극 330: 제2집진전극
341: 베이스 플레이트 343: 도전층
350, 350': 유전스페이서 370: 제어부
500: 집진 케이스 FM: 필터링 모듈
910: 연결 레일
100: Daejeon part 300: Dust collection part
310: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330: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341: base plate 343: conductive layer
350, 350': Dielectric spacer 370: Control unit
500: dust collection case FM: filtering module
910: connecting rail

Claims (10)

소정 공간 내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와, 미생물을 포함하는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상기 대전부에서 대전된 상기 입자를 집진시키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제1집진전압이 인가되는 제1집진전극과;
상기 제1집진전극과의 전압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제2집진전압이 인가되는 제2집진전극과;
상기 제1집진전극과 상기 제2집진전극을 상호 이격시켜 공기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집진전극이 캐패시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전체 역할을 하는 유전스페이서와;
상기 제1집진전극과 상기 제2집진전극 사이에 소정 범위의 전압차(Vdc)가 발생되도록, 상기 제1집진전극 및 상기 제2집진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한 집진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자가 상기 제1 및 제2집진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한 집진전극에 상기 입자가 포집되도록 하되, 포집 과정에서 상기 미생물이 상기 제1 및 제2집진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한 집진전극에 충돌 및 전기적 방전에 의하여 사멸될 수 있도록, 상기 전압차(Vdc)를 제어하며,
상기 유전스페이서는,
소정 피치(P2)를 주기로 하여 소정 패턴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그 설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제1스페이서부와 제2스페이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페이서부는,
일 면이 상기 제1집진전극에 접하며, 다른 면은 제2집진전극에 대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마주보는 구조를 가지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반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2집진전극과의 사이에 제1공기통과공간(SP1)을 형성하고,
상기 제2스페이서부는,
상기 제1스페이서부 사이에 상기 제1스페이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일 면은 상기 제2집진전극에 접촉 형성되며, 다른 면은 상기 제1집진전극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진전극과의 사이에 제2공기통과공간(SP2)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공기통과공간(SP1)의 부피와 상기 제2공기통과공간(SP2)의 부피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for removing particles including fine dust and microorganisms floating in a predetermined space, including a charging unit that charges the particles, and a dust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particles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The dust collection unit,
a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to which a first dust collection voltage is applied;
a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to which a second dust collection voltage is applied to generate a voltage difference with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 dielectric spacer that separates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 which air can move, and serves as a dielectric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perform a capacitor function;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voltag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so that a voltage difference (Vdc) in a predetermined rang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Including,
The control unit,
The particles are collect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and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the microorganisms collide with and electrically discharg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Controls the voltage difference (Vdc) so that it can be killed by,
The dielectric spacer i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is repeatedly formed at a predetermined pitch (P2), and includes a first spacer portion and a second spacer portion that a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ir installation positions,
The first spacer part,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other side has a structure that faces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while remaining spaced apart,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repe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 first air passing space (SP1) is formed between the
The second spacer part,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pacer portion between the first spacer portions,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other side faces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arranged so as to form a second air passing space (SP2)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 electric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of the first air passage space (SP1) and the volume of the second air passage space (SP2) are formed different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집진전극 각각은,
절연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착 형성된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s,
A base plate made of an insulating film;
An electric dust collector comprising a conductive layer attach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 상에 형성된 항균 코팅층을 포함하여, 상기 도전층 상에 집진되는 상기 입자에 대해 살균 및 제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n electric dust collector comprising an antibacterial coating layer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to improve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performance for the particles collected on the conductive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코팅층은,
구리(Cu), 아연(Zn) 및 은(Ag)으로 이루어진 금속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antibacterial coating layer is,
An electric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t least one metal material selected from metals consisting of copper (Cu), zinc (Zn), and silver (A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집진전극과 상기 제2집진전극 사이의 전압차(Vdc)가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수학식 1>
10 ≤ Vdc ≤ 20 [kV]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lied voltage is controlled so that the voltage difference (Vdc)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satisfies the condition of Equation 1.
<Equation 1>
10 ≤ Vdc ≤ 20 [kV]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전극은 접지되고,
상기 제1집진전극은 상기 수학식 1의 범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is grounded,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wherein a voltage in the range of Equation 1 is a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전극과 마주하는 상기 제1스페이서부의 면적(제1면적)과, 상기 제1집진전극과 마주하는 상기 제2스페이서부의 면적(제2면적)을 상호 비교하여 볼 때,
제2면적이 제1면적 보다 3배 이상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n comparing the area (first area) of the first spacer portion facing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area (second area) of the second spacer portion facing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An electric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rea is formed to be more than 3 times larger than the first area.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스페이서의 높이(H2)는 1.2 mm 이하이고, 피치(P2)는 7.0 mm 이하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 electric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H2) of the dielectric spacer is set to 1.2 mm or less, and the pitch (P2) is set to 7.0 mm or les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전극, 상기 제2집진전극 및 상기 유전스페이서는 롤 형태로 말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wherein the first dust collection electrode, the second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the dielectric spacer are rolled in a roll shape.
KR1020210046047A 2020-08-14 2021-04-08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5899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844 2020-08-14
KR20200102844 2020-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852A KR20220021852A (en) 2022-02-22
KR102589978B1 true KR102589978B1 (en) 2023-10-16

Family

ID=8049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047A KR102589978B1 (en) 2020-08-14 2021-04-08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9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8714A (en) * 2022-10-26 202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994A (en) * 2002-07-29 2004-02-26 Midori Anzen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microbe
JP2006187739A (en) * 2005-01-07 2006-07-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ust collector and air-conditioner
JP2006281173A (en) * 2005-04-05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KR101997549B1 (en) * 2017-02-03 2019-07-08 (주)동일기연 Filtering apparatus including dust collection par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629B1 (en) 2014-07-25 2015-11-17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for purifying air
KR101806327B1 (en) 2015-05-14 2017-12-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Electrostatic precipitator utilizing light germicidal irradiation and air cleaner using the precipi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994A (en) * 2002-07-29 2004-02-26 Midori Anzen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microbe
JP2006187739A (en) * 2005-01-07 2006-07-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ust collector and air-conditioner
JP2006281173A (en) * 2005-04-05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KR101997549B1 (en) * 2017-02-03 2019-07-08 (주)동일기연 Filtering apparatus including dust collection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852A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1354B2 (en) Electronic air cleane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0259675B1 (en) A two-stage electrostatic filter
US7077890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s with insulated driver electrodes
KR101647719B1 (en) Air cleaner
WO2013065206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pping and inactivating micro-organisms and viruses
CN201350420Y (en) Non-ozone washable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CN101357351A (en) No-ozone cleanable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102478243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4929934B2 (en)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KR102589978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07253055A (en) Dust collector and air-conditioning equipment
JP4915073B2 (en)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JP4910339B2 (en)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JP4839898B2 (en)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JP2006187739A (en) Dust collector and air-conditioner
KR2021012976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535961B1 (en) Air purifying device, arrangement and method for separating materials from a gas flow
JP2010063964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JP4525395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CN219850132U (en) High-voltage electrostatic dust-removing sterilizing air purifying device
CN111992335A (en) High-pressure dust collecting device and dust collecting system for filtering fine particles in air
JP2005288230A (en) Dust collecting device and air-conditioner
CN113058745A (en) Electrostat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