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762A - Electrostatic precipitator - Google Patents

Electrostatic precipit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762A
KR20210129762A KR1020200047254A KR20200047254A KR20210129762A KR 20210129762 A KR20210129762 A KR 20210129762A KR 1020200047254 A KR1020200047254 A KR 1020200047254A KR 20200047254 A KR20200047254 A KR 20200047254A KR 20210129762 A KR20210129762 A KR 20210129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electrode
plate
unit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7747B1 (en
Inventor
김학준
김용진
한방우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47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747B1/en
Publication of KR20210129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7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7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ollecting charged fine particles, includes: a dust collecting unit which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to which high voltage is applied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plate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ame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collects charged particles; a high voltage applying unit which applies high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a current supply unit which sterilizes the second electrode plate by supplying curren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Description

전기 집진 장치{ELECTROSTATIC PRECIPITATOR}Electrostatic precipitat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전된 입자를 전기장에 의한 힘으로 집진판에 집진시키고 집진판을 살균시킬 수 있는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dust collector capable of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on a dust collecting plate and sterilizing the dust collecting plate by the force of an electric field.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기정화장치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Air purifier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ypes.

하나는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대전된 두 집진판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힘으로 하전된 입자를 집진시키는 전기 집진 방식이다.One is a method using a filter, and the other is an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ethod that collects charged particles by a force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wo charged dust collecting plates.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 상에 수많은 미세 구멍을 가지는 필터를 배치시켜 공기 중의 입자가 필터의 미세 구멍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입자를 분리한다. 이 경우, 공기정화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필터의 구멍 크기를 매우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한데, 필터의 구멍 크기가 작아질수록 공기정화장치 내로 공기를 흡입할 때 압력 손실이 증가하게 되어 전력 소모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포집된 입자에 의해 오염된 필터를 수시로 세척하거나 교체해주어야 하므로 유지관리가 번거롭고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The method of using a filter separates particles by placing a filter having numerous micropores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air flows so that the particles in the air are caught in the micropores of the filte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ore size of the filter very small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ir purification. As the pore size of the filter becomes smaller, the pressure loss increases when air is sucked into the air purifier, and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Occurs. In addition, since the filter contaminated by the collected particles must be washed or replaced frequently, maintenance is cumbersome and economical.

전기 집진 방식은 공기 중의 오염물 입자를 이온으로 하전시키거나 자연 하전된 입자를 대전된 두 집진판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하전된 입자를 반대 극을 가지는 집진판에 전기장의 힘으로 집진시킴으로써 오염물 입자를 포집한다.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ethod collects contaminant particles by charging contaminant particles in the air with ions or by allowing naturally charged particles to pass between two charged precipitating plates and collecting the charged particles by the force of an electric field on a dust collecting plate having opposite poles. .

전기 집진 방식은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압력 손실의 문제가 없고, 집진판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 관리가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집진판에 집진된 오염물 입자에서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고 재비산하는 경우, 공기 정화를 위해 사용하는 공기 청정기를 통해 오히려 건강에 유해한 물질들을 공기 중에 퍼뜨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ethod has advantages in that there is no problem of pressure loss compared to the method using a filter, and maintenance is convenient because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dust collecting plate. However, when bacteria or mold proliferate and re-scatter in the contaminant particles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ng plate, there may be a problem of spreading substances harmful to health into the air through the air purifier used for air purifica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7471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747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 집진을 위한 두 전극판을 롤 형태로 말거나 절곡시켜 집진부를 형성하고 전극판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여, 전극판에 전류가 공급될 때 저항에 의한 발열로 전극판을 살균시킬 수 있고 전기 연결 구조가 간단한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ior art, by rolling or bending two electrode plates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in a roll shape to form a dust collecting part and supply current to the electrode plate, so that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pable of sterilizing an electrode plate by heat generated by resistance when supplied and having a simpl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전된 입자를 집진시키는 전기 집진 장치에 있어서,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전극판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이격되며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위차를 형성하는 제 2 전극판을 포함하며 하전된 입자를 집진시키는 집진부; 상기 제 1 전극판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부;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류를 공급하여 전극판을 살균시키는 전류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을 말거나 절곡시켜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a first electrode plate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forming a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a dust collecting unit including an electrode plate and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a high voltag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a current supply unit for sterilizing the electrode plate by supplying a curren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wherein the dust collecting unit rolls or bends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It can be achieved by the form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여기서, 상기 집진부는 단일의 상기 제 1 집진판과 단일의 상기 제 2 전극판을 말거나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dust collecting part may be formed by rolling or bending the singl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ingle second electrode plate.

여기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을 함께 원형 또는 각형으로 말아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dust collecting part may be formed by roll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together in a circular or square shape.

여기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이 상단부와 하단부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함께 절곡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dust collecting par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repeatedly bent so th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은 카본으로 형성되는 전극층; 및 절연물질로 상기 전극층의 적어도 일측면을 덮는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include an electrode layer formed of carbon; and an insulating layer covering at least one side of the electrode layer with an insulating material.

여기서, 상기 제 2 전극판의 절연층에는 엠보싱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극판과의 접촉으로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사이의 간극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insulating layer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form of embossing to form a gap maintaining portion forming a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by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의 절연층은 상기 전극층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의 전극층의 일측면에 형성된 절연층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insulating layers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layer, and the spacing part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layer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can be formed.

여기서, 상기 제 2 전극판의 절연층은 상기 전극층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제 2 전극판의 전극층 양측면의 절연층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insulating layer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layer, and the spac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layer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의 절연층은 상기 전극층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의 전극층 양측면의 절연층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insulating layers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layer, and the spac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s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layers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have.

여기서, 상기 전극층은 폭과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de layer may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and thickness.

여기서, 상기 고전압 인가부와 상기 전류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and the current supply unit.

여기서, 상기 전류 공급부는 상기 제 1 전극판 또는 상기 제 2 전극판에 폐순환 회로를 형성하여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Here, the current supply unit may supply current by forming a closed circulation circuit in the first electrode plate or the second electrode plate.

여기서, 상기 전류 공급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극판 및 상기 제 2 전극판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Here, the current supply unit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to supply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여기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 2 전극판을 접지시키거나, 상기 제 2 전극판과 상기 전류 공급부를 통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grounded or a switch configured to conduct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 current supply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집진부는 파형이 반복되는 판 형태로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고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간격 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ust coll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gap maintain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in which the waveform is repeated, and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 집진 장치에 따르면 하전된 입자를 전기장의 힘으로 집진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전기 집진 장치에 있어서 입자가 집진된 전극판을 자체적으로 살균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장치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at purifies the air by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by the power of an electric field, the electrode plate on which the particles are collected can be sterilized by itself, so that the device is hygienically managed.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또한, 살균을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 제어부에 의한 제어로 두 전극판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바꾸어주는 것만으로 전기 집진과 전극판의 살균이 가능하기 때문에, 살균 기능을 가지는 전기 집진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without a separate device for sterilization,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nd the sterilization of the electrode plate are possible only by chang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two electrode pl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so that the electric dust collector having a sterilization function is configured in a compact manner.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it.

또한,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고전압 전극판과 접지되는 복수의 접지 전극판을 교대로 병렬 배치시켜 집진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두 전극판을 롤 형태로 말아서 전기 집진부를 형성하므로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dust collecting part is formed by alternately arranging a plurality of high voltage electrode plates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and a plurality of grounded ground electrode plates in parallel,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because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art is formed by rolling the two electrode plates in a roll shape.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crease it.

또한,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고전압 전극판과 접지되는 복수의 접지 전극판을 교대로 병렬 배치시켜 집진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일의 고전압 전극판과 단일의 접지 전극판 사이에 살균을 위한 전류 공급부를 배치시키는 경우 전기 연결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forming a dust collector by alternately arranging a plurality of high voltage electrode plates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and a plurality of ground electrode plates to be grounded in parallel, between a single high voltage electrode plate and a single ground electrode plate for sterilization In the case of disposing the current supply unit,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is si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부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변형례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부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및 도 4에서 간격유지부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부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전기 열결 구조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 집진 동작에서의 전기 연결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9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살균 동작에서의 전기 연결 구조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9의 변형례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전기 열결 구조를 도시한다.
1 is a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a dust collector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a dust collector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1 .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of FIG. 3 .
5 and 6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spacing part in FIGS. 2 and 4 .
7 is a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a dust collector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dust collector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heat connection structure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n FIG. 9 .
11 shows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in a sterilizatio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n FIG. 9 .
FIG. 12 shows an electric hea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 9 .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specific details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기 집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는 집진부(100), 고전압 인가부(130), 전류 공급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집진부(1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ust collector 100 , a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130 , a current supply unit 140 , and a control unit 150 .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부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변형례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부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 및 도 4에서 간격유지부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부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a dust collector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FIG. 1 A, and FIG. 3 is a modified example of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FIG. 3 A, and FIGS. 5 and 6 are other modified examples of the gap maintaining part in FIGS. 2 and 4, 7 is a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부(1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or 100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집진부(100)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120 .

제 1 전극판(110)은 판형의 부재로 고전압 인가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전압 인가부(130)로부터 고전압을 인가 받아 대전된다. 예를 들어 (-)극으로 대전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is a plate-shaped memb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30 to receive a high voltage from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30 to be charged. For example, it may be charged with a (-) pole.

제 2 전극판(120)도 판형의 부재로 제 1 전극판(110)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 배치되며 제 1 전극판(110)과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받거나 접지된다. 따라서, 제 1 전극판(110)이 (-)극으로 대전되고 제 2 전극판(120)이 접지되는 경우,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를 유동하는 (-)극으로 하전된 입자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력으로 제 2 전극판(120)으로 이동하여 제 2 전극판(120)에 집진될 수가 있다.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also a plate-shaped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receives a voltage of a different polarity from that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or is grounded. Therefore, wh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is charged to the (-) pol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grounded, the (-) flowing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 The positively charged particles move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by electric force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nd can be collected on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have.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단일의 제 1 전극판(110)과 단일의 제 2 전극판(120)을 롤 형태로 말아서 집진부(10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롤의 형태는 원형일 수도 있고 다각형(예를 들어, 사각형)의 형태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singl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ingl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re rolled in a roll shape to for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roll may be a circ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eg, a quadrangl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일의 제 1 전극판(110)과 단일의 제 2 전극판(120)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말아서 집진부(100)를 형성하므로 반경 방향으로는 고전압 전극판(제 1 전극판(110))과 접지 전극판(제 2 전극판(120))이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를 가지고, 원주 방향 전체에 대하여 집진을 시킬 수가 있으므로, 종래 판상의 고전압 전극판과 판상의 접지 전극판을 복수 개 구비하여 일 방향으로 병렬로 이격 배치(고전압 전극판, 접진 전극판, 고전압 전극판, 접지 전극판, 고전압 전극판??의 순서로 이격 배치)시켜 집진부를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집진 면적을 더욱 넓힐 수가 있어서 집진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ngl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ingl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re rolled while maintaining a spaced apart state to for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in the radial direction, the high voltage electrode plate (first electrode) Since the plate 110) and the ground electrode plat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dust can be collected in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nventional plate-shaped high-voltage electrode plate and the plate-shaped ground electrode plate Compared to the case of configuring a dust collecting unit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ince the area can be further enlarged,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은 롤 형태로 말아서 집진부(100)를 형성하므로 두 전극판(110, 120)은 쉽게 굴곡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은 카본 재질의 전극층(112, 122) 및 전극층(112, 122)의 양측면에 형성된 절연층(114, 124)으로 형성되어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층을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114, 124)은 전극층(112, 122)의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전극층(112, 12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re rolled in a roll shape to for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the two electrode plates 110 and 120 ar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easily bent. it is preferabl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re carbon-mad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and insulating layers 11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 , 12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In this case, the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In addition, the insulating layers 114 and 124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 but are preferab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

전극층(112, 122)을 구성하는 카본은 금속은 아니지만 전도성 성질을 가지고 저항이 크므로 전류가 흐를 때 열을 많이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열팽창계수가 낮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극판(110, 120)에 반복적인 열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금속과 달리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카본 재질로 이루어진 전극판(110, 120)은 절전 효과가 높고 전자파를 작게 방출하는 장점도 가진다. Carbon constituting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is not a metal, but has conductive properties and has a high resistance, so it can generate a lot of heat when a current flows. In addition, since it has a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nd excellent durability, it is not easily damaged even when repeated thermal stress is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s 110 and 120, and corrosion does not occur unlike metal. In addition, the electrode plates 110 and 120 made of a carbon material have a high power saving effect and also have the advantage of emitting small electromagnetic waves.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극층(112, 122)이 전류 공급부(140)에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게 되면 전극층(112, 122)이 가지는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 열에 의해 전극판(110, 120)에 부착되거나 증식된 세균 등을 살균시킬 수가 있다. 실험에 따르면 전극판(110, 120)을 자연 건조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고온의 열로 건조시킨 경우 세균의 살균 및 증식 차단 효과가 훨씬 뛰어나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are connected to the current supply unit 140 to receive current, heat is generated by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and by this heat, the electrode plates 110 and 120 ) can sterilize bacteria that have adhered to or proliferated. According to an experiment, when the electrode plates 110 and 120 are dried with high-temperature heat compared to the case of natural drying, the sterilization and proliferation blocking effects of bacteria are much superior.

이때, 전극층(112, 122)은 폭과 두께가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층(112, 122)이 일부 구간에서 폭이 줄어들거나 두께가 얇아지면 국부적으로 저항이 증가하여 필요 이상으로 가열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극층(112, 122)의 폭과 두께를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하면 국부적으로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are formed in a uniform width and thickness. This is because, when the width or thickness of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is reduced in some sections, the resistance is locally increased, which may cause a fire by heating more than necessary. If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are uniform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cal heating to a high temperature can be prevented.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층(114, 124)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살균을 위해 전극층(112, 122)이 고온으로 가열될 때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높고, 나아가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열내구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절연층(114, 124)에 의해 제 1 전극판(110)에 고전압이 인가될 때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ng layers 114 and 124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have high thermal conductivity to effectively transfer heat when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are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for sterilization, and further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that is not easily deformed by heat. In addition,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by the insulating layers 114 and 124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parks ar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i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이 일정한 이격 상태를 유지하며 롤 형태로 말아서 집진부(100)를 형성하므로 두 전극판(110, 1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되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에 전기 집진을 위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2 전극판(120)의 제 1 전극판(110)과 대향하는 일측면의 절연층(124-1)에 엠보싱 형태로 돌출 형성된 간격유지부(125)를 형성한다. 제 2 전극판(120)에 형성된 간격유지부(125)가 제 1 전극판(110)과 접촉하더라도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절연층(114, 124)에 의해 제 1 전극판(110)의 전극층(112)과 제 2 전극판(120)의 전극층(122)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maintain a constant separation state and are rolled in a roll shape to for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 the gap between the two electrode plates 110 and 120 .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in which air flows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a gap maintaining part protruding from the insulating layer 124-1 on one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opposite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in the form of embossing. (125) is formed. Even if the gap maintaining part 125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a spac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You can secure a moving spac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de layer 112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electrode layer 122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from conducting electricity by the insulating layers 114 and 124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이때, 간격유지부(125)는 제 2 전극판(120)의 폭 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 2 전극판(120)의 폭과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일 지점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gap maintaining part 125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hape that protrudes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and in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It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one poin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한편, 하전된 입자가 집진되는 제 2 전극판(120)에 형성된 간격유지부(125)는 제 2 전극판(120)이 평판일 때와 비교하여 집진 면적을 넓히는 효과가 나타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gap maintaining part 125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n which the charged particles are collected allows the effect of expanding the dust collection area compared to when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a flat plate.

또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전극판(110)에서도 제 2 전극판(120)과 동일하게 전극층(112)의 일측면에 형성된 절연층(114-1)에 간격유지부(115)가 형성될 수가 있다. 즉,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은 전극층(112, 122)의 일측면에 형성된 절연층(114-1, 124-1)에만 간격유지부(115, 125)가 형성되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다. 두 전극판(110, 120)을 펼쳤을 때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전극판(120)에 형성된 간격유지부(125)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제 1 전극판(110)에 형성된 간격유지부(115)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을 롤 형태로 말아서 집진부(100)를 형성할 때 제 2 전극판(120)에서 간격유지부(125)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쪽 절연층(124-2)과 접촉하도록 하여 롤 형태로 말 때 반경 방향으로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가 반경 방향으로 계속 이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1에서는 롤 형태로 말 때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가 반경 방향으로 이격과 접촉을 반복하는 형태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to 4 , i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the insulating layer 114-1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layer 112 . ) may be provided with a gap maintaining unit 115 . That is, i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only the insulating layers 114-1 and 124-1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are provided with the gap maintaining parts 115 and 125. It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formed. When the two electrode plates 110 and 120 are spread out, the gap maintaining part 125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the first electrode plate. A constant distance is maintained between th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and the gap maintaining part 115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 is rolled in a roll shape to for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makes contact with the opposite insulating layer 124-2 on which the gap maintaining part 125 is not formed, so that the radius when rolled into a roll shape In the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radial direction. For reference, in FIG. 1 , when rolled in a roll shape, spacing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repeat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contact is repeated.

도 5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전극판(120)의 전극층(122) 양측면에 절연층(124)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형성된 절연층(124)에 모두 간격유지부(125)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전극판(110)은 전극층(112) 양측면에 절연층(114)이 형성되되, 제 1 전극판(110)에는 별도 간격유지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 2 전극판(120)의 제 1 전극판(110)과 대향하는 절연층(124-1)에 형성된 간격유지부(125)는 제 1 전극판(110)과 접촉하여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제 2 전극판(120)의 반대쪽 절연층(124-2)에 형성된 간격유지부(125)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을 롤 형태로 말아서 집진부(100)를 형성할 때 제 1 전극판(110)의 반대쪽 절연층(114-1)과 접촉하도록 하여 롤 형태로 말 때 반경 방향으로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가 반경 방향으로 계속 이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5 show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n this embodiment, insulating layers 12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layer 122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formed, and gap maintaining parts 125 are formed on both the insulating layers 124 formed on both sides. In addition, i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the insulating layer 11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layer 112,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 separate gap maintaining portion is not formed. The gap maintaining part 125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124-1 fac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to contact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the gap maintaining part 125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124-2 opposite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re rolled in a roll shape to for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so that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sulating layer 114-1 opposite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so that when rolled into a roll shape,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is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radial direction.

도 6은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의 전극층(112, 122) 양측면에 절연층(114, 124)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형성된 절연층(114, 124)에 모두 간격유지부(115, 125)가 형성된다. 즉,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의 서로 대향하는 절연층(114-2, 124-1)에 형성된 각각의 간격유지부(115, 125)를 통해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의 반대쪽 절연층(114-1, 124-2)에 형성된 각각의 간격유지부(115, 125)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을 롤 형태로 말아서 집진부(100)를 형성할 때 반대쪽 절연층(114-1, 124-2)과 접촉하도록 하여 롤 형태로 말 때 반경 방향으로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가 반경 방향으로 계속 이격을 유지하도록 한다.6 show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de layers 112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 122) insulating layers 114 and 124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and space keeping parts 115 and 12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layers 114 and 124 formed on both sides. That is,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through the respective gap maintaining portions 115 and 125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s 114-2 and 124-1 facing each other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respectively. )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and each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s 114-1 and 124-2 opposite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The gap maintaining parts 115 and 125 are formed by roll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n a roll shape to for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with the opposite insulating layers 114-1 and 124-2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n the radial direction are kept apart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they are rolled into a roll by contacting each other.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부(100)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집진부(100)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집진판(110)과 제 2 집진판(120)을 롤 형태로 말아서 집진부(100)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절곡시켜 집진부(100)를 구성한다. 보다 자세히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이 간격유지부(125)에 의해 이격을 유지하며 상단부와 하단부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함께 절곡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형태('ㄹ'자가 반복되는 형태)로 집진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단일 개수의 제 1 집진판(110)과 단일 개수의 제 2 집진판(120)으로 서로 이격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함께 절곡시키며 집진부(100)를 구성함으로써 공간상에 컴팩트하게 집진부(100)를 배치시켜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7 shows the dust collector 100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scription is focused on the differences from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20 are rolled in a roll shape to form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 Instead of bending,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is configur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7 ,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re spaced apart by the spacing part 125 and together so th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The dust collecting part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repeats bending (a form in which the letter 'ㄹ' is repeated). Also in this embodiment, a single number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110 and a single number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120 are bent together in a state where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is formed in a compact space in spa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placing

도 7에서는 도 2와 같이 제 2 전극판(120)의 일측의 절연층(124-1)에만 간격유지부(125)를 구성하며 절곡시킨 형태를 도시하나, 도 4 내지 도 6의 형태로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을 구성하여 절곡시키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가 있다. In FIG. 7, as shown in FIG. 2, the gap maintaining part 125 is formed only on the insulating layer 124-1 on one side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nd the bent form is show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at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bent.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100)를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층(112, 122)과 절연층(114, 124)으로 형성되되, 절연층(114, 124)에 별도의 간격유지부(115, 125)가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파형이 반복되는 판 형태로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간격 유지부재(160)는 절연 물질로 형성되고, 소정의 파형의 상하 양단이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과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를 이격시킬 수가 있고, 파형의 형성하는 측면 공간을 통해 공기를 유동시켜 집진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다. 파형은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사각파형일 수 있고, 삼각파형, 정현파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8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re formed of the electrode layers 112 and 122 and the insulating layers 114 and 124 as described above. Separate gap maintaining parts 115 and 125 are not formed. Instead,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gap maintaining member 160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n the form of a plate in which a predetermined waveform is repeated. The gap maintaining member 16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since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a predetermined waveform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The electrode plates 120 may be spaced apart, and the dust collecting space may be secured by flowing air through the side space forming the wave shape. The waveform may be a square waveform as shown,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triangular waveform, a sinusoidal wavefor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판상의 부재를 소정의 파형이 형성된 프레스로 압착하여 소정 파형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간격 유지부재(160)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ate-shaped member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compressed with a press having a predetermined waveform to form the spacing member 160 having a predetermined waveform repeatedly formed.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간격 유지부재(160)를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에 배치시키고, 또는 제 1 전극판(110)의 타측면 또는 제 2 전극판(120)의 타측면에도 간격 유지부재(160)를 추가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롤 형태로 말거나 절곡시키면 도 1,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형태와 유사하게 집진부(100)를 구성할 수가 있다. As shown, the spacing member 16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or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or the second electrode plate ( When the gap maintaining member 160 is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120) and rolled or bent in a roll form,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can b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form shown in FIGS. 1, 3, and 7 . .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전기 연결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전기 열결 구조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 9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기 집진 동작에서의 전기 연결 구조를 도시하고, 도 11은 도 9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살균 동작에서의 전기 연결 구조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9의 변형례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전기 열결 구조를 도시한다. 9 shows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io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n FIG. 9, and FIG. shows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in the sterilizatio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FIG. 12 shows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9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집진 장치는 단일의 제 1 전극판(110)과 단일의 제 2 전극판(120)을 롤 형태로 말아서 집진부(100)를 형성한다. 도 9 내지 도 12에서는 단일의 제 1 전극판(110)과 단일의 제 2 전극판(120)이 간격유지부(125)에 의해 이격 배치되어 롤 형태로 말리거나 절곡된 형태가 아니라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전기 연결 구조를 보다 쉽게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는 도 1, 도 3, 도 7에서와 같이 단일의 두 전극판(110, 120)이 간격유지부(115, 125) 또는 간격 유지부재(160)의 의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롤 형태로 말리거나 절곡된 형태로 집진부(100)가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by rolling the singl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ingl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n a roll shape. In FIGS. 9 to 12 , the singl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ingle second electrode plate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gap maintaining unit 125 and are spread horizontally instead of being rolled or bent in a roll shape. The state is shown, which is to more easily show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act, as shown in FIGS. 1, 3, and 7, the single two electrode plates 110 and 120 maintain a spaced state by the spacing maintaining parts 115 and 125 or the spacing maintaining member 160 and are formed in a roll for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is formed in a rolled or bent form.

고전압 인가부(130)는 제 1 전극판(110)의 전극층(112)과 연결되어 제 1 전극판(110)을 대전시킨다. 고전압 인가부(130)와 제 1 전극판(110) 사이에는 스위치(17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전기 집진 모드에서는 제어부(150)에 의한 제어로 도 10에서와 같이 제 1 전극판(110)과 고전압 인가부(130) 사이를 스위치(17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 1 전극판(110)에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하고, 살균 모드일 때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제 1 전극판(110)과 고전압 인가부(1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치를(170)통해 차단시켜 고전압 인가부(130)로부터 제 1 전극판(110)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한다.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layer 112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to charg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A switch 170 may be formed between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30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and i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mod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as shown in FIG. 10 . The high voltage and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witch 170 so that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in the sterilization mod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s 130 is cut through the switch 170 to block the application of the high voltage from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130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전류 공급부(140)는 제 2 전극판(120)의 전극층(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폐순환 회로를 형성하여 살균 모드에서 제 2 전극판(120)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제 2 전극판(120)에 전류가 흐르면 전극층(122)의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이 열에 의해 제 2 전극판(120)에 집진된 오염 물질과 증식된 세균을 살균시킬 수가 있다. The current supply unit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ayer 122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to form a closed circuit so that a current flows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n the sterilization mode.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heat is generated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layer 122 , and the heat can sterilize the contaminants and proliferated bacteria collected on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전류 공급부(140)는 제 1 전극판(110)에 폐순환 회로를 형성하여 제 1 전극판(110)을 살균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류 공급부(140)는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에 병렬로 폐순환 회로를 형성하여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에 모두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을 모두 살균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urrent supply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sterilize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by forming a closed circulation circuit i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 the current supply unit 140 forms a closed circuit in parallel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to form a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a second electrode. It may be configured to sterilize both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by allowing current to flow through both the plate 120 .

폐순환 회로 상에는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치(17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전기 집진 모드에서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위치(175)를 통해 제 2 전극판(120)을 접지시켜, 고전압 인가부(130)로부터 제 1 집진판(110)에 인가된 고전압과 함께 두 전극판(110, 120)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제 2 전극판(120)은 전류 공급부(140)와 함께 폐순환 회로를 형성하지 않아 제 2 전극판(120)에는 전류 공급부(140)로부터 별도의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A switch 175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50 may be formed on the closed circulation circuit, and i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mode,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connected through the switch 175 as shown in FIG. 10 . By grounding, a potential difference is formed between the two electrode plates 110 and 120 together with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10 from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30 .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does not form a closed circulation circuit together with the current supply unit 140 , a separate current is not su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140 .

제어부(150)는 전술한 스위치(170, 175)의 동작을 제어하고 고전압 인가부(130)와 전류 공급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 집진 모드에서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위치(170)를 통해 고전압 인가부(130)와 제 1 전극판(110) 사이를 연결하여 제 1 전극판(110)에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하고, 또 다른 스위치(175)를 통해 제 2 전극판(120)을 접지 연결시키고 전류 공급부(140)와의 폐순환 회로를 해제한다. 따라서,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전극판(110)과 접지되는 제 2 전극판(120)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두 전극판(110, 120) 사이를 통과하는 하전된 입자는 제 2 전극판(120)에 전기 집진될 수 있다. 이때, 살균 모드는 동작하지 않는다.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switches 170 and 175 described above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30 and the current supplying unit 140 .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ode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connected between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30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through the switch 170 .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110 ,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connected to ground through another switch 175 , and a closed circulation circuit with the current supply unit 140 is released. Accordingly, the charged particles passing between the two electrode plates 110 and 120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to be grounded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 can be electrostatically precipitated. At this time, the sterilization mode does not operate.

다음, 집진판(120)을 살균하는 살균 모드의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전압 인가부(130)와 제 1 전극판(110) 사이의 스위치(170) 연결을 해제하고, 제 2 전극판(120)을 접지 연결시킨 스위치(175)를 동작시켜 제 2 전극판(120)의 접지 연결을 해제하고 전류 공급부(140)와 함께 폐순환 회로를 형성하도록 연결시킨다. 따라서, 전류 공급부(140)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면 제 2 전극판(120)에 전류가 흐르며 제 2 전극판(120)을 가열시켜 살균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전기 집진 모드는 동작하지 않는다.Next, in the case of the sterilization mode for sterilizing the dust collecting plate 120 , as shown in FIG. 11 , the switch 170 connection between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30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is released, and the second By operating the switch 175 connecting the electrode plate 120 to the ground, the ground conn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is released and connected to form a closed circulation circuit together with the current supply unit 140 . Accordingly, when a current is supplied through the current supply unit 140 , a current flows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can be heated to sterilize it. At this time,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ode does not operate.

전기 집진 모드에서 전류 공급부(140)로부터 제 2 전극판(120)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이 불안정해지거나 약해질 수가 있고, 살균 모드에서 고전압 인가부(130)에 의해 제 1 전극판(11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전류 공급부(140)에 의한 전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동작에 따라서 고전압 인가부(130)와 전류 공급부(140)가 동시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current is su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from the current supply unit 140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ode, the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may become unstable or weak, and ,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by the high voltage application unit 130 in the sterilization mode, it may affect the flow of current by the current supply unit 140 , so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50 is It is preferable to control so that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130 and the current supplying unit 140 do not operate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집진 장치는 UV 램프와 같은 별도의 살균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제 1 전극판(110)과 제 2 전극판(120)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바꾸는 것으로 집진판(110, 120)을 살균시킬 수가 있고, 전체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시킬 수가 있다. 또한, 종래 복수의 고전압 전극판과 접지되는 복수의 접지 전극판을 교대로 병렬 배치시켜 집진부(100)를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일의 제 1 전극판(110)과 단일의 제 2 전극판(120)을 이용하여 집진부(100)를 구성하므로 전기 집진 및 살균을 위한 전체 전기 연결 구조가 극히 간단해질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20 without a separate sterilization device such as a UV lamp. ) can be sterilized, and the entire device can be configured compactly.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ase of configuring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by alternately arranging a plurality of high voltage electrode plates and a plurality of grounded ground electrode plates in parallel in the related art, a single first electrode plate 110 and a single second electrode plate Since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is configured using 120, the entir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can be extremely simple.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 상에 집진부(100)의 전단에는 공기 중에 있는 미세입자를 하전시키는 하전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전부의 일 예로 복수의 탄소섬유 가닥으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탄소섬유에 고전압(전류)을 인가하면 탄소섬유에서 다량의 이온이 발생한다. 이때, 탄소섬유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서 (+) 이온 또는 (-) 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front end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air flows may be formed with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fine particles in the air. As an example of the charged part, it may be formed by an ion generat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rbon fiber strands. When a high voltage (current) is applied to the carbon fiber, a large amount of ions are generated from the carbon fiber. At this time, (+) ions or (-) ion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carbon fiber.

이온은 자연 상태에서도 존재하지만 이온발생기에 의해 인위적으로 많은 양의 이온을 발생시키면 하전율을 높여서 전기 집진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Although ions exist in a natural state, if a large amount of ions are artificially generated by an ion generator,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electric charge factor.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that can be modified by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 집진부
110: 제 1 전극판
112: 전극층
114: 절연층
115: 간격유지부
120: 제 2 전극판
122: 전극층
124: 절연층
125: 간격유지부
130: 고전압 인가부
140: 전류 공급부
150: 제어부
160: 간격 유지부재
170: 스위치
175: 스위치
100: dust collector
110: first electrode plate
112: electrode layer
114: insulating layer
115: gap maintaining unit
120: second electrode plate
122: electrode layer
124: insulating layer
125: gap maintaining part
130: high voltage applying unit
140: current supply
150: control unit
160: gap maintaining member
170: switch
175: switch

Claims (15)

하전된 입자를 집진시키는 전기 집진 장치에 있어서,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전극판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이격되며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위차를 형성하는 제 2 전극판을 포함하며 하전된 입자를 집진시키는 집진부;
상기 제 1 전극판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부;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류를 공급하여 전극판을 살균시키는 전류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을 말거나 절곡시켜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
An electric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unit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plate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forming a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a high voltag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and a current supply unit for sterilizing the electrode plate by supplying curren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The dust collector is formed by rolling or bend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단일의 상기 제 1 집진판과 단일의 상기 제 2 전극판을 말거나 절곡시켜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unit is formed by rolling or bending the singl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ingle second electrod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을 함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말아서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or is formed by roll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together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이 상단부와 하단부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함께 절곡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unit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repeatedly bent so that upper and lower ends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은
카본으로 형성되는 전극층; 및
절연물질로 상기 전극층의 적어도 일측면을 덮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an electrode layer formed of carbon; and
and an insulating layer covering at least one side of the electrode layer with an insulating materi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판의 절연층에는 엠보싱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극판과의 접촉으로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사이의 간극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부가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 electric dust collector having a gap maintaining part protruding in the form of embossing on the insulating layer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forming a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by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의 절연층은 상기 전극층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의 전극층의 일측면에 형성된 절연층에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sulating layers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layer,
The gap maintaining part is an electric dust collector formed in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layer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판의 절연층은 상기 전극층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제 2 전극판의 전극층 양측면의 절연층에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sulating layer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layer,
The gap maintaining part is an electric dust collector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layer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의 절연층은 상기 전극층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의 전극층 양측면의 절연층에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sulating layers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layer,
The gap maintaining part is an electric dust collector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layer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폭과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lectrode layer i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a constant width and thickn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인가부와 상기 전류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high voltage applying unit and the current supply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공급부는 상기 제 1 전극판 또는 상기 제 2 전극판에 폐순환 회로를 형성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urrent supply unit forms a closed circulation circuit in the first electrode plate or the second electrode plate to supply curr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공급부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극판 및 상기 제 2 전극판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urrent supply unit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to supply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 2 전극판을 접지시키거나, 상기 제 2 전극판과 상기 전류 공급부를 통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nd a switch ground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or energiz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 current suppl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파형이 반복되는 판 형태로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고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간격 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unit further includes a gap maintain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in which waveforms are repeated, and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KR1020200047254A 2020-04-20 2020-04-20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407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254A KR102407747B1 (en) 2020-04-20 2020-04-20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254A KR102407747B1 (en) 2020-04-20 2020-04-20 Electrostatic precipit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762A true KR20210129762A (en) 2021-10-29
KR102407747B1 KR102407747B1 (en) 2022-06-14

Family

ID=7823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254A KR102407747B1 (en) 2020-04-20 2020-04-20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74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026A1 (en)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precipitator, and home appliance comprising same
WO2024090752A1 (en)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ntrol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265A (en) * 1997-09-18 1999-04-06 Matsushita Seiko Co Ltd Film electric dust-collecting filter
JP2000000488A (en) * 1998-04-15 2000-01-07 Matsushita Seiko Co Ltd Electric precipitation filter and its production
KR200397471Y1 (en) 2005-07-23 2005-10-04 현대기술산업(주) Air Handling Unit with Electric Precipitation Filter and UVC lamp
JP2013188708A (en) * 2012-03-14 2013-09-26 Fuji Electric Co Ltd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70053866A (en) * 2015-11-07 201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KR20190007307A (en) *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Dust collector of Air Clea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265A (en) * 1997-09-18 1999-04-06 Matsushita Seiko Co Ltd Film electric dust-collecting filter
JP2000000488A (en) * 1998-04-15 2000-01-07 Matsushita Seiko Co Ltd Electric precipitation filter and its production
KR200397471Y1 (en) 2005-07-23 2005-10-04 현대기술산업(주) Air Handling Unit with Electric Precipitation Filter and UVC lamp
JP2013188708A (en) * 2012-03-14 2013-09-26 Fuji Electric Co Ltd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70053866A (en) * 2015-11-07 201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KR20190007307A (en) *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Dust collector of Air Clea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026A1 (en)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precipitator, and home appliance comprising same
WO2024090752A1 (en)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747B1 (en)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5806B2 (en) Electrically enhanced air filtration with improved efficacy
KR102407747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306248B1 (en) Bipolar Ionizer for Air Purification and Diffuser Using Bipolar Ionizer
US8690996B2 (en) Electric precipitator and electrode plate thereof
US7771671B2 (en) Air conditioner device with partially insulated collector electrode
KR102205159B1 (en) Electric dust collector
CN106051918B (en) Plasma air purification device
JPH0622443Y2 (en) Air purifier dust collector
CN103706477B (en) Honeycomb type panel lampblack purifier
CN202024412U (en) Purification device with heating dedustion function
KR102589978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200097957A (en) Dry washing type electric dust collector
KR100529749B1 (en) High Voltage And High Frequency Pulse Process Electron Generation Device For A Pollutant Treatment
CN202460832U (en) Static filer
KR102013031B1 (en) Air cleaner
KR102216411B1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1569629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KR102127839B1 (en) Electric dust collector
CN102175051B (en) Purification device with heating and dust-removing functions
KR102326412B1 (en) Electrostatic air cleaning apparatus for removing dust with oil
CN203664015U (en) Honeycomb type plate oil smoke purifier
CN111446628B (en) Array type wire board electrode structure for inactivating aerosol-transmitted viruses
CN109290056B (en) Electric purification structure and air purification device
KR102407748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20240053036A1 (en) Air purifying filt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