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86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tagnant water using compressed 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tagnant water using compressed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869B1
KR102589869B1 KR1020230101985A KR20230101985A KR102589869B1 KR 102589869 B1 KR102589869 B1 KR 102589869B1 KR 1020230101985 A KR1020230101985 A KR 1020230101985A KR 20230101985 A KR20230101985 A KR 20230101985A KR 102589869 B1 KR102589869 B1 KR 10258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stagnant water
compressed ai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9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석
박민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주식회사 중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주식회사 중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Priority to KR102023010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8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8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for coaxially plac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8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9/8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 B01D29/843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by direct contact with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이용한 정체수 여과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처리공간을 가지며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처리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관과 유출관이 구비되고, 유입된 우수가 유입관에서 유출관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여재층이 장착되는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의 처리공간에 설치되고 여과조에 의한 우수의 여과 처리 및 배출 후 잔류하는 정체수를 여과 처리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정체수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and treating stagnant water using compressed ai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ration and treatment of stagnant water using compressed air, which has a treatment space inside and is provided with an inflow pipe and an out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reatment space on one side and the other, respectively, A filtration tank in which a filter media layer is installed in the path through which rainwater moves from the inflow pipe to the outflow pipe; and a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treatment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and filtering and discharging stagnant water remaining after filtration and discharge of rainwater by the filtration tank to the outside.

Description

압축공기를 이용한 정체수 여과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tagnant water using compressed air}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tagnant water using compressed air}

본 발명은 강우시 초기 우수에 대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 처리 후 배수시키는 우수처리 시설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조 하단에 여과포가 설치된 별도의 배출공간을 마련하고 강우 종료 시 여과조 내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가압여과방식으로 여과조 내 잔류하는 정체수를 여과처리 하여 자연 배출시킬 수 있는 여과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nwater treatment facility that filters and drains non-point pollutants from initial rainwater during rainfall. More specifically, it provides a separate discharge space with a filter cloth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lter tank, and injects compressed air into the filter tank at the end of rainfall. It relates to a filtratio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that can filter stagnant water remaining in a filtration tank using a pressure filtration method and discharge it naturally.

일반적으로 우수나 오수를 여과처리 하는 경우 특히 상향류식 여과처리 시에는 여과 종료 후에 유출관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하는 곳에는 잔류수가 남을 수밖에 없는데 잔류수는 모기 등의 해충의 번식지가 되거나 부패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어 2차 오염을 유발하므로 여과 종료 후에는 장치 밖으로 배출해야 한다.In general, when rainwater or sewage is filtered, especially in the case of upstream filtration, residual water is bound to remain at a lower level than the outflow pipe after filtration. The residual water becomes a breeding ground for pests such as mosquitoes or decays, creating a foul smell. Because it causes secondary pollution, it must be discharged out of the device after filtration is completed.

특히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은 환경부의 지침에 의해 강우 종료 후 48시간 이내에 잔류수(정체수)를 배출하도록 의무규정하고 있으므로 오수관에 연결하여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어 처리하거나 연계처리 할 오수관이 없는 경우에는 준설차량 등에 의해 수거해서 처리 및 배출해야 한다.In particular,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facilities are required to discharge residual water (stagnant water) within 48 hours after the end of rainfall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refore, it must be connected to a sewage pipe and sent to a sewage treatment plant for treatment, or if there is no sewage pipe for treatment, a dredging vehicle must be used. It must be collected, processed and disposed of.

그러나 수거 처리하는 경우 강우 종료 후 48시간 이내에 매 강우마다 수거하는 것은 비용적 측면 등에서 매우 비현실적이며, 연계 처리하는 경우에도 오수관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이송관 연장이 길어져서 비용적, 사회적 부담이 커지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collection treatment, it is very unrealistic in terms of cost to collect each rainfall within 48 hours after the end of the rain, and even in the case of linked treatment, if the distance to the sewage pipe is long, the extension of the transfer pipe is long, which creates a cost and social burden. There is a problem that is causing a situation to grow.

또한 여과처리시설의 용량이 커서 잔류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하수처리장에 양적, 질적 충격부하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잔류수의 처리에 있어 신중하게 연계처리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In addition, if the capacity of the filtration treatment facility is large and the amount of residual water is large, it may impose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hock load on the sewage treatment plant, so a method of carefully linking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treating residual wate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94022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9402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우 종료에 따라 여과조 내 잔류하는 정체수를 여과 처리 후 자연 배수시킴으로써 정체수에 대한 하수처리장과의 연계처리나 매 강우 시마다 준설차량 등을 이용한 수거가 불필요한 압축공기를 이용한 정체수 여과처리 장치 및 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aturally drain the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filtration tank at the end of rainfall after filtration,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linked treatment with a sewage treatment plant or collection using dredging vehicles after each rainfall. To provide a water filtratio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정체수 여과처리 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칭함)는, 내부에 처리공간을 가지며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처리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관과 유출관이 구비되고, 유입된 우수가 유입관에서 유출관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여재층이 장착되는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의 처리공간에 설치되고 여과조에 의한 우수의 여과 처리 및 배출 후 잔류하는 정체수를 여과 처리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정체수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 mean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stagnant water filtration and treatment device using compressed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nal processing space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rocessing space on one side and the other, respectively. A filtration tank equipped with an inflow pipe and an outflow pipe, and a filter media layer installed 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inflowed rainwater moves from the inflow pipe to the outflow pipe; and a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treatment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and filtering and discharging stagnant water remaining after filtration and discharge of rainwater by the filtration tank to the outside.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여과조는,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에 각각 장착되어 개폐 작동하는 제 1밸브 및 제 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체수배출부는, 압축공기를 생성 및 배출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처리공간에 공급하도록 장착되는 제 1공급관과, 상기 처리공간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처리공간에 연통되는 배출공간과, 상기 배출공간의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되는 여과시트와, 상기 배출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여과시트를 통과하여 배출공간으로 유입된 정체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관과, 상기 제 1밸브 및 제 2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유입관 및 유출관이 폐쇄되게 하면서 상기 공기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압축공기가 제 1공급관을 통해 처리공간으로 공급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filtration tank includes a first valve and a second valve that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nd open and close, and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includes an air supply unit that generates and discharges compressed air, and A first supply pipe mounted to supply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upply unit to the processing space, a discharge space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loor of the processing spac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the top to communicate with the processing space, and A filter sheet mount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space, a discharge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space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sheet to discharge stagnant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space to the outside, and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to close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so that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processing space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여과시트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filter shee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여과시트는, 상기 개구부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As one example, the filter shee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정체수배출부는, 상기 배출관에 장착되어 개폐 작동하는 제 3밸브와, 일단이 상기 배출관에서 분기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배출공간에 공급되게 하는 제 2공급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배출관이 폐쇄되게 하면서 상기 공기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압축공기가 제 2공급관을 통해 배출공간으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includes a third valve that is mounted on the discharge pipe and operates to open and clos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branch from the discharge pip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section, so that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upply section is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ly pipe to be supplied to the discharge spac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hird valve to close the discharge pip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second supply pipe for a preset time. Its characteristic feature is that it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space through a supply pipe.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여과시트는,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에 따라 상기 배출관에 잔류하는 정체수의 일부가 상기 배출공간으로 유입 및 충진되어 상향의 골이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filter shee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discharge pipe flows into and fills the discharge space as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hereb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an upward valley is formed.

한편 본 발명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정체수 여과처리 방법(이하 "본 발명의 방법"이라 칭함)는, 강우 발생에 따른 초기 우수가 유입관을 통해 여과조로 유입되고 상기 여과조에서 여과 처리 후 유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S100); 및 강우 유입이 종료된 이후 상술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조의 처리공간에 잔류하는 정체수를 여과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Meanwhile, in the stagnant water filtration treatment method using compressed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rainwater due to rainfall flows into the filtration tank through the inlet pipe, and after filtration in the filtration tank, the outflow pipe Discharging through (S100); and a step (S200) of filtering and discharging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treatment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to the outside us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fter the inflow of rain has ended.

하나의 예로써, 상기 S200단계 이전에, 정체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외부측과 연통되는 것을 폐쇄하고, 상기 배출관에서 분기되는 제 2공급관을 통해 압축공기를 상기 정체수배출부의 배출공간으로 주입하여 여과시트의 역세척과 상기 여과조의 침전물에 대한 분산을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before step S200, the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stagnant water is discharged is closed from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of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through a second supply pipe branching from the discharge pipe for filtration.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backwashing the sheet and inducing dispersion of the sediment in the filter tank.

하나의 예로써, 상기 S200단계 이후에, 정체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외부측과 연통되는 것을 폐쇄하고, 상기 배출관에서 분기되는 제 2공급관을 통해 압축공기를 상기 정체수배출부의 배출공간으로 주입한 직후 상기 제 2공급관을 폐쇄시켜 상기 배출관에 잔류하는 정체수의 일부가 상기 배출공간으로 유입 및 충전되면서 여과시트가 상향의 골이 형성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after step S200, the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stagnant water is discharged is closed from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immediately after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discharge space of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branching from the discharge pipe.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losing the second supply pipe so that a portion of the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discharge pipe flows into and fills the discharge space, thereby maintaining the filter sheet in an upwardly ridged state.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조 하단에 여과포가 설치된 별도의 배출공간을 마련하고 강우 종료 시 여과조 내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가압여과방식으로 여과조 내 잔류하는 정체수를 여과 처리 후 자연 배수시킴으로써 정체수에 대한 하수처리장과의 연계처리나 매 강우 시마다 준설차량 등을 이용한 수거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정체수를 처리함에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discharge space with a filter cloth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is provided, and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filtration tank at the end of rainfall, and the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filtration tank is naturally drained after filtration through a pressurized filtration method, thereby reducing the stagnant water. It is economically effective in treating stagnant water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linked treatment with a sewage treatment plant or collection using dredging vehicles after every rainfall.

특히 배출공간에 설치된 여과포의 경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배출공간의 개구부보다 큰 면적으로 장착되므로, 역세척 과정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부풀어져 상향으로 볼록한 돔 형태가 유지되어 여과포에 의한 여과 과정에 앞서 선행적으로 여과포 상부에 침전된 입자들을 부상시키거나 측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게 함으로써 침전물에 의해 여과포의 여과 효율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ilter cloth installed in the discharge space,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installed with an area larger than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space, so it is inflated by the compressed air injected during the backwashing process and maintains an upwardly convex dome shape, thereby preventing the filtration process by the filter cloth.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cloth from being impaired by sediment by allowing the particles previously sett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cloth to float or be pushed out in the side direction.

뿐만 아니라 가압여과방식을 적용함에 있어 여과조에 압력이 작용되어 정체수에 대한 배출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여과포가 배출공간 방향으로 휘어져 오목한 형태가 유지되어 여과포의 표면적이 넓게 형성되므로 여과부하(선속도)를 줄여 정체수에 대한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pplying the pressure filtration method,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ltration tank, and while the discharge process for stagnant water is performed, the filter cloth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space and maintains a concave shape, forming a large surface area of the filter cloth, thereby increasing the filtration load (linear velocity).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stagnant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시트의 여과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시트의 역세척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tration process of a filter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ckwashing process of a filter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F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s 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장치는 강우시 발생 시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여과 처리한 후 배수시키는 여과조(10)와, 상기 여과조(10)에 마련되어 여과조(10)에서 잔류하는 정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체수배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ration tank (10) for filtering and discharging the initial rainwater that flows in during rainfall, and a stagnant water discharger provided in the filtration tank (10) to discharge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filtration tank (10) to the outsid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unit 20.

여과조(10)는 내부에 처리공간(100)을 가지며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처리공간(100)과 연통되는 유입관(110)과 유출관(120)이 구비되고, 유입된 우수가 유입관(110)에서 유출관(120)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여재층(140)이 장착될 수 있다.The filtration tank 10 has a treatment space 100 inside and is provided with an inflow pipe 110 and an outlet pipe 120 in communication with the treatment space 100 on one side and the other, respectively, and the inflow pipe ( A filter layer 140 may be installed on the path moving from 110) to the outlet pipe 120.

여과조(10)는 강우 시 선택적으로 차집된 초기 우수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비점오염 시설일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유입관(110)은 우수본관과 연결되어 우수가 처리공간(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filtration tank 10 may be a non-point pollution facility in which initial rainwater selectively collected during rainfall flows into the interio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let pipe 110 is connected to the stormwater main pipe and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treatment space (100). ) can flow into the

일 예로 여과조(10)는 일반적인 상향류식 여과장치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ltration tank 10 may be a general upflow filtration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여과조(10)는 처리공간(100)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격벽(130)에 의하여 처리공간(100)이 유입관(110)과 연통되는 제 1공간(101)과 유출관(120)이 연통되는 제 2공간(102)으로 구획 및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ltration tank 10 of this embodiment has a first space 101 in which the processing space 100 communicates with the inlet pipe 110 by a partition 130 installed vertically in the processing space 100. and the outflow pipe 120 may be partitioned and separated into a second space 102 in communication.

격벽(130)은 하부가 개구되어 제 1공간(101)과 제 2공간(102)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격벽(130)은 상기 유입관(110)의 설치 위치보다 높은 상부 위치가 개구되어 초기우수의 유입량이 상기 격벽(130)의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유입 우수가 제 2공간(102)으로 월류하여 여과 처리 없이 유출관(120)을 통해 배수될 수 있게 한다.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30 is open so that the first space 101 and the second space 102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130 is opened at an upper position higher tha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flow pipe 110, so that when the initial inflow of rainwater exceeds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130, the inflow rainwater overflows into the second space 102. Allows drainage through the outlet pipe 120 without filtration.

여과조(10)가 상향류식 여과장치일 경우 여재층(140)은 상기 제 2공간(102)에 설치될 수 있다.If the filtration tank 10 is an upflow filtration device, the filter media layer 140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102.

여재층(140)은 제 2공간(102)에서 유출관(3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격벽(130)의 하부측 개구 부위를 통해 제 1공간(101)으로부터 전달되는 초기우수 등이 유입될 수 있으며, 초기우수 등이 여재층(14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초기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여과 처리될 수 있고 이렇게 여과 처리된 처리수가 상기 유출관(120)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The filter media layer 140 is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outflow pipe 30 in the second space 102, so that initial rainwater, etc. delivered from the first space 101 flows in through the opening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30. In the process of initial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layer 140, non-point pollutants included in the initial rainwater can be filtered, and the treated water filtered in this way can be drained through the outflow pipe 120. .

여재층(14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망체 구조를 갖는 메쉬틀(mesh frame) 구조물 등에 의해 제 2공간(102) 상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여재의 군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the filter layer 14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s position on the second space 102 may be fixed by a mesh frame structure having a mesh structure, etc., and may be formed by a cluster of a plurality of filter materials. .

이때 여재는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며 비점오염물질의 여과 기능을 갖는 소재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일 예로 상기 여재는 발포 폴리프로필렌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filter medium is not limited, and any material that has the function of filtering non-point pollutants may be used. As an example, the filter medium may be expanded polypropylene.

여과조(10)의 유입관(110)과 유출관(120)에는 각각 제 1밸브(111)와 제 2밸브(121)가 장착되어 관로가 개폐되어 우수의 유입과 처리수의 유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밸브(111)와 제 2밸브(121)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어부(250)에 의하여 개폐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The inflow pipe 110 and the outflow pipe 120 of the filtration tank 10 are equipped with a first valve 111 and a second valve 121, respectively, so that the pipes are opened and closed to selectively allow the inflow of rainwater and the outflow of treated water. You ca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first valve 111 and the second valve 12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제 1밸브(111)와 제 2밸브(121)는 강우 시 상대적으로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되는 초기우수를 여과시키기 위하여 일정시간 동안만 개방될 수 있으며, 처리공간(100)에 정체된 정체수나 여재층(140)의 역세 과정에서 사용된 역세척수 등을 배출할 경우 유입관(110) 또는 유출관(12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개방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The first valve 111 and the second valve 121 can be opened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filter initial rainwater contain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during rainfall, and can be used to filter stagnant water or stagnant water in the treatment space 100. When discharging backwash water used in the backwashing process of the filter media layer 140,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inlet pipe 110 or the outlet pipe 120 may be operated to open.

정체수배출부(20)는 상기 여과조(10)의 처리공간(100)에 설치되고 여과조(10)에 의한 초기우수의 여과 처리 및 배출 후, 여과되지 못한 채 잔류하는 정체수를 여과 처리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20 is installed in the treatment space 100 of the filtration tank 10, and after filtration and discharge of the initial rainwater by the filtration tank 10, the stagnant water remaining unfiltered is filtered and treated externally. It can be discharged as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배출부(20)는 압축공기에 의해 정체수를 밀어내는 가압여과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pply a pressure filtration method in which stagnant water is pushed out using compressed air.

정체수배출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부(200)와 제 1공급관(210)과 배출공간(220)과 여과시트(230) 및 배출관(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ir supply unit 200, a first supply pipe 210, a discharge space 220, a filter sheet 230, and a discharge pipe 240. there is.

공기공급부(200)는 압축공기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급공급부(200)는 압축공기를 생산하는 콤프레샤와, 상기 콤프레샤에서 생산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저장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에어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200 can generate and store compressed air and selectively discharge the stored compressed air. As an example, the supply unit 200 may include a compressor that produces compressed air, an air tank that stores the compressed air produced by the compressor and is operated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to selectively supply the stored compressed air. .

제 1공급관(210)은 공기공급부(200)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여과조(10)의 처리공간(100)에 공급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제 1공급관(210)은 일단이 여과조(10)의 외벽을 관통하여 처리공간(100)에 위치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공기공급부(200)의 에어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upply pipe 210 may be installed to supply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upply unit 200 to the processing space 100 of the filtration tank 10. That is, one end of the first supply pipe 210 may penetrate the outer wall of the filtration tank 10 and be located in the treatment space 10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air tank of the air supply unit 200.

배출공간(220)은 상기 처리공간(100)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부에 개구부(221)가 형성되어 처리공간(100)에 연통될 수 있다. The discharge space 220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floor of the processing space 100, and an opening 221 is formed at the top to communicate with the processing space 100.

여과시트(230)는 상기 배출공간(220)의 개구부(221)를 덮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filter sheet 230 may be mounted to cover the opening 221 of the discharge space 220.

따라서 처리공간(100)에서 잔류하는 정체수는 상기 개구부(221)에 설치된 여과시트(230)를 통과하여 배출공간(220)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정체수의 여과 처리가 실시될 수 있다.Therefore, the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treatment space 100 may pass through the filter sheet 230 installed in the opening 221 and flow into the discharge space 220, and in this process, filtration of the stagnant water may be performed. there is.

여기서 상기 여과시트(230)는 섬유의 간격이 조밀한 것을 선택하여 여과조(10)의 여과 처리 과정의 여재보다 여과 효율이 높은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여과시트(230)의 경우 여과속도는 낮고 여과손실은 크게 나타날 것인데 이는 정체수의 자연배수방식이 아닌 압축공기에 의해 정체수를 밀어내는 가압여과 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가능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select the filter sheet 230 with dense fiber spacing to have higher filtration efficiency than the filter medium used in 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filtration tank 10. In the case of this filter sheet 230, the filtration speed is low and the filtration loss is large. This is possible because it applies a pressure filtration method that pushes stagnant water with compressed air rather than a natural drainage method of stagnant water.

배출관(240)은 배출공간(220)에 연통되고 압축공기에 의한 가압방식으로 상기 여과시트(230)를 통과하여 배출공간(220)에 유입된 정체수를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The discharge pipe 240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space 220 and moves the stagnant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space 220 through the filter sheet 230 through pressurization using compress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일 예로 배출관(240)은 일단이 상기 배출공간(220)과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타단은 하수관로 등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240 may b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space 22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a sewer pipe, etc.

그리고 배출관(240)에는 선택적으로 개폐 작동하는 제 3밸브(241)가 장착되어 정체수의 배출 시에만 관로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240 is equipped with a third valve 241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so that the pipe can be opened only when stagnant water is discharged.

제어부(250)는 정체수의 배출 시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정체수의 배출 작동에 요구되는 각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can set the discharge time of stagnant wate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required for the discharge of stagnant water.

제어부(250)는 정체수의 배출 시 여과조(10) 내에 압축공기에 의한 일정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밸브(111) 및 제 2밸브(121)의 작동을 제어하여 유입관(110) 및 유출관(120)이 폐쇄되게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111 and the second valve 121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by compressed air in the filtration tank 10 when discharging stagnant water, so that the inlet pipe 110 and the outlet pipe 120 can be closed.

그리고 제어부(250)는 상기 공기공급부(2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압축공기가 제 1공급관(210)을 통해 처리공간(100)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25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200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processing space 100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210.

이에 따라 압축공기에 의한 가압방식으로 처리공간(100) 내의 정체수에 압력이 작용되게 함으로써, 정체수가 여과시트(230)를 통과하여 배출공간(220)으로 유입되게 하면서 배출공간(220)에 연결된 배출관(2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pressure is applied to the stagnant water in the treatment space 100 using a pressurization method using compressed air, so that the stagnant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 sheet 230 and flows into the discharge space 220, a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space 220.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240.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배출부(20)는 여과조(10) 바닥면과 여과시트(230) 상부에 모래 등의 입자가 퇴적되어 있더라도 압축공기에 의한 압력에 의해 모래 입자 사이의 존재하는 잔류수까지 배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여과조(10) 내의 정체수를 최대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Even if particles such as sand are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10 and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sheet 230,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removes the sand particles between the sand particles by the pressure of compressed air. By being able to discharge even residual water, it is possible to discharge as much stagnant water in the filtration tank 10 as possible.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배출부(20)의 여과시트(23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복적인 압력 작용에 대응하여 여과시트(230)의 외형이 적절하게 팽창 또는 압축되게 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filter sheet 230 of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is is to prevent durability from being deteriorated by allowing the outer shape of the filter sheet 230 to expand or compress appropriately in response to repeated pressure actions.

또한 여과시트(230)는 상기 배출공간(220)의 개구부(221)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er sheet 230 preferably has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221 of the discharge space 220.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시트(230)는 개구부(221)에 팽팽하게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개구부(221)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장착되게 하여 여과조(10)에 압력이 작용되어 정체수에 대한 배출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배출공간(220) 방향으로 휘어져 오목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바, 여과시트(230)의 표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여과부하(선속도)를 줄여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filter sheet 230 is not mounted tautly in the opening 221, but is mounted with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221, so that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ltration tank 10 to prevent stagnant water. While the discharge process is performed, the concave shape can be maintained by b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space 220. 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the filter sheet 230, the filtration load (linear velocity) can be reduced and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It becomes possible.

또한 본 실시 예의 정체수배출부(20)는 일단이 상기 배출관(240)에서 분기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공급부(200)에 연결되어 공기공급부(200)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배출공간(220)에 공급되게 하는 제 2공급관(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20 of this embodiment has one end connected to branch from the discharge pipe 24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ir supply unit 200, so that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upply unit 200 flows into the discharge spac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ly pipe 260 that supplies water to 220.

제 2공급관(26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부(200)의 압축공기가 상기 배출공간(220)으로 주입될 수 있다.By providing the second supply pipe 260, compressed air from the air supply unit 200 can be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220.

제어부(250)는 공기공급부(200)의 작동을 제어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압축공기가 제 2공급관(260)을 통해 배출공간(220)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200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discharge space 220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260 for a preset time.

이때 제 2공급관(260)은 상기 배출관(240)의 제 3밸브(241) 전단에 분기되어야 하며, 제어부(250)는 공기공급부(200)를 작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 3밸브(241)의 작동을 제어하여 배출관이(240)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제 2공급관(260)을 통해 이동하는 압축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고 온전히 배출공간(220)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supply pipe 260 must be branched to the front end of the third valve 241 of the discharge pipe 240, and the control unit 250 operates the air supply unit 200 and operates the third valve 241. is controlled so that the discharge pipe 240 is closed, so that the compressed air moving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260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and can be completely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220.

이러한 제 2공급관(260)을 통한 압축공기의 주입은 여과조(10)에 잔류하는 정체수의 여과 및 배출 과정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여과 실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여과시트(230)의 역세척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injection of compressed air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260 can be performed before the filtration and discharge process of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filtration tank 10, and the filtration is performed by injecting compressed ai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filtration is performed. This is to allow backwashing of the sheet 230 to be performed.

뿐만 아니라 여과시트(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개구부(221)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역세척 과정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부풀어져 상향으로 볼록한 돔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filter sheet 23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s mentioned above and is mounted with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221, so it is inflated by the compressed air injected during the backwashing process. The dome shape that is convex upward can be maintained.

따라서 여과시트(230)에 의한 여과 과정에 앞서 선행적으로 여과시트(230) 상부에 침전된 입자들을 부상시키거나 측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게 함으로써 침전물에 의해 여과시트(230)의 여과 효율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prior to the filtration process by the filter sheet 230, the particles precipit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sheet 230 can be floated or pushed laterally, thereby imped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sheet 230 due to sediment. can be prevented.

그리고 제 2공급관(260)을 통한 압축공기의 주입은 여과시트(230)에 의한 정체수 배출 직후에도 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njection of compressed air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260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discharge of stagnant water through the filter sheet 230.

이 경우, 여과시트(230)는 미처 배출되지 못한 체 배출관(240)에 잔류하는 정체수의 일부가 압축공기의 공급에 따라 다시 배출공간(200)으로 역유입되어 충진됨으로써 마찬가지로 상향으로 볼록한 돔 형태가 즉 골이 형성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 sheet 230 is filled with a portion of the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sieve discharge pipe 240 that has not yet been discharged, and flows back into the discharge space 200 according to the supply of compressed air, thereby forming an upwardly convex dome shape. In other words, the state in which the bone is formed can be maintained.

이때 제어부(250)는 유입관(110)의 제 1밸브(111)와 유출관(120)의 제 2밸브(121)를 개방시켜 여과조(10) 내의 압력이 해제된 상태가 선행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control unit 250 opens the first valve 111 of the inlet pipe 110 and the second valve 121 of the outlet pipe 120 to release the pressure in the filtration tank 10. do.

여과시트(230)는 건조와 습윤 상태를 반복하는 경우 섬유질의 시트 물성을 변화시켜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있다.When the filter sheet 230 is repeatedly dried and we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brous sheet may change, which may shorten the lifespan.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공간(200)에 정체수의 일부를 충진시켜 여과시트(230)가 일정하게 습윤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므로 시트의 물성 변화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강우 유입 시 여과시트(230) 평면을 볼록하게 하여 침전물 등이 여과시트(230) 주변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함으로써 여과시트(230) 상부에 침전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the stagnant water is filled in the discharge space 200 to ensure that the filter sheet 230 is maintained in a constant wet state, thereby preventing durability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heet. In particular, when rainfall flows in, the plane of the filter sheet 230 is made convex to allow sediments to slide around the filter sheet 230, thereby preventing sediments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sheet 230.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A to 5F.

본 발명의 방법은 상술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먼저 강우 발생에 따른 초기 우수가 우수본관으로부터 이동되어 유입관(110)을 통해 여과조(10)로 유입되고, 상기 여과조(10)에서 여재층(140)를 통과함에 의해 여과 처리된 후 유출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First, the initial rainwater due to rainfall is moved from the stormwater main pipe and flows into the filtration tank 10 through the inflow pipe 110, and is filtered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layer 140 in the filtration tank 10 and then through the outflow pipe ( Perform the discharge step through 120) (S100)

도 5a는 상향류식 비점오염처리시설을 일 예로 도시한 것으로, 제어부(250)는 강우 발생에 따른 우수의 유입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강우 발생의 감지 시 유입관(110)의 제 1밸브(111)와 유출관(120)의 제 2밸브(121)만을 개방시켜 상향류에 의한 초기우수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 유입된 초기우수에 대한 연속적인 여과와 배출이 수행될 수 있게 한다.Figure 5a shows an upstream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facility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250 is capable of detecting the inflow of rainwater due to rainfall, and when the occurrence of rainfall is detected, the first valve 111 of the inlet pipe 110 is opened. ) and only the second valve 121 of the outlet pipe 120 is opened to allow the initial rainwater to flow upward and continuous filtration and discharge of the incoming initial rainwater can be performed.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제어부(250)는 우수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는 수위감지센서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250 may include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inflow of rainwater. At this time, the detection sensor may be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강우 유입이 종료됨에 따라 여재층(140)에 의한 우수의 여과와 배출이 함께 종료된다. As the inflow of rain ends, the filtration and discharge of rainwater by the filter layer 140 end together.

강우가 종료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조(10)의 처리공간(100)에는 배수되지 못한 정체수가 잔류하게 되는데, 정체수의 배출 전에 상기 여재층(140)에 대한 역세척을 실시할 수 있다.When the rainfall ends, as shown in FIG. 5b, undrained stagnant water remains in the treatment space 100 of the filtration tank 10. Backwashing of the filter media layer 140 is required before discharging the stagnant water. You can.

여재층(140)에 대한 역세척은 기세 및 수세 등 공지의 다양한 역세척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Backwashing of the filter media layer 140 may use various known backwashing methods such as force and water washing,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강우 유입이 종료된 이후 상술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여과조(10)의 처리공간(100)에 잔류하는 정체수를 여과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00)After the inflow of rainfall is terminated, the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treatment space 100 of the filtration tank 10 can be filter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us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200).

이때 S200단계 이전에는 정체수의 일정 시간 침전에 의해 침전물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침전물의 경우 정체수의 여과를 실시하기 위해 마련되는 여과시트(230)의 상부에도 적층될 수 있다.At this time, before step S200, sediment may be generated by sedimentation of stagnant wa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n the case of such sediment, it may also be laminated on the top of the filter sheet 230 provided to filter stagnant water.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기 S200단계를 수행하기에 앞서 여과시트(230)에 대한 역세척을 선행적으로 실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backwashing the filter sheet 230 may be performed prior to performing step S200.

본 과정에서는 제어부(250)가 제 3밸브(241)를 작동시켜 정체수가 이동 및 배출되는 배출관(240)이 외부측과 연통되는 것을 폐쇄한 후, 공기공급부(200)를 작동시켜 압축공기가 배출관(240)에서 분기되는 제 2공급관(260)을 통해 정체수배출부(20)의 배출공간(220)으로 주입되게 한다.In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250 operates the third valve 241 to close the discharge pipe 240 through which stagnant water moves and is discharged from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then operates the air supply unit 200 to allow compressed air to flow through the discharge pipe. It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220 of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20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260 branching from 240.

이러한 압축공기의 주입에 따라 배출공간(220)의 개구부(221)에 장착된 여과시트(230)는 기세에 의한 역세척이 실시되면서, 여과조(10)의 침전물에 대한 분산이 유도될 수 있다.As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the filter sheet 230 mounted on the opening 221 of the discharge space 220 is backwashed by force, thereby causing dispersion of sediment in the filter tank 10.

이때 여과시트(23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개구부(221)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상향으로 볼록한 돔 형태가 유지되고, 여과시트(230) 상부에 침전된 입자들을 부상시키거나 측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게 함으로써 침전물에 의해 여과시트(230)의 여과 효율이 저해되는 것을 사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filter sheet 23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mounted with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221. As shown in Figure 5c, it is expanded by compressed air to maintain an upwardly convex dome shape, and filtration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sheet 230 is prevented from being impaired by sediment by allowing the particles sett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eet 230 to float or be pushed laterally.

이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여과방식에 의한 정체수의 여과와 배수가 실시된다.Afterwards, as shown in FIG. 5D, filtration and drainage of stagnant water are performed using a pressure filtration method.

본 과정에서는 가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도록 제어부(250)가 제 1밸브(111)와 제 2밸브(121)의 작동을 제어하여 유입관(110) 및 유출관(120)이 폐쇄되게 한 후, 상기 공기공급부(200)을 작동시켜 압축공기가 제 1공급관(210)을 통해 여과조(10) 내부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처리공간(100)에 압축공기에 의한 압력이 작용되게 한다.In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111 and the second valve 121 to close the inlet pipe 110 and the outlet pipe 120 so that the pressurization method can be applied, and then By operating the air supply unit 200, compressed air is supplied into the filter tank 10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210, thereby causing pressure due to the compressed air to be applied to the processing space 100.

이와 더불어 제어부(250)가 제 3밸브(241)의 작동을 제어하여 배출관(240)이 외부측과 연통되게 하며, 처리공간(100)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정체수는 여과시트(230)를 통과하면서 배출관(240)을 통해 배출공간(220)에서 외부로 배수 및 방류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hird valve 241 so that the discharge pipe 24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the stagnant water flows through the filter sheet 230 by the pressure acting on the treatment space 100. As it passes, it is drain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charge space 220 through the discharge pipe 240.

이때 배출공간(220)에는 정체수의 배출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250)는 상기 배출공간(220)에 구비된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정체수의 배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space 220 may be equipped with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discharge of stagnant water, and the control unit 250 determines the discharge state of the stagnant wat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discharge space 220. can be judged.

제어부(250)는 정체수의 배수가 진행중이라 판단할 경우 상술한 작동이 유지되게 하고, 정체수의 배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경우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부(200)에 의한 압축공기의 주입이 중단되게 작동을 제어한다.When the control unit 250 determines that drainage of stagnant water is in progres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maintained, and when it determines that drainage of stagnant water is complete, the control unit 250 maintains the compressed air by the air supply unit 200 as shown in FIG. 5E. Control the operation so that the injection is stopped.

이와 같은 가압여과방식에 의한 정체수의 여과 및 배출이 종료되면, 제어부(250)는 제 1밸브(111) 및 제 2밸브(121)를 다시 작동시켜 유입관(110) 및 유출관(120)을 개방한다.When the filtration and discharge of stagnant water by this pressure filtration method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250 operates the first valve 111 and the second valve 121 again to inlet pipe 110 and outlet pipe 120. open.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기 S200단계 이후에, 배출공간(220)에 정체수의 일부가 충진되게 하여 여과시트(230)가 습윤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filling the discharge space 220 with a portion of stagnant water to maintain the filter sheet 230 in a wet state after step S200.

즉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50)는 정체수가 이동 및 배출되는 배출관(240)이 외부측과 연통되는 것을 폐쇄하도록 제 3밸브(241)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배출관(240)에서 분기되는 제 2공급관(260)을 통해 압축공기를 상기 정체수배출부(20)의 배출공간(220)으로 주입한 직후, 상기 제 2공급관(260)을 폐쇄시켜 상기 배출관(240)에 잔류하는 정체수의 일부가 상기 배출공간(220)으로 유입 및 충전되게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5F,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hird valve 241 to close the discharge pipe 240 through which stagnant water moves and is discharged from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pipe 240 Immediately after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220 of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20 through the branching second supply pipe 260, the second supply pipe 260 is closed to remove the remaining water in the discharge pipe 240. Part of the stagnant water flows into and fills the discharge space 220.

본 과정에 의하면, 배출관(240)의 잔여 정체수가 배출공간(220)으로 유입 및 충전됨에 따라 여과시트(230)가 상향의 골이 형성되면서 습윤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잦은 물성 변화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다음 강우 유입 시 침전물 등이 볼록한 형태의 여과시트(230) 주변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함으로써 여과시트(230) 상부에 침전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process, as the remaining stagnant water in the discharge pipe 240 flows into and fills the discharge space 220, the filter sheet 230 maintains a wet state while forming an upward valley, thereby reducing durability due to frequent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event sediments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sheet 230 by allowing sediments to slide around the convex filter sheet 230 during the next rainfall.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ossible.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10 : 여과조 20 : 정체수배출부
100 : 처리공간 101 : 제 1공간
102 : 제 2공간 110 : 유입관
111 : 제 1밸브 120 : 유출관
121 : 제 2밸브 130 : 격벽
140 : 여재층 200 : 공기공급부
210 : 제 1공급관 220 : 배출공간
221 : 개구부 230 : 여과시트
240 : 배출관 241 : 제 3밸브
250 : 제어부 260 : 제 2공급관
10: filtration tank 20: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100: Processing space 101: First space
102: second space 110: inflow pipe
111: first valve 120: outlet pipe
121: second valve 130: partition wall
140: filter layer 200: air supply unit
210: first supply pipe 220: discharge space
221: opening 230: filter sheet
240: discharge pipe 241: third valve
250: Control unit 260: Second supply pipe

Claims (9)

내부에 처리공간을 가지며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처리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관과 유출관이 구비되고, 유입된 우수가 유입관에서 유출관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여재층이 장착되는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의 처리공간에 설치되고 여과조에 의한 우수의 여과 처리 및 배출 후 잔류하는 정체수를 여과 처리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정체수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조는,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에 각각 장착되어 개폐 작동하는 제 1밸브 및 제 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체수배출부는,
압축공기를 생성 및 배출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처리공간에 공급하도록 장착되는 제 1공급관과, 상기 처리공간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처리공간에 연통되는 배출공간과, 상기 배출공간의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되는 여과시트와, 상기 배출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여과시트를 통과하여 배출공간으로 유입된 정체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관과, 상기 제 1밸브 및 제 2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유입관 및 유출관이 폐쇄되게 하면서 상기 공기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압축공기가 제 1공급관을 통해 처리공간으로 공급되게 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출관에 장착되어 개폐 작동하는 제 3밸브와, 일단이 상기 배출관에서 분기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배출공간에 공급되게 하는 제 2공급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배출관이 폐쇄되게 하면서 상기 공기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압축공기가 제 2공급관을 통해 배출공간으로 공급되게 하며,
상기 여과시트는,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에 따라 상기 배출관에 잔류하는 정체수의 일부가 상기 배출공간으로 유입 및 충진되어 상향의 골이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정체수 여과처리 장치.
A filtration tank having a treatment space inside, an inflow pipe and an outflow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reatment space on one side and the other, respectively, and a filter media layer installed in the path through which inflowed rainwater moves from the inflow pipe to the outflow pipe; and
A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treatment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and filtering and discharging stagnant water remaining after the filtration and discharge of rainwater by the filtration tank to the outside.
The filtration tank,
It includes a first valve and a second valv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nd operating to open and close,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An air supply unit that generates and discharges compressed air, a first supply pipe installed to supply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upply unit to the processing space, and a first supply pipe that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floor of the processing space and has an opening formed at the top. a discharge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treatment space, a filter sheet mount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space, a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space and allowing stagnant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space through the filter shee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to close the inlet and outlet pipe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processing space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and the discharge pipe. It includes a third valve that is mounted on and operates to open and close, and a second supply pipe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branch from the discharge pip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section so that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upply section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space. ,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valve to close the discharge pip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discharge space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for a preset time,
The filter sheet is,
A stagnant water filtration and treatment device using compressed air, wherein a portion of the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discharge pipe flows into and fills the discharge space as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hereby maintaining an upward valle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시트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정체수 여과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filter sheet is,
A stagnant water filtration device using compressed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시트는,
상기 개구부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정체수 여과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3,
The filter sheet is,
A stagnant water filtration and treatment device using compressed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강우 발생에 따른 초기 우수가 유입관을 통해 여과조로 유입되고 상기 여과조에서 여과 처리 후 유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S100); 및
강우 유입이 종료된 이후 청구항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여과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조의 처리공간에 잔류하는 정체수를 여과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고,
상기 S200단계 이후에,
정체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외부측과 연통되는 것을 폐쇄하고, 상기 배출관에서 분기되는 제 2공급관을 통해 압축공기를 상기 정체수배출부의 배출공간으로 주입한 직후 상기 제 2공급관을 폐쇄시켜 상기 배출관에 잔류하는 정체수의 일부가 상기 배출공간으로 유입 및 충전되면서 여과시트가 상향의 골이 형성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정체수 여과처리 방법.
A step (S100) in which initial rainwater resulting from rainfall flows into a filtration tank through an inflow pipe, is filtered in the filtration tank, and is then discharged through an outflow pipe (S100); and
After the inflow of rainfall has ended, filtering the stagnant water remaining in the treatment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using the filtr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S200); Including,
After step S200,
The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stagnant water is discharged is clos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immediately after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discharge space of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branching from the discharge pipe, the second supply pipe is closed so that the remaining water in the discharge pipe is closed. A stagnant water filtration method using compressed air, further comprising maintaining the filter sheet in a state in which an upward valley is formed while a portion of the stagnant water flows into and fills the discharge spa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S200단계 이전에,
정체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외부측과 연통되는 것을 폐쇄하고, 상기 배출관에서 분기되는 제 2공급관을 통해 압축공기를 상기 정체수배출부의 배출공간으로 주입하여 여과시트의 역세척과 상기 여과조의 침전물에 대한 분산을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정체수 여과처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7,
Before step S200,
The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stagnant water is discharged is clos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of the stagnant water discharge unit through a second supply pipe branching from the discharge pipe to backwash the filter sheet and remove sediment from the filter tank. A stagnant water filtration method using compressed air, further comprising: inducing dispersion.
삭제delete
KR1020230101985A 2023-08-04 2023-08-04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tagnant water using compressed air KR1025898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985A KR102589869B1 (en) 2023-08-04 2023-08-04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tagnant water using compressed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985A KR102589869B1 (en) 2023-08-04 2023-08-04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tagnant water using compressed 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869B1 true KR102589869B1 (en) 2023-10-16

Family

ID=8850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985A KR102589869B1 (en) 2023-08-04 2023-08-04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tagnant water using compressed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86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022B1 (en) 2008-09-09 2009-04-17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KR101650347B1 (en) * 2016-02-03 2016-08-23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Rainwater infiltration module for possible street tree protection low impact development
KR102361496B1 (en) * 2021-09-02 2022-02-14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Apparatus for filter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022B1 (en) 2008-09-09 2009-04-17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KR101650347B1 (en) * 2016-02-03 2016-08-23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Rainwater infiltration module for possible street tree protection low impact development
KR102361496B1 (en) * 2021-09-02 2022-02-14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Apparatus for filter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496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20110168612A1 (en) Storm water filter basket with floating bypass panels
KR101353045B1 (en) Apparatus for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rainwater with control function
KR100800559B1 (en)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cartridge screw type screen
KR101666864B1 (en)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ies of rain water
KR100704901B1 (en) Rainwater-controlling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11967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s using the same
KR101872911B1 (e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KR200431389Y1 (en) Rainwater purify device
KR101562757B1 (en)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KR102023867B1 (en) Non-point pollution decrease facilities
KR101637078B1 (en) Water Treatment System For Initial Rain Water
KR101874063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screen and filtering media
KR102365033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reat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KR101580859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s using the same
KR101878395B1 (en) Purifying device of storm overflow chamber
KR100791965B1 (en) System for treatment of polluted water from non-point source
KR102492768B1 (en) Non-point pollutants removal facility using floating compression filtration
KR20160010952A (en)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KR1025898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tagnant water using compressed air
KR101747162B1 (en) Primary stag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JPH05132993A (en) Rainwater filter and maintaining method for its device and rainwater filtering method and its controlling equipment
KR101764398B1 (en)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using the backwash facilities and stagnant water may exclude
KR101591340B1 (en) Treatment apparatus for combined sewer overflows using complex media
KR100763119B1 (en) Purification system for run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