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395B1 - Purifying device of storm overflow chamber - Google Patents
Purifying device of storm overflow cha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8395B1 KR101878395B1 KR1020160044975A KR20160044975A KR101878395B1 KR 101878395 B1 KR101878395 B1 KR 101878395B1 KR 1020160044975 A KR1020160044975 A KR 1020160044975A KR 20160044975 A KR20160044975 A KR 20160044975A KR 101878395 B1 KR101878395 B1 KR 1018783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settling tank
- space
- buoy
- movabl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3 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수관로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고농도의 오염 강우수를 정화시키는 강우수 정화장치로서,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어 저면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수위가 상승하도록 함과 동시에 비중이 큰 오염 입자 및 협잡물을 침전시켜 제거하도록 하부 일측에 유입공이 형성된 2차 침사조와, 상기 2차 침사조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2차 침사조로 유입된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는 연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강우수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상부 일측에 정화가 이루어진 상기 강우수가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정화공간부로 이루어지는 공간형성부와; 상기 정화공간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강우수에 부상하는 부표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상기 강우수에 의하여 상기 부표가 상승함에 따라 상호 압축되는 여재와, 상기 부표의 상승에 따라 상기 여재가 상호 압축되도록 하는 압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수단은 상기 부표 하측의 상기 정화공간부의 일정 높이에 고정되며 복수의 유동공이 관통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하측의 상기 정화공간부에 양측이 고정되고 상기 부표의 이동에 따라 중앙 영역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판과, 일단이 상기 부표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을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가동판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는 연결봉을 구비함으로써, 강수시 불투수 노면에서 발생하는 오염 강우수를 효율적으로 정화하여 하천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정화동작으로 인하여 정화장치에 이물질이 부착될 경우에 정화장치를 신속하게 역세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contaminated rainwater having a high concentration discharged into a river through a rainfall channel, wherein the rainwater is introduced, gradually increasing the water level from the bottom, A second settling tank having an inflow hole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so as to precipitate and remove particles and contaminants and a communication hole disposed above the second settling tank and through which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settling tank flows, A space forming part comprising a purifying space part having an outflow hole through which the rainwater flowing upward gradually rises and is purified on the upper side; A buoy floating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purifying space, a filter material which is compressed together with the buoy according to the rise of the buoy by the steady flow of the buoy, and the compression A purifier unit comprising: Wherein the compression means includes a fixed plate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lower space of the buoy and having a plurality of flow holes penetrated therethrough, and both sides fixed to the lower space of the fixed space, And a connection ro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uoy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fixing plate and being coupled to a central region of the movable plate. Thus, the contaminated rainwater generated on the impervious road surface at the time of precipitation Can be efficiently purged and discharged to a river,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purging device due to repetitive purging operation, the purging device can be quickly backwash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우로 인해 늘어난 강우수 중 강우수처리장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노면에 축적된 오염물질이 강우에 의해 씻겨져 하천으로 방류되는 오염 강우수를 효율적으로 정화하여 하천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강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purifying polluted rainwater, which has been prevented from flowing into a rainwater treatment plant due to rainfall and accumulated on the road surface, To the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강우수 배출 및 정화장치는 강우시 도로, 교량 등의 상면에 형성된 빗물을 차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시설로서, 도로, 교량 등의 건설시 노면 배수를 위해 반드시 설치하도록 시설기준상에 명시되어 있으며, 모래, 낙엽, 기타 오염물질의 강우수관거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정의 정화시설이 구비되기도 한다.The rainwater discharging and purifying device is a facility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rainwat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roads and bridges during rainfall. It is specified in the facility standard to be installed for drainage of roads during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bridges, In order to reduce the inflow of rainfall water, fallen leaves and other pollutants, a certain purification facility may be provided.
한편, 도로 상면 등에 쌓여 있던 오염물질(모래, 낙엽, 타이어 분진, 먼지, 중금속, 제설제, 기름 오염물 등)은 강우시 빗물에 씻겨져서 강우수 배출장치를 통해 배수관으로 유입되는데, 그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분포를 살펴보면, 초기 강우수의 경우에만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포함되어 있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지속 강우수의 경우에는 오염 물질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llutants (sand, leaves, tire dust, dust, heavy metals, snow remover, oil pollutants, etc.) piled up on the road surface are washed in rainwater during rainfall and flowed into a drain pipe through a rainwater discharge device. The distribution of pollutants shows that pollutants are concentrated only in the case of initial precipitation, and that in case of continuous precipita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pollutants are hardly contained.
즉, 도로 상면 등의 오염물질은 대부분 초기 강우수에 씻겨져서 강우수 배출장치로 유입되므로, 그 이후 강우수 배출 장치로 유입되는 지속 강우수는 오염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at is, most pollutants such as the road surface are washed in the initial rainfall water and flowed into the rainwater discharge device, so that the continuous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discharge device thereafter hardly contains contaminants.
그런데, 종래의 정화장치에 있어서, 우천시 빗물에는 도로나 단지 등 불투수면에 건기시 오염 물질이 축적되어 있고, 이러한 오염 물질이 빗물에 의해 씻겨져 나와 고농도로 발생하며, 이러한 고농도의 오염 물빌이 그대로 하천으로 유입되어 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은 별도의 정화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urification apparatus, pollutants are accumulated on the impervious surface such as roads or jars on rainwater in the case of rainy weather, and these pollutants are washed away by rainwater and are generated at a high concentration. Such high- A separate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eeded because it flows into the river to cause pollu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수시 불투수 노면에서 발생하는 오염 강우수를 효율적으로 정화하여 하천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정화동작으로 인하여 정화장치에 이물질이 부착될 경우에 정화장치를 신속하게 역세할 수 있는 강우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purifying polluted precipitation generated in an impervious road surface during precipitation and discharging it to a ri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quickly backing up a purification apparatu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강우수 정화장치는, 우수관로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고농도의 오염 강우수를 정화시키는 강우수 정화장치로서,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어 저면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수위가 상승하는 2차 침사조와, 상기 2차 침사조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2차 침사조로 유입된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는 연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강우수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상부 일측에 정화가 이루어진 상기 강우수가 유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정화공간부로 이루어지는 공간형성부와; 상기 정화공간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강우수에 부상하는 부표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상기 강우수에 의하여 상기 부표가 상승함에 따라 상호 압축되는 여재와, 상기 부표의 상승에 따라 상기 여재가 상호 압축되도록 하는 압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수단은 상기 부표 하측의 상기 정화공간부의 일정 높이에 고정되며 복수의 유동공이 관통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하측의 상기 정화공간부에 양측이 고정되고 상기 부표의 이동에 따라 중앙 영역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판과, 일단이 상기 부표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을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가동판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는 연결봉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contaminated rainwater having a high concentration discharged into a river through a gut pipe, comprising: And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rainwater inflowed into the second settling tank is introduced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rainwater gradually rises and the purified water that has been purified on the upper side is flowed out A space forming part formed of a purification space part in which an outflow hole is formed; A buoy floating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purifying space, a filter material which is compressed together with the buoy according to the rise of the buoy by the steady flow of the buoy, and the compression A purifier unit comprising: Wherein the compression means includes a fixed plate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lower space of the buoy and having a plurality of flow holes penetrated therethrough, and both sides fixed to the lower space of the fixed space, And a connecting ro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uoy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fixing plate and being coupled to a central region of the movable plate.
여기서, 상기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 사이의 상기 가동판의 판면은 상기 여재의 세척시 상기 가동판의 판면과 상기 여재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여재의 무게에 의하여 하측으로 처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plate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between the connecting rod and the connecting rod may be installed in a lowered state due to the weight of the filter material so as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plate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and the filter material when the filter material is washed .
그리고, 상기 가동판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바 형상을 갖는 복수의 지오그리드를 격자형상으로 연결하여 형성한 지오그리드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movable plate may be a geogrid plat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geogrid having a bar shape of a flexible material in a lattice shape.
또한, 상기 2차 침사조의 저부면에는 공기주입파이프가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입파이프로 주입된 공기에 의하여 상기 여재에 대한 역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ir injection pip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ary settling tank so that backwashing of the filter material can be performed by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injection pipe.
아울러, 상기 강우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후방에는 역세수 수중펌프가 설치된 여과수 보관부가 구비되어 정화가 완료된 강우수의 일부가 일정 수위를 형성하여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iltered water storage portion provided with a reverse water washing pump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pace forming portion where the rainwater flows out to the outside, so that a part of the purified water can be formed at a certain level and stored.
그리고,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공간형성부의 전방에는 별도의 전처리 침사조가 구비되며, 상기 강우수가 상기 전처리 침사조에 유입되어 일정 시간 체류한 후에 상기 전처리 침사조와 상기 2차 침사조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전처리침사조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parate pretreatment siltation tank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pace forming unit along the direction of the inflow of the rainwater, and the rainwater is introduced into the pretreatment silt-forming tank and is re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formed between the pretreatment siltation tank and the secondary settling tank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pre-treatment silt bath through the inflow hole.
또한, 상기 유입공에는 상기 정화공간부를 오염된 역세수가 이미 역세가 완료된 다른 정화공간부의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고무판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low hole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rubber plate for preventing the contaminated backwash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other purification space having already been backwashed.
아울러, 상기 전처리 침사조에 설치된 격벽의 하측에는 상기 전처리 침사조로 유입된 후에 상기 2차 침사조로 재 유입된 강우수가 상기 2차 침사조로 재 유입된 후에 상기 전처리 침사조 측으로 역류함을 방지하는 별도의 역류방지 게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provided in the pretreatment silt bath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ounterflow preventing flow back to the pretreatment needle depositor after the re- Prevention gate may be provid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강우수 정화장치는, 강수시 불투수 노면에서 발생하는 오염 강우수를 효율적으로 정화하여 하천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정화동작으로 인하여 정화장치에 이물질이 부착될 경우에 정화장치를 신속하게 역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purifying the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ly purifies the contaminated rainwater generated at the impervious surface at the time of precipitation and discharges it to the stream,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purifier due to the repeated purge operation The purification device can be quickly backwash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수 정화장치가 지반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수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강우수 정화장치의 고정판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우천시에 도 2의 강우수 정화장치가 동작하는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ground,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a fixing plate of the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FIG. 2,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FIG. 2 operates in a rainy seas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우수 정화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수 정화장치가 지반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수 정화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강우수 정화장치의 고정판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우천시에 도 2의 강우수 정화장치가 동작하는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grou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 fixing plate of the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FIG. 2, and FIG. 4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우수 정화장치는, 우수관로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고농도의 오염 강우수를 정화시키는 강우수 정화장치로서,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어 저면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수위가 상승하는 2차 침사조(110)와, 상기 2차 침사조(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2차 침사조(110)로 유입된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는 연통공(121)을 구비하여 상기 강우수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상부 일측에 정화가 이루어진 상기 강우수가 유출되는 유출공(122)이 형성된 정화공간부(120)로 이루어지는 공간형성부(100)와; 상기 정화공간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강우수에 부상하는 부표(210)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상기 강우수에 의하여 상기 부표(210)가 상승함에 따라 상호 압축되는 여재(220)와, 상기 부표(210)의 상승에 따라 상기 여재(220)가 상호 압축되도록 하는 압축수단(230)으로 이루어지는 정화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수단(230)은 상기 부표(210) 하측의 상기 정화공간부(120)의 일정 높이에 고정되며 복수의 유동공(231a)이 관통 형성된 고정판(231)과, 상기 고정판(231) 하측의 상기 정화공간부(120)에 양측이 고정되고 상기 부표의 이동에 따라 중앙 영역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판(232)과, 일단이 상기 부표(21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231)을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가동판(232)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는 연결봉(23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contaminated rainwater having a high concentration discharged into a river through a gut path, wherein the rainwater flows in and the water level gradually rises from the bottom surface A second settling
공간형성부(100)는 제2침사조(110)와 정화공간부(120)로 이루어지며, 2차 침사조(110)에서는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어 저면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수위가 상승하게 되며, 정화공간부(120)에서는 2차 침사조(110)에서 유입된 강우수의 실질적인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The
그리고, 전처리 침사조(400)와 2차 침사조(110)를 구분하는 격벽의 하측에는 전처리 침사조(400)로 유입된 강우수가 2차 침사조(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되는 유입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dividing the
이러한 유입공(111)에는 정화공간부(120)가 다중으로 구비된 경우에 순차적으로 역세를 수행하게 되는데, 다중으로 구비된 정화공간부(120)의 하부가 관통되어 있는 경우에 역세 중 오염된 역세수가 이미 역세가 끝난 다른 정화공간부의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고무판(700)이 구비되어 있다. In the
이러한 고무판(700)은 역세수가 이웃하는 다른 정화공간부(120)로 유입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처리 침사조(400)의 내부로 유입된 강우수가 정화공간부(120)의 내부로 유입시에는 우측 방향으로 유동하고 하고, 정체수 배출 수중펌프(410)를 가동하여 역세수를 외부로 배출시에는 좌측 방향으로 유동하여 역세수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그리고, 정화공간부(120)의 저부면에는 별도의 공기주입파이프(300)가 가동판(23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공기주입파이프(300)에서 발생되는 공기에 의하여 여재(220)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공기주입파이프(300) 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는 공기주입기는 별도로 설치되도록 한다. A separate
정화공간부(120)는 2차 침사조(110) 측으로 유입된 강우수가 점진적으로 차오르면서 정화공간부(120)로 유입되어 실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purifying
이를 위하여 정화공간부(120)의 내부에는 내부로 유입된 오염 강우수의 정화를 위한 정화부(200)가 구비되어 있으며, 2차 침사조(110)와 정화공간부(120)는 상호 연통되어 강우수가 정화공간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The
정화부(200)는 정화공간부(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화공간부(120)로 유입된 강우수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이러한 정화부(200)는 크게 유입된 강우수의 상면에 부상하는 부표(210)와, 실질적으로 강우수를 정화시키는 여재(220)와, 부표(210)와 연결되어 여재(220)를 선택적으로 압축시키는 압축수단(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부표(210)는 강우수의 상면에 부상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내부에 공기를 충진시켜 강우수의 상면에 부상되도록 한 부재로서 후술할 가동판(232)의 중앙 영역을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부력이 발생할 수 있는 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uoy table 210 is formed of a material flo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nfall water or a material which floa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nwater by filling the air inside the buoy table 210. The
여재(220)는 여재(220) 사이의 공극에 따라 강우수를 정화시킬 수 있는 정도가 변화되는데, 여재(220)와 여재(220) 사이의 공극이 작은 경우에는 미세한 이물질까지도 여과가 이루어지게 되며, 반대로 여재(220)와 여재(220) 사이의 공극이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만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The degree of the purification of the rainwat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gap between the
압축수단(230)은 부표(210) 하측의 정화공간부(120)의 일정 높이에 고정되며 복수의 유동공(231a)이 관통 형성된 고정판(231)과, 고정판(231)의 하측의 정화공간부(120)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복수의 유동공(232a)이 관통 형성된 가동판(232)과, 일단이 부표(210)에 고정되고 고정판(231)을 통과하여 타단이 가동판(232)에 결합되는 연결봉(23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 compression means 230 includes a
고정판(231)은 정화공간부(120)의 일정 높이에 고정되어 정화공간부(120)로 유입된 강우수에 의하여 부표(210)가 부상시에 여재(220)의 이동을 구속하여 여재(220) 사이의 압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The
이를 위하여 고정판(231)의 판면에는 강우수는 통과하되 여재(220)는 통과하지 않도록 여재(22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복수의 유동공(23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To this end, a plurality of
가동판(232)은 고정판(231)의 하측에 배치되며 정화공간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부표(210)가 강우수에 의하여 부상함에 따라 고정판(231)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중앙 영역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여재(220)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그리고, 가동판(232)도 고정판(231)과 마찬가지로 강우수는 통과하되 여재(220)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복수의 유동공(232a)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동판(232)은 연결봉(233)에 의하여 부표(210)와 연결되어 있다. The
연결봉(233)과 연결봉(233) 사이의 가동판(232) 판면은 여재(220)의 무게에 의하여 가동판(232)이 하측으로 굴곡진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여재(220)를 세척시에 가동판(232)의 굴곡진 판면을 따라 여재(220)가 순환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여재(220)와 가동판(232)의 판면 사이의 마찰을 줄임과 동시에 여재(220) 자체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가동판(232)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바 형상을 갖는 복수의 지오그리드를 격자형상으로 연결하여 형성하며, 상기 지오그리드와 지오그리드에 의하여 여재(220)의 크기보다는 작은 가로폭과 세로폭을 갖는 유동공(232a)이 형성된 지오그리드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가동판(232)을 비중이 낮은 지오그리드판으로 형성함으로써 가동판(232)의 무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므로 부표(2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지오그리드마다 강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강도를 갖는 지오그리드를 선택하여 가동판(232)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조건에 따라 수질 처리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축수단(230)은 2차 침사조(110)와 정화공간부(120)의 경계 영역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연통공(121) 마다 각각 구비되어 정화공간부(120)에 복수의 압축수단(230)이 설치되는 것이 강우수의 정화 효율을 높이는데 더욱 효과적이며, 이를 위하여 정화공간부(120)에는 단위 모듈로 구성되어 용량에 따라 상기 단위 모듈의 증감을 통하여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mpression means 23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21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그리고, 여재(220)는 강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일반 고탄성 여재로 구비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고탄성 여재 이외에 오염물에 포함된 중금속 등을 흡착할 수 있는 특수 여재가 더 포함될 수도 있고 섬유상으로 압축이 가능한 여재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공간형성부(100)의 전방에는 별도의 전처리 침사조(400)가 구비되며, 상기 강우수가 전처리 침사조(400)에 유입되어 일정 시간 체류한 후에 2차 침사조(11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 separate
이는 우수 발생 후 초기에 유입되는 강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1차적으로 전처리 침사조(400)의 저부면에 퇴적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에 2차 침사조(110)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for the purpose of allowing the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initial flow of rainwater to flow into the second settling
전처리 침사조(400)에 설치된 격벽의 하측에는 전처리 침사조(400)로 유입된 후에 2차 침사조(110)로 재 유입되는 강우수가 2차 침사조(110)로 재유입된 후에 전처리 침사조(400) 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역류방지 게이트(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provided in the
이러한 역류방지 게이트(600)는 강우수가 2차 침사조(110) 측으로 재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2차 침사조(110)로 재 유입된 강우수가 전처리 침사조(400) 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또한, 역류방지 게이트(600)는 2차 침사조(110)가 횡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역세 동작시에 어느 하나의 2차 침사조(110)로 역세를 위하여 유입된 역세수가 전처리 침사조(400) 측으로 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하여 역세수를 절감시킬 수 있는 역할도 한다. The
그리고, 이물질이 1차적으로 퇴적되는 전처리 침사조(400)의 일측에는 퇴적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정체수 배출 수중펌프(410)가 설치되어 있다. A separate stagnant water discharging submerged
상기 강우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공간형성부(100)의 후방에는 역세수 수중펌프(510)가 설치된 여과수 보관부(500)가 구비되어 정화가 완료된 강우수의 일부가 일정 수위를 형성하여 보관되도록 한다. A filtered
이는, 여재(220)를 역세시에 여과수 보관부(500)에 보관된 여과수를 이용하여 여재(220)의 역세를 위함이며, 역세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여과수를 여재(220)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여과수 보관부(500)의 일측에는 역세수 수중펌프(510)가 설치되는 것이다. This is for backwashing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강우수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강우수를 정화시키고 여재를 역세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purifying the rainwater and backing up the filter material using the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우천으로 인하여 오염도가 높아진 많은 양의 강우수가 전처리 침사조(400)의 내부로 유입되면 전처리 침사조(400)의 저부면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충진되면서 차오르게 되며, 유입공(111)을 통하여 2차 침사조(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When a large amount of rainfall having a high degree of contamination due to rainstorms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이때, 강우수가 전처리 침사조(400)에 일정한 수위 이상으로 충진될 때까지 전처리 침사조(400)의 내부에 체류하면서 강우수에 포함된 무거운 이물질이 전처리 침사조(400)의 저부면에 퇴적되어 1차적으로 강우수에서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heavy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precipitation water is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2차 침사조(110)로 유입된 강우수는 2차 침사조(110)에서 일정한 수위 이상으로 충진될 때까지 강우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2차적으로 퇴적되어 제거되며, 강우수의 유입이 지속되면 강우수의 수위가 높이지면서 강우수는 정화공간부(120) 측으로 유입된다.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fall water is secondarily deposited and removed until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전처리 침사조(400)의 저부면에 퇴적된 이물질은 강우수의 정화가 완료되어 강우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추후에 정체수 배출 수중펌프를 개방시킴으로써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When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treatment
강우수가 지속적으로 정화공간부(120)로 유입되어 정화공간부(120) 내부에서 강우수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부표(210)가 강우수의 표면으로 부상하게 되고, 부표(210)가 부상함에 따라 가동판(232)의 중앙 영역이 부표(210)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When the rainwater continuously flows into the
가동판(232)의 중앙 영역이 상승함에 따라 고정판(233)과 가동판(2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여재(220)가 상호 압축되어 여재(220) 사이의 간극이 좁아지게 되며, 이러한 여재(220)를 강우수가 통과하면서 3차적인 여과가 이루어지게 되며, 여과가 완료된 여과수의 일부는 여과수 보관부(500)에 보관되고 나머지 여과수는 하천으로 방류됨으로써 정화가 완료된다. As the central region of the
한편, 이러한 강우수 정화장치의 역세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backwashing the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is as follows.
우선, 별도로 설치된 공기주입기를 구동시키면 상기 공기주입기에서 발생된 공기가 공기주입파이프(300)를 통과하여 정화공간부(120) 측으로 유입된다. First, when the air injector installed separately is driven, the air generated in the air injector passes through the
정화공간부(12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여재(220)가 고정판(231)과 가동판(232) 사이에서 유동되면서 여재(220)에 부착된 이물질이 탈거되어 2차 침사조(110)의 저부면에 퇴적되면서 1차적인 세척이 완료된다.The
여기서, 여재(220)를 세척시에 지오그리드로 형성된 가동판(232)의 판면이 중앙부가 하측으로 굴곡지게 처진 상태이므로 지오그리드의 판면을 따라 여재(220)가 자연스럽게 순환하도록 함과 동시에 여재(220) 자체가 회전하면서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Since the center portion of the
그리고, 여재(220)의 세척이 완료되면 정체수 배출 수중펌프(410)를 가동시켜 역세수를 배출하면, 그에 따라 전처리 침사조(400) 및 정화공간부(120)의 내부의 역세수까지도 배출이 완료된다. When the washing of the
모든 역세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역세수 이송 펌프(510)를 구동시켜 여과수 보관부(500)에 보관되어 있던 역세수가 정화공간부(120)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2차적인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When the backwash water is completely drained, the backwash
2차적인 세척 과정은 1차적인 세척 과정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secondary cleaning process is the same as the primary cleaning proces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역세시에 역류방지 게이트(600)에 의하여 전처리 침사조(400) 측으로 역세수가 이동하지 못하므로 역세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2차적인 세척이 완료되면 정체수 배출 수중펌프(410)를 가동시켜 역세수를 배출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처리 침사조(400) 및 정화공간부(120)의 내부의 역세수까지도 배출이 완료되도록 하여 역세가 완료된다. When the secondary washing is completed, th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공간형성부 110 : 2차 침사조
111 : 유입공 120 : 정화공간부
121 : 연통공 122 : 유출공
200 : 정화부 210 : 부표
220 : 여재 230 : 압축수단
231 : 고정판 232 : 가동판
233 : 연결봉 300 : 공기주입파이프
400 : 전처리 침사조 410 : 정체수 배출 수중펌프
500 : 여과수 보관부 510 : 역세수 수중펌프
600 : 역류방지 게이트 700 : 고무판100: space forming part 110:
111: inflow hole 120: purification space section
121: communicating hole 122: outflow hole
200: purifier 210: buoy
220: filter media 230: compression means
231: fixed plate 232: movable plate
233: connecting rod 300: air injection pipe
400: Pretreatment settling tank 410: Congestion water discharge pump
500: filtered water storage unit 510: stationary water pump
600: backflow prevention gate 700: rubber plate
Claims (8)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어 저면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수위가 상승하는 2차 침사조(110)와, 상기 2차 침사조(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2차 침사조(110)로 유입된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는 연통공(121)을 구비하여 상기 강우수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상부 일측에 정화가 이루어진 상기 강우수가 유출되는 유출공(122)이 형성된 정화공간부(120)로 이루어지는 공간형성부(100)와;
상기 정화공간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강우수에 부상하는 부표(210)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상기 강우수에 의하여 상기 부표(210)가 상승함에 따라 상호 압축되는 여재(220)와, 상기 부표(210)의 상승에 따라 상기 여재(220)가 상호 압축되도록 하는 압축수단(230)으로 이루어지는 정화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수단(230)은 상기 부표(210) 하측의 상기 정화공간부(120)의 일정 높이에 고정되며 복수의 유동공(231a)이 관통 형성된 고정판(231)과, 상기 고정판(231) 하측의 상기 정화공간부(120)에 양측이 고정되고 상기 부표의 이동에 따라 중앙 영역이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판(232)과, 일단이 상기 부표(21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231)을 통과하여 타단이 상기 가동판(232)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는 연결봉(233)을 포함하며,
상기 강우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상기 공간형성부(100)의 후방에는 역세수 수중펌프(510)가 설치된 여과수 보관부(500)가 구비되어 정화가 완료된 강우수의 일부가 일정 수위를 형성하여 보관되고, 상기 강우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공간형성부(100)의 전방에는 별도의 전처리 침사조(400)가 구비되며, 상기 강우수가 상기 전처리 침사조(400)에 유입되어 일정 시간 체류한 후에 상기 전처리 침사조(400)와 상기 2차 침사조(110)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111)을 통하여 상기 전처리침사조(400)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공(111)에는 상기 정화공간부(120)를 오염된 역세수가 이미 역세가 완료된 다른 정화공간부의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강우수를 상기 정화공간부(120)로 유입시에는 우측 방향으로 유동하고 역세수를 외부로 배출시에는 좌측 방향으로 유동하는 별도의 고무판(7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수 정화장치.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a high concentration of contaminated rainwater discharged into a river through an excellent conduit,
A second settling tank 110 disposed above the second settling tank 110 and receiving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settling tank 110 so as to flow into the second settling tank 110, A space forming part 100 having a communicating hole 121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and having a discharge space 122 through which the rainwater is discharged, Wow;
A buoy 210 floating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purifying space 120 and a filter material 220 compressing the buoys 210 as the buoy 210 rises due to the rainwater flowing continuously, A purifier (200) comprising compression means (230) for causing the filter media (220) to compress each other as the buoy (210) rises; Including,
The compression means 230 includes a fixing plate 231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urifying space 120 below the buoy 210 and having a plurality of flow holes 231a formed therein, A movable plate 232 having both sides thereof fixed to the purifying space 120 and having a central region thereof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uoys and a movable plate 232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uoys 210, And a connecting rod 233 whos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movable plate 232,
A filtered water storage part 500 provided with a backwatering submersible pump 51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pace forming part 100 where the rainwater flows out to the outside, and a part of the purified wate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water level, A separate pretreatment settling tank 4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pace forming unit 100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inwater flows in. The rainwater flows into the pretreatment settling tank 400 and is re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introduced into the pretreatment settling tank 400 through the inflow hole 111 formed between the settling tank 400 and the second settling tank 110. The inflow hole 111 is connected to the purifying space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minated backwash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another purification space having already been backwashed. When the rainwater flows into the purification space part 120, it flows in the rightward direction. When the backwash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rubber plate (700) is provided.
상기 연결봉(233)과 상기 연결봉(233) 사이의 상기 가동판(232)의 판면은 상기 여재(220)의 세척시 상기 가동판(232)의 판면과 상기 여재(220)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여재(220)의 무게에 의하여 하측으로 처진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수 정화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e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232 between the connecting rod 233 and the connecting rod 233 can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plate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232 and the filter member 220 when the filter member 220 is cleaned. Wherein the filter is installed in a lowered state by the weight of the filter material.
상기 가동판(232)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바 형상을 갖는 복수의 지오그리드를 격자형상으로 연결하여 형성한 지오그리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수 정화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vable plate (232) is a geogrid plat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geogrids having a bar shape of a flexible material in a lattice shape.
상기 2차 침사조(110)의 저부면에는 공기주입파이프(300)가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입파이프(300)로 주입된 공기에 의하여 상기 여재(220)에 대한 역세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수 정화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ir injection pipe 30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ary settling tank 110 to backwash the air filter material 220 with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injection pipe 300. [ Device.
상기 전처리 침사조(400)에 설치된 격벽의 하측에는 상기 전처리 침사조(400)로 유입된 후에 상기 2차 침사조(110)로 재 유입된 강우수가 상기 2차 침사조(110)로 재 유입된 후에 상기 전처리 침사조(400) 측으로 역류함을 방지하는 별도의 역류방지 게이트(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우수 정화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of rainwater re-introduced into the second settling tank 110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pretreatment settling tank 400 is reintroduced into the second settling basin 110 below the partition provided in the pretreatment settling tank 400 Preventing gate (600) for preventing backflow to the pre-treatment settling tank (400)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975A KR101878395B1 (en) | 2016-04-12 | 2016-04-12 | Purifying device of storm overflow cha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975A KR101878395B1 (en) | 2016-04-12 | 2016-04-12 | Purifying device of storm overflow chamb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7280A KR20170117280A (en) | 2017-10-23 |
KR101878395B1 true KR101878395B1 (en) | 2018-07-16 |
Family
ID=6029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4975A Active KR101878395B1 (en) | 2016-04-12 | 2016-04-12 | Purifying device of storm overflow cha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839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4363B1 (en) | 2022-08-12 | 2023-07-12 |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 Purification system of discharge water |
KR102758715B1 (en) | 2024-05-07 | 2025-01-22 | 블루그린링크(주) | Purification apparatus for wastewater |
KR102758714B1 (en) | 2024-05-07 | 2025-01-22 | 블루그린링크(주) | Purification apparatus for wastewa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4188B1 (en) * | 2019-01-14 | 2019-07-01 | 주식회사 에코빅 | Apparatus for purifying polluted water using filter media |
KR102240856B1 (en) * | 2021-03-10 | 2021-04-14 | 이미경 | Non-point pollution decrease facilities |
FI130444B (en) * | 2021-06-30 | 2023-09-01 | Lumipower Oy | Procedure and equipment for treating stormwate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91908A (en) * | 2000-12-27 | 2002-07-10 | Daiei Sangyo Kk | Filter and septic tank |
KR101007019B1 (en) * | 2008-10-13 | 2011-01-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High speed filtration system for combined sewage overflow |
KR101160567B1 (en) * | 2011-12-16 | 2012-06-28 | 조영철 |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with fluidized media and purification system using it |
KR101243415B1 (en) * | 2012-07-04 | 2013-03-13 | 최중철 |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KR101484030B1 (en) * | 2014-09-01 | 2015-01-19 | 블루그린링크(주) | Purifying device of storm overflow chamber |
-
2016
- 2016-04-12 KR KR1020160044975A patent/KR10187839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91908A (en) * | 2000-12-27 | 2002-07-10 | Daiei Sangyo Kk | Filter and septic tank |
KR101007019B1 (en) * | 2008-10-13 | 2011-01-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High speed filtration system for combined sewage overflow |
KR101160567B1 (en) * | 2011-12-16 | 2012-06-28 | 조영철 |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with fluidized media and purification system using it |
KR101243415B1 (en) * | 2012-07-04 | 2013-03-13 | 최중철 |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KR101484030B1 (en) * | 2014-09-01 | 2015-01-19 | 블루그린링크(주) | Purifying device of storm overflow chambe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R1020110125043 A *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4363B1 (en) | 2022-08-12 | 2023-07-12 |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 Purification system of discharge water |
KR102758715B1 (en) | 2024-05-07 | 2025-01-22 | 블루그린링크(주) | Purification apparatus for wastewater |
KR102758714B1 (en) | 2024-05-07 | 2025-01-22 | 블루그린링크(주) | Purification apparatus for wastew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7280A (en) | 2017-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8395B1 (en) | Purifying device of storm overflow chamber | |
KR101702836B1 (en)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that has a screen with self-cleaning functions | |
KR101242275B1 (en) |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power | |
KR101495675B1 (en) | 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and nonpoint pollution decrease material method | |
KR101555257B1 (en) | Non point pollutant reduction equipment using the floating filter media | |
KR101484030B1 (en) | Purifying device of storm overflow chamber | |
KR101666864B1 (en) |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ies of rain water | |
JP3865304B2 (en) |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2140016B1 (en) | First flush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 |
KR101160567B1 (en) |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with fluidized media and purification system using it | |
KR101511967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s using the same | |
KR102203152B1 (en) |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y | |
KR100896015B1 (en) | Boiling point source reduction manhole | |
KR102373598B1 (en) | Filtration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equipped with backwashing function using treated water | |
KR101136385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method for treating rainwater | |
KR101874063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screen and filtering media | |
KR101747162B1 (en) | Primary stage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2361496B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 |
KR20190083289A (en) | Filtering system for combined sewer overflows and water 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767754B1 (en) | Contaminated water multiple purification facility and water purification method to clean water using internal storage water | |
KR20230065482A (en) | Nonpoint Pollutants Treatment Facility with Terraced Screens | |
KR101562757B1 (en)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
KR102023867B1 (en) | Non-point pollution decrease facilities | |
KR101846421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KR101580859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s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