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862B1 - 차량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862B1
KR102589862B1 KR1020160101326A KR20160101326A KR102589862B1 KR 102589862 B1 KR102589862 B1 KR 102589862B1 KR 1020160101326 A KR1020160101326 A KR 1020160101326A KR 20160101326 A KR20160101326 A KR 20160101326A KR 102589862 B1 KR102589862 B1 KR 102589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put unit
signal
function modu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471A (ko
Inventor
조성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8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60K2350/102
    • B60K2350/1024
    • B60K2350/9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입력부를 구성하여 간단한 회전과 터치만으로 차량 내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 외주에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상대적인 회전량 및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는 회전 입력부; 상기 회전 입력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터치 입력에 의해 제2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회전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1신호와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2신호에 의해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 및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기능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시스템 {VEHICL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입력부를 구성하여 간단한 회전과 터치만으로 차량 내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기기의 버튼 조작을 줄이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버튼이나 리모컨을 장착하거나, 터치스크린 및 제스처/음성 등을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에 버튼이나 리모컨 스위치를 장착하는 경우, 차량의 좌우 회전을 위한 스티어링 휠 조작 중에 버튼의 위치가 변동되어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티어링 휠의 일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한 접촉식으로 운전자의 손동작을 인식하여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은 터치 조작을 위해 휠에서 손을 떼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운적 조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4898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25203호
이에 본 발명은 운전조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차량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구성을 통해 간단한 회전동작과 터치만으로 차량 내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 외주에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상대적인 회전량 및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는 회전 입력부; 상기 회전 입력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터치 입력에 의해 제2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회전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1신호와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2신호에 의해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 및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기능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 입력부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부재; 상기 회전부의 내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눌림부재를 누를 수 있는 돌기부재;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돌기부재에 대해 상기 눌림부재가 순차적으로 눌려지면 상기 눌려지는 눌림부재의 개수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눌림부재 및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두 개의 돌기부재 사이에 상기 두 개의 눌림부재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두 개의 돌기부재 사이에 구비된 상기 두 개의 눌림부재에 대해 눌려지는 순서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제1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눌림부재는 스프링재를 통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스프링재의 탄성을 감지하여 상기 눌림부재의 눌림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눌림부재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탄성소재의 탄성력을 측정하여 상기 눌림부재의 눌림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눌림부재와 상기 돌기부재는 삼각톱니형태 또는 사각톱니형태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눌림부재와 상기 돌기부재는 반구형태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 입력부는 터치가 입력되면 기 저장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터치패턴에 따른 제2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게 될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하고, 상기 기능모듈이 탐색된 이후에,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2신호에 따라 상기 탐색된 차량 내 기능모듈 중 어느 하나의 기능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기능모듈이 선택된 이후에, 상기 회전 입력부로부터 제1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차량 내 기능모듈을 단계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2신호의 패턴이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하기 위한 패턴인 경우, 제어를 수행하게 될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하고, 상기 기능모듈이 탐색된 이후에,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2신호의 패턴이 차량 내 기능모듈을 선택하기 위한 패턴인 경우, 상기 탐색된 차량 내 기능모듈 중 어느 하나의 기능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기능모듈이 선택된 이후에, 상기 회전 입력부로부터 제1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차량 내 기능모듈을 단계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입력부로부터 제1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차량 내 기능모듈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때, 상기 회전 입력부의 회전방향이 제1방향이면 상기 차량 내 장치를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회전 입력부의 회전방향이 제2방향이면 상기 차량 내 장치를 단계적으로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1신호 또는 상기 제2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 내 기능모듈이 탐색/선택/제어 되면 상기 차량 내 기능모듈의 탐색/선택/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스티어링 휠의 회전부를 밀어 회전시키거나, 간단한 터치 동작만으로 차량 내부 장치의 각 기능을 탐색하여 선택하고, 각 기능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부에 돌기 적용을 통해 클릭감을 느끼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단계적인 회전감을 느끼게 하여 따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도 원하는 단계만큼 적절하게 차량 내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불필요한 조정 동작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입력부 일부 구간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입력부 일부 구간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입력부의 회전방향 감지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에 입력되는 터치 패턴의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와이퍼 속도 제어 과정의 흐름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10) 외주에 형성되는 회전 입력부(110)와 회전 입력부(110)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터치 입력부(120) 및 회전 입력부(110)와 터치 입력부(120)에서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 및 선택하고 선택된 기능모듈(F1, F2,ㆍㆍㆍ,Fn)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로 구성되며, 회전 입력부(110)와 터치 입력부(120)에서 생성된 신호에 의해 차량 내 기능모듈(F1, F2,ㆍㆍㆍ,Fn)이 탐색 및 선택되고 제어되면 그 각각의 상태나 과정을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더 포함한다.
회전 입력부(110)는 고정부(미도시)와 회전부(미도시)로 구성되는데 고정부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10) 외주에 형성되며, 회전부는 고정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고정부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었고, 회전 입력부(110)는 고정부에 대한 회전부의 상대적인 회전량 및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생성한다.
터치 입력부(120)는 회전 입력부(110)의 표면에 형성되며, 도 1과 같이 일부분에만 형성이 될 수도 있으며, 또는 회전 입력부(110)의 표면 전체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터치 입력부(120)는 곡선형태의 회전 입력부(110)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터치 패턴을 감지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플렉서블 터치 입력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부(120)는 정전식 터치 방식 또는 감압식 터치 방식 등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120)는 접촉 시간, 접촉 패턴, 접촉 범위, 접촉 방향 등에 따라 터치패턴을 입력받으며 이렇게 입력받은 터치패턴을 기설정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근접하는 터치패턴에 따라 제2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회전 입력부(110)와 터치 입력부(120)를 통해 생성된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내 기능모듈(F1, F2,ㆍㆍㆍ,Fn)을 제어하는데 이때, 차량 내 기능모듈(F1, F2,ㆍㆍㆍ,Fn)은 차량 내 전자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장치와 해당 장치의 각 기능별로 구분되어 제어를 수행하는 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와이퍼, 라이트, 실내등, 네비게이션, 센터페시아의 오디오장치, 사이드 미러, 룸 미러, 시트, 냉난방장치 등 운행에 관련된 장치를 제외한 모든 차량 내부 장치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모듈을 말한다.
각 장치의 기능은 더 세분화된 기능모듈로 나눌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이드 미러의 경우, 사이드 미러 접힘 모듈, 사이드 미러 열림 모듈, 좌측 사이드 미러 좌우 각도 조절능모듈, 좌측사이드 미러 상하 각도 조절 모듈, 우측 사이드 미러 좌우 각도 조절 모듈 및 우측 사이드 미러 상하 각도 조절 모듈로 각 제어 기능에 따라 총 6개의 기능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시트의 경우 등받이 각도 조절 모듈,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모듈,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 모듈, 시트 높이 조절 모듈 및 시트 앞뒤 위치 조절 모듈로 각 시트 제어 기능에 따라 총 5개의 기능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이렇게 차량 내 장치의 각 기능별로 세분화된 기능모듈(F1, F2,ㆍㆍㆍ,Fn)은 제어부(130)를 통해 제어되며, 제어부(130)는 회전 입력부(110)와 터치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제1신호 및 제2신호에 의해 각 기능모듈(F1, F2,ㆍㆍㆍ,Fn)을 탐색하여 선택하고 제어한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30)에 의해 표시가 제어되며 제어부(130)에 의해 탐색 및 선택되고 제어되는 기능모듈의 현재 상태 및 과정을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 내 네비게이션 화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부는(140)는 제어부(130)가 회전 입력부(110) 및 터치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제1신호 및 제2신호가 기능모듈을 탐색하는 신호인 경우, 다수의 기능모듈을 탐색하는 화면을 표시하는데 예를 들어, 기능모듈1, 기능모듈2,...,기능모듈n의 목록을 표시하고 제1신호 또는 제2신호에 의해 탐색 되는 기능모듈을 하이라이트로 보이도록 표시한 후 선택에 해당하는 제1신호 또는 제2신호가 입력되면 하이라이트 된 기능모듈을 선택하여 제어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단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1신호 또는 제2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기능모듈의 단계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40)를 이용한 기능모듈 제어의 예시는 뒤에서 실시 예를 통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회전 입력부(110)와 터치 입력부(120)에서 제1신호 및 제2신호가 생성되기 위한 상세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입력부 일부 구간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스티어링 휠(10)의 외주를 따라 고정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111)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111)와 돌기(1)를 덮어싸는 형태로 회전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부(112)가 고정부(111)를 덮도록 장착되면 회전부(112)가 링 형태의 스티어링 휠 형상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고정부(111)는 스티어링 휠에 고정되어 있어 별도로 조작이 불가능 하지만 회전부(112)는 고정부(111)의 외곽에서 고정부(111)를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부(112)의 회전이동은 회전부(112)의 표면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밀면 회전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이때 손가락 등으로 밀기 편하도록 회전부(112)의 표면에 굴곡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입력부 일부 구간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입력부(110)는 스티어링 휠(1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고정부(111)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10)를 감싸는 회전부(112)에도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11)에 형성된 돌기와 회전부(112)에 형성된 돌기는 회전부(112)가 회전이동을 하는 경우 서로 영역이 겹쳐 어느 한쪽이 눌려지는 형태가 된다.
이때 고정부(111)에 형성된 돌기가 눌림부재(1)이며,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딱딱한 소재로 형성되지만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고정부(111)와 연결되어 회전부(112)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회전부(112)에 형성된 돌기는 고정부(111)에 형성된 눌림부재(1)를 누르게 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딱딱한 형태의 소재로 형성된다.
눌림부재(1)와 돌기부재(2)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형성되는데 어느 하나의 돌기부재(2)에 대해 눌림부재(1)가 순차적으로 눌려지면 눌려지는 눌림부재(1)의 개수에 따라 회전부(112)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눌림부재(2)의 눌림에 따른 회전량은 센싱부(미도시)를 통해 감지된다.
또한 돌기부재(2)에 의한 눌림부재(1)의 눌림은 센싱부 뿐만 아니라 회전부(112)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도 전달될 수 있는데 눌림부재(1)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돌기부재(2)가 눌림부재(1)를 누를때마다 하나의 턱이 걸려 넘어가는 듯한 클릭감을 느끼게 하여 몇개의 눌림부재(1)를 누르게 되는지 그 회전량을 사용자도 감지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기능모듈을 단계적으로 제어하고자 할 때, 원하는 단계만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와이퍼의 속도를 기본속도보다 2단계 올리고 싶다면 사용자는 회전부(112)를 조작할때 2개의 눌림부재(1)가 눌려지는 눌림감을 감지하여 딱 원하는 만큼의 단계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돌기부재(2)와 눌림부재(1)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는 도 3과 같이 사각 톱니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으나 삼각 톱니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으며 반구형태로 적용되어 돌기부재(2)에 의해 눌림부재(1)가 눌릴때 모서리에 의한 걸림현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는 회전부(112)의 회전량 뿐만 아니라 회전방향을 감지하는데 이를 위해 돌기부재(2) 두 개 사이에 눌림부재(1) 두 개가 배치되도록 간격을 형성한다.
이러한 눌림부재(1)와 돌기부재(2)의 배치에 의해 회전부(112)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예시가 도 4에 나타나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도 4의 (a)에 고정부(111)에 형성된 눌림부재(1a, 1b)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로 고정부(11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는 센싱부(113)와 연결되어 탄성을 감지하여 눌림부재(1a, 1b)의 눌림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한다.
눌림부재(1a, 1b)는 회전부(112)에 형성된 돌기부재(2a, 2b)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의 (b)를 참조하면, 회전부(1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돌기부재(2a)가 누름부재(1a)를 먼저 누르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돌기부재(2a)에 의해 누름부재(1a)가 먼저 눌리고 누름부재(1b)가 나중에 눌리게 되면 이 순서에 의해 회전부(1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4의 (c)와 같이 돌기부재(2b)에 의해 누름부재 (1b)가 먼저 눌리고, 누름부재(1b)가 나중에 눌리게 되면 눌림 순서에 의해 회전부(11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회전 입력부(110)는 회전부(112)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게 되는데 제1신호에 따라 기능모듈을 제어하고자 할때 회전량은 기능모듈의 레벨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때 이용되며 회전방향은 단계가 상승하는 방향인지 하강하는 방향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부(112)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증가시키고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감소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의자의 등받이
제1신호는 회전량과 회전방향에 따라 어떤 장치의 레벨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의 볼륨을 조절하는데 제1신호가 이용되고 제1신호에서 회전량이 3이고, 회전반향이 시계방향이면, 제어부(130)는 제1신호를 통해 오디오의 볼륨을 현재보다 3단계 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입력부(120)는 입력되는 터치의 패턴에 따라 제2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터치 입력부(120)는 터치가 입력되면 기 저장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터치패턴에 따른 제2신호를 생성한다.
다양한 터치패턴에 대한 예시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패턴은 접촉 범위, 접촉 시간, 접촉 횟수, 드래그 모양, 드래그 방향, 드래그 시간, 드래그 강도 등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터치패턴에 따라 생성되는 제2신호는 차량 내 장치의 기능모듈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앞서 설명했듯이 기능모듈은 세분화되어 있으며, 제어부(130)는 기능모듈을 탐색하고 선택하며 그 레벨을 조절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제2신호의 터치패턴은 탐색하고 선택하며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패던이면 되며 이러한 터치패턴은 일반적으로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이용되는 패턴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능모듈 탐색을 위한 터치패턴은 상하 드래그를 사용하며 한 번씩 드래그 할 때마다 다른 기능모듈을 탐색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탐색된 기능모듈을 선택하는 터치패턴은 예를 들어 한 번의 포인트 터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기능모듈의 레벨을 제어하는 터치패턴은 드래그의 방향과 길이를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디오의 볼륨을 조절하는 터치패턴은 터치 후 상하로 드래그하여 그 길이만큼 볼륨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120)는 이러한 터치패턴 별로 각기 다른 제2신호유형을 미리 정해놓고 터치가 입력되면 시설정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터치패턴에 해당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130)는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하고 선택하며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30)의 기능모듈 제어과정에 대해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회전 입력부(110)가 회전부(112)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1).
다음으로, 제어부(130)가 회전 입력부(110)에서 생성된 제1신호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모듈을 탐색한다(S103).
기능모듈이 탐색되면 터치 입력부(120)가 터치 입력을 기저장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터치패턴에 대응하는 제2신호를 생성한다(S105).
다음, 제어부(130)는 터치 입력부(120)에서 생성된 제2신호에 따라 탐색된 기능모듈 중 어느 하나의 기능모듈을 선택한다(S107).
다시 회전 입력부(110)가 회전부(112)를 감지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고(S109), 제어부(S111)는 생성된 제1신호에 따라 선택된 기능모듈을 단계적으로 제어한다(S103).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차량 내 장치의 제어과정을 차량의 와이퍼 제어 과정을 예시로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와이퍼 속도 제어 과정의 흐름을 나타낸 도이다.
먼저, 회전 입력부(110)의 회전부(112)를 돌려 기능모듈을 탐색한다. 도 7의 (a)를 보면 회전부(112)가 기준으로 설정된 지점 A에서 A'의 위치로 3단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의 (b)는 회전 입력부(110)의 조작에 따라 표시부(140)에 기능모듈 탐색을 나타낸 것으로, 박스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기능모듈 중, 회전부(112)가 시계방향으로 3단계 이동함에 따라 위에서 3번에 기능모듈인 "와이퍼 속도" 기능모듈을 박스로 더 표시하여 탐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c)를 보면 터치 입력부(120)에 포인트 터치 입력을 통해 도 7의 (b)에서 탐색된 "와이퍼 속도" 기능모듈을 선택한다. 본 예시에서는 포인트 터치 패턴에 의해 기능모듈을 선택하도록 가정하였으며, 도 7의 (c)와 같이 회전부(112) 표면의 터치 입력부(120)에 손가락으로 포인트 터치를 입력하면, 도 7의 (d)와 같이 표시부(140)에 "와이퍼 속도" 기능모듈의 상세 제어 화면이 표시된다.
터치 입력부(120)에 의해 기능모듈이 선택되면 다음으로 회전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기능모듈을 제어한다.
도 7의 (e)를 보면 회전부(112)가 기준으로 설정된 지점 B에서 B'의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2단계만큼 회전이동되었음을 알수 있으며, 회전 입력부(110)의 회전이동에 의해 도 7의 (f)에서 표시부(140)는 "와이퍼 속도" 기능모듈이 와이퍼 속도 눈금에 바늘을 2단계만큼 이동시켜 2단계 더 빠르게 제어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로 간단한 회전조작과 터치 조작만으로 차량 내의 장치를 상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어하게 될 기능모듈의 탐색을 터치 입력부(120)를 통해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흐름도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터치 입력부(110)가 입력된 터치 패턴을 감지하여 기저장된 터치패턴과 비교 후 대응하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1). 이때의 터치 패턴은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하기 위한 패턴이 입력되며, 제2신호 역시 기능모듈을 탐색하기 위한 신호로 제어부(130)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가 터치 입력부(110)에서 생성된 제2신호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모듈을 탐색한다(S203).
기능모듈이 탐색되면 터치 입력부(120)가 터치 입력을 기저장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터치패턴에 대응하는 제2신호를 생성한다(S205). 이때의 터치 패턴은 탐색 된 기능모듈 중 어느하나의 기능모듈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패턴이며,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탐색된 기능모듈 중 어느 하나의 기능모듈을 선택한다(S207).
마지막으로, 회전 입력부(110)가 회전부(112)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고(S109), 제어부(S111)는 생성된 제1신호에 따라 선택된 기능모듈을 회전량 및 회전방향에 맞게 단계적으로 제어한다(S103).
상기한 과정들을 통해 차량 운전자는 간단한 회전 조작과 터치만으로 운전대에서 손을 오래 떼는 일 없이 차량 내부의 장치를 각 기능별로 레벨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 제어 시스템 110 : 회전 입력부
111 : 고정부 112 : 회전부
113 : 센싱부 120 : 터치 입력부
130 : 제어부 140 : 표시부
1, 1a, 1b : 눌림부재 2, 2a, 2b : 돌기부재
3 : 연결부재 10 : 차량 스티어링 휠

Claims (12)

  1. 차량의 스티어링 휠 외주에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상대적인 회전량 및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는 회전 입력부;
    상기 회전 입력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터치 입력에 의해 제2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회전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1신호와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2신호에 의해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 및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기능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입력부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부재와, 상기 회전부의 내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눌림부재를 누를 수 있는 돌기부재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돌기부재에 대해 상기 눌림부재가 순차적으로 눌려지면 상기 눌려지는 눌림부재의 개수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1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눌림부재 및 상기 돌기부재는 두 개의 돌기부재 사이에 두 개의 눌림부재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두 개의 돌기부재 사이에 구비된 상기 두 개의 눌림부재에 대해 눌려지는 순서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제1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부재는 스프링재를 통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스프링재의 탄성을 감지하여 상기 눌림부재의 눌림을 감지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부재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탄성소재의 탄성력을 측정하여 상기 눌림부재의 눌림을 감지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부재와 상기 돌기부재는 삼각톱니형태 또는 사각톱니형태로 구비되는 차량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부재와 상기 돌기부재는 반구형태로 구비되는 차량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는 터치가 입력되면 기 저장된 터치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터치패턴에 따른 제2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1신호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게 될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하고,
    상기 기능모듈이 탐색된 이후에,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2신호에 따라 상기 탐색된 차량 내 기능모듈 중 어느 하나의 기능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기능모듈이 선택된 이후에, 상기 회전 입력부로부터 제1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차량 내 기능모듈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2신호의 패턴이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하기 위한 패턴인 경우, 제어를 수행하게 될 차량 내 기능모듈을 탐색하고,
    상기 기능모듈이 탐색된 이후에,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2신호의 패턴이 차량 내 기능모듈을 선택하기 위한 패턴인 경우, 상기 탐색된 차량 내 기능모듈 중 어느 하나의 기능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기능모듈이 선택된 이후에, 상기 회전 입력부로부터 제1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차량 내 기능모듈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입력부로부터 제1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차량 내 기능모듈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때,
    상기 회전 입력부의 회전방향이 제1방향이면 상기 차량 내 장치를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회전 입력부의 회전방향이 제2방향이면 상기 차량 내 장치를 단계적으로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또는 상기 제2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 내 기능모듈이 탐색/선택/제어 되면 상기 차량 내 기능모듈의 탐색/선택/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160101326A 2016-08-09 2016-08-09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589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326A KR102589862B1 (ko) 2016-08-09 2016-08-09 차량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326A KR102589862B1 (ko) 2016-08-09 2016-08-09 차량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471A KR20180017471A (ko) 2018-02-21
KR102589862B1 true KR102589862B1 (ko) 2023-10-16

Family

ID=6152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326A KR102589862B1 (ko) 2016-08-09 2016-08-09 차량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8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203B1 (ko) 2014-01-21 2015-06-04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그리고 그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981B1 (ko) 2010-03-03 2012-05-22 미디어젠(주)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차량용 제어장치
KR101549559B1 (ko) * 2013-11-22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들에 부착되는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20150099409A (ko) * 2014-02-21 2015-08-31 바쉔(주) 원형 핸들을 구비한 전자 기기 제어 장치 및 전자 기기 제어 방법
KR20160079594A (ko) * 2014-12-28 2016-07-06 박현수 스티어링휠을 구비한 전자 기기 제어 장치 및 전자 기기 제어 방법
KR20150137827A (ko) * 2014-05-30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들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203B1 (ko) 2014-01-21 2015-06-04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그리고 그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471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142B2 (en) Capacitive rotary encoder
EP2264564B1 (en) Vehicle commander control switch and method
RU2523172C2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панель для такти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CN106427571B (zh) 交互式操纵装置和用于运行所述交互式操纵装置的方法
US8416219B2 (en) Operating device and operating system
KR10172196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802701B2 (en)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US10268675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vehicle
KR20120016110A (ko) 모터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고 입력하는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2355683B1 (ko) 차량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립체 및 차량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140282251A1 (en) Interactive sliding touchbar for automotive display
US10166868B2 (en) Vehicle-mounted equipment operation support system
KR101520144B1 (ko) 목록에 분류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085478B (zh) 车辆人机界面总成
KR102589862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CN111602102B (zh) 用于视觉人-机交互的方法和系统
US10712882B2 (en) Operational input device
US20160170507A1 (en) Touch pad module, remote inpu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mote input system
KR102370914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20157926A (ja) 制御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CN110870204A (zh) 用于机动车的操作设备,用于借助于操作设备运行机动车的方法,控制装置和机动车
JP2015133042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