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847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847B1
KR102589847B1 KR1020227029533A KR20227029533A KR102589847B1 KR 102589847 B1 KR102589847 B1 KR 102589847B1 KR 1020227029533 A KR1020227029533 A KR 1020227029533A KR 20227029533 A KR20227029533 A KR 20227029533A KR 102589847 B1 KR102589847 B1 KR 102589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n
ultrasonic vibrator
humidifier
water drop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4092A (ko
Inventor
후미야 오타니
다이스케 츠지
Original Assignee
리즈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94804A external-priority patent/JP7128599B1/ja
Application filed by 리즈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즈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실내를 가습한다고 하는 본래적인 기능을 저감하는 일 없이 눈에 보이는 연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가습기(10)는 물탱크(20)와, 물탱크(20)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자(25)와, 물탱크(20)와 연통되고, 초음파 진동자(25)에 의해 생성한 안개 형태의 물방울을 외부로 방출하는 물방울 분출구(31)와, 물탱크(20) 내부에 송풍 가능하게 설치되고, 안개 형태의 물방울을 물방울 분출구(31)로부터 방출시키는 팬(46)과, 초음파 진동자(25) 및 팬(46)을 제어하는 제어부(47)를 갖고, 제어부(47)는 초음파 진동자(25)가 기동하고 있을 때에는 팬(46)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가습기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실내를 가습하는 기능에 더하여, 사용 중 연출 효과를 보고 즐길 수 있는 가습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 2020-085252호 공보에 개시되는 가습기는, 저수부를 구비한 사발 형상의 본체부와, 초음파 진동자가 발생시킨 미스트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하는 덮개를 갖는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다. 슬릿은 덮개 외주연을 따라 만곡되어 형성된다. 미스트는 본체부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슬릿으로부터 방출된다. 따라서, 사발 형상의 본체를 욕조에 빗대어 뜨거운 목욕물에서 나오는 김을 표현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가습기에서는, 미스트가 방출되는 슬릿을 궁리하여 연출에 맞춘 형태로 미스트를 방출하고 있다. 그러나, 가습기로부터 계속 방출되는 미스트를 이용한 연출에서는 미스트가 가습기 주변에 떠돎으로써, 실내를 가습한다고 하는 본래의 기능이 저감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실내를 가습한다고 하는 본래적인 기능을 저감하는 일 없이 눈에 보이는 연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자와, 상기 물탱크와 연통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생성한 안개 형태의 물방울을 외부로 방출하는 물방울 분출구와, 상기 물탱크 내부에 송풍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개 형태의 물방울을 상기 물방울 분출구로부터 방출시키는 팬과, 상기 초음파 진동자 및 상기 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기동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팬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를 가습한다고 하는 본래적인 기능을 저감하는 일 없이 눈에 보이는 연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도 3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도 3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본체부를 상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물탱크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의 물탱크의 물방울 유도 부재를 상방의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의 물탱크의 물방울 유도 부재를 하방의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의 덮개 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도 12에 있어서의 XIII-XIII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제어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가습기(1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습기(10)는 탱크 본체(21)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물탱크(20)를 갖는다. 탱크 본체(21)의 상부에는 덮개(30)가 물탱크(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30)에는 안개 형태의 물방울이 외부로 방출되는 물방울 분출구(31)가 설치되어 있다. 물탱크(20)는 물탱크(20)의 하측 본체부(4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40)는 터치 버튼이나 표시 램프 등을 구비하는 조작 패널(41)이 설치되어, 전원의 온/오프나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작 패널(41)측을 정면(전방)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배면(후방)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덮개(30)측을 위, 본체부(40)측을 아래로 하고, 가습기(10)를 정면으로부터 보아서 우측을 오른쪽, 좌측을 왼쪽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기(10)는 덮개(30)와, 물탱크(20)와, 본체부(40)를 분리할 수 있다. 물탱크(20)는 탱크 본체(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물방울 유도 부재(28)를 구비한다. 가습기(10)는 물탱크(20)(후술하는 탱크 본체(21)) 외부에 물을 유통시켜 안개 형태의 물방울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세정은 물탱크(20)의 탱크 본체(21) 내부만 행하면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0)는 저부를 저면(42)으로 하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0)는 내경이 물탱크(20)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저면(42)에는 물탱크(20)가 적재된다. 본체부(40) 저면(42)의 대략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접속 단자가 배치되는 접속 단자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부(43) 우측의, 저면(42)의 테두리부 근방에는 공기 구멍(42a)이 설치되어 있다. 공기 구멍(42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42)으로부터 본체부(40) 하면에 걸쳐서 관통하는 구멍이다. 공기 구멍(42a)은 물탱크(20)가 저면(42)에 적재될 때, 저면(42)과 물탱크(20)(후술하는 하부 케이스(24)) 하면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빼기 위한 관통 구멍이다.
저면(42)의 외주에는 저면(42)으로부터 세워 설치하도록 하여 대략 원환 형상의 환상부(44)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부(44) 상면(44a)에는 정면측에 조작 패널(41)이 설치되어 있다. 상면(44a)은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내려가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환상부(44) 배면측에는 오목부(44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4b)에는 후술하는 물탱크(20)의 덕트(22)가 삽입된다. 오목부(44b) 정면측에는 오목부(44b)를 향하여 개구되는 송풍구(45)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구(45)에는 4개의 구멍부가, 환상부(44)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원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0) 내부에는 팬(46)이 설치되어 있다. 팬(46)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로코 팬에 의해 구성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46a)가 상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토출구(46a) 상방에는 토출구(46a)에 덮이도록, 내면이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덕트부(45a)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부(45a) 후방측에는 전술한 송풍구(45)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부(45a)에 의해, 팬(46)의 토출구(46a)로부터의 송풍 공기는 오목부(44b)에 대응하여 개구되는 송풍구(45)에 유통된다.
또한, 본체부(40) 하면에는 필터 등을 구비하여 개구되는 공기 도입구(46b)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0) 하면에는 다리부(40a)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가습기(10)(본체부(40))를 적재하는 탁상 등의 적재면과, 본체부(40)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공기 도입구(46b)로부터 외부 공기가 도입된다.
또한, 본체부(40) 내부에는 물탱크(20)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자(25), 발광부(26), 수위 센서(27)(이상에 대해서는 후술함)나 팬(46)을 제어하는 제어부(47)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47)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마이크로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47)는 히트 싱크(47a)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400)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 등을 구비한다. 기억부는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으로 구성되고, 제어 프로그램이나 설정 정보 등이 기억된다. 제어 장치(400)는 조작 패널(41)이나 접속 단자부(23, 4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조작 신호의 송수신이나 전원 공급이 행해진다. 또한, 가습기(10)는 본체부(40)의 배면 하부에 설치되는 전원 단자(40b)(도 2 참조)로부터 AC 전원 어댑터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도 8 및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물탱크(20)는 탱크 본체(21)를 구비한다. 탱크 본체(21)는 대략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투명 부재로 이루어지고, 안개 형태의 물방울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이 저류된다. 탱크 본체(21)의 개구 테두리는 도 6에 특별히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한 벽 형상의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상 벽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 본체(21)의 환상 벽부(21c)의 좌우에는 환상 벽부(21c)의 내측에, 오목 형상(탱크 본체(21) 내부에는 볼록 형상)의 손잡이(2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 본체(21)의 배면측에는 수위 센서(27)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 센서(27)는 상측과 하측 2군데에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 등의 접촉 방식 또는 전파식 등의 비접촉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수위 센서(27)에 의해, 탱크 본체(21) 내에 저류되는 물의 과부족이 검출되고, 조작 패널(41)의 표시 램프 등에 의해 통지된다. 수위 센서(27)는 탱크 본체(21)의 배면측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센서 케이스부(21b) 내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 본체(21)의 배면측에는 덕트(22)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22)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센서 케이스부(21b)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덮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덕트(22)의 상단부는 굴곡되어 형성되고,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상측 개구부(22a)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22)의 하단부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하측 개구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 본체(21) 하면측에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하부 케이스(24)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24)는 탱크 본체(21)와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24)는 덕트(22)의 하측 개구부(22b)에 대응하는 배면측 외주면으로부터 하면에 걸쳐서 오목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24)의 대략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에 걸쳐서 연장되는 오목홈(24b)이 설치되어 있다. 오목홈(24b)은 오목부(24a)와 후단부에서 접속하고 있다. 오목홈(24b)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접속 단자가 배치되는 접속 단자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24)의 하면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복수의 다리부(24c)가 설치되어, 본체부(40)에 적재 했을 때, 저면(42)과 하부 케이스(24)의 하면이 밀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4)의 내부에는 초음파 진동자(25)가 설치되어 있다. 초음파 진동자(25)는 탱크 본체(21) 하면에 설치되는 개구부(21d)로부터, 초음파 진동자(25)에 있어서 진동하는 면인 진동면(25a)이 면해지도록 배치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동자(25)와 개구부(21d)의 테두리부와의 접속부(25b)는 시일되어 있다. 초음파 진동자(25)는 가습기(10)의 축심(CL)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동자(25)는 평면에서 보아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원통부(28a)(후술한다.)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25)는 수평면에 평행한 중심선(전후 방향의 중심선(FB-CL) 및 좌우 방향의 중심선(LR-CL)) 중 중심선(LR-CL) 상이며, 중심선(FB-CL)보다도 우측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동자(25)는 진동면(25a)이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4)의 내부에는 발광부(26)가 설치되어 있다. 발광부(26)는 대략 원환 형상의 기판(26a)에 설치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LED)로 되어 있다. 발광부(26)는 축심(CL)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등각으로 3개 배치되어 있다. 발광부(26)는 모두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원통부(28a)보다도 외측인 탱크 본체(21) 내에 위치하고 있다. 발광부(26)로부터 발해지는 광은 투명하게 형성되는 탱크 본체(21) 하면을 투과한다.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방울 유도 부재(28)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하측에는 대략 일정한 외경 및 내경으로 형성되는 원통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28a)의 상측에는 원통부(28a)와 연속하여,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상단부를 향하여 점차 확대 개방되는 확대 개방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확대 개방부(28b)의 상단부로부터는 대략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측 환상 벽부(28c)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환상 벽부(28c)의 외경은 탱크 본체(21)의 환상 벽부(21c)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하측 환상 벽부(28c)는 수평한 원환 판상의 단차부판(28d)을 통하여, 대략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측 환상 벽부(28e)와 접속되어 있다. 상측 환상 벽부(28e)의 외경은 탱크 본체(21)의 환상 벽부(21c)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좌우에는 각각 하측 환상 벽부(28c)의 외측면으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는 오목부(28c1)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8c1)는 탱크 본체(21)의 손잡이(21a)가 삽입 가능한 크기의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배면측에는 하측 환상 벽부(28c)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는 오목부(28c2)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28c2)는 덕트(22)의 상측 개구부(22a)를 포함하는 상단부 부분이 들어갈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개구부(22a)와 대향하는 오목부(28c2)의 부위는 오목 만곡 형상부(28c3)로 되고, 상측 개구부(22a)로부터의 송풍을 탱크 본체(21)의 저부를 향하여 유도한다.
도 9, 도 10으로 돌아가서, 물방울 유도 부재(28)에는 원통부(28a)로부터 확대 개방부(28b)에 걸쳐, 배면측에 복수의 연통 구멍부(28f)가 설치되어 있다. 연통 구멍부(28f)는 수평 방향(좌우 방향)으로 긴 슬릿(28f1)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구성된다. 연통 구멍부(28f)에 의해,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내외가 연통된다. 슬릿(28f1)은 하측 슬릿(28f1)보다도 상측 슬릿(28f1) 쪽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통 구멍부(28f)는 공기를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내외에 유통시키는 개구인 바, 수위가 높을 때에는 하측 슬릿(28f1)이 수중에 위치하여 기능하지 않고 수면보다도 상측 슬릿(28f1)이 기능하며, 수위가 낮을 때에는 수면보다 위에 다수의 슬릿(28f1)이 위치하여 공기 유통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위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슬릿(28f1) 수가 변화해도, 공기의 유통량을 대략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하측 슬릿(28f1)보다도 상측 슬릿(28f1)쪽을 길게 형성하고 있다.
최상부의 슬릿(28f11)의 상부에는 가장 긴 슬릿(28f11)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28g)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28a)의 하단부 개구의 배면측에는 원통부(28a)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돌기(28h)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28h)는 하면에 오목 형상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주로 확대 개방부(28b)의 외주면에는 물방울 유도 부재(28)(가습기(10))의 축심(CL)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의 복수의 홈(28k1)으로 이루어지는 홈부(28k)가 설치되어 있다. 홈(28k1)은 가는 홈으로 되어 있고, 물방울 유도 부재(28)를 저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방울 유도 부재(28)는 물탱크(20)의 탱크 본체(21)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단차부판(28d)은 탱크 본체(21) 상단부에 접촉하도록 하여 적재된다. 물탱크(20)의 손잡이(21a)에 대응하는 탱크 본체(21)의 상면은 오목부(28c1)에 대응하는 단차부판(28d)의 하면과 접촉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0)는 원판부(32)의 외주에 원환 형상의 환상 벽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 벽부(33)는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상측 환상 벽부(28e) 및 탱크 본체(21)의 환상 벽부(21c)보다도 외형이 크게 형성되어 상측 환상 벽부(28e) 및 환상 벽부(21c)를 덮을 수 있을 정도로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환상 벽부(33)의 내주면과 상측 환상 벽부(28e)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간극은 물이 체류함으로써 시일된다. 이에 의해, 덮개(30)의 주연부로부터, 안개 형태의 물방울이 외부에 누설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도 11로 돌아가, 원판부(32)에는 상면측으로부터 볼 때 원환 형상의 오목홈(32a)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2도 참조). 덮개(30) 내면에는 물방울 분출구(31)에 대응하여 규제 벽부(34)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 벽부(34)는 덮개(30)(원판부(32))의 내면으로부터 벽 형상으로 세워 설치하고, 물방울 분출구(31)의 개구 덮개(30)의 직경 내측 방향측의 내측 테두리 및 덮개(30)의 원주 방향 측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다.
가습기(10)에 있어서의 안개 형태의 물방울 생성과, 외부에의 방출에 관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과 같이, 본체부(40)에, 소정 수위(수면(W3))까지 물을 넣은 물탱크(20)를 적재하여, 물방울 유도 부재(28) 및 덮개(30)를 탱크 본체(21)에 세트한다. 통상 운전모드에서는 초음파 진동자(25)가 연속적으로 기동된다. 그러면, 초음파 진동자(25)의 진동면(25a)으로부터의 진동 에너지에 의해, 수면에 물기둥(W1)이 형성된다. 이때, 진동면(25a)은 연통 구멍부(28f)와 반대측의 전방에 경사져 설치되므로, 물기둥(W1)도 경사져 형성된다.
물기둥(W1)이 형성되면, 연속하여 전달되는 진동 에너지가 발산되어 물방울(W2)이 생성된다. 무수하게 발생하는 물방울(W2)은 안개 형태로 시인할 수 있고, 중력에 의해 하방에 저류된다. 또한, 연통 구멍부(28f)의 상부에 설치되는 돌기(28g)에 의해 확대 개방부(28b)의 내면에 부착된 물방울(W2) 등의 물이 막히므로, 슬릿(28f1)이 물에 의해 막히는 것이 억제된다.
여기에서 가령, 초음파 진동자(25)의 진동면(25a)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기둥(W1)도 수직으로 형성된다. 수직으로 형성된 물기둥(W1)의 경우에는 물기둥(W1)의 자중에 의해, 형성된 물기둥(W1)이 찌부러져 버려, 안개 형태의 물방울(W2)의 생성 효율이 나빠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경사져 형성되는 물기둥(W1)에서는 물기둥(W1)이 자중에 의해 찌부러지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25)는 축심(CL)으로부터 오프셋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원통부(28a)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져 형성되는 물기둥(W1)이 무너져 낙하하는 물은, 원통부(28a)로부터 확대 개방부(28b)에 걸친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내면 위를 흘러서 수면(W3)에 낙하한다. 따라서, 물기둥(W1)이 무너진 물이 직접 수면(W3)에 낙하하는 일이 없으므로, 물보라에 의한 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확대 개방부(28b)가 확대 개방되는 정도와, 초음파 진동자(25)의 진동면(25a)이 경사지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낙하하기 시작하는 물기둥(W1)으로부터의 물을 확대 개방부(28b)의 내면에서 받도록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물방울(W2)을 생성하면서, 적절하게 정음화(靜音化)시킬 수 있다.
통상 운전모드에서는 초음파 진동자(25)가 기동하고 있는 동안, 팬(46)도 기동하고 있다. 팬(46)이 기동하고 있을 때에는 팬(46)에 의해 물방울 분출구(31)로부터 안개 형태의 물방울(W2)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팬(46)으로부터의 송풍은 이하와 같이 유통한다. 팬(46)의 토출구(46a)로부터의 송풍(화살표 F1)은 덕트부(45a)에 의해 송풍구(45)로부터 토출하여, 하측 개구부(22b)를 통하여 덕트(22) 내를 유통한다(화살표 F2, F3). 덕트(22)를 유통하는 송풍 공기는 상측 개구부(22a)를 통하여 오목부(28c2)의 오목 만곡 형상부(28c3)를 통하여 탱크 본체(21) 내부이며,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외측에 유입된다(화살표 F4). 이에 의해, 탱크 본체(21) 내부에 있어서의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외측 압력이 높아지면, 연통 구멍부(28f)를 통하여,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내부에,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외측 공기가 유입된다.
초음파 진동자(25)와 팬(46)을 연속적으로 기동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물방울(W2)이 생성되면서,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면,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안개 형태의 물방울(W2)은 물방울 분출구(31)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덮개(30)의 규제 벽부(34)에 의해, 비교적 입자가 작은 물방울(W2)은 공기의 흐름을 타고 규제 벽부(34)의 하측이나 측방을 돌아서 물방울 분출구(31)로부터 외부로 방출되지만, 비교적 입자가 큰 물방울(W2)은 규제 벽부(34)에 부착되어, 이윽고 수면(W3)에 낙하한다. 이와 같이, 규제 벽부(34)에 의해, 비교적 큰 입자의 물방울(W2)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규제되므로, 가습기(10)를 설치한 주위를 습윤시켜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가습기(10)는 시각적으로 즐길 수 있는 운전모드로서 포그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포그 모드에서의 운전은 도 14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한다.
스텝 S01; 제어부(47)는 설정한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 동안, 초음파 진동자(25)를 기동시킨다. 이때, 팬(46)은 기동시키지 않고, 정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물방울(W2)의 생성(안개화)이 행해지지만, 팬(46)이 정지하고 있으므로, 생성된 물방울(W2)은 물방울 분출구(31)로부터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물방울 유도 부재(28) 내부에 저류되면서, 연통 구멍부(28f)를 통하여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방출되고, 탱크 본체(21) 내부에 저류된다. 제1 소정 시간은 예를 들어 "7초"로 설정할 수 있다.
스텝 S02; 제어부(47)는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 경과 후, 설정한 소정 시간(제1 대기 시간) 동안, 초음파 진동자(25) 및 팬(46)을 모두 정지시킨다. 물방울 유도 부재(28) 내부에 저류된 물방울(W2)은 연통 구멍부(28f)를 통하여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외부에 계속하여 방출되고, 탱크 본체(21) 내에 머무른다. 제1 대기 시간은 예를 들어 "30초"로 하여, 제1 소정 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스텝 S03; 제어부(47)는 설정한 소정 시간(제2 소정 시간) 동안, 초음파 진동자(25)는 정지시킨 채 팬(46)을 기동시킨다. 그러면,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외측 탱크 본체(21) 내에 저류된 안개 형태의 물방울(W2)은 팬(46)으로부터 보내진 공기와 함께 연통 구멍부(28f)를 통하여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내부에 유입되고, 물방울 분출구(31)로부터 가습기(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제2 소정 시간은 예를 들어 "20초"로 할 수 있다.
스텝 S04; 제어부(47)는 팬(46)을 소정 시간(제2 대기 시간) 동안 정지시킨다. 팬(46)은 전원 공급이 정지되어도 타성으로 회전하지만, 이 스텝 S04에 의해, 팬(46)은 완전히 정지한다. 제2 대기 시간은 예를 들어 "5초"로 할 수 있다.
이상의 스텝 S01 내지 S04를 반복함으로써, 탱크 본체(21)의 수면 상에 물방울(W2)이 안개 형태로 저류되고, 이 저류된 안개 형태의 물방울이 물방울 분출구(31)로부터 방출되는 모습이 반복된다. 따라서, 탱크 본체(21)에 서서히 저류되어 가는 안개 형태의 물방울(W2)의 모습을 보며 즐길 수 있는 동시에, 물방울(W2)은 통상 운전모드와 마찬가지로 물방울 분출구(31)부터 외부로 방출되므로, 가습기(10)의 본래 기능인 실내의 가습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가습기(10)의 동작을 보며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47)에 의한 가습기(10)의 제어 방법은 스텝 S01 내지 S02를 포함하는 물방울 저류 공정과, 스텝 S03 내지 스텝 S04를 포함하는 물방울 방출 공정을 갖는다. 즉, 물방울 저류 공정은 물탱크(20)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자(25)를 기동하여 안개 형태의 물방울(W2)을 발생시키고, 물방울 분출구(31)로부터 안개 형태의 물방울(W2)을 방출시키는 팬(46)을 정지하여 물탱크(20)에 안개 형태의 물방울(W2)을 저류한다. 그리고, 물방울 방출 공정은 팬(46)을 기동하여, 물방울 저류 공정에서 저류된 안개 형태의 물방울(W2)을 물 분출구로부터 방출시킨다.
또한, 제어부(47)는 발광부(26)를 제어하여, 적당한 타이밍에 발광시켜서 가습기(10) 사용자가 광을 보며 즐길 수 있도록 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26)로부터의 광은 물방울 유도 부재(28)의 만곡된 확대 개방부(28b) 외주면에 조사된다. 그리고, 확대 개방부(28b) 외주면에는 만곡된 홈부(28k)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광부(26)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난반사하여 간접 조명 효과가 발휘된다.
즉, 가습기(10)에서는 안개와 같이 보이는 물방울(W2)이 물탱크(20) 수면 위에 서서히 체류하고, 방출되면서, 발광부(26)로부터의 광에 의한 간접 조명 효과로 물탱크(20) 내부를 어렴풋하게 빛나게 할 수 있으므로, 차분한 분위기의 연출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방울 유도 부재(28)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제어부(47)는 초음파 진동자(25)가 기동하고 있을 때에는 팬(46)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고 하는 제어 방법(물방울 저류 공정 및 물방울 방출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물탱크(20) 내부에 안개 형태의 물방울이 저류되는 상황을 보며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7)는 팬(46)을 기동하고 있을 때에는 초음파 진동자(25)를 정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물탱크 내부에 저류된 안개 형태의 물방울을 단숨에 외부로 방출한다고 하는 연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물방울 유도 부재(28)를 구비함으로써, 물방울(W2)의 외부에의 방출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방울(W2)이 생성되는 모습을 숨기면서, 사용자로부터는 보이기 어려운 배면측에 설치된 연통 구멍부(28f)로부터 물방울(W2)을 탱크 본체(21)에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환상적인 연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물방울 유도 부재(28)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물탱크(20)의 탱크 본체(21)는 내부에 안개 형태의 물방울이 저류되어 있는 모습을 시인할 수 있으면 되며, 착색 투명이나, 적절히 개구를 설치하여 내부를 시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실내를 가습한다고 하는 본래적인 기능을 저감하는 일 없이 눈에 보이는 연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10: 가습기
20: 물탱크
21: 탱크 본체
21a: 손잡이
21b: 센서 케이스부
21c: 환상 벽부
21d: 개구부
22: 덕트
22a: 상측 개구부
22b: 하측 개구부
23: 접속 단자부
24: 하부 케이스
24a: 오목부
24b: 오목홈
24c: 다리부
25: 초음파 진동자
25a: 진동면
25b: 접속부
26: 발광부
26a: 기판
27: 수위 센서
28: 물방울 유도 부재
28a: 원통부
28b: 확대 개방부
28c: 하측 환상 벽부
28c1: 오목부
28c2: 오목부
28c3: 오목 만곡 형상부
28d: 단차부판
28e: 상측 환상 벽부
28f: 연통 구멍부
28f1: 슬릿
28f11: 슬릿
28g: 돌기
28h: 돌기
28k: 홈부
28k1: 홈
30: 덮개
31: 물방울 분출구
32: 원판부
32a: 오목홈
33: 환상 벽부
34: 규제 벽부
40: 본체부
40a: 다리부
40b: 전원 단자
41: 조작 패널
42: 저면
42a: 공기 구멍
43: 접속 단자부
44: 환상부
44a: 상면
44b: 오목부
45: 송풍구
45a: 덕트부
46: 팬
46a: 토출구
46b: 공기 도입구
47: 제어부
47a: 히트 싱크
400: 제어 장치

Claims (9)

  1.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심이 상하 방향을 향하고,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물방울 유도 부재;
    상기 물탱크와 연통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생성된 안개 형태의 물방울을 외부로 방출하는 물방울 분출구;
    상기 물탱크 내부에 송풍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개 형태의 물방울을 상기 물방울 분출구로부터 방출시키는 팬; 및
    상기 초음파 진동자 및 상기 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방울 유도 부재는 상기 물방울 유도 부재의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부가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기동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팬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과, 상기 초음파 진동자 및 팬 모두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기동하여 상기 팬을 정지하며,
    상기 제1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초음파 진동자 및 상기 팬 모두 정지하고, 그리고
    제2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정지하여 상기 팬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발광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방울 유도 부재는 상단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확대 개방부를 갖고,
    상기 확대 개방부는 외주면에서 상기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긴 복수의 슬릿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슬릿은 하측의 상기 슬릿보다 상측의 상기 슬릿이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7029533A 2021-11-30 2022-04-12 가습기 KR102589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94804A JP7128599B1 (ja) 2021-11-30 2021-11-30 加湿器
JPJP-P-2021-194804 2021-11-30
PCT/JP2022/017553 WO2023100391A1 (ja) 2021-11-30 2022-04-12 加湿器及び加湿器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092A KR20230084092A (ko) 2023-06-12
KR102589847B1 true KR102589847B1 (ko) 2023-10-16

Family

ID=8375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533A KR102589847B1 (ko) 2021-11-30 2022-04-12 가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9847B1 (ko)
CN (1) CN115280073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9511A (ja) * 2010-08-10 2010-11-04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加湿器
JP2014057952A (ja) * 2012-08-20 2014-04-03 Seiko Giken:Kk 霧発生装置
KR101743032B1 (ko) * 2015-12-28 2017-06-02 아스코코리아 주식회사 초음파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6802B2 (ja) * 2010-05-12 2013-03-06 ビーケー ワール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加湿器
KR20120084420A (ko) * 2011-01-20 2012-07-30 김학열 무드등 기능이 구비된 조형물 형상의 가습기
KR101374967B1 (ko) * 2013-07-15 2014-03-17 서동진 부유식 가습기
CN207035397U (zh) * 2017-07-11 2018-02-23 深圳市邻友通科技发展有限公司 落水消声机构及雾化器
CN107917494B (zh) * 2017-12-22 2024-03-29 广东科高电器有限公司 香薰机及加湿器静音器
JP7174584B2 (ja) * 2018-09-27 2022-11-17 リズム株式会社 超音波加湿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9511A (ja) * 2010-08-10 2010-11-04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加湿器
JP2014057952A (ja) * 2012-08-20 2014-04-03 Seiko Giken:Kk 霧発生装置
KR101743032B1 (ko) * 2015-12-28 2017-06-02 아스코코리아 주식회사 초음파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80073A (zh) 2022-11-01
KR20230084092A (ko) 2023-06-12
CN115280073B (zh)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6271B2 (en) Humidifier with lighted tank
US7963460B2 (en) Detachable aromatic nebulizing diffuser
JP5635147B2 (ja) 加湿装置
ES2396729T3 (es) Chimenea artificial
JP2015072120A (ja) 加湿装置
JP2013185819A (ja) 加湿装置
US6301433B1 (en) Humidifier with light
CN108653785A (zh) 一种香味生成装置、香薰装置及电子蜡烛
JP2019534156A (ja) 拡散装置及び方法
JP7328708B2 (ja) 加湿器
KR20120084420A (ko) 무드등 기능이 구비된 조형물 형상의 가습기
KR102589847B1 (ko) 가습기
JP7174584B2 (ja) 超音波加湿器
JP7128599B1 (ja) 加湿器
GB2473290A (en) Aromatic nebulizing diffuser
JP2003014263A (ja) 加湿器
WO2021256122A1 (ja) 微粒子群の空間配置制御システム、微粒子群の空間配置制御方法、微粒子群の空間配置制御プログラム
CN210320464U (zh) 一种雾化装置及空调器
JP2004116839A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CN208160779U (zh) 一种香味生成装置及香薰装置
JP2023015222A (ja) 拡散器
CN216953348U (zh) 均匀出雾的火焰加湿器
CN217660860U (zh) 一种带遥控器的蜡烛香薰机
CN213687191U (zh) 一种香薰装置
CN218961399U (zh) 香薰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