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705B1 -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및 플라이백 dc-dc 컨버터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및 플라이백 dc-dc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705B1
KR102589705B1 KR1020210114748A KR20210114748A KR102589705B1 KR 102589705 B1 KR102589705 B1 KR 102589705B1 KR 1020210114748 A KR1020210114748 A KR 1020210114748A KR 20210114748 A KR20210114748 A KR 20210114748A KR 102589705 B1 KR102589705 B1 KR 102589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verter
digital
primary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2198A (ko
Inventor
이정윤
김진성
박기태
Original Assignee
(주)아이언디바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언디바이스 filed Critical (주)아이언디바이스
Priority to KR102021011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70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at least two simultaneously operating switches on the input side, e.g. "double forward" or "double (switched) flyback"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50Digital/analogue converters using delta-sigma modulation as an intermediate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차 전압(VIN)이 인가되는 1차측 권선 및 2차 전압(VOUT)이 형성되는 2차측 권선으로 구성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1차측 권선에 접속되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를 제시하며, 상기 피드백 회로는 상기 2차 전압(VOUT)을 분배하여 분배 전압(VFB_2nd)을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 상기 분배 전압(VFB_2nd)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생성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형성하는 정전용량성 절연기(Capacitive Isoltor); 상기 AD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를 생성하는 DA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1차 전압(VIN)을 상기 2차 전압(VOUT)으로 레귤레이팅(regulating)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및 플라이백 DC-DC 컨버터{FEEDBACK CIRCUIT OF FLYBACK DC-DC CONVERTER, FLYBACK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플라이백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이백 DC-DC 변환기의 회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라이백 DC-DC 변환기는 벅/부스트 변환기와 달리 1차측 권선(N1) 및 2차측 권선(N2)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입력 전압(VIN) 측인 1차측과 출력 전압(VOUT) 측인 2차측 간에 접지 절연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1차측 권선(N1)에는 입력되는 제어 신호(VGN)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치(SW)가 접속되며, 스위치(SW)의 온 상태에서는 1차측 권선(N1)에 에너지가 저장되고, 스위치(SW)의 오프 상태에서는 1차측 권선(N1)에 저장된 에너지가 2차측 권선(N2)에 전달되어 부하(ROUT)가 구동된다. 스위치(SW)의 온오프 제어를 위해 플라이백 DC-DC 변환기에는 제어기(Flyback Controller)가 마련되며, 제어기(Flyback Controller)는 2차측 출력 전압(VOUT)이 목표 전압이 되도록 제어 신호(VGN)를 스위치(SW)로 인가하여 스위치(SW)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1차측 입력 전압(VIN)을 레귤레이팅하여 정확한 2차측 출력 전압(VOUT)을 형성하기 위한 전압 레귤레이션 정밀도는, 제어기(Flyback Controller)가 2차측 출력 전압(VOUT)을 피드백받아 보다 정확한 제어 신호(VGN)를 생성하는 것에 의존한다.
도 1에 도시된 플라이백 DC-DC 변환기의 경우, 1차측(입력) 및 2차측(출력) 간의 접지 절연이 트랜스포머를 통해 쉽게 구현될 수 있어 잡음에 민감한 회로에 효과적인 구조이지만, 같은 이유로 레귤레이션되는 2차측 출력 전압(VOUT)을 1차측의 제어기(Flyback Controller)에 직접적으로 피드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전압 레귤레이션의 정밀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도 2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제시된, 광결합기(OptoCoupler)를 이용한 플라이백 DC-DC 변환기의 회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2차 측의 센싱 전압(VFB_2nd)으로부터 광결합기를 통해 1차측 피드백 전압(VFB_1st)이 생성되어 제어기(Flyback Controller)에 입력되는 구조로 피드백 루프가 구성된다. 광결합기(OptoCoupler)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하나의 패키지로 결합한 장치로 전기적 절연 상태에서 전기 신호 전달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광결합기(OptoCoupler)는 잘 알려진 문제점으로 전력 소모가 높고, 동적 응답 성능이 제한적이며 수발광 소자의 내구성 문제로 전류 전달 비율(current transfer ratio : CTR)의 변동으로 인한 신뢰성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광결합기(OptoCoupler)는 별도의 패키지로 구성되고, 디커플링 커패시터 등의 추가 부품을 필요로 하여, 이는 플라이백 DC-DC 변환기 피드백 시스템 구성을 위한 부품 비용을 높이고 해당 부품들을 위한 PCB 면적 할당을 요구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종래 광-결합기의 사용으로 인해 야기되었던 높은 전력 소모, 제한된 동적 응답 성능, 저 내구성, 많은 부품에의 의존성 및 사이즈 증대의 문제를 제거하고,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유지하면서도 2차측 출력 전압을 1차측의 제어기에 피드백하여 전압 레귤레이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및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차 전압(VIN)이 인가되는 1차측 권선 및 2차 전압(VOUT)이 형성되는 2차측 권선으로 구성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1차측 권선에 접속되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를 제시하며, 상기 피드백 회로는 상기 2차 전압(VOUT)을 분배하여 분배 전압(VFB_2nd)을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 상기 분배 전압(VFB_2nd)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생성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형성하는 정전용량성 절연기(Capacitive Isoltor); 상기 AD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를 생성하는 DA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1차 전압(VIN)을 상기 2차 전압(VOUT)으로 레귤레이팅(regulating)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AD 변환부는,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Sigma-Delta Modulator), 디지털 필터 및 데시메이터(Decimator)를 포함하는 시그마-델타 AD 변환기(Sigma-Delta Analog-Digital Convert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정전용량성 절연기는, 상기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 및 상기 디지털 필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는 상기 분배 전압(VFB_2nd)을 입력으로 하여 제1 디지털 펄스(DΣ-Δ_2nd)를 출력하고, 상기 정전용량성 절연기는 상기 제1 디지털 펄스(DΣ-Δ_2nd)를 입력으로 하여 제2 디지털 펄스(DΣ-Δ_1st)를 출력하며, 상기 제2 디지털 펄스(DΣ-Δ_1st)는 상기 디지털 필터, 상기 데시메이터 및 상기 DA 변환부를 거쳐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정전용량설 절연기는, 발진 전압(VOSC)을 생성하는 발진기(Oscillator); 상기 제1 디지털 펄스(DΣ-Δ_2nd)를 상기 발진 전압에 캐리(Carry)하여 송신 전압(VTX)을 생성하는 버퍼(Buffer);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에 상기 송신 전압(VTX)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전극에 수신 전압(VRX)이 형성되는 접지 절연 커패시터; 및 상기 수신 전압(VRX)의 발진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디지털 펄스(DΣ-Δ_1st)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발진 감지기(Oscillation Dete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라이백 DC-DC 컨버터는 1차 전압(VIN)이 인가되는 1차측 권선, 및 2차 전압(VOUT)이 형성되는 2차측 권선으로 구성되는 트랜스포머; 상기 1차측 권선에 접속되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치; 상기 2차 전압(VOUT)을 분배하여 분배 전압(VFB_2nd)을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 상기 분배 전압(VFB_2nd)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생성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형성하는 정전용량성 절연기(Capacitive Isoltor); 상기 AD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를 생성하는 DA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1차 전압(VIN)을 상기 2차 전압(VOUT)으로 레귤레이팅(regulating)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그마-델타 ADC 및 정전용량성 절연기를 통해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2차측 출력 전압을 1차측 제어기로 피드백함으로써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유지하는 동시에 그 피드백 루프를 구현할 수 있어 전압 레귤레이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고, 종래의 광-결합기에 대한 의존도를 제거하여 on-chip으로의 구현이 용이하고 추가적인 PCB 부품을 요구하지 않아 플라이백 DC-DC 컨버터 피드백 시스템의 초소형화 및 원가절감이 가능할 수 있으며, 광-결합기의 CTR 감소로 인한 신뢰성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회로 구조를 보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DC-DC 컨버터 및 그 피드백 회로의 구조를 보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DC-DC 컨버터에서 신호 전달 파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DC-DC 컨버터에서 정전용량설 절연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DC-DC 컨버터에서 정전용량성 절연기의 신호 전달 파형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및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DC-DC 컨버터 및 그 피드백 회로의 구조를 보인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DC-DC 컨버터에서 신호 전달 파형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DC-DC 컨버터에서 정전용량설 절연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DC-DC 컨버터에서 정전용량성 절연기의 신호 전달 파형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200)는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이 확보되는 동시에 2차측 출력 전압을 1차측의 제어부(250)에 피드백하는 회로로서 기능하며, 도 3에는 플라이백 DC-DC 컨버터와 그 피드백 회로를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피드백 회로가 플라이백 DC-DC 컨버터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라이백 DC-DC 컨버터(100)는 1차 전압(VIN)이 인가되는 1차측 권선(N1) 및 2차 전압(VOUT)이 형성되는 2차측 권선(N2)으로 구성되는 트랜스포머(TF)와, 1차측 권선(N1)에 접속되며 후술하는 제어부(25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VGN)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치(SW)와, 2차측 권선(N2)에 접속된 정류 다이오드(D1)와, 2차 전압(VOUT)이 저장되는 출력 커패시터(COUT)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치(SW)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MOSFET으로 구현되어, 드레인 단자가 1차측 권선(N1)의 일 단에 결선되고, 소스 단자가 접지되며, 게이트 단자를 통해 제어부(250)로부터의 제어 신호(스위치 온오프 전압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드백 회로(200)는 전압 분배부(210), AD 변환부(220), 정전용량성 절연기(230), DA 변환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전압 분배부(210)는 트랜스포머(TF)의 2차측 권선(N2)에 형성된 2차 전압(VOUT)을 분배하여 분배 전압(VFB_2nd)을 생성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압 분배부(210)는 직렬 접속된 제1 및 제2 저항(RF1, RF2)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 저항(RF1, RF2)을 통한 2차 전압(VOUT)의 분배를 통해 제2 저항(RF2)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배 전압(VFB_2nd)으로서 후술하는 AD 변환부(220)에 출력한다. 제1 및 제2 저항(RF1, RF2)의 저항값은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전압 레귤레이션 정밀도에 기초하여 설계자의 설계에 의해 특정값으로 선택되어 있을 수 있다.
AD 변환부(220)는 전압 분배부(210)에 의해 생성된 분배 전압(VFB_2nd)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생성하며,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Sigma-Delta Modulator)(221), 디지털 필터(예: LPF)(222) 및 데시메이터(Decimator)(223)를 포함하는 주지의 시그마-델타 AD 변환기(Sigma-Delta Analog-Digital Converter)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용량성 절연기(230)는 AD 변환부(220)에 접속되어 트랜스포머(TF)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형성한다. 정전용량성 절연기(230)와 AD 변환부(220)의 결선과 관련하여, 트랜스포머(TF)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이 유지되는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피드백 루프가 구현될 수 있도록, 정전용량성 절연기(230)는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221) 및 디지털 필터(222) 사이에 접속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전용량설 절연기는 발진기(Oscillator, 예: Ring Oscillator)(231)와, 버퍼(Buffer)(232)와, 접지 절연 커패시터(CISO)와, 발진 감지기(Oscillation Detector)(2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AD 변환부(220) 및 정전용량설 절연기의 결선 구조에 따른 신호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221)는 분배 전압(VFB_2nd)을 입력으로 하여 제1 디지털 펄스(DΣ-Δ_2nd)를 출력한다. 제1 디지털 펄스(DΣ-Δ_2nd)는 PCM(Pulse Code Modulation) 정보로서 1-bit data stream에 해당한다.
정전용량성 절연기(230)는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221)로부터 출력된 제1 디지털 펄스(DΣ-Δ_2nd)를 입력으로 하여 제2 디지털 펄스(DΣ-Δ_1st)를 출력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진기(231)에 의해 발진 전압(VOSC)이 생성되면, 버퍼(232)는 제1 디지털 펄스(DΣ-Δ_2nd)를 발진 전압(VOSC)에 캐리(Carry)하여 송신 전압(VTX)을 생성한다. 발진기(231) 및 버퍼(232)는 정전용량성 절연기(230)의 송신단(TX)에 해당한다.
접지 절연 커패시터(CISO)의 제1 전극에 상기한 송신 전압(VTX)이 인가됨에 따라 접지 절연 커패시터(CISO)의 제2 전극에는 수신 전압(VRX)이 형성된다.
발진 감지기(233)는 접지 절연 커패시터(CISO)의 제2 전극에 형성된 수신 전압(VRX)의 발진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제2 디지털 펄스(DΣ-Δ_1st)를 생성하여 디지털 필터(222)로 출력한다. 발진 감지기(233)는 정전용량성 절연기(230)의 수신단(RX)에 해당하며, 수신 전압(VRX)이 발진하는 구간에서는 High-Level, 발진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Low-Level을 갖는 1-bit data stream인 제2 디지털 펄스(DΣ-Δ_1st)를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발진 감지기(233)로부터 출력된 제2 디지털 펄스(DΣ-Δ_1st)는 디지털 필터(222) 및 데시메이터(223)를 거쳐 디지털 전압 신호(VD)로 변환되고, DA 변환부(240)는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를 생성하여 제어부(250)로 출력한다.
이후, 제어부(250)(Flyback Controller)는 DA 변환부(240)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에 따라 전술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SW)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1차 전압(VIN)을 2차 전압(VOUT)으로 레귤레이팅(regulating)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시그마-델타 ADC 및 정전용량성 절연기를 통해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2차측 출력 전압을 1차측 제어기로 피드백함으로써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유지하는 동시에 그 피드백 루프를 구현할 수 있어 전압 레귤레이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종래의 광-결합기에 대한 의존도를 제거하여 on-chip으로의 구현이 용이하고 추가적인 PCB 부품을 요구하지 않아 플라이백 DC-DC 컨버터 피드백 시스템의 초소형화 및 원가절감이 가능할 수 있으며, 광-결합기의 CTR 감소로 인한 신뢰성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플라이백 DC-Dc 컨버터
TF: 트랜스포머
N1, N2: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D1: 정류 다이오드
COUT: 출력 커패시터
SW: 스위치
200: 피드백 회로
210: 전압 분배부
RF1, RF2: 제1 및 제2 저항
220: AD 변환부
221: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
222: 디지털 필터
223: 데시메이터
230: 정전용량성 절연기
231: 발진기
232: 버퍼
233: 발진 감지기
CISO: 접지 절연 커패시터
240: DA 변환부
250: 제어부

Claims (6)

1차 전압(VIN)이 인가되는 1차측 권선 및 2차 전압(VOUT)이 형성되는 2차측 권선으로 구성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1차측 권선에 접속되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로서,
상기 2차 전압(VOUT)을 분배하여 분배 전압(VFB_2nd)을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
상기 분배 전압(VFB_2nd)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생성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형성하는 정전용량성 절연기(Capacitive Isoltor);
상기 AD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를 생성하는 DA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1차 전압(VIN)을 상기 2차 전압(VOUT)으로 레귤레이팅(regulating)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AD 변환부는,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Sigma-Delta Modulator) 및 디지털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용량성 절연기는, 상기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 및 상기 디지털 필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부는, 상기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 및 상기 디지털 필터와 함께 데시메이터(Decimator)를 더 포함하는 시그마-델타 AD 변환기(Sigma-Delta Analog-Digital Conver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삭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는 상기 분배 전압(VFB_2nd)을 입력으로 하여 제1 디지털 펄스(DΣ-Δ_2nd)를 출력하고, 상기 정전용량성 절연기는 상기 제1 디지털 펄스(DΣ-Δ_2nd)를 입력으로 하여 제2 디지털 펄스(DΣ-Δ_1st)를 출력하며, 상기 제2 디지털 펄스(DΣ-Δ_1st)는 상기 디지털 필터, 상기 데시메이터 및 상기 DA 변환부를 거쳐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설 절연기는,
발진 전압(VOSC)을 생성하는 발진기(Oscillator);
상기 제1 디지털 펄스(DΣ-Δ_2nd)를 상기 발진 전압(VOSC)에 캐리(Carry)하여 송신 전압(VTX)을 생성하는 버퍼(Buffer);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에 상기 송신 전압(VTX)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전극에 수신 전압(VRX)이 형성되는 접지 절연 커패시터; 및
상기 수신 전압(VRX)의 발진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디지털 펄스(DΣ-Δ_1st)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발진 감지기(Oscillation Detect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1차 전압(VIN)이 인가되는 1차측 권선, 및 2차 전압(VOUT)이 형성되는 2차측 권선으로 구성되는 트랜스포머;
상기 1차측 권선에 접속되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치;
상기 2차 전압(VOUT)을 분배하여 분배 전압(VFB_2nd)을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
상기 분배 전압(VFB_2nd)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생성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형성하는 정전용량성 절연기(Capacitive Isoltor);
상기 AD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전압 신호(VD)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를 생성하는 DA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피드백 전압 신호(VFB_1st)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1차 전압(VIN)을 상기 2차 전압(VOUT)으로 레귤레이팅(regulating)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AD 변환부는,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Sigma-Delta Modulator) 및 디지털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용량성 절연기는, 상기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 및 상기 디지털 필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 및 2차측 간의 접지 절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DC-DC 컨버터.
KR1020210114748A 2021-08-30 2021-08-30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및 플라이백 dc-dc 컨버터 KR102589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748A KR102589705B1 (ko) 2021-08-30 2021-08-30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및 플라이백 dc-dc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748A KR102589705B1 (ko) 2021-08-30 2021-08-30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및 플라이백 dc-dc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198A KR20230032198A (ko) 2023-03-07
KR102589705B1 true KR102589705B1 (ko) 2023-10-16

Family

ID=8551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748A KR102589705B1 (ko) 2021-08-30 2021-08-30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및 플라이백 dc-dc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7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9867A (ja) * 2014-09-19 2018-04-05 アルファ アンド オメガ セミコンダクター (ケイマン) リミテッド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Cayman) Ltd. 絶縁型コンバータにおけるコンスタント・オン・タイム(cot)制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3718B1 (en) * 2001-12-06 2003-05-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pacitively coupled power converter
KR102486158B1 (ko) * 2018-02-13 2023-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d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변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9867A (ja) * 2014-09-19 2018-04-05 アルファ アンド オメガ セミコンダクター (ケイマン) リミテッド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Cayman) Ltd. 絶縁型コンバータにおけるコンスタント・オン・タイム(cot)制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198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3718B1 (en) Capacitively coupled power converter
KR102568730B1 (ko) 의사 공진 플라이 백 컨버터 제어기
KR100378801B1 (ko) 직류 전원 회로
JP6138973B2 (ja) 連続出力調整範囲を有するコンパクト電力変換装置
US7489529B2 (en) Control circuit having frequency modulation to reduce EMI of power converters
CN109586580B (zh) 控制电路、谐振变换器及集成电路控制芯片
US10680526B2 (en) Power transfer and feedback across a common isolator
KR20060044625A (ko) 전압검출회로, 전원장치 및 반도체 장치
TWI523393B (zh) 電源轉換裝置
KR20150083039A (ko) 제로 크로싱 보상 전류 및 저항기에 의한 케이블 보상
CN105556821A (zh) 具有辅助输出的特别用于发光二极管的紧凑驱动器
US20220103084A1 (en) Inductive charging circuit to provide operating power for a controller
KR102589705B1 (ko) 플라이백 dc-dc 컨버터의 피드백 회로 및 플라이백 dc-dc 컨버터
US20050162872A1 (en) DC/DC converter including a zener diode having a substantially zero temperature coefficient
RU153218U1 (ru) Вторичны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с гальванически развяза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US6292377B1 (en) Power supply device
US11716011B2 (en) Communication control circuit for power supply chip
CN113381626B (zh) 一种适于调光驱动的负载供电系统和调光驱动系统
WO2012070512A1 (ja) 絶縁型電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11092554B (zh) 具有纹波补偿的控制器
TWI693779B (zh) 使用霍爾效應感測器的開關模式功率轉換器及其方法
CN109962621B (zh) 电源转换装置
CN113517806B (zh) 反激变换器的控制器芯片及反激变换器、开关电源系统
JP2012034492A (ja) 絶縁型電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216672862U (zh) 一种电源变换系统及其控制芯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