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678B1 - 파이프 거치대 - Google Patents

파이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678B1
KR102589678B1 KR1020230058898A KR20230058898A KR102589678B1 KR 102589678 B1 KR102589678 B1 KR 102589678B1 KR 1020230058898 A KR1020230058898 A KR 1020230058898A KR 20230058898 A KR20230058898 A KR 20230058898A KR 102589678 B1 KR102589678 B1 KR 102589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ir
pipe
fasten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호구
김용준
황용구
Original Assignee
(주)삼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삼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3005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는 길이방향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절단기에 얹혀진 파이프의 타측 하부에 상기 파이프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분과, 상기 지지부분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분과, 기립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분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부분과,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분의 기립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높이조절시 상기 체결부분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고정부분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분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분을 받치는 한 쌍의 받침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거치대{Pipe holder}
본 발명은 파이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파이프 절단시 파이프의 절단부위 반대 측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파이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건축물 작업 현장과 같은 곳에서 배관 설비를 하는 경우, 용접, 절단 등의 작업이 정확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파이프의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파이프는 형태적 특성상 길이가 길고, 무게가 무거운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파이프를 파지한 채 작업을 하기란 매우 어려워 작업현장에서는 이동 및 설치 가능한 다양한 파이프 거치대를 이용한다.
다양한 거치대 중 거치대가 상하로 승강하여 파이프가 지지받는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거치대는 상하로 승강하는 동작에 의한 수평 불균형이 발생하거나 용접, 절단 등의 작업 중 파이프의 유동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30720호(2022.08.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파이프 절단시 파이프의 절단부위 반대 측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파이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는 길이방향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절단기에 얹혀진 파이프의 타측 하부에 상기 파이프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분과, 상기 지지부분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분과, 기립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분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부분과,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분의 기립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높이조절시 상기 체결부분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고정부분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분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분을 받치는 한 쌍의 받침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분을 통한 높이조절 후 수평 여부를 확인하는 수평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분과 결합하여 절단 후 상기 지지부분에 지지받고 있는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파이프를 받치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 상면에 구비되어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패드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고 상기 받침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 자중에 의해 상기 지지장치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무게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받침부분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받침부분의 나머지 일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무게추가 구비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결합하는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분에 지지받는 상기 파이프의 타측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레일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압프레임과, 상기 가압프레임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가압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흡수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분에 지지받는 상기 파이프의 타측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레일프레임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레일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체결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체결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프레임과, 상기 체결프레임과 상기 가압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가압프레임이 상기 체결프레임을 축으로 하여 상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가압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가압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프레임을 일체화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압프레임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가압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흡수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단기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거치대 방향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빔을 통해 상기 지지부분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 중 상기 레이저 빔과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체결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 빔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이 상기 높이조절부분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레이저 빔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이 감지되었을 시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의 이동을 멈추는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기와 상기 지지부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거리조절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거리조절장치는 상기 고정부분의 상기 받침부분 측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분과 상기 높이조절부분을 일체화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받침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상기 받침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돌기와, 상기 연장돌기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파이프 거치대에 의하면, 원형파이프 절단시 파이프의 절단부위 반대 측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거치대에 수평기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거치대에 지지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거치대에 가압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가압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되는 파이프 거치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거치대에 거리조절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거치대에 수평기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는 일측이 절단기(20)에 얹혀진 파이프(30)의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분(11)과, 지지부분(11)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분(12)과, 기립한 상태로 한 쌍의 체결부분(12)에 각각 체결되어 지지부분(11)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부분(13)과,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한 쌍의 높이조절부분(13)과 결합하여 높이조절부분(13)의 기립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높이조절시 체결부분(12)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고정부분(14)과, 한 쌍의 고정부분(14)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고정부분(14)을 받치는 한 쌍의 받침부분(15)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분(11)은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길이방향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즉, 깔때기 형상의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V'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지지부분(11)은 파이프(30)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파이프(30)가 'V'자 형상의 홈에 안착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분(13)은 지지부분(11) 및 파이프(30)와 각각 수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체결부분(12)에 체결되며, 높이조절부분(13)과 체결부분(12)은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어 높이조절부분(13)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체결부분(12)이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분(11)도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기(20) 종류 또는 파이프(30)의 사이즈에 맞게 지지부분(11)의 높이를 조절하여 파이프(30)의 절단부위 반대 측을 용이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파이프(30)가 지면과 용이하게 수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절단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분(14)은 높이조절부분(13)의 기립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높이조절시 체결부분(12)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며, 받침부분(15)에는 고정부분(14)이 고정되어 파이프(3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작업중 파이프 거치대(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는 고정부분(14)의 외측에 위치하여 체결부분(12)과 결합하는 수평기(1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수평기(100)는 한 쌍의 체결부분(12)에 각각 구비되고, 체결부분(12)에 구비된 수평기(100)를 통해 높이조절부분(13)에 의한 지지부분(11)의 높이조절 후 지지부분(11)의 길이방향 양단 간에 수평을 이루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 거치대(10)에 파이프(30)를 거치하는 작업의 효율을 높임으로써 파이프(30)를 절단하는 전체적인 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거치대(10)에 구비되는 수평기(100)는 수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수평기(100)로써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에 구비되는 지지장치(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거치대에 지지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는 받침부분(15)과 결합하여 절단 후 지지부분(11)에 지지받고 있는 파이프(3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파이프(30)는 절단기(20)에 의해 절단된 후 타측은 지지부분(11)에 지지받고 있으나 절단면측은 지지받고 있지 않아 지면에 그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고 동반되는 충격에 의해 지지부분(11)에 지지받고 있는 타측도 지지부분(11)에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지지장치(200)는 파이프 거치대(10)에 구비되어 절단 후에도 파이프(30)가 절단 전 지지받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향후 이어지는 절단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장치(200)는 파이프(30)의 하부에 위치하여 파이프(30)를 받치는 받침플레이트(210)와, 받침플레이트(210) 상면에 구비되어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패드(220)와, 받침플레이트(210)의 하면에 구비되어 받침플레이트(210)를 지지하는 지지대(230)와, 지지대(230)와 결합하고 받침부분(15)에 연결되어 지지대(230)를 고정하는 연결플레이트(240)와, 연결플레이트(240)에 구비되어 지지대(230) 자중에 의해 지지장치(2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무게추(250)를 구비할 수 있다.
받침플레이트(210)는 일정크기의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절단 후 절단면측 일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완충패드(220)는 파이프(30)와 받침플레이트(210) 간의 충격을 흡수하여 파이프(30)와 받침플레이트(210)가 부딪혔을 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또는 충격 등을 줄일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240)는 받침부분(15)의 상단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별도의 고정장치(미도시)를 통해 받침부분(15)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대(230)는 연결플레이트(240)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진 사선형태로 연결플레이트(240)에 고정되어 받침플레이트(210)를 받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대(230)는 절단면측 일단을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해 받침플레이트(210)가 지지부분(11)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도록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게추(250)는 받침플레이트(210)를 지지부분(11)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할 시 지지대(230) 자중을 비롯한 파이프(30) 자중에 의해 지지장치(200)가 구비된 파이프 거치대(10)가 절단기(20)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장치(200)를 구비함으로써 절단 후에도 파이프(30)가 절단 전 지지받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향후 이어지는 절단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지지장치(200)의 연결플레이트(240)는 받침부분(15)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지지대(230)와 결합하는 제1부분(241)과, 받침부분(15)의 나머지 일부분에 연결되어 무게추(250)가 구비되는 제2부분(242)과, 제1부분(241)과 제2부분(242) 사이에 구비되어 제1부분(241)과 제2부분(242)을 결합하는 커넥터(24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부분(241)과 제2부분(242)은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고정부분(14)의 하단에 끼워지는 형태로 받침부분(15)에 얹혀지게 되고, 커넥터(243)를 통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플레이트(240)를 제1부분(241)과 제2부분(242)으로 나눔으로써 지지장치(200)가 파이프 거치대(10)로부터 탈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커넥터(243)를 통한 일체화를 통해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에 구비되는 가압장치(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거치대에 가압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는 한 쌍의 체결부분(12)의 상단에 구비되어 지지부분(11)에 지지받는 파이프(30)의 타측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장치(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압장치(300)는 지지부분(11)에 지지받는 파이프(30)의 타측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파이프(30)를 절단할 시 파이프(30)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해 파이프(3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장치(300)는 한 쌍의 체결부분(12)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310)과, 양단이 한 쌍의 레일프레임(310)에 체결되어 레일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압프레임(320)과, 가압프레임(320)의 하면에 구비되어 파이프(30)에서 발생한 진동이 가압프레임(3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흡수패드(330)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프레임(310)은 높이조절부분(13)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체결부분(12)의 상단에 구비되며, 가압프레임(320)은 레일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 방향으로 움직여 파이프(30)를 가압하고 상 방향으로 움직여 지지부분(11)과 가압프레임(320) 사이를 벌려 파이프 거치대(10)로부터 파이프(30)를 용이하게 빼내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압프레임(320)은 별도의 구동 및 제어장비를 통해 자동으로 가동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가동될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330)는 절단시 파이프(30)에 전달된 진동이나 충격 등이 가압프레임(320)에 전달되어 레일프레임(310)을 통해 파이프 거치대(10)의 전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장치(300)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부분(11)에 지지받는 파이프(30)의 타측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파이프(30)를 절단할 시 파이프(30)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해 파이프(3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에 구비되는 가압장치(30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5에 가압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는 한 쌍의 체결부분(12)의 상단에 구비되어 지지부분(11)에 지지받는 파이프(30)의 타측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장치(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압장치(300)에 대해 살펴보면, 가압장치(300)는 한 쌍의 체결부분(12)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310)과, 한 쌍의 레일프레임(310)에 각각 체결되어 레일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체결프레임(340)과, 한 쌍의 체결프레임(340)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프레임(320)과, 체결프레임(340)과 가압프레임(320)을 연결하여 가압프레임(320)이 체결프레임(340)을 축으로 하여 상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350)과, 한 쌍의 가압프레임(320) 중 어느 하나의 가압프레임(320)에 구비되어 한 쌍의 가압프레임(320)을 일체화하는 고정프레임(360)과, 가압프레임(320)의 하면에 구비되어 파이프(30)에서 발생한 진동이 가압프레임(3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흡수패드(33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프레임(320)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체결프레임(340)에 의해 레일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체결프레임(340)과 가압프레임(320)을 연결하는 회전축(350)에 의해 가압프레임(320)이 체결프레임(340)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360)은 가압시 한 쌍의 가압프레임(320)을 일체화함과 동시에 가압프레임(320)이 회전축(350)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장치(300)는 절단 후 지지부분(11)에 거치 된 파이프(30)를 들어올릴 시, 한 쌍의 가압프레임(320)이 회전축(350)에 의해 회전되어 벌어짐으로써 파이프(30)를 파이프 거치대(1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에 구비되는 높이조절장치(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되는 파이프 거치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는 절단기(20)에 구비되어 파이프 거치대(10) 방향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빔(21)을 통해 지지부분(11)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400)는 절단기(20)에 구비되는 레이저 빔(21)을 통해 지지부분(11)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높이조절장치(400)는 한 쌍의 체결부분(12) 중 레이저 빔(21)과 마주보는 위치의 체결부분(12)에 구비되어 레이저 빔(21)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10)와, 한 쌍의 체결부분(12)과 연계되어 한 쌍의 체결부분(12)이 높이조절부분(13)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장치(420)와, 제어장치(420)와 연계되어 감지센서(410)에서 레이저 빔(21)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이 감지되었을 시, 한 쌍의 체결부분(12)의 이동을 멈추는 컨트롤러(430)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이저 빔(21)과 감지센서(410)는 절단기(20)에 위치한 파이프(30)의 일단과 지지부분(11)에 위치한 파이프(30)의 타단이 수평을 이루었을 때 감지센서(410)에서 레이저광을 감지하도록 절단기(20)와 체결부분(12)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분(12)은 제어장치(420)를 통해 높이조절부분(13)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게 되고, 체결부분(12)에 구비된 감지센서(410)에서 레이저광이 감지되었을 시 컨트롤러(430)에 의해 이동을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장치(400)를 구비하여 절단기(20)에 구비되는 레이저 빔(21)을 통해 지지부분(11)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에 구비되는 거리조절장치(5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거치대에 거리조절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10)는 고정부분(14)에 구비되어 절단기(20)와 지지부분(11)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거리조절장치(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거리조절장치(500)는 파이프 거치대(10)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파이프(30)의 길이에 따라 절단기(20)와 지지부분(11)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거치대(10)가 파이프(30)의 길이에 맞게 파이프(30)를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절단작업 후 짧아진 파이프(30)를 재차 절단하고 할 시 거리조절장치(500)를 통해 지지부분(11)을 절단기(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짧아진 파이프(30)를 용이하게 지지함으로써 2차 절단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리조절장치(500)는 고정부분(14)의 받침부분(15) 측 일단에 구비되어 고정부분(14)과 높이조절부분(13)을 일체화하는 결합플레이트(510)와, 받침부분(15)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결합플레이트(510)가 삽입되어 결합플레이트(510)가 받침부분(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삽입홈(520)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510)는 삽입홈(520)에 삽입되는 본체(511)와, 본체(51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돌기(512)와, 연장돌기(512)에 체결되어 본체(511)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513)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511)는 고정부분(14)과 높이조절부분(13)이 일체화된 상태로 삽입홈(52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며, 이동된 후에는 연장돌기(512)에 체결된 고정볼트(513)를 통해 연장돌기(512)를 삽입홈(520)의 바닥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본체(511)의 위치가 확정된 후 움직이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리조절장치(500)를 구비하여 파이프 거치대(10)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파이프(30)의 길이에 따라 절단기(20)와 지지부분(11)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거치대(10)가 파이프(30)의 길이에 맞게 파이프(30)를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거치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파이프 거치대 11: 지지부분
12: 체결부분 13: 높이조절부분
14: 고정부분 15: 받침부분
20: 절단기 21: 레이저 빔
30: 파이프 100: 수평기
200: 지지장치 210: 받침플레이트
220: 완충패드 230: 지지대
240: 연결플레이트 241: 제1부분
242: 제2부분 243: 커넥터
250: 무게추 300: 가압장치
310: 레일프레임 320: 가압프레임
330: 충격흡수패드 340: 체결프레임
350: 회전축 360: 고정프레임
400: 높이조절장치 410: 감지센서
420: 제어장치 430: 컨트롤러
500: 거리조절장치 510: 결합플레이트
511: 본체 512: 연장돌기
513: 고정볼트 520: 삽입홈

Claims (8)

  1. 길이방향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절단기에 얹혀진 파이프의 타측 하부에 상기 파이프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분과,
    상기 지지부분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분과,
    기립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분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높이조절부분과,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분의 기립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높이조절시 상기 체결부분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고정부분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분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분을 받치는 한 쌍의 받침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분과 결합하여 절단 후 상기 지지부분에 지지받고 있는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파이프를 받치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 상면에 구비되어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패드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고 상기 받침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 자중에 의해 상기 지지장치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무게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분을 통한 높이조절 후 수평 여부를 확인하는 수평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거치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받침부분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는 제1부분과,
    상기 받침부분의 나머지 일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무게추가 구비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을 결합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거치대.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분에 지지받는 상기 파이프의 타측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레일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압프레임과, 상기 가압프레임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가압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흡수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거치대.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분에 지지받는 상기 파이프의 타측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레일프레임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레일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체결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체결프레임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프레임과, 상기 체결프레임과 상기 가압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가압프레임이 상기 체결프레임을 축으로 하여 상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가압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가압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프레임을 일체화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압프레임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가압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흡수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거치대 방향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빔을 통해 상기 지지부분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 중 상기 레이저 빔과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체결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 빔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과 연계되어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이 상기 높이조절부분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레이저 빔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이 감지되었을 시 상기 한 쌍의 체결부분의 이동을 멈추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거치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기와 상기 지지부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거리조절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거리조절장치는 상기 고정부분의 상기 받침부분 측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분과 상기 높이조절부분을 일체화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받침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상기 받침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돌기와, 상기 연장돌기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거치대.
KR1020230058898A 2023-05-08 2023-05-08 파이프 거치대 KR102589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898A KR102589678B1 (ko) 2023-05-08 2023-05-08 파이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898A KR102589678B1 (ko) 2023-05-08 2023-05-08 파이프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678B1 true KR102589678B1 (ko) 2023-10-16

Family

ID=8850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898A KR102589678B1 (ko) 2023-05-08 2023-05-08 파이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6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506Y1 (ko) * 1987-08-28 1990-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파이프 가공용치구
KR20100047424A (ko) * 2008-10-29 2010-05-10 이남훈 파이프 지지 장치
KR102430720B1 (ko) 2021-12-09 2022-08-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직펌프의 컬럼파이프 및 샤프트 거치대용 분해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506Y1 (ko) * 1987-08-28 1990-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파이프 가공용치구
KR20100047424A (ko) * 2008-10-29 2010-05-10 이남훈 파이프 지지 장치
KR102430720B1 (ko) 2021-12-09 2022-08-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직펌프의 컬럼파이프 및 샤프트 거치대용 분해 조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5724A (en) Adjustable extension assembly
KR101507650B1 (ko) 용접용 회전 테이블
US20130283991A1 (en) Portable Saw Mill With Bed Adjustments
US2254374A (en) Cutting machine
KR102589678B1 (ko) 파이프 거치대
KR102244091B1 (ko) 공간 활용성과 치수 정밀성이 확보된 창틀프레임 커팅장치 및 그 커팅방법
KR20150022209A (ko) 로터의 센터링 셋업장치
CN205309681U (zh) 用于制造轨道车辆的底架的支撑装置
JP3726605B2 (ja)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の支持装置
KR101619204B1 (ko) 경사지형 안전 비계틀
KR102169478B1 (ko) 볼 탱크의 쉘 플레이트 자동 용접기용 서포트 유닛
CN209903371U (zh) 一种便携精密的木工锯台
KR101140745B1 (ko) 치핑기용 지지장치
KR20140004002U (ko) 캐리지 레일 설치용 지그
KR100609019B1 (ko) 용접캐리지의 용접구간 연장장치
CN106403812A (zh) 双镜头锯片检测系统
CN214068488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高频变压器
KR102188375B1 (ko) 볼 탱크의 쉘 플레이트 자동 용접기용 서포트 유닛
KR20060133621A (ko) 차량 내외장검사구용 리어 임팩트 범퍼 더미 로딩장치와래디에이터 그릴 더미 로딩장치
US4617737A (en) Machine for cutting out flat material
US20070257583A1 (en) Case clamp
KR200466242Y1 (ko) 창짝 프레임 고정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창짝 프레임의 고정장치
KR20200120334A (ko) 고중량 유리 장착프레임 운송장치
CN208178735U (zh) 一种新型激光切割定位装置
US1738027A (en) Work-loa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