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313B1 - Apparatus for setting a alar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tting a al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313B1
KR102589313B1 KR1020180102931A KR20180102931A KR102589313B1 KR 102589313 B1 KR102589313 B1 KR 102589313B1 KR 1020180102931 A KR1020180102931 A KR 1020180102931A KR 20180102931 A KR20180102931 A KR 20180102931A KR 102589313 B1 KR102589313 B1 KR 10258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time
unit
requested
predetermin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9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5496A (en
Inventor
김효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0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313B1/en
Publication of KR2020002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4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1/00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 G04F1/005Apparatus which can be set and started to measure-off predetermined or adjustably-fixed time intervals without driving mechanisms, e.g. egg timers using electronic timing, e.g. coun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는 측정 시작 시점부터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알람 시간과 상기 경과 시간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 및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되기 위해 가산되어야 하는 시간 차이를 산출하며, 상기 요청 알람 시간과 상기 시간 차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알람 시간과 상기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한다.An alarm se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mer unit that measures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measurement; an alarm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alarm time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is the same as the elapsed time and outputs an alarm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sult; and checking whether the request alarm time is the predetermined time unit, and calculating a time difference that must be added for the request alarm time to be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sult, and calculat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request alarm time and the time. and a setting unit that sets the alarm time and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measurement using one or more of the differences.

Description

알람 설정 장치{Apparatus for setting a alarm}Alarm setting device {Apparatus for setting a alarm}

본 발명은 알람 설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머부의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과 알람부의 알람 시간을 설정하여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알람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et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larm setting device that operates the alarm unit by setting the elapsed time at the start of the timer unit and the alarm time of the alarm unit.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laptops, video cameras, and portable phones has rapidly increased, and as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energy storage batteries, robots, and satellites has begun, the need for high-performance batteries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has increased. Research is actively underway.

현재 상용화된 배터리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배터리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배터리는 니켈 계열의 배터리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Currently commercialized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batteries. Among these, lithium batteries have almost no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based batteries, so they can be freely charged and discharged, and have a very high self-discharge rate. It is attracting attention due to its low and high energy density.

전기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배터리 팩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각 배터리 모듈은, 하나 또는 서로 직렬 접속된 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한다. Battery packs mounted on electric vehicles, etc. generally includ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t this time, each battery module includes one or two or more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이러한 배터리 팩에 포함된 각 배터리 모듈의 상태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각 배터리 모듈로부터 모니터링된 파라미터(예, 전압, 전류, 온도)를 기초로, 밸런싱 동작, 냉각 동작, 충전 동작, 방전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The status of each battery module included in this battery pack is monitored by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outputs signals to control balancing operations, cooling operations, charging operations, discharging operations, etc., based on parameters (e.g., voltage, current, temperature) monitored from each battery module.

이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타이머부와 알람부를 이용하여 설정된 알람 시간에 알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필요한 시점에 밸런싱 동작, 냉각 동작, 충전 동작, 방전 동작 등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outputs an alarm signal at a set alarm time using a timer unit and an alarm unit, thereby performing balancing operations, cooling operations, charging operations, and discharging operations at necessary times.

종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이용하는 알람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알람 시간에만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알람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1분인 경우, 타이머부의 측정 시간이 1분, 2분, 3분 등이 경과하면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알람 시간에만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이용하는 경우, 1분 30초 등과 같은 미리 전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알람 시간에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alarm unit used in a conventional battery management system has the limitation of outputting an alarm signal only at an alarm time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For exampl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s 1 minute, the alarm unit outputs an alarm signal when the measurement time of the timer unit elapses 1 minute, 2 minutes, 3 minutes, etc. Accordingly, when the conventional battery management system uses an alarm unit that outputs an alarm signal only at the alarm time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larm signal cannot be output at the alarm time other than the preset time unit such as 1 minute and 30 seconds. there is.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알람 시간에만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요청 알람 시간에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알람 설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arm setting device that can output an alarm signal at a requested alarm time rather than a predetermined time unit using an alarm unit that outputs an alarm signal only at the alarm time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는 측정 시작 시점부터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알람 시간과 상기 경과 시간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 및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되기 위해 가산되어야 하는 시간 차이를 산출하며, 상기 요청 알람 시간과 상기 시간 차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알람 시간과 상기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한다.An alarm se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timer unit that measures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measurement; an alarm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alarm time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is the same as the elapsed time and outputs an alarm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sult; and checking whether the request alarm time is the predetermined time unit, and calculating a time difference that must be added for the request alarm time to be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sult, and calculat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request alarm time and the time. and a setting unit that sets the alarm time and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measurement using one or more of the differences.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부는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되기 위해 가산되어야 하는 시간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Preferab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the predetermined time unit, the setting unit may calculate a time difference that must be added for the requested alarm time to become the predetermined time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부는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시간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tting unit can calculate the time differenc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Equation>

TG=TU-[RAT/TU]rTG=TU-[RAT/TU]r

여기서, TG는 시간 차이이고, TU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이고, RAT는 요청 알람 시간이고, [RAT/TU]r은 요청 알람 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나눈 나머지이다.Here, TG is the time difference, TU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RAT is the requested alarm time, and [RAT/TU]r is the remainder of dividing the requested alarm time by the predetermined time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부는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시간 차이를 상기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Preferably, if the setting unit determines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the predetermined time unit, the setting unit may set the time difference to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measur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부는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요청 알람 시간에 포함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단위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단위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알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setting unit determines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the predetermined time unit, the setting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units of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ncluded in the requested alarm time, and sets the alarm time using the number of units. You can set it.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부는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알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tting unit can set the alarm tim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Equation>

AT=[RAT/TU]q+1AT=[RAT/TU]q+1

여기서, AT는 알람 시간이고, RAT는 요청 알람 시간이고, TU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이고, [RAT/TU]q는 요청 알람 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나눈 몫이다.Here, AT is the alarm time, RAT is the requested alarm time, TU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RAT/TU]q is the quotient of dividing the requested alarm time by the predetermined time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부는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을 상기 알람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tting unit may set the requested alarm time to the alarm tim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the predetermined time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알람부는 상기 설정부로부터 설정된 알람 시간과 상기 경과 시간이 동일하면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larm unit can output an alarm signal when the alarm time set by the setting unit is the same as the elapsed tim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상기 알람 설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larm set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상기 알람 설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bove alarm set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상기 알람 설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larm set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알람 시간에만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요청 알람 시간에 알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다양한 시점에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signal can be output at various times by using an alarm unit that outputs an alarm signal only at the alarm time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outputting the alarm signal at a requested alarm time rather than a predetermined time uni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와 알람 설정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알람 설정 장치와 배터리 팩의 구성 요소 간에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의 설정부가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 경우,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의 설정부가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경우,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가 타이머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only .
1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alarm setting devic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alarm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alarm setting device of FIG. 1 and components of the battery pack.
Figure 3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setting unit of the alarm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alarm time when the requested alarm time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Figure 4 is a timing chart to explain a process in which the setting unit of the alarm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alarm time when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a predetermined time unit.
Figure 5 is a timing chart to explain a process in which the setting unit controls the tim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various alternatives are available to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of the various components from the rest,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components by such te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제어 유닛>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dditionally, terms such as <control unit>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Additional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refers not only to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100)와 알람 설정 장치(1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alarm setting device 100 and a battery pack 10 including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모듈(20), 컨택터(30), 배터리 관리 장치(40) 및 알람 설정 장치(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battery pack 10 includes a battery module 20, a contactor 30, a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and an alarm setting device 100.

배터리 모듈(20)은, 양극 단자(B+), 음극 단자(B+) 및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21)을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20)에 복수의 배터리 셀(21)이 포함되는 경우, 복수의 배터리 셀(21)은 서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셀(21)로는 대표적으로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셀의 종류가 위에서 열거된 종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battery module 20 includes a positive terminal (B+), a negative terminal (B+), and at least one battery cell 21. When the battery module 20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or parallel.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battery cell 21 include lithium ion batteries, lithium polymer batteries,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and nickel zinc batteries. Of course, the type of cell is not limited to the types listed abov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컨택터(30)는, 배터리 팩(10)의 충방전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배터리 팩(10)의 대전류 경로에 설치된다. 배터리 팩(10)의 대전류 경로는, 배터리 모듈(20)의 양극 단자(B+)와 배터리 팩(10)의 양극 단자(P+) 사이의 경로 및 배터리 모듈(20)의 음극 단자(B-)와 배터리 팩(10)의 음극 단자(P-) 사이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배터리 팩(10)의 양극 단자(P+)와 배터리 모듈(20)의 양극 단자(B+) 사이에 컨택터(3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컨택터(30)의 설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컨택터(30)는, 배터리 팩(10)의 음극 단자(P-)와 배터리 모듈(20)의 음극 단자(B-)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contactor 30 is installed in the high current path of the battery pack 10 to control the charge/discharge current of the battery pack 10. The high current path of the battery pack 10 is a path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B+) of the battery module 20 and the positive terminal (P+) of the battery pack 10, and the negative terminal (B-) of the battery module 20. It may include a path between the negative terminal (P-) of the battery pack 10. In Figure 1, the contactor 30 is shown as installed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P+) of the battery pack 10 and the positive terminal (B+) of the battery module 20, bu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ontactor 30 is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contactor 3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negative terminal (P-) of the battery pack 10 and the negative terminal (B-) of the battery module 20.

컨택터(30)는, 배터리 관리 장치(40)로부터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턴 온 상태 또는 턴 오프 상태로 됨으로써, 배터리 모듈(20)를 통한 전류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The contactor 30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from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battery module 20.

배터리 관리 장치(40)는, 배터리 모듈(20) 및 컨택터(3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터리 모듈(20) 및 컨택터(3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장치(40)는, 배터리 모듈(20)의 전압, 전류 및/또는 온도를 개별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 전류 및/또는 온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다양한 기능들(예, 셀 밸런싱, 충전, 방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된다.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is operably coupled to the battery module 20 and the contactor 30 and can individually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battery module 20 and the contactor 30.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individually measures the voltage, current, and/or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20, and performs various predetermined functions (e.g., cell balancing, 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execute at least on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알람 설정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장치(40)로부터 요청된 요청 알람 시간에 배터리 관리 장치(40)로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alarm setting device 100 may output an alarm signal to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at the requested alarm time requested by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

도 2는 도 1의 알람 설정 장치(100)와 배터리 팩(10)의 구성 요소 간에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components of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of FIG. 1 and the battery pack 10.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관리 장치(40)는, 센싱부(41), 통신부(42), DC-DC 전압 컨버터(43) 및 제어부(4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includes a sensing unit 41, a communication unit 42, a DC-DC voltage converter 43, and a control unit 44.

센싱부(41)는, 배터리 모듈(20)의 동작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센싱부(41)는, 전압 센서(41a), 전류 센서(41b) 및 온도 센서(41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압 센서(41a)는, 배터리 모듈(20)의 단자 전압 및/또는 배터리 모듈(20)에 포함된 각 배터리 셀의 셀 전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모듈(20)의 단자 전압은, 배터리 모듈(20)의 양극 단자(B+)와 음극 단자(B-) 간의 전위차에 대응한다. 전류 센서(41b)는, 컨택터(30)에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배터리 팩(10)의 대전류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온도 센서(41c)는, 배터리 모듈(20)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센싱부(41)는, 주기적으로 측정된 단자 전압, 셀 전압, 전류 및/또는 온도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제어부(44)에게 전송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41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operating parameters of the battery module 20.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41 includes at least one of a voltage sensor 41a, a current sensor 41b, and a temperature sensor 41c. The voltage sensor 41a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20 and/or the cell voltage of each battery cell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20.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20 corresponds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B+) and the negative terminal (B-) of the battery module 20. The current sensor 41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to the contactor 30 and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igh current path of the battery pack 10. The temperature sensor 41c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20. The sensing unit 41 may periodically transmit a sensing signal indicating the measured terminal voltage, cell voltage, current, and/or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44.

통신부(42)는, 외부 디바이스(1)(예, 전지 자동차의 ECU)와 배터리 관리 장치(40) 간의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42)는, 외부 디바이스(1)와 배터리 관리 장치(40) 간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 외부 디바이스(1)와 배터리 관리 장치(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2 is configured to support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1 (eg, ECU of an electric vehicle) and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The communication unit 42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external device 1 and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for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1 and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통신부(42)는, 제1 포토 릴레이(4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토 릴레이(42a)는, 제1 광원 및 제1 광검출기를 포함하고, 외부 디바이스(1)로부터 배터리 관리 장치(40)으로 전송되는 명령들을 배터리 관리 장치(40)에 의해 인식 가능한 형태의 신호들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제1 광원은, 외부 디바이스(1)로부터 전송되는 각 명령을 그에 대응하는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1 광검출기는, 제1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에 응답하여, 광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1 광검출기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는 후술할 제어부(44)의 제1 통신 단자(COM1) 상에 인가된다.The communication unit 42 may include a first photo relay 42a. The first photo relay 42a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and a first photodetector, and converts commands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1 to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into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Convert to signals. Specifically, the first light source converts each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1 into a corresponding optical signal and outputs it. The first photodetector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signal in response to the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photodetector is appli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COM1) of the control unit 4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통신부(42)는, 제2 포토 릴레이(4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포토 릴레이(42b)는, 제2 광원 및 제2 광검출기를 포함하고, 배터리 관리 장치(40)으로부터 외부 디바이스(1)로 전송되는 메시지들을 외부 디바이스(1)에 의해 인식 가능한 형태의 신호들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제2 광원은, 배터리 관리 장치(40)으로부터 전송되는 각 메시지를 그에 대응하는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2 광검출기는, 제2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에 응답하여, 광 신호에 대응하는 통지 신호를 생성한다.The communication unit 4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hoto relay 42b. The second photo relay 42b includes a second light source and a second photodetector, and sends messages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to the external device 1 as signals in a form recognizable by the external device 1. Convert to . Specifically, the second light source converts each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into a corresponding optical signal and outputs it. The second photodetector responds to the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and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signal.

전술한 제1 및 제2 포토 릴레이(42a, 42b)로는, 예컨대 옵토 커플러(opto-coupl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n opto-coupler may be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photo relays 42a and 42b described above.

물론, 통신부(42)는, 제1 및 제2 포토 릴레이(42a, 42b) 대신, 외부 디바이스(1)와의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다른 형태의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mmunication unit 42 may include another type of communication circuit that supports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1 instead of the first and second photo relays 42a and 42b.

DC-DC 전압 컨버터(43)는, 인에이블 단자(EN), 전원 입력 단자(IN) 및 전원 출력 단자(OUT)를 포함한다. 전원 입력 단자(IN)는, 배터리 모듈(20) 또는 외부 전원(예, 전기 자동차의 보조 배터리)으로부터의 입력 전압을 수신한다. 즉, 전원 입력 단자(IN) 상에는, 배터리 모듈(20)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입력 전압이 인가된다.The DC-DC voltage converter 43 includes an enable terminal (EN), a power input terminal (IN), and a power output terminal (OUT). The power input terminal IN receives an input voltage from the battery module 20 or an external power source (eg, an auxiliary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That is, an input voltage from the battery module 20 or an external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power input terminal IN.

전원 출력 단자(OUT)는, 입력 전압으로부터 생성된 구동 전압을 출력한다. 즉, DC-DC 전압 컨버터(43)는, 전원 입력 단자(IN) 상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전압을 전원 출력 단자(OUT)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전원 출력 단자(OUT) 상에 출력되는 구동 전압은, 센싱부(41), 통신부(42), 제어부(44) 및 알람 설정 장치(100)에 인가될 수 있다. 즉, 센싱부(41), 통신부(42), 제어부(44) 및 알람 설정 장치(100)는,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power output terminal (OUT) outputs a driving voltage generated from the input voltage. That is, the DC-DC voltage converter 43 can generate a driving voltage using the input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input terminal (IN) and output the generated driving voltage on the power output terminal (OUT). there is. The driving voltage output on the power output terminal (OUT) may be applied to the sensing unit 41, the communication unit 42, the control unit 44, and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That is, the sensing unit 41, communication unit 42, control unit 44, and alarm setting device 100 can operate using the driving voltage.

인에이블 단자(EN)는, 후술할 제어부(44)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DC-DC 전압 컨버터(43)는, 제어부(44)로부터 인에이블 단자(EN) 상에 인가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출력 단자(OUT) 상에 구동 전압을 출력하거나 구동 전압을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C-DC 전압 컨버터(43)는, 인에이블 단자(EN) 상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이 임계 전압(예, 3V) 이상인 경우에만, 구동 전압을 전원 출력 단자(OUT) 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enable terminal EN is operably coupled to the control unit 4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C-DC voltage converter 43 outputs a driving voltage on the power output terminal (OUT) or stops outputting the driving voltage in response to a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44 to the enable terminal (EN). You can. Specifically, the DC-DC voltage converter 43 outputs the driving voltage onto the power output terminal (OUT) only when the voltage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enable terminal (EN) is high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e.g., 3V). can do.

제어부(44)는, 센싱부(41)로부터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 모듈(20)를 위한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4)는, 센싱부(41)에 의해 측정된 셀 전압 및 전류를 기초로, 각 배터리 셀의 충전 상태(SOC: state-of-charge)를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44)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의 충전 상태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터리 모듈(20)의 충전 또는 방전을 차단하기 위해 컨택터(30)를 턴 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44 may perform a setting operation for the battery module 20 based on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4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4 may estimate the state-of-charge (SOC) of each battery cell based on the cell voltage and current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41.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tate of charge of at least one battery cell is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the controller 44 may turn off the contactor 30 to block charging or discharging of the battery module 20.

제어부(44)는, 상술된 배터리 모듈(20)를 위한 설정 동작과 센싱부(41), 통신부(42),DC-DC 전압 컨버터(43)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에 대한 알람 신호를 알람 설정 장치(100)로부터 입력받아 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4)는, 전원 입력 단자(POWER), 알람 요청 단자(ART), 알람 신호 단자(AST), 제1 통신 단자(COM1), 홀드 단자(HOLD), 제2 통신 단자(COM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4 generates an alarm signal for the timing of performing the setting operation for the battery module 20 and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41, communication unit 42, and DC-DC voltage converter 43. Ea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receiving input from the setting device 100.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unit 44 includes a power input terminal (POWER), an alarm request terminal (ART), an alarm signal terminal (AST),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COM1), a hold terminal (HOLD), and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OM2). ) may include.

전원 입력 단자(POWER)는, DC-DC 전압 컨버터(43)의 전원 출력 단자(OUT)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출력 단자(OUT)를 통해 출력되는 구동 전압을 수신한다. 제어부(44)는, 전원 입력 단자(POWER)에 의해 수신된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power input terminal (POW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output terminal (OUT) of the DC-DC voltage converter 43 and receives the driving voltage output through the power output terminal (OUT). The control unit 44 may operate using the driving voltage received by the power input terminal (POWER).

알람 요청 단자(ART)는, 알람 설정 장치(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 설정 장치(100)로 요청 알람 시간을 나타내는 알람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The alarm request terminal (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and outputs an alarm request signal indicating the requested alarm time to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알람 신호 단자(AST)는, 알람 설정 장치(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 설정 장치(100)로 현재 알람 시간에 도달했음을 나태나는 알람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어부(44)는 알람 신호 단자(AST)로 알람 신호가 입력되면, 알람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알람 신호에 대응하여 센싱부(41), 통신부(42), DC-DC 전압 컨버터(4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alarm signal terminal (AS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and receives an alarm signal indicating that the current alarm time has been reached. When an alarm signal is input to the alarm signal terminal (AST), the control unit 44 operates the sensing unit 41, the communication unit 42, and the DC-DC voltage converter 43 in response to the alarm signal at the time the alarm signal is input. Movement can be controlled.

제1 통신 단자(COM1)는, 통신부(42)로부터의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제1 제어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COM1 receives the first control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unit 42.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1.

홀드 단자(HOLD)는, 인에이블 단자(EN)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DC-DC 전압 컨버터(43)의 동작을 제어하는 홀드 신호를 출력한다. The hold terminal (HOL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able terminal (EN) and outputs a hold signal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C-DC voltage converter 43.

제2 통신 단자(COM2)는, 외부 디바이스(1)로의 메시지를 출력한다. 제어부(44)는, 센싱부(41)에 의해 측정된 셀 전압 및 전류, 각 배터리 셀의 충전 상태 등과 같이 배터리 팩(10)의 전기적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2 통신 단자(COM2)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통신 단자(COM2)를 통해 출력된 메시지는 제2 포토 릴레이(42b)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1)가 인식 가능한 형태의 통지 신호로 변환된다.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OM2 outputs a message to the external device 1. The control unit 44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e electrical status of the battery pack 10, such as the cell voltage and current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41 and the charging state of each battery cell, on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OM2). can do. The message output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OM2 is converted into a notification signal in a form recognizable by the external device 1 by the second photo relay 42b.

제어부(44)는, 센싱부(41)로부터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싱 단자들(S1, S2, S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4 may further include sensing terminals S1, S2, and S3 for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41.

이러한 제어부(44)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4)에는 메모리가 내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릴레이 구동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에 요구되는 데이터들, 명령어 및 소프트웨어를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terms of hardware, this control unit 44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micro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The control unit 44 may have a built-in memory. The memory may additionally store data, commands, and software required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elay driving device 100. Memory includes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SSD type (Solid State Disk type), SDD type (Silicon Disk Drive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At least one of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It may include a type of storage medium.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100)의 설정부(130)가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 경우,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100)의 설정부(130)가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경우,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Figure 3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setting the alarm time by the setting unit 130 of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quested alarm time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4 is a timing chart to explain the process by which the setting unit 130 of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alarm time when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a predetermined time unit.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알람 설정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장치(40)로부터 요청된 요청 알람 시간에 배터리 관리 장치(40)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타이머부(110), 알람부(120) 및 설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S. 3 and 4 ,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includes a timer unit 110 to output an alarm signal to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at the requested alarm time requested from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40. It may include an alarm unit 120 and a setting unit 130.

타이머부(110)는 측정 시작 시점부터 경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이머부(110)는 설정부(130)로부터 측정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측정 시작 신호가 수신된 시점인 측정 시작 시점부터 경과되는 경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The timer unit 110 can measure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measurement. More specifically, when the measurement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tting unit 130, the timer unit 110 may measure the elapsed time from the measurement start point, which is when the measurement start signal is received.

타이머부(110)는 측정 시작 시점부터 측정된 경과 시간을 실시간으로 알람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The timer unit 110 may output the elapsed time measured from the start of measurement to the alarm unit 120 in real time.

알람부(120)는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의 알람 시간과 타이머부(110)로부터 수신된 경과 시간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alarm unit 120 may check whether the alarm time of the predetermined unit time is the same as the elapsed time received from the timer unit 110, and output an alarm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sult.

여기서,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의 알람 시간은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만이 가산된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이 "1분(60초)"인 경우, 알람 시간은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 "1분"이 가산된 "1분", "2분", "3분" 등과 같은 시간 중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alarm time of the predetermined unit time may be a time obtained by adding only the predetermined unit time. 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unit time is “1 minute (60 seconds),” the alarm time is “1 minute”, “2 minutes”, “3 minutes”, etc. with the predetermined unit time “1 minute” added. It could be one of the times.

또한,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는 통상의 시간 단위일 수도 있고, 임의의 시간 단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는 "1분(60초)", "1시간(60분)" 등과 같은 통상의 시간 단위일 수도 있고, "25초", "30분", "2시간" 등과 같은 임의의 시간 단위일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predetermined time unit may be a normal time unit or an arbitrary time unit.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time unit may be a conventional time unit such as "1 minute (60 seconds)", "1 hour (60 minutes)", etc., or "25 seconds", "30 minutes", "2 hours", etc. It may be an arbitrary unit of time, such as:

이에 따라, 알람부(120)는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이 가산된 시간에만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larm unit 120 can output an alarm signal only at a time in which a predetermined unit time is added.

알람부(120)는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의 알람 시간과 경과 시간이 동일하면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람부(120)는 설정부(130)로부터 설정된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의 알람 시간과 타이머부(110)로부터 수신된 경과 시간이 동일하면 알람 신호를 제어부(44)로 출력할 수 있다.The alarm unit 120 may output an alarm signal when the alarm time and elapsed time of a predetermined unit time are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alarm unit 120 may output an alarm signal to the control unit 44 when the alarm time of the predetermined unit time set by the setting unit 130 and the elapsed time received from the timer unit 110 are the same. .

설정부(130)는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대응하여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되기 위해 가산되어야 하는 시간 차이를 산출하며, 요청 알람 시간과 시간 차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알람 시간과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The setting unit 130 checks whether the requested alarm time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calculates the time difference that must be added to make the requested alarm time a predetermined time unit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sult, and calculate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requested alarm time and the time difference. You can us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to set the alarm time and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measurement.

여기서, 요청 알람 시간은 제어부(44)로부터 요청된 알람 시간일 수 있다.Here, the requested alarm time may be the alarm time requested from the control unit 44.

설정부(130)는 요청 알람 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나눈 나머지에 기초하여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setting unit 130 may check whether the requested alarm time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based on the remainder of dividing the requested alarm time by the predetermined time unit.

설정부(130)는 요청 알람 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나눈 나머지가 "0"이면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 것으로 확인하고, 반대로 요청 알람 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나눈 나머지가 "0"이 아니면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setting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request alarm time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if the remainder after dividing the request alarm time by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s "0", and conversely, the remainder after dividing the request alarm time by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s "0". "Otherwise, you can confirm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a predetermined time unit.

예를 들어, 설정부(130)는 제어부(44)로부터 요청된 요청 알람 시간이 100초이고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60초(1분)인 경우, 요청 알람 시간 100초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 60초로 나눈 나머지가 "0"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설정부(130)는 요청 알람 시간 100초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 60초로 나눈 나머지가 40초이므로 요청 알람 시간 100초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quest alarm time requested from the control unit 44 is 100 seconds and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s 60 seconds (1 minute), the setting unit 130 changes the requested alarm time of 100 seconds to the predetermined time unit of 60 seconds. You can check whether the remainder after division is “0”. The setting unit 130 may confirm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of 100 seconds is not a predetermined time unit because the remainder after dividing the requested alarm time of 100 seconds by the predetermined time unit of 60 seconds is 40 seconds.

이후, 설정부(130)는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 것으로 확인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시간 차이를 산출하지 않고 제어부(44)로부터 알람이 요청된 요청 시점을 타이머부(110)의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으로 설정하고, 해당 요청 알람 시간을 알람부(120)의 알람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Afterward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the setting unit 130 does not calculate the above-described time difference, as shown in FIG. 3, but sets the request time at which the alarm is requested from the control unit 44 to the timer unit. It can be set as the elapsed time from the measurement start point of 110, and the corresponding requested alarm time can be set as the alarm time of the alarm unit 120.

예를 들어, 설정부(130)는 제어부(44)로부터 요청된 요청 알람 시간이 60초이고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60초인 경우,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 것으로 확인하고 제어부(44)로부터 알람이 요청된 요청 시점을 타이머부(110)의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으로 설정하며, 요청 알람 시간 60초를 알람부(120)의 알람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quest alarm time requested from the control unit 44 is 60 seconds and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s 60 seconds, the setting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The request time at which an alarm is requested can be set as the elapsed time from the measurement start point of the timer unit 110, and the requested alarm time of 60 seconds can be set as the alarm time of the alarm unit 120.

이때, 설정부(130)가 제어부(44)로부터 알람이 요청된 요청 시점을 타이머부(110)의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으로 설정하는 경우, 타이머부(110)로부터 측정되는 경과 시간은 제어부(44)로부터 알람이 요청된 시점부터 도과되는 실제 시간과 동일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etting unit 130 sets the request time at which an alarm is requested from the control unit 44 to the elapsed time from the measurement start point of the timer unit 110, the elapsed time measured from the timer unit 110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44. It may be equal to the actual time elapsed from the time the alarm was requested from (44).

이에 따라, 알람부(120)는 타이머부(110)로부터 측정된 경과 시간이 설정된 알람 시간 60초와 동일해지면 알람 신호를 제어부(44)로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larm unit 120 may output an alarm signal to the control unit 44 when the elapsed time measured by the timer unit 110 is equal to the set alarm time of 60 seconds.

한편, 설정부(130)는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술된 시간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a predetermined time unit, the setting unit 130 may calculate the time difference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부(1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되기 위해 가산되어야 하는 시간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tting unit 130 may calculate the time difference that must be added for the request alarm time to become a predetermined time unit, rather than a predetermined time unit.

이때, 설정부(130)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시간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tting unit 130 can calculate the time difference using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TG=TU-[RAT/TU]rTG=TU-[RAT/TU]r

여기서, TG는 시간 차이이고, TU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이고, RAT는 요청 알람 시간이고, [RAT/TU]r은 요청 알람 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나눈 나머지이다.Here, TG is the time difference, TU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RAT is the requested alarm time, and [RAT/TU]r is the remainder of dividing the requested alarm time by the predetermined time unit.

예를 들어, 설정부(130)는 제어부(44)로부터 요청된 요청 알람 시간이 100초이고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60초인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 60초에서 요청 알람 시간 100초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 60초로 나눈 나머지 40초를 감산한 20초를 시간 차이로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quested alarm time requested from the control unit 44 is 100 seconds and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s 60 seconds, the setting unit 130 changes the requested alarm time 100 seconds from the predetermined time unit 60 seconds to the predetermined time unit. The time difference can be calculated as 20 seconds by subtracting the remaining 40 seconds divided by 60 seconds.

이후, 설정부(130)는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된 시간 차이를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reafter, if it is confirmed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a predetermined time unit, the setting unit 130 may set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as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measurement, as shown in FIG. 4.

설정부(130)는 상술된 예와 같이, 시간 차이가 20초로 산출되면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을 20초로 설정할 수 있다.As in the example described above, if the time difference is calculated to be 20 seconds, the setting unit 130 may set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measurement to 20 seconds.

이에 따라, 타이머부(110)는 측정 시작 시점에 측정되는 경과 시간이 이미 20초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elapsed time measured by the timer unit 110 at the start of measurement may already be 20 seconds.

또한, 설정부(130)는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요청 알람 시간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단위 개수를 산출하고, 단위 개수를 이용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if it is confirmed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a predetermined time unit, the setting unit 130 may calculate the number of units of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ncluded in the requested alarm time and set the alarm time using the number of units.

이때, 설정부(130)는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tting unit 130 can set the alarm time using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AT=([RAT/TU]q+1)×TUAT=([RAT/TU]q+1)×TU

여기서, AT는 알람 시간이고, RAT는 요청 알람 시간이고, TU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이고, [RAT/TU]q는 요청 알람 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나눈 몫이다.Here, AT is the alarm time, RAT is the requested alarm time, TU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RAT/TU]q is the quotient of dividing the requested alarm time by the predetermined time unit.

예를 들어, 설정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4)로부터 요청된 요청 알람 시간이 100초이고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60초인 경우, 요청 알람 시간 100초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 60초로 나눈 몫 1에 1을 가산한 2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 60초를 곱한 120초를 알람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requested alarm time requested from the control unit 44 is 100 seconds and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s 60 seconds, the setting unit 130 sets the requested alarm time 100 seconds as the predetermined time. You can set the alarm time as 120 seconds, which is the quotient 1 divided by the unit of 60 seconds, multiplied by 1 plus 2, and the predetermined time unit of 60 seconds.

여기서, 설정부(130)는 요청 알람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으로 알람 시간을 설정하지만, 타이머부(110)의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 또한 시간 차이만큼 경과된 시간으로 설정하므로 알림부(120)가 요청 알람 시간에 맞춰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setting unit 130 sets the alarm time as a time exceeding the requested alarm time, but the elapsed time at the start of the measurement of the timer unit 110 is also set as the time elapsed by the time difference, so the notification unit 120 An alarm signal can be output according to the requested alarm time.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알람 시간에만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120)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요청 알람 시간에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unit 120, which outputs an alarm signal only at the alarm time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can be used to output an alarm signal at a requested alarm time rather than a predetermined time unit.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가 타이머부(110)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Figure 5 is a timing chart to explain a process in which the setting unit 130' controls the timer unit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를 더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 대비 요청 알람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 타이머부(110)의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을 설정하는 구성 및 알람부(120)의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5, the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timer unit 110 that checks whether the request alarm time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compared to the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for setting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measurement and the configuration for setting the alarm time of the alarm unit 120 may be the same.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와 상이하게 알람부(120)가 알림 신호를 출력한 이후 타이머부(110)가 경과 시간을 재측정하도록 타이머부(110)를 제어하고, 타이머부(110)의 재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을 상술된 시간 차이로 설정할 수 있다.Unlike the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a timer so that the timer unit 110 remeasures the elapsed time after the alarm unit 120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The unit 110 can be controlled and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re-measurement of the timer unit 110 can be set to the time difference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는 알람부(120)가 알림 신호를 출력하면 타이머부(110)에 재측정 신호를 출력하여 경과 시간을 재측정하도록 타이머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alarm unit 120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the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utputs a remeasurement signal to the timer unit 110 to remeasure the elapsed time. can be controlled.

이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는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을 상술된 시간 차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와 동일하게 요청 알람 시간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단위 개수를 산출하고, 단위 개수를 이용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set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measurement to the time difference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alculates the number of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included in the request alarm time in the same way as the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uses the number of units to generate an alarm. You can set the time.

이에 따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알람 시간이 100초이고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60초이며 산출된 시간 차이가 20초인 경우, 알림 신호가 출력된 시점에 타이머부(110)의 재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을 산출 시간 20초로 설정함으로써, 알람부(120)가 요청 알람 시간 100초마다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the setting uni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ends a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requested alarm time is 100 seconds,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s 60 seconds, and the calculated time difference is 20 seconds. By setting the elapsed time from the re-measurement start point of the timer unit 110 to the calculated time of 20 seconds at the output time, the alarm unit 120 can output an alarm signal every 100 seconds of the requested alarm time.

이러한 설정부(130, 13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설정부(130, 130')에는 메모리가 내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릴레이 구동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에 요구되는 데이터들, 명령어 및 소프트웨어를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se setup units 130 and 130' are hardware-wise, including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gates (FPGA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rray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The setting units 130 and 130' may have a built-in memory. The memory may additionally store data, commands, and software required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elay driving device 100. Memory includes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SSD type (Solid State Disk type), SDD type (Silicon Disk Drive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At least one of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It may include a type of storage medium.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장치(1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배터리 관리 장치(10)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포함될 수 도 있다.Meanwhile,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 or in a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장치(10)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에 포함될 수 도 있다.Additionally, the alarm se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an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management device 1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를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devices, but may also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th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implementa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y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it.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patent claims.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and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can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 배터리 팩
20: 배터리 모듈
30: 컨택터
40: 배터리 관리 장치
100: 알람 설정 장치
110: 타이머부
120: 알람부
130, 130': 설정부
10: Battery pack
20: Battery module
30: contactor
40: Battery management device
100: Alarm setting device
110: Timer unit
120: Alarm unit
130, 130': Setting section

Claims (10)

측정 시작 시점부터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알람 시간과 상기 경과 시간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대응하여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 및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되기 위해 가산되어야 하는 시간 차이를 산출하며, 상기 요청 알람 시간과 상기 시간 차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알람 시간과 상기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알람 설정 장치.
A timer unit that measures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measurement;
an alarm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alarm time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is the same as the elapsed time and outputs an alarm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sult; and
Check whether the requested alarm time is the predetermined time unit, and calculate a time difference that must be added for the requested alarm time to become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result, and calculat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requested alarm time and the time unit.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alarm time and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measurement using one or more of
An alarm setting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되기 위해 가산되어야 하는 시간 차이를 산출하는 알람 설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ttings section
An alarm setting device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the predetermined time unit, calculates a time difference that must be added for the requested alarm time to become the predetermined tim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시간 차이를 산출하는 알람 설정 장치.
<수학식>
TG=TU-[RAT/TU]r
여기서, TG는 시간 차이이고, TU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이고, RAT는 요청 알람 시간이고, [RAT/TU]r은 요청 알람 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나눈 나머지이다.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ttings section
An alarm setting device that calculates the time differenc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Equation>
TG=TU-[RAT/TU]r
Here, TG is the time difference, TU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RAT is the requested alarm time, and [RAT/TU]r is the remainder of dividing the requested alarm time by the predetermined tim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시간 차이를 상기 측정 시작 시점에서의 경과 시간으로 설정하는 알람 설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ttings section
An alarm setting device that sets the time difference as an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measuremen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the predetermined tim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요청 알람 시간에 포함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의 단위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단위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알람 설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ttings section
An alarm setting device that calculates the number of units of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ncluded in the requested alarm tim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not the predetermined time unit, and sets the alarm time using the number of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알람 설정 장치.
<수학식>
AT=[RAT/TU]q+1
여기서, AT는 알람 시간이고, RAT는 요청 알람 시간이고, TU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이고, [RAT/TU]q는 요청 알람 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나눈 몫이다.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ttings section
An alarm setting device that sets the alarm tim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Equation>
AT=[RAT/TU]q+1
Here, AT is the alarm time, RAT is the requested alarm time, TU is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RAT/TU]q is the quotient of dividing the requested alarm time by the predetermined tim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요청 알람 시간을 상기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알람 설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ttings section
An alarm setting device that sets the requested alarm time to the alarm tim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quested alarm time is the predetermined tim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설정부로부터 설정된 알람 시간과 상기 경과 시간이 동일하면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 설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larm unit
An alarm setting device that outputs an alarm signal when the alarm time set from the setting unit is the same as the elapsed tim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An alarm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Battery management device, including: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An alarm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ncluding cars.
KR1020180102931A 2018-08-30 2018-08-30 Apparatus for setting a alarm KR102589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31A KR102589313B1 (en) 2018-08-30 2018-08-30 Apparatus for setting a al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31A KR102589313B1 (en) 2018-08-30 2018-08-30 Apparatus for setting a al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96A KR20200025496A (en) 2020-03-10
KR102589313B1 true KR102589313B1 (en) 2023-10-12

Family

ID=6980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931A KR102589313B1 (en) 2018-08-30 2018-08-30 Apparatus for setting a al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31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8284B2 (en) 2005-11-17 2011-04-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Electrical equipment
JP2016127701A (en) 2014-12-26 2016-07-1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and charging mechanism
JP2017046568A (en) 2015-08-28 2017-03-02 株式会社マキタ Information setting apparatus, battery pack and electrically-driven work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678A (en) * 1997-07-04 1999-01-29 Kokusai Electric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verifying remaining capacity of rechargeable battery
KR20080046966A (en) * 2006-11-24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utputting ala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8284B2 (en) 2005-11-17 2011-04-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Electrical equipment
JP2016127701A (en) 2014-12-26 2016-07-1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and charging mechanism
JP2017046568A (en) 2015-08-28 2017-03-02 株式会社マキタ Information setting apparatus, battery pack and electrically-driven work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96A (en)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842B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n internal resistance of a battery
EP3376588B1 (en) Temperatur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pack
KR102256601B1 (en) BMS Wake-up Apparatus,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2441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management
KR101696160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of battery rack using voltage measurement
RU2627243C1 (en) Storage battery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11346886B2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KR102443667B1 (en) balancing apparatus,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2013516954A (en) Batter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RU2627298C1 (en) Storage battery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system
JP2009017657A (en)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KR201901309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in battery and sub battery
EP36712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watchdog timer
KR1022175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balancing
US20140210414A1 (en) Storage battery system
KR102589313B1 (en) Apparatus for setting a alarm
KR102255490B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n internal resistance of a battery
KR20210048319A (en) Battery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946974B2 (en) Parallel battery relay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JP2014147138A (en) Storage battery system
KR20210054331A (en) Apparatus for battery diagnosis, 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same, and method thereof
KR102244124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switching device
JP5978142B2 (en) Battery system
KR20210074005A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management method,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KR201901016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current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