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258B1 -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258B1
KR102589258B1 KR1020220155637A KR20220155637A KR102589258B1 KR 102589258 B1 KR102589258 B1 KR 102589258B1 KR 1020220155637 A KR1020220155637 A KR 1020220155637A KR 20220155637 A KR20220155637 A KR 20220155637A KR 102589258 B1 KR102589258 B1 KR 102589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connector
female
terminal
thermocouple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5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수경
조용희
Original Assignee
(주) 해리아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해리아나 filed Critical (주) 해리아나
Priority to KR1020220155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01K7/023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provided with specially adapted conn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01K13/024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of moving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5/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motors, e.g. of a vehicle
    • G01K2205/04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motors, e.g. of a vehicle for measuring exhaust gas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Oxygen Concentration In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서 발전용 또는 추진용으로 사용하는 엔진의 배기가스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대와 보상도선이 커넥터를 통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열전대의 열화로 인해 교체가 필요할 때 열전대와 보상도선의 일부만을 교체 가능하므로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 엔진의 배기관 일측에 고정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것으로, 계측기의 입력단자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길이의 제1보상도선; 상기 제1보상도선의 타단에 접속되는 암커넥터;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열전대; 상기 열전대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길이의 제2보상도선; 및 상기 제2보상도선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암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Sensor apparatus for measuring exhaust gas temperature of marine engine}
본 발명은 선박에서 발전용 또는 추진용으로 사용하는 엔진의 배기가스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발전용이나 추진용으로 사용하는 엔진에는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원활하고 안전하게 구동 가능하도록 기계 및 전자식으로 온도, 압력, 잔량, 밀도 등의 정보들을 수집하여 제공하는 각종 센서 장치들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엔진의 배기관에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배기가스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엔진이 이상 상태임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는 계측기의 입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상도선의 단부에 열전대가 일체로 연결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엔진의 배기관 일측에 열전대를 고정시키고 열전대에 연결된 보상도선을 계측기의 입력단자에 접속하면 배기가스의 온도에 따른 전압이 열전대에서 출력된 후 계측기에 입력된다.
여기서 열전대는 높은 온도와 열기의 배기가스에 직접 노출되면서 쉽게 열화되므로 측정 온도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외관 상태를 확인한 후 교체 여부를 판단하여 교체해야만 한다. 그리고 열전대의 열화로 인해 교체가 필요할 때 열전대에 일체로 연결된 보상도선까지도 함께 교체해야 한다.
그러나 보상도선은 주변 환경에 영향받지 않도록 열전대를 연장한 것과 같은 동일한 효과로 온도를 보상할 수 있는 재질과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그 길이도 엔진의 배기관에서 시작하여 계측기의 입력단자에 이를 수 있는 긴 길이를 가짐에 따라 저렴한 제품이 아니므로 열전대와 일체로 교체함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의 교체 비용을 최소화하여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상도선의 대부분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열전대만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7074호, 2013.08.06.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36521호, 2022.08.26.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의 교체 비용을 최소화하여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보상도선의 대부분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열전대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는 선박 엔진의 배기관 일측에 고정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것으로, 계측기의 입력단자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길이의 제1보상도선; 상기 제1보상도선의 타단에 접속되는 암커넥터;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열전대; 상기 열전대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길이의 제2보상도선; 및 상기 제2보상도선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암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열전대와 보상도선이 커넥터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열전대의 열화로 인해 교체가 필요할 때 열전대와 보상도선의 일부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교체로 인한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를 이루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에 각각 포함된 암단자와 수단자가 모두 납작한 형상을 가지고 수단자가 암단자의 사이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접속되는 구조임에 따라 엔진이나 선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접속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커넥터에 밀착유도리브와 보강연결리브를 포함한 리브유닛이 설치됨에 따라 커넥터를 케이블타이 등으로 선체나 구조물에 고정할 때 이격 없이 밀착 고정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의 제2보상도선과 수커넥터와 플랙시블보강관 및 접속보호관을 포함한 제1부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의 제2보상도선과 수커넥터와 플랙시블보강관 및 접속보호관을 포함한 제1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의 제2보상도선과 수커넥터와 플랙시블보강관 및 접속보호관을 포함한 제1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의 제1보상도선과 암커넥터를 포함한 제2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의 암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에서 발전용 또는 추진용으로 사용하는 엔진의 배기가스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는 열전대의 열화로 인해 교체 필요시 교체 비용을 최소화하여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보상도선의 대부분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열전대를 교체할 수 있도록 보상도선을 제1보상도선과 제2보상도선으로 구성하고 제2보상도선의 단부에 열전대를 연결하고 제1보상도선과 제2보상도선을 커넥터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100)는 엔진(E)의 배기관(P) 일측에 단부가 삽입되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상도선(110), 암커넥터(120), 열전대(130), 제2보상도선(미도시), 수커넥터(150), 플랙시블보강관(160) 및 접속보호관(1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보상도선(110)은 주변 환경에 영향받지 않도록 열전대(130)를 연장한 것과 같은 동일한 효과로 온도를 보상할 수 있는 재질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보상도선(110)은 계측기(미도시)의 입력단자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엔진의 배기관 부근에서 계측기에 이를 수 있는 제1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보상도선(110)은 접지 단자로 기능하는 외피, 제1도선, 제2도선, 제1도선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단자, 제2도선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2단자, 외피와 접속되는 접지단자가 포함될 수 있다.
단, 제1보상도선(110)은 일단이 계측기의 제1입력단자와 제2입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암커넥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단자와 제2단자 및 접지단자가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보상도선(110)의 일단에 노출된 제1단자와 제2단자 및 접지단자는 계측기의 제1입력단자와 제2입력단자 및 선체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암커넥터(120)는 제1보상도선(110)과 열전대(130)가 서로 분리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제1보상도선(110)의 타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암커넥터(120)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몸체(121), 암단자대(122), 암단자(123), 체결간(124), 잠금커버(125) 및 잠금레버(12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암커넥터몸체(121)는 제1보상도선(110)의 단부에 열수축튜브(127)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암단자대(122)는 암커넥터몸체(121)의 단부에 전방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단자(123)는 제1암단자(123a)와 제2암단자(123b) 및 제3암단자(123b)로 구성되고 암단자대(122)의 단부 내측에 각각 서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전방에서 단부가 보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암단자(123a)와 제2암단자(123b) 및 제3암단자(123b)는 제1보상도선(110)의 타단에 노출된 제1단자와 제2단자 및 외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간(124)은 암단자대(122)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잠금커버(125)는 암단자대(122)와 체결간(124)의 외측에 둘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레버(126)는 잠금커버(125)의 일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거나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되면서 체결간(124)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즉, 잠금레버(126)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면 체결간(124)은 유동이 가능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잠금레버(126)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복귀하면 체결간(124)은 유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열전대(130)는 배기관(P)의 일측에 단부가 삽입되게 고정되어 배기관(P)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온도에 대응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전대(130)는 한 쌍을 이루는 제1전압출력단자와 제2전압출력단자를 통해 배기가스의 온도에 따른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대(130)는 단부가 배기관(E)의 일측에 소정길이 삽입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131)와 함께 수나사(132a)를 가진 고정너트(132)가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보상도선은 열전대(130)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보상도선(110)과 동일하게 주변 환경에 영향받지 않도록 열전대를 연장한 것과 같은 동일한 효과로 온도를 보상할 수 있는 재질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보상도선은 열전대(130)의 열화시 열전대(130)와 함께 일체로 교체되는 것이므로 교체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열전대(130)와 제1보상도선(110)을 최소한의 길이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1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짧은 제2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보상도선은 접지 단자로 기능하는 외피, 제1도선, 제2도선, 제1도선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단자, 제2도선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2단자, 외피와 접속되는 접지단자가 포함될 수 있다.
단, 제2보상도선은 일단이 열전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수커넥터(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단자와 제2단자 및 접지단자가 노출될 수 있다.
즉, 제2보상도선의 일단에 노출된 제1단자와 제2단자는 열전대(130)의 제1전압출력단자와 제2전압출력단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커넥터(150)는 제2보상도선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암커넥터(1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커넥터(15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몸체(151), 수단자홈(152), 수단자(153) 및 체결턱(1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커넥터몸체(151)는 제2보상도선의 타단에 연결되고 잠금커버(125)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단자홈(152)은 수커넥터몸체(151)의 단부에 함몰 형성되고 수커넥터몸체(151)가 잠금커버(1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암단자대(12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단자(153)는 제1수단자(153a)와 제2수단자(153b) 및 제3수단자(153c)로 구성되고 수단자홈(152)의 내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수단자(153a)와 제2수단자(153b) 및 제3수단자(153c)는 제2보상도선의 타단에 노출된 제1단자와 제2단자 및 외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단자(153a)와 제2수단자(153b) 및 제3수단자(153c)는 수단자홈(152)에 암단자대(122)가 삽입된 상태에서 암커넥터(120)의 제1암단자(123a)와 제2암단자(123b)및 제3암단자(123c)에 각각 삽입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체결턱(154)은 수커넥터몸체(151)의 외부에 설치되고 제1수단자(153a)와 제2수단자(153b) 및 제3수단자(153c)가 제1암단자(123a)와 제2암단자(123b)및 제3암단자(123c)에 각각 삽입 접속된 상태에서 체결간(124)이 걸림되어 수커넥터몸체(151)와 암커넥터몸체(121)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할 수 있다.
단, 사용자가 잠금레버(126)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게 조작하면 체결간(124)의 유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체결간(124)이 체결턱(154)으로부터 걸림 해제 가능하여 수커넥터몸체(151)와 암커넥터몸체(121)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암단자(1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너비가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납작한 형상을 가지는 상부단자(1231)와 하부단자(1232)가 상하로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서로 상하로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단자(15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단자(123)의 상부단자(1231)와 하부단자(1232)의 사이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접속되도록 좌우 너비가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납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암단자(123)와 수단자(153)가 모두 납작한 형상을 가지고 수단자(153)가 암단자(123)의 상하 틈 사이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접속되는 구조임에 따라 엔진이나 선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암커넥터(120)와 수커넥터(150)에 계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서로 간의 유격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수커넥터몸체(151)의 일면에는 암커넥터(120)와 수커넥터(150)가 체결된 상태에서 선체나 다른 구조물에 케이블타이 등으로 고정할 때 흔들림 없이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리브유닛(15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브유닛(155)은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몸체(151)의 일면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면서 수커넥터몸체(151) 일면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유도리브(155a)와, 수커넥터몸체(151)의 일면에 밀착유도리브(155a)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밀착유도리브(155a)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연결리브(155b)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커넥터몸체(151)의 일면 돌출 높이가 리브유닛(155)을 이루는 밀착유도리브(155a)와 보강연결리브(155b)에 의해 일정하게 됨에 따라 케이블타이 등으로 선체나 구조물에 고정할 때 그 일면이 평면과 같이 이격 없이 밀착될 수 있으므로 암커넥터(120)와 수커넥터(15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암커넥터(120)와 수커넥터(15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플랙시블보강관(16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며 제2보상도선의 외면과 제2보상도선과 수커넥터(150)의 접속부를 외부에서 동시에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플랙시블보강관(160)은 제1보상도선(110)의 내부로 오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고 제2보상도선과 수커넥터(150)의 접속부를 보강할 수 있으며 열전대(130)의 고정 위치에 따라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플랙스블보강관(160)과 수커넥터(150)의 경계부는 열수축튜브(161)로 보호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접속보호관(17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보상도선과 열전대(130)의 접속부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접속보호관(170)은 제2보상도선과 열전대(130)의 접속부를 보호 및 보강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접속보호관(170)과 플랙스블보강관(160)의 경계부는 열수축튜브(171)로 보호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10: 제1보상도선
120: 암커넥터
121: 암커넥터몸체
122: 암단자대
123: 암단자
123a: 제1암단자
123b: 제2암단자
123c: 제3암단자
1231: 상부단자
1232: 하부단자
124: 체결간
125: 잠금커버
126: 잠금레버
127: 열수축튜브
130: 열전대
131: 스토퍼
132: 고정너트
132a: 수나사
150: 수커넥터
151: 수커넥터몸체
152: 수단자홈
153: 수단자
153a: 제1수단자
153b: 제2수단자
153c: 제3수단자
154: 체결턱
155: 리브유닛
155a: 밀착유도리브
155b: 보강연결리브
160: 플랙시블보강관
161: 열수축튜브
170: 접속보호관
171: 열수축튜브
100: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
E: 엔진
P: 배기관

Claims (7)

  1. 선박 엔진의 배기관 일측에 고정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것으로,
    계측기의 입력단자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길이의 제1보상도선;
    상기 제1보상도선의 타단에 접속되는 암커넥터;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열전대;
    상기 열전대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길이의 제2보상도선;
    상기 제2보상도선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암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커넥터;
    상기 제2보상도선의 외면과, 상기 제2보상도선과 상기 수커넥터의 접속부를 외부에서 동시에 감싸고 금속 재질이며 휘어짐이 가능한 유연성을 가져 상기 제1보상도선의 내부로 오일이 침투되지 않게 차단하고 상기 제2보상도선과 상기 수커넥터의 접속부를 보강하며 상기 열전대의 고정 위치에 따라 휘어지는 플랙시블보강관; 및
    상기 제2보상도선과 상기 열전대의 접속부를 외부에서 감싸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속보호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커넥터는
    상기 제1보상도선의 단부에 연결되는 암커넥터몸체와, 상기 암커넥터몸체의 단부에 돌출되는 암단자대와, 상기 암단자대의 단부 내측에 각각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보상도선의 제1단자와 제2단자 및 외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암단자와, 상기 암단자대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탄성에 의해 유동 가능한 체결간과, 상기 암단자대의 외측에 둘러 설치되는 잠금커버와, 상기 잠금커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체결간의 유동을 단속하는 잠금레버로 구성되며,
    상기 수커넥터는
    상기 제2보상도선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커버에 삽입되는 수커넥터몸체와, 상기 수커넥터몸체의 단부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커넥터몸체가 상기 잠금커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단자대가 삽입되는 수단자홈과, 상기 수단자홈의 내측에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보상도선의 제1단자와 제2단자 및 외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암단자대가 상기 수단자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 개의 수단자와, 상기 수커넥터몸체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커넥터몸체가 상기 잠금커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간에 걸림되는 체결턱과,
    상기 수커넥터는
    상기 수커넥터몸체의 일면에 복수 개가 상기 수커넥터몸체의 일면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평행을 이루고 돌출 단부면이 서로 수평을 이루는 밀착유도리브와, 상기 수커넥터몸체의 일면에 상기 밀착유도리브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밀착유도리브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연결리브로 이루어지는 리브유닛가 더 포함되어, 상기 수커넥터몸체의 일면 돌출 높이가 일정하게 되면서 선체나 구조물에 고정될 때 일면이 이격 없이 밀착됨에 따라 상기 암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가 흔들림 없이 고정되면서 전기적인 연결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는
    좌우 너비가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납작한 형상을 가지는 상부단자와 하부단자가 상하로 배치되고 탄성에 의해 상하로 서로 밀착되는 구조이고,
    상기 수단자는
    상기 상부단자와 상기 하부단자의 사이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도록 좌우 너비가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납작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
  7. 삭제
KR1020220155637A 2022-11-18 2022-11-18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 KR102589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637A KR102589258B1 (ko) 2022-11-18 2022-11-18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637A KR102589258B1 (ko) 2022-11-18 2022-11-18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258B1 true KR102589258B1 (ko) 2023-10-13

Family

ID=8828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637A KR102589258B1 (ko) 2022-11-18 2022-11-18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25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665A (ja) * 2005-06-09 2006-12-21 Sanyo Electric Co Ltd 加圧殺菌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芯温センサー
KR20100003966U (ko) * 2008-10-07 2010-04-15 한국동서발전(주) 열전대
US20120250727A1 (en) * 2011-03-28 2012-10-04 Schlipf Andreas Temperature sensor with carrier plate
KR101195326B1 (ko) * 2010-07-01 2012-10-29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가스터빈 배기가스의 온도 센서 장치
KR20130087074A (ko) 2012-01-27 2013-08-06 주식회사 대양계기 선박용 내연기관의 실린더 배기가스 온도측정용 결합형 온도계측기
KR102156252B1 (ko) * 2020-04-28 2020-09-15 (주)센테크이엔지 열전대 온도센서용 커넥터
KR20220093427A (ko) * 2020-12-28 2022-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102436521B1 (ko) 2021-06-02 2022-08-26 (주)신우계측기 열전대가 구비된 바이메탈식 선박용 온도계측기
KR102452481B1 (ko) * 2020-03-31 2022-10-07 주식회사 유라테크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665A (ja) * 2005-06-09 2006-12-21 Sanyo Electric Co Ltd 加圧殺菌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芯温センサー
KR20100003966U (ko) * 2008-10-07 2010-04-15 한국동서발전(주) 열전대
KR101195326B1 (ko) * 2010-07-01 2012-10-29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가스터빈 배기가스의 온도 센서 장치
US20120250727A1 (en) * 2011-03-28 2012-10-04 Schlipf Andreas Temperature sensor with carrier plate
KR20130087074A (ko) 2012-01-27 2013-08-06 주식회사 대양계기 선박용 내연기관의 실린더 배기가스 온도측정용 결합형 온도계측기
KR102452481B1 (ko) * 2020-03-31 2022-10-07 주식회사 유라테크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 제조 방법
KR102156252B1 (ko) * 2020-04-28 2020-09-15 (주)센테크이엔지 열전대 온도센서용 커넥터
KR20220093427A (ko) * 2020-12-28 2022-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102436521B1 (ko) 2021-06-02 2022-08-26 (주)신우계측기 열전대가 구비된 바이메탈식 선박용 온도계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5913B2 (ja) 電源装置のカバー構造
JP4778481B2 (ja) 温度検出器の取付構造
US8851935B2 (en) Electrical wire harness connector
CN102405563B (zh) 防水结构
US10879682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JP6664954B2 (ja) ケーブルカバー
JP5630691B2 (ja) 電流検出装置
JP5978106B2 (ja) コネクタ間の接続構造
ES2202428T3 (es) Dispositivo de medicion.
US10971844B2 (en) Connector including conductive voltage detection terminal branching from conduction path
JP2015512513A (ja) 温度センサ
US11143717B2 (en) Multi-phase sensor module, systems and methods
JP2015015091A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JP2014093163A (ja) バスバモジュールの電線配索構造
KR102589258B1 (ko) 선박 엔진 배기가스 온도 측정용 센서 장치
KR20140125446A (ko) 와이어 보호구조
JP5424484B2 (ja) コネクタ
KR20160117184A (ko) 플러그
US20200176960A1 (en) Wiring structure
JP2011053003A (ja) 電流検出装置
CN108631110B (zh) 电缆线束插头
JP5864270B2 (ja) 原子力プラント温度計測システムおよび原子力プラント計装システム
JP6701894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21086794A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
KR100261345B1 (ko) 내연기관용 고전압 점화 케이블과 저전압 측정 케이블용 결합 배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