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219B1 - Flap-type parking crossing gate including protecting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lap-type parking crossing gate including protecting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219B1
KR102589219B1 KR1020210169028A KR20210169028A KR102589219B1 KR 102589219 B1 KR102589219 B1 KR 102589219B1 KR 1020210169028 A KR1020210169028 A KR 1020210169028A KR 20210169028 A KR20210169028 A KR 20210169028A KR 102589219 B1 KR102589219 B1 KR 10258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lap
module
senso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81904A (en
Inventor
윤두선
최봉석
Original Assignee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219B1/en
Publication of KR2023008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 E01F13/085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specially adapted for individual parking sp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는 크랭크 축; 일 단이 상기 크랭크 축과 연결되고, 크랭크 축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플랩 날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단축하는 로드 선형 액츄에이터; 및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의 연장 및 단축에 따라 상기 크랭크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링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A flap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rankshaft; A flap wing at one end connected to the crankshaft and rising or falling as the crankshaft rotates; a longitudinally extending or shortening rod linear actuator; and a link structure configured to rotate the crankshaft according to the extension and shortening of the linear actuator. Variou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Description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및 그 운용 방법{FLAP-TYPE PARKING CROSSING GATE INCLUDING PROTECTING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Flap type parking barrier including protective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LAP-TYPE PARKING CROSSING GATE INCLUDING PROTECTING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플랩 차단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플랩 차단기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flap breakers, and specifically to flap breakers including protective structur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Unless otherwise stated herein, 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in this application and should not be acknowledged as prior art by virtue of being described in this section.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특정 공간에 차량의 주차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장소로서, 차량 보급률이 증가하고, 차량이 밀집되는 도심이 발달함에 따라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부족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부족한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변의 노상 주차장 또는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을 유료 주차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노상 주차장 또는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은 독립적인 공간으로서 차량의 진입출을 통제할 수 없고, 대신하여 지면으로부터 상하이동되는 차단판을 통해 차량의 바닥면을 가로막아 진입출을 통제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parking lot is a place to provide parking space for vehicles in a specific space. As the vehicle penetration rate increases and urban centers with dense vehicles develop, there is a shortage of parking spaces where vehicles can park. In order to secure insufficient parking space, measures to use on-road parking lots or resident priority parking areas as paid parking lots are being promoted. However, on-street parking or resident priority parking areas are independent spaces and cannot control the entry and exit of vehicles. Instead, they are flap-type parking barriers that block entry and exit of vehicles by blocking the bottom surface of vehicles through a barrier plate that moves up and down from the ground. is install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예를 들어, 선행문헌 KR 10-2005-0028510 A는 주차시스템의 플랩형 주차 차단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위와 같은 선행문헌에 따르면, 차단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계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차단판을 상하이동하기 위하여 웜기어(worm gear)와 베벨기어(bevel gear)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다수의 기어를 사용하면, 주차된 차량이 차단판이 상승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단을 차량의 출차를 시도하는 경우에 기어 또는 기어에 연결된 모터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렇게 파손된 플랩형 주차차단기가 수리가 될 때까지 해당 주차구역은 사용되지 못하여 수익성 감소로 이어진다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야기된다. For example, prior document KR 10-2005-0028510 A discloses a flap-type parking breaker for a p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prior literature, the drive system that moves the blocking plate up and down includes a worm gear and a bevel gear to move the blocking plate up and down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However, if multiple gears are used in this way, the gears or the motor connected to the gears may be easily damaged if the parked vehicle attempts to leave the vehicle without permission even though the blocking plate is raised. An additional problem arises in that the parking area cannot be used until the damaged flap-type parking barrier is repaired, leading to a decrease in profitability.

특허공개공보 10-2005-0028510A (2005.3.23)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28510A (2005.3.23)

본 개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차량이 무단으로 출차를 시도하는 경우라도 내부 구동계와 같은 주요 부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여 내구성이 증대되고, 내부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내부 부품의 교환을 쉽게하여 수리비 및 수리시간을 절감하도록 하는 플랩형 주차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increase durability by protecting major parts such as the internal drive system from damage even when the vehicle attempts to leave the vehicle without permission, and to increase durability even if the internal parts are damaged. We aim to provide a flap-type parking breaker that reduces repair costs and time by making it easy to replace parts.

또한, 본 개시는 플랩형 주차차단기 내의 소모 부품의 교환 시기를 예측하여 유지보전이 가능한 플랩형 주차차단기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seek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flap-type parking breaker capable of maintenance by predicting the replacement time of consumable parts within the flap-type parking breaker.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brief summary and description of effect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details inten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By referring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dditional embodiments and technical featur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echnical features, may be understoo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는 크랭크 축; 일 단이 상기 크랭크 축과 연결되고, 크랭크 축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플랩 날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단축하는 로드 선형 액츄에이터; 및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의 연장 및 단축에 따라 상기 크랭크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링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A flap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rankshaft; A flap wing at one end connected to the crankshaft and rising or falling as the crankshaft rotates; a longitudinally extending or shortening rod linear actuator; and a link structure configured to rotate the crankshaft according to the extension and shortening of the linear actuator. Variou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조는 브레이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모서리가 브레이크 판에 걸려, 상기 외력이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에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In the flap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nk structure includes a brake module, and the brake module has a corner caught on the brake plate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flap wing, so that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inear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actuato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브레이크 본체 및 브레이크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는 일부가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의 연장 또는 단축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판을 따라 미끄러지듯 이동하고,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대한 외력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삽입되어,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포함된 상기 모서리가 상기 브레이크 판에 포함된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flap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rake module includes a brake body and a brake prevention member, and a portion of the brake prevention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nd slide with respect to the brake body, and the linear actuator In the operation of the link structure by extension or shortening, the brake prevention member slides along the brake plate, and in the operation of the link structure by external force against the flap blade, the brake preven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brake main body. It may be inserted into the brake body so that the corner included in the brake body is caught in a locking groove included in the brake plat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판에 포함된 걸림홈은 상기 브레이크 모듈이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 나열될 수 있다. In the flap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included in the brake plate may b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ake module move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는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가 상기 링크 구조가 연결된 측의 반대측에서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스프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모듈은 스프링 모듈 본체 및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일 단이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함께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대한 외력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압축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lap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spring module connected to the linear actuator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linear actuator is connected to the link structure, wherein the spring module includes a spring module body and a connection portion,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inear actuator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with at least one spring relative to the spring module body and is configured to slide, and in the operation of the link structure due to an external force against the flap wing, the At least one spring may be compressed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pring module body.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는 상기 브레이크 모듈의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에 설치되는 센서, 및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체결된 제1 센서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제1 센서 인식부에 대한 거리를 검지하여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검지하는 제1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flap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ensor installed on the brake prevention member of the brake module, and a first sensor recognition unit fastened to the brake body, wherein the sensor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recognition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distance and detects that the brake prevention member is sliding relative to the brake body.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는 상기 스프링 모듈의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2 센서 인식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로에서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센서홀을 포함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2 센서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홀을 인식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The flap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econd sensor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pring module, and a second sensor recognition portion disposed continuously on the spring module body in a path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slides with respect to the spring module bod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ns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 holes,
The second sensor unit may detec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onnec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spring module body by recognizing the plurality of sensor hole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가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되는 경우, 관리서버에 상기 브레이크 판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flap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unit; Accumulating the number of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to a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number of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accumulates to a reference value, sending a notification that the brake plate needs to be replaced to the management server may be includ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가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되는 경우, 관리서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operating a flap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ensor unit; Accumulating the number of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unit to a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number of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unit accumulates to a reference value, transmitting a notification that the at least one spring needs to be replaced to the management server.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본체의 내부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a는 정상작동상태의 플랩 날개 구동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b는 비정상 상태의 플랩 날개 구동장치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모듈의 측면을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b는 스프링 모듈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가 설치된 주차장 구성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알리는 운용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한다.
The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nd other additional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se drawings illustrate only a few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and in detail using the attached drawings.
1 shows a flap blocker in u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p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A and 3B are side views view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flap br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brake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a is a side view of the flap wing drive device in a normal operating state.
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in an abnormal state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ure 6a is a side view looking at the side of the spring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ring module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ure 7 show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lot configuration with a flap barrier instal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8 show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method for notifying replacement time of consumables of a flap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llustrates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at may be used to operate a flap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disclosure,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e present disclosure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The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nd other additional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se drawings illustrate only a few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and in detail using the attached drawings.

또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1 shows a flap blocker in u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형 주차 차단기(100)(이하 플랩 차단기(100)로 지칭)는 주차면(101)에 각각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주차면(101)에 차량(102)이 주차되면, 주차면(101)에 설치된, 예를 들어 루프 코일, 무게 감지 센서, 또는 카메라와 같은 센서를 통해 차량이 주차되었음이 감지할 수 있다. 플랩 차단기(100)는 이러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102)이 주차되었음을 식별하고, 플랩 날개(110)를 상승시켜 차량(102)이 주차 요금의 결제전에 출차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flap-type parking break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lap bre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dependently on the parking surface 101. When the vehicle 102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101, it can be detected that the vehicle is parked through a sensor installed on the parking surface 101, for example, a loop coil, a weight sensor, or a camera. Based on this detection result, the flap blocker 100 can identify that the vehicle 102 is parked and raise the flap wing 110 to block the vehicle 102 from being parked before payment of the parking fee.

이하 설명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100)는 플랩 날개(1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기구로서 크랭크 기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랩 차단기(100)는 보호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구조는 플랩 날개(110)가 상승되었을 때 강제 출차함에 따라 플랩 날개(110)에 가해지는 외력과 같은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플랩 차단기(100) 내의 구동장치로서 크랭크 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100)는 센서를 포함하여 센서의 검지 결과에 따른 소모 부품에 대한 소모 횟수, 결함을 식별하고 이에 기초하여 교환시기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이러한 플랩 차단기(100)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flap bre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below may have a crank mechanism as a driving mechanism for raising or lowering the flap wing 110. Additionally, the flap breaker 100 may include a protective structure. The protective structure is a driving device within the flap breaker 100 and can prevent damage to the crank mechanism even if an abnormal external force such a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lap wing 110 is applied as the flap wing 110 is forcibly taken out when the flap wing 110 is raised. . The flap break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ensor and can identify the number of consumption and defects of consumable part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sensor and notify replacement time based on this. Additionally, the present disclosure seek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such a flap breaker 100.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p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플랩 차단기(200)는 본체(210), 메인 플랩판(220), 플랩 날개(2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flap blocker 200 may include a main body 210, a main flap plate 220, and a flap wing 230.

본체(210)는 하우징(2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1)은 플랩 차단기(200)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를 실장할 수 있다. 하우징(211)은 착탈 가능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10 may include a housing 211. The housing 211 may mount components including a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required for the flap circuit breaker 200 to operate. Housing 211 may include a removable cover.

본체(210)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12)는 시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출력부 및 소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12)는 하우징(211)에 형성된 개구 또는 투명창(transparent window)를 통하여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10 may include an output interface 212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he output interface 212 may include a visual output unit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and an audio output unit for providing sound information. The output interface 212 may be displayed externally through an opening or a transparent window formed in the housing 211.

메인 플랩판(220)은 플랩 차단기(200)가 주차면에 설치되었을 때 바닥에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플랩 날개(230)는 플랩 차단기(200)가 주차면에 설치되었을 때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랩 날개(230)의 일 단을 축으로 메인 플랩판(220)에 대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플랩 날개(230)가 메인 플랩판(220)에 대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동작을 플랩(flap) 동작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The main flap plate 220 may be a part fixed to the floor when the flap blocker 200 is installed on the parking surface. The flap wings 230 may rise or fall when the flap blocker 200 is installed on the parking surface. For example, it may rise or fall with respect to the main flap plate 220 with one end of the flap wing 230 as the axis. The operation of the flap wing 230 rising or falling with respect to the main flap plate 220 may be referred to as a flap operation.

메인 플랩판(220)과 플랩 날개(230)는 차량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서로 맞닿는 부분이 산(mountain)을 이루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차량의 바퀴가 경사면을 통하여 메인 플랩판(220)과 플랩 날개(230)를 지나 플랩 차단기(200)를 통과할 수 있다. 메인 플랩판(220)과 플랩 날개(230)는 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양쪽 바퀴가 모두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지거나,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양쪽 바퀴 중 하나만이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질 수 있다. The main flap plate 220 and the flap wing 230 are parts through which a vehicle passes, and the parts where the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may have a slope forming a mountain. The wheels of the vehicle may pass through the main flap plate 220 and the flap wings 230 and the flap blocker 200 through the inclined plane. The main flap plate 220 and the flap wings 230 may have a width that allows both the front or rear wheels of the vehicle to pass, or may have a width that allows only one of the front or rear wheels to pass. .

출력 인터페이스(212)는 플랩 날개(230)의 상승과 하강에 대응하는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212)는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LED 램프는 플랩 날개(230)가 상승하여 차량이 통과하지 못할 때에는 적색을 출력하고, 플랩 날개(230)가 하강하여 차량이 통과할 수 있을 때에는 녹색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출력 인터페이스(212)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플랩 날개(230)의 상승과 하강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interface 212 may display a not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rise and fall of the flap wing 230. For example, output interface 212 may include an LED lamp. The LED lamp outputs red when the flap wings 230 are raised and the vehicle cannot pass, and outputs green when the flap wings 230 are lowered and the vehicle can pass.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put interface 212 may include a speaker and output sound corresponding to the rise and fall of the flap wing 230.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본체의 내부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a는 플랩 날개가 하강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3b는 플랩 날개가 상승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다. 3A and 3B are side views view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flap br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Figure 3a shows the appearance when the flap wing is lowered, and Figure 3b shows the appearance when the flap wing is raised.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플랩 차단기의 본체는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플랩 날개(301)의 일 단을 축으로 회전 운동시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다관절 링크 구조 또는 크랭크 구조를 통해 플랩 날개(301)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고정파트(310), 선형 액츄에이터(320)(linear actuator), 크랭크 암(330)(crank arm), 브레이크 모듈(340), 스프링 모듈(350), 브레이크 판(360)(break plate)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main body of the flap breaker may include a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can rotate one end of the flap blade 301 about its axis to raise or lower it.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control the posture of the flap blade 301 through a multi-joint link structure or a crank structure. The flap wing driving device 300 includes a fixed part 310, a linear actuator 320, a crank arm 330, a brake module 340, a spring module 350, and a brake plate 360. ) (break plate) and a control unit 370.

고정파트(310)는 크랭크 축(311)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랭크 축(311)은 플랩 날개(301)의 일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크랭크 축(311)은 플랩 날개(301)의 플랩 동작의 기준이 될 수 있다. 고정파트(310)에 대하여 크랭크 축(311)이 회전함에 따라 플랩 날개(301)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고정파트(310)는 플랩 차단기의 본체의 바닥면(302)에 고정되어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를 지지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310 may include a crank shaft 311. One end of the flap wing 301 may be fixed to the crank shaft 311. The crank shaft 311 may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flap operation of the flap wing 301. As the crank shaft 311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xed part 310, the flap wing 301 may rise or fall. The fixing part 310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302 of the main body of the flap breaker and serve as a standard for supporting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실린더(321)(cylinder) 및 텔레스코픽 로드(322) (telescopic rod)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로드(322)는 실린더(321)에 대하여 선형으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실린더(321)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할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텔레스코픽 로드(322)를 실린더(321)에 대하여 선형 슬라이딩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321)에서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위치한 측의 맞은편의 단부는 스프링 모듈(350)과 연결될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제1 회전축(351)을 기준으로 스프링 모듈(35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linear actuator 320 may include a cylinder 321 and a telescopic rod 322. The telescopic rod 322 may be linearly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321. The telescopic rod 322 may slide relative to the cylinder 321 to extend or shorten the length of the linear actuator 320. The linear actuator 320 may include a motor as a driving source for linearly sliding the telescopic rod 322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321. An end of the cylinder 321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telescopic rod 322 is located may be connected to the spring module 350. The linear actuator 3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pring module 350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351.

스프링 모듈(350)은 바닥면(302)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 모듈(350)과 선형 액츄에이터(320)가 연결된 제1 회전축(351)은,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환경에서는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고정파트(310) 및 스프링 모듈(350)을 고정(또는 구속)하고 양 구성 사이에 크랭크 암(330), 브레이크 모듈(340) 및 선형 액츄에이터(320)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4절 링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모듈(350)은 제2 고정파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스프링 모듈(350)은 선형 액츄에이터(3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데, 스프링 모듈(350)은 선택적인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스프링 모듈(35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에 대한 설명에서 스프링 모듈(350)의 구조와 기능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The spring module 350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302. The position of the first rotation axis 351 to which the spring module 350 and the linear actuator 320 are connected may be fix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operates normally. That is, the flap wing driving device 300 fixes (or restrains) the fixing part 310 and the spring module 350, and the crank arm 330, brake module 340, and linear actuator 320 are between the two components. It may have a four-bar link structu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spring module 350 can function as a second fixing part. The spring module 350 functions to protect the linear actuator 320. The spring module 350 is optional,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lap blade actuator 300 may not include the spring module 350. .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pring module 350 may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and this may be explained in detail later.

고정파트(310) 및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사이에 크랭크 암(330) 및 브레이크 모듈(340)이 연결될 수 있다. 고정파트(310), 선형 액츄에이터(320), 크랭크 암(330) 및 브레이크 모듈(340)은 각 구성의 단부들이 이웃하는 구성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다관절 링크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모듈(340)은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선형 운동을 크랭크 축(311)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힘을 전달하는 부재로서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라고 지칭될 수 있다. A crank arm 330 and a brake module 34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xing part 310 and the linear actuator 320. The fixing part 310, linear actuator 320, crank arm 330, and brake module 340 may form a multi-joint link structure in which the ends of each component are rotatably connected to neighboring components. Meanwhile, the brake module 340 is a member that transmits force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linear motion of the linear actuator 320 in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rank shaft 311 and may be referred to as a connecting rod.

고정파트(310)는 크랭크 축(311)을 통하여 크랭크 암(330)과 연결될 수 있다. 크랭크 암(330)은 크랭크 축(311)을 통하여 고정파트(310)와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서 브레이크 모듈(340)과 연결될 수 있다. 크랭크 암(330)은 제2 회전축(331)을 기준으로 브레이크 모듈(3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 310 may be connected to the crank arm 330 through the crank shaft 311. The crank arm 330 may be connected to the brake module 34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310 through the crank shaft 311. The crank arm 330 may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rake module 340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axis 331.

브레이크 모듈(340)은 제2 회전축(331)을 통하여 크랭크 암(330)과 연결되는 반대방향에서 선형 액츄에이터(320)와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크 모듈(340)은 제3 회전축(341)을 기준으로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The brake module 340 may be connected to the linear actuator 32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rank arm 330 through the second rotation shaft 331. The brake module 340 may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linear actuator 320 about the third rotation axis 341.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린더(321)에 대하여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돌출 또는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운동 또는 선형 운동할 수 있다.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may be operated by a linear actuator 320. The telescopic rod 322 may move in a sliding or linear motion to be protruded or inserted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321.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실린더(3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하면,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전체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로드(322)에 의한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연장과 단축과 같은 선형 운동은, 크랭크 암(330) 및 브레이크 모듈(340)을 통해 크랭크 축(311)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When the telescopic rod 322 slides relative to the cylinder 321, the overall length of the linear actuator 320 may change. Linear motion, such as extension and shortening of the linear actuator 320 by the telescopic rod 322, can be converted into rotational motion of the crank shaft 311 through the crank arm 330 and the brake module 340.

크랭크 축(311)은 플랩 날개(301)와 고정 연결되어 크랭크 축(311)의 회전에 따라 플랩 날개(301)가 회전할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가 길이가 늘어나도록 작동하면 플랩 날개(301)가 상승할 수 있고, 선형 액츄에이터(320)가 짧아지도록 작동하면 플랩 날개(301)가 하강할 수 있다. 즉,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길이 변화에 따라 크랭크 축(311) 또는 플랩 날개(301)의 회전할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길이가 얼마나 변화하느냐에 따라 크랭크 축(311) 또는 플랩 날개(301)의 회전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The crank shaft 311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lap blade 301 so that the flap blade 301 can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rank shaft 311. When the linear actuator 320 is operated to increase the length, the flap blade 301 may rise, and when the linear actuator 320 is operated to shorten, the flap blade 301 may descend. That is, the crank shaft 311 or the flap blade 301 may rotat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linear actuator 320. The rotation angle of the crank shaft 311 or the flap blade 301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how much the length of the linear actuator 320 changes.

도 3a를 참조하면,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실린더(321)에 대하여 최대한 삽입된 상태에서, 플랩 날개(301)는 완전히 하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실린더(321)에 대하여 완전히 돌출된 상태에서, 플랩 날개(301)는 완전히 상승된 상태일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길이 변화에 따라 플랩 날개(301)가 상승하는 정도 또는 하강하는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텔레스코픽 로드(322)가 실린더(321)에 대하여 돌출되는 정도 또는 삽입되는 정도를 제어하며 구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when the telescopic rod 322 of the linear actuator 320 is fully inserted into the cylinder 321, the flap wing 301 may be completely lowered. Referring to FIG. 3B, when the telescopic rod 322 of the linear actuator 320 fully protrudes relative to the cylinder 321, the flap wing 301 may be fully raised. Depending on the change in length of the linear actuator 320, the degree to which the flap wing 301 rises or falls may be determined. The linear actuator 320 may be driven to control the extent to which the telescopic rod 322 protrudes or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321 .

이와 같이,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선형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다관절 링크 구조 또는 크랭크 구조를 통하여 플랩 날개(301)를 플랩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기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플랩 날개(301)를 동작시킬 수 있다. 기어는 고가의 부품이며, 비정상적이고 강제적인 힘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기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어나 기어에 연결된 모터가 손상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였다. In this way,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can cause the flap blades 301 to operate as flaps through a multi-joint link structure or crank structure that converts linear motion into rotational motion. 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can operate the flap blade 301 without using any gear. Gears are expensive parts and are easily damaged by abnormal and forced forces.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lap wing driving device 300 does not use gears at all, so the gears or the motor connected to the gears may be damaged. The possibility was completely elimin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브레이크 판(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는 브레이크 판(360)을 이용하여 플랩 날개(301)에 대한 비정상적이고 강제적인 힘이 가해져도, 이러한 힘이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대하여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a 및 도 5b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판(360)을 이용한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brake plate 360.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uses the brake plate 360 to prevent this forc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inear actuator 320 even if an abnormal and forced force is applied to the flap blade 301. ) can prevent damage.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using the brake plate 360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4 and 5A and 5B.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a는 정상작동상태의 플랩 날개 구동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b는 비정상 상태의 플랩 날개 구동장치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brake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a is a side view of the flap wing drive device in a normal operating state. 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ap blade driving device in an abnormal state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4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모듈(340)은 브레이크 본체(410), 스프링(420), 브레이크 방지부재(430), 센서부(440) 및 센서 인식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brake module 340 may include a brake body 410, a spring 420, a brake prevention member 430, a sensor unit 440, and a sensor recognition unit 450.

브레이크 본체(410)는 양 단에 제1 개구부(411) 및 제2 개구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411) 및 제2 개구부(412)는 핀(미도시)을 통하여 각각 선형 액츄에이터(320) 및 크랭크 암(33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개구부(411)는 제3 회전축(341)으로 기능하고, 제2 개구부(412)는 제2 회전축(331)로 기능할 수 있다. The brake body 41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411 and a second opening 412 at both ends. The first opening 411 and the second opening 41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ear actuator 320 and the crank arm 330, respectively, through pins (not shown). That is, the first opening 411 may function as the third rotation axis 341, and the second opening 412 may function as the second rotation axis 331.

브레이크 본체(410)는 제2 개구부(411)가 위치한 일 단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브레이크 본체(410)에서 개방된 단부를 통하여 스프링(420) 및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는 브레이크 본체(41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에 삽입되는 힘을 받으면 스프링(410)이 압축되고, 힘이 해제되었을 때, 스프링(410)의 복원에 의하여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에 대하여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The brake body 410 may have a box shape with one end open where the second opening 411 is located. The spring 420 and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may be assembled in such a way that they are received within the brake body 410 through the open end of the brake body 410.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may be slidable within the brake body 410. When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receives a force inserted into the brake body 410, the spring 410 is compressed, and when the force is released,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is restored to the brake body (410) by restoring the spring 410. 410), it is possible to slide in the exit direction.

브레이크 방지부재(430)는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는 체결구(431)를 가질 수 있다. 센서부(440)는 센서(441)와 브라켓(442)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442)은 체결구(443)를 가질 수 있다. 센서부(440)의 체결구(443)와 브레이크 방지부재(430)의 체결구(431)는 브레이크 본체(410)의 길이방향 개구부(413)(longitudinal opening)를 통과하는 연결부재(예: 나사, 볼드, 핀 등)(fastener)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와 센서부(4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길이방향 개구부(413)에 구속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브레이크 방지부재(430)는 길이방향 개구부(413)가 정의하는 길이만큼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440.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may have a fastener 431. The sensor unit 440 may have a sensor 441 and a bracket 442. The bracket 442 may have a fastener 443. The fastener 443 of the sensor unit 440 and the fastener 431 of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are connection members (e.g., screws) that pass through the longitudinal opening 413 of the brake body 410. , bold, pin, etc.) (fastener).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and the sensor unit 440 may be constrained and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opening 413.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can slide within the brake body 410 by the length defined by the longitudinal opening 413.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442)은 길이방향 개구부(444)를 가지고 브레이크 본체(410)는 체결구(414)를 가질 수 있다. 체결구(414)에 연결된 연결부재(fastener)가 길이방향 개구부(444)에 끼워질 수 있다. 브레이크 본체(410)의 길이방향 개구부(413)와 브라켓(442)의 길이방향 개구부(444)에 관통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센서부(440)가 브레이크 본체(410)에 대하여 안정적인 자세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racket 442 may have a longitudinal opening 444 and the brake body 410 may have a fastener 414 . A connecting member (fastener) connected to the fastener 414 may be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opening 444. The sensor unit 440 slides in a stabl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rake main body 410 by a connecting member penetrating the longitudinal opening 413 of the brake main body 410 and the longitudinal opening 444 of the bracket 442. It can be.

센서 인식부(450)는 인식판(451) 및 체결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452)는 브레이크 본체(410)에 체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체결부(452)는 브레이크 모듈(340)이 선형 액츄에이터(320)와 연결되는 제3 회전축(341)을 공유하면서 브레이크 본체(410)에 연결될 수 있다. 인식판(451)은 센서 인식부(450)가 브레이크 본체(410)에 연결되었을 때, 센서(441)를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인식부(450)는, 브레이크 본체(410)에 연결되었을 때, 센서 인식판(451)이 센서(441)를 마주하도록 위치한다면, 제3 회전축(341)을 공유하지 않으면서 브레이크 본체(410)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The sensor recognition unit 450 may include a recognition plate 451 and a fastening unit 452. The fastening part 452 may be a part fastened to the brake body 410. The fastening portion 452 may be connected to the brake body 410 while the brake module 340 shares the third rotation axis 341 connected to the linear actuator 320. The recognition plate 451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sensor 441 when the sensor recognition unit 450 is connected to the brake body 410.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ensor recognition unit 450 is connected to the brake body 410, if the sensor recognition plate 451 is positioned to face the sensor 441, the sensor recognition unit 450 does not share the third rotation axis 341. It may be connected to the brake body 410.

브레이크 모듈(340)은 플랩 날개(301)에 대한 비정상적이고 강제적인 힘이 가해졌을 때, 이러한 힘이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대비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플랩 차단기 또는 플랩 날개 구동장치(300)에 대하여, 플랩 날개(301)에 비정상적이고 강제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를 '정상 상태'로 정의하고, 비정상적이고 강제적인 힘이 가해졌을 때를 '비정상 상태'로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비교하여 브레이크 모듈(340)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기로 한다. The brake module 340 may be a device that prevents this force from impacting the linear actuator 320 when an abnormal and forced force is applied to the flap wing 301. In the present disclosure, with respect to the flap breaker or flap blade driving device 300, a 'normal state' is defined as when no abnormal and forcible force is applied to the flap blade 301, and a 'normal state' is defined as when an abnormal and forcible force is applied to the flap blade 301. The time is defined as an ‘abnormal state’. Below, we will explain how the brake module 340 operates by comparing 'normal state' and 'abnormal state'.

브레이크 방지부재(430)는 하부에 슬라이딩부(432)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부(432)는 브레이크 본체(4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부 경사진 부분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모듈(340)의 아래에 브레이크 판(360)이 위치할 수 있다. 정상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모듈(340)의 슬라이딩부(432)는 브레이크 판(360)에 대하여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b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모듈(340)은 비정상 상태에서 브레이크 판(360)에 걸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랩 날개가 상승된 상태에서 강제적인 힘이 가해져서 플랩 날개가 강제적으로 하강하려는 힘을 받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강제적인 힘은 크랭크 축(311) 및 크랭크 암(330)로 전달되어 브레이크 모듈(340)을 후진하게 하고 이와 함께 후진하는 힘이 선형 액츄에이터(320)로 전달될 수 있다. 플랩 날개가 상승된 상태에서 길어진 상태의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이러한 후진하는 힘에 의하여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브레이크 모듈(340)이 브레이크 판(360)이 걸리게 되면서 후진하는 힘이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비정상 상태에서도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may have a sliding portion 432 at its lower portion. The sliding portion 432 may be a portion that is partial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ke body 410. Referring to FIG. 5A, the brake plate 360 may be located below the brake module 340. In a normal state, the sliding portion 432 of the brake module 340 can slide relative to the brake plate 360. In contrast, referring to FIG. 5B, the brake module 340 may be caught on the brake plate 360 in an abnormal state. Specifically, a forced force may be applied while the flap wings are raised, causing the flap wings to receive a forced downward force. This forced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rank shaft 311 and the crank arm 330 to cause the brake module 340 to move backwards, and the backward force may be transmitted to the linear actuator 320. The linear actuator 320 in an elongated state with the flap wings raised may be damaged by this backward force. However, damage to the linear actuator 320 can be prevented even in abnormal conditions by preventing the backward force of the brake module 34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inear actuator 320 when the brake plate 360 is engaged.

브레이크 모듈(340)의 브레이크 판(360)에 대한 걸림 동작은, 브레이크 본체(410)의 모서리(415) (edge)가 브레이크 판(360)이 포함하는 복수의 걸림홈(361)에 걸리면서 이뤄질 수 있다.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brake module 340 on the brake plate 360 may be accomplished when the edge 415 of the brake body 410 is caught in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61 included in the brake plate 360. there is.

정상 상태에서 브레이크 모듈(340)은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연장과 단축, 또는 전진과 후진에 의해서 슬라이딩부(432)가 브레이크 판(360)에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비정상 상태에서 브레이크 모듈(340)은 크랭크 암(330)에 의하여 강제적인 힘을 받게 되면, 브레이크 본체(410)는 후진하는 힘을 받게 되는데, 선형 액츄에이터(320)는 연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에 대응한 항력을 동시에 받는다. 강제적으로 후진하는 힘과 항력에 의하여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부의 스프링(420)이 압축하게 되고,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구성된 브레이크 방지부재(430) 또한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In a normal state, the brake module 340 can move the sliding part 432 so as to slide on the brake plate 360 by extending or shortening, or moving forward or backward, the linear actuator 320. However, in an abnormal state, when the brake module 340 receives a forced force from the crank arm 330, the brake body 410 receives a backward force, and since the linear actuator 320 is in an extended state, It receives a corresponding drag force at the same time. The spring 420 inside the brake body 410 is compressed by the forced backward force and drag, and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which is configured to slide inside the brake body 410, also moves the brake body 410.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브레이크 본체(410)의 모서리(415)가 최외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모서리(415)가 브레이크 판(360)의 걸림홈(361)에 걸리면서 더 이상 브레이크 모듈(340)이 강제적인 힘을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As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is inserted into the brake body 410, the edge 415 of the brake body 410 may be exposed to the outermost part. As the exposed edge 415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361 of the brake plate 360, the brake module 340 may no longer transmit forced force to the linear actuator 320.

비정상 상태는 강제로 출차하는 차가 출차하게 되면 해제되는 것으로, 비정상 상태에서의 강제적인 힘을 일시적인 것일 수 있다. 강제적인 힘이 해제되면, 스프링(420)에 의하여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또는 모서리(415))보다 최외각으로 드러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판(360)의 걸림홈(361)에 걸린 모서리(415)도 걸림홈에서 해제되고, 브레이크 모듈(340)은 다시 정상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플랩 차단기 내의 구동장치는 파손되지 않고 다시 정상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The abnormal state is canceled when the car being forced out of the vehicle leaves the vehicle, and the forcible force in the abnormal state may be temporary. When the forced force is released,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may be exposed to the outermost position than the brake body 410 (or edge 415) by the spring 420. Accordingly, the corner 415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361 of the brake plate 360 is also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and the brake module 340 can operate in a normal state again. Therefore, even if an abnorm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driving device in the flap circuit breaker is not damaged and can operate again in a normal state.

브레이크 판(360)의 걸림홈(361)은 소모적일 수 있다.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져서 브레이크 모듈(340)의 모서리(415)가 걸림홈(361)에 걸릴 때마다 걸림홈(361)이 파손될 수 있다. 걸림홈(361)은 복수개 있기 때문에 하나의 걸림홈(361)이 파손되더라도 다른 걸림홈(361)이 기능할 수 있다. The locking groove 361 of the brake plate 360 may be wasteful. Whenever the corner 415 of the brake module 340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361 due to an abnormal external force, the locking groove 361 may be damaged. Since there are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61, even if one locking groove 361 is damaged, the other locking grooves 361 can function.

브레이크 판(360)에 포함된 걸림홈(361)은 브레이크 모듈(340) 또는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 나열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61 included in the brake plate 360 may b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ake module 340 or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slides.

복수의 걸림홈(361)이 모두 파손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모듈(340)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없다. 혹은, 브레이크 모듈(340) 내부의 스프링(420)이 반복되는 압축에 의해 훼손되어 복원력을 상실하면, 모서리(415)가 브레이크 방지부재(430) 보다 최외각으로 드러나 항상 걸림홈(361)에 걸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판(360) 및 스프링(420)은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일 수 있다. 적절한 시기에 브레이크 판(360) 및 스프링(420)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모듈(340)이 비정상 상태에서 작동하는 횟수, 또는 모서리(415)가 걸림홈(361)에 걸리는 횟수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If all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61 are damaged, the brake module 340 cannot function normally. Alternatively, if the spring 420 inside the brake module 340 is damaged by repeated compression and loses its restoring force, the edge 415 is exposed as the outermost part of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and is alway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361. Situations may arise. Accordingly, the brake plate 360 and spring 420 may be consumable parts that require replacement. In order to replace the brake plate 360 and spring 420 at an appropriate time, it is necessary to record the number of times the brake module 340 operates in an abnormal state or the number of times the corner 415 is caught in the catching groove 361. .

비정상 상태에서, 강제적인 후진하는 힘과 항력에 의하여 브레이크 방지부재(430)가 브레이크 본체(410)의 내부로 삽입되면, 브레이크 방지부재(430)와 체결구(431)를 통해 연결된 센서부(440) 또한 센서 인식판(45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센서(441)는 센서 인식판(451) 사이의 거리(g)가 일정값보다 커지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센서(441)가 거리(g)가 일정값보다 커지는 것을 검지할 때마다, 브레이크 모듈(340)에 강제적인 외력이 작용하여, 브레이크 모듈(340)이 걸림홈(361)에 걸리게 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센서(441)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모듈(340)이 비정상 상태에서 작동했음을 식별할 수 있다. In an abnormal state, when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is inserted into the brake body 410 due to forced backward force and drag, the sensor unit 440 is connected to the brake prevention member 430 and the fastener 431. ) It can also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nsor recognition plate 451. The sensor 441 can detect that the distance (g) between the sensor recognition plates 451 becomes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Each time the sensor 441 detects that the distance g becomes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a forc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rake module 340, making it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brake module 340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361. You can. In other words,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brake module 340 operates in an abnormal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441.

센서(441)의 검지 횟수에 따라 브레이크 모듈(340)의 비정상 상태에서의 작동 횟수가 결정될 수 있다. 비정상 상태에서의 작동 횟수가 일정 횟수 넘어가면 유효한 걸림홈(361)이 모두 소모된 것으로 판단하고, 운용자는 브레이크 판(360)을 교체할 수 있다. The number of times the brake module 340 operates in an abnormal stat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etections by the sensor 441. If the number of operations in an abnormal state exceeds a certain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all effective locking grooves 361 are consumed, and the operator can replace the brake plate 360.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모듈의 측면을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b는 스프링 모듈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Figure 6a is a side view looking at the side of the spring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ring module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6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모듈(350)은 스프링 모듈 본체(610), 연결부(620), 센서 인식부(630), 제1 센서(640), 및 제2 센서(6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the spring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spring module body 610, a connection part 620, a sensor recognition part 630, a first sensor 640, and a second sensor 650. may include.

스프링 모듈 본체(610)는 고정(또는 구속)되어 스프링 모듈(350)의 작동의 기준이 될 수 있다. The spring module body 610 may be fixed (or restrained)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operation of the spring module 350.

연결부(620)는 스프링 모듈 본체(6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620)는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620)에서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반대 방향의 단부는 선형 액츄에이터(32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620)는 제1 회전축(351)에 의하여 선형 액츄에이터(320)와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620 may be inserted into the spring module body 610. The connection portion 620 may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pring module body 610. Th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620 opposite to the spring module body 610 may be connected to the linear actuator 320. The connection part 62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ear actuator 320 by the first rotation axis 351.

센서 인식부(630)는 연결부(620)에 고정될 수 있다. 센서 인식부(630)는 연결부(62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때 함께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 모듈 본체(610)는 길이방향의 가이드슬릿(611)(guide slit)을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슬릿(611)에는 연결부(620)가 포함하는 가이드부(612)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슬릿(611)에 삽입된 가이드부(612)에 의하여 연결부(62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The sensor recognition unit 630 may be fixed to the connection unit 620. The sensor recognition unit 630 ma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pring module main body 610 when the connection part 620 slides with respect to the spring module main body 610. The spring module main body 610 may include a guide slit 6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ide portion 612 included in the connection portion 62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slit 611.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620 with respect to the spring module main body 610 may be guided by the guide part 612 inserted into the guide slit 611.

도 6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모듈 본체(61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613) 및 제2 스프링(614)이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프링(613) 및 제2 스프링(614)은 서로 다른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 또는 탄성률(elastic modulus)을 가질 수 있다. 제1 스프링(613)의 스프링 상수가 제2 스프링(614)의 스프링 상수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62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삽입될 때, 제1 스프링(613)이 먼저 압축된 후, 제2 스프링(614)이 압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pring module body 610 may include at least one spring therein. For example, the first spring 613 and the second spring 614 may be disposed in the spring module body 610. The first spring 613 and the second spring 614 may have different spring constants or elastic modulus. The spring constant of the first spring 613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spring 614.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on portion 620 is inserted into the spring module body 610, the first spring 613 may be compressed first, and then the second spring 614 may be compressed.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모듈(350)은 브레이크 모듈(350)을 보완하여, 강제적인 외력에 의한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모듈(350)이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브레이크 모듈(350)의 모서리(415)가 브레이크 판(360)의 걸림홈(361)에 걸리기 전까지 강제적인 외력에 의하여 선형 액츄에이터(320)를 후진시키는 힘이 가해질 수 있는데, 스프링 모듈(350)의 연결부(62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일부 삽입됨으로써 이러한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스프링(613)의 압축에 의한 연결부(620)의 삽입이 이뤄질 수 있다. 강제적인 외력이 사라진 후, 압축됐던 제1 스프링(613)이 복원될 수 있다. 즉, 스프링 모듈(350)은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대한 강제적인 외력에 대비하는 쿠션 또는 완충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The spring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supplement the brake module 350 and prevent damage to the linear actuator 320 due to forced external force. Even if the brake module 350 is provided in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the linear actuator 320 is moved by a forced external force until the corner 415 of the brake module 350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361 of the brake plate 360. ) may be applied to move backwards, and the connection portion 620 of the spring module 350 can absorb this force by being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pring module body 61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620 may be inserted by compression of the first spring 613. After the forced external force disappears, the compressed first spring 613 can be restored. That is, the spring module 350 may function as a cushion or shock absorber against forced external force on the linear actuator 320.

한편, 브레이크 모듈(340)이 구비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나, 브레이크 판(360)의 걸림홈(361)이 모두 파손되거나, 브레이크 모듈(340)의 브레이크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는, 강제적인 외력이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그대로 전달될 우려가 남아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제1 스프링(613)의 압축에 의한 흡수에도 불구하고, 강제적인 외력이 더 가해지는 경우, 스프링 모듈(350)의 연결부(620)는 제2 스프링(614)의 압축에 의한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한 삽입이 더 이뤄질 수 있다. 제2 스프링(614)은 브레이크 모듈(340)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에, 선형 액츄에이터(320)에 전달되는 강제적인 외력을 감쇄하고, 이를 흡수할 수 있다. 강제적인 외력이 사라진 후, 압축됐던 제1 스프링(613) 및 제2 스프링(614)이 복원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brake module 340 is not provided, or in situations such as when all the locking grooves 361 of the brake plate 360 are damaged or the brake function of the brake module 340 does not operate, the forced There remains a concern that the external force will be transmitted as is to the linear actuator 320. In the above situation, despite absorption by compression of the first spring 613, when additional forc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onnection portion 620 of the spring module 350 is absorbed by compression of the second spring 614. Insertion into the spring module body 610 may be further performed. When the brake module 340 does not function properly, the second spring 614 can attenuate and absorb the forced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linear actuator 320. After the forced external force disappears, the compressed first spring 613 and second spring 614 can be restored.

스프링 모듈(350) 내부의 스프링(613, 614)은 반복되는 압축에 의해 그 복원력을 상실할 수 있다. 스프링 모듈(350)은 선형 액츄에이터(320)의 작동에 기준이 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스프링(613, 614)의 복원력이 상실되면, 연결부(620)의 위치가 달라지고, 선형 액츄에이터(320)가 정상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모듈(350)의 스프링(613, 614)은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일 수 있다. 적절한 시기에 스프링(613, 614)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스프링(613, 614)의 압축여부를 검지하고 횟수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The springs 613 and 614 inside the spring module 350 may lose their restoring force due to repeated compression. Since the spring module 350 is a reference configur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linear actuator 320, when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s 613 and 614 is los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620 changes, and the linear actuator 320 returns to its normal state. It may not work. Accordingly, the springs 613 and 614 of the spring module 350 may be consumables that require replacement. In order to replace the springs 613 and 614 at an appropriate time, it is necessary to detect whether the springs 613 and 614 are compressed and record the number of times.

제1 센서(640) 및 제2 센서(650)는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센서(640) 및 제2 센서(650)는 센서 인식부(63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sensor 640 and the second sensor 650 may be fixed to the spring module body 610. The first sensor 640 and the second sensor 650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path along which the sensor recognition unit 63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pring module main body 610.

제1 센서(640)는 복수의 센서홀(641)을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650)는 복수의 센서홀(651)을 가질 수 있다. 센서들(640, 650)는 복수의 센서홀(641, 651)을 통해 센서 인식부(630)를 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홀(641, 651)은 센서 인식부(63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sensor 640 may have a plurality of sensor holes 641. The second sensor 650 may have a plurality of sensor holes 651. Sensors 640 and 650 may detect the sensor recognition unit 630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 holes 641 and 651. A plurality of sensor holes 641 and 651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in a path along which the sensor recognition unit 63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pring module main body 610.

복수의 센서(650) 중 적어도 하나가 검지하는 센서 인식부(630)에 따라 연결부(620)가 스프링 모듈 본체(610)에 대하여 이동한 거리가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613)에 의하여 연결부(620)가 삽입될 때, 제1 센서(640)의 센서홀(641) 만이 센서 인식부(630)를 인식할 수 있고, 제1 스프링(613)의 압축에 의한 연결부(620)의 삽입이 끝난 후, 제2 스프링(614)에 의하여 연결부(620)가 삽입될 때에는 제2 센서(650)의 센서홀(651)이 센서 인식부(630)를 인식할 수 있다. The distance that the connection part 620 moves with respect to the spring module main body 610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sensor recognition unit 630 detected b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650.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part 620 is inserted by the first spring 613, only the sensor hole 641 of the first sensor 640 can recognize the sensor recognition unit 630, and the first spring ( After the insertion of the connection part 620 by compression of the 613) is completed, when the connection part 620 is inserted by the second spring 614, the sensor hole 651 of the second sensor 650 is connected to the sensor recognition unit 630. ) can be recognized.

제1 센서(640) 및 제2 센서(650)의 검지 결과에 따라, 연결부(620) 및 센서 인식부(630)의 삽입되는 정도 및 제1 스프링(613) 및 제2 스프링(614)의 압축 여부 및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first sensor 640 and the second sensor 650, the insertion degree of the connection part 620 and the sensor recognition part 630 and the compression of the first spring 613 and the second spring 614 You can identify whether and how many times.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가 설치된 주차장 구성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Figure 7 show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lot configuration with a flap barrier instal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주차장(700)은 관리서버(710), 정산기(720) 및 적어도 하나의 플랩 차단기(7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 차단기(730)는 각각의 주차면마다 설치될 수 있다. 관리서버(710), 정산기(720) 및 플랩 차단기(730)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구성은 차량의 주차면에 대한 주차 및 주차에 따른 각 플랩 차단기(730)의 작동, 및 정산기(720)에서 주차요금 결제 등 주차장(700)의 운용에 필요한 일반적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parking lot 700 may include a management server 710, an adjustment machine 720, and at least one flap breaker 730. The flap blocker 730 may be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The management server 710, the settlement machine 720, and the flap blocker 730 may be operatively connected, and each configuration includes parking on the parking surface of the vehicle and the operation of each flap blocker 730 according to parking, and the settlement machine. At 720, general operation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lot 700, such as parking fee payment, can be performed.

플랩 차단기(730)는 제어부(731), 구동부(732), 센서부(733), 인터페이스부(734) 및 통신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lap breaker 730 may include a control unit 731, a driving unit 732, a sensor unit 733, an interface unit 734, and a communication unit 735.

제어부(731)는 구동부(732), 센서부(733), 인터페이스부(734) 및 통신부(735)를 제어하여 플랩 차단기(730)가 작동하는데 일반적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31)는 플랩 차단기(730)의 소모품의 교체시기를 예측하여 관리서버(710)에 알릴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31 controls the driving unit 732, the sensor unit 733, the interface unit 734, and the communication unit 735 to operate the flap circuit breaker 730 and can perform general operations.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31 can predict the replacement time of consumables of the flap circuit breaker 730 and notify the management server 710 of the replacement time.

구동부(732)는 플랩 차단기(730)의 플랩 날개를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732)는 플랩 날개 구동장치(예: 도 3의 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732)는 선형 액츄에이터(예: 도 3의 320), 브레이크 모듈(예: 도 3의 340), 스프링 모듈(예: 도 3의 350), 브레이크 판(예: 도 3의 3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732 may operate to raise or lower the flap blade of the flap breaker 730.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732 may include a flap blade driving device (eg, 300 in FIG. 3).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732 includes a linear actuator (e.g., 320 in FIG. 3), a brake module (e.g., 340 in FIG. 3), a spring module (e.g., 350 in FIG. 3), and a brake plate (e.g., 360 in FIG. 3). may include.

구동부(732)는 소모품으로서 브레이크 판(예: 도 3의 360), 브레이크 모듈 내의 스프링(예: 도 4의 420), 스프링 모듈의 스프링(예: 도 6b의 613, 6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732 may include a brake plate (e.g., 360 in FIG. 3), a spring in a brake module (e.g., 420 in FIG. 4), and a spring in a spring module (e.g., 613 and 614 in FIG. 6b) as consumables. .

센서부(733)는 구동부(732)가 강제적인 외력이 작용하는 비정상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733)는 브레이크 모듈(340)에 포함된 센서부(예: 도 4의 440), 스프링 모듈(350)의 센서(예: 도 6a의 640, 6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33)는 브레이크 모듈(340)의 작동 또는 브레이크 판(360)에 대한 브레이크 모듈(340)의 걸림, 스프링 모듈(350) 내의 스프링의 압축을 검지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733 can detect that the driving unit 732 is operating in an abnormal state where a forced external force is applied. For example, the sensor unit 733 may include a sensor unit included in the brake module 340 (e.g., 440 in FIG. 4) and a sensor of the spring module 350 (e.g., 640 and 650 in FIG. 6A). there is. The sensor unit 733 may detect the operation of the brake module 340, the jamming of the brake module 340 with respect to the brake plate 360, or the compression of the spring within the spring module 350.

인터페이스부(734)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운용자는 플랩 차단기(730)를 제어하거나 설정하는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는 시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출력부 및 소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플랩 차단기(730)의 상태가 표현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734 may include an input interface and an output interface. Through the input interface, the operator can input values to control or set the flap breaker 730. The output interface may include a visual output unit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and an audio output unit for providing sound information, and the state of the flap breaker 730 may be expressed through the output interface.

플랩 차단기(730)는 외부 장치로서 관리서버(710) 및 정산기(720)와 통신부(735)를 통하여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35)는 외부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수립할 수 있다. The flap breaker 730 is an external device and can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710 and the settlement machine 7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735.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735 may establis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g, Wi-Fi, Bluetooth, ZigBee, etc.) with the outside.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알리는 운용 방법의 예시적인 프로세스(800)를 도시한다. 이하,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알리는 운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랩 차단기의 소모품의 교체시기를 알리는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플랩 차단기(예: 도 7의 7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process 800 of an operation method for notifying the replacement timing of consumables of a flap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ereinafter, in Figure 8, an operation method for notifying the replacement time of consumables of a flap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ethod of notifying the replacement time of consumables of the flap break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performed by the flap breaker (eg, 730 in FIG. 7)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8에 도시된 프로세스(800)는 블록(810, 820 및/또는 830)에 의하여 예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 기능 또는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개략적인 동작들은 예시로서만 제공되고,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동작들 중 일부가 선택적일 수 있거나, 더 적은 동작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추가적인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예시된 개략적인 동작들은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810, 820, 830)은 순차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동시에 수행되거나 다른 순서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Process 800 shown in FIG. 8 may include one or more operations, functions or actions as illustrated by blocks 810, 820 and/or 830. The schematic operations illustrated in FIG. 8 are provided as examples only, and some of the operations may be optional, combined into fewer operations, or expanded into additional oper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ce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 Additionally, the schematic operations illustrated in FIG. 8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ce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For example, blocks 810, 820, and 830 are shown sequentially, but this is illustrative and may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도 8을 참조하면, 플랩 차단기(730)의 제어부(731)는 센서부(733)의 검지 결과를 수신하고(801), 수신한 검지값을 축적할 수 있다(803). 제어부(731)는 축적한 검지값이 일정 기준 이상이 누적되면, 소모품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관리서버(710)에 송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 unit 731 of the flap breaker 730 may receiv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733 (801) and accumulate the received detection value (803). When the accumulated detection values accumulate above a certain standard, the control unit 731 may send a notific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710 that the consumables need to be replaced.

예를 들어, 센서부(733)는 브레이크 모듈(340)의 센서부(440)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440)는 브레이크 모듈(340)이 브레이크 판(360)에 걸릴 때마다 검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브레이크 판(360)은 복수회 브레이크 모듈(340)이 걸리게 되면 파손될 수 있어서, 브레이크 모듈(340)이 걸리는 횟수를 센서부(440)의 검지 결과를 축적하여 카운팅함으로서, 브레이크 판(360)의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or unit 733 may include the sensor unit 440 of the brake module 340, and the sensor unit 440 may provide a detection signal whenever the brake module 340 engages the brake plate 360. can occur. The brake plate 360 may be damaged if the brake module 340 is engaged multiple times, so the number of times the brake module 340 is engaged is counted by accumulating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sensor unit 440, so that the brake plate 360 can be replaced. You can decide when.

다른 예를 들어, 센서부(733)는 스프링 모듈(350)의 센서부(650, 660)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650, 660)는 스프링 모듈(350)의 스프링(613, 614)가 압축될 때 마다 검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스프링(613, 614)는 반복되는 압축에 의하여 피로 파괴될 수 있어서, 스프링(613, 614)가 압축되는 횟수를 센서부(650, 660)의 검지 결과를 축적하여 카운팅함으로서, 스프링(613, 614)의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sensor unit 733 may include the sensor units 650 and 660 of the spring module 350, and the sensor units 650 and 660 may include the springs 613 and 614 of the spring module 350. A detection signal can be generated each time is compressed. The springs 613 and 614 may be damaged by fatigue due to repeated compression, so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springs 613 and 614 are compressed by accumulating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sensor units 650 and 660, the springs 613 and 614 ) can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e.

도 9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90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신호 베어링 매체(910)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900)의 신호 베어링 매체(910)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930) 및/또는 기록 가능 매체(930)를 포함할 수 있다.9 illustrates a computer program product 900 that may be used to operate a flap blocker, in accordance with at least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xemplary embodiment of an exemplary computer program product is provided using signal bearing media 910. In some embodiments, signal bearing media 910 of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900 may include computer-readable media 930 and/or recordable media 930.

신호 베어링 매체(910)에 포함된 명령어(920)는 플랩 차단기(730)에 포함된 제어부(731)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명령어(920)는,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센서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명령어,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하는 명령어;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가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되는 경우, 관리 서버(710)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모품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structions 920 included in the signal bearing medium 910 may be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such as the control unit 731 included in the flap breaker 730. The command 920 includes: a command that, when executed, causes the computing device to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 command that accumulates the number of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to a reference value; When the number of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ccumulates to a reference value, a command may be included for sending a notific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710 that the at least one consumable needs to be replaced.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Above, we have looked in detail at the object sought to be claimed in this disclosure. The subject matter claimed in this disclosure is not limited in scope to the specific implementation example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some implementations, it may be in the form of hardware used to operate on a device or combination of devices. Although certain example techniques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herein using various devic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or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claimed subject matter. Additionally,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adapt the teachings of the claimed subject matter to particular situ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entral concept described herei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claimed subject matter not be limited to the specific examples disclosed, but that such claimed subject matter may also include all embodiment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do. Additionally,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Furthermore,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s used in this disclosure,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re used to mean at or close to a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used to prevent unscrupulous infringers from unfairly exploiting disclosures in which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mentioned.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has to be.

Claims (9)

크랭크 축;
일 단이 상기 크랭크 축과 연결되고, 크랭크 축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플랩 날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단축하는 로드 선형 액츄에이터; 및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의 연장 및 단축에 따라 상기 크랭크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링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구조는 브레이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 모듈의 모서리가 브레이크 판에 걸려, 상기 외력이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에 전달되지 않게 하고,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브레이크 본체 및 브레이크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는 일부가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의 연장 또는 단축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판을 따라 미끄러지듯 이동하고,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대한 외력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삽입되어,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포함된 상기 모서리가 상기 브레이크 판에 포함된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성된,
플랩 차단기.
crankshaft;
A flap wing at one end connected to the crankshaft and rising or falling as the crankshaft rotates;
a longitudinally extending or shortening rod linear actuator; and
a link structure configured to rotate the crankshaft according to the extension and shortening of the linear actuator,
The link structure includes a brake module,
The brake module prevents the external forc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inear actuator by having a corner of the brake module catch on the brake plate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gainst the flap blade,
The brake module includes a brake body and a brake prevention member, and a portion of the brake prevention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nd slide with respect to the brake body,
In the operation of the link structure by extending or shortening the linear actuator, the anti-brake member slides along the brake plate,
In the operation of the link structure due to an external force against the flap wing, the brake preven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brake body, and the corner included in the brake main body is configured to be caught in a locking groove included in the brake plate.
Flap bloc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판에 포함된 걸림홈은 상기 브레이크 모듈이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 나열된 것인,
플랩 차단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included in the brake plate ar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ake module moves,
Flap bloc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가 상기 링크 구조가 연결된 측의 반대측에서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스프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모듈은 스프링 모듈 본체 및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일 단이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함께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랩 날개에 대한 대한 외력에 의한 상기 링크 구조의 동작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압축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플랩 차단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near actuator further includes a spring module connected to the linear actuator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to which the link structure is connected,
The spring module includes a spring module body and a connection part, wherein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linear actuator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with at least one spring relative to the spring module body and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operation of the link structure due to an external force against the flap wing, the at least one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spring module body,
Flap bloc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모듈의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에 설치되는 센서, 및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체결된 제1 센서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제1 센서 인식부에 대한 거리를 검지하여 상기 브레이크 방지 부재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검지하는 제1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플랩 차단기.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ncludes a sensor installed on the brake prevention member of the brake module, and a first sensor recognition unit fastened to the brake body, wherein the sensor detects a distance to the first sensor recognition unit and the brake prevention member detects the distance to the brake body. Further comprising a first sensor unit that detects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lap block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모듈의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2 센서 인식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로에서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연속하여 배치된 복수의 센서홀을 포함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2 센서 인식부가 상기 복수의 센서홀을 인식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스프링 모듈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검지하는 것인,
플랩 차단기.
According to clause 5,
a second sensor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spring module, and a second sens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 holes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spring module main body in a path along which the connection part slides with respect to the spring module main body. Contains more,
The second sensor unit detects that the connection unit slides with respect to the spring module body by recognizing the plurality of sensor holes,
Flap blocker.
제6항에 따른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가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되는 경우, 관리서버에 상기 브레이크 판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flap breaker according to paragraph 6,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unit;
Accumulating the number of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to a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number of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accumulates to a reference value, sending a notification that the brake plate needs to be replaced to the management server,
How to operate a flap blocker.
제7항에 따른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가의 횟수가 기준값까지 축적되는 경우, 관리서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랩 차단기를 운용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flap breaker according to paragraph 7,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ensor unit;
Accumulating the number of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unit to a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number of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unit accumulates to a reference value, sending a notific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that replacement of the at least one spring is necessary,
How to operate a flap blocker.
KR1020210169028A 2021-11-30 2021-11-30 Flap-type parking crossing gate including protecting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89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028A KR102589219B1 (en) 2021-11-30 2021-11-30 Flap-type parking crossing gate including protecting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028A KR102589219B1 (en) 2021-11-30 2021-11-30 Flap-type parking crossing gate including protecting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904A KR20230081904A (en) 2023-06-08
KR102589219B1 true KR102589219B1 (en) 2023-10-17

Family

ID=8676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028A KR102589219B1 (en) 2021-11-30 2021-11-30 Flap-type parking crossing gate including protecting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21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679A (en) * 2000-05-17 2001-11-22 Techno Park Yamazaki:Kk Vehicle restraining device in unmanned parking lo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617B1 (en) 2003-09-18 2005-12-06 지엘시스텍주식회사 Manless blocking apparatus in the use of a parking lot
KR101982121B1 (en) * 2016-07-27 2019-05-27 (주)상경씨티 Flap-type on-street parking, unmanned interrup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679A (en) * 2000-05-17 2001-11-22 Techno Park Yamazaki:Kk Vehicle restraining device in unmanned parking l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904A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98334A1 (en) Vehicle passage control device
US9464392B2 (en) Battery operated parking barrier
CN109778743B (en) Road surface overload detects processing apparatus
US20220010510A1 (en) Roadway debris clearing system
CN213365614U (en) Face recognition entrance guard's device with automatically, kick-back protective structure
KR102589219B1 (en) Flap-type parking crossing gate including protecting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24992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nsing vehicle positioning and vehicle restraint movement
CN107119598A (en) A kind of anticollision gate inhibition banister
DE112019005145T5 (en) Moving body
KR101005995B1 (en) A compositeness facility vehicle crossing gate
CN101929133B (en) Shear door machine for automatic ticket checker
CN1878925B (en) Impact-protected roller shutter door
KR102645585B1 (en) Flap-type parking crossing gate including protecting structure
CN111511170A (en) Forced ventilation device for military electromagnetic shielding equipment
WO2003019233A1 (en) Device for recognition of an obstacle
US10900181B2 (en) Portable drop arm vehicle barrier
EP2071119A2 (en) Monitoring device for a driven gate and gate equipped with same
KR101460708B1 (en) Passing control apparatus for gate
JP6948201B2 (en) Vehicle door open / close detection device
CN219568673U (en) Barrier gate with protection component
CN112554095B (en) Anticollision gate
NL1032353C2 (en) Spring break protection.
CN218508300U (en) Horizontal railing machine
KR102453452B1 (en) Park breakers with break protection
CN212175587U (en) High-speed ETC anticollision banist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