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925B1 - Non-contact input device using hologram - Google Patents

Non-contact input device using hol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925B1
KR102588925B1 KR1020230072728A KR20230072728A KR102588925B1 KR 102588925 B1 KR102588925 B1 KR 102588925B1 KR 1020230072728 A KR1020230072728 A KR 1020230072728A KR 20230072728 A KR20230072728 A KR 20230072728A KR 102588925 B1 KR102588925 B1 KR 102588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ar
rotating bar
hologram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길선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엑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엑스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엑스오
Priority to KR102023007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9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9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08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tinctive and separately oriented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associated to the pointing device, e.g. remote cursor controller with distinct and separately oriented LEDs at the tip whose radiations are captured by a photo-detector associated to the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신호를 입력받아 버튼의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버튼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버튼을 비접촉 방식으로 터치하여 버튼신호를 입력받도록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는 버튼에 부착되고, 빛이 입사되면 버튼의 모양을 공중에 홀로그램으로 구현하는 홀로그램 전사지; 버튼 옆에 구비되고, 상기 홀로그램 전사지가 구현한 홀로그램을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상기 버튼의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중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input device that receives a butt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a button controller.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that allows a button signal to be input by touching a button in a non-contact manner using a hologram. It's about.
A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ogram transfer sheet that is attached to a button and implements the shape of the button as a hologram in the air when light is incident; A detector provided next to the button and detecting an object passing through the hologram implemented by the hologram transfer paper; It includes a repeater tha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to the controller of the button.

Description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Non-contact input device using hologram}Non-contact input device using hologram}

본 발명은 버튼신호를 입력받아 버튼의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버튼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버튼을 비접촉 방식으로 터치하여 버튼신호를 입력받도록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input device that receives a butt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a button controller.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that allows a button signal to be input by touching a button in a non-contact manner using a hologram. It's about.

코로나-19가 발생되고서 사회 전반에 걸쳐 방역, 살균 소독, 감염 예방 등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다양한 예방책이 사람들의 협조 하에 강력하고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다.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various preventive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n, such as quarantine, sterilization, and infection prevention, have been strongly and continuously implemented throughout society with the cooperation of people.

감염 예방을 위한 방안의 하나는 공중이 사용하는 버튼에 살균 기능을 도입하는 것이다. One way to prevent infection is to introduce a sterilization function to buttons used by the public.

공개특허 10-2023-0069499 "항균 필름 제공장치"는 버튼 위에 항균필름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 때 항균필름을 터치하도록 하고, 터치로 전파되는 세균을 항균필름이 살균하도록 한다. 항균필름은 세균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면서 쉽게 손상되어 제기능을 잃는다. 그리고 사람들은 항균필름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터치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Publication Patent No. 10-2023-0069499 "Antibacterial film providing device" attaches an antibacterial film on a button so that the user touches the antibacterial film when pressing the button, and the antibacterial film sterilizes bacteria spread by touch. Antibacterial films do not completely remove bacteria, and are easily damaged and lose their function as many people use them. And people tend to be reluctant to touch even if the antibacterial film is attached.

공개특허 10-2022-0083524 "엘리베이터 버튼 자동 자외선 살균장치", 공개실용 20-2023-0000966 "자동 소독 살균 가능한 공중 버튼"는 버튼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버튼에 묻어있는 세균을 살균한다.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기능을 갖는 버튼은 버튼에 완벽한 살균을 기대하기 어렵고, 무엇보다 사용자들이 버튼을 터치하는 것을 꺼린다. Public Patent No. 10-2022-0083524 “Elevator Button Automatic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Open Utility No. 20-2023-0000966 “Aerial button capable of automatic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sterilizes bacteria on the button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button. Buttons that have a sterilizing function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re difficult to expect perfect sterilization of the button, and above all, users are reluctant to touch the button.

본 발명은 이처럼 항균필름이나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기능을 갖는 버튼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버튼을 비접촉식으로 터치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버튼에 묻어있는 세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버튼을 직접 터치하여 누르기를 꺼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 of buttons with an antibacterial film or a sterilizing function using ultraviolet rays. By operating the button by touching it in a non-contact manner, contamination by bacteria on the button can be preven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reluctance to press by touching directly.

더불어, 감지기와 중계기를 내장하는 케이싱이 버튼이 구비되는 구조물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체결 및 분리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in which a casing containing a sensor and a repeater is easily and quick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structure equipped with a butt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는 To achieve this purpose, a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버튼에 부착되고, 빛이 입사되면 버튼의 모양을 공중에 홀로그램으로 구현하는 홀로그램 전사지;A holographic transfer paper that is attached to a button and, when light is incident on it, realizes the shape of the button as a hologram in the air;

버튼 옆에 구비되고, 상기 홀로그램 전사지가 구현한 홀로그램을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기;A detector provided next to the button and detecting an object passing through the hologram implemented by the hologram transfer paper;

상기 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상기 버튼의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중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ncludes a repeater tha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to the controller of the button.

그리고 상기 감지기와 중계기를 내장하는 케이스;And a case containing the detector and repeater;

상기 케이스를 상기 버튼이 구비되는 구조물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되, It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member that fastens the case to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button,

상기 체결부재는 The fastening member is

상기 케이스와 구조물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일단에 구비되어서 상기 케이스에 걸리는 헤드와, 상기 헤드와 관통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며 상기 관통부에 형성되는 인출공을 포함하는 몸체, A penetrating portion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of the case and the structure, a head provided at one end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caught on the case, a hollow portion formed inside the head and the penetrating portion, and a hol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and the penetrating portion. A body including a withdrawal hole formed in,

상기 인출공에서 인출되어서 상기 구조물에 걸리는 체결블럭, A fastening block drawn from the withdrawal hole and hung on the structure,

상기 몸체의 중공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X자 모양으로 교차고, 외측 단부에 상기 체결블럭이 힌지결합되는 제1회동바와 제2회동바,A first rotating bar and a second rotating bar that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hollow part of the body, cross each other in an X shape, and the fastening block is hinged at an outer end,

상기 제1회동바와 제2회동바를 연결하여 잡아당기는 스프링,A spring that connects and pulls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상기 몸체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A rotating body rotatably provided in a hollow portion of the body,

상기 회전체와 상기 제1회동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It includes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rotating body and the first rotating bar,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바가 상기 제1회동바를 밀어 회동시키고, 상기 제1회동바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프링의 당김력으로 상기 제1회동바와 제2회동바가 자동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1회동바와 제2회동바가 회동되면 상기 체결블럭이 상기 인출공에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the connecting bar pushes and rotates the first rotating bar, and when the first rotating bar is rotated beyond a certain angle,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are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pulling force of the spring, When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are rotated, the fastening block is pulled out from the drawing hole.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는 버튼을 직접 터치하지 아니하여 버튼에 묻어있는 세균 감염의 위험이 없고, 사용자는 버튼을 터치해야 하는 꺼리낌을 느끼지 않게 되고, 케이싱의 구조물에 간편신속하게 체결 및 분리되어 설치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발명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The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rectly touch the button, so there is no risk of bacterial infection on the button, the user does not feel reluctant to touch the button, and it is easily and quickly attached to the casing structure. It is an invention that can be fastened and separated to reduce installation manpower and costs, and is a very useful invention for industrial developmen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구조와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ng mechanism of the fasten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Before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signs, especially the tens and ones digits, or the same tens, one's, and alphabet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of the drawings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sign can be understood as a member that complies with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each drawing,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exaggeratedly large (or thick), small (or thin), or simplified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but as a resul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reted as limited.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implementation examples (sun, aspect, aspect)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는 홀로그램 전사지(10), 감지기(20), 중계기(30) 및 케이스(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 1, the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ogram transfer sheet 10, a detector 20, a repeater 30, and a case 40.

상기 홀로그램 전사지(10)는 버튼(B) 위에 부착되어서 버튼(B)을 덮는다. The hologram transfer paper 10 is attached to the button B and covers the button B.

상기 홀로그램 전사지(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빛이 입사되면 버튼(B)에 구비되는 모양(예; 숫자, 화살표)을 상부의 공중에 홀로그램(H)으로 구현되도록 입사된 빛을 상부로 반사시키는 패턴이 구비된다. 여기서, 패턴의 구조에 따라 홀로그램(H)이 공중에 구현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hologram transfer sheet 10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and when light is incident on it, it reflects the incident light upward so that the shape (e.g. number, arrow) provided on the button B is realized as a hologram H in the air above. A pattern is provided. Here, the height at which the hologram (H) is implemented in the air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pattern.

상기 홀로그램 전사지(10)의 저면에 버튼(B)의 모양을 인쇄한 후에 버튼(B)에 부착시키면, 공중에 구현되는 홀로그램(H)이 보다 선명할 수 있다. If the shape of the button B is printed on the bottom of the hologram transfer paper 10 and then attached to the button B, the hologram H displayed in the air may be clearer.

공중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나 출입문 등에는 일반적으로 버튼(B)을 조명하는 등기구(L)가 구비되어 있어서 홀로그램 전사지(10)에 빛을 입사시키기 위한 등기구(L)를 별도로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되지만, 버튼(B)을 조명하는 등기구(L)가 없는 경우에도 별도로 등기구(L)를 설치해야 한다. Elevators and doors used by the public are generally equipped with a lighting fixture (L) that illuminates the button (B), so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lighting fixture (L) to illuminate the hologram transfer sheet (10), but the button Even if there is no lighting fixture (L) to illuminate (B), a separate lighting fixture (L) must be installed.

상기 감지기(20)는 상기 홀로그램 전사지(10)를 통해 공중에 구현된 홀로그램(H)을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한다. 여기서, 홀로그램(H)을 통과하는 물체는 통상 사용자의 손가락이 될 것이다. The sensor 20 detects an object passing through the hologram H implemented in the air through the hologram transfer sheet 10. Here, the object passing through the hologram H will typically be the user's finger.

상기 감지기(20)는 버튼(B)의 옆으로서, 공중에 구현되는 홀로그램(H)의 평면에 연장된 위치에 구비된다. The sensor 20 is provided next to the button B and at a position extending on the plane of the hologram H implemented in the air.

상기 감지기(20)는 적외선이나 초음파 등을 홀로그램(H)을 향해 발산하고, 발산된 적외선이나 초음파가 홀로그램(H)을 통과하는 물체에 반사되는 것을 입력받아 물체를 감지한다. The detector 20 emits infrared or ultrasonic waves toward the hologram H, and detects the object by receiving the emitted infrared or ultrasonic waves being reflected by an object passing through the hologram H.

상기 감지기(20)는 적외선이나 초음파가 발산된 후에 반사되어 입력되기까지의 시간을 통해 감지기(20)에서 물체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기(20)가 적외선이나 초음파를 발산하는 방향에 버튼(B)이 여러 개 있더라도 어느 버튼(B)에 해당하는 홀로그램(H)에 물체가 통과하였는지 알 수 있다. The detector 20 can determine the distance from the detector 20 to an object through the time it takes for infrared or ultrasonic waves to be reflected and input after they are emitted. In other words, even if there are multiple buttons (B)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tector 20 emits infrared or ultrasonic waves,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button (B) the object has passed through the hologram (H) corresponding to.

상기 중계기(30)는 상기 감지기(20)의 감지신호, 즉, 어느 버튼(B)에 해당하는 홀로그램(H)에 물체가 통과하였는지에 관한 감지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버튼(B)의 컨트롤러(C)에 전달한다. The repeater 30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or 20, that is, the detection signal regarding which object has passed through the hologram (H) corresponding to which button (B), by wired or wirelessly to the controller of the button (B). Pass it to C).

엘리베이터를 예로 들면, 홀로그램(H)에서 3층버튼(B)에 해당하는 지점에 물체가 통과하면, 감지기(20)가 이를 감지하여 3층 버튼(B)이 눌렸음을 감지하고, 중계기(30)는 3층 버튼(B)에 해당하는 감지신호를 컨트롤러(C)에 전달하고, 컨트롤러(C)는 3층 버튼(B)을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알리고, 모터를 구동시켜 엘리베이터카를 3층으로 이동시킨다. Taking an elevator as an example, when an object passes through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3rd floor button (B) in the hologram (H), the detector (20) detects this and detects that the 3rd floor button (B) has been pressed, and the repeater (30) )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3rd floor button (B) to the controller (C), and the controller (C) lights up the 3rd floor button (B) to notify the user and drives the motor to move the elevator car to the 3rd floor. I order it.

상기 감지기(20)와 중계기(30)는 케이스(40)에 내장되고, 상기 케이스(40)는 버튼(B)이 구비되는 구조물(1)에 체결된다. The sensor 20 and the repeater 30 are built into a case 40, and the case 40 is fastened to the structure 1 provided with a button B.

상기 케이스(40)의 양측으로는 체결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41)에는 체결공(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1)에도 체결공(43)이 형성되고, 체결부재(100)가 케이스(40)와 구조물(1)의 체결공(43)에 관통하여 케이스(40)를 구조물(1)에 체결시킨다. Fastening portions 4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se 40, and fastening holes 43 are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s 41. In addition, a fastening hole 43 is formed in the structure 1, and the fastening member 100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43 of the case 40 and the structure 1 to attach the case 40 to the structure 1. Fasten it.

상기 체결부재(100)는 케이스(40)를 구조물(1)에 간편 신속하게 체결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케이스(4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상기 감지기(20)의 오감지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The fastening member 100 has a structure that can easily and quickly fasten and separate the case 40 to the structure 1 and prevents erroneous detection by the detector 20 by preventing shaking of the case 40. have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재(100)는 다음과 같은 구조와 작동 매커니즘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fastening member 100 has the following structure and operating mechanism.

상기 체결부재(100)는 몸체(110), 체결블럭(120),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 스프링(150), 회전체(160) 및 연결바(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fastening member 100 includes a body 110, a fastening block 120, a first rotating bar 130, a second rotating bar 140, a spring 150, a rotating body 160, and a connecting bar 170. It is made including.

상기 몸체(110)는 상기 케이스(40)와 구조물(1)의 체결공(43)을 관통하는 관통부(111)와, 상기 관통부(111)의 일단에 구비되어서 상기 케이스(40)의 체결부(41)에 걸리는 헤드(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112)와 관통부(111)의 내부에는 중공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11)에는 상기 중공부(113)와 연통되는 인출공(114)이 형성된다. 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penetrating part 111 that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43 of the case 40 and the structure 1,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enetrating part 111 to fasten the case 40. It includes a head 112 caught on the part 41. And a hollow part 113 is formed inside the head 112 and the through part 111, and an outlet hole 114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art 113 is formed in the through part 111.

상기 체결블럭(120)은 상기 관통부(111)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인출공(114)에서 인출되어서 상기 구조물(1)의 내부에 걸린다. The fastening block 12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enetrating part 111, is drawn out from the outlet hole 114, and is hung inside the structure 1.

상기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는 상기 관통부(111)의 중공부(113)에 구비되고, X자 모양으로 교차되고, 교차되는 부위에서 축핀(135)이 결합되어 회동된다. 그리고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의 단부에는 가이드핀(131, 141)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관통부(111)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핀(131, 141)이 안착되는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5)이 형성된다. The first pivoting bar 130 and the second pivoting bar 140 are provided in the hollow portion 113 of the penetrating portion 111, intersect in an X shape, and an axis pin 135 is coupled at the intersection portion. and is brought together. And guide pins 131, 141 are provided to protrude at the ends of the first pivot bar 130 and the second pivot bar 140, and the guide pins 131, 141 are provided inside the penetrating portion 111. A guide groove 115 is formed to guide the seated rotation.

상기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블럭(120)이 힌지결합되고, 체결블럭(120)의 양방향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된다. The fastening block 120 is hinged at the outer ends of the first rotating bar 13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140, and a stopper (not shown) is provided to limit the two-way rotation range of the fastening block 120. do.

상기 스프링(150)은 상기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를 연결하여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를 잡아당긴다. The spring 150 connects the first pivot bar 130 and the second pivot bar 140 and pulls the first pivot bar 130 and the second pivot bar 140.

상기 회전체(160)는 상기 관통부(111)의 중공부(11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체(160)의 일면에는 공구가 결합되는 결합돌기(161)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61)는 사각기둥이나 육각기둥과 같은 다각기둥의 구조를 갖는다. 공구를 상기 결합돌기(161)에 결합시키고 돌려서 상기 회전체(1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160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hollow portion 113 of the penetrating portion 111. A coupling protrusion 161 to which a tool is coupled i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60. The coupling protrusion 161 has a polygonal pillar structure such as a square pillar or a hexagonal pillar. The rotating body 160 can be rotated by coupling the tool to the engaging protrusion 161 and turning it.

상기 연결바(170)는 상기 회전체(160)의 타면과 상기 제1회동바(130)의 내측 단부를 연결한다. The connecting bar 170 connects the oth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60 and the inner end of the first rotating bar 130.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체결부재(100)는 작동 매커니즘은 도2의 [A]와 [B]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fastening member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referring to [A] and [B] of FIG. 2.

공구를 상기 회전체(160)의 결합돌기(161)에 결합시키고 돌려서 상기 회전체(160)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바(170)가 상기 제1회동바(130)의 내측 단부를 밀어서 제1회동바(1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When the tool is coupled to the engaging protrusion 161 of the rotating body 160 and rotated to rotate the rotating body 160, the connecting bar 170 pushes the inner end of the first rotating bar 130 to form the first rotating body 160. The rotation bar 1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도2의 [A]처럼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의 외측 단부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회동바(13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프링(150)이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제1회동바(130)는 반시계방향으로 제2회동바(140)는 시계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하여서 도2의 [B]처럼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의 외측 단부는 하부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As shown in [A] in Figure 2, the first rotating bar 130, which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the outer ends of the first rotating bar 13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140 located at the top, rotates at a certain angle or more. When the spring 150 pulls the first rotating bar 13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140, the first rotating bar 130 moves counterclockwise and the second rotating bar 140 moves clockwise. By automatically rotating, the outer ends of the first pivoting bar 130 and the second pivoting bar 140 are located at the bottom, as shown in [B] of Figure 2.

상기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가 회전하여 외측 단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체결블럭(120)은 상기 인출공(114)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다가 인출공(114)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면(116)에 접촉되어 외측으로 회전하여 인출공(114)에서 인출되고, 스토퍼에 막혀 외측으로 더 이상 회전이 되지 않으며 인출공(114)에서 인출되어 상기 구조물(1)의 내부에 걸린다. When the first pivoting bar 130 and the second pivoting bar 140 rotate and the outer end mov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fastening block 120 mov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draw-out hole 114 and then moves through the draw-out hole 114. It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116 formed at the bottom of 114, rotates outward, and is pulled out from the draw-out hole 114. It is blocked by the stopper and can no longer rotate outward, and is pulled out from the draw-out hole 114 to form the structure ( 1) It gets caught inside.

도2의 [B]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50)이 상기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를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체결블럭(120)은 상기 구조물(1)의 내부를 미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몸체(110)의 헤드(112)와 상기 체결블럭(120)이 그 사이에 개재된 상기 케이스(40)의 체결부(41)와 구조물(1)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블럭(120)은 탄성으로 상기 구조물(1)을 밀면서 가압하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풀리지 않고 케이스(4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40)는 흔들리지 않음으로써 상기 감지기(20)가 오감지할 위험을 방지한다. In the state [B] of Figure 2, the spring 150 exerts a force pulling the first pivot bar 130 and the second pivot bar 140, so that the fastening block 120 is inside the structure 1. A pushing force acts to fix the head 112 of the body 110 and the fastening block 120 by pressing the fastening portion 41 of the case 40 and the structure 1 interposed between them. It will be done. The fastening block 120 has elasticity to push and press the structure 1, so it does not come loose even when an impact is applied and prevents the case 40 from shaking. And the case 40 does not shake,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false detection by the sensor 20.

상기 케이스(40)를 구조물(1)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회전체(16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와 같은 작동 매커니즘에 의해 도2의 [B]에서 [A]의 상태가 되어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When separating the case 40 from the structure 1, if the rotating body 16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tate is changed from [B] to [A] in Figure 2 by the above operating mechanism,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 is.

도2의 [B]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40)를 강한 힘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가 같이 회동하여 도2의 [A] 상태가 되어, 케이스(40)를 구조물(1)에서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중공부(113) 바닥에는 상기 제2회동바(140)의 시계방향 회전은 허용하도록 일측은 경사지고 반시계방향 회전은 불허하도록 타측은 수직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7)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40)를 당기더라도 상기 제2회동바(140)는 상기 걸림턱(117)에 걸려서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어서, 케이스(40)가 구조물(1)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case 40 is pulled with strong force in the state [B] of Figure 2, the first rotation bar 130 and the second rotation bar 140 rotate together to become the state [A] of Figure 2, and the case (40) can also be separated from structure (1). To prevent this, there is a locking protrusion 117 at the bottom of the hollow portion 113 that is inclined on one side to allow clockwis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bar 140 and protrudes vertically on the other side to prevent counterclockwise rotation. is formed Even if the case 40 is pulled, the second rotating bar 140 is caught on the locking protrusion 117 and cannot rotate, thereby preventing the case 4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1.

반면, 상기 제1회동바(130)에는 단면이 삼각형 모양인 푸쉬돌기(132)가 구비되어서, 제1회동바(130)가 회전하여 제2회동바(140)를 지나가는 중에 상기 푸쉬돌기(132)가 상기 제2회동바(140)를 들어올려 상기 제2회동바(140)는 상기 걸림턱(117)에서 벗어나게 되고, 그에 따라 제2회동바(140)는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rotating bar 130 is provided with a push protrusion 132 having a triangular cross-section, and while the first rotating bar 130 rotates and passes the second rotating bar 140, the push protrusion 132 ) lifts the second pivoting bar 140 so that the second pivoting bar 140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117, and thus the second pivoting bar 140 can rotate.

다시 말해, 사용자가 공구를 이용해 상기 회전체(160)를 돌려야만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가 회전되어 케이스(40)를 구조물(1)에서 분리시킬 수 있고, 케이스(40)를 강제로 잡아당기는 것으로는 제1회동바(130)와 제2회동바(140)는 회전되지 않아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other words, only when the user turns the rotating body 160 using a tool can the first rotating bar 130 and the second rotating bar 140 be rotated to separate the case 40 from the structure 1, By forcibly pulling the case 40, the first pivoting bar 130 and the second pivoting bar 140 do not rotate, thereby preventing them from being separated arbitrarily.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홀로그램 전사지 20 : 감지기
30 : 중계기 40 : 케이스
41 : 체결부 43 : 체결공
100 : 체결부재 110 : 몸체
111 : 관통부 112 : 헤드
113 : 중공부 114 : 인출공
115 : 가이드홈 117 : 걸림턱
120 : 체결블럭 130 : 제1회동바
131 : 가이드핀 132 : 푸쉬돌기
140 : 제2호동바 150 : 스프링
160 : 회전체 170 : 연결바
10: Hologram transfer paper 20: Detector
30: repeater 40: case
41: fastening part 43: fastening hole
100: fastening member 110: body
111: Penetrating part 112: Head
113: hollow section 114: withdrawal hole
115: Guide groove 117: Locking jaw
120: fastening block 130: first round bar
131: Guide pin 132: Push projection
140: No. 2 copper bar 150: Spring
160: rotating body 170: connecting bar

Claims (2)

버튼에 부착되고, 빛이 입사되면 버튼의 모양을 공중에 홀로그램으로 구현하는 홀로그램 전사지;
버튼 옆에 구비되고, 상기 홀로그램 전사지가 구현한 홀로그램을 통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상기 버튼의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중계기;
상기 감지기와 중계기를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상기 버튼이 구비되는 구조물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와 구조물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일단에 구비되어서 상기 케이스에 걸리는 헤드와, 상기 헤드와 관통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며 상기 관통부에 형성되는 인출공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인출공에서 인출되어서 상기 구조물에 걸리는 체결블럭,
상기 몸체의 중공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X자 모양으로 교차고, 외측 단부에 상기 체결블럭이 힌지결합되는 제1회동바와 제2회동바,
상기 제1회동바와 제2회동바를 연결하여 잡아당기는 스프링,
상기 몸체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상기 제1회동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바가 상기 제1회동바를 밀어 회동시키고, 상기 제1회동바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프링의 당김력으로 상기 제1회동바와 제2회동바가 자동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1회동바와 제2회동바가 회동되면 상기 체결블럭이 상기 인출공에서 인출되어서 상기 구조물의 내부에 걸리고,

상기 중공부의 바닥에는 상기 제2회동바의 시계방향 회전은 허용하도록 일측은 경사지고 반시계방향 회전은 불허하도록 타측은 수직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동바에는 단면이 삼각형 모양인 푸쉬돌기가 구비되어서, 제1회동바가 회전하여 제2회동바를 지나가는 중에 상기 푸쉬돌기가 상기 제2회동바를 들어올려 상기 제2회동바는 상기 걸림턱에서 벗어나게 되고, 그에 따라 제2회동바는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장치.
A holographic transfer paper that is attached to a button and, when light is incident on it, realizes the shape of the button as a hologram in the air;
A detector provided next to the button and detecting an object passing through the hologram implemented by the hologram transfer paper;
a repeater tha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to the button controller;
A case containing the detector and repeater;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that fastens the case to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button,

The fastening member is
A penetrating portion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of the case and the structure, a head provided at one end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caught on the case, a hollow portion formed inside the head and the penetrating portion, and a hol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and the penetrating portion. A body including a withdrawal hole formed in,
A fastening block drawn from the withdrawal hole and hung on the structure,
A first rotating bar and a second rotating bar that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hollow part of the body, cross each other in an X shape, and the fastening block is hinged at an outer end,
A spring that connects and pulls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A rotating body rotatably provided in a hollow portion of the body,
It includes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rotating body and the first rotating bar,
Whe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the connecting bar pushes and rotates the first rotating bar, and when the first rotating bar is rotated beyond a certain angle,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are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pulling force of the spring, When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are rotated, the fastening block is pulled out from the withdrawal hole and caught inside the structure,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llow portion, one side of which is inclined to allow clockwis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bar, and the other side protrudes vertically to prevent counterclockwise rotation,
The first pivoting bar is provided with a push protrusion having a triangular cross-section, and while the first pivoting bar rotates and passes the second pivoting bar, the push projection lifts the second pivoting bar and the second pivoting bar is positioned at the locking protrusion. A non-contact button input device using a hologr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otating bar is able to rotate accordingly.
삭제delete
KR1020230072728A 2023-06-07 2023-06-07 Non-contact input device using hologram KR1025889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728A KR102588925B1 (en) 2023-06-07 2023-06-07 Non-contact input device using hol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728A KR102588925B1 (en) 2023-06-07 2023-06-07 Non-contact input device using hol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925B1 true KR102588925B1 (en) 2023-10-16

Family

ID=8850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728A KR102588925B1 (en) 2023-06-07 2023-06-07 Non-contact input device using hol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92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312B1 (en) * 2012-12-16 2014-05-16 팽정희 Camera and Image device which are controlled by mirror cranking
KR20220021198A (en) * 2020-08-13 2022-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ulti-Functional Knob
JP2022082465A (en) * 2020-11-20 2022-06-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Aerial input device, aerial input display device, and hologram sheet
KR102418600B1 (en) * 2021-11-25 2022-07-08 주식회사 동양엘리베이터 A non-touch type hologram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312B1 (en) * 2012-12-16 2014-05-16 팽정희 Camera and Image device which are controlled by mirror cranking
KR20220021198A (en) * 2020-08-13 2022-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ulti-Functional Knob
JP2022082465A (en) * 2020-11-20 2022-06-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Aerial input device, aerial input display device, and hologram sheet
KR102418600B1 (en) * 2021-11-25 2022-07-08 주식회사 동양엘리베이터 A non-touch type hologram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6992A (en) Operating panel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US7044271B2 (en) Safety device for pinching zone of elevator doors
RU2550572C2 (en) Non-contact selective switch
JP2011143994A (en) Elevator operation button device
KR101813077B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surface using uv radiation
KR102588925B1 (en) Non-contact input device using hologram
BR0016006A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arrying out a financial transaction using a translucent,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financial transaction card
KR20210141013A (en) Movable ultraviolet sterilizer
US11851932B2 (en)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JP2009233221A (en) Pushbutton device of game machine
US10662025B2 (en) Operating panel for an elevator with splash water protected key switch
KR20200078147A (en)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JP5412154B2 (en) Door lock device
ATE295983T1 (en) HAND HAZARD DETECTOR
US6661478B1 (en) Control apparatus
US20210353796A1 (en) Automatic uvc sanitizer for common touch points
JP2018171182A (en) Functional name plate
KR1023792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infecting elevator button
JPS6366084A (en) Doorway safety device for elevator
US20040211826A1 (en) Laser-operated security mailbox
KR102343750B1 (en) Electronic teaching table with anti-bacterial film sterilizer
DE202012007949U1 (en) Passenger line and sliding door system
JP5382897B2 (en) Detection device
KR100600660B1 (en) Automatic gate for handicapped person with advertisement function
FR2821868B1 (en) INCREASED SECURITY SH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