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783B1 -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783B1
KR102588783B1 KR1020230049060A KR20230049060A KR102588783B1 KR 102588783 B1 KR102588783 B1 KR 102588783B1 KR 1020230049060 A KR1020230049060 A KR 1020230049060A KR 20230049060 A KR20230049060 A KR 20230049060A KR 102588783 B1 KR102588783 B1 KR 102588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pallet
loading
loading box
pressur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도희
Original Assignee
이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희 filed Critical 이도희
Priority to KR102023004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7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7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57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 차량 운행시 화물이 실린 팔레트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화물 차량 운행 과정 중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화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화물이나 팔레트의 손상 또는 파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a cargo vehicle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a cargo vehicle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by fixing a pallet loaded with cargo so that it does not move when the cargo vehicle is in operation, the vibration of the cargo vehicle is prevented even if the vehicle is shake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argo vehicle. It relates to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a cargo vehicl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minimize damage or damage to cargo or pallets that may be caused by this.

Description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Freight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cargo vehicle including the same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 차량 운행시 화물이 실린 팔레트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화물 차량 운행 과정 중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화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화물이나 팔레트의 손상 또는 파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a cargo vehicle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a cargo vehicle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by fixing a pallet loaded with cargo so that it does not move when the cargo vehicle is in operation, the vibration of the cargo vehicle is prevented even if the vehicle is shake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argo vehicle. It relates to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a cargo vehicl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minimize damage or damage to cargo or pallets that may be caused by this.

일반적으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탑차와 같은 화물 운송 차량에 밀폐 구조를 갖는 적재함을 구비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운송 화물 차량의 적재함은 강철, 알루미늄, 경합금,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적재함의 입구에 여닫이 형태의 도어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In general, as a means of transporting cargo, cargo transport vehicles such as trucks are sometimes equipped with a cargo box with a sealed structure, and the cargo box of such transport cargo vehicles is made of steel, aluminum, light alloy, fiber-reinforced plastic (FRP), etc. It is made of material and has a structure that includes a hinged door at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이러한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을 상차하기 위해서는 적재함의 도어를 열고 작업자가 적재함 내에 화물이 안착된 팔레트를 실은 다음 적재함 전면 즉 적재함의 내부 깊숙히까지 팔레트를 이동시켜야 하고, 적재함에 실은 화물을 내리고자 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팔레트를 적재함의 입구부까지 끌어낸 다음 지게차 또는 컨베이어 등을 이용하여 하차하게 된다.In order to load cargo into the loading box of such a cargo vehicle, the door of the loading box must be opened and the worker must load a pallet with the cargo inside the loading box, then move the pallet to the front of the loading box, that is, deep inside the loading box, and then unload the cargo in the loading box. In this case, the worker pulls the pallet to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and then unloads it using a forklift or conveyor.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적재함에 화물이 안착된 팔레트를 상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무게가 무거운 팔레트를 적재함의 전면까지 이송시켜야 하고, 실린 화물을 하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적재함 내에 올라가 화물이 실린 팔레트를 입구부까지 이송시켜 끌어내어야 하는 불편한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According to this prior art, in order to load a pallet with cargo placed in the loading box, the worker must transport the heavy pallet to the front of the loading box, and in order to unload the loaded cargo, the worker must climb into the loading box and lift the pallet with the cargo on it. We had to go through the uncomfortable process of transporting it to the entrance and pulling it out.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화물 차량의 적재함 바닥에 베어링을 깔아 설치한 다음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설치된 베어링이 바닥에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베어링이 돌출된 상태에서 화물이 실린 팔레트를 적재함 입구에 적재시킨 다음 작업자가 화물을 밀어 베어링의 회전력을 이용해 팔레트를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되게 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상승시켰던 베어링을 하강시켜 화물을 적재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다.To solve this problem, bearing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of a cargo vehicle, and then the installed bearings ar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floor by operating a switch. With the bearings protruding, a pallet loaded with cargo is loaded at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and then the operator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move the pallet to the required position by pushing the cargo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earing, and then lowering the raised bearing to load the cargo when the movement is completed.

한편, 이와 같이 화물을 팔레트에 적재한 상태에서 화물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운행 과정에서 차량의 진동에 의해 팔레트에 적재된 화물이 흔들려 화물이 손상되거나 화물과 적재함의 내벽이 충돌하여 적재된 화물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팔레트에 적재된 화물과 팔레트를 고정하기 위해 밴드로 이루어진 네트를 이용하거나,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35042호와 같이 별도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팔레트에 고정시켰다.On the other hand, when a cargo vehicle is driven with cargo loaded on a pallet, the cargo on the pallet may be shaken by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causing damage to the cargo, or the cargo may collide with the inner wall of the loading box, damaging the loaded cargo. There was a problem with damage. To solve this problem, a net made of bands was used to secure the cargo loaded on the pallet and the pallet, or a separate fixing means was used to secure the cargo to the pallet, such a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35042.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더라도 차량의 운행 중 화물의 중량에 의해 팔레트가 화물과 함께 움직이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 경우 화물의 손상이나 파손 뿐 아니라 팔레트가 적재함의 내벽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even with this method, there were cases where the pallet moved with the cargo due to the weight of the cargo while the vehicle was in operation, and in this case, not only was the cargo damaged or damaged, but another problem occurred where the pallet collided with the inner wall of the loading box and was damaged.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97648호(2014.08.0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97648 (2014.08.0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2274827호(2021.07.0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274827 (2021.07.08)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화물 차량 운행시 화물이 실린 팔레트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화물 차량 운행 과정 중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화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화물이나 팔레트의 손상 또는 파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pallet loaded with cargo so that it does not move when the cargo vehicle is driven, so that even if the vehicle shake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argo vehicle, i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due to vibration of the cargo vehicle. Provides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a cargo vehicl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minimize damage or damage to existing cargo or pallet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을 상하차하기 위한 화물 상하차 장치로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 롤러; 상기 적재함의 바닥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롤러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듈; 및 상기 팔레트의 양 측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팔레트를 고정하는 고정 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into a loading box of a cargo vehicle, wherein a plurality of device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along a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allet on which the cargo is loaded is moved up and down. elevating roller; a driving module installed inside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and configured to move the lifting roller up and down; and a fixing module that fixes the pallet by pressing both side ends of the pallet.

이때,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팔레트의 측단부를 가압하는 가압바; 및 상기 가압바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module includes a pressure bar that slides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presses a side end of the pallet; and an actuator for driving the pressure bar.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피스톤 튜브; 상기 피스톤 튜브에 직선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가압 로드; 및 일단이 상기 가압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가압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tuator includes a piston tube; a piston rod provided to move linearly in the piston tube; a first pressure rod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and whos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piston rod; and a second pressure rod,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essure ba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piston rod.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는, 고정 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바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기 피스톤 튜브로의 인입시 상기 고정 블록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xed block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ston rod, and a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pressure bar to accommodate the fixed block when the piston rod is introduced into the piston tube.

또한, 상기 가압바는 상기 적재함의 제1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가압바 중 상기 적재함의 입구와 인접 배치되는 가압바의 단부에는 상기 팔레트의 인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bar is provided in plurality along the first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and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inflow of the pallet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pressure bar disposed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among the pressure bars. .

또한, 상기 적재함의 입구의 바닥에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삽입홈 사이의 적재함 바닥에는 돌출됨에 따라 상기 팔레트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편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inser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and a fixing piece that presses and secures the end of the pallet as it protrudes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between the pair of insertion grooves. You ca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물 상하차 장치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go vehicle including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 차량 운행시 화물이 실린 팔레트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화물 차량 운행 과정 중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화물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화물이나 팔레트의 손상 또는 파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a pallet loaded with cargo so that it does not move when a cargo vehicle is driven, damage or damage to the cargo or pallet that may be caused by vibration of the cargo vehicle is prevented even if the vehicle is shake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argo vehic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의 개략도이고,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의 고정 모듈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의 고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의 고정 모듈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The above-described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ct arrangement and means shown.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rgo vehicle including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xing module of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ixing module of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xing module of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attached drawings are merely explained to more easily disclose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easily understand this. You will find out.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in advance tha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but that they are not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rgo vehicl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regarding thi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10)의 개략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화물 차량(10)의 적재함(30)에 화물을 상/하차하기 위해 사용된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rgo vehicle 10 including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go vehicle 10. ) is used to load/unload cargo into the loading box (30).

구체적으로, 화물 운반을 위한 화물 차량(10)의 운행을 위한 운전석 및 운적석의 후방에 탑재되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30)으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it may be configured with a loading box 30 mounted on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and driver's seat for operating the cargo vehicle 10 for transporting cargo and loading cargo.

화물은 팔레트(70)에 안착되어 적재함(30)에 적재되며, 적재된 화물과 함께 운송 수단(항공기, 선박, 차량 등)에 적재되어 이송된다. 팔레트(70)는 사각형의 스틸이나 알루미늄 재질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외주를 감싸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플레이트의 상면에 화물이 안착된다. 이때, 팔레트(70)에 적재된 화물을 패키징하기 위해 밴드나 화물망(네트)이 화물을 감싸며, 화물을 패키징한 밴드나 화물망이 팔레트(70)에 연결되어 화물이 팔레트(70)에 고정되며, 화물 차량(10) 운송 과정 중 화물이 팔레트(7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Cargo is placed on the pallet 70 and loaded into the loading box 30, and is loaded and transported along with the loaded cargo onto a means of transportation (aircraft, ship, vehicle, etc.). The pallet 70 is composed of a square plate made of steel or aluminum and a fram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ate, and cargo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t this time, in order to package the cargo loaded on the pallet 70, a band or cargo net (net) surrounds the cargo, and the band or cargo net packaging the cargo is connected to the pallet 70 and the cargo is fixed to the pallet 70. This prevents cargo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llet 70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of the cargo vehicle 1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의 평면도로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화물 차량(10)의 적재함(30)에 상하차하기 위한 장치로서, 승강 롤러(130), 구동 모듈(미도시) 및 고정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into the loading box 30 of the cargo vehicle 10, and may include a lifting roller 130, a driving module (not shown), and a fixing module 200. You can.

적재함(30)은 화물 차량(10)의 운적석 후방에 구비되며,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재함(30)은 강철, 알루미늄, 경합금,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ading box 3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rgo vehicle 10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o form an internal space for loading cargo. The loading box 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teel, aluminum, light alloy, and fiber-reinforced plastic (FRP).

승강 롤러(130)는 적재함(30)의 바닥(110)에 길이 방향인 제1 방향(도 3 참고)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화물이 적재된 팔레트(70)를 상하 이동시킨다. A plurality of lifting rollers 130 are installed on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along a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see FIG. 3) and move the pallet 70 loaded with cargo up and down.

도 2를 참고하면, 적재함(30)의 바닥(110)에는 승강 롤러(13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홀(미도시)이 적재함(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홀(미도시)에 승강 롤러(130)가 수용되어 화물의 상하차시 상하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화물의 이송시에는 상승하고 화물이 안착된 팔레트(70)가 적재된 상태에서는 수용홀(미도시)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승강 롤러(130)는 팔레트(70)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후술할 구동 모듈(미도시)에 의해 자동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may have receiving holes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lifting rollers 130 formed in multiple row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30. A lifting roller 130 is accommodated in the hole (not shown) and is provided to move up and down when loading and unloading cargo, so that it rises when transporting cargo and is inside the receiving hole (not shown) when the pallet 70 on which cargo is seated is loaded. It can be located in . At this time, the lifting roller 130 is provided to rotate so that the pallet 70 is smoothly transported, and may be provided to rotate automatically by a driving module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승강 롤러(130)가 회전함에 따라 화물이 적재된 팔레트(70)의 상차 또는 하차시 팔레트(70)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the lifting roller 130 rotates, the pallet 70 loaded with cargo can be smoothly transported when loading or unloading the pallet 70.

구동 모듈(미도시)은 적재함(30)의 바닥(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 롤러(13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모듈(미도시)은 적재함(30)의 바닥(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 롤러(130)를 구동하여 승강 롤러(130)가 바닥(1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상하 이동시킨다. 구동 모듈(미도시)은 전원, 모터, PCB 등 다수의 기계, 전자 장비를 포함하는데, 차량(10) 외부로 구동 모듈(미도시)이 노출되는 경우 외부 환경에 의해 고장이 날 우려가 높아지므로 적재함(30)의 바닥(110)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차량(10) 외부 환경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다.A driving module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and can move the lifting roller 130 up and down. Specifically, the driving module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floor 110 of the loading box 30 and drives the lifting roller 130 to move the lifting roller 130 up and down to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floor 110. . The drive module (not shown) includes a number of mechan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power supplies, motors, and PCBs. If the drive module (not show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 the risk of failure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ncreases. By placing it inside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exposure of the vehicle 10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s minimized.

고정 모듈(200)은 팔레트(70)의 양 측단부를 가압함으로써 팔레트(70)를 고정하여, 화물 차량(10) 운행시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팔레트(70)가 고정되어 적재함(30)의 바닥(110)으로부터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The fixing module 200 fixes the pallet 70 by pressing both ends of the pallet 70, so that even when the vehicle shakes when the cargo vehicle 10 is driven, the pallet 70 is fixed and remains on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30. Avoid moving from (110).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고정 모듈(200)은 가압바(210) 및 액츄에이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fixing module 200 may include a pressure bar 210 and an actuator 230.

구체적으로, 가압바(210)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팔레트(70)의 양 측단부를 가압한다. 가압바(210)는 적재함(30)의 바닥(110)에 팔레트(70)의 양 측면을 향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가압바(210)가 제1 방향을 따라 적재함(30)의 바닥(11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적재함(30)에는 총 4개의 팔레트(70)가 적재될 수 있는데, 한 쌍의 가압바(210)가 적재된 팔레트(70)를 2개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압바(210)가 직렬로 2조로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sure bar 210 slides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presses both side ends of the pallet 70. The pressure bars 210 are formed as a pair on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both sides of the pallet 70, and the pair of pressure bars 210 are load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may be formed on the bottom 110 of (30).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four pallets 70 can be loaded in the loading box 30, and a pair of pressure bars 210 are provided so that two pallets 70 loaded thereon can be fixed. (210) can be provided in two sets in series.

가압바(210)는 스틸 재질의 플레이트가 절곡되어 한 쌍의 가압바(210)가 각각 ']'모양(도면상 좌측 가압바(210)), '['모양(도면상 우측 가압바(21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가압바(210)의 절곡면이 팔레트(70)의 양 측단부를 가압함으로써 팔레트(7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The pressure bar 210 is a steel plate bent to form a pair of pressure bars 210 in a ']' shape (left pressure bar 210 in the drawing) and a '[' shape (right pressure bar 210 in the drawing). )), and the curved surface of the pair of pressure bars 210 presses both side ends of the pallet 70, thereby fixing the pallet 70 so that it does not move.

액츄에이터(230)는 가압바(210)를 구동시키며, 액츄에이터(230)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가압바(210) 사이에 배치되는 팔레트(70)를 향해 가압바(210)가 슬라이딩 이동되며, 가압바(210)가 이동하여 팔레트(70)의 양 측단부를 가압하여 팔레트(70)를 적재함(30) 바닥(110)으로부터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도 4 참고).The actuator 230 drives the pressure bar 210, and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230 causes the pressure bar 210 to slide toward the pallet 70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pressure bars 210. The pressure bar 210 moves and presses both side ends of the pallet 70 to fix the pallet 70 so that it does not move from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see FIG.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의 고정 모듈(200)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의 고정 모듈(200)의 액츄에이터(230)는 피스톤 튜브(231), 피스톤 로드(233), 제1 가압 로드(235) 및 제2 가압 로드(237)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s 5 and 6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ixing module 200 of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ctuator 230 of the fixing module 200 of the device 100 may include a piston tube 231, a piston rod 233, a first pressure rod 235, and a second pressure rod 237.

피스톤 튜브(231)는 단면이 원형인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피스톤 로드(233)가 구비되어 작동 유체에 의해 피스톤 로드(233)각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다. 피스톤 튜브(231)의 일측에는 유압 라인(24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유압 라인(241)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피스톤 로드(233)가 이동한다. 이때, 피스톤 튜브(231)의 일단부에는 제1 힌지(251)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적재함(30)의 측벽에 지지 플레이트(243)가 고정되며, 지지 플레이트(243)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되며, 브라켓(미도시)과 피스톤 튜브(231)가 제1 힌지(251)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것이다. 팔레트(70)를 고정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233)의 작동에 의해 가압바(210)가 이동하면, 제1 힌지(251)에 의한 회전 운동에 의해 피스톤 튜브(2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243)에는 지지 플레이트(24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지지 리브(245)가 적재함(30)의 측벽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230) 구동시 지지 플레이트(243)는 큰 하중을 받게 되고 이러한 하중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43)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지지 플레이트(243)에 지지 리브(245)를 설치하여 지지 플레이트(243)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The piston tube 2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and has a piston rod 233 therein, so that the piston rod 233 reciprocates by the working fluid. A hydraulic line 241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iston tube 231, and the piston rod 233 moves by fluid supplied through the hydraulic line 241. At this time, a first hinge 25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iston tube 231. Specifically, a support plate 243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loading box 30, a bracket (not shown)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43, and the bracket (not shown) and the piston tube 231 are provided. It is hingedly connected by the first hinge 251. When the pressure bar 210 moves by the operation of the piston rod 233 to fix the pallet 70, the piston tube 231 rotates counterclockwise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by the first hinge 251. . 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24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ribs 245 along the side wall of the loading box 3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upport plate 243. When the actuator 230 is driven, the support plate 243 receives a large load and the support plate 243 may be damaged by this load. Therefore, the support plate 243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support rib 245 on the support plate 243. It i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피스톤 로드(233)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피스톤 튜브(231)에 직선 이동하도록 구비된되며, 팔레트(70)를 고정하기 위해 가압바(210)가 이동하는 경우 피스톤 로드(233)가 피스톤 튜브(231)로부터 인출되어 인장되며, 팔레트(70)의 고정을 해제해기 위해 가압바(210)가 이동하는 경우 피스톤 로드(233)가 피스톤 튜브(231)로 인입되어 수축된다.The piston rod 233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 with a certain length and is provided to move linearly in the piston tube 231. When the pressure bar 210 moves to fix the pallet 70, the piston rod 233 (233) is pulled out from the piston tube 231 and stretched, and when the pressure bar 210 moves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pallet 70, the piston rod 233 is drawn into the piston tube 231 and contracts. do.

제1 가압 로드(235)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가압 로드의 일단이 적재함(30)의 바닥(1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피스톤 로드(233)의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제1 가압 로드(235)의 일단은 적재함(30)의 바닥(110)에 형성되는 브라켓(미도시)과 제2 힌지(253)에 의해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팔레트(70)를 고정하기 위해 가압바(210)가 이동하면, 제2 힌지(253)에 의한 힌지 운동에 의해 제1 가압 로드(235)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1 가압 로드(235)의 타단은 제3 힌지(255)에 의해 피스톤 로드(233)의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팔레트(70)를 고정하기 위해 가압바(210)가 이동하면 제3 힌지(255)가 회전한다.The first pressure rod 23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with a constant length, one end of the pressure ro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and the other end of the piston rod 233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pressure rod 235 may be hingedly connected to a bracket (not shown) formed on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and the second hinge 253, and may be used to fix the pallet 70. When the pressure bar 210 moves, the first pressure rod 235 rotates clockwise due to hinge movement by the second hinge 253.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essure rod 23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233 by a third hinge 255, and when the pressure bar 210 moves to fix the pallet 70, the third The hinge 255 rotates.

제2 가압 로드(237)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가압바(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피스톤 로드(233)의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제2 가압 로드(237)의 일단은 가압바(210)에 형성되는 브라켓(미도시)과 제4 힌지(257)에 의해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팔레트(70)를 고정하기 위해 가압바(210)가 이동하면, 제4 힌지(257)에 의한 힌지 운동에 의해 제2 가압 로드(23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2 가압 로드(237)의 타단은 제3 힌지(255)에 의해 피스톤 로드(233)의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팔레트(70)를 고정하기 위해 가압바(210)가 이동하면 제3 힌지(255)가 회전한다.The second pressure rod 237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with a certain length,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essure bar 210,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233. .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econd pressure rod 237 may be hingedly connected to a bracket (not shown) formed on the pressure bar 210 and the fourth hinge 257, and a pressure bar (237) may be used to fix the pallet 70. When 210) moves, the second pressure rod 237 rotates counterclockwise due to the hinge movement by the fourth hinge 257.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essure rod 237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233 by a third hinge 255, and when the pressure bar 210 moves to fix the pallet 70, the third The hinge 255 rotates.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피스톤 로드(233)의 단부에는 고정 블록(239)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블록(239)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블록(239)의 상면이 피스톤 로드(233)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블록(239)의 중공부에는 제1 가압 로드(235)의 타단이 삽입되어 제3 힌지(255)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또한, 고정 블록(239)의 양 측벽에는 한 쌍으로 형성된 제2 가압 로드(237)가 각각 제3 힌지(255)에 의해 힌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a fixing block 239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ston rod 233. The fixed block 239 may be formed in a '∩' shape with a hollow portion in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239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233.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essure rod 235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fixed block 239 and is hinged by the third hinge 255. In addition, a pair of second pressure rods 237 may be connected to each side wall of the fixing block 239 by a third hinge 255.

이때, 가압바(210)에는 고정 블록(239)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바(210)의 일측에는 고정 블록(239)에 대응되는 부분에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용홈(215)이 형성되며, 수용홈(215)은 피스톤 로드(233)의 피스톤 튜브(231)로의 인입시 고정 블록(239)을 수용한다. 즉, 팔레트(70)의 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해 가압바(210)를 원위치시키면, 가압바(210)가 적재함(30) 측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가압바(210)가 고정 블록(239)과 충돌하여 부품의 손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고정 블록(239)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압바(210)의 일측에 수용홈(215)을 형성하여, 가압바(210)의 원위치시 수용홈(215)이 고정 블록(239)을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가압바(210)의 이동시 가압바(210)와 고정 블록(239)의 충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a receiving groove 215 may be formed in the pressure bar 210 to accommodate the fixing block 239. Specifically, a receiving groove 21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ressure bar 210 and is bent inwar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ed block 239, and the receiving groove 215 is formed in the piston tube of the piston rod 233 ( When entering into 231), the fixed block 239 is accommodated. That is, when the pressure bar 210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pallet 70, the pressure bar 210 moves to the side wall of the loading box 30, and at this time, the pressure bar 210 collides with the fixing block 239. Therefore,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parts, so a receiving groove 21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ressure bar 2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block 239, so that when the pressure bar 2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receiving groove 215 is By accommodating the fixed block 239,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collision between the pressure bar 210 and the fixed block 239 when the pressure bar 210 moves.

한편, 복수의 가압바(210) 중 적재함(30)의 입구와 인접 배치되는 가압바(210)의 단부에는 팔레트(70)의 인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guide portion 213 for guiding the introduction of the pallet 70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pressure bar 210 disposed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30 among the plurality of pressure bars 210.

도 5를 참고하면, 한 쌍의 가압바(210)는 적재함(30)의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복수의 가압바(210) 중 적재함(30)의 입구와 가장 가까운 가압바(210)의 단부에 가이드부(213)가 형성되는 것이다. 화물이 적재된 팔레트(70)의 상차가 지게차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팔레트(70) 위의 화물에 의해 지게차 작업자의 시야가 가려져 팔레트(70)를 적재함(30) 내부에 제대로 밀어넣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재함(30)의 입구에 인접한 가압바(210)의 단부에 경사진 가이드부(213)를 형성함으로써 팔레트(70)가 자연스럽게 적재함(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5, a pair of pressure bars 21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along the first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30, and among the plurality of pressing bars 210, the pressure bar closest to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30 A guide portion 21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ar 210. When the pallet 70 loaded with cargo is loaded using a forklift, the forklift operator's view is blocked by the cargo on the pallet 70, which may cause problems in properly pushing the pallet 70 into the loading box 30. Therefore, by forming an inclined guide portion 213 at the end of the pressure bar 210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30, the pallet 70 can naturally flow into the loading box 30,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worker. It is for this purpos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의 고정 모듈(200)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7을 참고하여 고정 모듈(200)의 구체적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FIG.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xing module 200 of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specific operation process of the fixing module 200 is shown. Let's explain.

화물이 적재된 팔레트(70)가 적재함(30) 내부로 안착되면, 전기적 제어에 의해 액츄에이터(230)가 동작된다. 액츄에이터(230)가 구동되면 피스톤 튜브(231)로부터 피스톤 로드(233)가 인출되고, 피스톤 로드(233)가 인출되면 제1 횐지, 제2 힌지(253), 제3 힌지(255), 제4 힌지(257)에 의한 힌지 연결 구조에 의해 제1 가압 로드(235)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 가압 로드(23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도 7의 (a) 참고), 가압바(210)가 제2 방향(팔레트(7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팔레트(70)의 측단부를 가압함으로써, 가압바(210)에 의해 팔레트(70)가 고정된다(도 7의 (b) 참고).When the pallet 70 loaded with cargo is seated inside the loading box 30, the actuator 230 is operated by electrical control. When the actuator 230 is driven, the piston rod 233 is pulled out from the piston tube 231, and when the piston rod 233 is pulled out, the first hinge, the second hinge 253, the third hinge 255, and the fourth hinge Due to the hinge connection structure by the hinge 257, the first pressure rod 235 rotates clockwise and the second pressure rod 237 rotates counterclockwise (see (a) of FIG. 7), so that the pressure bar (210) slides in the second direction (palette 70 direction) to press the side end of the pallet 70, so that the pallet 70 is fixed by the pressure bar 210 ((b) in FIG. 7) reference).

가압바(210)가 팔레트(70)의 고정을 해제하는 과정은 위의 과정과 반대로 진행되며, 액츄에이터(230)의 구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233)가 피스톤 튜브(231)로 인입되고, 피스톤 로드(233)가 인입되면 힌지 연결 구조에 의해 제1 가압 로드(2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 가압 로드(237)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압바(210)가 제2 방향(적재함(30)의 측벽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팔레트(70)의 고정이 해제되며 가압바(210)는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고정 블록(239)은 가압바(210)의 수용홈(215)에 수용된다.The process of releasing the pressure bar 210 from fixing the pallet 70 proceed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process, and the piston rod 233 is drawn into the piston tube 231 by driving the actuator 230, and the piston rod 233 is driven into the piston tube 231. When (233) is inserted, the first pressure rod 235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second pressure rod 237 rotates clockwise due to the hinge connection structure, so that the pressure bar 21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loading ( By sli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30), the pallet 70 is released and the pressure bar 210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At this time, the fixing block 239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5 of the pressure bar 21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적재함(30)의 입구의 바닥(110)에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홈(113)이 형성되며, 한 쌍의 삽입홈(113) 사이의 적재함(30) 바닥(110)에는 돌출됨에 따라 팔레트(70)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편(170)이 구비될 수 있다.FIG.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loading box 30. ) A pair of insertion grooves 113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bottom 110 of the inlet, and the pallet ( A fixing piece 170 that presses and secures the end of 70 may be provided.

적재함(30)에는 복수의 팔레트(70)가 적재되며, 운송 효율을 위해 복수의 팔레트(70)는 제1 방향으로 최대한 밀착되어 적재된다. 이러한 경우 적재함(30)의 입구에 가장 인접한 팔레트(70)의 단부를 고정시키면 팔레트(70)의 제1 방향의 움직임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삽입홈(113) 사이의 적재함(30) 바닥(110)에 고정편(170)을 구비함으로써 적재함(30)의 입구에 인접 위치하는 팔레트(70)의 단부를 고정시켜, 팔레트(70)의 제1 방향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A plurality of pallets 70 are loaded in the loading box 30, and for transportation efficiency, the plurality of pallets 70 are stack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in the first direction. In this case, the movement of the pallet 70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minimized by fixing the end of the pallet 70 closest to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30, so in this embodiment,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insertion grooves 113 By providing a fixing piece 170 on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the end of the pallet 70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30 is fixed, thereby minimizing movement of the pallet 70 in the first direction. will be.

고정편(170)은 적재함(30)의 바닥(110)에 한 쌍의 삽입홈(113) 사이에 설치되어 적재함(30) 입구와 가장 인접하는 팔레트(70)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편(170)은 적재함(30)의 바닥(110)에 형성된 안착홈(115)에 수용되며, 팔레트(70) 고정시 자동으로 돌출되어 팔레트(70)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piece 170 is installed between a pair of insertion grooves 113 on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and is provided to protrude to fix the end of the pallet 70 closest to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30. It can be. At this time, the fixing piece 17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115 formed on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and automatically protrudes when fixing the pallet 70 to fix the end of the pallet 70.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모듈(200)에 의해 팔레트(70)의 제1 방향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고정편(170)에 의해 팔레트(70)의 제2 방향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화물 차량(10) 운행시 팔레트(70)의 움직임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not only is the movement of the pallet 70 in the first direction minimized by the fixing module 200, but the movement of the pallet 70 in the second direction is minimized by the fixing piece 170,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pallet 70 when the cargo vehicle 10 is operating.

이하에서는 화물이 적재된 팔레트(70)를 화물 차량(10)에 상/하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loading and unloading the pallet 70 loaded with cargo into and out of the cargo vehicle 10 will be described.

팔레트(70)의 상차시 작업자의 제어에 의해 구동 모듈(미도시)이 작동되며 적재함(30)의 바닥(110)의 내부의 수용홀(미도시) 하부에 위치하던 승강 롤러(130)가 상승한다. 이후 승강 롤러(130)가 회전함에 따라 팔레트(70)가 제1 방향을 따라 적재함(30) 내부로 이송된다.When loading the pallet 70, the driving module (not shown) is operated under the operator's control, and the lifting roller 13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hole (not shown) inside the bottom 110 of the loading box 30 rises. do. Thereafter, as the lifting roller 130 rotates, the pallet 70 is transferred into the loading box 30 along the first direction.

팔레트(70)의 상차가 완료되면, 승강 롤러(130)가 하강하여 수용홀(미도시)에 삽입되고, 고정 모듈(200)이 작동되어 한 쌍의 가압바(210)가 팔레트(70)의 양 측단부를 가압하여 팔레트(70)를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편(170)은 적재함(30)의 입구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팔레트(70)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팔레트(70)를 고정시킬 수 있다.When loading of the pallet 70 is completed, the lifting roller 130 is lowered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not shown), and the fixing module 200 is activated to move the pair of pressure bars 210 to the pallet 70. The pallet 70 is fixed by pressing both side ends. At this time, the fixing piece 170 can fix the pallet 70 by pressing the rear end of the pallet 70 disposed closest to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30.

팔레트(70)의 고정이 완료되면 화물 차량(10)이 운해되며, 화물 차량(10) 운행 과정 중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화물 차량(10)의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화물이나 팔레트(70)의 손상 또는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When the fixing of the pallet 70 is completed, the cargo vehicle 10 is moved, and even if the vehicle is shake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argo vehicle 10, any damage to the cargo or pallet 70 that may be caused by vibration of the cargo vehicle 10 may occur. Damage or damage can be minimized.

화물 차량(10) 운행이 완료되면, 고정 모듈(200) 및 고정편(170)을 작동시켜 팔레트(70)의 고정을 해제하고, 승강 롤러(130)를 상승시킨 후 승강 롤러(130)를 이용하여 팔레트(70)를 적재함(30) 외부로 반출시켜 팔레트(70)의 하차를 수행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cargo vehicle 10 is completed, the fixing module 200 and the fixing piece 170 are operated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pallet 70, the lifting roller 130 is raised, and the lifting roller 130 is used. Then, the pallet 70 is taken out of the loading box 30 and the pallet 70 is unload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화물 상하차 장치(100)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10)을 개시하며, 화물 상하차 장치(10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argo vehicle 10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nd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is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 so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replace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이와 같이 화물 상하차 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10)은,화물 차량(10) 운행시 화물이 실린 팔레트(7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화물 차량(10) 운행 과정 중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화물 차량(10)의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화물이나 팔레트(70)의 손상 또는 파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00 and the cargo vehicle 10 including it fix the pallet 70 loaded with cargo so that it does not move when the cargo vehicle 10 is operated, so that the vehicle does not mov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argo vehicle 10. Even if it is shaken,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damage or damage to the cargo or pallet 70 that may be caused by vibration of the cargo vehicle 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looked at,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is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화물 차량 30: 적재함
70: 팔레트(Palette) 100: 화물 상하차 장치
110: 바닥 113: 삽입홈
115: 안착홈 130: 승강 롤러
170: 고정편 200: 고정 모듈
210: 가압바 213: 가이드부
215: 수용홈 230: 액츄에이터
231: 피스톤 튜브 233: 피스톤 로드
235: 제1 가압 로드 237: 제2 가압 로드
239: 고정 블록 241: 유압 라인
243: 지지 플레이트 245: 지지 리브
251: 제1 힌지 253: 제2 힌지
255: 제3 힌지 257: 제4 힌지
10: cargo vehicle 30: loading box
70: Palette 100: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110: Bottom 113: Insertion groove
115: Seating groove 130: Elevating roller
170: fixed piece 200: fixed module
210: Pressure bar 213: Guide part
215: receiving groove 230: actuator
231: Piston tube 233: Piston rod
235: first pressure rod 237: second pressure rod
239: fixed block 241: hydraulic line
243: support plate 245: support rib
251: first hinge 253: second hinge
255: third hinge 257: fourth hinge

Claims (7)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을 상하차하기 위한 화물 상하차 장치로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 롤러;
상기 적재함의 바닥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롤러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듈; 및
상기 팔레트의 양 측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팔레트를 고정하는 고정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팔레트의 측단부를 가압하는 가압바; 및
상기 가압바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피스톤 튜브;
상기 피스톤 튜브에 직선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가압 로드; 및
일단이 상기 가압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가압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는, 고정 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바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기 피스톤 튜브로의 인입시 상기 고정 블록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into the loading box of a cargo vehicle,
A plurality of lifting roller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along a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ve the pallet loaded with cargo up and down;
a driving module installed inside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and configured to move the lifting roller up and down; and
It includes a fixing module that fixes the pallet by pressing both side ends of the pallet,
The fixed module is,
a pressure bar that slides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presses a side end of the pallet; and
Includes an actuator for driving the pressure bar,
The actuator is,
piston tube;
a piston rod provided to move linearly in the piston tube;
a first pressure rod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and whos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piston rod; and
It includes a second pressure rod,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essure ba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piston rod,
A fixing block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ston rod,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fixing block is formed in the pressure bar when the piston rod is introduced into the piston tub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는 상기 적재함의 제1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가압바 중 상기 적재함의 입구와 인접 배치되는 가압바의 단부에는 상기 팔레트의 인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essure bar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along a first direction of the loading box,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inflow of the pallet is formed at an end of the pressure bar disposed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입구의 바닥에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삽입홈 사이의 적재함 바닥에는 돌출됨에 따라 상기 팔레트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상하차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pair of inser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between the pair of insertion grooves is provided with a fixing piece that presses and secures the end of the pallet as it protrudes.
제1항에 따른 화물 상하차 장치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A cargo vehicle comprising a cargo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KR1020230049060A 2023-04-13 2023-04-13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KR1025887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060A KR102588783B1 (en) 2023-04-13 2023-04-13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060A KR102588783B1 (en) 2023-04-13 2023-04-13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783B1 true KR102588783B1 (en) 2023-10-12

Family

ID=8829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060A KR102588783B1 (en) 2023-04-13 2023-04-13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78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286A (en) * 2005-11-08 2007-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Road walker protecting apparatus of hood in vehicle
KR20140097648A (en) 2013-01-28 2014-08-07 김기훈 Transfering apparatus
JP2016199180A (en) * 2015-04-13 2016-12-01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Vehicle for cargo transportation
KR20210048284A (en)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동방 Coil-carring lowbed trailer and loading/unloading process using the same
KR102274827B1 (en) 2021-03-26 2021-07-08 삼성공항물류 주식회사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286A (en) * 2005-11-08 2007-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Road walker protecting apparatus of hood in vehicle
KR20140097648A (en) 2013-01-28 2014-08-07 김기훈 Transfering apparatus
JP2016199180A (en) * 2015-04-13 2016-12-01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Vehicle for cargo transportation
KR20210048284A (en)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동방 Coil-carring lowbed trailer and loading/unloading process using the same
KR102274827B1 (en) 2021-03-26 2021-07-08 삼성공항물류 주식회사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946B1 (en) Device for carrying article into and from container, method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article into and from container, and pallet for carrying article
US4544319A (en) Cargo transfer system
JP6903768B2 (en) Cargo loading system
CN111017453A (en)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KR102588783B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freight vehicle having the same
KR102115230B1 (en) Cargo Transfer System for Vehicles
KR100658053B1 (en) Freight load system of vehicle
KR101062925B1 (en) Cargo loading assembly of container and its stacking structure
KR101065389B1 (en) Carrying structure for loading container
CN115818034A (en) Transport tray and wingspan container with same
KR102274827B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6269963B1 (en) Transport container
JPS5989289A (en) Guide apparatus
KR102459334B1 (en) Pallet transfer apparatus for container of lorry
JPH07251667A (en) Selecting lift/storage device for cargo container
KR20000029915A (en) Container
KR101312280B1 (en) Lifting device of loading box
CN220765893U (en) Goods conveying device
CN215945555U (en) Logistics box for logistics transportation
JP2002326637A (en) Take-in-and-out pallet for cargo and its structure, connected pallet and its structure and structure for housing cargo-mounted connected pallet into container
CN216069735U (en) Pallet-free paperboard carton transport carriage system
JP2019019528A (en) Horizontal circulation type parking device
CN219117088U (en) Pallet carrier
WO1998006630A9 (en) Transport container
KR100344715B1 (en) Engine Room Access Device for Cargo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