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771B1 - 카본블랙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카본블랙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771B1
KR102587771B1 KR1020180043843A KR20180043843A KR102587771B1 KR 102587771 B1 KR102587771 B1 KR 102587771B1 KR 1020180043843 A KR1020180043843 A KR 1020180043843A KR 20180043843 A KR20180043843 A KR 20180043843A KR 102587771 B1 KR102587771 B1 KR 102587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black
reaction zone
combustion
carbon
combustion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532A (ko
Inventor
이재석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7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C09C1/56Treatment of carbon black ; Purification
    • C09C1/58Agglomerating, pelleting, or the like by wet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46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e.g. for the synthesis of polypeptides or polynucleotide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molecular arr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블랙의 제조와 함께 카본블랙에 대한 표면 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카본블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카본블랙을 생성한 후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를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흡착시키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카본블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본블랙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 BLACK}
본 발명은 카본블랙의 제조와 함께 카본블랙에 대한 표면 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카본블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카본블랙을 생성한 후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를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흡착시키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카본블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본블랙이란 각종 탄화수소 또는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불완전 연소시켜 수득한 아주 미세한 구형 입자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카본블랙은 반응로 속에서 일차 입자(Primary Particle)를 형성하고, 이러한 일차 입자들은 서로 융착되어 포도송이 형태의 응집체를 형성한다.
카본블랙은 전기적 특성에 따라 이차전지의 전도성 소재로서 주로 사용되는 전도성 카본블랙과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적용을 위해 전도성이 저하 또는 억제된 고저항성 카본블랙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본블랙은 용도 또는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적절히 개질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카본블랙에 대한 표면 처리는 원료 탄화수소로부터 카본블랙을 제조한 후 제조된 카본블랙을 별도의 반응기로 옮겨 후속 공정으로서 표면 처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반응기의 용량에 맞춰 제조된 카본블랙의 일정량을 반복하여 옮겨야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불가하며, 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반응기로 카본블랙을 옮기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며, 이는 최종 개질 처리된 카본블랙의 균일도(uniformity)를 떨어뜨리거나 수율 저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카본블랙의 전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를 흡착시키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는데, 현재까지는 카본블랙 분산액과 카본나노튜브 분산액을 혼합하여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를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액상 혼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상 혼합법은 분산액 중 분산시킬 수 있는 카본블랙 및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제한적이라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카본블랙과 카본나노튜브의 충분한 흡착력을 확보하기 어려워 카본블랙과 카본나노튜브의 상 분리가 용이하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카본블랙을 생성한 후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를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흡착시키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카본블랙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본블랙을 형성하는 연소 반응기, 상기 연소 반응기에서 형성된 카본블랙을 분쇄하는 분쇄기 및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카본블랙을 물과 혼합하여 카본블랙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카본블랙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 반응기는 (1) 연소 반응기 내에 고온의 연소 촉진 산소를 사용하여 연료유를 연소시켜 연소 가스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반응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제1 반응 대역, (2) 제1 반응 대역의 하류에 위치하며, 연소 가스류에 원료유를 반응시켜 카본블랙을 생성하는 제2 반응 대역 및 (3) 제2 반응 대역의 하류에 위치하며, 제2 반응 대역에서 생성된 카본블랙으로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퀀칭액을 분사하는 제3 반응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를 흡착시키는 처리를 카본블랙 제조 공정 중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공정 안정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본블랙의 생성과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를 흡착시키는 처리가 동일한 반응기 내에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간소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랙 제조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랙 제조 장치에 적용된 연소 반응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랙 제조 장치에 적용된 연소 반응기 중 제3 반응 대역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랙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일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랙 제조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랙 제조 장치(100)는 연소 반응기(116), 이물질 제거기(110), 분쇄기(120), 혼합기(130), 펠리타이저(140), 건조기(150) 및 이송 배관(160)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랙 제조 장치는 펠리타이저(140)가 구비됨에 따라 펠렛 형태의 카본블랙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본블랙 제조 장치(100)는 파우더 형태의 카본블랙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펠리타이저(140)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펠리타이저(140) 위치에는 분쇄기 또는 별도의 저장 탱크가 위치할 수 있다.
연소 반응기(116)에 원료유, 연료유 및 연소 촉진 가스가 투입된 후 열처리를 통해 카본블랙이 생성될 수 있다.
연료유는 카본블랙을 생성하는 반응 조건에 상응할 수 있는 고온에 도달하기 위해 태워지는 연료로서, 경유, 등유, 벙커C유, 석유계 FCC, EBO, 크레오소트, 소프트 피치, 석탄계 콜타르, 나프탈렌, 카르복실산, FCC 등의 액체 연료, 천연가스, 석탄가스와 같은 기체 연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원료유는 카본블랙의 시드(seed)를 생성하는 물질로서, 휘발유, 경유, 등유, 벙커C유, 석유계 FCC, EBO, 크레오소트, 소프트 피치, 석탄계 콜타르, 나프탈렌, 카르복실산, FCC 등의 액체 원료, 천연 가스, 석탄 가스와 같은 기체 원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 촉진 가스는, 예를 들어, 공기 또는 산소일 수 있다.
여기서, 연료유를 연소 반응기(116)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카본블랙 제조 장치(100)는 제1 연료 저장 탱크(102), 제1 펌프(106) 및 제1 예열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연료 저장 탱크(102)의 내부에 저장된 연료유는 제1 펌프(106)에 의해 펌핑되어 제1 예열기(114)로 공급되고, 제1 예열기(114)의 내부로 공급된 연료유는 연소 촉진 가스와 함께 예열되어 연소 반응기(116)의 내부로 공급된다.
또한, 원료유를 연소 반응기(116)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카본블랙 제조 장치(100)는 제2 연료 저장 탱크(104), 제2 펌프(108) 및 제2 예열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연료 저장 탱크(104)의 내부에 저장된 원료유는 제2 펌프(108)에 의해 펌핑되어 제2 예열기(112)로 공급되고, 제2 예열기(112)의 내부로 공급된 원료유는 예열되어 연소 반응기(116)의 내부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랙 제조 장치에 적용된 연소 반응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연소 반응기는 제1 반응 대역(116a), 제2 반응 대역(116b) 및 제3 반응 대역(116c)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소 반응기(116)는 (1) 연소 반응기(116) 내에 고온의 연소 촉진 산소를 사용하여 연료유를 연소시켜 연소 가스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반응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제1 반응 대역(116a)과 (2) 제1 반응 대역(116a)의 하류에 위치하며, 연소 가스류에 원료유를 반응시켜 카본블랙을 생성하는 제2 반응 대역(116b)과 (3) 제2 반응 대역(116b)의 하류에 위치하며, 고온에서 불완전 연소로 생성된 카본블랙의 온도를 낮춰주는 퀀칭(quenching) 존으로서 제3 반응 대역(116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본블랙의 제조시 연소 가스류를 형성하는 제1 반응 대역(116a)의 온도는 1,6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 가스류의 온도가 높을수록 카본블랙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연소 가스류의 온도는 높을수록 좋으나 연소 반응기(116)의 내열성을 고려하여 1,600℃ 이상의 온도에서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카본블랙의 제조시 연소 가스류와 원료유가 반응하는 제2 반응 대역(116b)의 온도는 연소 가스류를 형성하는 제1 반응 대역(116a)과 마찬가지로 카본블랙의 생산성을 고려하여 1,6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반응 대역(116c)은 퀀칭 존으로서, 제2 반응 대역(116b)에서 생성된 카본블랙을 후속 공정으로 이송하기 전 카본블랙을 소정의 온도 이하(예를 들어, 600℃ 내지 950℃)로 낮추기 위해 이송되는 카본블랙에 퀀칭액 분사 노즐(117)을 통해 퀀칭액(일반적으로, 물)을 분사하는 구간이다.
퀀칭액 분사 노즐(117)은 제3 반응 대역(116c)에 해당하는 연소 반응기(116)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퀀칭액을 저장하는 퀀칭액 저장 탱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퀀칭액 저장 탱크에 저장된 퀀칭액은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퀀칭액 분사 노즐(117)로 공급되어 제3 반응 대역(116c) 내 카본블랙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퀀칭액 분사 노즐(117)은 제3 반응 대역(116c)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됨에 따라 제3 반응 대역(116c)을 통과하는 카본블랙을 향해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퀀칭액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고온의 카본블랙에 퀀칭액을 분사할 경우, 퀀칭액이 증발함에 따라 카본블랙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원에서는 제2 반응 대역에서 생성된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를 흡착시키기 위해 퀀칭액으로서 카본나노튜브 분산액을 사용한다.
카본나노튜브 분산액은 용매(물)에 카본나노튜브를 분산시킨 용액으로서, 분산액 중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은 노즐은 통한 분산액의 흐름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본나노튜브를 물에 분산시킨 카본나노튜브 분산액을 퀀칭액으로서 사용할 경우, 분산액 중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은 1 내지 10wt%일 수 있다.
또한,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가 흡착되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액은 분산제 또는 기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액 중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분산제는 제2 반응 대역(116b)의 분위기 온도 하에서 완전 연소됨에 따라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가 흡착되는 반응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랙 제조 장치에 적용된 연소 반응기 중 제3 반응 대역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3을 참고하면, 제3 반응 대역에서 퀀칭액으로서 카본나노튜브를 사용함에 따라 제3 반응 대역을 통과하는 카본블랙의 표면에는 카본나노튜브가 흡착될 수 있다.
특히,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가 접촉하는 환경은 1,000℃ 내지 1,600℃의 고온의 환경으로서, 카본나노튜브는 카본블랙의 표면에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흡착되기 위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카본블랙 분산액과 카본나노튜브 분산액을 혼합하여 카본블랙의 표면에 카본나노튜브를 흡착시키는 액상 혼합법과 달리 카본블랙 표면에 카본나노튜브를 보다 견고하게 흡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제1 반응 대역(116a), 제2 반응 대역(116b) 및 제3 반응 대역(116c)의 구체적인 온도는 요구되는 카본블랙의 입자 크기(IA, N2SA) 및 구조(OAN)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표면에 카본나노튜브가 흡착된 카본블랙은 제3 예열기(118)에 의해 900℃ 이하로 예열된 후 에어 블로워(125)에 의해 이물질 제거기(110)로 이송될 수 있다.
분쇄기(120)는 연소 반응기(116)에 의해 형성한 카본블랙을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쇄기(120)에 의해 카본블랙은 100nm 이하의 미세한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혼합기(130)는 분쇄기(120)에 의해 분쇄된 카본블랙을 물과 반응시켜 카본블랙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착된다. 이를 위해, 혼합기(13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물 공급 배관(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물은 카본블랙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30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펠리타이저(140)는 혼합기(130)에 의해 형성된 카본블랙 혼합물을 펠릿화하여 펠렛화된 카본블랙을 형성한다.
건조기(150)는 펠리타이저(140)에 의해 형성된 펠렛화된 카본블랙을 건조한다. 이 때, 건조는 펠렛화된 카본블랙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100℃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복수의 이송 배관(160)은 이물질 제거기(110)와 분쇄기(120), 분쇄기(120)와 혼합기(130), 혼합기(130)와 펠리타이저(140) 및 펠리타이저(140)와 건조기(150)를 각각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 배관(160)은 제1 예열기(114)의 출구측과 이물질 제거기(110)의 입구측을 연결하는 제1 이송 배관(161), 이물질 제거기(110)의 출구측과 분쇄기(120)의 입구측을 연결하는 제2 이송 배관(162), 분쇄기(120)의 출구측과 혼합기(130)의 입구측을 연결하는 제3 이송 배관(163), 혼합기(130)의 출구측과 펠리타이저(140)의 입구측을 연결하는 제4 이송 배관(164), 펠리타이저(140)의 출구측과 건조기(150)의 입구측을 연결하는 제5 이송 배관(16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랙 제조 장치(100)는 파우더 형태의 카본블랙을 제조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펠리타이저(140) 대신 분쇄기, 별도의 저장 탱크 및/또는 파우더 투입기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이송 배관(164)은 혼합기(130)의 출구측과 분쇄기, 별도의 저장 탱크 및/또는 파우더 투입기의 입구측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제5 이송 배관(165)은 분쇄기, 별도의 저장 탱크 및/또는 파우더 투입기의 출구측과 건조기(150)의 입구측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랙 제조 장치(100)는 버킷 엘리베이터(170), 분급기(175), 자기 분리기(180) 및 저장 탱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킷 엘리베이터(170)는 건조된 펠렛화된 카본블랙을 수직 상승시켜 이송하며, 분급기(175)는 버켓 엘리베이터(170)를 통해 수직 상승시킨 펠렛화된 카본블랙을 분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기 분리기(180)는 분급된 펠렛화된 카본블랙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 탱크(190)는 자기 분리기(180)에 의해 분리된 펠렛화된 카본블랙을 열처리하여 백 필러(190)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착된다. 이 때, 저장 탱크(190) 내에서 열처리되어 형성되는 백 필러(190)는 품질 검사를 마친 후, 운송 수단에 적재되어 출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카본블랙을 형성하는 연소 반응기;
    상기 연소 반응기에서 형성된 카본블랙을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카본블랙을 물과 혼합하여 카본블랙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기;
    상기 카본블랙 혼합물을 펠렛화하여 펠렛화된 카본블랙을 형성하는 펠리타이저; 및
    상기 펠렛화된 카본블랙을 건조하는 건조기;
    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 반응기는,
    (1) 연소 반응기 내에 고온의 연소 촉진 산소를 사용하여 연료유를 연소시켜 연소 가스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반응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제1 반응 대역;
    (2) 제1 반응 대역의 하류에 위치하며, 연소 가스류에 원료유를 반응시켜 카본블랙을 생성하는 제2 반응 대역; 및
    (3) 제2 반응 대역의 하류에 위치하며, 제2 반응 대역에서 생성된 카본블랙으로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퀀칭액을 분사하는 제3 반응 대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응 대역에서 분사된 퀀칭액 중 카본나노튜브는 카본블랙의 표면에 흡착되는,
    카본블랙 제조 장치.
  2. 카본블랙을 형성하는 연소 반응기;
    상기 연소 반응기에서 형성된 카본블랙을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카본블랙을 물과 혼합하여 카본블랙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기; 및
    상기 카본블랙 혼합물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
    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 반응기는,
    (1) 연소 반응기 내에 고온의 연소 촉진 산소를 사용하여 연료유를 연소시켜 연소 가스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반응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제1 반응 대역;
    (2) 제1 반응 대역의 하류에 위치하며, 연소 가스류에 원료유를 반응시켜 카본 블랙을 생성하는 제2 반응 대역; 및
    (3) 제2 반응 대역의 하류에 위치하며, 제2 반응 대역에서 생성된 카본 블랙으로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퀀칭액을 분사하는 제3 반응 대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반응 대역에서 분사된 퀀칭액 중 카본나노튜브는 카본블랙의 표면에 흡착되는,
    카본블랙 제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퀀칭액은 수(水)중에 카본나노튜브가 분산된 카본나노튜브 분산액인,
    카본블랙 제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3 반응 대역에 해당하는 연소 반응기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도록 퀀칭액 분사 노즐이 형성된,
    카본블랙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퀀칭액 분사 노즐은 제3 반응 대역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
    카본블랙 제조 장치.
  6. 삭제
KR1020180043843A 2018-04-16 2018-04-16 카본블랙 제조 장치 KR102587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843A KR102587771B1 (ko) 2018-04-16 2018-04-16 카본블랙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843A KR102587771B1 (ko) 2018-04-16 2018-04-16 카본블랙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532A KR20190120532A (ko) 2019-10-24
KR102587771B1 true KR102587771B1 (ko) 2023-10-12

Family

ID=6842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843A KR102587771B1 (ko) 2018-04-16 2018-04-16 카본블랙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7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6749A (zh) 2016-04-01 2016-08-10 山东容奈材料设计有限公司 白炭黑改性方法和其应用
CN105885474A (zh) 2015-07-16 2016-08-24 国网浙江省电力公司湖州供电公司 一种碳黑静电吸附碳纳米管导电填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71609B (zh) * 2009-07-17 2013-11-06 东海炭素株式会社 表面处理炭黑粉末分散体的制造方法及表面处理炭黑粉末的制造方法
KR101766054B1 (ko) * 2015-10-30 2017-08-08 오씨아이 주식회사 카본블랙의 표면 개질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5474A (zh) 2015-07-16 2016-08-24 国网浙江省电力公司湖州供电公司 一种碳黑静电吸附碳纳米管导电填料的制备方法
CN105836749A (zh) 2016-04-01 2016-08-10 山东容奈材料设计有限公司 白炭黑改性方法和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532A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841B1 (ko) 하이브리드 카본 블랙 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60793B1 (ko) 저급 석탄의 고품위화 방법 및 장치
US10920086B2 (en) Method for oxidizing a carbon black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carbon black using the same
US20150175891A1 (en) Coal reforming method and coal reforming apparatus
KR101198895B1 (ko) 코크스용 석탄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CN103408973A (zh) 一种低生热超耐磨炭黑及其生产工艺
DE112012001242T5 (de) Komplexes System zum Verwenden von Kohle bei der Herstellung von Koks und Rohmaterialgas und der Erzeugung von elektrischer Energie
CN103687931A (zh) 提质具有低油含量的低级煤的煤处理方法
KR102587771B1 (ko) 카본블랙 제조 장치
KR102529675B1 (ko) 카본블랙 제조 장치
CN1234779C (zh) 生产炭黑的方法和装置
KR102477019B1 (ko) 카본블랙 제조 장치
CN111253783B (zh) 碳黑制备装置及碳黑制备方法
WO2014156789A1 (ja) 無灰炭の製造方法
CN101829524A (zh) 用于使用浆料向气化器供送的方法和设备
KR102477024B1 (ko) 고저항성 카본 블랙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고저항성 카본블랙
KR101546369B1 (ko) 석탄-물 혼합연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석탄-물 혼합연료
KR102620312B1 (ko) 카본 블랙 비드 제조 장치
KR102546608B1 (ko) 카본블랙 제조 장치
WO2011115262A1 (ja) 焼結用固体燃料の製造方法、焼結用固体燃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焼結鉱の製造方法
JP2022158415A (ja) カーボンブラック及びカーボンブラックの製造方法
JPH05105415A (ja) 成型活性コ−クスの製造方法
WO2024086831A2 (en) Methods and additives to improve performance of carbon particles in elastomer composites
JPH0564186B2 (ko)
TW202411413A (zh) 燒結礦製造中使用的炭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