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023B1 -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023B1
KR102587023B1 KR1020210003718A KR20210003718A KR102587023B1 KR 102587023 B1 KR102587023 B1 KR 102587023B1 KR 1020210003718 A KR1020210003718 A KR 1020210003718A KR 20210003718 A KR20210003718 A KR 20210003718A KR 102587023 B1 KR102587023 B1 KR 102587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data
information
book
area
aut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801A (ko
Inventor
신정호
Original Assignee
신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호 filed Critical 신정호
Priority to KR102021000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02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적을 구매 혹은 구매하고자 하는 독자의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여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영역 요청 유닛; 저자에게 부여된 계정에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생성하고 할당하는 영역 할당 유닛; 서명 정보와 독자에게 커스터마이징된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오토그래프 획득 유닛; 및 서명 정보와 콘텐츠 정보를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에 배치하는 영역 배치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Online system for intermediating autograph by allocation of variable data rooms}
본 발명은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가변적으로 할당된 데이터 공간을 통하여 저자의 서명을 매개하여 저자와 독자 상호간에 연결되도록 하며, 가변적 데이터 공간에 대한 다양한 접근 루트를 독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19년 발표한 '2018 콘텐츠산업통계'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도서출판 시장 규모는 총 3조 9,985억 원으로서 '교과서 및 학습서적 출판업'이 2조 8,287억 원, '서적출판업'이 1조 1,698억 원이라고 한다.
즉, 도서출판 시장의 약 70%가 학습지, 교과서, 학습참고서 등 유아기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교육과정과 연관된 출판 수요다. 출판시장의 전체 규모는 사회 각 분야의 출판 콘텐츠에 대한 구매 수요를 총체적으로 반영한 것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처럼 도서출판에서 비중이 높은 교육·학습 출판의 비중은 한국의 출판산업 구조와 출판 경영, 출판유통, 서점 매출, 독서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일반도서 시장을 살펴보면 일반단행본(약 8,000억 원), 학술·전문서(약 2,000억 원), 아동도서(전집 시장 제외, 약 1,400억 원) 순으로 비중이 크다. 일반도서 중에서는 문학 도서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데, 판매량 상위권의 인기 도서 목록에는 해외 인기 작가들의 소설이 포진하는 경우가 많다. 시집과 에세이는 한국 저자들의 작품이 중심으로, 인기 도서가 장기간 판매되는 특성이 강하다. 문학 이외의 분야에서도 인기 저자의 영향력은 매우 크며, 특히 연예인이나 유명인들에 의해 텔레비전, 소셜미디어(SNS), 유튜브 등에 소개된 '미디어 셀러'의 힘이 베스트셀러 풍향계를 좌우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한국 최대의 온·오프라인 서점 체인인 교보문고에서 발표한 출판 분야별 판매액 점유율을 보면 문학(14.8%), 실용서(11.2%), 인문과학(11.1%), 사회과학(11.1%), 과학기술(10.7%), 어린이 도서(10.4%), 초중고 학습(9.9%), 외국어(6.4%), 취업·수험서(5.9%), 예술(3.5%), 종교(2.8%) 순이다. 여기서 초중고 학습참고서 비중이 약한 것은, 학습참고서 비중이 매우 높은 지역 중소 서점과 달리, 대형 서점이기 때문에 다양한 출판 분야의 판매량이 골고루 높은 데 기인한다.
"인터넷을 이용한 사인권 발행시스템 및 그 방법(등록번호 제10-0419305호, 이하 특허문헌1)"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인터넷을 통한 유명 연예인이나 저명인사 등의 사인권을 발행하기 위한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웹브라우져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자의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공중의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호 연동되며 다수의 웹페이지와 서버엔진과 다양한 정보입력 서식과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아울러, "문서의 독자 특정 뷰를 생성하는 기술(공개번호 제10-2001-0039796호, 이하 특허문헌2)"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문서(이메일 메시지; 텍스트 기반의 문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파일 같은 다중 매체 등)의 독자 특정 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작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2의 경우, 문서(또는, 메시지) 저자는 문서의 선택된 섹션을 구성하고 섹션에 속성을 할당한다. 속성은 뷰에 섹션을 갖는 수령인을 포함하고, 섹션을 디스플레이할 때 이용하기 위한 배경색 또는 폰트, 섹션이 복사 방지되는 가의 여부, 섹션이 포워드 및/또는 인쇄 되는가의 여부, 섹션이 포워딩 또는 기억 전에 암호화 되는가의 여부, 섹션의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로 렌더링 되는가의 여부, 섹션이 가상 현실 세계로 렌더링 되는가의 여부 등의 특성을 더 지정할 수 있다.
"온라인 팬레터 서비스 시스템(공개번호 특2003-0030809, 특허문헌3)"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유명인(star)의 팬들과 유명인들 사이에서 팬레터를 중개 관리하며, 나아가 팬레터의 편지지를 직접 디자인하여 사용할 있도록 하는 온라인 팬레터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팬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팬레터를 유명인 단말기로 전달하되, 그 수신 여부를 팬단말기로 통지하는 팬레터 서비스 서버; 전송된 팬레터 데이터, 팬에 관한 정보 및 유명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팬레터 서비스 서버의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유명인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단문 문자 메시지를 팬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SMS 시스템; 및 팬레터 서비스 서버의 제어 하에서, 팬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팬레터를 CD에 기록하여 이를 현물 배송 시스템을 통해 팬 및 유명인으로 배달하는 CD 제작 시스템을 포함한다.
위의 종래 기술들은 서적 혹은 음반 등의 물리적으로 제한된 공간 내에서 독자와 저자의 소통의 공간을 마련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는 상호간의 인터액티브한 교신이 이루어지는 매커니즘을 제공하지 못한다.
아울러, 독자 혹은 팬은 저자 혹은 스타와의 연결을 위하여 제한된 루트만을 이용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접근성 자체가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번호 제10-0419305호 공개번호 제10-2001-0039796호 공개번호 제10-2003-0030809호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저자와 연결되고 싶은 독자로 하여금 저자와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한다.
둘째, 저자의 서적을 통해, 저자와 독자 상호간에 매칭되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한다.
셋째, 독자는 저자의 서명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하되, 직접 대면하지 않는 언택트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독자의 서명 요청은 독자의 개별적인 요청과 니즈에 커스터마이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경우, 서적을 구매 혹은 구매하고자 하는 독자의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여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영역 요청 유닛; 상기 영역 요청 유닛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저자에게 부여된 계정에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생성하고 할당하는 영역 할당 유닛; 상기 저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서명 정보와 상기 독자에게 커스터마이징된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오토그래프 획득 유닛; 및 상기 오토그래프 획득 유닛으로부터 상기 서명 정보와 상기 콘텐츠 정보를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에 배치하는 영역 배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정보는, i) 상기 서적의 표지에 포함된 표지 패턴 정보, ii) 상기 서적의 내용에 수록된 내용 패턴 정보, iii) 상기 서적에 표시된 코드 정보, 또는 iv) 웹 페이지 내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상기 코드 정보는, 바코드, QR 코드 또는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상기 영역 요청 유닛은, 상기 서적의 표지의 전부 혹은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표지 패턴 정보를 분리 추출하여 상기 서적을 식별하고,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상기 영역 요청 유닛은, 상기 서적의 미리 결정된 특정 페이지의 내용에 수록된 표식으로부터 상기 내용 패턴 정보를 분리 추출하여 상기 서적을 식별하고,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상기 영역 할당 유닛은, 상기 저자에게 부여된 계정에 복수 명의 독자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상기 영역 할당 유닛은,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의 개별 셀의 크기는 상기 복수 명의 독자 별로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상기 영역 할당 유닛은, 상기 오토그래프 획득 유닛이 획득한 상기 서명 정보와 상기 독자에게 커스터마이징된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의 개별 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은, 복수 개의 서브 셀(sub cell)로 개념화되어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셀 각각에는 상기 저자의 상기 서명 정보와 상기 콘텐츠 정보를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경우, 상기 영역 배치 유닛이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에 배치한 상기 서명 정보와 상기 콘텐츠 정보를 상기 독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제시되도록 하는 영역 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독자는 서적 등 혹은 서적을 판매하는 웹 페이지를 통하여 독자에게 자신에게 맞추어진 서명을 요청할 수 있다.
둘째, 독자는 저자와의 교감할 수 있으며, 서명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할당받으며, 이러한 할당 공간은 가변적인 영역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셋째, 저자에게 요청하는 서명 및 메시지의 가변적 공간은 개별 독자마다 커스터마이징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독자는 저자에게 요청하는 서명 요청의 루트를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중, 모바일 유닛을 통해 서적의 표지를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중, 모바일 유닛을 통해 서적의 소정의 내용을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중, 모바일 유닛을 통해 서적의 코드를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중, 웹 페이지를 통해 링크 정보를 클릭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을 통해 저자와 독자 상호간의 가변 데이터 영역이 할당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을 통해 할당된 가변 데이터 영역의 개별 셀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통해 할당된 가변 데이터 영역의 개별 셀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중, 모바일 유닛을 통해 서적의 표지를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중, 모바일 유닛을 통해 서적의 소정의 내용을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중, 모바일 유닛을 통해 서적의 코드를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중, 웹 페이지를 통해 링크 정보를 클릭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을 통해 저자와 독자 상호간의 가변 데이터 영역이 할당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을 통해 할당된 가변 데이터 영역의 개별 셀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통해 할당된 가변 데이터 영역의 개별 셀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적(10)을 구매 혹은 구매하고자 하는 독자(2)가 저자(1)의 친필 서명을 받고자 하는 경우, 저자(1)와 독자(2)를 매개하도록 하는 가변적 데이터 영역(101)을 생성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주된 요지로 한다.
여기서 서적(10)이란, 유형의 단행본, 참고서, 교과서, 학습지, 만화책, 잡지책, 간행물, 신문(일간지), 주간 신문, 혹은 무형의 전자서적(e-book)까지 총 망라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아울러 저자(1)는 위 서적(10)의 내용을 창작, 작성, 혹은 편집한 자연인을 의미하여, 저자(1)는 단수 혹은 복수일 수 있다.
독자(2)는 위 저자(1)가 창작, 작성, 혹은 편집한 서적(10)을 구매 혹은 구매하고자 하는 자연인을 의미하게 되는데, 독자(2) 역시 단수 혹은 복수일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서적(10)을 구매 혹은 구매하고자 하는 독자(2)는 불특정 다수를 의미하게 되는데, 아래에서는 단수일 경우에는 독자(2)라고 하며, 복수를 의미할 경우에는 복수의 독자(2)라고 언급하도록 한다.
도 1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은 저자(1)와 복수의 독자(2)를 매개하여, 독자(2)로 하여금 저자(1)와의 연결될 수 있는 가상의 가변적 데이터 영역(101)을 할당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요청 유닛(110), 영역 할당 유닛(120), 오토그래프 획득 유닛(140) 및 영역 배치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되는 유닛(unit)이란, 유형의 제품이나 부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유닛을 형용하거나 서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적 사상이 개념화된 주체를 의미하게 된다.
먼저, 영역 요청 유닛(11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서적(10)을 구매, 혹은 구매하고자 하는 독자(2)의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여, 가변적 데이터 영역(101)을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구성이다.
여기서의 단말기는 독자(2)가 네트워킹을 통해 저자(1)와 교감하기 위한 기기로서, 통상적인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PC, 데스크탑 PC 등을 의미하게 된다.
단말기는 유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한 것이며, 소정의 프로그램 혹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download)하여 도 1 내지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체적 혹은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활용된다.
영역 요청 유닛(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소정의 정보는 독자(2)가 단말기를 통하여 획득시킨다.
소정의 정보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서적(10)의 표지(11)에 포함된 표지 패턴 정보(도 2 참조), ii) 서적(10)의 내용(12)에 수록된 내용 패턴 정보(도 3 참조), iii) 서적(10)에 표시된 코드(13) 정보(도 4 참조)), 또는 iv) 웹 페이지(31) 내의 특정 링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독자(2)는 저자(1)와의 교감과 저자(1)의 서명 요청을 위하여, 서적(10)의 표지(11)를 단말기로 촬영할 수 있는데, 서적(10)의 표지(11)의 전부 혹은 일부가 가지는 고유의 표지 패턴 정보를 획득하여, 촬영된 서적(10)이 무엇인지 식별하고, 이에 따라 식별된 서적(10)의 저자(1)를 추가적으로 식별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2에서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서적(10)의 표지(11)는 캐릭터의 안면의 일부와 캐릭터의 안면의 하부에 기입된 문자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표지 패턴 정보는 미리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시스템에 기록되어 있으며,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면 해당 서적(10)을 식별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예시로 든 표지 패턴 정보는 타 서적(10)에서는 반복 혹은 중복되지 않음을 전제하는 것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 3을 참조하면, 독자(2)는 저자(1)와의 교감 혹은 서명 요청을 위하여 서적(10)의 내용(12) 중, 미리 결정된 특정 페이지(predetermined page)의 내용(12)에 수록된 표식 예컨대, 그림으로부터 내용 패턴 정보를 분리 추출하게 되며, 이를 통해 서적(10)이 무엇인지 식별하고 저자(1)를 추가적으로 식별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3에서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서적(10)의 내용(12)에서 미리 결정된 특정 페이지 예컨대 121page 중, 상단에 기재된 세계지도가 내용 패턴 정보인 그림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정보 즉, 특정 페이지와 해당 그림에 대한 정보는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시스템에 기록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단말기를 통해 위 '세계지도' 그림을 인식되면 해당 서적(10)을 식별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예시로 든 내용 패턴 정보인 세계지도 그림은 타 서적(10)에서는 반복 혹은 중복되지 않음을 전제하는 것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 4를 참조하면, 독자(2)는 저자(1)와의 교감 혹은 서명 요청을 위하여 서적(10)의 전면(front face) 혹은 후면(rear face)에 프린트된 바코드, QR 코드 혹은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를 통하여 인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서적(10)이 무엇인지 식별하고 저자(1)를 추가적으로 식별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4에서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서적(10)의 바 코드(도면 부호 13 참조)를 인식되면 해당 서적(10)이 어떠한 서적(10)에 해당하는지 식별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예시로 든 바와 같이, 해당 서적(10)과 저자(1)를 식별하게 되면, 영역 요청 유닛(110)은 서적(10)의 가변적 데이터(101)를 생성하도록 영역 할당 유닛(120)에 요청하게 된다.
영역 할당 유닛(12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요청 유닛(110)의 요청에 의하여 저자(1)에게 부여된 계정에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생성하고 할당하게 된다.
저자(1)에게 부여된 계정은 저자의 부여되고 저자(1)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identification)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메일 어드레스(e-mail address), 혹은 가입시 사용한 ID일 수도 있다.
가변적 데이터 영역(variable data room)이란 저자(1)의 계정에 부여되는 가상의 데이터 공간으로서, 그 영역의 크기와 경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변적으로 이루어진다.
가변적 데이터 영역은 저자(1)의 계정에 누진적으로 부여되되, 선택적으로 수정, 관리, 편집 혹은 권한이 허여되는 범위 내에서 삭제 등도 가능하다.
가변적 데이터 영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자(2)가 저자(1)와 연결되고 교감하는 하나의 매개체(intermediation)의 역할을 수행한다.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통해 독자(2)는 서명 요청에 따른 저자(1)의 서명 정보와 콘텐츠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통하여 그 서명 정보와 콘텐츠 정보의 크기 역시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통하여 저자(1)와 독자(2)의 교감 메시지가 상호 교신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교감 메시지의 생성, 편집, 수정, 삭제 등에 따라 그 가변적 데이터 영역의 크기 역 연동되어 가변적으로 조절된다.
서명 정보는 저자(1)가 독자에게 제공하는 자신의 고유 서명(autograph)에 해당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정보(contents information)는 저자(1)가 독자(2)에게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하여 제공하는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명의 저자(1)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저자(1)의 계정에 복수 명의 독자(2)로부터 생성되는 가변적 데이터 영역(101)이 개별적으로 셀(cell) 단위로 할당되고, 이렇게 셀 단위의 가변적 데이터 영역(1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자(1)에 계정에 누진적으로 생성 및 관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할당 유닛(120)은 가변적 데이터 영역의 개별 셀의 크기를 복수 명의 독자(2) 별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개별 셀 역시 독립적인 가변적 데이터 영역에 해당하고, 이러한 가변적 데이터 영역인 개별 셀의 크기는 독자(2)에게 전달되는 서명 정보와 콘텐츠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 및 적용된다.
영역 할당 유닛(120)의 경우,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셀 각각에는 서브 셀(sub cell)의 개념으로 다시 구획될 수 있다.
위 서브 셀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별 셀 내 서브 셀은 저자(1)의 서명 정보와 콘텐츠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물론, 서브 셀은 개념적으로 구획되기는 하나, 서브 셀 각각은 상호 독립적으로 분할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 부분적으로 오버랩(overlap)될 수도 있다.
저자(1)와 독자(2)의 상호 교감을 위하여 개별 셀 내의 서브 셀을 할당하여 상호 메시지를 주고 받는 가변적 데이터 영역 즉, 서브 셀을 개념적으로 별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은 정보 입력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입력 유닛(150)은 독자(2)가 자신의 정보 예컨대, 자신의 이름, 예명, 닉네임 등의 식별하기 위한 명칭을 기재할 수 있고, 독자(2)는 자신의 특별한 니즈(needs) 혹은 기타 요청의 메시지를 기재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 입력 유닛(150)은 오토그래피 획득 유닛(140)으로 전달되고, 오토그래프 획득 유닛(140)을 통하여 저자(1)는 자신의 서명 정보에서 나아가 콘텐츠 정보에 위와 같은 독자(2)의 메시지나 니즈에 맞추어 메시지를 기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제시 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역 제시 유닛(160)의 경우, 영역 배치 유닛(150)이 가변적 데이터 영역(101)에 배치한 서명 정보와 콘텐츠 정보 혹은 나아가 기타 상호 교신 메시지를 독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저자 2: 독자
10: 서적 11: 표지
12: 소정의 내용 13: 코드
20: 모바일 단말기 30: 웹 페이지
100: 시스템 101: 가변적 데이터 영역
110: 영역 요청 유닛 120: 영역 할당 유닛
130: 정보 입력 유닛 140: 오토그래프 획득 유닛
150: 영역 배치 유닛 160: 영역 제시 유닛

Claims (10)

  1. 서적을 구매 혹은 구매하고자 하는 독자의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여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생성하도록 요청하는 영역 요청 유닛;
    상기 영역 요청 유닛의 요청에 의하여 저자에게 부여된 계정에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생성하고 할당하는 영역 할당 유닛;
    상기 저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서명 정보와 상기 독자에게 커스터마이징된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오토그래프 획득 유닛; 및
    상기 오토그래프 획득 유닛으로부터 상기 서명 정보와 상기 콘텐츠 정보를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에 배치하는 영역 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정보는,
    i) 상기 서적의 표지에 포함된 표지 패턴 정보, ii) 상기 서적의 내용에 수록된 내용 패턴 정보, iii) 상기 서적에 표시된 코드 정보, 또는 iv) 웹 페이지 내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명 정보는,
    상기 저자가 상기 독자에게 제공하는 자신의 고유 서명에 해당하며,
    상기 콘텐츠 정보는,
    상기 저자가 상기 독자에게 커스터마이징하여 제공하는 메시지에 해당하고,
    상기 영역 요청 유닛은,
    상기 서적의 표지의 전부 혹은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표지 패턴 정보를 분리 추출하여 상기 서적을 식별하고,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생성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서적의 미리 결정된 특정 페이지의 내용에 수록된 표식로부터 상기 내용 패턴 정보를 분리 추출하여 상기 서적을 식별하고,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생성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저자에게 부여된 계정에 복수 명의 독자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개별적으로 할당하며,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의 개별 셀의 크기는 상기 복수 명의 독자 별로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상기 오토그래프 획득 유닛이 획득한 상기 서명 정보와 상기 독자에게 커스터마이징된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의 개별 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은,
    상기 저자의 계정에 누진적으로 부여되되,
    복수 개의 서브 셀(sub cell)로 개념화되어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셀 각각에는 상기 저자의 상기 서명 정보와 상기 콘텐츠 정보를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서브 셀은,
    상기 저자와 상기 독자의 상호 교감을 위한 상기 개별 셀 내 상기 서브 셀을 할당하여 상호 메시지를 주고받는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을 별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바코드, QR 코드 또는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영역 배치 유닛이 상기 가변적 데이터 영역에 배치한 상기 서명 정보와 상기 콘텐츠 정보를 상기 독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제시되도록 하는 영역 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KR1020210003718A 2021-01-12 2021-01-12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KR102587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718A KR102587023B1 (ko) 2021-01-12 2021-01-12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718A KR102587023B1 (ko) 2021-01-12 2021-01-12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801A KR20220101801A (ko) 2022-07-19
KR102587023B1 true KR102587023B1 (ko) 2023-10-06

Family

ID=8260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718A KR102587023B1 (ko) 2021-01-12 2021-01-12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0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654A (ja) * 2000-03-26 2001-11-02 Iuniverse Com Inc 様々な形式の内容を出版するためのリポジトリ
US20130332296A1 (en) * 2012-06-11 2013-12-12 Samuel John Murray, JR.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Author Signed Electronic Book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64817B (en) 1999-08-18 2001-11-21 Ibm Technique for creating audience-specific views of documents
KR100419305B1 (ko) 2000-07-31 2004-02-19 이동수 인터넷을 이용한 사인권 발행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0809A (ko) 2001-12-27 2003-04-18 주식회사 디노웍스 온라인 팬레터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654A (ja) * 2000-03-26 2001-11-02 Iuniverse Com Inc 様々な形式の内容を出版するためのリポジトリ
US20130332296A1 (en) * 2012-06-11 2013-12-12 Samuel John Murray, JR.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Author Signed Electronic Boo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801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4246A (zh) 用于根据社交媒体内容制作相册的方法和系统
US9870358B2 (en) Augmented reading systems
US20120328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yearbook creation
WO20121063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yearbook creation
Robinson Electronic editions for everyone
Smith et al. The publishing business: A guide to starting out and getting on
EP36924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ustomized digital files with variable data
KR100858103B1 (ko) 템플릿 기반의 웹문서 pdf 출판 시스템
KR20140140202A (ko) 독자 주석 기록이 가능한 전자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7023B1 (ko) 가변적 데이터 공간 할당을 통한 온라인 서명 매개 시스템
Pilgrim et al. Immersive storytelling: Virtual reality as a cross-disciplinary digital storytelling tool
Brake The Serial and the Book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Intersections, Extensions, Transformations
KR20210093621A (ko) 템플릿기반 웹(sns)컨텐츠 pdf 출판시스템
McCrostie Our predatory conference problem
JP2009064220A (ja) 印刷物の関連情報を公開するウェブサイトへのアクセスを、印刷物の所有者のみへ許可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Lu et al. Collaborating with wikis
KR20020014483A (ko)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출판 의뢰 방법
JP7369478B2 (ja) 編集管理装置、編集管理プログラム、及び編集管理方法
CN210742938U (zh) 一种基于二维码的应用系统
Shin et al. Confronting Anti-Asian racism in art and visual culture education
Lynn What Place for Books?—: Libraries as Essential Laboratories
Turnbull Restricted Images: Made with the Warlpiri of Central Australia
Maingueneau Trouble in Paratopia
Speed et al. The Hidden Histories of Objects; Provenance, Storytelling and Tagging Technologies
Lamal Italian New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