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191B1 - 렌즈구동모터 - Google Patents

렌즈구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191B1
KR102586191B1 KR1020220121916A KR20220121916A KR102586191B1 KR 102586191 B1 KR102586191 B1 KR 102586191B1 KR 1020220121916 A KR1020220121916 A KR 1020220121916A KR 20220121916 A KR20220121916 A KR 20220121916A KR 102586191 B1 KR102586191 B1 KR 102586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disposed
driving motor
lens driv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7576A (ko
Inventor
이성민
박상옥
이준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8061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2933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1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1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576A/ko
Priority to KR1020230131188A priority patent/KR20230145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ens Barrels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실시예는 렌즈부를 고정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를 이동시키는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와 고정자의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유닛은 상기 보빈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와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구동모터{MOTOR FOR ACTUATING LENS}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개선된 렌즈구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렌즈구동모터는 보빈에 복귀력을 제공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유닛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탄성유닛은 렌즈구동모터 내부의 공간을 차지하여 구성요소 배치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렌즈구동모터의 소형화에 제약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으로써 구현되는 탄성유닛의 경우, 박판 형태의 판스프링은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아지며, 렌즈구동모터 조립 시 또는 렌즈구동모터의 사용에 따라 변형이 야기되어 성능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은 가동자의 무게 변형에 따른 탄성계수 등을 고려한 설계상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 KR 10-2010-0108259 A
실시예는 소형화, 틸팅 제어 성능 향상, 제품 조립 공정 단순화 및 가격적 측면 향상 및 신속한 초점 조절이 가능한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렌즈부를 고정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를 이동시키는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와 고정자의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유닛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동자는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측에 구비되는 마그넷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는 상기 마그넷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는 상기 하우징과 가동자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자와 고정자를 수용하여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커버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캔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캔은 하측으로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체결편이 삽입되는 체결홈 또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유닛은 상기 보빈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와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는 상기 자성체가 장착되는 자성체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자성체의 길이방향과 상기 렌즈부의 광축방향이 일치되도록 상기 보빈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플레이트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철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부는 대향하는 두 개의 마그넷으로 형성되며, 상기 코일부는 두 개의 코일부로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두 개의 마그넷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두 개의 코일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홀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는 상기 하우징과 가동자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홀센서부가 안착되는 홀센서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보조마그넷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홀센서와, 상기 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유닛을 포함하여 소형화, 틸팅 제어 성능 향상, 제품 조립 공정 단순화 및 가격적 측면 향상이 되고, 홀센서부를 구비하여 신속한 초점 조절이 가능한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구동모터에서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마그넷수용홈(112)을 제1홈이라 하고 자성체수용홈(113)을 제2홈이라 할 수 있다. 코일부체결홀(221)은 홀이라 하고 플레이트수용홈(222)은 제3홈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구동모터에서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크게 렌즈부(미도시)를 고정하는 가동자(100)와, 상기 가동자(100)를 이동시키는 고정자(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자(100)는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110)과, 상기 보빈(1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마그넷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110)은 렌즈부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며, 이러한 렌즈부와 보빈(110)의 결합방식은 도시된 것과 같이 나사산(111)을 보빈(110)의 내주면과 렌즈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하는 나사산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무나사산 방식으로써 결합할 수도 있다. 물론, 나사산 결합 방식에서도 나사산 체결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빈(110)과 렌즈부 상호 간에 더욱 견고한 장착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빈(110)은 팔각 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보빈(110)의 외주면은 후술할 마그넷부(1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넷부(120)의 마그넷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된 마그넷수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넷수용홈(112)은 상기 보빈(1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110)의 외측면에는 후술할 자성체(510)가 장착되는 자성체수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수용홈(113)은 상기 자성체(5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넷수용홈(1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부(미도시)는 렌즈 배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가 렌즈 배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렌즈부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의 상측에 설치되며, 이미지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부는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마그넷부(120)는 상기 보빈(11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보빈(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마그넷수용홈(112)에 삽입되거나, 상기 마그넷수용홈(112)에 접착제 등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넷부(120)는 대향하는 두 개의 마그넷으로써 도시되어 있으나, 4 개의 마그넷이 상기 보빈(110)의 외측면에 등 간격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4개의 마그넷은 제1 내지 제4마그넷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넷부(120)를 구성하는 마그넷 각각의 형상은 도시된 것과 같이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는 달리 보빈(110)의 구조적 변경에 따라 내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사다리꼴 기둥 형상 등 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자(200)는 상기 마그넷부(12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코일부(210)와, 상기 코일부(210)를 지지하는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20)과 가동자(100)를 지지하는 베이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캔(300)의 측판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판과 제2측판과, 제1측판과 제2측판을 연결하고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판과 제4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일부(210)는 제1측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코일과, 제2측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부(120)는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1마그넷과, 제2코일과 대향하는 제2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210)는 두 개의 권선된 코일부(210)로써 형성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마그넷부(120)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마그넷부(120)가 4 개의 마그넷으로 형성된다면, 4 개의 개별적인 코일이 상기 마그넷부(120)를 향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일부(210)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받아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코일은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4개의 코일은 제1측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코일과, 제2측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코일과, 제3측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코일과, 제4측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4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0)은 후술할 커버캔(30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20)은 커버캔(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 하측이 개방되어 상기 가동자(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20)은 측면에 상기 코일부(2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부체결홀(221) 또는 코일부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20)의 내측면에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520)가 장착되는 플레이트수용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210) 또는 금속 플레이트(520)는 접착제 등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상기 하우징(2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20)은 상측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스토퍼(223)가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대해 상기 커버캔(300)의 상측면과 면접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렌즈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20)은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빈(110)은 A.F(Auto Focusing) 구동을 위해 움직이는 부분으로써 상기 커버캔(3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30)는 상기 하우징(220)과 가동자(100)를 지지하기 위해 렌즈구동모터의 하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230)는 상기 고정자(200) 및 가동자(100)를 지지하며, 상기 보빈(110)이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 원형 형상으로써 하측으로 요입된 리세스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231)의 측부에는 후술할 홀센서부가 안착되는 홀센서수용홈(2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는 후술할 이미지센서(미도시)에 대응되는 관통홀(233)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230)는 상기 이미지센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33)은 필터(미도시)를 위치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는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예를 들어,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30) 외에 추가로 상기 베이스(230) 하부에 별도의 센서 홀더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30)는 상측 모서리에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220)의 내측면과 면접하거나 결합하는 한 개 이상의 고정돌기(2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돌기(234)는 상기 하우징(220)의 체결을 용이하게 가이드 함과 동시에 체결 후 견고한 고정을 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베이스(230)는 후술할 커버캔(300)의 체결편(310)이 삽입되는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은 상기 체결편(310)의 길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230) 외측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체결편(310)을 포함한 상기 커버캔(300) 하단의 소정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230) 외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30)의 측면부는 후술할 단자부(411, 421)의 형상과 대응되게 요입된 단자홈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는 상기 가동자(100)와 고정자(200)를 수용하여 상기 베이스(230)에 장착되는 커버캔(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캔(300)은 렌즈구동모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측면에 상기 렌즈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측면은 전부 개방된 개방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캔(300)은 내측면이 후술할 베이스(230)의 측면부와 밀착하여 상기 베이스(230)에 장착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 침투방지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커버캔(300)은 핸드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의 전파 간섭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캔(30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캔(300)은 하단부 각각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된 체결편(310)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30)에는 상기 체결편(310)이 삽입되는 결편이 삽입되는 체결홈(미도시) 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의 더욱 견고한 밀폐 기능 및 체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코일부(210)에 후술할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코일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400)은 상기 베이스(230)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솔더링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400)은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두 개의 금속재(410, 42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터미널(400)의 일단은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230) 측면에 형성된 단자홈부(235)에 배치되는 단자부(411, 42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는 상기 가동자(100)와 고정자(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유닛(5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유닛(500)은 상기 보빈(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자성체(510)와, 상기 자성체(510)와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220)에 구비되는 금속 플레이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510)와 금속 플레이트(520)는 상호 간의 인력으로써 보빈(110)과 하우징(220)의 이격된 공간에서 상기 보빈(110)을 특정 위치에 홀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위치에 보빈(110)이 계속 위치할 수 있도록 인가되는 추가적인 렌즈구동모터의 전원이 불필요하며, 보빈(110)의 떨림 방지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기존의 탄성유닛이 불필요하여 렌즈구동모터의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어 렌즈구동모터의 전체적인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상기 자성체(510)는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보빈(110)의 외측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마그넷부(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자성체수용홈(113)에 접착제 등으로써 장착되어 안정적인 보빈(110)의 홀딩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성체(5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금속 플레이트(520)와 최소한의 면적이 맞닿는 것이 렌즈구동모터의 전력적인 면에서 효율적이므로 구 형상 또는 도시된 것과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렌즈부가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자성체(510)는 자성체(510)의 길이방향과 상기 렌즈부의 광축방향이 일치되게 상기 보빈(1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자성체(510)는 구 형상의 볼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510)는 금속 플레이트(520)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성체(510)는 금속 플레이트(52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520)는 상기 자성체(510)와 반응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철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자성체(510)와 맞닿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자성체(510)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520)가 원통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금속 플레이트(5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두 개의 코일부(2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220)에 형성된 플레이트수용홈(222)에 접착제 등으로써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는 상기 마그넷부(120)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홀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동자(100)의 위치정보를 검출 및 피드백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렌즈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마그넷부(120)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가동자(100)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홀센서부는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홀센서부는 상기 마그넷부(120)에 대응되기만 하면 족하므로, 상기 하우징(220) 내측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베이스(230)에 구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230)에는 홀센서수용홈(232)이 형성되어 상기 홀센서부의 효율적인 공간배치를 꾀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홀센서부가 코일부(210)와 인접하기만, 상기 마그넷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코일부(210)에서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보다 몇 백배 큰 것을 감안하면, 상기 마그넷부(120)의 이동 감지에 있어 코일부(210)의 영향은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홀센서부는 상기 마그넷부(120)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홀센서와, 상기 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으로부터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230)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는 상기 베이스(230)에 별도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에 실장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핸드폰 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요컨대,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가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은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및 이미지센서(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측면 중앙부에 상기 이미지센서가 실장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자(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터미널(400)의 단자부(411, 421)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코일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이미지센서(미도시)는 상기 렌즈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광축 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면 중앙부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대상물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전술된 접착제는 열경화성 에폭시 또는 UV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 또는 UV의 노출에 의해 경화된다. 다만, 열경화성 에폭시를 사용하면 오븐에 이동하여 또는 직접 열을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며, UV(자외선) 에폭시를 사용하면 상기 접착제에 UV(자외선)를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와 UV(자외선)경화가 혼용될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으며, 열경화나 UV(자외선)경화 모두 가능하여 이중에 어느 한가지로 선택하여 경화될 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에 한하지 않으며 접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대체 가능하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가동자 110: 보빈
112:마그넷수용홈 113: 자성체수용홈
120: 마그넷부 200: 고정자
210: 코일부 220: 하우징
221: 코일부체결홀 222: 플레이트수용홈
230: 베이스 231: 리세스부
232: 홀센서수용홈 300: 커버캔
400: 터미널 500: 자성유닛
510: 자성체 520: 금속 플레이트

Claims (20)

  1. 상판과 측판을 포함하는 커버캔;
    상기 커버캔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커버캔과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상기 커버캔의 상기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보빈과 상기 커버캔의 상기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보빈과 이격되는 렌즈구동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보빈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구동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캔의 상기 측판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측판과 제2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과 상기 제1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코일과, 상기 보빈과 상기 제2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보빈과 상기 제1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과, 상기 보빈과 상기 제2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마그넷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접착제가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렌즈구동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표면에 직접 배치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상기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렌즈구동모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캔의 상기 측판은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을 연결하고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판과 제4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과 상기 제3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3코일과, 상기 보빈과 상기 제4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4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보빈과 상기 제3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3마그넷과, 상기 보빈과 상기 제4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4마그넷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코일은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받는 렌즈구동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홈과 2개의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홈에 배치되고,
    상기 볼은 상기 2개의 제2홈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제1홈은 상기 2개의 제2홈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빈의 상기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3홈을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보빈의 상기 제2홈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3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제2홈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3홈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제1마그넷과 상기 제1코일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 렌즈구동모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자성체로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홀센서; 및
    상기 홀센서가 실장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고,
    상기 홀센서는 상기 코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16. 상판과 측판을 포함하는 커버캔;
    상기 커버캔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커버캔과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보빈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과 마그넷;
    상기 보빈과 상기 커버캔의 상기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보빈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렌즈구동모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홈과 2개의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홈에 배치되고,
    상기 볼은 상기 2개의 제2홈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제1홈은 상기 2개의 제2홈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19.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렌즈구동모터; 및
    상기 렌즈구동모터의 상기 보빈에 결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19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KR1020220121916A 2020-12-22 2022-09-26 렌즈구동모터 KR102586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916A KR102586191B1 (ko) 2020-12-22 2022-09-26 렌즈구동모터
KR1020230131188A KR20230145000A (ko) 2020-12-22 2023-09-27 렌즈구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610A KR102329330B1 (ko) 2020-04-22 2020-12-22 렌즈구동모터
KR1020210157944A KR102449259B1 (ko) 2020-12-22 2021-11-16 렌즈구동모터
KR1020220121916A KR102586191B1 (ko) 2020-12-22 2022-09-26 렌즈구동모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944A Division KR102449259B1 (ko) 2020-12-22 2021-11-16 렌즈구동모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188A Division KR20230145000A (ko) 2020-12-22 2023-09-27 렌즈구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576A KR20220137576A (ko) 2022-10-12
KR102586191B1 true KR102586191B1 (ko) 2023-10-10

Family

ID=7893392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944A KR102449259B1 (ko) 2020-12-22 2021-11-16 렌즈구동모터
KR1020220121916A KR102586191B1 (ko) 2020-12-22 2022-09-26 렌즈구동모터
KR1020230131188A KR20230145000A (ko) 2020-12-22 2023-09-27 렌즈구동모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944A KR102449259B1 (ko) 2020-12-22 2021-11-16 렌즈구동모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188A KR20230145000A (ko) 2020-12-22 2023-09-27 렌즈구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49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658A1 (ko) * 2022-11-04 2024-05-10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8583A (ja) 2009-11-17 2011-06-30 Tdk Taiwan Corp レンズ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9481A (ja) * 2009-03-26 2011-02-24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KR101230128B1 (ko) * 2009-09-15 2013-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150730B1 (ko) * 2010-06-11 2013-05-24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 엑츄에이터
KR101744353B1 (ko) * 2010-11-18 2017-06-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8583A (ja) 2009-11-17 2011-06-30 Tdk Taiwan Corp レンズ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000A (ko) 2023-10-17
KR102449259B1 (ko) 2022-09-30
KR20210145088A (ko) 2021-12-01
KR20220137576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005B1 (ko) 렌즈구동모터
KR20230145000A (ko) 렌즈구동모터
KR102105697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220729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153739B1 (ko) 카메라 모듈
KR102329330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196207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507394B1 (ko)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KR102489147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478151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602300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513612B1 (ko)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102484016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301739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664480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521614B1 (ko) 렌즈 구동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핸드폰
KR102345956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374765B1 (ko)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102423932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256722B1 (ko)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KR102552748B1 (ko) 렌즈구동모터
KR20240067859A (ko) 렌즈구동모터
KR2020010647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