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946B1 -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946B1
KR102585946B1 KR1020150147159A KR20150147159A KR102585946B1 KR 102585946 B1 KR102585946 B1 KR 102585946B1 KR 1020150147159 A KR1020150147159 A KR 1020150147159A KR 20150147159 A KR20150147159 A KR 20150147159A KR 102585946 B1 KR102585946 B1 KR 102585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tatus check
load balancer
server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934A (ko
Inventor
송희철
허형준
허성규
최주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9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29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using data related to the state of servers by a load bal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31Controlling of the operation of servers by a load balancer, e.g. adding or removing servers that serve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트래픽을 분배받는 서버 장치가 독립적으로 신규 트래픽 분배를 조정하여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그 서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버 장치가 관리자의 서비스 정지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지 요청에 따라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장치{APPARATUS, METHOD for SYSTEM and THE SYSTEM PROVIDING SERVICE USING DISTRIBUTED STRUCTURES}
본 발명은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트래픽을 분배받는 서버 장치가 독립적으로 신규 트래픽 분배를 조정하여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그 서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부하 분산(Load Balancing)이란 하나의 인터넷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 때 부하량, 속도저하 등을 고려하여 여러 대의 서버에 정보를 분산 처리하여 서버의 로드율 증가 등을 만들어 일부 서버에 부하가 몰림에 반해 다른 일부 서버는 유휴상태에 있는 일을 방지하고 서버 간 작업을 고루 분배하는 기술이다. 부하조절 알고리즘은 다른 작업 처리에 부담이 되지 않게 설계되어야 하며, 정적 또는 동적 알고리즘이 될 수 있다. 부하 분산 장치(Load Balancer)는 자신에게 연결된 각 서버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며, 점검 결과에 따라 트래픽을 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부하 분산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 부하 분산 장치는 다수의 서버가 접속하는 장비로 접근에 높은 보안 권한이 필요하다. 개별 서버 관리자에게 설정 접근 권한을 분배 시 부하 분산 장치 이용자 간 합의하지 않은 시스템의 수정이 발생할 수 있고, 다수의 접근으로 인한 보안 위협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점검 등 부하 분산 장치와의 연결을 일정 시간 중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 개별 서버 관리자가 부하 분산 장치 관리자에게 요청하여, 부하 분산 장치 관리자가 트래픽 분배를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절차의 복잡성에 따른 서버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개별 서버 관리자가 보안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부하 분산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조정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에 주기적으로 상태 체크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버 장치의 상태를 관리하는 부하 분산 장치와, 부하 분산 장치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의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차단함으로써 서비스 트래픽 분배를 조정하는 서버 장치로 이루어진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정지가 필요한 경우 요청에 따라 상태 체크 메시지 응답 차단 모드를 실행하여 서버로부터의 추가적인 트래픽 분배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 장치와 이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각각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이 전달되면, 상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의 상태를 관리하며, 그에 따라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중 하나로 분배하는 부하 분산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부하 분산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에 주기적으로 상태 체크(health check)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응답에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는, 서비스 정지 요청에 따라서 상태 체크 차단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태 체크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동안, 상기 부하 분산 장치의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서비스 트래픽이 분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하 분산 장치를 통해 분배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를 이용한 서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가 관리자의 서비스 정지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지 요청에 따라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위한 서버 장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의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시키는 서비스 제공부; 및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되, 서비스 정지 요청에 따라서 상태 체크 차단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태 체크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동안, 상기 부하 분산 장치의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시키는 서버 관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망 내에 분산 배치된 서버들에 대하여 원활하게 부하 분산을 수행하고, 특정 서버에 서비스 정지 요청이 있는 경우 부하 분산 장치 자체의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개별 서버 장치에서 분산 트래픽을 조절하여 보안 문제를 해결하고 통신 서비스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하 분산 장치에서는 시스템 구조의 변경 없이 부하 분배를 일정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비용 부담이나 인력 소모 없이 시스템을 유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개별 서버 장치에서도 부하 분산 장치에 서비스 정지를 요청하였을 때 부하 분산 장치에서 이를 수락하기 위한 시간 소모 없이 서버 장치 내에서 서비스 정지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별도로 네트워크 구성을 변경할 필요 없이 서비스 정지 상태와 수행 상태를 변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부하 분산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부하 분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각 장치의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 네트워크를 이용한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제공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부하 분산 장치(100), 서버 장치(200), 게이트웨이 장치(300), 클라이언트 장치(400) 및 이를 연결하는 통신망(50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부하 분산 장치(100)는 부하를 웹 서버나 캐시 서버 등에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서버에 부하가 집중되어 과부하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서 서버가 운용 정지되거나 응답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부하 분산 장치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IP(Internet Protocol)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바꾸며 각 서버에 부하를 할당한다. 부하 분산 장치는 종류에 따라 단순 순환 순서로 부하를 할당할 수 있고, 또는 각 서버의 용량이나 부하 상황에 따라 할당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하 분산 장치는 L4/ L7 스위치(Switch) 또는 이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서버일 수 있으며, 부하를 분산하기 위한 스케줄링 알고리즘(Scheduling Algorithm)으로 RR(Round-Robin), WRR(Weighted Round-Robin), LC(Least-Connection), WLC(Weighted Least-Connection), SED(Shortest Expected Delay), NQ(Never Queue), SH(Source Hashing), DH(Destination Hashing), LBLC(Locality-Based Least-Connection), LBLCR(Locality-Based Least-Connection with Replica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하 분산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장치(400)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 클라이언트 장치(400)로부터 요청되는 서비스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이를 전송한 클라이언트 장치(400)에 응답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감시 또는 제어하거나 메인프레임(Mainframe) 또는 통신망(500)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서버 장치(200)는 인터넷 상의 공지의 웹 서버 또는 캐시 서버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을 구성하는 장치로 예시한 장치 중 하나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서버라고 부르며 다른 프로그램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서버가 될 수 있으므로, 부하 분산 장치(100) 및 클라이언트 장치(400)와 연결되어 트래픽 요청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라면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서버 장치(200)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복수의 컴퓨터와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등을 상호 접속할 때 컴퓨터와 통신망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부하 분산 장치가 속한 근거리 통신망을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부하 분산 장치(100)가 속한 근거리 통신망의 외부로부터 해당 근거리 통신망으로 유입되는 패킷과 부하 분산 장치(100)가 속한 근거리 통신망의 내부로부터 해당 근거리 통신망의 외부로 유출되는 패킷이 게이트웨이 장치(3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속도와 트래픽 제어, 주소 변환 등의 처리와 프로토콜 또는 대역폭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미니컴퓨터 등 네트워크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라우터(Router)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시스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며, 부하 분산 장치(100)가 직접 통신망(500)에 연결되어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50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일반적인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장치(400)는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스테이션(STA: Station)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400)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장치(400)는 통신망(500)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장치(400)는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4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클라이언트 장치(4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부하 분산 장치(100), 서버 장치(200) 및 클라이언트 장치(400)는 통신망(50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50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500)은 서버 장치(200)나 클라이언트 장치(400), 또는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50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망(500)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포함하며, 외부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미도시)은 부하 분산 장치(100)와 게이트웨이 장치(300)를 통해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미도시)를 집중화된 DU(미도시)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미도시)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미도시)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미도시)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미도시)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망(미도시)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서버 장치(200)와 연결되며, 서버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코어망(미도시) 및 접속망(미도시)을 거쳐 클라이언트 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거쳐 서버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의 시스템 구조에 의한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중 부하 분산 장치(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부하 분산 장치(1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부하 분산 장치(100)는 통신부(110)와 저장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PS, CDMA, GSM, W-CDMA, HSDPA, LTE, LTE-A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표준을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BLE, 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더넷(Ethernet)이나 홈 PNA(Home PNA),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의 유선 통신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통신부(110)는 통신망(500)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40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패킷을 수신하며, 수신한 서비스 요청 패킷을 각 서버 장치(200)에 분산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200)로 상태 체크 메시지(Health Check Message)를 전송하고, 서버 장치(200)로부터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30)에 의해 실행되거나 처리되는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저장부(120)는 부하 분산 장치(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부하 분산 장치(100)의 분산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서버 장치(200)에 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하 분산 장치(100)의 저장부(120)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200)에 대한 부하 정보 관리에 서버 상태 정보 테이블(121)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 상태 정보 테이블(121)은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200)에 대한 각각의 부하량을 판단하여 이를 기록하는 테이블로, 각 서버 별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세션(Session) 또는 받은 서비스 요청,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각각 다른 부하 가중치를 설정하여 총 부하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산된 총 부하량이 제일 큰 서버 장치(200)에 가장 많은 부하가 걸린 것으로 산출하여, 부하 분산 효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식별 결과 서버 1 서버 2 게이트웨이 비고(가중치)
IP 주소 200.0.1.101 200.0.1.102 200.0.1.103
MAC 주소 00-01-0a-08-ab-cd 00-01-0b-05-ac-dc 00-04-05-02-bd-de
연결 세션 수 6 4 10 2
요청 대기 수 4 5 - 1
실행 프로그램 3 2 - 5
총 부하량 29 23 -
상기 총 부하량은 연결 세션 수, 요청 대기 수 및 실행 프로그램의 수에 각각 가중치를 곱하여 이를 합연산한 것이며, 이는 임의의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부하 분산 장치(100)는 서비스 요청 순서에 따라 차례로 각 서버 장치(200)에 부하를 분배할 수도 있으며, 기재된 실시 예 외에도 총 부하량을 결정하는 다양한 연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버 장치(200) 별 초기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데이터 량을 고려할 수도 있다.
서버 상태 정보 테이블(121)은, 각 서버 장치(200)의 부하에 관한 정보 외에도 후술할 상태 체크 메시지(Health Check Message)의 응답에 따른 장애 여부에 관하여 기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부하 분산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통해서, 저장부(120)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부하 분산 장치(100)를 통해 분배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를 이용한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식별 모듈(131)과 분산 수행 모듈(132)의 서비스 로직에 따라서 동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모듈’은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구성 식별 모듈(131)과 분산 수행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식별 모듈(131)은 부하 분산 장치(100)에 의해 수집되는 패킷의 헤더 정보를 참조로 하여 부하 분산 장치(100)가 속한 근거리 통신망에 위치하는 서버 장치(200)나 게이트웨이 장치(300)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성 식별 모듈(131)은 패킷에 포함된 IP 주소, MAC 주소, 포트 번호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장치가 어떤 서비스 수행하는 서버 장치(200)인지 판단하거나, 혹은 게이트웨이 장치(300)인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된 정보에 따라 매핑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저장부(120)의 서버 상태 정보 테이블(121)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IP 주소 또는 MAC 주소를 이용하여 특정한 주소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서버 장치(200)인지 클라이언트 장치(400)인지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버 장치(200)나 게이트웨이 장치(300)가 부하 분산 장치(100)와 연결된 포트를 참조하여 서비스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그룹화하고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그룹화된 서버 사이에서만 부하 분산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새로운 서버 장치(미도시)나 게이트웨이 장치(미도시)가 추가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구성 식별 모듈(131)은 이에 관해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분산 수행 모듈(132)은 구성 식별 모듈(131)에 의해 식별된 각 서버 장치(200)에 대하여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따라 부하 분산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분산 수행 모듈(132)은 부하 분산 장치(100)로 들어온 서비스 요청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 또는 MAC 주소를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의하여 결정된 특정 서버 장치(200a, 200b, 200c)의 IP 주소 또는 MAC 주소로 변경하여 부하 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알고리즘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속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버 장치(200)를 배정하거나, 각 서버 장치(200)에 동일한 부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버를 그룹화하여 처리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분산 수행 모듈(132)은 서비스 요청 패킷의 프로토콜에 적합한 상태 체크 메시지(Health Check Message)를 통해,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네트워크 구성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상태 체크 메시지를 전송하고, 각 네트워크 구성요소에서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네트워크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는, 네트워크의 정상/비정상 여부,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현재 트래픽 정보, 총 부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부하 분산 장치(100)는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비정상태 혹은 단절된 상태라 판단하여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대한 부하 분배를 정지할 수 있다. 다만 부하 분산 장치(100)내의 구성 식별 모듈(131) 또는 더 기본적인 네트워크 구성요소 설정에 대한 관리자 권한에서의 변경이 없는 이상, 해당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일정 주기로 상태 체크 메시지를 전송하여 정상 동작 여부를 점검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하 분산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장치(2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를 기능상의 관점에서 주요 구성만을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미도시), 데이터 출력을 위한 출력부(미도시) 등과 같이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와 서버 관리부(220) 및 서비스 제공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서버 장치(200)의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서버 장치(200)가 다양한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형태를 가지는 통신망(5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으며,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LTE 통신망, 3G 통신망, WLAN 통신망, Wi-Fi 통신망 등 다양한 네트워크 타입의 통신망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해당 통신망으로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더넷(Ethernet)이나 홈 PNA(Home PNA),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의 유선 통신을 통하여 부하 분산 장치(100) 및 클라이언트 장치(4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부하 분산 장치(100)의 통신부(11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클라이언트 장치(400)로부터 발생한 서비스 요청에 따라 부하 분산 장치(100)를 통해 서비스 트래픽 분배를 받을 수 있다.
서버 관리부(220)는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되, 서비스 정지 요청에 따라서 상태 체크 차단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태 체크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동안, 상기 부하 분산 장치의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시키는 구성이다.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이 차단되면, 부하 분산 장치(100)는 해당 서버 장치(200)가 비정상상태이거나 혹은 새로운 트래픽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하 분산 장치(100)는 해당 서버 장치(200)에 트래픽 분배를 중단하게 된다. 이 경우, 상태 체크 차단 모드 활성화 이전에 실행되던 서비스의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트래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서버 관리부(220)는 서비스 개시 요청에 따라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비활성화되면, 서버 장치(200)는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부하 분산 장치(100)가 서버 장치(2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서버 장치(200)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클라이언트 장치(40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서비스 트래픽을 분배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서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의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하 분산 장치(100)와 서버 장치(200) 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는 흐름도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실행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상태 체크 차단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의 서비스 수행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하 분산 장치(100)는 각 서버 장치(200)에 상태 체크 메시지를 전송하고, 각 서버 장치(200)는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태 체크를 수행한다. 각 서버 장치(200)가 모두 정상적으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모든 서버 장치가 트래픽 분배를 받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이후 서비스 요청1, 2, 3이 각각 통신망(500)과 게이트웨이 장치(300)를 거쳐 부하 분산 장치(100)가 이를 수신하면, 각 서버 장치(200)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서비스 요청1은 서버 장치1(200a)에, 서비스 요청2는 서버 장치2(200b)에, 서비스 요청3은 서버 장치3(200c)에 분배하는 식으로 서비스 요청의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상태 체크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의 서비스 수행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하 분산 장치(100)는 각 서버 장치(200)에 상태 체크 메시지를 전송하고, 각 서버 장치(200)는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태 체크를 수행한다. 이 때, 서버 장치1(200a)의 경우에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차단된 상태이므로, 부하 분산 장치(100)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응답 메시지가 없으므로, 부하 분산 장치(100)는 서버 장치1(200a)이 서비스 트래픽을 분배받을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요청1, 2, 3이 각각 통신망(500)과 게이트웨이 장치(300)를 거쳐 부하 분산 장치(100)가 이를 수신하면, 각 서버 장치(200) 중 서버 장치1(200a)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서비스 요청의 분배에서 서버 장치1(200a)은 제외되며, 서비스 요청1은 서버 장치2(200b)에, 서비스 요청2는 서버 장치3(200c)에, 서비스 요청3은 서버 장치2(200b)에 분배하는 식으로 서비스 요청의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의 부하 분산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부하 분산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하 분산 장치(100)는 우선 주기적으로 상태 체크 메시지를 각 서버 장치(200)에 전송한다(S500). 이후 부하 분산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수신을 확인한다(S502).
응답 메시지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정상적으로 수신될 수 있으며, 서버 장치(200)가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응답 메시지에는 각 서버 장치(200)의 주소 및 제공하는 서비스, 부하량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부하 분산 장치(100)는 이를 기반으로 서버 상태 정보 테이블(121)을 생성할 수 있다(S504). 상태 정보 테이블 생성에는 제어부(130)의 구성 식별 모듈(131)과 분산 수행 모듈(132)이 이용될 수 있다.
서버 상태 정보 테이블(121)이 생성되면, 부하 분산 장치(100)는 네트워크 구성과 서버 상태 정보 테이블(121)에 기재된 정보에 따라 서비스 트래픽을 분배할 수 있다(S506). 이 경우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서버 장치(200)에는 트래픽을 분배하지 않을 수 있다.
이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의 서버 장치(2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장치(200)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서버 장치(200)의 고장 혹은 서비스의 업데이트, 기타 점검 필요 등에 의해 서버 장치(200)의 서비스 정지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고, 서버 장치(200)에 이러한 정지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S600). 서비스 정지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트래픽을 분배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정지 요청이 발생한 경우에는, 서버 장치(200) 내의 서버 관리부(220)에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활성화한다(S602).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되면,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상태 체크 메시지가 수신되더라도, 서버 장치(200)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다(S604). 이에 따라 부하 분산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에 추가적인 트래픽 분배를 하지 않는다.
상기한 서비스의 정지가 필요한 상황이 끝나면, 서버 장치(200)에 서비스 개시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S606). 서버 장치(200)에 서비스 개시 요청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는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계속하여 추가적인 트래픽은 분배되지 않는다.
서비스 개시 요청이 발생한 경우에는, 서버 장치(200)의 서버 관리부(220)에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한다(S608).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 비활성화에 따라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상태 체크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버 장치(200)에서는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610).
부하 분산 장치(100)에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부하 분산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서버 장치(200)는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서비스 트래픽을 수신하고, 클라이언트 장치(400)에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61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서버 장치(200)에 정지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S700). 서비스 정지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트래픽을 분배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정지 요청이 발생한 경우에는, 서버 장치(200) 내의 서버 관리부(220)에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활성화한다(S704). 다만, 상태 체크 응답 모드 활성화 이전에, 서비스가 정지할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S702).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되면,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상태 체크 메시지가 수신되더라도, 서버 장치(200)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다(S706). 이에 따라 부하 분산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에 추가적인 트래픽 분배를 하지 않는다.
상기한 서비스의 정지가 필요한 상황이 끝나는지 여부는 앞서 설정된 서비스 정지 기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통해 판단한다.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서버 장치(200)는 응답 차단 모드 활성화 기간을 카운팅한다(S708). 카운팅에 따라 서비스 정지 기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S710), 서비스 정지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는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계속하여 추가적인 트래픽은 분배되지 않는다.
서비스 정지 기간이 경과한 경우, 서버 장치(200)의 서버 관리부(220)는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한다(S712).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 비활성화에 따라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상태 체크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버 장치(200)에서는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714).
부하 분산 장치(100)에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부하 분산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서버 장치(200)는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서비스 트래픽을 수신하고, 클라이언트 장치(400)에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716).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서버 장치(200)에 정지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S800). 서비스 정지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트래픽을 분배받을 수 있다.
서비스 정지 요청이 발생한 경우에는, 서버 장치(200) 내의 서버 관리부(220)에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활성화한다(S802).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되면,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상태 체크 메시지가 수신되더라도, 서버 장치(200)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다(S804). 이에 따라 부하 분산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에 추가적인 트래픽 분배를 하지 않는다.
여기서, 추가적인 트래픽은 분배하지 않으나, 기존에 연결되어 실행되고 있는 서비스에 관한 트래픽은 지속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200)의 서버 관리부(220)는 기 분배된 서비스 요청에 관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806).
기존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모두 처리된 경우, 서버 장치(200)는 관리자에 처리 완료를 통지할 수 있다(S808). 통지의 방식은 별도의 출력부(미도시)를 통하거나, 사용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미도시)는 서버 장치(2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미도시)는, 방전광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과 같은 다양한 2차원 디스플레이 수단뿐만 아니라, 홀로그래피 또는 레이저 빔과 같은 3차원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미도시)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과 같은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와 비디오 인터페이스의 연결은 시스템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각 장치의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서비스 정지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비활성화되어, 부하 분산 장치(100)가 상태 체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S900),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S902),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트래픽을 분배받을 수 있다(S904). 서버 장치(200)는 분배받은 서비스 트래픽에 포함된 서비스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400)에 서비스를 제공(S906)한다.
이후, 서버 장치(200)의 필요에 의해 서버 장치(200)에 서비스 정지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S908). 서비스 정지 요청이 발생한 경우에는, 서버 장치(200) 내의 서버 관리부(220)에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활성화한다(S910).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되면, 부하 분산 장치(100)가 상태 체크 메시지를 전송(S912)하여 서버 장치(200)에 상태 체크 메시지가 수신되더라도, 서버 장치(200)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다(S914). 이에 따라 부하 분산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에 추가적인 트래픽 분배를 중지한다(S916).
상기한 서비스의 정지가 필요한 상황이 끝나면, 서버 장치(200)에 서비스 개시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S918). 서비스 개시 요청이 발생한 경우에는, 서버 장치(200)의 서버 관리부(220)에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한다(S920).
이후로는 부하 분산 장치(100)가 상태 체크 메시지를 전송(S922)하는 경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 비활성화에 따라 부하 분산 장치(100)로부터 상태 체크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버 장치(200)에서는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924). 부하 분산 장치(100)에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부하 분산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서버 장치(200)에 서비스 트래픽을 분배(S926)하고, 분배된 서비스 트래픽에 포함된 서비스 요청에 따라 서버 장치(200)는 클라이언트 장치(400)에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S928).
서술 과정에서 상태 체크 메시지를 특정 시간에서 전송되는 것처럼 설명하였으나, 상태 체크 메시지는 부하 분산 장치(100)에 의해 주기적으로 전송되며, 서버 장치(200)의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 활성화 여부에 따라 응답 여부만이 달라질 뿐으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되어도 부하 분산 장치는 서버 장치(200)에 주기적으로 상태 체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각 단계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로 구현되어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시스템"은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또는 그 조합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의 정의는 퍼스널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 및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모듈의 물리적인 레이아웃(layout)은 중요하지 않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팅 시스템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와 같은 내부 모듈이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신호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참여형 실내 지도 구축 방법을 위한 장치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술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부하 분산 장치(100) 혹은 서버 장치(200)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간단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행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은 프로세싱 유닛(11), 시스템 메모리(12), 및 상기 시스템 메모리(12)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0)를 포함하는 형태로 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1)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시스템 버스(10)는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 주변 버스, 및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2)는 ROM(Read Only Memory)(12a) 및 RAM(Random Access Memory)(12b)을 포함한다. 시동중과 같은 때에 컴퓨팅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13a)은 일반적으로 ROM(12a)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드 하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자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예를 들면, CD-ROM 또는 기타 광 매체 등의 광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8),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인터페이스(19),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20)에 의해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으로서 외장 메모리(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2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드라이브 및 그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 및 기록되는 관련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환경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및 광 디스크(17)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DVD, 베루누이 카트리지(Bernoulli cartridge), RAM, ROM,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기타 프로그램 모듈(13d), 및 프로그램 데이터(13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광 디스크(17), ROM(12a) 또는 RAM(12b)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키보드, 포인팅 장치, 마이크로폰, 조이 스틱, 게임 패드, 스캐너, 등과 같은 기타 입력 장치(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들 입력 장치(22)는 시스템 버스(10)에 연결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프로세싱 유닛(11)에 접속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예를 들면,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 PS/2 인터페이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즉, 파이어와이어(FireWire) 인터페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거나, 다른 인터페이스의 조합까지도 논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모니터 혹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6) 또는 스피커나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장치(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25)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스피커 및 프린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기타 주변 출력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에 또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부(25)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면, 사무실-광역 또는 기업-광역 컴퓨터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 원격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소스들과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컴퓨팅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이 부하 분산 장치(1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서버 장치(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반면, 컴퓨팅 시스템이 서버 장치(2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부하 분산 장치(1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모뎀(23)(예를 들면, 표준 모뎀, 케이블 모뎀, 또는 디지털 가입자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뎀(23)을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절한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필요하다면 적절한 수정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환경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원리가 구현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환경의 작은 일부도 나타내지 못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분산 수행 프로그램 및 상태 체크 응답 차단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는 도 10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액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의 일부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의 일부는, 시스템 메모리(12)에 저장하기 위해,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프로그램 모듈(13d),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13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mass) 저장 장치가 컴퓨팅 시스템에 연결되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는 대용량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일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의 모뎀(23)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부하 분산 장치(100) 및 서버 장치(200)의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시스템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장치와 같은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실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 장치와, 서버 장치에 부하를 분배하는 부하 분산 장치로 구성되어,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여부를 조정하여 부하 분배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시간과 비용을 덜 소모하며 부하 분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하 분산 장치의 변경 없이 서버 장치에서의 동작만으로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여, 부하 분산 장치의 설정을 변경하는 데에 따르는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는 곧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부하 분산 장치
200, 200a, 200b, 200c: 서버 장치
300: 게이트웨이 장치 400: 클라이언트 장치
121: 서버 상태 정보 테이블 131: 구성 식별 모듈
132: 분산 수행 모듈 210: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서버 관리부 230: 서비스 제공부

Claims (10)

  1. 각각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이 전달되면, 상기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의 상태를 관리하며, 그에 따라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중 하나로 분배하는 부하 분산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부하 분산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에 주기적으로 상태 체크(health check)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응답에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는, 관리자의 서비스 정지 요청에 따라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동안 상기 부하 분산 장치의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여 상기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서비스 트래픽이 분배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서비스 정지 요청에 대한 서비스 정지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기간을 카운팅하며,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기간이 상기 서비스 정지 기간을 경과하면,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부하 분산 장치를 통해 분배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를 이용한 서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가 관리자의 서비스 정지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서비스 정지 요청에 따라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서비스 정지 요청에 대한 서비스 정지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기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기간이 상기 서비스 정지 기간을 경과하면,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가, 서비스 개시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개시 요청에 따라서,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활성화하기 전에 기 분배된 서비스 요청이 모두 처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기 분배된 서비스 요청이 모두 처리되면, 이를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장치가, 방화벽을 통해서, 상기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태 체크 메시지의 수신을 차단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7.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의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시키는 서비스 제공부; 및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되, 관리자의 서비스 정지 요청에 따라서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동안, 상기 부하 분산 장치의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시키는 서버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정지 요청에 대한 서비스 정지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기간을 카운팅하며,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활성화된 기간이 상기 서비스 정지 기간을 경과하면,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부하 분산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관리부는,
    서비스 개시 요청에 따라서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부하 분산 장치의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상태 체크 응답 차단 모드를 활성화하기 전에 기 분배된 서비스 요청이 모두 처리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기 분배된 서비스 요청이 모두 처리되면, 이를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KR1020150147159A 2015-10-22 2015-10-22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85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59A KR102585946B1 (ko) 2015-10-22 2015-10-22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59A KR102585946B1 (ko) 2015-10-22 2015-10-22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934A KR20170046934A (ko) 2017-05-04
KR102585946B1 true KR102585946B1 (ko) 2023-10-06

Family

ID=5874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159A KR102585946B1 (ko) 2015-10-22 2015-10-22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593B1 (ko) * 2020-07-16 2021-01-2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관계형 엣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엣지 서버들의 의사 결정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55B1 (ko) * 2014-03-11 2014-09-29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부하 분산 설정을 자동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7646B2 (en) * 2012-06-22 2018-10-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or disabling ser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55B1 (ko) * 2014-03-11 2014-09-29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부하 분산 설정을 자동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934A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5291B2 (ja) 非アクティブ状態からのrrc再開のためのセキュリティ処理
JP6882525B2 (ja) Pdcp ul分割および前処理
JP5876166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ュアルプライオリティ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の処理
US11800408B2 (en) Method for advance notification of changes to network QoS capabilities
EP3840440B1 (en) Location change repor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979285B2 (en) Service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EP3790308B1 (en) Business service quality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230171591A1 (en) Methods for Advertising Extensible Capability Feature Sets for User Equipment (UE)
KR20200068724A (ko) 접속 재확립 동안의 pdcp의 핸들링
KR20210128459A (ko) V2x 통신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또는 서비스들의 발견을 위한 방법들,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JP2020521391A (ja) データ分配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N112492574A (zh) 一种负载迁移方法、装置及系统
JP2024028949A (ja) デュアルコネクティビティにおけるサイドリンク設定
KR102585946B1 (ko) 분산 구조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의 서버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220279620A1 (en) Methods, Apparatus, and Machine-Readable Media Relating to Dual- or Multi-Connectiv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70048748A (ko) 미들웨어 환경 기반의 서버 관리 시스템
US20150223167A1 (en) Terminal, Wireless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s with Low Power Consumption
EP2852212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rocessing data packet
KR20230125844A (ko) Msg3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랜덤액세스
US20230345437A1 (en) Resource sharing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s
CN114731567A (zh) 用于控制d2d路由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WO201921570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curing radio connections
WO20221442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access authorization via a data collection coordination function
CN117977811A (zh) 一种pdu运行能耗管理方法
CN117616865A (zh) 缓冲器状态报告开销估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21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1122

Effective date: 2023060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