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759B1 -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 - Google Patents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759B1
KR102585759B1 KR1020210033452A KR20210033452A KR102585759B1 KR 102585759 B1 KR102585759 B1 KR 102585759B1 KR 1020210033452 A KR1020210033452 A KR 1020210033452A KR 20210033452 A KR20210033452 A KR 20210033452A KR 102585759 B1 KR102585759 B1 KR 102585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afety glasses
worker
protective
nail 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449A (ko
Inventor
이효정
Original Assignee
이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정 filed Critical 이효정
Priority to KR102021003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7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5Special attachment of screens, e.g. hinged, removable; Roll-up protectiv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2Use of special optical filters, e.g. multiple layers, filters for protection against laser light or light from nuclear explosions, screens with different filter properties on different parts of the screen; Rotating slit-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2009/021Goggles with prescription spectacle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일아트 수행시 작업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일아트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작업자의 눈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착용하여 눈을 보호할 수 있고, 정밀한 네일아트 수행을 위하여 작업자 시력에 맞춰 렌즈를 교체할 수 있으며, 렌즈는 일회용으로 보안경에 간단히 탈부착이 가능하여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 {SAFETY GLASSES FOR NAIL ART WITH DETACHABLE DISPOSBLE LENSES}
본 발명은 네일아트 수행시 작업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일아트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작업자의 눈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착용하여 눈을 보호할 수 있고, 정밀한 네일아트 수행을 위하여 작업자 시력에 맞춰 렌즈를 교체할 수 있으며, 렌즈는 일회용으로 보안경에 간단히 탈부착이 가능하여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에 관한 것이다.
네일아트는 손톱이나 발톱을 미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단순히 매니큐어를 칠하는 것 뿐만 아니라 손발톱을 아름답게 꾸미고 관리하는 것으로 손발톱의 굳은살과 큐티클을 제거하고, 손톱의 형상을 다듬으며, 기존 손발톱에 구비된 매니큐어 등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연마공구, 핸드피스, 드릴비트 등으로 이루어진 네일아트용 공구를 이용하여 손발톱을 관리하는 경우 손발톱 파편, 분진, 그외 기타 이물질 등이 발생하게 되면서 네일아트를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면측으로 튈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네일아트 중 이물질이 작업자의 눈측으로 튀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네일아트 수행시 "네일고글"과 같은 보안경을 착용하여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네일고글은 렌즈가 고글에 고정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되는데 손톱 파편 등이 고글 렌즈에 충돌하여 렌즈에 흠집이 생기게 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렌즈에 파편이 생기는 경우 작업자 시야에 왜곡이 발생하게 되어 정밀한 네일아트 수행이 어려워지며, 손발톱 연삭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이 렌즈 표면에 묻기 때문에 작업자가 네일고글 사용 후 매번 청결하게 관리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작업자마다 다양한 시력차이를 갖게되는데 단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고글은 작업자가 정밀하게 네일아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시력보정기능이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개인적으로 시력보정용 안경이나 렌즈 착용후 별도로 네일고글을 또 착용해야하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https://smartstore.naver.com/babyhoo33/products/4647663509?NaPm=ct%3Dkm05qb88%7Cci%3D9f10b829160832b935b3a42b73b63a04ccdfd901%7Ctr%3Dslsl%7Csn%3D620018%7Chk%3Da1524a59d946e3b2c25246f657198ad8c6662c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일아트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작업자의 눈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착용하여 눈을 보호할 수 있고, 정밀한 네일아트 수행을 위하여 작업자 시력에 맞춰 렌즈를 교체할 수 있으며, 렌즈는 일회용으로 사용가능하여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안면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고, 작업자의 콧대에 밀착 고정되며, 콧대와 밀착되는 밀착부는 보안경 프레임에 쉽게 착탈될 수 있어 밀착부 세척을 통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불특정 다수가 불쾌감없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안경 착용시 외부 이물질 뿐만 아니라 UV램프를 이용한 네일아트 수행시 발생되는 자외선으로부터 작업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네일아트시 작업자가 착용하는 보안경에 있어서,
안경 형상을 갖는 보안경 프레임; 및 상기 보안경 프레임에 착탈될 수 있는 보호렌즈;로 구성되고, 상기 보안경 프레임은, 정면에 구비되고, 상기 보호렌즈가 상측으로 부터 내삽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보호렌즈 인입홈이 내측 상면에 함몰형성되는 한 쌍의 렌즈인입구; 상기 한 쌍의 렌즈인입구를 서로 연결하며, 후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의 콧대에 밀착되는 코받침이 구비된 연결구; 및 상기 렌즈인입구의 외측 일단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귀에 걸리는 안경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보호렌즈는 투명한 필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에 하측 가장자리가 내삽되어 결합고정된다.
또한, 렌즈인입구는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의 전후측에 형성되며,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의 함몰연장된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는 밀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구는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의 가장자리와 수직하여 형성되고,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으로 내삽된 상기 보호렌즈의 전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보호렌즈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보안경은 착용자의 시력을 보정하고,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기능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인입구는,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의 후측에 상기 기능렌즈의 가장자리가 내삽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는 기능렌즈 인입홈;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기능렌즈는 상기 기능렌즈 인입홈에 내삽되어 고정된다.
또한, 보안경은 상기 코받침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가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구는,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상기 코받침이 상기 결합구 내측으로 내삽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작업자는 상기 보안경 착용시 상기 코받침을 감싸 결합된 상기 결합구가 콧대에 위치하여 상기 보안경과 안면이 밀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네일아트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작업자의 눈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착용하여 눈을 보호할 수 있고, 정밀한 네일아트 수행을 위하여 작업자 시력에 맞춰 렌즈를 교체할 수 있으며, 렌즈는 일회용으로 사용가능하여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보안경 착용시 작업자의 안면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고, 작업자의 콧대에 밀착 고정되며, 콧대와 밀착되는 밀착부는 보안경 프레임에 쉽게 착탈될 수 있어 밀착부 세척을 통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불특정 다수가 불쾌감없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외부 이물질 뿐만 아니라 UV램프를 이용한 네일아트 수행시 발생되는 자외선으로부터 작업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의 일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인입구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인입구에 보호렌즈가 결합된 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인입구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인입구의 다른 실시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와 밀착구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구가 연결구에 결합된 예시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의 일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인입구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인입구에 보호렌즈가 결합된 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인입구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인입구의 다른 실시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와 밀착구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구가 연결구에 결합된 예시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네일아트 수행시 작업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보안경(1)은 보안경 프레임(100), 보호렌즈(200)로 구성된다.
보안경 프레임(100)은 렌즈인입구(110), 연결구(120) 및 안경다리(130)를 포함한다.
렌즈인입구(110)는 하측으로 굴곡된 반원 형상의 호를 이루며 형성되고, 이러한 렌즈인입구(110) 내측에는 보호렌즈(200)의 가장자리가 인입될 수 있는 보호렌즈 인입홈(111)이 함몰형성된다.
보호렌즈 인입홈(111)은 렌즈인입구(110)의 내측 상면, 즉 렌즈인입구(110)의 상면 중앙측에 상기 렌즈인입구(110)의 연장방향에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측으로 내삽되는 보호렌즈(200)의 가장자리가 보호렌즈 인입홈(111) 내측으로 구비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호렌즈 인입홈(111)의 함몰된 내측 너비는 보호렌즈(200)의 두께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보호렌즈 인입홈(111)으로 보호렌즈(200)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렌즈 인입홈(111)으로 보호렌즈(200)를 쉽게 착탈하여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네일아트 작업시 더럽거나 손상을 입게될 수 있는 보호렌즈(200)를 별도의 세척과정없이 쉽게 보안경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하여 폐기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보호렌즈(200)는 후술된 바와 같이 일반 유리와는 달리 투명 필름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사용하기 용이한 반면 강도가 약하고, 두께가 얇아 렌즈인입구(110) 내측으로 가장자리가 삽입된 상태로는 렌즈인입구(110) 내에 지지되기는 다소 어려울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도 5 및 6과 같이 보호렌즈 인입홈(111)의 전후측에는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111)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된 밀착구(112)가 구비될 수 있다.
밀착구(112)는 각형뿔로 이루어지며, 보호렌즈 인입홈(111)과 인접한 일면은 보호렌즈 인입홈(111) 가장자리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여 보호렌즈 인입홈(111)으로 내삽될 때 보호렌즈(200)의 가장자리 전후측은 각각 밀착구(112)의 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보호렌즈(200)가 보호렌즈 인입홈(111)측으로 내삽시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한 한 쌍의 밀착구(112)간의 이격된 공간, 즉 보호렌즈 인입홈(111)의 상측으로 내삽되면 보호렌즈(200)의 가장자리가 보호렌즈 인입홈(111)으로 내삽됨과 동시에 보호렌즈(200)의 전후측이 밀착구(112)의 일면에 밀착되면서 보호렌즈(200)가 고정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밀착구(112)를 통해 얇은 보호렌즈(200)가 렌즈인입구(110)의 전후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렌즈(200)가 렌즈인입구(110)의 굴곡된 내측 중앙에 구비된 상태로 밀착구(11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렌즈인입구(1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렌즈인입구(110)를 연결하는 연결구(120)가 보안경(1) 중앙에 구비된다.
연결구(120)는 일반적인 안경의 코받침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렌즈인입구(110)의 후면에 말단이 결합되어 렌즈인입구(110)를 연결시키고, 연결구(120)의 후측에는 작업자 착용시 작업자의 콧대상에 안착될 수 있는 코받침(121)이 구비된다.
코받침(121)은 연결구(120) 후측으로 다소 돌출되어 렌즈인입구(110)의 후면이 작업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 콧대 상에 안착되어 렌즈인입구(110) 및 보호렌즈(200)가 작업자의 안부측에 구비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보안경(1)의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렌즈인입구(110) 후면이 작업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렌즈인입구(110)와 작업자의 안면이 충분히 이격된 상태로 착용될 수 있도록 코받침(121)이 후측으로 돌출연장되도록 한다.
안경다리(130)는 렌즈인입구(110)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작업자가 보안경(1)을 귀에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렌즈인입구(110)와 안경다리(130)가 맞닿는 부분 중 내측부분에 렌즈인입구(110)의 말단 및 안경다리(130)의 말단을 서로 연결시켜 고정결합된 힌지(131)가 구비되고, 힌지(131)를 중심으로 연결된 안경다리(130)는 회동되어 보안경(1) 미사용시 안경다리(130)를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착용시에는 안경다리(130)를 펼쳐 보안경(1)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보안경 프레임(100)을 통해 작업자는 기존 안경을 착용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보안경(1)을 쉽게 착용할 수 있고, 보안경(1)의 후면이 작업자의 안면에 밀착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작업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보호렌즈(200)는 투명 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일회용으로 용이하게 보안경 프레임(100)에 탈착되어 사용이 가능하고, 렌즈인입구(110)와 결합되어 보안경 프레임(100)을 착용한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렌즈(200)는 도 1과 같이 단일개로 이루어져 한 쌍의 보호렌즈 인입홈(111)에 하단 양측이 각각 결합될 수 있고, 도 3과 같이 렌즈인입구(110) 내측 형상과 대응되는 보호렌즈(200)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렌즈인입구(110) 내측으로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렌즈(2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PVC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얇은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보호렌즈(200)는 사용시 보안경 프레임(100)에 결합하여 네일아트 작업시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고, 작업을 마친 후에는 보호렌즈(200)를 보안경 프레임(100)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다.
한편, 네일아트는 작은 손발톱 위에 파츠나 그림 등을 그리는 것으로 정밀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높은 시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개인 안경 착용 후 보안경(1)을 착용하면 착용감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존재하며, 일반 시력을 가진 작업자라도 정밀한 작업을 위해 더 높은 시력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최근 폴리쉬 매니큐어보다 지속력이 우수한 젤 매니큐어를 이용한 네일아트가 증가하면서 젤 매니큐어를 굳히기 위한 큐어링 작업시 자외선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외선 노출은 작업자의 눈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작업자의 시력을 보정하고, 젤 네일을 굳히는 큐어링 작업시 발생되는 자외선으로부터 작업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렌즈(300)를 추가로 보안경(1)에 포함할 수 있다.
기능렌즈(300)는 일반적으로 안경에 사용되어 시력을 보정할 수 있는 유리 렌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기능렌즈(300)에는 젤 네일을 굳히는 큐어링 작업시 UV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능렌즈(300)는 보정시력에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어 작업자가 자신의 시력에 맞게 선택적으로 골라 보안경 프레임(100)에 결합할 수 있으며, 좌측과 우측 시력이 다른 작업자는 각각 좌측과 우측 시력에 맞게 다수개의 기능렌즈(300) 중 원하는 보정시력에 맞는 기능렌즈(300)를 선택하여 렌즈인입구(110)에 결합할 수 있다.
렌즈인입구(110)는 보호렌즈(200)의 후측, 즉 작업자의 눈과 더 근접한 측에 기능렌즈(300)가 내삽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기능렌즈 인입홈(113)이 추가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기능렌즈 인입홈(113)은 기능렌즈(300)의 두께와 대응되는 함몰너비를 가지며, 렌즈인입구(110)의 전면측에 함몰형성된 보호렌즈 인입홈(111)의 후측에 이격되어 렌즈인입구(110) 상면 내측을 따라 함몰형성되고, 이러한 기능렌즈 인입홈(113)의 내측으로 기능렌즈(300)의 가장자리가 내삽되어 끼움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안경(1) 착용 전 렌즈인입구(110)에서 외측방향으로 구비된 보호렌즈 인입홈(111)에 보호렌즈(200)를 내삽하여 결합고정시키고, 렌즈인입구(110)의 내측, 즉 작업자의 눈과 인접한 곳에 함몰형성된 기능렌즈 인입홈(113)에 작업자의 시력에 맞는 기능렌즈(300)를 결합하여 기능렌즈(300)는 손상없이 외측에 구비된 보호렌즈(200)를 통해 보호될 수 있고, 기능렌즈(300)는 보호렌즈(200)를 투과한 자외선이 작업자 눈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이때, 보호렌즈(200)는 기능렌즈(300)보다 크게 형성되어 기능렌즈(300)로 이물질 등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기능렌즈(300)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하도록 한다.
한편, 네일샵이나 네일아트를 교육하는 교육시설에 교육기구로 다수개의 보안경(1)을 구비하는 경우 불특정 다수가 보안경(1)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안경(1)의 접촉으로 인한 위생적인 사용이 어려우며, 매번 보안경(1)을 세척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코받침(121)의 위치나 크기가 조절되기 어려우므로 작업자의 콧대 형상, 높이 등에 따라 보안경(1)의 착용 위치가 달라져 눈과 인접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보안경(1)의 효율적인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보안경(1)의 위생적인 착용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콧대 형상에 맞게 조절하여 보안경(1)에 결합된 보호렌즈(200) 및 기능렌즈(300)가 안부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구(4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구(400)는 일측에 연결구(120)의 코받침(121)이 결합구(400)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410)이 구비되고, 끼움홈(410)을 중심으로 코받침(121)이 결합구(400)에 내삽되어 결합구(400)가 코받침(121)을 감싸며 결합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400)는 실리콘과 같이 착용자의 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결합구(400)를 쉽게 코받침(121)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결합구(400)를 코받침(121)에 결합한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콧대 형상에 맞게 결합구(400) 형상을 변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는 결합구(400)를 통해 쿠션감을 줄 수 있고, 작업자의 안면과 보안경(1)이 밀착되지 않도록 일정한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안경(1) 사용이 끝나면 작업자는 결합구(400)만을 간단히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고, 이후 다시 재사용함으로써 보안경(1) 자체를 별도로 세척할 필요없이 결합구(400)만을 세척하여 보안경(1)을 위생적으로 착용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보안경
100: 보안경 프레임 110: 렌즈인입구
111: 보호렌즈 인입홈 112: 밀착구
113: 기능렌즈 인입홈 120: 연결구
121: 코받침 130: 안경다리
131: 힌지 200: 보호렌즈
300: 기능렌즈 400: 결합구
410: 끼움홈

Claims (4)

  1. 네일아트시 작업자가 착용하는 보안경에 있어서,
    안경 형상을 갖는 보안경 프레임; 및 상기 보안경 프레임에 착탈될 수 있는 보호렌즈;로 구성되고,
    상기 보안경 프레임은,
    정면에 구비되고, 상기 보호렌즈가 상측으로 부터 내삽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보호렌즈 인입홈이 내측 상면에 함몰형성되는 한 쌍의 렌즈인입구;
    상기 한 쌍의 렌즈인입구를 서로 연결하며, 후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의 콧대에 밀착되는 코받침이 구비된 연결구; 및
    상기 렌즈인입구의 외측 일단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귀에 걸리는 안경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보호렌즈는 투명한 필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에 하측 가장자리가 내삽되어 결합고정되고,
    상기 렌즈인입구는,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의 전후측에 형성되며,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의 함몰연장된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는 밀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구는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의 가장자리와 수직하여 형성되고,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으로 내삽된 상기 보호렌즈의 전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보호렌즈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경은,
    착용자의 시력을 보정하고,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기능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인입구는,
    상기 보호렌즈 인입홈의 후측에 상기 기능렌즈의 가장자리가 내삽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는 기능렌즈 인입홈;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기능렌즈는 상기 기능렌즈 인입홈에 내삽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경은 상기 코받침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가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구는,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상기 코받침이 상기 결합구 내측으로 내삽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작업자는 상기 보안경 착용시 상기 코받침을 감싸 결합된 상기 결합구가 콧대에 위치하여 상기 보안경과 안면이 밀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

KR1020210033452A 2021-03-15 2021-03-15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 KR102585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52A KR102585759B1 (ko) 2021-03-15 2021-03-15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52A KR102585759B1 (ko) 2021-03-15 2021-03-15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449A KR20210048449A (ko) 2021-05-03
KR102585759B1 true KR102585759B1 (ko) 2023-10-05

Family

ID=7591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452A KR102585759B1 (ko) 2021-03-15 2021-03-15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7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564Y1 (ko) * 2000-05-17 2001-01-15 주식회사비디코리아 고글
CN101165543A (zh) * 2006-10-18 2008-04-23 苗芳 一种用于钎焊的护目镜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741A (ja) * 1995-08-25 1997-03-04 Atsukusu:Kk サングラス、ゴーグル等のダブルレンズ
KR20140067742A (ko) * 2012-11-27 2014-06-05 장혜정 시력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564Y1 (ko) * 2000-05-17 2001-01-15 주식회사비디코리아 고글
CN101165543A (zh) * 2006-10-18 2008-04-23 苗芳 一种用于钎焊的护目镜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449A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732B2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US7431453B2 (en) Modular eyewear system
JP2016136290A (ja) 余剰内部光学材料を有するワンピースレンズ
US5956115A (en) Sport glasses
KR100898511B1 (ko) 작업용 보호안경
US20200046561A1 (en) Safety Eyewear for Reclining and Supine Positions
US20170045758A1 (en) Eyeglass Accessory
US20050039240A1 (en) Multi-usage eyewear supportable on a cap
KR102585759B1 (ko) 일회용 렌즈의 탈부착이 가능한 네일아트용 보안경
JP3188129B2 (ja) 眼鏡体におけるレンズ部への視力矯正用レンズ取付方法
JP4827012B2 (ja) 眼鏡着脱式サングラス
US20030142264A1 (en) Reading safety glasses
EP3913423A1 (en) Adjustable lens holder for protective eyewear
AU2010100819A4 (en) Safety, sport or recreational eyewear with interchangable optical prescription foil insert
US20020071088A1 (en) Pair of safety glasses utilizing hinged protective lenses
ES2899151T3 (es) Gafas con lentes fáciles de poner
US7093934B1 (en) Sunglasses for fitting over prescription eyewear
JP3227696U (ja) 眼鏡
US11526027B2 (en) Interchangeable hinge for modular eyewear
AU2009245816B2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JP3229051U (ja) 眼鏡
JP7349718B2 (ja) 隻眼者用眼鏡
KR102001114B1 (ko) 도수안경렌즈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KR20080102636A (ko) 클립 일체형 선글라스
US20220091443A1 (en) Modular face and eyes mask/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