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480B1 - 노브 장치 - Google Patents

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480B1
KR102585480B1 KR1020180097307A KR20180097307A KR102585480B1 KR 102585480 B1 KR102585480 B1 KR 102585480B1 KR 1020180097307 A KR1020180097307 A KR 1020180097307A KR 20180097307 A KR20180097307 A KR 20180097307A KR 102585480 B1 KR102585480 B1 KR 102585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indicator
button
rotation angl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683A (ko
Inventor
이현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4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이디가 설치되는 기판이 장착되는 백커버와, 기판에 안착되는 노브와, 백커버에 체결되는 프런트 패널과, 프런트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과,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버튼을 통해 방출하도록 마련되고, 버튼과 일체로 회전하는 인디케이터노브와, 노브에 설치되고,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가능 영역에 분산하여, 인디케이터노브가 어느 회전 위치에 있더라도 엘이디부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인디케이터노브로 전달하는 광 분산 가이드와, 노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버튼과 결합되어 버튼과 일체로 회전하며, 인디케이터노브를 지지하는 노브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브 장치{KNOB DEVICE}
본 발명은 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버튼부의 회전 변화를 용이하게 감지하고, 흔들림이 방지되는 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내비게이션 등의 전기,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노브 장치는 노브 장치를 누르는 압력 및 회전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하나의 입력 장치로 다양한 방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노브 장치를 누르는 입력은 아우터부재의 직선 운동으로 입력되며, 압전소자에 의해서 전기적 신호로 전환된다. 노브 장치를 회전시키는 회전 입력은 아우터부재의 회전 운동으로 입력되며, 장치 내부의 광학센서 등에 의하여 측정되어 전기적 신호로 전환된다.
일반적인 노브 장치는 기판에 결합하여, 기계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인코더부의 형상, 사양 등이 고정되므로 장치의 수리, 교체 등의 관리가 어렵고, 설계 변경 범위가 제한되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7236호(2016.02.16 공개, 발명의 명칭: 노브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버튼부의 회전 변화를 용이하게 감지하고, 흔들림이 방지되는 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는: 엘이디가 설치되는 기판이 장착되는 백커버와, 기판에 안착되는 노브와, 백커버에 체결되는 프런트 패널과, 프런트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과,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버튼을 통해 방출하도록 마련되고, 버튼과 일체로 회전하는 인디케이터노브와, 노브에 설치되고,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가능 영역에 분산하여, 인디케이터노브가 어느 회전 위치에 있더라도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인디케이터노브로 전달하는 광 분산 가이드와, 노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버튼과 결합되어 버튼과 일체로 회전하며, 인디케이터노브를 지지하는 노브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 분산 가이드는 반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 단부로 갈수록 기판과 인접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 단부를 통해 기판에 설치되는 엘이디의 빛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브지지체는 노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브지지몸체부와, 노브지지몸체부의 일면에 인디케이터노브를 지지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브에는 노브지지체의 측면에 배치되고, 노브지지체에 노브지지체의 반경방향(radial direction)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브지지체는 노브지지몸체부의 단부의 외측면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 부재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 디텐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 부재는 노브지지몸체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노브지지몸체부의 측면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브는 노브지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노브몸체부와, 노브몸체부의 일면에 반원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회전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브지지체 및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는 노브지지체 및 노브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각도가 간접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노브지지체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노브의 회전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출 부재와, 기판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돌출 부재가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기판에 원호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홀과, 회전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관통된 돌출 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와, 기판의 타측에 설치되어 링크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링크 부재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 각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 감지 구조체는 돌출 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노브지지체 및 노브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각도를 간접적으로 제한하도록, 백커버에 반원 형상의 홈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회전 각도 제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브지지체와 노브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에 의하면, 인디케이터노브에 의해 버튼의 회전이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에 의하면, 광 분산 가이드가 설치됨으로써, 인디케이터노브가 어느 회전 위치에 있더라도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이 인디케이터노브로 전달되어 버튼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에 의하면,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가 설치됨으로써, 버튼 및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각도가 정확히 감지될 수 있고, 버튼 및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에 의하면, 탄성 부재에 의해 버튼의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버튼에 편측 힘 부하 발생시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광 분산 가이드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노브와 노브지지체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를 기판의 타측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를 이루는 구성들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의 회전 각도 제한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광 분산 가이드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노브와 노브지지체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를 기판의 타측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를 이루는 구성들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의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의 회전 각도 제한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노브 장치는 백커버(100)와, 노브(200)와, 프런트 패널(300)과, 버튼(400)과, 인디케이터노브(500)와, 광 분산 가이드(600)와, 노브지지체(700)를 포함한다.
백커버(100)는 프런트 패널(300)과 체결되어, 차량에 매설 또는 장착되는 것으로, 백커버(100)의 일면(도 2 기준 좌측면)에 기판(110)이 장착된다. 기판(110)에는 엘이디(111)를 비롯하여 각종 전자 부품들이 장착 또는 실장되어 있다. 기판(110)은 노브(200)와의 가압 또는 회전 등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노브(200)는 기판(110)에 안착되는 것으로, 버튼(400)의 작동에 의해 기판(110)에 설치되는 스위치(미도시)를 가압하거나 기판(1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된다.
노브(200)는 노브몸체부(210), 회전개구부(220)를 포함한다.
노브몸체부(210)는 노브지지체(700)를 수용한다. 노브몸체부(2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부에 노브지지체(700)를 수용한다. 노브지지체(700)는 버튼(400)에 체결되어, 버튼(400)의 가압 또는 회전에 따라 대응되게 작동된다.
회전개구부(220)는 노브몸체부(210)의 일면(도 6 기준 상면)에 개구되게 형성된다. 회전개구부(220)는 노브몸체부(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개구되게 형성된다.
노브(200)에는 노브지지체(700)의 측면에 배치되고, 노브지지체(700)에 노브지지체(700)의 반경방향(radial direction)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50)가 설치된다.
탄성 부재(250)는 노브(200)의 일측면(도 6 기준 노브(200)의 상측 양측면)에 장착되고, 노브지지체(700)에 대해 노브지지체(700)의 반경방향(radial direction)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 부재(250)는 노브지지몸체부(71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노브지지몸체부(710)의 측면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노브지지몸체부(710)의 측면에 노브지지몸체부(71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복수 개가 배치되는 탄성 부재(250)에 의해, 버튼(400) 회전시 클릭감이 제공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250)는 후술하는 버튼(400)에 체결되는 노브지지체(700)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디텐트부(730)에 탄성력을 가하여 디텐트부(730)가 특정 각도에서 멈추게 함으로써, 클릭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50)는 판 스프링(leaf spring)으로 이루어진다.
프런트 패널(300)은 버튼(400)이 장착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되고, 백커버(100)에 체결된다. 프런트 패널(300)에는 버튼(400)이 장착되는 패널관통공(310)이 관통 형성된다. 패널관통공(310)은 버튼(400)이 회전 가능하도록 버튼(40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버튼(400)은 노브지지체(700)에 결합되고, 노브지지체(700)와 일체로 회전하며, 프런트 패널(300)의 패널관통공(310)에 가압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버튼(400)에는 기판(110)에 설치되는 엘이디(111) 중 하나에서 생성되는 빛을 버튼(400)의 외곽 방향으로 유도하는 광 유도부(420)를 통해 방출되는 빛을 버튼(400)의 외부로 방출하는 광방출부(410)가 형성된다.
버튼(400)이 가압되어 스위치(미도시)가 작동하는 경우, 차량의 탑승자에게 스위치가 온(ON) 상태임을 인식시키기 위해 광방출부(410)를 통해 버튼(400)의 외부로 빛이 방출된다.
인디케이터노브(500)는 장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노브지지체(700)에 장착되고, 기판(110)에 설치되는 엘이디(111)에서 생성된 빛은 광 분산 가이드(600)를 통해 인디케이터노브(500)의 회전 가능 영역에 골고루 분산되며, 광 분산 가이드(600)를 통해 분산된 빛은 인디케이터노브(500)를 거쳐 버튼(400)을 통해 차량의 탑승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방출된다.
차량의 탑승자는 엘이디(111)에서 생성되어 광 분산 가이드(600)를 거쳐 인디케이터노브(500)를 통해 방출되는 빛을 인식하여, 버튼(400)의 회전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엘이디(111)는 기판(110)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고, 노브(200)의 노브몸체부(210)의 내측면에 의해 감싸질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엘이디(111)는 빛을 생성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다.
광 분산 가이드(600)는 노브(200)에 설치되고, 엘이디(111)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인디케이터노브(500)의 회전 가능 영역에 분산하여, 인디케이터노브(500)가 어느 회전 위치에 있더라도 엘이디(111)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인디케이터노브(5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광 분산 가이드(600)는 반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 단부로 갈수록 기판(110)과 인접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기판(110)에 설치되는 엘이디(111)로부터 양 단부를 통해 빛을 수용하여 분산시킨다.
노브지지체(700)는 노브(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브지지몸체부(710)와, 노브지지몸체부(710)의 일면에 인디케이터노브(500)를 지지하게 형성되는 수용부(720)와, 노브지지몸체부(710)의 단부의 외측면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 부재(25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 디텐트부(730)를 포함한다.
노브지지몸체부(710)는 노브(200)의 노브몸체부(2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중공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수용부(720)는 노브지지몸체부(710)의 일면(도 2 기준 상측면)에 인디케이터노브(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720)는 인디케이터노브(500)의 외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노브지지몸체부(710)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브지지체(700)와 노브(200)의 노브몸체부(210) 사이에는 베어링(900)이 개재된다. 베어링(900)에 의해 노브지지체(700)와 노브몸체부(210)가 점 접촉되어 노브지지체(700)의 노브몸체부(210)에 대한 회전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베어링(900)에 의해 노브지지체(700)와 노브몸체부(210)가 점 접촉되기 때문에, 노브지지체(700)에 편측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디텐트부(730)는 노브지지몸체부(710)의 단부(도 2 기준 우측 단부)의 외측면에 톱니 형상(디텐트, detent)으로 형성되고, 탄성 부재(25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디텐트부(730)의 톱니 형상은 균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디텐트부(730)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버튼(4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탄성 부재(25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으면서 버튼(400)이 일정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장치는 노브지지체(700) 및 인디케이터노브(50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는 노브지지체(700) 및 노브지지체(700)에 의해 지지되는 인디케이터노브(500)의 회전 각도가 간접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노브지지체(700)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노브(200)의 회전개구부(22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출 부재(810)와, 기판(110)의 일측(도 5 기준 상측)에서 타측(도 5 기준 하측)으로 돌출 부재(810)가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기판(110)에 원호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홀(820)과, 회전 가이드 홀(820)에 삽입되어 관통된 돌출 부재(810)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830)와, 기판(110)의 타측에 설치되어 링크 부재(8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링크 부재(83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 각도 감지 센서(840)를 포함한다.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는 돌출 부재(81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노브지지체(700) 및 노브지지체(700)에 의해 지지되는 인디케이터노브(500)의 회전 각도를 간접적으로 제한하도록, 백커버(100)에 반원 형상의 홈부(851)를 갖도록 형성되는 회전 각도 제한 스토퍼(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제한 스토퍼(850)는 돌출 부재(810)가 노브몸체부(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180°로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돌출 부재(810)외 일체로 회전하는 노브지지체(700) 및 인디케이터노브(5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에 의하면, 인디케이터노브에 의해 버튼의 회전이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에 의하면, 탄성 부재에 의해 버튼의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버튼에 편측 힘 부하 발생시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에 의하면, 광 분산 가이드가 설치됨으로써, 인디케이터노브가 어느 회전 위치에 있더라도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이 인디케이터노브로 전달되어 버튼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장치에 의하면,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가 설치됨으로써, 버튼 및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각도가 정확히 감지될 수 있고, 버튼 및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백커버 110: 기판
111: 엘이디 200: 노브
210: 노브몸체부 220: 회전개구부
250: 탄성 부재 300: 프런트 패널
400: 버튼 500: 인디케이터노브
600: 광 분산 가이드 700: 노브지지체
710: 노브지지몸체부 720: 수용부
730: 디텐트부 810: 돌출 부재
820: 회전 가이드 홀 830: 링크 부재
840: 회전 각도 감지 센서 850: 회전 각도 제한 스토퍼
851: 홈부 900: 베어링

Claims (11)

  1. 엘이디가 설치되는 기판이 장착되는 백커버;
    상기 기판에 안착되는 노브;
    상기 백커버에 체결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프런트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
    상기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상기 버튼을 통해 방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버튼과 일체로 회전하는 인디케이터노브;
    상기 노브에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상기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가능 영역에 분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노브가 어느 회전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상기 인디케이터노브로 전달하는 광 분산 가이드; 및
    상기 노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버튼과 결합되어 상기 버튼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노브를 지지하는 노브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노브지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노브몸체부; 및
    상기 노브몸체부의 일면에 반원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회전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산 가이드는 반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 단부로 갈수록 상기 기판과 인접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 단부를 통해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상기 엘이디의 빛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지지체는,
    상기 노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브지지몸체부; 및
    상기 노브지지몸체부의 일면에 상기 인디케이터노브를 지지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에는 상기 노브지지체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지지체에 상기 노브지지체의 반경방향(radial direction)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지지체는,
    상기 노브지지몸체부의 단부의 외측면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 디텐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노브지지몸체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상기 노브지지몸체부의 측면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지지체 및 상기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는,
    상기 노브지지체 및 상기 노브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각도가 간접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상기 노브지지체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브의 상기 회전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출 부재;
    상기 기판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돌출 부재가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원호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홀;
    상기 회전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관통된 상기 돌출 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 및
    상기 기판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링크 부재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 각도 감지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각도 감지 구조부는 상기 돌출 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상기 노브지지체 및 상기 노브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각도를 간접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백커버에 반원 형상의 홈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회전 각도 제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장치.
  11. 엘이디가 설치되는 기판이 장착되는 백커버;
    상기 기판에 안착되는 노브;
    상기 백커버에 체결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프런트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
    상기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상기 버튼을 통해 방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버튼과 일체로 회전하는 인디케이터노브;
    상기 노브에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상기 인디케이터노브의 회전 가능 영역에 분산하여, 상기 인디케이터노브가 어느 회전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엘이디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상기 인디케이터노브로 전달하는 광 분산 가이드; 및
    상기 노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버튼과 결합되어 상기 버튼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노브를 지지하는 노브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지지체와 상기 노브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장치.
KR1020180097307A 2018-08-21 2018-08-21 노브 장치 KR10258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07A KR102585480B1 (ko) 2018-08-21 2018-08-21 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07A KR102585480B1 (ko) 2018-08-21 2018-08-21 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83A KR20200021683A (ko) 2020-03-02
KR102585480B1 true KR102585480B1 (ko) 2023-10-06

Family

ID=6980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307A KR102585480B1 (ko) 2018-08-21 2018-08-21 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089B1 (ko) * 2021-10-08 2022-03-14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회전조작변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9247A (ja) * 2010-09-21 2012-04-05 Stanley Electric Co Ltd 回転スイッチ
KR101495747B1 (ko) 2013-09-02 2015-02-25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로터리 스위치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2727B1 (fr) * 2008-06-20 2012-10-26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a commande de fonctions d'un tableau de command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tableau de commande correspondant
KR101360382B1 (ko) * 2012-05-30 2014-02-10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장치
KR102262437B1 (ko) * 2014-07-23 2021-06-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노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9247A (ja) * 2010-09-21 2012-04-05 Stanley Electric Co Ltd 回転スイッチ
KR101495747B1 (ko) 2013-09-02 2015-02-25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로터리 스위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83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20779A1 (en) Rotary pushbutton and touchpad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otary movement, axial displacement and touchpad gestures
KR20080009756A (ko) 회전/누름 버튼 컨트롤러
US20060207867A1 (en) Rotary controls
KR102585480B1 (ko) 노브 장치
US20070195513A1 (en) Illumination-type rotational control device
CN110417396B (zh) 薄膜层结构中具有力传感器阵列的输入装置
CN110618758B (zh) 鼠标滚轮装置
JP6051235B2 (ja) 制御パネル
US9190228B2 (en) Operating element that can be actuated by pressure and rotation
US6974949B2 (en) Position sensor with an optical member of varying thickness
US20020003206A1 (en) Remote and integrated optical sensing of state, motion, and position
US7355165B2 (en) Optical encoder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08059267A (ja) ノブ型表示装置
US8129637B2 (en) Switch mechanism
US20180034463A1 (en) Operating unit for an electrical apparatus, in particular for a vehicle component
KR102557502B1 (ko) 노브 장치
JP7377757B2 (ja) 操作つまみ装置
JP5074309B2 (ja) スイッチ
JP2019102236A (ja) スイッチ
JP2011209876A (ja) ダイヤル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90008639A (ko) 차량 전자제어장치의 버튼유닛
KR20180106001A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WO2021199766A1 (ja) 操作つまみ装置
KR102354403B1 (ko) 글라스 타입의 터치패드 다이얼
JP4954847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