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210B1 - Collecting device for harmful material in air - Google Patents

Collecting device for harmful material in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210B1
KR102585210B1 KR1020210115511A KR20210115511A KR102585210B1 KR 102585210 B1 KR102585210 B1 KR 102585210B1 KR 1020210115511 A KR1020210115511 A KR 1020210115511A KR 20210115511 A KR20210115511 A KR 20210115511A KR 102585210 B1 KR102585210 B1 KR 10258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collector
chamber
contain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5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2546A (en
Inventor
신용범
조현민
최종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Priority to KR1020210115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210B1/en
Priority to PCT/KR2022/002264 priority patent/WO2023033273A1/en
Publication of KR20230032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5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2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 G01N2001/2217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using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01N2001/245Fan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이 장착된 챔버 및 상기 챔버에 수용되고, 챔버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액상의 포집매체를 충돌시켜 공기 내 유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성된 액상 포집조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mber equipped with a fan for sucking air, and a liquid collection tank accommodated in the chamber and configured to collect hazardous substances in the air by colliding the air sucked into the chamber with the liquid collection medium. It is about a collection device.

Description

공기 중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장치{COLLECTING DEVICE FOR HARMFUL MATERIAL IN AIR}A device for collecting hazardous substances in the air {COLLECTING DEVICE FOR HARMFUL MATERIAL IN AIR}

공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을 포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 relates to a device that collects substances existing in the air.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은 사람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로 영아, 노인, 심폐기능이나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후유증을 유발하여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한다. 호흡기 바이러스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외에 흔히 감기를 일으키는 병원체인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virus, PIV), RS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라이노바이러스(rhinoviru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바이러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등의 신종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기도 하였으며, COVID-19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됨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경제적 위험을 증폭시키고 있다. Respiratory viral infec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that occur in humans, causing sequelae in infants, the elderly, and patients with reduced cardiopulmonary or immune function, leading to death in severe cases. In addition to influenza virus, respiratory viruses include adenovirus, parainfluenza virus (PI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rhinovirus, and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which are pathogens that commonly cause colds. Infections caused by new viruses such as viruses, avian influenza virus, and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have become prevalent around the world, and the spread of the COVID-19 virus around the world threatens the health and lives of many people. Not only that, it is amplifying social and economic risks.

이러한 신변종 감염병은 유행 초기에는 예방밖에는 뚜렷한 해결책이 없으므로 공기 중의 각종 병원체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조기에 검출하고 방역하여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Since there is no clear solution other than prevention in the early stages of an epidemic, it is necessary to monitor various pathogens in the air in real time to detect and quarantine them early to prevent the spread.

그러나 공기 중의 병원체들은 아주 극미량의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검출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오랜 시간 많은 양의 공기를 포집해야 하며, 채취한 시료의 양이 충분하지 않을 시에는 실제 존재함에도 검출되지 않는 분석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because pathogens in the air exist in extremely small concentrations, they are very difficult to detect. Therefore, a large amount of air must be colle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if the amount of sample collected is not sufficient, errors in analysis may occur in which it is not detected even though it actually exists.

공기 포집 기술은 대표적으로 사이클론, 전기집진 등이 있으며 대부분 단위 시간당 처리 가능한 공기량이 수십 LPM (liter per minute) 이하이고 소음이 크며 포집기 구동을 위한 장비의 대형 및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Representative air collection technologies include cyclones and electrostatic dust collection, but most of them have the disadvantages that the amount of air that can be processed per unit time is less than several tens of LPM (liter per minute), the noise is high, and the equipment for driving the collector is large and expensive.

본 발명은 공기 중 미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을 고농도로 포잡 가능한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ture device capable of capturing high concentrations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viruses, bacteria, mold, and fine dust that exist in trace concentrations in the air.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이 장착된 챔버; 및 상기 챔버에 수용되고, 챔버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액상의 포집매체를 충돌시켜 공기 내 유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성된 액상 포집조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equipped with a fan for sucking air; and a liquid collection tank accommodated in the chamber and configured to collect hazardous substances in the air by colliding air sucked into the chamber with a liquid collection medium.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액상 포집조는, 액상의 포집매체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및 용기에 수용되는 포집체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체는, 복수의 필라를 구비하고, 작동시 상기 용기 내에서 상하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필라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포집매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iquid collection tank includes a container capable of containing a liquid collection medium; And it may include a collector accommodated in a container. The collector may have a plurality of pillars, and may b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or rotate within the container during opera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pillars are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medium.

일 실시예로서 상기 포집체는, 포집매체의 표면에 대해 기결정된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는 원형의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를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필라는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 구비되며, 작동시, 상기 복수의 필라 중 포집매체 외부로 노출되는 필라에는 포집매체의 막이 형성되어 챔버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충돌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llecting body includes: a circular disk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ollecting medium;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haft rotatably connecting the disk to the containe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illar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and during operation, a film of the collecting medium is formed on the pillar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ng medium among the plurality of pillars, which may collide with the air sucked into the chamber.

일 실시예로서, 상기 용기의 바닥면은 상기 디스크와 동일하게 기결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ame as that of the disk.

일 실시예로서 유해물질 포집장치는, 상기 포집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챔버 밖에 장착되는 제어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패널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챔버 주변 환경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결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포집체가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includes: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collection body;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anel mounted outside the chamber.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and the processor can control the collector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chamber.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집체의 회전방향을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additionally control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llector.

일 실시예로서 유해물질 포집장치는 상기 포집체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챔버 밖에 장착되는 제어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집체가 기결정된 주기로 상하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includes a drive motor for moving the collector up and down;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anel mounted outside the chamber. And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and the processor can control the drive motor so that the collector moves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cycle.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집체가 기결정된 시간 동안 포집매체 외부로 노출된 후 포집매체 내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더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further control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collection object moves inside the collection medium after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medium for a predetermined time.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필라는, 0.2㎜ 내지 10㎜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illar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intervals of 0.2 mm to 10 mm.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필라는, 지름이 0.1㎜ 내지 5㎜인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illars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diameter of 0.1 mm to 5 mm.

일 실시예로서 높이가 0.5㎝ 내지 5㎝일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height may be 0.5 cm to 5 cm.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유해물질을 단시간에 고농도로 채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해물질의 진단 및 분석을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충분한 시료를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zardous substances existing in trace amounts in the air can be collected at high concentration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by shortening the time for diagnosis and analysis of hazardous substances and securing sufficient samp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관성 충돌식인 사이클론 액상 포집기와 달리 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저소음, 저비용의 포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연속 동작이 가능하고, 소형화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관성 충돌식 사이클론 액상 포집기에서 거의 포집이 되지 않는 1㎛ 미만의 미세물질도 고농도로 포집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inertial collision type cyclone liquid collector, a pump is not used, so a low-noise, low-cost collection device can be provided, continuous operation is possible, and miniaturization is possibl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fine substances of less than 1㎛, which are hardly captured in conventional inertial impact cyclone liquid collectors, at high concentra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고가의 고전하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식 포집기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보다 안전하게 미세물질을 포집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collecting fine substances more safely at a lower cost than a convention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an expensive high char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포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해물질 포집장치의 구성 중 액상 포집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 방향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액상 포집조의 구성 중 포집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액상 포집조의 구성 중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포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유해물질 포집장치에서 액상 포집조가 구동모터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유해물질 포집장치의 구성 중 액상 포집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 포집장치의 포집 성능 시험을 위한 분사 및 포집 시스템이고,
도 11은 형광 실리카 나노입자를 이용한 포집성능 비교실험 그래프이고,
도 12는 건조 필름배지에 박테리아 포집액을 배양하여 얻은 성능 평가 결과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quid collection tank included in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n the direction I-I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llection body of the liquid collection tank of Figure 2,
Figure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portion A of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in the liquid collection tank of Figure 2,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quid collection tank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in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of Figure 7;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quid collection tank included in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of Figure 7;
Figure 10 is a spraying and collection system for testing the collection performance of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graph of a comparison experiment of collection performance using fluorescent silica nanoparticles;
Figure 12 is a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obtained by culturing a bacterial collection solution on a dry film medium.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rst, when adding reference sign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f it is judged that i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of cours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can be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포집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포집장치(100)는 챔버(110), 팬(120), 제어패널(130), 구동 모터(140), 액상 포집조(200)를 포함한다. 도 2는 액상 포집조(2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 방향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110, a fan 120, a control panel 130, a drive motor 140, and a liquid collection tank 200.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quid collection tank 200, 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ure 2.

챔버(110)는 공기를 챔버 내로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액상 포집조(200)에 공기를 관성충돌시켜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챔버(110)는 상부에 공기흡입구(111)가 형성되고, 공기흡입구(111)에는 팬(120)이 장착된다. 또한 챔버(110)에는 통풍구(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챔버(110)는 PLA(Poly Lactic Acid)로 제조될 수 있다. 챔버(110)는 3D 프린터로 제작될 수 있다. The chamber 110 sucks air into the chamber, and inertially collides the sucked air into the liquid collection tank 200 to form a space for collecting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The chamber 110 has an air intake port 111 formed at the top, and a fan 120 is mounted on the air intake port 111. Additionally, vents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chamber 110. The chamber 110 may be made of PLA (Poly Lactic Acid). Chamber 110 can be manufactured with a 3D printer.

팬(120)은 단시간에 고농도로 유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다량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충분한 유량을 갖는다. 일 실시예로서, 팬(120)은 지름이 5㎝ 내지 30㎝이고, 유량이 100 LPM 내지 5,000 LPM (L/mi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20)은 지름이 15㎝이고, 유량이 2,650 LPM일 수 있다. 팬(120)의 크기에 대응하여 챔버(110)의 공기흡입구(111)의 크기가 결정된다. The fan 120 has a flow rate sufficient to introduce a large amount of air from the outside to collect hazardous substances in high concentr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one embodiment, the fan 120 may have a diameter of 5 cm to 30 cm and a flow rate of 100 LPM to 5,000 LPM (L/min). For example, fan 120 may have a diameter of 15 cm and a flow rate of 2,650 LPM. The size of the air intake port 111 of the chamber 110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fan 120.

제어패널(130)은 팬(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팬(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패널(130)에는 팬(120)의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 및 팬(120)의 전원 제어, 회전속도 제어를 위한 버튼(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패널(130)의 프로세서는 포집체(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포집체(2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는 후술한다. The control panel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an 120 and includes a processor (not shown) to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120. Additionally, the control panel 13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display (not shown) that displays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120 and buttons (not shown) for power control and rotation speed control of the fan 120. Additionally, the processor of the control panel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llector 23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llector 23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패널(130)이 챔버(110) 외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패널은 포집장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이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 랩탑,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유선 연결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팬(120)과 구동 모터(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panel 130 is described as being mounted outside the chamber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s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panel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laptop, or smartphone installed with a program or app for controlling the collection device, and the fan 120 and the driving motor ( 140), so that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an be controlled.

구동모터(140)는 구동기어(220)와 연결되어 구동기어(220)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구동기어(220)에 맞물리는 포집체(230)가 회전한다. 구동모터(140)는 모터축이 구동기어(220)의 축(221)과 연결된다. 구동모터(140)는 제어패널(13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기결정된 회전속도로 구동기어(220)를 회전시킨다. The drive motor 140 is connected to the drive gear 220 and rotates the drive gear 220, and thus the collector 230 engaged with the drive gear 220 rotates.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140 is connected to the shaft 221 of the drive gear 220. The drive motor 14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panel 130 and rotates the drive gear 220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액상 포집조(200)는 상기 챔버(110)에 수납되며, 용기(210), 구동기어(220), 포집체(230)를 포함한다. 용기(210)는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액상의 포집매체(예를 들어, 3차 증류수)를 수용하며, 포집매체에 포집체(23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길 수 있도록 배치된 포집체(230)를 수용한다. 또한, 포집체(230)와 맞물리는 구동기어(220)가 용기 본체(212)의 내부 측벽에 설치되며, 구동기어(220)의 축(221)은 용기 본체(212)의 측벽에 형성된 홈(211)을 통해 구동모터(140)와 연결되다. The liquid collection tank 200 is stored in the chamber 110 and includes a container 210, a driving gear 220, and a collection body 230. The container 210 accommodates a liquid collection medium (e.g., triple distilled water) for collecting hazardous substances, and the collection medium 230 is arranged so that the collection medium 230 can be at least partially submerged in the collection medium. accept. In addition, a drive gear 220 engaged with the collector 23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212, and the axis 221 of the drive gear 220 is a groov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212 (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40 through 211).

구동기어(220)는 외주에 복수의 톱니(225)가 형성된 원형판(223)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기어(220)는 원형판(223)의 중심에서 구동모터(140)로 연장하는 축(221)을 포함한다. 원형판(223)은 용기 본체(212)의 측벽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driving gear 220 includes a circular plate 223 on which a plurality of teeth 225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dditionally, the driving gear 220 includes a shaft 221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plate 223 to the driving motor 140. The circular plate 223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212.

액상 포집조(200)는, 용기 본체(212)의 상부가 상기 공기흡입구(111)를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챔버(110) 내에 위치한다. 상기 공기흡입구(111)를 통해 챔버(110)로 흡입된 공기는 액상 포집조(200)의 용기(210)에 수용된 포집매체의 표면에 관성충돌할 수 있다. 또한 흡입된 공기는 액상 포집조(200)에 구비된 포집체(230)가 회전할 때 포집체(230) 표면에 형성되는 포집매체의 막에 추가로 관성충돌함으로써, 단시간에 고농도로 공기 내 유해물질을 포집매체로 포집 가능하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liquid collection tank 200 is located within the chamber 110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212 is open toward the air intake port 111. The air sucked into the chamber 110 through the air intake port 111 may inertially collide with the surface of the collection medium contained in the container 210 of the liquid collection tank 200. In addition, the sucked air additionally inertially collides with the film of the collection mediu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llector 230 when the collector 230 provided in the liquid collection tank 200 rotates, causing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to be released at a high concentr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substance can be captured using a collection medium. This is explained in more detail below.

도 4는 포집체(23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포집체(230)는 외주에 복수의 톱니(235)가 형성된 원형의 디스크(233)를 포함한다. 포집체(230)의 복수의 톱니(235)는 상기 구동기어(220)의 복수의 톱니(225)와 맞물리며, 이에 따라 구동기어(220)가 회전하면 구동기어(220)에 맞물린 포집체(230)가 기결정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도 1과 같이 용기(210)에 담긴 포집매체의 표면에 대해 포집체(230)가 기울어져 배치된 경우, 구동기어(220)는 포집체(230)의 회전시 가장 높게 위치한 톱니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lector 230, and Figure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portion A of Figure 4. The collector 230 includes a circular disk 233 with a plurality of teeth 235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ce. The plurality of teeth 235 of the collector 230 ar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teeth 225 of the drive gear 220, and when the drive gear 220 rotates, the collector 230 is engaged with the drive gear 220. ) rotates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When the collector 230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ollection medium contained in the container 210 as shown in FIG. 1, the drive gear 220 is arranged to engage with the highest-located tooth when the collector 230 rotates. do.

또한 포집체(230)는 흡입된 공기가 포집매체와 관성충돌하는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디스크(233) 상면에 구비된 복수의 필라(231)를 포함한다. 필라(231)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필라(231)의 지름(d)은 0.1㎜ 내지 5㎜일 수 있고 높이는 0.5㎝ 내지 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라(231)는 지름이 1㎜ 내지 3㎜일 수 있다. 복수의 필라(231)는 서로 간격(G)을 두고 배치되며, 0.2㎜ 내지 10㎜의 간격(G)으로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llector 230 includes a plurality of pillars 23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233 to expand the surface area where the sucked air inertially collides with the collection medium. The pillar 23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diameter (d) of the pillar 231 may be 0.1 mm to 5 mm and the height may be 0.5 cm to 5 cm. For example, the pillar 231 may have a diameter of 1 mm to 3 mm. The plurality of pillars 231 are arranged at intervals (G) from each other, and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G) of 0.2 mm to 10 mm.

복수의 필라(231)는 디스크(233)의 중심(C)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상선(L)을 그었을 때 가상선(L)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 평면의 디스크(233) 상에서 필라(231)가 가장 많은 수로 배치될 수 있는 어떠한 배열이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필라(231)는 포집체(230)가 회전할 때 흡입공기와 관성충돌하는 포집매체의 표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illars 231 may b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imaginary line (L) when an imaginary line (L) is drawn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C) of the disk 233.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arrangement that allows the largest number of pillars 231 to be arranged on the disk 233 on the same plane may be used.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pillars 231 may be arranged in a regular or irregular pattern that can maximize the surface area of the collecting medium that inertially collides with the intake air when the collecting body 230 rotates.

포집체(230)의 디스크(233)는 용기(210)에 담긴 포집매체의 표면에 대해서 기결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체(230)는 1°내지 90°의 각도로 포집매체의 표면에 대해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렇게 포집매체의 표면에 대해서 디스크(233)가 기울어져 있으므로, 용기(210)에 담기는 포집매체의 양을 조절하여 포집체(230)의 적어도 일부분이 포집매체 밖으로 드러난 상태에서 포집체(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포집체(230)의 회전시에 포집매체 밖으로 드러난 복수의 필라(231)에는 포집매체의 막이 형성되어 챔버(110) 내로 흡입된 공기와 관성충돌할 수 있다. The disk 233 of the collector 230 may be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ollection medium contained in the container 210. For example, the collector 230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ollection medium at an angle of 1° to 90°. Since the disk 233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ollecting medium, the amount of collecting medium contained in the container 210 is adjust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lecting medium 230 is exposed outside the collecting medium. can be rotated. When the collector 230 rotates, a film of the collection medium is formed on the plurality of pillars 231 exposed outside the collection medium, which may inertially collide with the air sucked into the chamber 110.

도 6은 용기(210)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용기(210)는 용기 본체(212)의 바닥면(214)이 포집체(230)의 디스크(233)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이렇게 용기(210)의 바닥면(214)이 기울어져 있으므로, 용기의 바닥면이 기울어지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기울어진 포집체(230)를 적어도 일부 잠기게 하기 위해 필요한 포집매체의 양이 더 적다. 예를 들어, 포집체(230)를 적어도 중심(C)까지는 포집매체에 잠기도록 하는 경우, 용기의 바닥면이 기울어진 경우가 기울어지지 않은 경우보다 더 적은 양의 포집매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 동안 보다 고농도로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210. Referring to FIGS. 1, 3, and 6, the bottom surface 214 of the container body 212 of the container 210 i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disk 233 of the collector 230. Since the bottom surface 214 of the container 210 is tilted in this way, the amount of collection medium required to at least partially submerge the tilted collector 230 is les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is not tilted. . For example, when the collecting body 230 is submerged in the collecting medium at least up to the center C, a smaller amount of collecting medium is required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is tilted than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is not til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llect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at a higher concentration for the same amount of time.

포집매체의 양을 더 줄이기 위한 추가적인 그리고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용기 본체(212)의 내벽에는 복수의 단차부(217A, 217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단차부(217A, 217B)는, 용기 본체(212)의 내벽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고, 길이방향으로는 바닥면(214)까지 연장하여 바닥면(214)의 면적을 더 좁힘으로써 용기 전체의 용적이 감소한다. As an additional and optional embodiment to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collection medium,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21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ep portions 217A and 217B. The plurality of step portions 217A and 217B extend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212 and extend longitudinally to the bottom surface 214 to further narrow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214, thereby forming the container. The overall volume decreases.

포집체(230)는 디스크(233)의 상면 중심(C)에 구비된 회전축 고정부(232)를 더 포함한다. 회전축 고정부(232)는 회전축(219)을 통해 용기의 바닥면(2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용기의 바닥면(214)에는 회전축(219)이 결합되는 결합구멍(216)이 형성된다. 용기(210)는, 결합구멍(216) 내에 고정된 베어링(218)을 더 포함한다. The collector 230 further includes a rotating shaft fixing part 232 provided at the center C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233. The rotating shaft fixing part 2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214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rotating shaft 219. A coupling hole 216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219 is coupl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14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210 further includes a bearing 218 fixed within the coupling hole 216.

용기(210)는, 용기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바닥면(214) 아래가 챔버(100)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그 사이에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용기(210)에 회전축(219)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회전축 연결부(215)가 바닥면(214)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 연결부(215)의 돌출 길이 및 폭방향 두께는 회전축(21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에 필요한 치수로 결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219)은 기결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포집체(230)의 회전축으로 기능하므로, 챔버(110)의 바닥면에 대해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용기(210)의 회전축 연결부(215)는, 기울어진 회전축(219) 및 회전축(219)에 고정된 포집체(230) 모두를 포집체의 회전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합구멍(216)은, 바닥면(214)에서 회전축 연결부(215)까지 연장 형성된다. 용기(210)의 회전축 연결부(215)는 하부가 챔버(110)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포집체(230)의 회전시 회전축 연결부(215)로 전달되는 진동이 챔버(1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the materials required to manufacture the container, the container 210 may have an empty space below the bottom surface 214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00. In this case, a rotation shaft connection portion 215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219 to the container 210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214. The protruding length and width direction thickness of the rotating shaft connection portion 215 are determined to be the dimensions necessary for rigidity to rotatably support the rotating shaft 219. Referring to FIG. 3, the rotation axis 219 functions as the rotation axis of the collector 230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therefor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10. The rotation shaft connection portion 215 of the container 210 is configured to firmly support both the inclined rotation shaft 219 and the collector 230 fixed to the rotation shaft 219 when the collector rotates. The coupling hole 216 extends from the bottom surface 214 to the rotation shaft connection portion 215.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shaft connecting portion 215 of the container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10, so that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rotating shaft connecting portion 215 when the collector 230 rotates is transmitted to the chamber 110. It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140)가 구동기어(220)에 연결되고, 구동기어(220)의 복수의 톱니(225)와 포집체(230)의 복수의 톱니(235)가 맞물리면서 포집체(230)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축(219)에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rive motor 140 is connected to the drive gear 220, and the plurality of teeth 225 of the drive gear 220 and the plurality of teeth 235 of the collector 230 engage with each other to form the collector 230. ) is configured to rot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219.

상기 용기(210), 구동기어(220) 및 포집체(230) 각각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또는 PLA(Poly Lactic Acid)로 제조될 수 있으며, 3D 프린터로 제작 가능하다. 용기(210)는 원형으로, 200㎖ 내지 1,000㎖의 액상 포집매체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Each of the container 210, driving gear 220, and collector 230 can be made of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or PLA (poly lactic acid), and can be manufactured with a 3D printer. The container 210 is circular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size that can accommodate 200 ml to 1,000 ml of liquid collection medium.

제어패널(130)의 프로세서는, 포집체(230)가 기결정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챔버(110)가 놓인 주변환경의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결정된 회전속도로 포집체(230)가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주변환경의 습도가 낮은 경우, 포집체(230)에서 포집매체 외부로 노출된 필라(231)에서 포집매체가 빨리 증발하게 되므로 습도가 높은 경우보다 더 빠른 속도로 포집체(230)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다만, 너무 빠른 회전속도로 포집체(230)가 회전하게 되면 필라(231)에 형성된 포집매체의 막이 파괴되고 포집매체가 포집체(230)를 이탈하여 비산하게 되므로. 포집매체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허용되는 포집체(230)의 최대 회전속도가 기결정될 수 있다.The processor of the control panel 130 may control the drive motor 130 so that the collector 230 rotates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For example,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collector 230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which the chamber 110 is located. When the humid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low, the collection medium evaporates quickly from the pillars 23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medium in the collection medium 230, so it is necessary to rotate the collection medium 230 at a faster speed than when the humidity is high. There is. However, if the collector 230 rotates at too fast a rotation speed, the film of the collection medium formed on the pillar 231 is destroyed and the collection medium leaves the collector 230 and scatters.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collector 230 allowed may be pre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medium.

또한 제어패널(130)의 프로세서는, 구동모터(130)의 제어를 통해 포집체(230)의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기결정된 시간 동안 포집체(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 기결정된 시간 동안 포집체(2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포집체(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간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간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processor of the control panel 130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llector 230 through control of the drive motor 130. For example,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collector 230 to rotate clockwis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otate counterclockwis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time for which the collector 230 rotates clockwise and the time for which it rotates counterclockwis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추가의 실시예로서, 액상 포집조(200)는 포집매체의 표면에 대한 원형의 디스크(233)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집하고자 하는 미생물,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의 특성상 포집매체의 표면과 직접 충돌시키는 것이 포집효율이 더 좋은 경우 원형의 디스크(233)가 기울어진 각도를 작게 조절하고, 포집하고자 하는 미생물,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의 특성상 포집매체의 막이 형성된 필라와 충돌시키는 것이 포집효율이 더 좋은 경우 원형의 디스크(233)가 기울어진 각도를 더 크게 조절함으로써, 각 미생물의 특성에 맞추어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further example, the liquid collection tank 20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circular disk 233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ollection medium. If,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organisms, bacteria or viruses to be collected, direct collision with the surface of the collection medium has better collection efficiency, the tilt angle of the circular disk 233 is adjusted to be small,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organisms, bacteria or viruses to be collected, If the collection efficiency is better when the collection medium collides with the pillar on which the film is formed, the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icroorganism by adjusting the tilt angle of the circular disk 233 to be larger.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유해물질 포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포집장치(100')는, 챔버(110), 팬(120), 제어패널(160), 구동 모터(170), 모터 받침대(180), 액상 포집조(300)를 포함한다. 챔버(110), 팬(120)은 전술한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패널(160)은 전술한 제어패널(140)과 마찬가지로 챔버(110) 외부에 장착되거나 단말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유선 연결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팬(120)과 구동 모터(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다.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110, a fan 120, a control panel 160, a drive motor 170, a motor stand 180, and a liquid collection tank ( 300). Since the chamber 110 and the fan 12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Like the control panel 140 described above, the control panel 160 may be mounted outside the chamber 110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erminal,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an 120 and the drive motor 17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by being connected to .

구동모터(170)는 2 개의 모터(171, 177)가 각각 대응하는 2개의 피니언 기어(326, 327)의 회전축(321, 325)에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326, 327)를 회전시킨다. 구동모터(170)는 제어패널(16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기결정된 회전속도로 그리고 기결정된 주기마다 피니언 기어(326, 327)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drive motor 170 rotates the pinion gears 326 and 327 by connecting two motors 171 and 177 to the rotation shafts 321 and 325 of the corresponding two pinion gears 326 and 327, respectively. The drive motor 17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panel 160 and rotate the pinion gears 326 and 327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and at predetermined cycles.

도 8은 유해물질 포집장치(100')에서 액상 포집조(300)가 구동모터(170)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액상 포집조(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액상 포집조(300)는 상기 챔버(110)에 수납되며, 포집체(330)가 용기(310)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용기(310)는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액상의 포집매체(예를 들어, 3차 증류수)를 수용하며, 포집체(330)가 필요한 만큼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갖는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quid collection tank 300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70 in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100',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quid collection tank 300. The liquid collection tank 300 is stored in the chamber 110, and the collection body 3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container 310. The container 310 accommodates a liquid collection medium (for example, triple distilled water) for collecting hazardous substances, and has a sufficient height so that the collection body 330 can move up and down as necessary.

포집체(330)의 상하이동을 위해서, 포집체(330)의 원형 디스크(333) 테두리에는 두 개의 랙 기어(336, 337)가 구비되며, 랙 기어는 대응하는 두 개의 피니언 기어(326, 327)과 맞물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326, 327)는 구동 모터(170)에 의해 회전하므로, 이에 따라 포집체(330)가 상하로 선형이동 가능하다. In order to move the collector 330 up and down, two rack gears 336 and 337 are provided on the rim of the circular disk 333 of the collector 330, and the rack gear has two corresponding pinion gears 326 and 327. ) is aligned with. As described above, the pinion gears 326 and 327 are rotated by the drive motor 170, so that the collector 330 can move linearly up and down.

포집체(330)의 디스크 상면에는 복수의 필라(331)가 구비되며, 필라(331)의 상세 구성은 전술한 포집체(230)의 필라(23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 plurality of pillars 331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of the collector 330,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illars 331 is the same as that of the pillar 231 of the collector 230 described above, so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다만, 포집체(330)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디스크 대신 사각 판 또는 다각 판 형상이어도 좋다. 이 경우 용기(310)의 형상 역시 도시된 바와 달리 바닥면(314)이 사각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액상 포집조의 용기(310)는 도 1의 실시예와는 달리 용기 본체(312)의 바닥면(314)이 수평하다. 그 외에는 전술한 용기(21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owever, the shape of the collector 330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and may be a square plate or polygonal plate shape instead of a circular disk. In this case, unlike the shape of the container 310 shown, the bottom surface 314 may be square or polygonal. In addition,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1, the bottom surface 314 of the container body 312 of the liquid collection tank 310 is horizontal. Other than that, since it is similar to the container 210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어패널(16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구동모터(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포집체(330)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장치(100')의 작동시 포집체(330)가 기결정된 주기로 포집매체의 표면 위로 상승했다가 하강(도 7의 화살표 참조)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프로세서가 구동 모터(170)를 제어할 수 있다. 포집체(330)의 상하이동 동작을 반복하는 주기, 포집매체 밖으로 노출되는 시간 및 포집매체에 잠기는 시간 각각은 포집하고자 하는 미생물,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의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processor (not shown) of the control panel 1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70 and can control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llector 330. For example, when the collection device 100' is operated, the processor operates the drive motor 170 so that the collector 330 repeats the movement of rising and falling above the surface of the collection medium at a predetermined cycle (see arrow in FIG. 7). You can control it. The cycle of repeating the up-and-down motion of the collector 330, the time it is exposed outside the collection medium, and the time it is immersed in the collection medium may each be deter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organism, bacteria, or virus to be collected.

구동모터(170)는 모터 받침대(1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모터 받침대(180)를 통해 챔버(1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drive motor 170 may be supported by the motor stand 180 and may be fixed within the chamber 110 through the motor stand 180.

추가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 수집장치는, 포집체가 상하운동 및 회전운동 모두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As a further embodiment,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collection body can move both up and down and in rotation.

실험예 1: 바이오 에어로졸(박테리아/바이러스)의 포집 및 PCR 분석Experimental Example 1: Capture and PCR analysis of bio-aerosol (bacteria/virus)

도 10의 분사 및 포집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 포집장치의 포집 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A collection performance test of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performed using the spraying and collection system of Figure 10.

본 발명에 따른 포집장치(H-Guard)에서 챔버는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각각 30㎝이고, 높이가 20㎝인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하였다. 팬은 지름이 15㎝이고 유량이 2,650 LPM인 팬을 사용하였다. 팬에 의해 챔버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포집매체의 막이 형성된 포집체의 필라에 흡착된 바이오 에어로졸이 포집매체에 포집되도록 하였다. 용기의 크기는 지름이 25㎝이고 높이가 5㎝인 원형으로 제작하였고, 400㎖의 3차 증류수를 액상 포집매체로 사용하였다. 포집체의 필라는 지름이 1㎜이고 길이가 1㎜인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하였으며, 복수의 필라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하였다. 포집체는 기울어진 상태로 포집매체에 일부분이 담지되었으며, 적어도 중심(C)까지는 담지된 상태로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바이오 에어로졸과 포집체를 관성충돌시켰다. In the collection device (H-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was manufactur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width and length of 30 cm and a height of 20 cm. A fan with a diameter of 15 cm and a flow rate of 2,650 LPM was used. The air sucked into the chamber by the fan was used to capture the bio-aerosols adsorbed on the pillars of the collector on which the capture medium film was formed. The size of the container was circular with a diameter of 25 cm and a height of 5 cm, and 400 ml of triple distilled water was used as a liquid collection medium. The pillars of the collector were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diameter of 1 mm and a length of 1 mm, and the plurality of pillars were all manufactured in the same shape. The collector was partially supported in the collection medium in an inclined state, and was rotated at a constant rotational speed while supported at least to the center (C), causing inertial collision between the bio-aerosol flowing in through the air intake port and the collector.

도 10의 시스템에서 일정한 분사를 위한 장치로는 압축공기의 분사력에 의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입자발생기(atomizer, TSI 9302) 그리고 에어로졸에 포함된 물입자를 건조시키기 위해 확산건조기(diffusion dryer(silica gel))까지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장치를 구성하였다.In the system of Figure 10, the devices for constant spraying include a particle generator (TSI 9302)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the spraying force of compressed air, and a diffusion dryer (silica gel) to dry the water particles contained in the aerosol. ) were connected sequentially to form the device.

입자 발생기의 압력은 100psi로 고정하였으며, 확산건조기(Diffusion dryer)의 습도는 50% 미만을 유지하였다. 일정한 분사 환경을 위해 제작한 아크릴 포집 부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 포집장치와 대조군의 포집기인 바이오-샘플러(SKC)를 각각 단독으로 설치하여 포집 성능 비교 실험을 하였다. The pressure of the particle generator was fixed at 100 psi, and the humidity of the diffusion dryer was maintained below 50%. A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io-sampler (SKC), a control group collector, were installed separately in an acrylic collection booth manufactured for a constant spraying environment, and a collection performance comparison experiment was conducted.

포집실험에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를 바이오 입자로 사용하였다. 바이러스는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1.66x107 TCID/㎖)를 자외선 램프(UV lamp)의 365㎚ 파장에서 3시간 동안 조사하여 감염력을 없앤 뒤 PD-10 컬럼(column)을 사용하여 초순수 증류수로 완충액 교환한 후 증류수에 50배 희석하여 분사 용액양을 30ml로 하여 최종 농도를 3.3x105 TCID/㎖로 사용하였다. 박테리아 분사액은 액체 배지에 있는 E.coli를 자외선 램프의 365㎚ 파장에서 3시간 동안 조사하여 활성을 없앤 후 증류수에 희석한 뒤, UV/Vis 분광기를 이용하여 600㎚ 파장에서 흡광도(Absorbance) 값을 0.2~0.5로 맞추어 사용하였다.Viruses and bacteria were used as bio particles in the capture experiment. The virus was made infective by irradiating the H1N1 influenza virus ( 1.66 Afterwards, it was diluted 50-fold in distilled water to make the injection solution volume 30ml, and the final concentration was 3.3x10 5 TCID/ml. The bacterial spray solution is made by irradiating E. coli in the liquid medium at a wavelength of 365 nm for 3 hours to deactivate it, diluting it in distilled water, and measuring the absorbance value at a wavelength of 600 nm using a UV/Vis spectrometer. was set to 0.2~0.5.

바이오-샘플러(SKC)는 15 LPM (L/min)의 유량으로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에어로졸 및 생물학적 입자를 포집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 포집 매체로 3차 증류수 20 ㎖을 넣고 1시간 동안 펌프 작동시켜 포집하였다. The bio-sampler (SKC) is a device used to collect aerosols and biological particles floating in the air by sucking in surrounding air at a flow rate of 15 LPM (L/min). Add 20 ml of tertiary distilled water as a collection medium and leave for 1 hour. It was collected by operating the pump.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 포집장치 역시 3차 증류수를 포집 매체로 400㎖를 용기에 넣은 뒤 팬과 포집체를 작동시켜 1시간 동안 분사와 포집을 진행한 뒤 박테리아 분사액을 포집한 증류수 중 1㎖만 취해 DNA 추출키트를 이용하여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핵산을 추출한 뒤 특이적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RT-PCR 기기로 측정하였다.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puts 400 ml of tertiary distilled water into a container as a collection medium, operates the fan and collector to spray and collect for 1 hour, and then 1 ml of the distilled water that collected the bacterial spray liquid is added to the container. The nucleic acids of bacteria and viruses were extracted using a DNA extraction kit and then measured using an RT-PCR device using specific primers.

각각의 표준곡선(standard curve)을 구하고 해당 프라이머에 의해 증폭된 (Cq)값을 분석함으로써 포집량을 정량적으로 구한 결과, 박테리아, 바이러스 모두 대조군(SKC)의 포집기에 비해 본 발명의 포집장치(H-Guard)의 성능이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collection amount quantitatively by obtaining each standard curve and analyzing the (Cq) value amplified by the corresponding primer, the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 -Guard) was found to have superior performance.

실험예 2. 다양한 크기별 형광 나노입자의 형광세기 분석Experimental Example 2. Analysis of fluorescence intensity of fluorescent nanoparticles of various sizes

도 11은 형광 실리카 나노입자를 이용한 포집성능 비교실험 그래프이다. 입자 크기별 포집성능을 보기 위해 0.1㎛ 내지 1㎛의 형광 실리카 입자를 증류수에 희석하여 0.1㎎/㎖ 내지 0.5㎎/㎖의 농도로 맞추어 실험예 1과 같은 분사 환경에서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분사와 동시에 포집하여 바이오-샘플러(SKC)와 본 발명에 따른 포집장치의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Figure 11 is a graph of a comparison experiment of collection performance using fluorescent silica nanoparticles. In order to check the collection performance by particle size, fluorescent silica particles of 0.1㎛ to 1㎛ were diluted in distilled water to adjust the concentration to 0.1㎎/㎖ to 0.5㎎/㎖ and sprayed for 1 hour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At the same time, a comparative experiment was conducted between the bio-sampler (SKC) and th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형광 실리카 나노입자를 포집한 전체 용액 중 200㎕를 취해 96 웰 플레이트에 한 샘플당 세 군데씩 넣은 다음, 형광 분석기기에 넣어 495㎚에서 여기시킨 후 520㎚에서 형광세기(FL intensity)를 측정한 뒤 세 개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포집장치(H-Guard)가 대조군의 바이오-샘플러(SKC)보다 모든 크기에서 포집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ake 200㎕ of the total solution containing fluorescent silica nanoparticles, place them in three places per sample in a 96-well plate, place them in a fluorescence analyzer, excite them at 495nm, and measure the fluorescence intensity (FL intensity) at 520nm. The average of the last three values was obtain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lection device (H-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better collection performance in all sizes than the control bio-sampler (SKC).

실험예 3: 건조필름 계수법(3M Petrifilm, Coliform Count Plates) - 박테리아 검출Experimental Example 3: Dry film counting method (3M Petrifilm, Coliform Count Plates) - Bacteria detection

도 12 (a)는 대조군인 바이오-샘플러(SKC)의 박테리아 포집액을 건조 필름배지에 배양하고 도 12 (b)는 본 발명의 포집장치(H-Guard)의 박테리아 포집액을 건조 필름배지에 배양하여 얻은 성능 평가 결과이다. 대조군의 바이오-샘플러(SKC)와 본 발명의 포집장치(H-Guard)로 각각 박테리아를 포집 후 포집액에서 1㎖만 채취하여 필름배지에 접종 후 원형의 누름판으로 눌러 37도에서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Figure 12 (a) shows the bacteria collection solution from the control bio-sampler (SKC) cultured on a dry film medium, and Figure 12 (b) shows the bacteria collection solution from the collection device (H-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cultured on a dry film medium. This is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obtained by culturing. After collecting bacteria using the control bio-sampler (SKC) and the collection device (H-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1 ml of the collected liquid was collected, inoculated on a film medium, pressed with a circular pressing plate, and cultured at 37 degrees for one day. .

하루가 지난 후 누름판 원 안에서 배양된 붉은 색의 균체의 갯수를 세고 평균을 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포집장치가 대조군인 바이오-샘플러 대비 수십 배의 균이 발생하였음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After one day, the number of red-colored bacteria cultured in the press plate circle was counted and the average was calcula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that the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d dozens of times more bacteria than the control bio-sampler.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At this time,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consider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이 장착된 챔버; 및
상기 챔버에 수용되고, 챔버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액상의 포집매체를 충돌시켜 공기 내 유해물질을 포집하도록 구성된 액상 포집조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포집조는,
액상의 포집매체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및
복수의 필라를 구비하고, 작동시 상기 용기 내에서 상하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필라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포집매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포집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집체는,
포집매체의 표면에 대해 기결정된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는 원형의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를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라는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 구비되며,
작동시, 상기 복수의 필라 중 포집매체 외부로 노출되는 필라에는 포집매체의 막이 형성되어 챔버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충돌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바닥면은, 상기 디스크와 동일하게 기결정된 각도로 경사진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본체 내벽에는 포집매체가 수용되는 공간의 면적을 좁히기 위한 복수의 단차부가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바닥면 아래가 챔버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빈 공간을 갖고, 용기의 바닥면에서 빈 공간의 하방으로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회전축 연결부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축 연결부는 하부가 챔버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것을 더 포함한,
유해물질 포집장치.
a chamber equipped with a fan to draw air; and
A liquid collection tank accommodated in the chamber and configured to collect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by colliding the air sucked into the chamber with a liquid collection medium,
The liquid collection tank,
A container capable of containing a liquid collection medium;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llection body that has a plurality of pillars and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or rotate within the container during opera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pillars are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medium,
The collector is,
A circular disk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ollection medium; and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nnecting the disk to the container,
The plurality of pillar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During operation, a film of the collecting medium is formed on the pillar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ng medium among the plurality of pillars, which may collide with the air sucked into the chambe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is further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like the disk,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for narrowing the area of the space in which the collection medium is accommodated,
The container has an empty space below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hamber, and a rotating shaft connection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a rotating shaft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elow the empty space. The rotating shaft connecting portion has a lower portion. Further including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챔버 밖에 장착되는 제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챔버 주변 환경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결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포집체가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유해물질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collector;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panel mounted outside the chamber,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The processor controls the collector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chamber surrounding environment,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집체의 회전방향을 추가로 제어하는,
유해물질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processor further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llector,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챔버 밖에 장착되는 제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집체가 기결정된 주기로 상하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유해물질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rive motor for moving the collector up and down;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panel mounted outside the chamber,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The processor controls the drive motor so that the collector moves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period,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집체가 기결정된 시간 동안 포집매체 외부로 노출된 후 포집매체 내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더 제어하는,
유해물질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processor further controls the drive motor so that the collection object moves inside the collection medium after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medium for a predetermined tim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라는, 0.2㎜ 내지 10㎜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유해물질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pillar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intervals of 0.2 mm to 10 mm,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라는, 지름이 0.1㎜ 내지 5㎜인 원기둥 형상인,
유해물질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pillars are cylindrical in shape with a diameter of 0.1 mm to 5 mm,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라는, 높이가 0.5㎝ 내지 5㎝인,
유해물질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pillars have a height of 0.5 cm to 5 cm,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KR1020210115511A 2021-08-31 2021-08-31 Collecting device for harmful material in air KR1025852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511A KR102585210B1 (en) 2021-08-31 2021-08-31 Collecting device for harmful material in air
PCT/KR2022/002264 WO2023033273A1 (en) 2021-08-31 2022-02-16 Device for collecting harmful substances in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511A KR102585210B1 (en) 2021-08-31 2021-08-31 Collecting device for harmful material in 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546A KR20230032546A (en) 2023-03-07
KR102585210B1 true KR102585210B1 (en) 2023-10-04

Family

ID=8541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511A KR102585210B1 (en) 2021-08-31 2021-08-31 Collecting device for harmful material in ai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5210B1 (en)
WO (1) WO202303327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8524B (en) * 2023-06-09 2023-12-22 中国石油大学(北京) VOCs adsorption trapping device for analyzing atmospheric pollution degre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86Y1 (en) 2004-09-02 2004-12-04 대한민국 Gather apparatus of the dust and putrid smell for stall
JP5729713B2 (en) 2008-11-25 2015-06-03 協和工業株式会社 Airborne collection device
KR102060089B1 (en) 2017-09-05 2020-02-1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Collecting Fine Mist
KR102161491B1 (en) * 2019-09-06 2020-10-06 여철호 Particulate matter collecting apparatus using a fluid with viscos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4513A (en) * 1976-09-11 1978-03-31 Roland Corp Chorus effect generator
JPH08257433A (en) * 1995-01-24 1996-10-08 Shiro Nakano Dust collector in which dust is made to collide with and stuck on agitated water surface
KR20120016841A (en) * 2010-08-17 2012-02-27 김숙구 A disk assembly of air washer
KR20200078269A (en) * 2018-12-23 2020-07-01 서정수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086Y1 (en) 2004-09-02 2004-12-04 대한민국 Gather apparatus of the dust and putrid smell for stall
JP5729713B2 (en) 2008-11-25 2015-06-03 協和工業株式会社 Airborne collection device
KR102060089B1 (en) 2017-09-05 2020-02-1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Collecting Fine Mist
KR102161491B1 (en) * 2019-09-06 2020-10-06 여철호 Particulate matter collecting apparatus using a fluid with visco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546A (en) 2023-03-07
WO2023033273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inelis Bioaerosol sampling: Classical approaches, advances, and perspectives
US10345216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low control and sample monitoring control
JP5700594B2 (en) Air microbe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KR102585210B1 (en) Collecting device for harmful material in air
US887265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ES2356887T3 (en) DEVICE AND PROCEDURE TO SEPARATE AND COLLECT PARTICLES.
JP2874786B2 (en) Electrostatic detector for aerosol particles
CN104964891A (en) Detection method of no-clean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s well as sampling apparatus and sampling device
WO2012081285A1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WO2000024865A1 (en) Portable air-borne bacteria sampler
CN110376027A (en) Multi-stage biological aerosol sampler and the method for sampling
Heo et al. Enriched aerosol-to-hydrosol transfer for rapid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bioaerosols
US5766958A (en) Method for detecting and collecting infectious airborne microorganisms for rapid identification
JP4358349B2 (en) Portable airborne sampler
US202203314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apturing viruses and disinfecting air containing viruses
CN103406214A (en) Biological sample safe centrifugal machine
KR20100019824A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4718913U (en) The sampling apparatus of No clean particle concentration and sample devices
WO20220240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mpling and detecting a pathogen in air
JP2015206669A (en) Collector, detector, cleaner, collecting method, detection method and cleaning method
KR20160021973A (en) Filter coted Luminescent substance and Microbial measure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5210209A (en) Collect device, detector, cleaner, collection method, detection method and cleaning method
US20050274170A1 (en) Integrated devices including microimpactor systems as particle collection modules
WO2012081358A1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JP2014140314A (en) Microbial detection system and microbial det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