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162B1 - 산소발생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소발생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162B1
KR102585162B1 KR1020210020268A KR20210020268A KR102585162B1 KR 102585162 B1 KR102585162 B1 KR 102585162B1 KR 1020210020268 A KR1020210020268 A KR 1020210020268A KR 20210020268 A KR20210020268 A KR 20210020268A KR 102585162 B1 KR102585162 B1 KR 102585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oxygen generation
noble metal
formula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6875A (ko
Inventor
임은호
김형주
강하리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2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1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002Mixed oxides other than spinels, e.g. perovsk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rare ear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8Silver or gold
    • B01J23/50Sil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5Nickel
    • B01J35/003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3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18Addition of a binding agent or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among others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e.g. forming of pores; protective layer, desintegrat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5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 C25B11/073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 C25B11/075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consisting of a single catalytic element or catalytic compound
    • C25B11/077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consisting of a single catalytic element or catalytic compound the compound being a non-noble metal oxide
    • C25B11/0773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consisting of a single catalytic element or catalytic compound the compound being a non-noble metal oxide of the perovskit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소발생용 촉매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La1-xMxNiO3-y
화학식 1에서 M은 귀금속이고, 0< x < 1 이며, 0< y<1이다.

Description

산소발생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ATALYST FOR OXYGEN EVOLUTION REA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산소발생용 촉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우수한 산소 발생 반응 활성 및 안정성을 나타내는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기반의 산소발생용 촉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자원고갈과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물 전기분해 (Water electrolysis)를 이용한 수소 생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물의 전기분해 반응은 환원전극에서 일어나는 수소 발생 반응 (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과 산화전극에서 일어나는 산소 발생 반응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산소 발생 반응은 O-H 결합을 끊고, O-O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수소 발생 반응과 비교했을 때 걸리는 과전압 (overpotential)이 더 높고 물을 전기분해 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이에, 산소 발생 반응에서 과전압을 줄일 수 있는 전기화학적 촉매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산업적으로 사용되는 전기화학적 촉매로는 RuO2 또는 IrO2가 있으며 산소 발생 반응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Ru 및 Ir는 고가의 희귀 금속으로 상업성이 떨어지며 촉매의 안정성 또한 낮은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이온이 치환된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촉매를 통해 산소 발생 반응 시 걸리는 과전압을 낮추어 산소 발생 반응의 활성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정성이 향상된 산소발생용 촉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소발생용 촉매를 제공한다.
[화학식 1]
La1-xMxNiO3-y
화학식 1에서 M은 귀금속이고, 0< x < 1 이며, 0< y<1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귀금속 M은 은 (Ag)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0.05 ≤ x ≤ 0.8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x는 0.048 내지 0.052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촉매의 평균 입자크기는 1 내지 200 ㎚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촉매 표면에 결합된 귀금속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란타늄 전구체, 니켈 전구체 및 귀금속 전구체를 포함하는 금속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전구체 용액 및 탄소수 4 내지 6의 유기산을 혼합하여 졸-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졸-겔 반응에 의해 형성된 겔 화합물을 건조 및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소발생용 촉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소성은 500 내지 1500℃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란타늄 전구체: 귀금속 전구체의 몰비는 1:0.02 내지 1:4.5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귀금속 전구체는 AgNO3, AgClO3, Ag2CO3, Ag2SO4 및 Ag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란타늄 전구체는 La2O3, La(NO3)3, LaOCl 및 LaCl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니켈 전구체는 Ni(NO3)2, NiCl2, NiCO3, NiBr2 및 Ni2S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용 촉매는 산소 발생 반응에서의 과전압을 낮추어 반응 활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물 전기분해 시 필요한 에너지 및 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용 촉매는 우수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촉매에 대한 XRD (X-ray Diffraction)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촉매에 대한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촉매에 대한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촉매에 대한 SEM/EDS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촉매에 대한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촉매에 대한 전기화학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촉매에 대한 ADT (Accelerated Durability Test)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물의 전기분해는 고순도의 수소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 및 생산한다. 물의 전기분해 반응은 수소가 발생하는 반응 (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과 산소가 발생하는 반응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으로 구성되며, 물 전기분해 반응 중 수소 발생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산소 발생 반응이다.
산소 발생 반응은 4개의 전자가 관여되는 복잡한 반응이기 때문에 2전자 반응인 수소 발생 반응과 비교했을 때 속도가 훨씬 느리고, 이러한 이유로 산소 발생에 있어 높은 과전압으로 인한 대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물 전기분해의 전체적인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성능 산소발생용 촉매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출원인은 산소발생용 촉매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Perovskite oxide) LaNiO3의 A-site인 La의 일부를 귀금속 M으로 치환하는 경우 우수한 산소 발생 반응 활성 및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소발생용 촉매를 제공한다.
[화학식 1]
La1-xMxNiO3-y
화학식 1에서 M은 귀금속이고, 0< x < 1 이며, 0< y<1이다.
상기 귀금속 M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내에서 산화물 형태의 일부 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촉매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단일상 (single phase)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용 촉매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며, 상기 LaNiO3의 A-site인 La을 부분적으로 귀금속 M으로 치환함에 따라 산소 발생 반응 에너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상기 A-site인 La에 치환되는 귀금속 M의 양, 즉 x는 0.05 ≤ x ≤ 0.8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촉매 표면에 산소 빈자리 (oxygen vacancy)가 증가되어 산소 발생을 위한 활성 반응 사이트 (active reaction site) 증가에 따른 반응 활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촉매는 표면에 결합된 귀금속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귀금속 M은 상기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내부로 들어가 LaNiO3의 A-site인 La을 부분적으로 치환한 상태; 및 상기 촉매 표면에 결합된 입자 상태로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귀금속 입자는 상기 촉매 표면에 결합되어 조촉매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A-site인 La에 치환되는 귀금속 M의 양, 즉 x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귀금속 입자의 양도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촉매 표면에 결합되는 귀금속 입자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촉매 입자의 크기가 커지면서 촉매 내 활성 반응 사이트의 감소를 유발하여 이에 따른 반응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x는 0.048 내지 0.052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귀금속 M은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LaNiO3의 구조 내에 들어가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잘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산소 빈자리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어, 산소 발생 반응에서의 높은 과전압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촉매 표면에 결합된 귀금속 입자에 의해 전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산소발생용 전극은 전류밀도 10 mA/cm2 기준 420 mV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 mV 이하의 과전압을 가질 수 있다. 낮은 과전압은 동일 수준의 물 분해를 위해 보다 작은 전력이 사용됨을 의미하며, 동일 전력으로 물 분해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과전압은, 상기 산소발생용 촉매를 0.247 mg/cm2의 로딩양으로 로딩된 glassy carbon을 작업전극으로 하여, 1 M KOH 전해액 내에서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산소발생용 전극은 60 mV/decade 이하, 구체적으로 57 mV/decade 이하의 타펠 기울기 (Tafel slope)를 가질 수 있다. 타펠 기울기는 산소발생용 전극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산소 발생 증가에 따른 전압 증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타펠 기울기가 낮을수록 물 분해에 필요한 전압이 낮아져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귀금속 M은 은 (Ag)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촉매는 La1-xAgxNiO3-y로 표시되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큐빅 격자 (cubic lattice)의 코너 위치인 A-site에는 이온반경이 큰 원소인 La이 위치하고, 상기 큐빅 격자의 체심 위치인 B-site에는 Ni이 위치할 수 있으며 산소이온에 의해 8면체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산소발생용 촉매의 상기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촉매 표면의 산소 빈자리에 의한 활성 증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측면에서, 상기 촉매의 평균 입자크기는 1 내지 200 ㎚, 좋게는 1 내지 150㎚, 더 좋게는 10 내지 100 ㎚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란타늄 전구체, 니켈 전구체 및 귀금속 전구체를 포함하는 금속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전구체 용액 및 탄소수 4 내지 6의 유기산을 혼합하여 졸-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졸-겔 반응에 의해 형성된 겔 화합물을 건조 및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소발생용 촉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산소발생용 촉매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할 수 있다.
[화학식 1]
La1-xMxNiO3-y
화학식 1에서 M은 귀금속이고, 0< x < 1 이며, 0< y<1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산소발생용 촉매는,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LaNiO3의 A-site인 La을 부분적으로 귀금속 M으로 치환한 것으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촉매 표면의 산소 빈자리 형성을 증가시켜 산소 발생 반응 활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촉매는 표면에 결합된 귀금속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도성을 증가시켜 촉매의 반응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촉매는 표면에 결합된 귀금속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금속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란타늄 전구체, 니켈 전구체 및 귀금속 전구체를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란타늄 전구체로 La2O3, La(NO3)3, LaOCl 및 LaCl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니켈 전구체로 Ni(NO3)2, NiCl2, NiCO3, NiBr2 및 Ni2S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금속 전구체로 AgNO3, AgClO3, Ag2CO3, Ag2SO4 및 Ag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3종의 금속 전구체는 상기 화학식 1의 x값에 따라 적절한 몰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화학식 1의 x가 0.05 내지 0.8인 경우에는, 상기 란타늄 전구체: 귀금속 전구체의 몰비는 1:0.02 내지 1:4.5, 좋게는 1:0.02 내지 1:3.5, 더 좋게는 1:0.04 내지 1:1.5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란타늄 전구체: 니켈 전구체의 몰비는 1:1 내지 1:2.5, 좋게는 1:1 내지일 1:2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증류수, 아세톤 (aceton), DMF(dimethylformamide), 옥탄올 (Octanol) 및 에톡시 에탄올(ethoxy etha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3종의 금속 전구체를 상기 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하는 방법으로 금속 전구체 용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는 졸-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로, 상기 제조된 금속 전구체 용액에 탄소수 4 내지 6의 유기산을 혼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산은 시트르산 (citric aci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산의 첨가량은 상기 금속 전구체 용액 내 란탄, 니켈 및 귀금속의 총 몰수 대비 0.8 내지 1.5배, 좋게는 1 내지 1.4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 첨가 시 온도는 상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첨가와 함께 또는 첨가 후 교반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온에서 0.5 내지 2시간 동안 교반 후 60 내지 100℃, 좋게는 70 내지 90℃에서 2 내지 10 시간 동안 교반하여 겔 (gel)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겔 화합물을 건조 및 소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는 80 내지 150℃에서 8시간 이상, 좋게는 10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겔 화합물은 산소 분위기에서 500 내지 1500℃, 좋게는 500 내지 900℃, 더 좋게는 600 내지 800℃에서 2 내지 15시간, 좋게는 4 내지 8시간 동안 소성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소성과정을 거친 겔 화합물은 결정화가 균일하게 이루어져 평균입경 20 내지 200 ㎚의 산소발생용 촉매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5.9 mmol La(NO3)3·6H2O, 0.3 mmol AgNO3 및 6.3 mmol Ni(NO3)2·6H2O을 250 ㎖ 증류수에 혼합하여 금속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 13.8 mmol citric acid monohydrate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및 85℃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겔 화합물을 얻었다. 상기 겔 화합물을 11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산소 분위기에서 700℃, 5시간 동안 소성과정을 거쳐 촉매 La0.95Ag0.05NiO3-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금속 전구체 용액 제조 시, 4.4 mmol La(NO3)3·6H2O, 1.9 mmol AgNO3 및 6.3 mmol Ni(NO3)2·6H2O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촉매 La0.7Ag0.3NiO3-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금속 전구체 용액 제조 시, 3.1 mmol La(NO3)3·6H2O, 3.1 mmol AgNO3 및 6.3 mmol Ni(NO3)2·6H2O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촉매 La0.5Ag0.5NiO3-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 1에서 금속 전구체 용액 제조 시, AgNO3을 사용하지 않고, 6.3 mmol La(NO3)3·6H2O 및 6.3 mmol Ni(NO3)2·6H2O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촉매 LaNiO3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XRD (X-ray Diffraction)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촉매에 대해 XRD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고하면, 비교예에서 제조된 촉매 LaNiO3의 XRD 패턴이 JCPDS No. 34-1028와 일치하며, LaNiO3 결정이 잘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La1-xAgxNiO3-δ에서 Ag의 치환율 x가 0.3 이상인 실시예 2 및 3인 경우, Ag 금속 및 NiO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촉매에 대해 XPS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2 (a)로부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페로브스카이트 촉매의 각 원소를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페로브스카이트 촉매에 치환된 Ag 원소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 (b)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3인 경우 상기 Ag 원소가 LaNiO3 구조 내부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Ag의 치환율 x가 0.3 이상인 실시예 2 및 3인 경우, 상기 촉매 표면에 결합된 Ag 금속이 많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하기 표 1로부터, Ag의 치환율 x가 증가함에 따라 Ni2+의 함량이 증가하며, 격자산소 (lattice oxygen) 대비 흡착산소 (adsorbed oxygen)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도 3에 따른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표 1)
시험예 3: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촉매에 대해 SEM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고하면, 비교예에서 제조된 LaNiO3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Ag가 치환된 LaNiO3 촉매의 형상이 유사하며, 모두 평균크기 10 내지 100 ㎚의 나노입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촉매에 대한 SEM/EDS 분석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도 5 (a)는 비교예; (b)는 실시예 1; (c)는 실시예 2; (d)는 실시예 3에 대한 결과로, LaNiO3의 각 원소들이 균일하게 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1 내지 3인 경우, Ag가 LaNiO3의 구조 내부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촉매에 대해 TEM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 (a)는 비교예; (b)는 실시예 1; (c)는 실시예 2; (d)는 실시예 3에 대한 결과로, LaNiO3 및 Ag가 치환된 LaNiO3 촉매의 각 원소들이 균일하게 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인 경우, Ag가 LaNiO3의 구조 내부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Ag의 치환율 x가 0.05인 실시예 1에 대한 결과로, (a)는 상기 도 6 (b)를 확대한 이미지 (스케일바: 20 ㎚)이며, (b)는 Line mapping 결과로, Ag의 치환율 x가 0.05인 경우에도 Ag가 LaNiO3의 구조 내부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전기화학 분석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촉매와 상용 IrO2 촉매에 대해 LSV (Linear Sweep Voltammetry)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각 촉매 10 mg을 50% 에탄올 2 ㎖에 분산시킨 후, Vulcan XC-72 carbon 2 mg 및 5% Nafion를 0.06 ㎖를 추가한 다음 4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분석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석액 10 uL를 glassy carbon (지름: 5 mm)위에 올린 후, 상온에서 건조하여 작업전극 (working electrode)을 준비하였으며, 하기 조건으로 LSV 분석을 진행하였다.
- 상대전극: Pt wire
- 기준전극: Hg/HgO (1 M NaOH)
- 전해액: 1 M KOH
- Scan rate: 5 mV/s
- 전압범위: 0.141 - 0.841 V (vs. Hg/HgO, 1 M NaOH)
도 8 (a)는 전류-전위 곡선 결과이며, (b)는 10 mA/cm2 geo에서의 overpotential을 나타낸 결과이고, (c)는 상기 10 mA/cm2 geo에서의 overpotential 및 Tafel slope를 나타낸 결과이며, (d)는 Mass activity 및 specific activity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전압은 RHE 기준 전압으로 환산한 값을 표시하였다.
도 8 (a) 내지 (c)에서 볼 수 있듯이, Ag의 치환율 x가 0.05인 실시예 1이 가장 우수한 산소발생 성능을 나타냈으며, 10 mA/cm2 geo에서의 overpotential 및 Tafel slope가 가장 낮아 우수한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8 (d)로부터 Mass activity 및 specific activity 모두 Ag의 치환율 x가 0.05인 실시예 1이 가장 우수하며 비교예 대비 1.8배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상용 IrO2 촉매 대비 8배 이상의 활성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Mass activity는 촉매 질량당 활성을 의미하며, Specific activity는 전기화학적 활성 면적당 활성을 의미한다.
도 9 (a)는 타펠 기울기 (Tafel slope)를 나타낸 결과이며, (b)는 10 mA/cm2 geo에서의 chronopotentiometry test 결과이다.
도 9 (a)에서 볼 수 있듯이, Ag의 치환율 x가 0.05인 실시예 1이 가장 작은 Tafel slope를 나타냈으며, (b)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촉매 모두 상용 IrO2 촉매 대비 현저히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ADT (Accelerated Durability Test) 전과 후의 LSV (Linear Sweep Voltammetry)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비교예; (b)는 실시예 1; (c)는 실시예 2; (d)는 실시예 3; (e)는 상용 IrO2 촉매에 대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ADT는 scan rate 100 mV/s; 전압 0.241-0.741V (vs. Hg/HgO, 1 M NaOH) 조건에서 1000 사이클 동안 CV (cyclic voltammetry) 테스트를 진행한 뒤, 상기 LSV 테스트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LSV 테스트를 수행한 것으로, 그 결과는 도 10에 도시하였다. 이때 전압은 RHE 기준 전압으로 환산한 값을 표시하였다.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3에세 제조된 촉매 모두 1000 사이클 동안 CV 테스트 후에도 상용 IrO2 촉매 대비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소발생용 촉매.
    [화학식 1]
    La1-xMxNiO3-y
    화학식 1에서 M은 은이고, 0.048 ≤ x ≤ 0.052 이며, 0 < y < 1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의 평균 입자크기는 1 내지 200 ㎚인, 산소발생용 촉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표면에 결합된 귀금속 입자를 더 포함하는, 산소발생용 촉매.
  7. (a) 란타늄 전구체, 니켈 전구체 및 귀금속 전구체를 포함하는 금속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전구체 용액 및 탄소수 4 내지 6의 유기산을 혼합하여 졸-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졸-겔 반응에 의해 형성된 겔 화합물을 건조 및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귀금속 전구체는 AgNO3, AgClO3, Ag2CO3, Ag2SO4 및 AgC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소발생용 촉매의 제조방법.
    [화학식 1]
    La1-xMxNiO3-y
    화학식 1에서 M은 은이고, 0.048 ≤ x ≤ 0.052 이며, 0 < y < 1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은 500 내지 1500℃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하는, 산소발생용 촉매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란타늄 전구체는 La2O3, La(NO3)3, LaOCl 및 LaCl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산소발생용 촉매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전구체는 Ni(NO3)2, NiCl2, NiCO3, NiBr2 및 Ni2S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산소발생용 촉매의 제조방법.
KR1020210020268A 2021-02-16 2021-02-16 산소발생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5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68A KR102585162B1 (ko) 2021-02-16 2021-02-16 산소발생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68A KR102585162B1 (ko) 2021-02-16 2021-02-16 산소발생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875A KR20220116875A (ko) 2022-08-23
KR102585162B1 true KR102585162B1 (ko) 2023-10-06

Family

ID=8309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268A KR102585162B1 (ko) 2021-02-16 2021-02-16 산소발생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162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dv. Energy Mater. 2021. 11. 2003755*
Front. Mater. Sci. 2019. 13(3): 277-28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875A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druzzaman et al. Recent advances in cobalt based heterogeneous catalysts for oxygen evolution reaction
Chen et al. Nanocarbon/oxide composite catalysts for bifunctional oxygen reduction and evolution in reversible alkaline fuel cells: A mini review
Beall et al. Perovskite oxide based electrodes for the oxygen reduction and evolution reactions: the underlying mechanism
Ghosh et al. Multifunctional nanostructured electrocatalysts for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Vignesh et al. Porous LaCo1–x Ni x O3− δ nanostructures as an efficient electrocatalyst for water oxidation and for a zinc–air battery
Zhang et al. Boosting overall water splitting via FeOOH nanoflake-decorated PrBa0. 5Sr0. 5Co2O5+ δ nanorods
Liu et al. A facile synthesis of CoFe 2 O 4/biocarbon nanocomposites as efficient bi-functional electrocatalysts for the oxygen reduction and oxygen evolution reaction
Ouyang et al. A self-supported NiCo 2 O 4/Cu x O nanoforest with electronically modulated interfaces as an efficient electrocatalyst for overall water splitting
Jiang et al. Nanoscale Architecture of RuO2/La0. 9Fe0. 92Ru0. 08–x O3− δ Composite via Manipulating the Exsolution of Low Ru-Substituted A-Site Deficient Perovskite
Kumar et al. Multifunctionality exploration of Ca2FeRuO6: An efficient trifunctional electrocatalyst toward OER/ORR/HER and photocatalyst for water splitting
Ghoshal et al. ZIF 67 based highly active electrocatalysts as oxygen electrodes in water electrolyzer
Choi et al. Multiple perovskite layered lanthanum nickelate Ruddlesden-Popper systems as highly active bifunctional oxygen catalysts
Zhao et al. Enhancing hydrogen evolution reaction activity on cobalt oxide in alkaline electrolyte by doping inactive rare-earth metal
CN114293223B (zh) 一种由簇基框架材料制备超细二氧化铈担载金属单原子催化剂的方法
US10221492B2 (en) Electrocatalyst for acidic media and method of making an electrocatalyst for acidic media
Zhang et al. Cation modulation of cobalt sulfide supported by mesopore-rich hydrangea-like carbon nanoflower for oxygen electrocatalysis
CN113437314B (zh) 氮掺杂碳负载低含量钌和Co2P纳米粒子的三功能电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36831B1 (ko) 니켈철셀레나이드 나노하이브리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물분해 반응용 촉매 전극의 제조방법
CN112758996B (zh) 一种双功能氧电催化剂及其制备和应用
CN112877725A (zh) 一种钌/氧化钌修饰的氮掺杂石墨烯三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otha et al. Potassium-substituted LaMnO3 as a highly active and exceptionally stable electrocatalyst toward bifunctional oxygen reduction and oxygen evolution reactions
Paulraj et al. La 0.1 Ca 0.9 MnO 3/Co 3 O 4 for oxygen reduction and evolution reactions (ORER) in alkaline electrolyte
Flores-Lasluisa et al. LaNi1-xCoxO3 perovskites for application in electrochemical reactions involving molecular oxygen
KR20220052253A (ko) 수전해용 귀금속/전이금속 산화물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Li et al. Two-Dimensional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L-Derived Iron–Cobalt Oxide Nanoparticle-Composed Nanosheet Array for Water Oxi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