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935B1 -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935B1
KR102584935B1 KR1020220149472A KR20220149472A KR102584935B1 KR 102584935 B1 KR102584935 B1 KR 102584935B1 KR 1020220149472 A KR1020220149472 A KR 1020220149472A KR 20220149472 A KR20220149472 A KR 20220149472A KR 102584935 B1 KR102584935 B1 KR 102584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nozzle
rotatably coupled
rotates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테크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테크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테크놀
Priority to KR102022014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01C23/2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specially adapted for automatic spraying of interrupted, individual or variable mark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3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spray heads moved by robots or articulated arms, e.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3D-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75Manipulators for painting o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9End effectors other tha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작업의 노동력과 정교함이 없이도 도로 표면에 표식부의 도장이 용이하며, 인사사고 예방할 수 있고, 이동은 물론,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표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식부를 도장하기 위한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장장치는 이동수단 내외부로 출입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종방향은 물론,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암 형성부 및 도장을 위한 도료의 분사가 가능하게 상기 암 형성부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Road painting device}
본 기술은 작업자의 노동력과 정교함이 없이도 도로 표면에 표식부의 도장이 용이하며, 이동은 물론,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에는 주행방향을 분리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앙에 도색되는 중앙 분리선과, 차량이 분리되어 주행할 수 있는 차선, 제한속도, 진행 방향을 표시한 화살표, 제한속도 표시, 텍스트에 의해 주행방향으로의 지명 및 기호 등의 각종 표식부가 도색되어 있다.
이때, 몇 가지 규칙(도로공사 시방서 참조)에 따라서 중앙 분리선은 황색으로 도색되고, 차선은 흰색으로 이루어진 한 줄 또는 두 줄의 실선과 점선으로 각각 표시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명이나 기호 등은 흰색 또는 황색으로 표기(도장)된다.
이러한 도로에 표시되는 표식부의 도장은 별도의 도장장치를 통하여 실행되게 되는데, 이러한 도장장치의 종래기술로 도 1에 도시한 국내등록실용 제20-0288099호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종래의 수동식 차선 도색 장치는, 손잡이, 바퀴, 도료저장탱크, 반사체탱크, 및 연료통이 구비되는 대차와, 대차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도료저장탱크에 저장된 도료를 노면에 살포하는 도료살포부와, 도료저장탱크의 온도를 높여주는 가열부와, 도료살포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반사체탱크에서 저장된 반사체를 살포하는 반사체살포부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동식 차선 도색 장치는 작업 인부가 도로표식에 맞게 수동으로 밀면서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도로의 노면에 도로표식을 페인팅 살포하는 방식으로 고강도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며, 특히, 텍스트 형태나 기호 이미지(예를 들어, 지명의 마스코트) 등의 도색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서 그 품질이 결정되므로 일정한 품질의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색장치는 장치 자체의 하중에 의해 이동이 불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한 보관의 불편함도 갖게 된다.
국내등록실용 제20-0288099호(공고일:2002.09.05.) 국내등록특허 제10-1975515호(공고일:2019.05.08.) 국내등록특허 제10-2366694호(공고일:2022.02.22.) 국내등록특허 제10-2307243호(공고일:2021.09.30.)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에 표식부를 도장시에 별도의 노동력이 없이도 자동으로 도장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의 숙련도와 상관 없이 정교한 표식부의 도장이 가능한 도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대비하여 이동 및 보관의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는 도로 표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식부(M)를 도장하기 위한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장장치는 이동수단(C) 내외부로 출입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종방향은 물론,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암 형성부(100) 및 도장을 위한 도료의 분사가 가능하게 상기 암 형성부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즐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 형성부(100)는 상기 노즐부(200)가 이동수단(C) 내외로 출입 가능하도록 종방향으로 회전하는 다관절 형태의 제1암부(100a) 및 일측이 상기 제1암부(100a)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은 상기 노즐부(200)가 구비되며, 횡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회전반경(R) 내에서 상기 노즐부(200)에 의한 도장위치를 제어하는 제2암부(100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암부(100a)는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암(120)과, 상기 메인암(1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일측은 상기 제2암부(100b)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서브암(130) 및 상기 서브암(130)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노즐부(200)의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서브암(130)이 수평을 유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링크암(1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암(120)은 상기 서브암(130)의 길이 중앙부와 종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메인암(1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링크암(140)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암(130)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포물선을 이루도록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110)는 이동수단(C)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111)와, 상기 베이스(111) 상면에 형성되되 구동기어(115)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상기 메인암(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3)가 구비된 제1설치브라켓(120) 및 상기 베이스(111)에 설치되되 상기 링크암(140)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설치브라켓(11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암부(100b)는 상기 제1암부(100a)에 설치되는 제1회전부재(150)와, 일측이 상기 제1회전부재(15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회전암(160) 및 일측이 제2회전부재(180)에 의해 상기 제1회전암(160)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에는 상기 노즐부(200)가 구비되는 제2회전암(17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부(200)는 상기 암 형성부(100)와 수직방향으로 노즐대(210)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부(200)는 상기 암 형성부(100) 또는 노즐부(200)에 설치되어 지면과의 높이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22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작업자의 숙련도나 노동력의 소요가 없이 제어부에 저장된 알고리즘에 통해 도로 표면에 텍스트 형태의 정교한 표식부 도장이 신속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인건비 절감과 사고예방에 대한 기대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이동수단에 장착된 상태에서 표식부의 도장이 가능함에 따라 이동 및 보관의 용이성을 기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공지된 종래의 도장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에 대한 이동수단 내에서 제1암부의 종방향 회전과 제2암부의 횡방향 회전을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에 대한 회전반경 내에서의 제2암부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에 대한 거리측정센서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에 의한 도로에 도장된 표식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이하, 간략하게 '도장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이동수단(C)은 후면 도어가 개폐 가능한 탑차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인 도장장치(1)를 탑재하여 이동하되 도장장치(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루프 등이 구비된 차량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1)는 크게 암 형성부(100) 및 노즐부(200)를 포함하며, 상기한 구성들은 도시되지 않은 이동수단(C)에 장착된 제어부(300)를 통해 수동 또는 원격 등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부(300)에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도장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암 형성부(100)는 이동수단(C)에 탑재되되 후에 설명하고자 하는 노즐부(200)가 이동수단(C)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종방향은 물론, 횡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한 구조를 만족하는 구성으로 종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암부(100a) 및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암부(100b)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암부(100a)는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110), 메인암(120), 서브암(130) 및 링크암(140)이 다관절 구조를 갖도록 서로 연결 설치되어 제2암부(100b)가 이동수단(C)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부(110)는 메인암(120)을 회전시켜 상기 메인암(120)의 회전을 통해 서브암(130) 및 링크암(14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여 노즐부(200)가 설치된 제2암부(100b)가 도어가 개방된 이동수단(C) 외부로 돌출되어 도로(G)에 표식부(M)의 도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베이스(111), 제1설치브라켓(117) 및 제2설치브라켓(119)을 포함한다.
베이스(111)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이동수단(C)의 바닥면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또한, 제1설치브라켓(117)은 체결수단에 의해 베이스(111) 상면에 고정 장착되되 외면에는 제어부(300)의 제어를 통해 구동모터(11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13)의 구동축에는 메인암(120)에 구비된 종동기어(121) 외주면과 서로 치(齒) 결합하기 위한 구동기어(115)가 구동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구동모터(113)는 정방향(시계방향) 및 역방향 모두 회전이 가능한 감속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설치브라켓(119)은 상술한 제1설치브라켓(117)과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베이스(111) 상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설치브라켓(119)은 후에 설명하는 링크암(140) 일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메인암(120)은 상술한 구동모터(113)의 회전방향에 따라 서브암(130) 및 링크암(140)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며, 제2암부(100b)와 함께 이동수단(C) 내부에 위치하는 노즐부(200)를 해당 이동수단(C) 외부로 돌출시켜 도로에 표식부(M)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메인암(1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기어(121)가 구비된 일측이 구동기어(115)와 치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1설치브라켓(117)에 설치되며, 타측은 서브암(13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서브암(13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메인암(120)의 타측은 상기 서브암(130)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를 기준으로 그 중앙부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암(130)은 상술한 메인암(120)의 회전력을 링크암(140)에 전달함과 동시에 이동수단(C) 내부에 위치하는 제2암부(100b)가 표식부(M)의 도장을 위해 이동수단(C)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서브암(1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길이를 갖되 중앙부에는 메인암(1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일측에는 제2암부(100b)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은 링크암(140) 일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하여,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도장장치(1)가 한정된 수납공간을 갖는 이동수단(C)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메인암(120)이 구동모터(113)에 의해 회전하면 서브암(130)은 링크암(140)에 의해 항시 수평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수단(C)의 수납공간 내에서 간섭(예를 들어, 적재함 상부와 접촉)이 일어나지 않게 포물선의 형상을 갖는 종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링크암(140)은 서브암(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메인암(120)의 동력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노즐부(200)가 구비된 제2암부(100b)에 의해 무게가 편중된 상기 서브암(13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암부(100b)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암부(100a)의 종방향 회전을 통해 이동수단(C) 외부로 노출되어 후에 설명하는 노즐부(200)에 의해 원하는 표식부(M)의 도장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회전부재(150), 제1회전암(160) 및 제2회전암(170)을 포함한다.
제1회전부재(1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암(130) 일측에 장착되되 제어부(300)의 제어신호를 통해 제1회전암(160)이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회전부재(150)는 물론, 후에 설명하는 제2 및 제3회전부재(180,190)는 일예로 감속 기능을 갖는 모터 등이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회전부재(150) 상부에는 표식부(M)의 도장을 위해 노즐부(200)에 공급되는 도료관(미도시)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은 견인 가능한 케이블은 물론, 도료관이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브라켓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1회전암(160)은 일측이 제1회전부재(15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에는 제2회전암(17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암부(100b) 전체가 다관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제2회전암(170)은 일측이 제1회전암(160)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에는 노즐부(200)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제1회전암(160)과 제2회전암(170)은 상기 제1회전암(160) 또는 상기 제2회전암(170)에 구비된 제2회전부재(180)를 통해 상기 제2회전암(170)이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회전암(170) 타측에는 노즐부(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3회전부재(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제2암부(100b)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제1 및 제2회전암(160,17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제1회전부재(150)에 의해 회전하는 소정의 회전반경(R) 내에서 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다관절 구조를 통해 도장하고자 하는 표식부(M)의 형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20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2암부(100b)에 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도로에 표식부(M)를 도장하기 위한 도료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노즐(213)을 포함하는 노즐대(210) 및 거리측정센서(220)를 포함한다.
예컨대 노즐대(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3회전부재(19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2회전암(170) 타측 하부에 설치되되 스크류 등과 같은 승강수단(211)에 의해 노즐이 구비된 노즐대(210)가 승강하여 노즐(213)에서 분사되는 도료에 의해 표식부(M) 형성을 위한 도장을 도로 표면에 실행한다(도 7 참조).
이를 위해, 노즐(213)은 도료관과 관 연결되어 도료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도장을 실행시에는 거리측정센서(220)에 의해 지면에서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제어부(300)의 제어를 통해 하강하여 표식부(M)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거리측정센서(2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대(210) 외면 또는 제2회전암(170)에 배치되어 도로와의 높이를 레이저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원활한 도장의 실행을 위해 거리측정센서(220)를 통한 노즐(213)과 도로 표면 간의 높이는 약 10 내지 20mm의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작업자의 숙련도나 노동력의 소요가 없이 제어부(300)에 저장된 알고리즘에 통해 도로 표면에 텍스트 형태의 정교한 표식부(M) 도장이 신속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인건비 절감과 사고예방에 대한 기대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이동수단(C)에 장착된 상태에서 표식부(M)의 도장이 가능함에 따라 이동 및 보관의 용이성을 기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도로용 도장장치
100: 암 형성부
100a: 제1암부 100b: 제2암부
110: 구동부 111: 베이스
113: 구동모터 115: 구동기어
117: 제1설치브라켓 119: 제2설치브라켓
120: 메인암 121: 종동기어
130: 서브암 140: 링크암
150: 제1회전부재 160: 제1회전암
170: 제2회전암 180: 제2회전부재
190: 제3회전부재
200: 노즐부
210: 노즐대 211: 승강수단
213: 노즐 220: 거리측정센서
300: 제어부
C: 이동수단
G: 도로
M: 표식부

Claims (8)

  1. 도로 표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식부(M)를 도장하기 위한 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장장치는
    이동수단(C) 내외부로 출입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종방향은 물론,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암 형성부(100); 및
    도장을 위한 도료의 분사가 가능하게 상기 암 형성부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즐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암 형성부(100)는 상기 노즐부(200)가 이동수단(C) 내외로 출입 가능하도록 종방향으로 회전하는 다관절 형태의 제1암부(100a) 및 일측이 상기 제1암부(100a)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은 상기 노즐부(200)가 구비되며, 횡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회전반경(R) 내에서 상기 노즐부(200)에 의한 도장위치를 제어하는 제2암부(1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암부(100a)는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암(120)과, 상기 메인암(1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일측은 상기 제2암부(100b)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서브암(130) 및 상기 서브암(130)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노즐부(200)의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서브암(130)이 수평을 유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링크암(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암(120)은
    상기 서브암(130)의 길이 중앙부와 종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메인암(1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링크암(140)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암(130)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포물선을 이루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10)는
    이동수단(C)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111);
    상기 베이스(111) 상면에 형성되되 구동기어(115)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상기 메인암(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3)가 구비된 제1설치브라켓(120); 및
    상기 베이스(111)에 설치되되 상기 링크암(140)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설치브라켓(1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암부(100b)는
    상기 제1암부(100a)에 설치되는 제1회전부재(150);
    일측이 상기 제1회전부재(15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회전암(160); 및
    일측이 제2회전부재(180)에 의해 상기 제1회전암(160)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에는 상기 노즐부(200)가 구비되는 제2회전암(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200)는
    상기 암 형성부(100)와 수직방향으로 노즐대(210)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200)는
    상기 암 형성부(100) 또는 상기 노즐부(200)에 설치되어 지면과의 높이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2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KR1020220149472A 2022-11-10 2022-11-10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KR10258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472A KR102584935B1 (ko) 2022-11-10 2022-11-10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472A KR102584935B1 (ko) 2022-11-10 2022-11-10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935B1 true KR102584935B1 (ko) 2023-10-06

Family

ID=8829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472A KR102584935B1 (ko) 2022-11-10 2022-11-10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93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099Y1 (ko) 2002-05-28 2002-09-05 지유진 차선도색기
KR20120004619A (ko) * 2010-07-07 2012-01-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텔레스코픽 기능을 갖춘 도로면 크랙 실링 자동화 장치
KR101975515B1 (ko) 2017-04-12 2019-05-08 이종민 로봇타입의 도로표식을 페인팅 하는 장치
KR102139342B1 (ko) * 2020-02-07 2020-07-29 (주)라인테크 자동화장비를 이용한 노면 문자 자동 도색장치
KR102307243B1 (ko) 2020-10-30 2021-09-30 한국브로치주식회사 융착식 도로 마킹머신 및 제어 방법
KR102357679B1 (ko) * 2021-08-23 2022-02-08 조현우 차선 도색차량용 차선폭 자동 조절 장치
KR102366694B1 (ko) 2020-01-20 2022-02-2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도색로봇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099Y1 (ko) 2002-05-28 2002-09-05 지유진 차선도색기
KR20120004619A (ko) * 2010-07-07 2012-01-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텔레스코픽 기능을 갖춘 도로면 크랙 실링 자동화 장치
KR101975515B1 (ko) 2017-04-12 2019-05-08 이종민 로봇타입의 도로표식을 페인팅 하는 장치
KR102366694B1 (ko) 2020-01-20 2022-02-2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도색로봇
KR102139342B1 (ko) * 2020-02-07 2020-07-29 (주)라인테크 자동화장비를 이용한 노면 문자 자동 도색장치
KR102307243B1 (ko) 2020-10-30 2021-09-30 한국브로치주식회사 융착식 도로 마킹머신 및 제어 방법
KR102357679B1 (ko) * 2021-08-23 2022-02-08 조현우 차선 도색차량용 차선폭 자동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917B1 (en) Outrigger assembly for a mobile telescopic belt conveyor
US5855359A (en) Combination wheel ramp and jack
US5328066A (en) Cart device and method
US3709322A (en) Overhead service apparatus with swivel platform
KR200428708Y1 (ko)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미립자 광역방제기
US4031976A (en) Construction vehicle having retractable wheels for towing
US5265394A (en) Expandable-retractable portable structure
CN105026227A (zh) 双重缠绕千斤顶
SU1012793A3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универс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KR102584935B1 (ko) 이동식 도로용 도장장치
EP1777102B1 (en) Integral paving vehicle
US3253677A (en) Vehicle carried boom
US10399785B1 (en) Compact portable conveyor
EP0099636B1 (en) Access equipment
KR10155271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표시장치
US2235595A (en) Device for moving a vehicle at an angle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runs normally
US4206833A (en) Mobile aerial tower
US7204378B2 (en) Goods transshipment apparatus
KR102101572B1 (ko) 싸인카 방향표시장치가 구비된 트레일러
CN213725510U (zh) 一种便于控制转动角度的雾炮机
CN211385476U (zh) 小型喷漆装置
KR102261873B1 (ko)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CN106015863A (zh) 一种龙门架显示屏用旋转装置
US4954010A (en) Transverse-mounted slurry sealant box assembly
JP3223856U (ja) 簡易ハ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