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884B1 - Bucke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ucke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884B1
KR102584884B1 KR1020220142438A KR20220142438A KR102584884B1 KR 102584884 B1 KR102584884 B1 KR 102584884B1 KR 1020220142438 A KR1020220142438 A KR 1020220142438A KR 20220142438 A KR20220142438 A KR 20220142438A KR 102584884 B1 KR102584884 B1 KR 10258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ing member
unit
loading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비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비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4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8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8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 B66F2700/123Details concerning the support members or devices not related to the lift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버켓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은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적재부, 적재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적재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턴테이블, 적재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적재부의 상하방향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 및 적재부의 타측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적재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탑승부를 포함한다.A vehicle bucket is provided. A bucke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loading part with a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the load can be loaded,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part, a turntable formed so that the loading part can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part. It includes a tilt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vertical inclination of the unit and a boarding unit that is formed to allow a person to ride on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unit and is formed to selectively move inside or outside of the loading unit.

Description

차량용 버켓{Bucket for vehicle}Bucke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버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수용되는 버켓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버켓의 이동 시 수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차량용 버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et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ucket for a vehicle that minimizes the volume of the bucket accommodated in the vehicle and maintains a stable horizontal position when the bucket is moved.

일반적으로 건물의 간판이나 높은 위치에 있는 광고물의 작업 등 사다리로 작업하기 힘든 높은 위치의 장소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특정장비를 갖춘 고소작업차량이 이용되고 있다. 이때, 사람이 직접 수작업 하기 위해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버켓을 붐(Boom) 끝에 장착하고 붐을 작업위치까지 이동하여 작업하고 있다.In general, aerial work vehicles equipped with specific equipment are used to work in high places where it is difficult to work with a ladder, such as work on building signs or advertisements at high locations. At this time, in order to perform the work manually, a bucket that a person can ride on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boom and the boom is moved to the working position.

그러나 사람이 탑승하기 위해 버켓의 부피가 커지고 버켓을 수용하기 위해 고소작업차량의 크기도 커지는 문제와 고소작업 중 버켓의 위치 이동에 따라 버켓의 수평이 달라져서 버켓에 탑승한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volume of the bucket increases in order for people to board, and the size of the aerial work vehicle also increases to accommodate the bucket, and the level of the bucket chang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bucket during aerial work, resulting in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worker riding the bucket falls. It is happening.

따라서 버켓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버켓이 이동되는 상황에서 버켓의 수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차량용 버켓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vehicle bucket that can minimize the volume of the bucket and at the same time keep the horizontality of the bucket constant when the bucket is moved in consideration of worker safety.

KRKR 10-1955609 10-1955609 B1B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탑승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적재부가 기울어지는 상태에서도 탑승부의 수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차량용 버켓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bucket for a vehicle in which the horizontal level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can be maintained constant even when the loading unit is til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재부의 제2 회전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을 통해 탑승부가 적재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차량용 버켓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bucket for a vehicle that allows the riding unit to selectively move inside or outside the loading unit by rotating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axis member of the loading unit.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재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턴테이블;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의 상하방향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 및 상기 적재부의 타측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탑승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버켓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re is provided a loading unit with a space formed therein to allow loading of goods; A turntable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loading unit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loading unit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tilt adjustment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to adjust the vertical tilt of the loading unit; and a bucket for a vehicle including a boarding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part so that a person can ride on it and selectively moving inside or outside the loading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용 버켓은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적재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1 회전축부재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틸팅하고, 상기 기울기 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회전축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적재부에 연결되며 유압에 의해서 상기 적재부를 틸팅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bucket includes a first rotation shaft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turntable and the loading unit, the loading unit til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and the tilt adjustment unit has one side.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member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loading unit, and the loading unit can be tilted by hydraulic pressu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향되는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3 프레임에 대향되는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4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회전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축부재는 상기 탑승부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부가 상기 제2 회전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에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4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탑승부와 핀 결합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탑승부와 핀 결합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oading unit includes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third frame; a fourth fram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frame;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frame and the fourth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nd the fourth frame. It includes a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is installed on the boarding unit so that the boarding unit rotates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to load the vehicle. moves inside the unit, a hole or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fourth frame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the boarding unit. A hole or groove may be formed to be coupled with a pi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부재 및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3 연결부재 및 상기 제4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탑승부와 핀 결합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oading unit includes a third connecting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and a fourth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frame and the fourth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nd the fourth frame, wherein the third connecting member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are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a hole or groove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탑승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부재 및 상기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탑승부가 내부로 이동할 때 핀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on a side part of the load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inside the loading unit and the The pins may be engaged when the vehicle moves inw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은 기울기 조절부를 통해 적재부의 제1 프레임 내지 제4 프레임이 기울어짐과 동시에 제1 연결부재 내지 제4 연결부재가 제1 프레임 내지 제4 프레임에 대응하게 회동가능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된 탑승부의 수평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작업 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vehicle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frames of the loading part are tilted through the tilt adjuster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to fourth connecting members are rota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 fourth frames. By maintaining the vertical state as much as possible, the horizontality of the boarding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is maintained constant, thereby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during work.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은 적재부의 제2 회전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을 통해 탑승부가 적재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작업 시에 탑승부를 적재부의 외부로 이동하여 사용하고 차량 이동 시 탑승부를 적재부 내부로 이동시켜 활용면적 대비 버켓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버켓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selectively moving the riding part inside or outside the loading part by rotating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axis member of the loading part, so that the riding part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part during work. Also, by moving the boarding part inside the loading part when moving the vehicle, the volume of the bucket compared to the usable area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bucket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은 붐과 제1 회전축부재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턴테이블을 배치하여 버켓의 좌우방향을 조정함으로써, 고소작업의 위치에 따라 좌우방향을 조정하므로 작업위치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 turntable that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etween the boom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member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ucket, there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high-altitude work. The precision of location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의 차량에 수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의 탑승부의 제1 탑승부가 적재부 내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의 탑승부가 적재부 내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의 기울기 조절부를 통해 탑승부의 기울기가 조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ucket in a state accommodat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cke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arding part of the vehicle bucket has moved inside the load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arding part of a vehicle bucket has moved inside the load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boarding unit is adjusted through the inclination adjusting unit of the vehicle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bucke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의 차량에 수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ucket in a state accommodat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100)은 작업자에 의한 고소작업이 필요한 상황에서 고소작업차량(10)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위치 변경에 따른 버켓이 이동할 경우 작업자가 탑승한 탑승부(150)의 수평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고소작업이 가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량용 버켓(100)은 공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탑승부(150)를 적재부(110)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bu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high-altitude work vehicle 10 in a situation where high-altitude work by a worker is required, so that the worker can board and work at a high position, This is to enable stable work at height by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boarding unit 150 on which the worker rides when the bucket moves due to a change in work location. Additionally, the vehicle bucket 100 is used to move the boarding unit 150 into or out of the loading unit 110 to improve space efficienc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의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cke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100)은 적재부(110), 제1 회전축부재(120), 턴테이블(130), 기울기 조절부(140), 및 탑승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vehicle bu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unit 110, a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a turntable 130, a tilt adjustment unit 140, and a boarding unit ( 150) may be included.

적재부(110)는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재부(110)는 다수개의 부재가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더욱이, 적재부(110)는 상하방향(예: 도 2의 위아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길이방향(예: 도 2의 좌우방향)의 좌우 높이가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적재부(110)는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탑승부(15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적재부(110)는 내부에 탑승부(150)를 수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적재부(110)는 중심부 외측이 제1 회전축부재(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적재부(110)는 제1 회전축부재(120)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The loading unit 110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to load items. Additionally, the loading unit 110 may be a state in which multiple members are combined. Furthermore, the loading unit 110 is hinged so that it can rot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e.g.,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2) so that the left and right heigh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2) can vary. Additionally, the loading unit 110 may have a boarding unit 150 connect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loading unit 110 can accommodate the boarding unit 150 therein. Furthermore, the outside of the center of the loading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At this time, the loading unit 110 may be til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적재부(110)는 제1 프레임(111), 제2 프레임(112), 제3 프레임(113), 제4 프레임(114), 제1 연결부재(115), 제2 연결부재(116), 제3 연결부재(117), 제4 연결부재(118), 및 제2 회전축부재(1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ing unit 110 includes a first frame 111, a second frame 112, a third frame 113, a fourth frame 114, a first connection member 115, a second connection member 116, It may include a third connecting member 117, a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and a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119.

제1 프레임(111)은 탑승부(150)와 핀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11)은 적재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1)은 일측(예: 도 2의 오른쪽) 상면에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11)의 지지대는 기울기 조절부(140)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1)은 제1 회전축부재(120)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프레임(111)은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홀 또는 홈에 제1 연결부재(115) 및 제3 연결부재(117)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111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r grooves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150. At this time, the first frame 111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110. Additionally, the first frame 111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bar on one side (eg, the right side of FIG. 2). At this time, the support of the first frame 111 may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tilt adjustment unit 140. Additionally, the first frame 11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by being rotatably hinged. Furthermore, the first frame 111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paced apart holes or grooves by rotatably hingedly coupl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17.

제2 프레임(112)은 탑승부(150)와 핀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112)은 적재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제1 프레임(111)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12)은 일측(예: 도 2의 오른쪽) 상면에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112)의 지지대는 기울기 조절부(140)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12)은 제1 회전축부재(120)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프레임(112)은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홀 또는 홈에 제2 연결부재(116) 및 제4 연결부재(118)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112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r grooves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150. At this time, the second frame 112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110 and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ly opposite posit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frame 111. Additionally, the second frame 112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bar on one side (eg, the right side of FIG. 2). At this time, the support of the second frame 112 may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tilt adjustment unit 140. Additionally, the second frame 11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by being rotatably hinged. Furthermore, the second frame 112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paced apart holes or grooves by rotatably hingedly coupling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제3 프레임(113)은 탑승부(150)와 핀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프레임(113)은 적재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제1 프레임(111)에 대응되도록 수직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프레임(113)은 제1 회전축부재(120)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제3 프레임(113)은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홀 또는 홈에 제1 연결부재(115) 및 제3 연결부재(117)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프레임(113)은 양측 단부의 홀 또는 홈에 제2 회전축부재(119)가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frame 113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r grooves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150. At this time, the third frame 113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110 and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ly opposite posit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frame 111. Additionally, the third frame 11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by being rotatably hinged. Furthermore, the third frame 113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paced apart holes or grooves by rotatably hingedly coupl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17. Additionally, the third frame 113 may have a second rotation axis member 119 connected to holes or grooves at both ends.

제4 프레임(114)은 탑승부(150)와 핀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프레임(114)은 적재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제2 프레임(112) 및 제3 프레임(113)에 대응되도록 수직수평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4 프레임(114)은 제1 회전축부재(120)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제4 프레임(114)은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홀 또는 홈에 제2 연결부재(116) 및 제4 연결부재(118)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프레임(114)은 양측 단부의 홀 또는 홈에 제2 회전축부재(119)가 연결될 수 있다.The fourth frame 114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r grooves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150. At this time, the fourth frame 114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110 and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pposite position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third frame 113. Additionally, the fourth frame 11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by being rotatably hinged. Furthermore, the fourth frame 114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paced apart holes or grooves by rotatably hingedly coupling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Additionally, the fourth frame 114 may have a second rotation axis member 119 connected to holes or grooves at both ends.

제1 연결부재(115)는 제1 프레임(111)과 제3 프레임(11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115)는 탑승부(150)와 핀 결합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115)는 제1 프레임(111)과 제3 프레임(113)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재(115)는 제1 프레임(111) 및 제3 프레임(113)의 회전과 같은 각도만큼 회동가능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115)는 제1 프레임(111) 및 제3 프레임(113)의 양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115)는 탑승부(150)가 적재부(110)의 외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may connect the first frame 111 and the third frame 113. Additionall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may have a hole or groove formed therein so as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150.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may be rotatably hinged to the first frame 111 and the third frame 113.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can be rotated by the same angle as the rotation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third frame 113 and can maintain a vertical state. Additionall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third frame 113. Additionall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may be pin-coupled while the boarding unit 15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unit 110.

제2 연결부재(116)는 제2 프레임(112)과 제4 프레임(114)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재(116)는 탑승부(150)와 핀 결합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재(116)는 제2 프레임(112)과 제4 프레임(114)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재(116)는 제2 프레임(112) 및 제4 프레임(114)의 회전과 같은 각도만큼 회동가능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재(116)는 제2 프레임(112) 및 제4 프레임(114)의 양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115)는 탑승부(150)가 적재부(110)의 외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may connect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fourth frame 114. Additionall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may have a hole or groove formed therein so as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150.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may be rotatably hinged to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fourth frame 114.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can be rotated by the same angle as the rotation of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fourth frame 114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Additionall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fourth frame 114. Additionall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may be pin-coupled while the boarding unit 15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unit 110.

제3 연결부재(117)는 제1 연결부재(115)와 이격 배치되어 제1 프레임(111)과 제3 프레임(11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부재(117)는 탑승부(150)와 핀 결합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연결부재(117)는 제1 프레임(111)과 제3 프레임(113)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연결부재(117)는 제1 프레임(111) 및 제3 프레임(113)의 회전과 같은 각도만큼 회동가능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부재(117)는 제1 프레임(111) 및 제3 프레임(113)의 양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부재(117)는 탑승부(150)가 적재부(110)의 내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핀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ng member 117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nd connect the first frame 111 and the third frame 113. Additionally,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17 may have a hole or groove formed therein so as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150. At this time,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17 may be rotatably hinged to the first frame 111 and the third frame 113. More specifically,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17 can be rotated by the same angle as the rotation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third frame 113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Additionally,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17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third frame 113 at a certain distance inwardly. Additionally,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17 may be pin-coupled while the boarding unit 150 moves inside the loading unit 110.

제4 연결부재(118)는 제2 연결부재(116)와 이격 배치되어 제2 프레임(112)과 제4 프레임(114)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4 연결부재(118)는 탑승부(150)와 핀 결합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연결부재(118)는 제2 프레임(112)과 제4 프레임(114)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 연결부재(118)는 제2 프레임(112) 및 제4 프레임(114)의 회전과 같은 각도만큼 회동가능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연결부재(118)는 제2 프레임(112) 및 제4 프레임(114)의 양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4 연결부재(118)는 탑승부(150)가 적재부(110)의 내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핀 결합될 수 있다.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and connect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fourth frame 114. Additionally,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may have a hole or groove formed therein so as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150. At this time,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may be rotatably hinged to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fourth frame 114. More specifically,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can be rotated by the same angle as the rotation of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fourth frame 114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Additionally,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fourth frame 114 at a certain distance inwardly. Additionally,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may be pin-coupled while the boarding unit 150 moves inside the loading unit 110.

제2 회전축부재(119)는 중심에 삽입홀이 형성되며, 삽입홀에 원기둥형상의 봉이 삽입되어 봉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부재(119)는 탑승부(150)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탑승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축부재(119)는 양측의 제1 연결부재(115)와 제2 연결부재(116) 사이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제1 연결부재(115)와 제2 연결부재(116)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부재(119)는 탑승부(150)가 설치되어 제2 회전축부재(119)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축부재(119)는 적재부(110)에 내부로 회전하여 탑승부(150)를 적재부(1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The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119 has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a cylindrical ro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rotated about the rod. Additionally,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119 may protrude outwar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arding unit 150 and be coupled to the boarding unit 150. 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119 is disposed as a pair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on both sides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You can connect. In addition,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119 is equipped with a boarding unit 150 and can rotate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119. 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119 may rotate inside the loading unit 110 to move the riding unit 150 into the loading unit 110.

다른 예로, 제2 회전축부재(119)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탑승부(150)를 적재부(1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부재(119)는 탑승부(150)가 적재부(110)의 내부 특정위치 및 적재부(110)의 최부 특정위치에 정지하도록 스톱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축부재(119)는 스톱퍼에 의해 제1 연결부재(115) 내지 제4 연결부재(118)에 형성된 홀 또는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정지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119 can move the boarding unit 150 into the loading unit 110 in a sliding manner. Additionally, the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119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so that the boarding unit 150 stops at a specific position inside the loading unit 110 and at a specific position at the extreme end of the loading unit 110. 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119 may be stopp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or groov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to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by a stopper.

제1 회전축부재(120)는 적재부의 회전축으로서, 턴테이블(130)과 적재부(1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축부재(120)는 적재부(110)의 중심부를 축으로 적재부(11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회전축부재(120)는 하측과 측면이 개방되어 적재부(110)를 덮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부재(120)는 적재부(110)의 길이방향보다 좁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axis member 120 is a rotation axis of the loading unit and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urntable 130 and the loading unit 110. Additionally,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ading unit 110 about the center of the loading unit 110 . Furthermore, the first rotating shaft member 120 may have a lower and side surface open to cover the loading unit 110.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may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110.

제1 회전축부재(120)는 제1 판(121), 제2 판(122), 및 제3 판(1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may include a first plate 121, a second plate 122, and a third plate 123.

제1 판(121)은 제1 프레임(111) 및 제3 프레임(113)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판(121)은 제1 프레임(111) 및 제3 프레임(113)에 핀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판(121)은 중심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21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third frame 113. Additionally, the first plate 121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r grooves to be pin-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11 and the third frame 113. Additionally, a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121.

제2 판(122)은 제2 프레임(112) 및 제4 프레임(114)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판(122)은 제2 프레임(112) 및 제4 프레임(114)에 핀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판(122)은 제1 판(121)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판(122)은 중심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122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fourth frame 114. Additionally, the second plate 122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r grooves to be pin-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112 and the fourth frame 114. At this time, the second plate 122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plate 121. Additionally, the second plate 122 may have a hole formed in the center.

제3 판(123)은 제1 판(121) 및 제2 판(12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제3 판(123)은 제1 판(121) 및 제2 판(122)과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판(123)은 상면의 중심부에 턴테이블(1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 판(123)은 턴테이블(13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더욱이, 제3 판(123)은 일측면(예: 도 2의 오른쪽면)에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 판(123)의 지지대는 기울기 조절부(140)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third plate 123 may have a structure that connects upper ends of the first plate 121 and the second plate 122. At this time, the third plate 123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plate 121 and the second plate 122. Additionally, the turntable 130 may 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plate 123. Because of this, the third plate 123 can be rotated left and right by the turntable 130. Furthermore, the third plate 123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on one side (eg, the right side in FIG. 2). At this time, the support of the third plate 123 may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tilt adjustment unit 140.

턴테이블(130)은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130)은 하면이 적재부(110)의 제3 판(123)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턴테이블(130)은 상면이 고소작업차량(10)의 붐(20)에 연결될 수 있다.The turntable 130 may be rotatabl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ddition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turntabl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third plate 123 of the loading unit 110.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boom 20 of the aerial work vehicle 1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100)은 붐(20)과 제1 회전축부재(120)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턴테이블(130)을 배치하여 버켓의 좌우방향을 조정함으로써, 고소작업의 위치에 따라 좌우방향을 조정하므로 작업위치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the vehicle bu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e turntable 130, which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etween the boom 20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member 120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ucket. ,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work at height, thereby improving the precision of the work location.

기울기 조절부(140)는 적재부(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적재부(110)의 상하방향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기울기 조절부(14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기울기 조절부(140)는 일측이 제1 회전축부재(120)의 제3 판(123)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제1 프레임(111) 또는 제2 프레임(112)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조절부(140)는 유압에 의해서 적재부(110)를 상하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The tilt adjustment unit 14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110 and can adjust the vertical tilt of the loading unit 110. At this time, the tilt adjustment unit 140 may be provided as a pair. More specifically, the pair of tilt adjustment units 140 have one side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third plate 123 of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and the other side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111 or the second frame 112. ) can be provided to be supported. Additionally, the tilt adjustment unit 140 can tilt the loading unit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hydraulic pressur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100)은 기울기 조절부(140)를 통해 적재부(110)의 제1 프레임(111) 내지 제4 프레임(114)이 기울어짐과 동시에 제1 연결부재(115) 내지 제4 연결부재(118)가 제1 프레임(111) 내지 제4 프레임(114)에 대응하게 회동가능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115) 및 제2 연결부재(116)와 연결된 탑승부(150)의 수평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작업 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vehicle bu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lts the first to fourth frames 111 to 114 of the loading unit 110 through the tilt adjustment unit 140 and simultaneously 1 The connecting members 115 to 4 connecting members 118 are rotat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ame 111 to fourth frames 114 and maintain a vertical state,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8 are maintained in a vertical state. Since the level of the boarding unit 15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16 is maintained constant,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mproved during work.

탑승부(150)는 적재부(110)의 양측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탑승부(150)는 적재부(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탑승부(150)는 제2 회전축부재(119)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적재부(110)에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The boarding unit 150 may be formed so that people can ride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unit 110. Additionally, the boarding unit 150 can selectively move inside or outside the loading unit 110. At this time, the boarding unit 150 may rotate relative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119 and move inside or outside the loading unit 110.

탑승부(150)는 제1 탑승부(151) 및 제2 탑승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arding unit 150 may include a first boarding unit 151 and a second boarding unit 152.

제1 탑승부(151)는 바닥을 가지며 바닥의 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는 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탑승부(151)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1 탑승부(151)는 적재부(110)의 일측(예: 도 2의 왼쪽)에 구비되어 적재부(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boarding unit 151 has a floor and may be made of a handrail having a certain height from the end of the floor. Additionally, the top of the first boarding unit 151 may be open so that workers can board it. At this time, the first boarding unit 15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110 (e.g., the left side of FIG. 2) and can be moved inside or outside of the loading unit 110.

제1 탑승부(151)는 제1 체결부(151a) 및 제2 체결부(15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oarding unit 151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art 151a and a second fastening part 151b.

제1 체결부(151a)는 제1 연결부재(115)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부(151a)는 제1 탑승부(151)의 일측(예: 도 2의 오른쪽) 난간에서 적재부(110)의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151a)는 제1 연결부재(115)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부(151a)는 제1 연결부재(115)와 결합되도록 제1 연결부재(115)의 홀 또는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151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part 151a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railing on one side of the first boarding unit 151 (e.g., the right side of FIG. 2) into the inside of the loading unit 110. Additionally, the first fastening part 151a may be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part 151a may have a hole or groov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or groov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so that it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제2 체결부(151b)는 제2 연결부재(116)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151b)는 제1 탑승부(151)의 일측(예: 도 2의 오른쪽) 난간에서 적재부(110)의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151b)는 제2 연결부재(116)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151b)는 제2 연결부재(116)와 결합되도록 제2 연결부재(116)의 홀 또는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51b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At this time, the second fastening part 151b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railing on one side of the first boarding unit 151 (e.g., the right side of FIG. 2) into the inside of the loading unit 110. Additionally,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51b may be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At this time, the second fastening part 151b may have a hole or groov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or groov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so that it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제2 탑승부(152)는 바닥을 가지며 바닥의 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는 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탑승부(152)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2 탑승부(152)는 적재부(110)의 타측(예: 도 2의 오른쪽)에 구비되어 적재부(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boarding unit 152 has a floor and may be made of a handrail having a certain height from the end of the floor. Additionally, the second boarding unit 152 may have an open top so that workers can board it. At this time, the second boarding unit 15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unit 110 (e.g., the right side of FIG. 2) and can be moved inside or outside of the loading unit 110.

제2 탑승부(152)는 제3 체결부(152a) 및 제4 체결부(15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arding unit 152 may include a third fastening part 152a and a fourth fastening part 152b.

제3 체결부(152a)는 제1 연결부재(115)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 체결부(152a)는 제1 탑승부(151)의 일측(예: 도 2의 왼쪽) 난간에서 적재부(110)의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체결부(152a)는 제1 연결부재(115)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 체결부(152a)는 제1 연결부재(115)와 결합되도록 제1 연결부재(115)의 홀 또는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fastening part 152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t this time, the third fastening part 152a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railing on one side of the first boarding unit 151 (e.g., the left side of FIG. 2) into the inside of the loading unit 110. Additionally, the third fastening part 152a may be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t this time, a hole or groove may be formed in the third fastening part 152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or groov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제4 체결부(152b)는 제2 연결부재(116)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4 체결부(152b)는 제2 탑승부(152)의 일측(예: 도 2의 왼쪽) 난간에서 적재부(110)의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4 체결부(152b)는 제2 연결부재(116)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4 체결부(152b)는 제2 연결부재(116)와 결합되도록 제2 연결부재(116)의 홀 또는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ourth fastening part 152b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At this time, the fourth fastening part 152b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railing on one side (eg, the left side of FIG. 2) of the second boarding unit 152 into the inside of the loading unit 110. Additionally, the fourth fastening portion 152b may be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At this time, a hole or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ourth fastening part 152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or groov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so as to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100)의 탑승부(150)의 제1 탑승부(151)가 적재부(110) 내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100)의 탑승부(150)가 적재부(110) 내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arding part 151 of the boarding part 150 of the vehicle bucket 100 has moved into the loading par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arding part 150 of the vehicle bucket 100 has moved inside the loading par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100)의 탑승부(150)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oarding unit 150 of the vehicle bu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탑승부(150)의 제1 탑승부(1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부재(119)를 축으로 회전하여 적재부(1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탑승부(151)의 제2 체결부(151b)는 제3 연결부재(117) 및 제4 연결부재(118)에 형성된 홀 또는 홈에 맞는 위치까지 회전하여 핀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boarding unit 151 of the boarding unit 150 may move inside the loading unit 110 by rotating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119 as an axis. At this time, the second fastening part 151b of the first boarding unit 151 may be pin-coupled by rotating to a position suitable for the hole or groov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17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또한, 탑승부(150)의 제1 탑승부(1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부재(119)를 축으로 회전하여 적재부(11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탑승부(151)의 제1 체결부(151a)는 제1 연결부재(115) 및 제2 연결부재(116)에 형성된 홀 또는 홈에 맞는 위치까지 회전하여 핀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boarding unit 151 of the boarding unit 150 may rotate around the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119 and move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unit 110 . 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part 151a of the first boarding unit 151 may be pin-coupled by rotating to a position suitable for the hole or groov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탑승부(150)의 제2 탑승부(1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부재(119)를 축으로 회전하여 적재부(1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탑승부(152)의 제4 체결부(152b)는 제3 연결부재(117) 및 제4 연결부재(118)에 형성된 홀 또는 홈에 맞는 위치까지 회전하여 핀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second boarding unit 152 of the boarding unit 150 can move inside the loading unit 110 by rotating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119 . At this time, the fourth fastening part 152b of the second boarding unit 152 may be pin-coupled by rotating to a position suitable for the hole or groov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17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또한, 탑승부(150)의 제2 탑승부(1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부재(119)를 축으로 회전하여 적재부(11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탑승부(152)의 제3 체결부(152a)는 제1 연결부재(115) 및 제2 연결부재(116)에 형성된 홀 또는 홈에 맞는 위치까지 회전하여 핀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boarding unit 152 of the boarding unit 150 may rotate around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119 and move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unit 110 . At this time, the third fastening part 152a of the second boarding unit 152 may be pin-coupled by rotating to a position suitable for the hole or groov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6.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100)은 적재부(110)의 제2 회전축부재(119)를 기준으로 회전을 통해 탑승부(150)가 적재부(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작업 시에 탑승부(150)를 적재부(110)의 외부로 이동하여 사용하고 차량(10) 이동 시 탑승부(150)를 적재부(110) 내부로 이동시켜 활용면적 대비 버켓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버켓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vehicle bu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axis member 119 of the loading unit 110 so that the riding unit 150 is inside or inside the loading unit 110. By selectively moving to the outside, the boarding unit 15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unit 110 during work and used by moving the boarding unit 150 to the inside of the loading unit 110 when moving the vehicle 10. Since the volume of the bucke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area, the utilization of bucket space can be improv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100)의 기울기 조절부(140)를 통해 탑승부(150)의 기울기가 조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lt of the boarding unit 150 is adjusted through the tilt adjusting unit 140 of the vehicle bu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켓(100)의 기울기 조절부(140) 및 적재부(110)의 동작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the operation of the tilt adjustment unit 140 and the loading unit 110 of the vehicle bu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한 쌍의 기울기 조절부(140)는 일측이 제1 회전축부재(120)의 제3 판(123)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제1 프레임(111) 또는 제2 프레임(112)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기울기 조절부(140)는 유압에 의해 일측(예: 도 5의 오른쪽아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재부(110)의 제1 프레임(111) 및 제2 프레임(112)은 기울기 조절부(140)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The pair of tilt adjusting units 140 have one side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third plate 123 of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120 and the other side supported on the first frame 111 or the second frame 112. It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tilt adjustment unit 140 may be adjusted to one side (eg, the lower right direction in FIG. 5) by hydraulic pressure. Accordingly,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of the loading unit 110 may be tilted downward by the tilt adjusting unit 140.

이와 동시에, 적재부(110)의 제3 프레임(113) 및 제4 프레임(114)은 제1 연결부재(115) 내지 제4 연결부재(118)에 의해 제1 프레임(111) 및 제2 프레임(112)과 일체로 연결되어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115) 내지 제4 연결부재(118)는 제1 프레임(111) 내지 제4 프레임(114)과 회전 가능한 힌지 결합 및/또는 핀 결합을 통해 회동가능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 쌍의 기울기 조절부(140)를 통해 제1 프레임(111) 및 제2 프레임(112)이 상하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제1 연결부재(115) 내지 제4 연결부재(118)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므로 결과적으로 제1 연결부재(115)에 연결된 탑승함의 수평은 유지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third frame 113 and the fourth frame 114 of the loading unit 110 ar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to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It can be connected and operated integrally with (112).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115 to 4 connecting members 118 are rotatable through a rotatable hinge coupling and/or a pin coupling with the first frame 111 to fourth frames 114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You can. For this reason, when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are til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pair of tilt adjusting units 140,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to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118 Since maintains a vertical state, as a result, the horizontality of the boarding box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5 can be maintain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change, deletion, addition,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차량용 버켓 110 : 적재부
111 : 제1 프레임 112 : 제2 프레임
113 : 제3 프레임 114 : 제4 프레임
115 : 제1 연결부재 116 : 제2 연결부재
117 : 제3 연결부재 118 : 제4 연결부재
119 : 제2 회전축부재 120 : 제1 회전축부재
121 : 제1 판 122 : 제2 판
123 : 제3 판 130 : 턴테이블
140 : 기울기 조절부 150 : 탑승부
151 : 제1 탑승부 151a : 제1 체결부
151b : 제2 체결부 152 : 제2 탑승부
152a : 제3 체결부 152b : 제4 체결부
10 : 차량 20 : 붐
100: Bucket for vehicle 110: Loading unit
111: first frame 112: second frame
113: 3rd frame 114: 4th frame
115: first connecting member 116: second connecting member
117: third connecting member 118: fourth connecting member
119: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120: first rotating shaft member
121: 1st edition 122: 2nd edition
123: Third Edition 130: Turntable
140: tilt control unit 150: boarding unit
151: first boarding part 151a: first fastening part
151b: second fastening part 152: second boarding part
152a: third fastening part 152b: fourth fastening part
10: vehicle 20: boom

Claims (5)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재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턴테이블;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의 상하방향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
상기 적재부의 타측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탑승부; 및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적재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향되는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3 프레임에 대향되는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4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회전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축부재는 상기 탑승부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부가 상기 제2 회전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에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4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탑승부와 핀 결합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탑승부와 핀 결합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버켓.
A loading portion with a space formed therein to allow loading of cargo;
A turntable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loading unit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loading unit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tilt adjustment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to adjust the vertical tilt of the loading unit;
a boarding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unit so that a person can ride on it,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move inside or outside the loading unit; and
It includes a first rotation shaft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turntable and the loading unit,
The loading part,
first frame;
a second fram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third frame;
a fourth fram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frame;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frame and the fourth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nd the fourth frame;
It includes a second rotating shaft membe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is installed on the boarding unit so that the boarding unit rotates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member and moves inside the loading unit,
A hole or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fourth frame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A bucket for a vehicle in which a hole or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to be pin-connected to the rid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1 회전축부재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틸팅하고,
상기 기울기 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회전축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적재부에 연결되며 유압에 의해서 상기 적재부를 틸팅시키는 차량용 버켓.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oading unit til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first rotation shaft member,
The tilt adjusting part is a bucket for a vehicle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member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loading portion, and tilts the loading portion by hydraulic pressu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부재 및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3 연결부재 및 상기 제4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탑승부와 핀 결합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버켓.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oading part,
a thir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a fourth connecting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frame and the fourth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nd the fourth frame,
The third connecting member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at least one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has a hole so as to be pin-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Or a car bucket in which grooves are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탑승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부재 및 상기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탑승부가 내부로 이동할 때 핀 결합되는 차량용 버켓.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oading unit and are 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and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loading unit and the boarding unit moves inside. When the pin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ucket.
KR1020220142438A 2022-10-31 2022-10-31 Bucket for vehicle KR1025848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438A KR102584884B1 (en) 2022-10-31 2022-10-31 Bucke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438A KR102584884B1 (en) 2022-10-31 2022-10-31 Bucket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884B1 true KR102584884B1 (en) 2023-10-05

Family

ID=8829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438A KR102584884B1 (en) 2022-10-31 2022-10-31 Bucke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88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84B1 (en) * 2012-07-12 2013-11-20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Apparatus for dismantling building slate roof
KR20150137401A (en) * 2014-05-29 2015-12-09 최재형 Roof Working Device
KR20170112789A (en) * 2016-04-01 2017-10-12 최윤상 Roof Working Device with Footholds
KR20170138312A (en) * 2016-06-07 2017-12-15 최윤상 Roof Working Device
KR101955609B1 (en) 2017-09-21 2019-03-08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A bucket rest of a high place operation car
KR20190116602A (en) * 2018-04-04 2019-10-15 최윤상 Roof Working Device with Truss Fr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84B1 (en) * 2012-07-12 2013-11-20 주식회사 엔이티하나로 Apparatus for dismantling building slate roof
KR20150137401A (en) * 2014-05-29 2015-12-09 최재형 Roof Working Device
KR20170112789A (en) * 2016-04-01 2017-10-12 최윤상 Roof Working Device with Footholds
KR20170138312A (en) * 2016-06-07 2017-12-15 최윤상 Roof Working Device
KR101955609B1 (en) 2017-09-21 2019-03-08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A bucket rest of a high place operation car
KR20190116602A (en) * 2018-04-04 2019-10-15 최윤상 Roof Working Device with Truss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94405B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comprising an elevator car
JP7319098B2 (en) Elevator system with elevator car and elevator car
US11655121B2 (en) Elevator car
KR102584884B1 (en) Bucket for vehicle
EP1407804B1 (en) Amusement device
KR102119423B1 (en) Roof Working Device with Truss Frame
CN113954974B (en) Layering device for carriage
JP5440955B2 (en) Three-dimensional bicycle parking facilities
KR101955609B1 (en) A bucket rest of a high place operation car
JP3214624U (en) Car-mounted road inspection work machine
JP2018122977A (en) Construction machine
JP2012051687A (en) High-place work vehicle
KR102477431B1 (en) Turntable balance adjusting apparatus of fire ladder truck
KR19990083784A (en) System for performing work on a high place
KR100556620B1 (en) Refraction Type Truck Crane
JP6498640B2 (en) Work table and vehicle
JP3700950B2 (en) Support
KR102578185B1 (en) Height controlling rack for pickup truck
KR102278963B1 (en) Apparatus for high place works car having horizontal maintenance function
JP5636814B2 (en) Three-dimensional parking facilities
JP2909599B2 (en) Multi-level parking device
JP5404067B2 (en) Suspension device for aerial work platforms
JP7080763B2 (en) Safety device for aerial work platforms
JP3217580U (en) Loading device
KR20210155906A (en) Handrail for construction machi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