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028B1 - 물배출구조 - Google Patents

물배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028B1
KR102584028B1 KR1020160049902A KR20160049902A KR102584028B1 KR 102584028 B1 KR102584028 B1 KR 102584028B1 KR 1020160049902 A KR1020160049902 A KR 1020160049902A KR 20160049902 A KR20160049902 A KR 20160049902A KR 102584028 B1 KR102584028 B1 KR 102584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sterilizing
inlet
structur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463A (ko
Inventor
주우진
이선용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02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물배출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배출구조는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처리수 또는 수처리장치를 살균한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수 또는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재; 및 상기 살균수가 상기 배출부재를 살균하고 담기도록 하는 살균용기;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배출구조{WATER DISCHARG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물 또는 수처리장치를 살균한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물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물배출구조는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물배출구조를 통해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처리수, 예컨대 정수나 알칼리수 또는 산성수나 탄산수 등이 배출될 수 있다.
물배출구조는 적어도 일부가 수처리장치의 외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외기에 포함된 세균 등의 오염물에 의해서 물배출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오염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수처리장치의 외부에 위치한 물배출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오염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부를 수처리장치에 구비하였다.
그러나, 물의 외부로의 배출을 위해서, 물배출구조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구조의 단부는 외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외기에 포함되는 오염물에 의해서 오염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물배출구조의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배출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배출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배출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배출구조는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처리수 또는 수처리장치를 살균한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수 또는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재; 및 상기 살균수가 상기 배출부재를 살균하고 담기도록 하는 살균용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부재에는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도록 개방된 입수구, 상기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된 출수구 및,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에 연결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용기는 상기 살균수의 배출시 상기 배출부재의 출수구 측이 소정 깊이 삽입되어 위치하는 입구와, 상기 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살균수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에는 상기 살균수의 배출시 상기 출수구를 막는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입구의 내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입구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재에는 살균수가 상기 밀봉부재로부터 소정 높이 담긴 후 배출되어 상기 배출부재를 살균하고 상기 입구에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유로에 연결되는 살균수 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 배출구멍은 상기 배출부재의 출수구 측에 상기 출수구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재에는 상기 배출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출수구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유동하여 상기 배출부재를 살균하는 살균수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재의 상기 출수구 측은 상기 입구에 소정 깊이 삽입되어 상기 살균수유로를 유동한 살균수가 상기 입구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배출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배출부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배출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배출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구 측의 상기 유로형성부재의 단부는 상기 출수구보다 소정 거리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구 측의 상기 유로형성부재의 단부는 상기 입수구보다 소정 거리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수유로의 상기 출수구 측의 단부와 입수구 측의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에는 상기 살균수의 배출시 상기 살균수유로의 상기 출수구 측의 단부를 막는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입구의 내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입구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처리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배출관의 부분과 상기 배출부재를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용기는 상기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보호부에 형성된 배출부에 상기 살균수의 배출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물배출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배출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배출구조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8과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배출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물배출구조의 제1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100)의 제1실시예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200), 배출부재(300) 및, 살균용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200)은, 예컨대 정수기 등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WT)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2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WT)에서 처리된 처리수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WT)를 살균한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하도록 유동할 수 있다.
배출관(200)에는 처리수나 살균수가 유동하는 유동로(210)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200)의 일부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WT)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200)의 나머지는 수처리장치(WT)에 형성된 통과구멍(HT)을 통과하여 수처리장치(WT)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관(200)에는 배출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200)에는 수처리장치(WT)에 수처리를 위해서 구비되는 정수필터 등의 수처리유닛(도시되지 않음)이나 수처리유닛에서 수처리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밸브가 열리면, 수처리장치(WT)의 수처리유닛에서 처리된 처리수나 저장탱크에 저장된 처리수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200)의 유동로(210)를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수처리장치(WT)에는 수처리장치(WT)를 살균하는 살균수를 만드는 살균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살균유닛은, 예컨대 수처리유닛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만들거나, 처리수에 살균물질을 용해하여 살균수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처리장치(WT)의 살균유닛에서 만들어진 살균수는 수처리장치(WT), 예컨대 전술한 수처리유닛이나 저장탱크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밸브가 열리면 수처리장치(WT)를 살균한 살균수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200)의 유동로(210)를 유동할 수 있다.
배출부재(300)는 배출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배출부재(300)는 수처리장치(WT)의 외부에 위치하는 배출관(20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200)의 유동로(210)를 유동한 처리수 또는 살균수가 배출부재(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재(3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310), 출수구(320) 및, 배출유로(330)가 형성될 수 있다.
입수구(310)는 배출관(200)에 연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관(200)의 유동로(210)를 유동하여 배출관(200)으로부터 배출된 처리수 또는 살균수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310)에 유입될 수 있다.
예컨대, 수처리장치(WT)의 외부에 위치한 배출관(200)의 단부에는 수나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수구(310)에는 암나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입수구(310)와 배출관(200)의 단부가 나사결합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입수구(310)가 배출관(2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워맞춤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출수구(320)는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유로(330)는 입수구(310)와 출수구(3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입수구(310)에 유입된 처리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로(330)를 유동하여 출수구(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재(300)에는 살균수 배출구멍(340)이 형성될 수 있다. 살균수 배출구멍(340)은 배출유로(3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수 배출구멍(340)은 배출부재(300)의 출수구(320) 측에 출수구(32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출수구(320)는 살균수의 배출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용기(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입구(410)에 구비되는 밀봉부재(411)에 의해서 막힐 수 있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300)의 입수구(310)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유로(330)를 유동한 살균수는 밀봉부재(411)로부터 소정 높이 담긴 후 살균수 배출구멍(340)를 통해 배출되어 배출부재(300)를 살균하고 살균용기(400)의 입구(410)에 유입될 수 있다.
살균용기(400)는 살균수가 배출부재(300)를 살균하고 담기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100)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살균용기(4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410)와, 저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410)는 살균수의 배출시 배출부재(300)의 출수구(320) 측이 소정 깊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300)의 살균수 배출구멍(340)을 통해 배출된 살균수가 배출부재(300)의 출수구(320) 측을 따라 유동한 후 입구(410)에 유입될 수 있다.
입구(410)에는 살균수의 배출시 배출부재(300)의 출수구(320)를 막는 밀봉부재(411)가 구비될 수 있다. 밀봉부재(41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410)의 내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입구(410)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부재(300)의 살균수배출구멍(340)을 통해 배출되어 배출부재(300)의 출수구(320) 측을 따라 유동한 살균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410)의 내면과 밀봉부재(411) 사이의 간극을 통해 입구(410)에 유입될 수 있다.
저장부(420)는 입구(4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410)를 통해 유입된 살균수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100)의 제1실시예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500)는 수처리장치(WT)의 외부에 위치하는 배출관(200)의 부분과 배출부재(300)를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처리장치(WT)의 외부에 위치하는 배출관(200)의 부분과 배출부재(300)가 외부의 오염물질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호부(500)에는 배출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510)를 통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300)의 출수구(320)를 통해 배출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510)에는 전술한 살균용기(400), 예컨대 살균용기(400)의 입구(410)가 살균수의 배출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살균용기(400)의 입구(410)는 일측과 타측방향으로의 1/4 회전에 의해서 배출부(510)에 연결되거나 배출부(5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살균용기(400)의 입구(410)가 배출부(5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나사결합이나 끼워맞춤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물배출구조의 제2실시예
이하, 도6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8과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의 제2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의 제1실시예와 배출부재(30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의 제2실시예의 배출부재(300)에는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형성부재(350)가 연결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35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300)와의 사이에서 배출부재(300)의 출수구(320)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유동하여 배출부재(300)를 살균하는 살균수유로(PS)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로형성부재(350)의 출수구(320) 측은 살균용기(400)의 입구(410)에 소정 깊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유로(PS)를 유동한 살균수가 입구(410)에 유입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350)는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3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출부재(3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출부재(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로형성부재(350)와 배출부재(300) 사이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유로(PS)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350)는 배출부재(30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배출부재(3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이고, 유로형성부재(350)도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유로형성부재(35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출부재(30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출수구(320)의 측의 유로형성부재(350)의 단부는 출수구(320)보다 소정 거리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입수구(310) 측의 유로형성부재(350)의 단부는 입수구(310)보다 소정 거리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수유로(PS)의 출수구(320) 측의 단부와 입수구(310) 측의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살균용기(400)의 입구(410)에 구비된 밀봉부재(411)는 살균수의 배출시 살균수유로(PS)의 출수구(320) 측의 단부를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부재(300)의 출수구(320)로부터 배출된 살균수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구(320) 측의 유로형성부재(350)의 단부와 출수구(3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살균수유로(PS)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수유로(PS)를 유동한 살균수는 입수구(310) 측의 살균수유로(PS)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어 유로형성부재(350)를 따라 유동한 후 살균용기(400)의 입구(410)에 유입되고 저장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구조를 사용하면,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물배출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살균할 수 있으며, 물배출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살균수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고, 물배출구조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배출구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배출구조 200 : 배출관
210 : 유동로 300 : 배출부재
310 : 입수구 320 : 출수구
330 : 배출유로 340 : 살균수 배출구멍
350 : 유로형성부재 400 : 살균용기
410 : 입구 411 : 밀봉부재
420 : 저장부 500 : 보호부
510 : 배출부 WT : 수처리장치
PS : 살균수유로 HT : 통과구멍

Claims (18)

  1.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처리수 또는 수처리장치를 살균한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수 또는 살균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재; 및
    상기 살균수가 상기 배출부재를 살균하고 담기도록 하는 살균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재에는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도록 개방된 입수구, 상기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된 출수구 및,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에 연결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살균용기는 상기 살균수의 배출시 상기 배출부재의 출수구 측이 소정 깊이 삽입되어 위치하는 입구와, 상기 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살균수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에는 상기 살균수의 배출시 상기 출수구를 막는 밀봉부재가 구비되는 물배출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입구의 내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입구의 내면에 연결되는 물배출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에는 살균수가 상기 밀봉부재로부터 소정 높이 담긴 후 배출되어 상기 배출부재를 살균하고 상기 입구에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유로에 연결되는 살균수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물배출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배출구멍은 상기 배출부재의 출수구 측에 상기 출수구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물배출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에는 상기 배출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출수구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유동하여 상기 배출부재를 살균하는 살균수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가 연결되는 물배출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재의 상기 출수구 측은 상기 입구에 소정 깊이 삽입되어 상기 살균수유로를 유동한 살균수가 상기 입구에 유입되도록 하는 물배출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배출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배출부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배출부재에 연결되는 물배출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배출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인 물배출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 측의 상기 유로형성부재의 단부는 상기 출수구보다 소정 거리 아래에 위치하는 물배출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 측의 상기 유로형성부재의 단부는 상기 입수구보다 소정 거리 아래에 위치하는 물배출구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유로의 상기 출수구 측의 단부와 입수구 측의 단부는 개방된 물배출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에는 상기 살균수의 배출시 상기 살균수유로의 상기 출수구 측의 단부를 막는 밀봉부재가 구비되는 물배출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입구의 내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입구의 내면에 연결되는 물배출구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배출관의 부분과 상기 배출부재를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부; 를 더 포함하는 물배출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기는 상기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보호부에 형성된 배출부에 상기 살균수의 배출시 연결되는 물배출구조.
KR1020160049902A 2016-04-25 2016-04-25 물배출구조 KR102584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902A KR102584028B1 (ko) 2016-04-25 2016-04-25 물배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902A KR102584028B1 (ko) 2016-04-25 2016-04-25 물배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63A KR20170121463A (ko) 2017-11-02
KR102584028B1 true KR102584028B1 (ko) 2023-10-04

Family

ID=6038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902A KR102584028B1 (ko) 2016-04-25 2016-04-25 물배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0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330Y1 (ko) * 1996-10-17 1999-06-15 노성훈 살균.탈취용급수코크
KR101740591B1 (ko) * 2014-04-09 2017-05-26 쿠쿠전자주식회사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20150121301A (ko) * 2014-04-18 2015-10-29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부재 오염방지장치
KR101640031B1 (ko) * 2014-06-27 2016-07-18 주식회사 진텍 냉온수기의 살균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63A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3934A1 (en) Sterilize valve and a water-purifying device using the same
ZA200508555B (en) Water treatment devices and cartridges therefor
US6786255B1 (en) Bottle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CN108778084B (zh) 用于在医疗过程中使用的盖和管组
DE102007055449A1 (de) Zapfstelle
JP5810392B1 (ja) 圧縮空気圧回路用除菌エアフィルタ
KR102584028B1 (ko) 물배출구조
US10822257B2 (en) HVAC fluid conditioning system
KR101697046B1 (ko) 광촉매 살균정수기
CN107922179B (zh) 出水口的消毒结构和含有该消毒结构的水处理装置
KR102172640B1 (ko) 자외선 살균장치
US20200369542A1 (en)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ozone
US20150136680A1 (en) Internal Pod for Gauze Filter of Water Filter
KR102374212B1 (ko) 물배출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631556B1 (ko) 물저장탱크
KR20150056280A (ko) 물배출구조
KR102557680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US1191623A (en) Sterilizer.
KR101156638B1 (ko) 분수대용 살균여과장치
KR102534663B1 (ko)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US20200216342A1 (en) Portable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ozone
KR101105530B1 (ko) 급수꼭지용 항균 카트리지
KR101393027B1 (ko) 소독장치에 사용되는 수압에 의해 소독수의 출수가 제어되는 노즐
KR20130101399A (ko)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KR20100120440A (ko) 자외선 살균 정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