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988B1 - 보조부력장치 - Google Patents

보조부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988B1
KR102583988B1 KR1020210075946A KR20210075946A KR102583988B1 KR 102583988 B1 KR102583988 B1 KR 102583988B1 KR 1020210075946 A KR1020210075946 A KR 1020210075946A KR 20210075946 A KR20210075946 A KR 20210075946A KR 102583988 B1 KR102583988 B1 KR 10258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uoyancy
support member
connection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980A (ko
Inventor
오영진
Original Assignee
오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진 filed Critical 오영진
Priority to KR102021007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4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translational freedom, e.g. telescopic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는, 선체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고, 일단이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신축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선체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부력장치{AUXILIARY BUOYANCY APPARATUS}
본 발명은 보조부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양식장 작업용 선박의 경우 너클 크레인 또는 지브 크레인을 선박에 탑재하여 중량물 작업을 해왔다. 일반적인 작업선은 길이에 비해 선폭이 적정 값 보다 작고, 전복의 우려가 늘 잔존해왔다. 어선 또는 바지선의 경우 중량물 작업시 크레인 암의 길이를 길게 전개할 경우 길이*중량물에 해당하는 전도 모멘트가 작용된다.
작업선박은 주로 흘수가 낮은 편이며 수면에서 건현까지의 높이 차가 크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크레인으로 중량물 작업을 할 때, 중량물의 무게중심이 선박의 무게중심보다 높이 위치하면서 전도복원 반경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 선박에서 중량물을 걷어 올릴 때 갑작스러운 하중 변화에 따라 침수 또는 전복이 야기된다.
이에 따라 크레인으로 중량물 작업할 때, 무게균형 상실로 인한 전복방지를 위해 고의로 선박 좌 우측에 중량물을 추가 탑재하여 조업하는 사례도 종종 확인되었다.
작업 중 전복사고가 일어나는 원인은 잔잔한 해상의 상황에서나 혹은 기후조건의 변화와 관계없이 매번 똑같은 양식작물 인양조건을 갖추어 작업하더라도 인양 대상이 고중량으로 될 경우, 전복 사고를 피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KR 2010-0010624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조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중량물 작업시에 발생하는 전복사고를 예방하고, 선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부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는, 선체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고, 일단이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신축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선체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관통 연결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이격공간에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2 지지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 상에 고정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부력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다단의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는, 보조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중량물 작업시에 발생하는 전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는, 연결부를 신축시킴에 따라 부력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보조부력 없이도 선박의 사용이 가능하며, 중량물 작업시에는 부력부를 통해 보조부력을 제공하여 선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가 장착된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가 장착된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가 장착된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선박은 선체 상에 크레인(2) 및 보조부력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선박은 크레인(2)을 통해 중량물을 인양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레인(2)은 너클 크레인 또는 지브 크레인일 수 있다. 또한, 선박에는 유압공급부(미도시)가 설치되어 크레인(2)으로 유압을 공급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보조부력장치(10)는 지지부(100), 연결부(200) 및 부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부력장치(10)는 복수개가 선박의 양측에 설치되어, 선박에 보조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제1 지지부(110) 및 제2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0)는 선체(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10)의 일면은 선체(1)의 내벽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10)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삽입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홀(111)은 일면에서 타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형태일 수 있다. 삽입홀(111)에는 후술할 연결부(200)가 관통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20)는 제1 지지부재(121), 제2 지지부재(122) 및 제3 지지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1)는 제1 지지부(110)의 일측에서 선체(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1)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각은 소정 거리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의 이격공간에는 후술할 연결부(2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는 각각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연결홀(12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부재(231)가 연결홀(121b) 및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부(200)를 관통 연결함으로써, 연결부(200)가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2)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 상단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지지부재(123)는 일단이 제2 지지부재(1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선체(1)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3 지지부재(123)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재(121) 및 제2 지지부재(122)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200)는 프레임(210), 실린더(220), 제1 연결구(230) 및 제2 연결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다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프레임(210) 각각의 단면적은 상이하며, 단면적이 큰 프레임(210) 내부에 단면적이 작은 프레임(21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때, 최외측에 배치된 프레임(210)은 제1 지지부재(121)에 연결되고, 최내측에 배치된 프레임(210)은 부력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210)의 단면은 원형 또는 팔각형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210)은 선체를 관통하거나 또는 선체의 테두리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실린더(미도시)는 프레임(2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는 선박에 설치된 유압공급부(미도시)로부터 유압을 공급받거나 유압이 해제됨으로써 신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린더는 유압뿐만 아니라 공압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는 다단의 프레임(210)을 순차적으로 인출하거나 인입시킴으로써 연결부(200) 전체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연결구(230) 및 제2 연결구(24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제1 연결구(230)는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고, 제2 연결구(240)는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구(230)는 최외측에 배치된 프레임(210)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2 연결구(240)는 최내측에 배치된 프레임(21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구(230)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의 이격공간(121a)에 삽입되며, 제1 체결부재(231)가 관통 연결됨으로써 제1 지지부재(1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구(240)는 후술할 부력부(300)의 제3 연결구(320)에 삽입되며, 제2 체결부재(241)가 관통 연결됨으로써 부력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
부력부(300)는 부력체(310) 및 제3 연결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체(310)는 내부 공간을 갖는 통 형상으로, 내부에는 발포성 물질을 충진함으로써 부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체(31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내부에는 발포성 폴리우레탄이 충진 되고, 표면에는 폴리우레아가 도포될 수 있다.
제3 연결구(320)는 부력체(3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연결구(320)에는 연결부(200)의 제2 연결구(240)가 삽입되고, 제2 체결부재(241)에 의해 제3 연결구(320) 및 제2 연결구(2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00) 및 부력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부력부(300)에는 다수 개의 연결부(200)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연결부(2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제1 지지부(110) 및 제2 지지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조부력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의 길이를 축소하여 부력체(310)를 수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의 길이를 늘려 부력체(310)를 수면에 잠기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부(200)의 길이를 신축시킴에 따라 부력체(310)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310)를 하강시켜 수면에 잠기도록 할 경우, 부력체(310)가 선체(1)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2)을 작동시켜 중량물의 인양 작업을 할 경우 선체(1)가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이때 부력체(310)에서 제공하는 부력에 의해 선체(1)가 무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평 상태로 용이하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10)는 보조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중량물 작업시에 발생하는 전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보조부력장치(10)는 연결부(200)를 신축시킴에 따라 부력부(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보조부력 없이도 선박의 사용이 가능하며, 중량물 작업시에는 부력부(300)를 통해 보조부력을 제공하여 선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가 장착된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10)는 지지부(100), 연결부(200), 부력부(300) 및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박(1)의 일측에는 연결부(20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하로 소정 길이 연장된 가이드홀(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0), 연결부(200) 및 부력부(300)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조절부(400)는 제1 받침부재(410), 제1 높이조절부(420), 제2 받침부재(430) 및 제2 높이조절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부재(410)는 제1 지지부(110) 및 제2 지지부(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받침부재(410)는 선박(1)의 바닥 표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내입될 수 있다.
제1 높이조절부(420)는 선박(1)의 바닥 내측에 설치되어 제1 받침부재(41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높이조절부(420)는 실린더일 수 있으며, 선박에 설치된 유압공급부(미도시)로부터 유압을 공급받거나 유압이 해제됨으로써 신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높이조절부(420)는 신축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받침부재(41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선박의 바닥에 안착시키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받침부재(4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받침부재(430)는 선박(1)의 테두리 내측에 배치되어 연결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1)의 테두리 내측에는 상하로 연장되며 가이드홀(3)과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과 대응되는 형태의 제2 받침부재(430)가 테두리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받침부재(430)는 연결부(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받침부재(430)의 상부에 경사면(431)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431)은 연결부(200)의 경사각도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부(200)를 더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높이조절부(440)는 선박(1)의 테두리 내측에 설치되어 제2 받침부재(43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높이조절부(440)는 실린더일 수 있으며, 선박에 설치된 유압공급부(미도시)로부터 유압을 공급받거나 유압이 해제됨으로써 신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높이조절부(440)는 신축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받침부재(43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선박의 바닥에 안착시키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받침부재(4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높이조절부(420)를 통해 제1 받침부재(410)를 승하강 시킴으로써 부력부(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수면의 높이 등 주변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부력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높이조절부(440)를 통해 제2 받침부재(430)를 승하강 시킴으로써, 제1 높이조절부(420)에 의해 가이드홀(3)을 따라 상하로 위치가 조절된 연결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200)가 상승되면서 가이드홀(3)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으나, 제2 받침부재(430)가 상승되면서 가이드홀(3)의 개방 부위를 막으므로 파도가 칠 경우 물이 흘러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선박 2: 크레인
10: 보조부력장치 100: 지지부
110: 제1 지지부 111: 삽입홀
120: 제2 지지부 121: 제1 지지부재
121a: 이격공간 121b: 연결홀
122: 제2 지지부재 123: 제3 지지부재
200: 연결부 210: 프레임
230: 제1 연결구 231: 제1 체결부재
240: 제2 연결구 241: 제2 체결부재
300: 부력부 310: 부력체
320: 제3 연결구
400: 조절부 410: 제1 받침부재
420: 제1 높이조절부 430: 제2 받침부재
440: 제2 높이조절부

Claims (5)

  1. 선체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고, 일단이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신축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선체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체 일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체의 내벽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가 관통 연결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이격공간에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2 지지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 상에 고정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부력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부력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는 보조부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다단의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보조부력장치.
KR1020210075946A 2021-06-11 2021-06-11 보조부력장치 KR102583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46A KR102583988B1 (ko) 2021-06-11 2021-06-11 보조부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46A KR102583988B1 (ko) 2021-06-11 2021-06-11 보조부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80A KR20220166980A (ko) 2022-12-20
KR102583988B1 true KR102583988B1 (ko) 2023-10-05

Family

ID=8453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946A KR102583988B1 (ko) 2021-06-11 2021-06-11 보조부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9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624A (ko) 2008-07-23 2010-02-02 고갑석 선박 균형유지 장치
KR101017303B1 (ko) * 2009-02-13 2011-02-28 청호파워텍(주) 파력 발전장치
US8970055B2 (en) * 2009-11-11 2015-03-03 Fraunhofer Usa, Inc. System for wave energy harvesting employing transport of stored ener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80A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1388B2 (en) Lift boat
US5609442A (en) Offshore apparatus and method for oil operations
US5890835A (en) Hydraulic lift for boats
US50977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and removing offshore structures
US3673974A (en) Method and mobile marine platform apparatus having floating submerged mat stabilization
EP3820770B1 (en)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an object from a deck of a vessel subject to movements
US4091760A (en) Method of operating twin hull variable draft vessel
US4898288A (en) Semi-submersible crane vessel
US2921442A (en) Submergible barge
NL2006280C2 (en) Vessel comprising a stabilizing system.
KR102583988B1 (ko) 보조부력장치
US7040680B2 (en) Load handling device
WO201010924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submersible item
US4181452A (en) Oil-production platfor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same on a sea bed
KR101186257B1 (ko) 부력용 부유체를 구비하는 크레인선 및 그의 안정화 방법
USRE29167E (en) Twin hull variable draft drilling vessel
US3541986A (en) Submersible salvage unit and method of operation
US2924946A (en) Submersible barge for off-shore drilling
KR101784939B1 (ko) 선박
EP1517831B1 (en) Multi-purpose heavy lift vessel
GB2570453A (en) Floating deck assembly
JPH09315381A (ja) ケーソン製作用台船
JP7044278B1 (ja) 船舶用の架台昇降装置
JP2636156B2 (ja) 3本フロート式浮船台
WO1984002113A1 (en) Floating d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