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950B1 - 연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연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950B1
KR102583950B1 KR1020220070992A KR20220070992A KR102583950B1 KR 102583950 B1 KR102583950 B1 KR 102583950B1 KR 1020220070992 A KR1020220070992 A KR 1020220070992A KR 20220070992 A KR20220070992 A KR 20220070992A KR 102583950 B1 KR102583950 B1 KR 102583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molding
lump
transfer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정공
Priority to KR102022007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B22D7/066Manufacturing, repairing or reinforcing ingot moulds
    • B22D7/068Manufacturing, repairing or reinforcing ingot moul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1/00Compounds of lead
    • C01G21/02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lead

Abstract

본 발명은 연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는, 공급되는 괴(塊)를 지지함과 더불어 괴가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 수단과, 상기 이송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괴의 슬립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송 수단과 함께 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이송 수단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 및 가압 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괴의 이송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급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 수단에 의하여 일정하게 이송되는 괴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과, 상기 절단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절단 수단에 의하여 절단되는 괴를 전달 받아 성형하는 성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연괴를 성형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연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구 제조 장치{lead lump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연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수단 및 가압 수단을 통한 연괴의 이송과 함께 공급 수단 및 절단 수단을 통한 일정한 크기로의 연괴 절단이 이루어지며, 성형 수단을 통해 절단된 연괴가 성형 및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구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 축전지(Lead-Acid Battery)란 납(Lead)과 묽은 황산(Acid)으로 구성된 축전지로, 이온화 경향이 큰 음극(Pb-해면상납)과 이온화 경향이 적은 양극(PbO2-과산화납)을 전해액(약 37% 농도를 갖는 묽은 황산)에 넣어 회로를 만들고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양극재와 음극재 속에 포함된 활물질(活物質)은 전극의 전기화학 반응 물질로, 배터리 내에서 전기를 일으키는 가장 근본이 되는 물질에 해당하며, 연축전지의 경우 양극의 이산화납, 음극의 해면상납이 있다.
이와 같은, 활물질의 제조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연괴(Lead Ingot)를 용해 및 주조함과 더불어 다시 응고시키고, 이를 연분기(Oxide Ball Mill)에 넣어 미립화하여 연분을 제조하며, 이를 기타 첨가제와 배합함으로써 활물질의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연괴의 용융 과정에서 슬래그(Slag) 또는 드로스(Dross)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괴의 용융을 위해서 많은 에너지 소비가 이루어지며, 연괴의 용융 과정에서 유해 성분을 포함하는 납 연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775363 한국 등록 특허 제10-219699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송 수단 및 가압 수단을 통한 연괴의 이송과 함께 공급 수단 및 절단 수단을 통한 일정한 크기로의 연괴 절단이 이루어지며, 성형 수단을 통해 절단된 연괴가 성형 및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구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공급되는 괴(塊)를 지지함과 더불어 괴가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 수단과, 상기 이송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괴의 슬립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송 수단과 함께 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이송 수단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 및 가압 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괴의 이송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급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 수단에 의하여 일정하게 이송되는 괴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과, 상기 절단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절단 수단에 의하여 절단되는 괴를 전달 받아 성형하는 성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 수단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개방된 일면을 통해 절단 수단에 의하여 절단된 괴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성형 몸체와, 상기 성형 몸체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제1 성형부와, 상기 제1 성형부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며 절단 수단에 의하여 절단된 괴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삽입홈과, 상기 제1 삽입홈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제1 성형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푸셔의 왕복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푸셔홀과, 상기 제1 성형부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제1 삽입홈과 함께 격자무늬를 이루며 성형 몸체 내부로 수용되는 절단된 괴가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부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2 삽입홈에 수용된 절단된 괴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인입부와, 상기 제1 성형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성형부의 중심과는 편심되게 위치되는 제1 편심부와, 상기 성형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성형부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성형 동력부와, 상기 제1 성형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제1 성형 몸체의 회전에 따라 종속 회전되는 제2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제1 삽입홈과는 어긋나게 형성되며 절단 수단에 의하여 절단된 괴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제2 성형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푸셔의 왕복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푸셔홀과, 상기 제2 성형부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제2 삽입홈과 함께 격자무늬를 이루며 성형 몸체 내부로 수용되는 절단된 괴가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부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1 삽입홈에 수용된 절단된 괴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2 인입부와, 상기 제2 성형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성형부의 중심과는 편심되게 위치되는 제2 편심부와, 상기 제1 푸셔홀 또는 제2 푸셔홀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며 제1 삽입홈 또는 제2 삽입홈 및 제1 인입부 또는 제2 인입부에 의하여 성형된 괴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셔의 직경 또는 폭은 제1 삽입홈 또는 제2 삽입홈의 직경 또는 폭보다 작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 수단은, 외형을 이루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공급 몸체와, 상기 공급 몸체의 내부에서 한 쌍으로 구비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공급 브라켓의 지지 또는 공급 브라켓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서 한 쌍으로 구비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가이드부를 따라 이송되는 공급 브라켓과, 상기 공급 브라켓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 브라켓이 공급 몸체의 내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항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공급 탄성 부재와, 상기 공급 브라켓 각각의 다른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2 공급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 회전 부재가 공급 브라켓 내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항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공급 탄성 부재와, 상기 공급 브라켓 각각의 다른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됨과 더불어 공급 브라켓에서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괴의 이송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급 회전 부재와, 한 쌍의 상기 공급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며 공급 회전 부재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공급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급 브라켓 각각에 구비되는 이송 회전 부재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공급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 회전 부재의 외륜에는 괴와 접촉되면서 괴를 가압하는 가압단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단의 외경은 일단으로부터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거나 또는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급 수단을 이루는 공급 회전 부재가 제1 공급 탄성 부재 및 제2 공급 탄성 부재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서로 다른 괴를 항시 가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괴의 위치 정렬과 함께 괴의 이송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공급 수단의 내부로 괴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절단 수단 및 성형 수단을 통해 연구를 제조함으로써 연괴의 용융 및 주조가 요구되지 않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편심부 또는 제2 편심부가 제1 성형부 또는 제2 성형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됨에 따라 제1 성형부 또는 제2 성형부의 회전 과정에서 푸셔에 따른 괴의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제1 삽입홈 또는 제2 삽입홈의 내부에서 성형된 괴의 토출이 계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 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 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 회전 부재의 설치예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 회전 부재의 전진 또는 후진예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 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 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 수단의 작용예를 보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성형부 또는 제2 성형부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인입부 또는 제2 인입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푸셔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 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 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 회전 부재의 설치예를 보인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 회전 부재의 전진 또는 후진예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 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 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성형 수단의 작용예를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성형부 또는 제2 성형부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인입부 또는 제2 인입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푸셔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는, 공급되는 괴(塊)를 지지함과 더불어 괴가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 수단(100)과, 상기 이송 수단(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100)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괴의 슬립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송 수단(100)과 함께 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압 수단(200)과, 상기 이송 수단(10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100) 및 가압 수단(200)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괴의 이송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급 수단(300)과, 상기 공급 수단(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 수단(300)에 의하여 일정하게 이송되는 괴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400)과, 상기 절단 수단(4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절단 수단(400)에 의하여 절단되는 괴를 전달 받아 성형하는 성형 수단(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괴(塊)는 이송 또는 절단 또는 성형되는 대상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연괴를 의미한다.
상기 이송 수단(100)은, 외형을 이루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이송 몸체(110)와, 상기 이송 몸체(110)의 내부에서 복수개로 구비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괴를 지지함과 더불어 회전 시 괴가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 회전 부재(120)와, 상기 이송 회전 부재(1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회전 부재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이송 동력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이송 회전 부재(120)의 상부에 놓여지는 괴가 우측(도 1에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송 수단(100)은 일종의 컨베이어에 해당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 몸체(110)는, 이송 수단(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송 몸체(110)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골조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이송 몸체(1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이송 회전 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 회전 부재(120)는, 이송 몸체(1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측(도 1에서)에 놓여지는 괴가 회전 방향에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송 회전 부재(120)는 이송 몸체(110)의 내부에서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불어, 이송 몸체(110)의 내부에는 이송 동력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 동력부(130)는, 이송 몸체(110)의 내부에서 이송 회전 부재(120)의 하측(도 1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 회전 부재(1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즉, 이송 동력부(130)는 동력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모터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이송 동력부(130)와 복수개의 이송 회전 부재(12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이송 체인(131)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송 동력부(130)와 복수개의 이송 회전 부재(120) 중 어느 하나(도 1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된 이송 회전 부재)가 이송 체인(131)에 의하여 연결되고, 이송 동력부(130)와 연결된 복수개의 이송 회전 부재(120) 중 어느 하나와 그 우측에 위치된 복수개의 이송 회전 부재(120) 중 다른 어느 하나가 체인으로 연결되는 것이 반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이송 회전 부재(120)는 하나의 이송 동력부(130)에 의하여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를 위해, 이송 회전 부재(120)에는 이송 체인(131)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이송 회전 부재(120) 중 어느 하나에는 연장축(121)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축(121)은, 복수개의 이송 회전 부재(120) 중에서도 우측부(도 2에서)에 위치된 이송 회전 부재(120)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송 수단(100)에 공급된 동력이 가압 수단(2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연장축(121)은 이송 회전 부재(120)의 일단으로부터 외측(도 2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이송 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구성이다.
물론, 연장축(121)에는 동력 전달을 위한 피니언이 추가로 더 구성된다.
즉, 연장축(121)은 복수개의 이송 회전 부재(120)와 함께 회전되는 부위이다.
한편, 이송 몸체(110)의 외측(도 2에서 상측)에는 종속축(1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종속축(140)은, 이송 몸체(110)의 외측(도 2에서 우측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 회전 부재(120)들과는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다.
즉, 종속축(140)은 이송 몸체(110)에 이송 회전 부재(120)와는 별개로 구비됨으로써 개별적으로 회전되는 부위이다.
물론, 종속축(140)에는 동력 전달을 위한 피니언이 복수개로 더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연장축(121)에 형성된 피니언과 종속축(140)에 형성된 피니언이 상호 접하면서 연장축(121)으로부터 종속축(140)으로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연장축(121)에 형성된 피니언과 종속축(140)에 형성된 피니언이 상호 접하면서 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장축(121)과 종속축(140)의 회전 방향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통해 가압 수단(200)과 이송 수단(100)은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속축(140)이 가압 수단(200)과 연결됨으로써 이송 수단(100)의 동력이 가압 수단(200)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은, 연장축(121) 및 종속축(140)에 의하여 가압 수단(200)은 이송 수단(1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으면서도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송 수단(100)에 의하여 괴으 이송 및 가압 수단(200)으로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송 수단(100)의 상측(도 1에서)에는 가압 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 수단(200)은, 상기 이송 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몸체(110)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일단이 다른 일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가압 브라켓(210)과, 상기 가압 브라켓(210)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이송축(220)이 가압 브라켓(210)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시 부재(211)와, 상기 부시 부재(2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이송되는 이송축(220)과, 상기 이송축(220)의 일단에 구비되며 이송축(220)과 함께 이송되면서 가압 회전 부재(240)를 지지하는 가압 플레이트(230)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230)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이송 수단(1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가압 회전 부재(240)와, 상기 이송축(220)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며 제1 가압 탄성 부재(25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단(221)과, 상기 확장단(221)과 부시 부재(211)의 사이에 구비되며 제2 가압 탄성 부재(260)와 함께 이송축(220)이 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송축(220)의 이송 과정에서 충격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가압 탄성 부재(250)와, 상기 부시 부재(211)와 가압 플레이트(230)의 사이에 구비되며 제1 가압 탄성 부재(250)와 함께 이송축(220)이 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가압 회전 부재(240)가 괴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가압 탄성 부재(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 브라켓(210)은, 이송 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상측(도 3에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단이 이송 몸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압 브라켓(210)은 가압 수단(200)의 외형을 이루면서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더불어, 가압 브라켓(210)의 절곡된 부위의 상면에는 부시 부재(211)가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부시 부재(211)는, 가압 브라켓(210)의 절곡된 부위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관통 설치되는 부위로,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축(220)의 직선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위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 브라켓(210)에 네 개의 부시 부재(211)가 구비됨을 예로 한다.
이러한, 부시 부재(211)의 내부에는 이송축(22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축(220)은, 부시 부재(211)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하(도 3에서)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부시 부재(211)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송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이송축(220)의 하단(도 3에서)에는 가압 플레이트(230)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 플레이트(230)는, 이송축(22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압 회전 부재(240)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가압 플레이트(230)는 '∩'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에는 가압 회전 부재(240)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 회전 부재(240)는, 가압 플레이트(23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 수단(100)의 상부에 놓여지는 괴의 상면을 가압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가압 회전 부재(24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가압 회전 부재(240)의 외륜에는 괴와 접하는 과정에서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요철이 둘레면을 따라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압 회전 부재(240)는 가압 체인(270)에 의하여 이송 수단(100)과 연결됨으로써 이송 수단(1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압 회전 부재(240)는 이송 수단(1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과정에서 이송 수단(100)과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구성이다.
한편, 이송축(220)의 상단(도 3에서)에는 확장단(221)이 구비된다.
상기 확장단(221)은, 이송축(22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축(220)의 상단 직경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축(220)과 결합되는 제1 가압 탄성 부재(25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확장단(221)과 부시 부재(211)의 사이에는 제1 가압 탄성 부재(2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가압 탄성 부재(250)는, 이송축(2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 가압 탄성 부재(260)에 의한 가압 플레이트(230)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제2 가압 탄성 부재(260)와 함께 가압 플레이트(230)의 정위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가압 회전 부재(240)와 이송 회전 부재(120)의 사이에 괴가 진입될 경우 가압 플레이트(230)는 상측(도 3에서)으로 이송되게 되면서 제2 가압 탄성 부재(260)는 압축력을 받게 되고, 괴가 제거될 경우 압축 상태인 제2 가압 탄성 부재(260)는 다시 탄성에 의하여 복귀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제1 가압 탄성 부재(250)가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가압 탄성 부재(250)에 의하여 가압 수단(200)의 내구성은 크게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부시 부재(211)와 가압 플레이트(230) 사이에는 제2 가압 탄성 부재(26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가압 탄성 부재(260)는, 이송축(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압 플레이트(230)에 구비되는 가압 회전 부재(240)가 괴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제공함과 더불어 제1 가압 탄성 부재(250)와 함께 가압 플레이트(230)의 정위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여기서, 가압 플레이트(230)의 정위치는, 제1 가압 탄성 부재(250) 및 제2 가압 탄성 부재(26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제1 가압 탄성 부재(250)와 제2 가압 탄성 부재(2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위치되는 위치(도 3에서 가압 플레이트가 위치된 위치)를 의미한다.
즉, 가압 회전 부재(240)와 이송 회전 부재(120)의 사이에 괴가 진입될 경우 제2 가압 탄성 부재(260)에 의하여 가압 회전 부재(240)는 괴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압 수단(200) 및 이송 수단(100)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는 상면 및 하면이 가압된 상태로 공급 수단(300)의 내부로 진입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송 수단(100) 및 가압 수단(200)의 우측(도 1에서)에는 공급 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 수단(300)은, 외형을 이루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공급 몸체(310)와, 상기 공급 몸체(310)의 내부에서 한 쌍으로 구비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공급 브라켓(330)의 지지 또는 공급 브라켓(33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20)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320) 사이에서 한 쌍으로 구비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가이드부(320)를 따라 이송되는 공급 브라켓(330)과, 상기 공급 브라켓(330)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 브라켓(330)이 공급 몸체(310)의 내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항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공급 탄성 부재(340)와, 상기 공급 브라켓(330) 각각의 다른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2 공급 탄성 부재(380)를 지지하는 지지단(332)과, 상기 지지단(332)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 회전 부재(350)가 공급 브라켓(330) 내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항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공급 탄성 부재(380)와, 상기 공급 브라켓(330) 각각의 다른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됨과 더불어 공급 브라켓(330)에서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괴의 이송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급 회전 부재(350)와, 한 쌍의 상기 공급 브라켓(330) 사이에 구비되며 공급 회전 부재(350)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370)와, 상기 공급 몸체(3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급 브라켓(330) 각각에 구비되는 이송 회전 부재(12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공급 동력부(3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 몸체(310)는, 공급 수단(3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공급 몸체(310)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골조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이송 수단(100)의 우측(도 1에서)에서 이송 수단(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괴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위치된다.
이와 같은, 공급 몸체(310)는 이송 몸체(110)와 결합되어 이송 몸체(110)에 의하여 지지되거나 또는 지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급 몸체(3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2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몸체(310)의 내부에서도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면서 대향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부(320)는 공급 브라켓(330)의 양 끝단을 각각 지지하면서 공급 브라켓(330)의 좌우(도 5에서)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부위이다.
즉, 가이드부(320)는 LM 가이드와 유사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가이드부(320) 사이에는 한 쌍의 공급 브라켓(33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 브라켓(330)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몸체(310)의 내부에서도 좌측부와 우측부에서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면서 대향되게 설치된다.
즉, 공급 브라켓(330)은 가이드부(320)와는 직교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공급 브라켓(330)은 가이드부(320)를 따라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복수개로 구비되는 공급 회전 부재(350)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를 위해, 공급 브라켓(330)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이 절곡된 양 끝단 사이에서 공급 회전 부재(35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공급 브라켓(330)과 공급 몸체(3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1 공급 탄성 부재(3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공급 탄성 부재(340)는, 공급 몸체(310)의 내부에서도 대향되는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의 공급 브라켓(330)과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몸체(310)의 좌측 내측면과 공급 몸체(310)의 내부에서도 좌측에 위치되는 한 공급 브라켓(330) 사이에서 제1 공급 탄성 부재(340)가 구비됨으로써 공급 몸체(310)의 내부에서도 좌측에 위치되는 한 공급 브라켓(330)이 우측 방향으로 항시 가압될 수 있도록 하며, 공급 몸체(310)의 우측 내측면과 공급 몸체(310)의 내부에서도 우측에 위치되는 다른 한 공급 브라켓(330) 사이에서 제1 공급 탄성 부재(340)가 구비됨으로써 공급 몸체(310)가 내부에서도 우측에 위치되는 다른 한 공급 브라켓(330)이 좌측 방향으로 항시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제1 공급 탄성 부재(340)에 의하여 서로 다른 공급 브라켓(330)은 항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되며, 서로 다른 공급 브라켓(330) 사이에 괴의 진입이 이루어질 경우 충분한 가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균일하지 않은 크기를 갖는 괴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서로 다른 공급 브라켓(330) 사이에 괴가 진입될 경우 제1 공급 탄성 부재(340)의 압축에 의하여 서로 다른 공급 브라켓(330)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1 공급 탄성 부재(340)는 탄성에 의하여 공급 브라켓(330)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차로 괴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각각의 공급 브라켓(330)에는 지지단(332)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단(332)은, 공급 브라켓(330)의 상측(도 5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 공급 탄성 부재(380)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지지단(332)은 공급 브라켓(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며, 제2 공급 탄성 부재(380)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잇을 것이다.
또한, 지지단(332)은 공급 브라켓(330)과 일체를 이루면서 공급 브라켓(33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지단(332)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일면에 제2 공급 탄성 부재(380)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홈이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단(332)의 내측면(서로 다른 지지단이 마주보는 방향)에는, 제2 공급 탄성 부재(38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공급 탄성 부재(380)는, 지지단(332) 각각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의 공급 회전 부재(350)와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지지단(332)과 공급 회전 부재(350)의 사이에 제2 공급 탄성 부재(380)가 구비되며, 이에 따라 공급 회전 부재(350)는 제2 공급 탄성 부재(380)의 탄성에 의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전진 상태를 이루고, 괴가 서로 다른 공급 회전 부재(350)의 사이에 진입하게 될 경우 제2 공급 탄성 부재(380)가 압축됨에 따라 공급 회전 부재(350)는 후진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제2 공급 탄성 부재(380)에 의하여 서로 다른 공급 회전 부재(350)는 항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되며, 서로 다른 공급 회전 부재(350) 사이에 괴의 진입이 이루어질 경우 충분한 가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균일하지 않은 크기를 갖는 괴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공급 탄성 부재(380)는 탄성에 의하여 공급 회전 부재(350)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로 복수개의 공급 회전 부재(350)들 사이에 공급되는 서로 다른 괴들 각각에 대응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복수개의 제2 공급 탄성 부재(380)는 공급 수단(300) 내부로 복수개의 괴들의 인입 및 토출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먼저 인입된 괴에 의하여 새로 인입되는 괴에 대한 가압력이 제공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공급 브라켓(330)에는 공급 회전 부재(350)가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공급 회전 부재(350)는, 공급 브라켓(330)의 양 끝단에서 상하로 길게 설치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의 공급 브라켓(330)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공급 회전 부재(350) 사이에 위치되는 괴가 서로 다른 공급 회전 부재(3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공급 회전 부재(350)는 공급 브라켓(330)에서 유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아래에서는, 공급 회전 부재(350)가 공급 브라켓에서 제2 공급 탄성 부재(380)에 의하여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공급 회전 부재(350)의 상단에는 공급 베어링부(353)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 베어링부(353)는, 공급 회전 부재(350)가 공급 브라켓(330)에서 구속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공급 베어링부(353)에는 공급홀(354)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공급 베어링부(353)에 의하여 공급 회전 부재(350)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공급 베어링부(353)는 공급 브라켓(330)에서 공급 볼트(355)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공급 볼트(355)는 공급홀(354)을 관통하여 공급 브라켓(330)에 고정되는 구성이며, 공급 볼트(355)는 공급홀(354)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공급 볼트(355)는 공급홀(354)을 관통하여 공급 브라켓(330)에 고정 설치되며, 공급홀(354)이 공급 볼트(355)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공급 베어링부(353)는 공급 볼트(355)와 공급 볼트(355)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급 볼트(355)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공급 브라켓(330)에는 공급 볼트(355)의 고정 설치를 위한 공급탭(3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탭(331)은, 공급 브라켓(33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 볼트(355)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공급탭(331)은 공급 브라켓(330)에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공급 볼트(355)가 공급 베어링부(353)를 관통하여 공급 브라켓(330)에 고정 설치되는 과정에서 공급 볼트(355)의 볼트 머리가 공급 베어링부(353)의 상부를 가압하지 않도록 하는 와셔(35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와셔(356)는, 공급 볼트(355)의 외륜에 구비되는 것으로, 공급 볼트(355)가 공급 브라켓(330)과 체결될 경우 공급 볼트(355)의 볼트 머리와 공급 브라켓(330)의 상면 사이에서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와셔(356)는 공급 베어링부(353)의 높이(도 6에서 상하) 보다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공급 볼트(355)의 볼트 머리가 공급 베어링부(353)의 상면을 가압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공급 볼트(355)에 와셔(356)가 구비되더라도 와셔(356)와 공급홀(354)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와셔(356)에 의하여 공급 베어링부(353)는 공급 볼트(355)의 볼트 머리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은 방지되며, 이에 따라 공급 베어링부(353)는 공급홀(354)과 공급 볼트(355)의 유격만큼 유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급 베어링부(353)와 결합되는 공급 회전 부재(350)는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급 회전 부재(350)의 후진 또는 전진 예는 도 7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공급 회전 부재(350)의 외륜 일부에는 가압단(35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압단(351)은, 공급 회전 부재(350)의 외륜 일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괴와 접촉되는 부위이다.
이에, 상기 가압단(351)의 외경은 일단으로부터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거나 또는 좁아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가압단(351)이 괴와 접촉됨에 따라 괴와의 접촉 면적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단(35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을 예로 한다.
물론, 괴의 형상 또는 공급 방향 등에 따라 가압단(351)의 형상은 역방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압단(351)의 둘레면에는 요철부(352)가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요철부(352)는, 가압단(351)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압단(351)의 상단과 하단을 잇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요철부(352)는 가압단(351)의 둘레면에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접하는 괴의 슬립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압단(351)에 의하여 괴의 이송량은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공급 몸체(310)의 내부에는 공급 동력부(36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 동력부(360)는, 이송 몸체(110)의 내부에서도 공급 회전 부재(350)의 하측(도 4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공급 회전 부재(35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즉, 공급 동력부(360)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공급 동력부(360)는 한 쌍의 공급 브라켓(330) 각각에 동력을 공급해주어야 하므로, 두 개의 회전축 및 피니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공급 동력부(360)는 어느 한 회전축 및 피니언을 통해 회전 동력을 생성하며, 어느 한 회전축 및 피니언과 다른 한 피니언 및 회전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한 회전축 및 피니언이 어느 한 회전 축 및 피니언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공급 동력부(360)와 복수개의 공급 회전 부재(35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공급 체인(361)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공급 동력부(360)를 이루는 한 쌍의 피니언 중 어느 하나는 한 쌍의 공급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공급 회전 부재(350)와 연결되며, 공급 동력부(360)를 이루는 한 쌍의 피니언 중 다른 하나는 한 쌍의 공급 브라켓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공급 회전 부재(350)와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공급 브라켓(330)에 구비되는 공급 회전 부재(350)는 상호 다른 회전 방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각각의 공급 브라켓에서 설치되면서 인접하는 공급 회전 부재(350)들은 상호 공급 체인(361)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서로 다른 공급 브라켓(330) 사이에는 지지 부재(37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 부재(370)는, 서로 다른 공급 브라켓(33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공급 회전 부재(350)들 사이로 공급되는 괴를 지지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지지 부재(370)는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괴아는 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찰이 저감된 상태로 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지지 부재(370)가 괴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 부재(370)는 공급 몸체(310)와 결합됨으로써 공급 몸체(310)의 내부에서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급 수단(300)에 의하여 괴의 정렬 및 일정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급 수단(300)의 우측(도 1에서)에는 절단 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절단 수단(400)은, 공급 수단(300)의 우측에서도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공급 수단(300)에 의하여 일정하게 이송되는 괴를 절단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와 같은, 절단 수단(40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 또는 유압을 공급 받는 실린더 부재(410)와, 상기 실린더 부재(4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실린더 부재(410)의 내부로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실린더 부재(410)의 외측 방향으로 전진되는 실린더 로드(420)와,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일단에 구비되며 괴의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단 부재(4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물론, 실린더 부재(410)는 공급 몸체(310)로부터 연장되는 별도의 브라켓에 설치됨으로써 공급 몸체(310)보다 상측에서 위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의 선단에 절단을 위한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실린더 로드의 전진 시 절단을 위한 부재와 접촉되는 대상물의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절단 수단(400)의 하측에는 성형 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성형 수단(500)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개방된 일면을 통해 절단 수단(400)에 의하여 절단된 괴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성형 몸체(510)와, 상기 성형 몸체(5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제1 성형부(520)와, 상기 제1 성형부(52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며 절단 수단(400)에 의하여 절단된 괴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삽입홈(521)과, 상기 제1 삽입홈(521)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제1 성형부(5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푸셔(570)의 왕복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푸셔홀(522)과, 상기 제1 성형부(52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제1 삽입홈(521)과 함께 격자무늬를 이루며 성형 몸체(510) 내부로 수용되는 절단된 괴가 제1 성형부(520) 및 제2 성형부(530)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2 삽입홈(531)에 수용된 절단된 괴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인입부(523)와, 상기 제1 성형부(5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성형부(520)의 중심과는 편심되게 위치되는 제1 편심부(540)와, 상기 성형 몸체(5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성형부(52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성형 동력부(560)와, 상기 제1 성형부(520)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제1 성형 몸체(510)의 회전에 따라 종속 회전되는 제2 성형부(530)와, 상기 제2 성형부(53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제1 삽입홈(521)과는 어긋나게 형성되며 절단 수단(400)에 의하여 절단된 괴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삽입홈(531)과, 상기 제2 삽입홈(531)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제2 성형부(530)의 내부에 구비되는 푸셔(570)의 왕복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푸셔홀(532)과, 상기 제2 성형부(53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제2 삽입홈(531)과 함께 격자무늬를 이루며 성형 몸체(510) 내부로 수용되는 절단된 괴가 제1 성형부(520) 및 제2 성형부(530)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1 삽입홈(521)에 수용된 절단된 괴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2 인입부(533)와, 상기 제2 성형부(53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성형부(530)의 중심과는 편심되게 위치되는 제2 편심부(550)와, 상기 제1 푸셔홀(522) 또는 제2 푸셔홀(532)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며 제1 삽입홈(521) 또는 제2 삽입홈(531) 및 제1 인입부(523) 또는 제2 인입부(533)에 의하여 성형된 괴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푸셔(5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성형 몸체(510)는, 성형 수단(5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위로, 상면(도 8에서) 일부가 개방되면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성형 몸체(510)의 내부에는 제1 성형부(5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성형부(520)는, 내부가 중공된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외륜 일부에는 제2 성형부(530)측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어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성형부(520)는 성형 동력부(5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원동 회전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제1 성형부(520)는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제1 성형부(520)의 둘레면에는 제1 삽입홈(521)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홈(521)은, 제1 성형부(520)의 둘레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성형부(520)의 둘레면에서 격자무늬 형태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삽입홈(521)은 절단 수단(400)에 의하여 절단된 괴가 수용됨으로써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또한, 제1 삽입홈(521) 각각의 일면에는 제1 푸셔홀(52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 푸셔홀(522)은, 제1 삽입홈(521)의 일면으로부터 제1 성형부(520)의 내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푸셔(570)의 왕복 이송을 가이드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제1 푸셔홀(522)에 푸셔가 삽입됨으로써 제1 푸셔홀(522)을 따라 왕복 이송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제1 성형부(520)의 둘레면에는 제1 인입부(5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인입부(523)는, 제1 성형부(52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삽입홈(521)들의 사이에서 격자 무늬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삽입홈(531)에 수용된 절단된 괴의 일측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이면서 성형 몸체(510) 내부로 수용된 절단된 괴가 제1 성형부(520) 및 제2 성형부(530)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인입부(523)는 제1 성형부(520)의 둘레면에서 제1 삽입홈(52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제1 인입부(523)는 유도홈(524) 및 인입홈(5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도홈(524)은, 제1 인입부(523)의 중앙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성형 몸체(510)의 내부로 수용된 절단된 괴의 모서리 부위 일부가 유도홈(524)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유도홈(524)은 제1 인입부(523)의 표면으로부터 구 형상으로 함몰 형성됨을 예로 한다.
상기 인입홈(525)은, 제1 인입부(523)의 표면 외각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유도홈(524)의 내부에 모서리 부위 일부가 삽입된 절단된 괴와 접하여 절단된 괴가 강제로 제1 성형부(520)와 제2 성형부(530)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인입홈(525)은 사각 링(Ring) 형상으로 함몰 형성됨을 예로 한다.
이에 따라, 인입홈(525)의 외측면(도 12에서 상측)과 내측면(도 12에서 하측)에는 각각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성형 몸체(510)의 내부로 수용된 절단된 괴의 모서리 일부가 유도홈(524)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제1 성형부(520) 또는 제2 성형부(530)가 계속해서 회전됨으로써 모서리 일부가 유도홈에 삽입된 괴의 일면은 인입홈(525) 및 유도홈(524)에 의하여 형성되는 두 개의 돌기가 순차적으로 접하여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괴의 강제 인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제1 성형부(520)의 내부에는 제1 편심부(5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편심부(540)는, 제1 성형부(520)의 중심과는 편심을 이루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편심부(54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성형부(520)의 중심으로부터 우측 및 하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1 편심부(540)는 제1 성형부(5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 성형부(520)의 내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제1 푸셔홀(522)에 삽입된 푸셔(570)는 제1 편심부(540)에 의하여 제1 푸셔홀(522)로부터 제1 성형부(520)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탈이 제한되게 되면서 제1 성형부(520)의 회전 과정에서 제1 편심부(540)와 푸셔(570) 간의 이격 거리가 계속해서 변하게 됨으로써 푸셔(570)는 제1 편심부(540)에 의한 전진이 이루어지게 되는 구성이다.
즉, 제1 편심부(540)와 푸셔(570) 간의 이격 거리가 짧은 상태일 경우 푸셔(570)는 전진함으로써 제1 삽입홈(521)의 내부에 위치되는 성형된 괴를 제1 삽입홈(521)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을 것이며, 제1 편심부(540)와 푸셔(570) 간의 이격 거리가 긴 상태일 경우 푸셔(570)는 후진함(중력에 의하여)으로써 제1 삽입홈(521)의 내부에 위치되지 않으므로 제1 삽입홈(521)의 내부에 절단된 괴의 일부가 수용됨으로써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제1 성형부(520)의 회전 과정에서 제1 편심부(540)와의 상관 관계에 따라 전진되는 푸셔(570)의 작용은 제1 편심부(540)의 편심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푸셔(570)는, 제1 성형부(520)의 내부에서 제1 푸셔홀(522)에 삽입되거나 또는 제2 성형부(530)의 내부에서 제2 푸셔홀(532)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푸셔(57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푸셔(570)의 좌측단(도 13에서)에는 방지단(571)이 형성된다.
상기 방지단(571)은, 푸셔(570)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푸셔(570)의 외륜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구성이다.
그리고, 방지단(571)의 좌측면(도 13에서)은 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지단(571)에 의하여 푸셔(570)는 제1 푸셔홀(522) 또는 제2 푸셔홀(5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성형부(520) 또는 제2 성형부(530)의 외측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게 됨과 더불어 방지단(571)의 좌측면이 구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 편심부(540) 또는 제2 편심부(550)와의 마찰은 최소화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성형 몸체(510)의 후방측(도 9에서)에는 성형 동력부(560)가 구비된다.
상기 성형 동력부(560)는, 성형 몸체(510)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성형부(5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즉, 성형 동력부(560)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성형 동력부(560)와 제1 성형부(520)는 성형 체인(561)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 성형부(520)의 좌측(도 8에서)에는 제2 성형부(5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성형부(530)는, 제1 성형부(5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물론, 제2 성형부(530)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531)은 제1 성형부(520)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521)과는 어긋나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제1 성형부(520)와 제2 성형부(530)가 상호 접할 경우에는 제1 삽입홈(521)과 제2 인입부(533)가 접하거나 또는 제2 삽입홈(531)과 제1 인입부(523)가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제2 인입부(533), 제2 푸셔홀(532)도 제1 인입부(523), 제1 푸셔홀(522)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성형부(530)의 내부에는 제2 편심부(55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편심부(550)는, 제2 성형부(530)의 중심과는 편심을 이루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제2 편심부(55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성형부(53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및 하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2 편심부(550)는 제2 성형부(5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성형 몸체(510)의 내부에는 제1 편심부(540) 및 제2 편심부(550)의 지지를 위한 한 쌍의 편심 지지대(580)가 구비된다.
상기 편심 지지대(58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몸체(510)의 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단으로부터 좌측면과 우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 편심부(540) 및 제2 편심부(550)가 함께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편심 지지대(580)는 제1 편심부(540) 및 제2 편심부(550)의 양 끝단을 함께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성형 수단(500)에 의하여 절단된 괴의 성형 및 배출이 계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성형 수단(500)에 의하여 연구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의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다관절 로봇과 같은 여타 장치 또는 인력에 의하여 이송 수단(100)의 상부에 연괴가 공급된다.
상기 연괴는, 이송 수단(100)을 구성하는 이송 회전 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우측(도 1에서)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처럼, 이송 수단(100)에 의한 연괴의 이송 과정에서 이송 수단(100)의 우측 상단(도 1에서) 위치되는 가압 수단(200)에 의하여 연괴의 상면 및 저면은 가압되게 된다.
이에, 가압 수단(200)과 이송 수단(100) 사이에서 압축력을 받는 연괴의 슬립은 제한되게 되며, 연괴보다 좁은 폭을 갖는 공급 수단(300)으로의 연괴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연괴보다 좁은 폭을 갖는 공급 수단(300)은, 가압 수단(200) 및 이송 수단(100)에 의하여 연괴가 공급됨에 따라 1차적으로 제1 공급 탄성 부재(340)에 의하여 공급 브라켓(330)의 이송(제1 공급 탄성 부재의 압축에 따른 서로 다른 공급 회전 부재 간의 이격 거리 확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공급 수단(300)의 내부에 연괴가 순차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우선적으로 투입된 연괴에 의하여 확장된 서로 다른 공급 브라켓(330)의 확장 및 축소는 제한되게 된다.
이는, 우선적으로 투입된 연괴 다음으로 투입된 연괴의 폭이 우선적으로 투입된 연괴의 폭 보다 크거나 또는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다음으로 투입된 연괴의 폭이 우선적으로 투입된 연괴의 폭 보다 클 경우 공급 브라켓(330)의 확장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우선적으로 투입된 연괴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고, 다음으로 투입된 연괴의 폭이 우선적으로 투입된 연괴의 폭 보다 작을 경우 공급 브라켓(330)의 축소가 이루어져야 하나 우선적으로 투입된 연괴에 의하여 축소될 수 없으므로 다음으로 투입된 연괴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공급 브라켓(330)에 추가로 제2 공급 탄성 부재(380)가 구비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연괴 각각에 대한 가압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압 수단(200) 및 이송 수단(100)에 의하여 공급 수단(300)측으로 이송되는 연괴는, 공급 회전 부재(350)에 의하여 양 측면이 가압됨으로써 좌우(도 2에서 상하)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1 공급 탄성 부재(340) 및 제2 공급 탄성 부재(380)에 의하여 공급 회전 부재(350)가 괴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공급 회전 부재(350)의 외륜 일부에 가압단(351)이 형성됨으로써 공급 회전 부재(350)에 의한 괴의 이송량은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공급 회전 부재(350)의 회전량과 괴의 이송량은 일대일로 대응되게 된다.
다음으로, 공급 수단(300)에 의하여 이송되는 연괴는 절단 수단(400)에 의하여 절단되게 된다.
이 때, 성형 수단(500)이 절단 수단(400)의 하측에 구비됨에 따라 절단 수단(400)에 의하여 절단된 연괴는 성형 수단(500)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성형 수단(500)의 내부로 절단된 연괴가 공급될 경우, 제1 성형부(520)에 형성된 제1 인입부(523) 또는 제2 성형부(530)에 형성된 제2 인입부(533)에 의하여 연괴는 제1 성형부(520)와 제2 성형부(530)의 사이로 강제로 인입되게 된다.
이처럼, 제1 성형부(520)와 제2 성형부(530)의 사이로 강제로 인입된 절단된 괴는, 제1 성형부(520)에 형성된 제1 삽입홈(521) 또는 제2 성형부(530)에 형성된 제2 삽입홈(531)의 내부로 절단된 연괴의 일부가 삽입되게 된다.
이 때, 성형 수단(500)을 이루는 제1 성형부(520) 및 제2 성형부(530)는 회전되는 상태이며, 회전 과정에서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성형부(520)와 제2 성형부(530)가 접할 때에 제1 삽입홈(521) 또는 제2 삽입홈(531)의 내부에 삽입된 괴는 제1 인입부(523) 또는 제2 인입부(533)와 접하게 됨으로써 괴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연구의 제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 성형부(520)와 제2 성형부(530)가 접함으로써 괴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 이후에도 제1 성형부(520)와 제2 성형부(530)는 계속해서 회전되게 되며, 편심되게 위치되는 제1 편심부(540) 또는 제2 편심부(550)에 의하여 푸셔(570)의 전진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삽입홈(521) 또는 제2 삽입홈(53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성형된 괴는 제1 삽입홈(521) 또는 제2 삽입홈(531)의 외부로 토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제1 성형부(520)와 제2 성형부(530)는 계속해서 회전되게 되고, 성형 몸체(510)의 내부로 절단된 괴가 공급될 경우 계속해서 연구의 성형 및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에서는 공급 수단을 이루는 공급 회전 부재가 제1 공급 탄성 부재 및 제2 공급 탄성 부재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서로 다른 괴를 항시 가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괴의 위치 정렬과 함께 괴의 이송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에서는 가압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공급 수단의 내부로 괴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에서는 절단 수단 및 성형 수단을 통해 연구를 제조함으로써 연괴의 용융 및 주조가 요구되지 않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구 제조 장치에서는 제1 편심부 또는 제2 편심부가 제1 성형부 또는 제2 성형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됨에 따라 제1 성형부 또는 제2 성형부의 회전 과정에서 푸셔에 따른 괴의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제1 삽입홈 또는 제2 삽입홈의 내부에서 성형된 괴의 토출이 계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이송 수단 110. 이송 몸체
120. 이송 회전 부재 121. 연장축
130. 이송 동력부 131. 이송 체인
140. 종속축 200. 가압 수단
210. 가압 브라켓 211. 부시 부재
220. 이송축 221. 확장단
230. 가압 플레이트 240. 가압 회전 부재
250. 제1 가압 탄성 부재 260. 제2 가압 탄성 부재
270. 가압 체인 300. 공급 수단
310. 공급 몸체 320. 가이드부
330. 공급 브라켓 331. 공급탭
332. 지지단 340. 제1 공급 탄성 부재
350. 공급 회전 부재 351. 가압단
352. 요철부 353. 공급 베어링부
354. 공급홀 355. 공급 볼트
356. 와셔 360. 공급 동력부
361. 공급 체인 370. 지지 부재
380. 제2 공급 탄성 부재 400. 절단 수단
410. 실린더 부재 420. 실린더 로드
430. 절단 부재 500. 성형 수단
510. 성형 몸체 520. 제1 성형부
521. 제1 삽입홈 522. 제1 푸셔홀
523. 제1 인입부 524. 유도홈
525. 인입홈 530. 제2 성형부
531. 제2 삽입홈 532. 제2 푸셔홀
533. 제2 인입부 540. 제1 편심부
550. 제2 편심부 560. 성형 동력부
561. 성형 체인 570. 푸셔
571. 방지단 580. 편심 지지대

Claims (5)

  1. 공급되는 괴(塊)를 지지함과 더불어 괴가 일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 수단;
    상기 이송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괴의 슬립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송 수단과 함께 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압 수단;
    상기 이송 수단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수단 및 가압 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괴의 이송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급 수단;
    상기 공급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 수단에 의하여 일정하게 이송되는 괴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
    상기 절단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절단 수단에 의하여 절단되는 괴를 전달 받아 성형하는 성형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성형 수단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개방된 일면을 통해 절단 수단에 의하여 절단된 괴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성형 몸체;
    상기 성형 몸체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제1 성형부;
    상기 제1 성형부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며, 절단 수단에 의하여 절단된 괴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삽입홈;
    상기 제1 삽입홈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제1 성형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푸셔의 왕복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푸셔홀;
    상기 제1 성형부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제1 삽입홈과 함께 격자무늬를 이루며, 성형 몸체 내부로 수용되는 절단된 괴가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부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2 삽입홈에 수용된 절단된 괴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인입부;
    상기 제1 성형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 성형부의 중심과는 편심되게 위치되는 제1 편심부;
    상기 성형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성형부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성형 동력부;
    상기 제1 성형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제1 성형 몸체의 회전에 따라 종속 회전되는 제2 성형부;
    상기 제2 성형부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제1 삽입홈과는 어긋나게 형성되며, 절단 수단에 의하여 절단된 괴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삽입홈;
    상기 제2 삽입홈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며, 제2 성형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푸셔의 왕복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푸셔홀;
    상기 제2 성형부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제2 삽입홈과 함께 격자무늬를 이루며, 성형 몸체 내부로 수용되는 절단된 괴가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부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1 삽입홈에 수용된 절단된 괴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2 인입부;
    상기 제2 성형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성형부의 중심과는 편심되게 위치되는 제2 편심부;
    상기 제1 푸셔홀 또는 제2 푸셔홀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며, 제1 삽입홈 또는 제2 삽입홈 및 제1 인입부 또는 제2 인입부에 의하여 성형된 괴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제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직경 또는 폭은 제1 삽입홈 또는 제2 삽입홈의 직경 또는 폭보다 작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제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외형을 이루며,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공급 몸체;
    상기 공급 몸체의 내부에서 한 쌍으로 구비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공급 브라켓의 지지 또는 공급 브라켓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서 한 쌍으로 구비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가이드부를 따라 이송되는 공급 브라켓;
    상기 공급 브라켓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 브라켓이 공급 몸체의 내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항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공급 탄성 부재;
    상기 공급 브라켓 각각의 다른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2 공급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단;
    상기 지지단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 회전 부재가 공급 브라켓 내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항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공급 탄성 부재;
    상기 공급 브라켓 각각의 다른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됨과 더불어 공급 브라켓에서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괴의 이송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급 회전 부재;
    한 쌍의 상기 공급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며, 공급 회전 부재에 의하여 이송되는 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공급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급 브라켓 각각에 구비되는 이송 회전 부재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공급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제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회전 부재의 외륜에는 괴와 접촉되면서 괴를 가압하는 가압단;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단의 외경은 일단으로부터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거나 또는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제조 장치.
KR1020220070992A 2022-06-10 2022-06-10 연구 제조 장치 KR102583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992A KR102583950B1 (ko) 2022-06-10 2022-06-10 연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992A KR102583950B1 (ko) 2022-06-10 2022-06-10 연구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950B1 true KR102583950B1 (ko) 2023-10-05

Family

ID=8829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992A KR102583950B1 (ko) 2022-06-10 2022-06-10 연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95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869A (ja) * 1984-03-19 1985-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用鉛部品の製造法
JPH11235618A (ja) * 1998-02-23 1999-08-31 Hanano Shoji Kk インゴット切断装置
KR20080000708A (ko) * 2006-06-28 2008-01-03 엄상용 방화문 제조 시스템
KR101353017B1 (ko) * 2012-01-09 2014-01-17 정용락 알루미늄 튜브 절단장치
KR101621064B1 (ko) * 2015-11-09 2016-05-13 (주)엔하이코리아 프로파일의 펀칭 및 노칭 자동가공장치
KR101775363B1 (ko) 2015-11-02 2017-09-06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납축전지의 극판용 음극 활물질 제조방법
KR102196991B1 (ko) 2019-07-12 2020-12-31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고전도성 흑린을 적용한 납축전지용 음극 활물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869A (ja) * 1984-03-19 1985-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用鉛部品の製造法
JPH11235618A (ja) * 1998-02-23 1999-08-31 Hanano Shoji Kk インゴット切断装置
KR20080000708A (ko) * 2006-06-28 2008-01-03 엄상용 방화문 제조 시스템
KR101353017B1 (ko) * 2012-01-09 2014-01-17 정용락 알루미늄 튜브 절단장치
KR101775363B1 (ko) 2015-11-02 2017-09-06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납축전지의 극판용 음극 활물질 제조방법
KR101621064B1 (ko) * 2015-11-09 2016-05-13 (주)엔하이코리아 프로파일의 펀칭 및 노칭 자동가공장치
KR102196991B1 (ko) 2019-07-12 2020-12-31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고전도성 흑린을 적용한 납축전지용 음극 활물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28839B (zh) 一种锂电池电芯专用纠偏输送装置
KR102583950B1 (ko) 연구 제조 장치
CN212095204U (zh) 一种叶片挂锁的锁体加工设备
CN214698855U (zh) 一种保持架组件自动装针设备
CN212095155U (zh) 一种叶片挂锁的销子装配装置及其销子进料机构
WO2010131753A1 (ja) 高密度還元鉄の製造方法および高密度還元鉄の製造装置
CN113666249A (zh) 一种大跨度预制高铁桥梁桥墩吊装运输用稳定承托装置
CN201587187U (zh) 一种圆棒标记自动刻印装置
CN217755711U (zh) 手机按键输送器
CN110328301A (zh) 一种脱料机构
US57762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battery
CN218550561U (zh) 一种插针机的精准送料机构
CN218706031U (zh) 一种五金配件加工传送装置
CN109808949B (zh) 防碰撞装置及其使用方式
CN217614906U (zh) 一种可换颚板的双动颚破碎机
KR100679180B1 (ko) 인서트 너트 제작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 너트제작방법
CN220021209U (zh) 一种新能源锂电池正负极连接设备
CN220197033U (zh) 一种自下料式圆钢加工截断装置
CN220699230U (zh) 一种滚子双端面磨床的自动上料机构
CN218230812U (zh) 一种树脂砂轮固化用送料装置
CN217803487U (zh) 一种钢带全自动调节辊压成型装置
CN113134919B (zh) 一种稳定性高的塑料母粒生产用快速成型设备
CN215316829U (zh) 一种用于铅蓄电池铅端子与螺母铆压的半自动机器结构
CN219313869U (zh) 一种进料结构及鳞斗式干渣输送机
CN219965006U (zh) 一种建筑垃圾废弃物预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