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939B1 -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939B1
KR102583939B1 KR1020220114392A KR20220114392A KR102583939B1 KR 102583939 B1 KR102583939 B1 KR 102583939B1 KR 1020220114392 A KR1020220114392 A KR 1020220114392A KR 20220114392 A KR20220114392 A KR 20220114392A KR 102583939 B1 KR102583939 B1 KR 10258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collection
bag
dir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희
홍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1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39B1/ko
Priority to CN202211578680.6A priority patent/CN117657634A/zh
Priority to PCT/KR2022/019888 priority patent/WO202405379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36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18Impermeable dust collect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fuse filling means, e.g. air-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7/00Cleaning or disinfecting devices combined with refuse receptacles or refus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오물 및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5),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되고, 내측에서 쓰레기 및 오물이 분리되는 분리장치(20), 상기 분리장치(20)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쓰레기, 오물 및 공기를 상기 흡입구(15) 및 분리장치(20)를 통해 흡입하는 진공흡입장치(27),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분리장치(20) 및 진공흡입장치(27)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장치(20) 및 진공흡입장치(27)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부(28), 상기 분리장치(20)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통(30), 상기 포집통(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포집용봉지(40) 및 하단 및 상단이 상기 포집통(30)의 내측 상부 및 상기 통로부(28)의 내측 하부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통로(45a)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41)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Device that Collects Garbage Using Bag}
본 발명은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봉지, 쓰레기 및 오물을 한번에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포집통, 쓰레기통 및 상기 쓰레기통의 주변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먼지 등이 흡입되도록 제작된 청소 기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카펫이 깔려 있는 거실 바닥의 먼지 등을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흡입하여, 청소한다.
도 32는 기존의 쓰레기 포집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기존의 쓰레기 포집장치는 흡입구(15), 진공흡입장치(27), 분리장치(20), 포집통(30), 봉지지지통(35) 및 포집용봉지(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진공흡입장치(27)에서는 공기의 흡입을 통해 쓰레기 포집장치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먼지, 찌꺼기, 오물 및 공기는 압력차에 의해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다.
그리고, 분리장치(20)는 압력차에 의해 흡입된 먼지, 찌꺼기, 오물 등의 쓰레기를 걸러낸다. 그리고, 먼지, 찌꺼기, 오물 등의 쓰레기는 봉지지지통(35)의 내측에 구비된 포집용봉지(40)에 포집된다. 그리고, 공기는 진공흡입장치(2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기존의 쓰레기 포집장치에서는 포집용봉지(40) 및 봉지지지통(35)의 상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어, 진공청소기 작동 시, 분리장치(20)의 하부에 구비된 분리판(23)의 저면에 다수의 먼지찌꺼기 및 오물이 들러붙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분리판(23)의 저면이 잔존하는 먼지, 찌꺼기 및 오물로 인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분리장치(20)를 진공청소기와 분리한 후, 상기 분리판(23)의 저면에 들러붙은 다수의 먼지, 찌꺼기 및 오물을 닦아내어 버려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분리판(23)을 주기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쓰레기 포집장치에서는 흡입도관(45)이 분리장치(20)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흡입도관(45)의 일측이 포집통(30)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포집통(30) 취외, 취부 시, 상기 흡입도관(45)이 손상 또는 파손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쓰레기 포집장치에서는 흡입도관(45)이 2번 절곡되고, 상기 흡입도관(45)의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 포집통(30) 및 포집용봉지(40) 사이의 유동공간(41)에서 통로부(28)로 공기가 제대로 흡입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37298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용봉지가 원터치 방식으로 부착되는 노즐 및 노즐캡, 분리장치의 일측에 포집통 및 통로부와 각각 연통되는 흡입통로가 구비되어, 포집통 및 분리장치 간의 취부 및 취외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집통의 내부에 포집용봉지를 지지하기 위한 봉지지지통을 더이상 구비할 필요가 없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판의 일측에 쓰레기 및 오물이 이동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노즐캡의 사이에 쓰레기 및 오물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용봉지의 상부를 모아서 끼울 수 있어, 상기 분리판의 저면에 먼지, 찌꺼기 및 오물이 들러붙지 않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통로가 분리장치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통로가 중력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포집통을 상기 흡입통로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취외, 취부할 수 있어, 상기 흡입통로가 손상 또는 파손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포집통 및 포집용봉지 사이의 유동공간에서 통로부로 공기가 수월하게 흡입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봉지 및 쓰레기를 한번에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포집통, 쓰레기통 및 상기 쓰레기통의 주변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쓰레기, 오물 및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5),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되고, 내측에서 쓰레기 및 오물이 분리되는 분리장치(20), 상기 분리장치(20)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쓰레기, 오물 및 공기를 상기 흡입구(15) 및 분리장치(20)를 통해 흡입하는 진공흡입장치(27),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분리장치(20) 및 진공흡입장치(27)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장치(20) 및 진공흡입장치(27)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부(28), 상기 분리장치(20)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통(30), 상기 포집통(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포집용봉지(40) 및 하단 및 상단이 상기 포집통(30)의 내측 상부 및 상기 통로부(28)의 내측 하부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통로(45a)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41)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장치(20)에서는 상기 분리장치(20)를 통과하는 공기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여, 흡입압(P1)이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통로(45a)에서는 상기 흡입통로(45a)의 하단 및 상단이 상기 포집통(30) 및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공간압(P3)이 상기 흡입압(P1)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내부압(P2)보다 상기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봉지(40)는 상기 내부압(P2)를 갖는 공기에 의해 상기 포집통(30)의 내주면을 향해 부풀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압(P1)은 상기 통로부(28)에 포함되는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내부압(P2)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내측의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상기 유동공간(41)에서 공기의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장치(20)는 바디부(21), 상기 바디부(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쓰레기, 오물 및 공기가 수용되는 분리통(21a), 상기 분리통(21a)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통(30)으로부터 상기 분리통(21a)을 분리하는 분리판(23), 상기 분리판(23)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통(21a) 및 포집통(30)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통(21a)을 통과한 쓰레기 및 오물이 이동하는 노즐(23a) 및 상기 노즐(23a)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포집용봉지(40)의 상부를 모아서 부착하기 위한 노즐캡(23b)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용봉지(40)는 상부가 상기 노즐(23a)의 외주면 및 상기 노즐캡(23b)의 내주면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분리장치(20)는 상기 포집용봉지(40)의 중앙 및 하부가 각각 상기 포집통(30)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집통(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장치(20)는 분리통(21a)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통(21a)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원추형 바스켓(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추형 바스켓(22)은 외주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7)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 바스켓(2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분리장치(20)는 상기 통로부(28) 및 분리통(21a)과 각각 연통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통(21a)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2 원통형 바스켓(25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분리통(21a)은 내주면에 상기 흡입구(15)를 통과한 쓰레기가 상기 포집통(30)으로 나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베인(21b)이 각각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통(21a)은 내주면에 상기 분리통(21a)에서 나선형으로 이동한 쓰레기가 상기 노즐(23a)로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부(23c)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장치(20)는 상기 바디부(21)의 내측에 구비되는 분리부(21c) 및 상기 포집용봉지(40)의 상부를 모아서 원터치 방식으로 부착하기 위해 상기 분리부(21c)의 외주면의 하부에 결합되는 노즐링(23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장치(20)는 상기 통로부(28) 및 분리통(21a)과 각각 연통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통(21a)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은 외주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7)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에서는 포집용봉지가 원터치 방식으로 부착되는 노즐 및 노즐캡, 분리장치의 내부 일측에 포집통 및 통로부와 각각 연통되는 흡입통로가 구비되어, 포집통 및 분리장치 간의 취부 및 취외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집통의 내부에 포집용봉지를 지지하기 위한 봉지지지통을 더이상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에서는 분리판의 일측에 쓰레기 및 오물이 이동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노즐캡의 사이에 쓰레기 및 오물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용봉지의 상부를 원터치 방식으로 모아서 끼울 수 있어, 상기 분리판의 저면에 먼지 및 찌꺼기가 들러붙지 않아, 상기 분리판의 저면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에서는 포집용봉지 취외 시, 쓰레기의 분진이 포집용봉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포집용봉지의 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에서는 흡입통로가 분리통의 외측과 바디부의 내측 사이의 공간에 중력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경이 기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입통로가 손상 또는 파손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포집통 및 포집용봉지 사이의 유동공간에서 통로부로 공기가 수월하게 흡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에서는 상기 봉지 및 쓰레기를 한번에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포집통, 쓰레기통 및 상기 쓰레기통의 주변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원통형 바스켓(25b),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원통형 바스켓(25b),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원통형 바스켓(25b),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원통형 바스켓(25b),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8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9는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1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2는 가이드 베인(21b)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분리통(21a)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노즐(23a)의 상부에 경사부(23c)가 형성된 분리통(21a)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분리부(21c),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5는 분리부(21c),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6은 분리부(21c), 제2 원통형 바스켓(25b),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7은 분리부(21c), 제2 원통형 바스켓(25b),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8은 분리부(21c),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9는 분리부(21c),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30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진공흡입장치(27)의 내측에 형성된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 및 원추형 분리판(26)이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31은 분리판(26), 반구형 포집통(30) 및 아치형 통로부(28)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32는 기존의 쓰레기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흡입구(15), 분리장치(20), 진공흡입장치(27), 통로부(28), 포집통(30), 포집용봉지(40) 및 흡입통로(45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흡입구(15)는 쓰레기, 오물 및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가 된다. 이때, 흡입구(15)는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장치(20)는 흡입구(15)와 연통되어,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 오물 및 공기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분리장치(20)는 흡입구(15)와 연통되고, 분리장치(20)의 내측에서는 공기로부터 쓰레기 및 오물이 분리된다.
이때, 분리장치(20)는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 또는 타원형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진공흡입장치(27)는 분리장치(20)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쓰레기, 오물 및 공기를 흡입구(15) 및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된 분리장치(20)를 통해 흡입한다. 이때, 진공흡입장치(27)는 분리장치(2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통로부(28)는 일측 및 타측이 분리장치(20) 및 진공흡입장치(27)와 각각 연통되어, 분리장치(20) 및 진공흡입장치(27)를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포집통(30)은 분리장치(2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포집통(30)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분리장치(20)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7)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쓰레기 및 오물은 분리장치(20)를 통과하여, 원심력에 의해 포집통(30)에 수용된다.
그리고, 포집용봉지(40)는 포집통(30)의 내부에 구비되고, 포집용봉지(40)의 내측에는 분리장치(20)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가 수용된다. 이때, 포집용봉지(40)는 비닐, 종이 또는 기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41)이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리장치(20)는 바디부(21) 및 분리통(21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바디부(21)는 분리장치(20)의 외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분리통(21a)은 바디부(21)의 내측에 구비되어,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쓰레기, 오물 및 공기가 수용된다. 이때, 분리통(21a)은 내측이 비어 있고, 분리통(21a)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흡입통로(45a)는 바디부(21)의 내측 및 분리통(21a)의 외측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고, 흡입통로(45a)의 하단 및 상단은 포집통(30)의 내측 상부 및 통로부(28)의 내측 하부와 각각 연통된다. 따라서, 흡입통로(45a)는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가 된다.
다시 말해서,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는 흡입통로(45a)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7)로 이동한다.
그리고, 흡입통로(45a)의 하단은 포집통(30)의 내측 상부와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흡입통로(45a)의 상단은 통로부(28)의 내측 하부와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유동공간(41)에서 유입된 공기는 흡입통로(45a)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7)로 배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리장치(20)는 분리판(23), 노즐(23a) 및 노즐캡(23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분리판(23)은 분리통(21a)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집통(30)으로부터 분리통(21a)을 분리한다. 이때, 분리판(23)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또는 타원판의 형상으로 수평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23a)은 분리판(23)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고, 분리통(21a) 및 포집통(30)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통(21a)을 통과한 쓰레기 및 오물이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노즐(23a)은 포집통(3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개방된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중력 방향으로 형성된다.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쓰레기 및 오물은 분리통(21a), 분리판(23)의 노즐(23a)를 통과하여, 원심력에 의해 포집용봉지(40)에 수용된다.
그리고, 노즐캡(23b)은 포집용봉지(40)의 상부를 모아서 원터치 방식으로 부착하기 위해 노즐(23a)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노즐캡(23b)은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중력 방향으로 형성되고, 노즐캡(23b)의 내경은 노즐(23a)의 외경과 대응되는 치수로 형성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집용봉지(40)의 상부는 노즐(23a)의 외주면 및 노즐캡(23b)의 내주면의 사이에 원터치 방식으로 끼움 결합된다.
그 이후, 분리장치(20)는 포집용봉지(40)의 중앙 및 하부가 각각 포집통(30)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포집통(30)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에서는 포집용봉지(40)가 원터치 방식으로 부착되는 노즐(23a) 및 노즐캡(23b), 분리장치(20)의 내부 일측에 포집통(30) 및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는 흡입통로(45a)가 구비되어, 포집통(30) 및 분리장치(20) 간의 취부 및 취외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집통(30)의 내부에 포집용봉지(40)를 지지하기 위한 봉지지지통(35)을 더이상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에서는 분리판(23)의 일측에 쓰레기 및 오물이 이동하는 노즐(23a) 및 상기 노즐(23a)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노즐캡(23b)의 사이에 쓰레기 및 오물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용봉지(40)의 상부를 원터치 방식으로 모아서 끼울 수 있어, 상기 분리판(23)의 저면에 먼지 및 찌꺼기가 들러붙지 않아, 상기 분리판(23)의 저면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에서는 포집용봉지(40) 취외 시, 쓰레기의 분진이 포집용봉지(4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포집용봉지(40)의 처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진공흡입장치(27)의 타측에는 진공흡입장치(27)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출구필터(46)가 구비된다.
한편, 분리장치(20)에서는 진공흡입장치(27)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바로 진공흡입장치(27)로 이동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된다.
도 2는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리장치(20)는 원추형 바스켓(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원추형 바스켓(22)은 분리통(21a)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분리통(21a)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원추형 바스켓(22)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원추형 바스켓(22)의 외주면에는 진공흡입장치(27)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된다.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분리통(21a), 원추형 바스켓(22)의 다수의 통공(22a)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7)로 배출된다.
도 3은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리장치(20)는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출구부(24)는 통로부(28)의 내측에 구비되고, 분리장치(20)의 원추형 바스켓(22)의 상부와 연통되어, 분리장치(20)의 원추형 바스켓(22)으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출구부(24)는 상부 및 하부 중앙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필터(24a)는 출구부(24)의 상부에 구비되어, 출구부(24)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한다. 이때, 흡입필터(24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장치(20)에서는 바디부(21)와 분리통(21a)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흡입통로(45a)는 하단이 포집통(30)의 내측 상부와 연통되고, 상단이 통로부(20)의 내측 하부와 연통된다.
도 5는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분리장치(20)는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은 출구부(24) 및 분리통(21a)과 각각 연통되어, 분리통(21a)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분리통(21a), 제1 원통형 바스켓(25a) 및 출구부(24)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7)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의 외주면에는 진공흡입장치(27)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된다.
도 7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도 도 5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와 마찬가지로, 각각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도 도 5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와 마찬가지로, 각각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원추형 분리판(26)은 분리통(21a)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포집통(30)으로부터 분리통(21a)을 분리한다.
마찬가지로, 원추형 분리판(26)의 하부 중앙에는 분리통(21a) 및 포집통(30)과 각각 연통되어, 분리통(21a)을 통과한 쓰레기 및 오물이 이동하는 노즐(2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23a)의 외주면에는 포집용봉지(40)의 상부를 모아서 원터치 방식으로 부착하기 위한 노즐캡(23b)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각각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각각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제2 원통형 바스켓(25b),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원추형 바스켓(25) 대신에 제2 원통형 바스켓(2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원통형 바스켓(25b)은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내측이 비어 있느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15는 제2 원통형 바스켓(25b),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제2 원통형 바스켓(25b),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4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7은 제2 원통형 바스켓(25b),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8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18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1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원추형 분리판(26), 분리장치(20)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20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가이드 베인(21b)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분리통(21a)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노즐(23a)의 상부에 경사부(23c)가 형성된 분리통(21a)의 사시도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분리통(21a)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에 흡입구(15)를 통과한 쓰레기가 분리통(21a)에서 포집통(30)으로 나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베인(21b)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통(21a)의 내주면에는 분리통(21a)에서 나선형으로 이동한 쓰레기가 노즐(23a)로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부(23c)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4는 분리부(21c),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분리부(21c)는 상기 분리부(21c)의 중심축이 바디부(21) 및 원추형 바스켓(22)의 중심축과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도록 상기 바디부(2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분리부(21c)의 직경은 바디부(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바디부(21) 및 분리부(21c) 사이의 공간은 이전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4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에서는 분리부(21c)에서 포집통(30)으로 쓰레기 및 오물이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분리부(21c) 및 포집통(30)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노즐링(23d)은 포집용봉지(40)의 상부를 모아서 원터치 방식으로 부착하기 위해 분리부(21c)의 외주면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삭제
구체적으로, 포집용봉지(40)의 상부는 분리부(21c)의 외주면 및 노즐링(23d)의 내주면의 사이에 원터치 방식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25는 분리부(21c), 원추형 바스켓(22),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도 24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은 분리부(21c), 제2 원통형 바스켓(25b),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도 24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원추형 바스켓(25) 대신에 제2 원통형 바스켓(2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분리부(21c), 제2 원통형 바스켓(25b),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도 26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분리부(21c),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은 출구부(24) 및 분리부(21c)와 각각 연통되어, 분리부(21c)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의 중심축은 분리부(21c)의 중심축과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의 외주면에는 진공흡입장치(27)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부(21c)는 상기 분리부(22)의 중심축이 바디부(21) 및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의 중심축과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도록 상기 바디부(2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분리부(21c)의 직경은 바디부(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바디부(21) 및 분리부(21c) 사이의 공간은 이전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9는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가 구비되고, 분리판(23)이 구비되지 않은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도 28에 도시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은 제1 원통형 바스켓(25a), 통공(22a), 진공흡입장치(27)의 내측에 형성된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분리장치(20)의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45a) 및 원추형 분리판(26)이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는 통로부(28)의 내측이 아닌, 진공흡입장치(27)의 내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31은 분리판(26), 반구형 포집통(30) 및 아치형 통로부(28)가 구비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의 정단면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원추형 분리판(26)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집통(30)의 하부는 포집용봉지(40)가 차지하는 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입통로(45a)는 바디부(21) 및 분리통(21a)의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로부(28)의 상부는 출구부(24) 및 흡입필터(24a)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흡입장치(27)는 ㄷ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진공흡입장치(27)의 일단은 통로부(28)와 연통되고, 진공흡입장치(27)의 타단은 출구필터(46)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진공흡입장치(27)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흡입압(P1), 포집용봉지(40)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내부압(P2), 포집통(30) 및 포집용봉지(40) 사이의 유동공간(41)에서 공기의 압력을 공간압(P3)으로 정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진공흡입장치(27)에 의해 흡입된 쓰레기 및 오물은 흡입구(15), 분리장치(20) 및 노즐(23a)을 통과하여, 포집통(30)의 내측에 삽입된 포집용봉지(40)에 수용된다.
그리고, 진공흡입장치(27)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흡입구(15), 분리장치(20), 원추형 바스켓(22)의 통공(22a), 출구부(24), 흡입필터(24a)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7) 및 출구필터(4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원추형 바스켓(22)에서 상기 원추형 바스켓(22)의 통공(22a)을 통과하는 공기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압(P1)은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통로(45a)의 하단 및 상단은 각각 포집통(30) 및 분리장치(20)의 상부에 구비된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있어, 공간압(P3)은 흡입압(P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공간압(P3)은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포집용봉지(40)는 내부압(P2)을 갖는 공기에 의해 포집통(30)의 내주면을 향해 부풀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포집용봉지(40)는 포집통(30)과 거의 유사한 형상 및 크기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에서는 포집용봉지가 원터치 방식으로 부착되는 노즐 및 노즐캡, 분리장치의 내부 일측에 포집통 및 통로부와 각각 연통되는 흡입통로가 구비되어, 포집통 및 분리장치 간의 취부 및 취외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집통의 내부에 포집용봉지를 지지하기 위한 봉지지지통을 더이상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에서는 분리판의 일측에 쓰레기 및 오물이 이동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노즐캡의 사이에 쓰레기 및 오물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용봉지의 상부를 원터치 방식으로 모아서 끼울 수 있어, 상기 분리판의 저면에 먼지 및 찌꺼기가 들러붙지 않아, 상기 분리판의 저면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에서는 포집용봉지 취외 시, 쓰레기의 분진이 포집용봉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포집용봉지의 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에서는 흡입통로가 분리통의 외측과 바디부의 내측 사이의 공간에 중력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경이 기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흡입통로가 손상 또는 파손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포집통 및 포집용봉지 사이의 유동공간에서 통로부로 공기가 수월하게 흡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에서는 상기 봉지 및 쓰레기를 한번에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포집통, 쓰레기통 및 상기 쓰레기통의 주변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15: 흡입구 20: 분리장치
21: 바디부 21a: 분리통
21b: 가이드 베인 21c: 분리부
22: 원추형 바스켓 22a: 통공
23: 분리판 23a: 노즐
23b: 노즐캡 23c: 경사부
23d: 노즐링 24: 출구부
24a: 흡입필터 25a: 제1 원통형 바스켓
25b: 제2 원통형 바스켓 26: 원추형 분리판
27: 진공흡입장치 28: 통로부
30: 포집통 40: 포집용봉지
41: 유동공간 45a: 흡입통로
46: 출구필터 P1: 흡입압
P2: 내부압 P3: 공간압
ΔP: 압력강하값

Claims (10)

  1.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10)는
    쓰레기, 오물 및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5);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되고, 내측에서 쓰레기 및 오물이 분리되는 분리장치(20);
    상기 분리장치(20)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쓰레기, 오물 및 공기를 상기 흡입구(15) 및 분리장치(20)를 통해 흡입하는 진공흡입장치(27);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분리장치(20) 및 진공흡입장치(27)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장치(20) 및 진공흡입장치(27)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부(28);
    상기 분리장치(20)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통(30);
    상기 포집통(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포집용봉지(40); 및
    하단 및 상단이 상기 포집통(30)의 내측 상부 및 상기 통로부(28)의 내측 하부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통로(45a);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41)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고,
    상기 분리장치(20)에서는
    상기 분리장치(20)를 통과하는 공기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여, 흡입압(P1)이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통로(45a)에서는
    상기 흡입통로(45a)의 하단 및 상단이 상기 포집통(30) 및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공간압(P3)이 상기 흡입압(P1)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내부압(P2)보다 상기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봉지(40)는
    상기 내부압(P2)를 갖는 공기에 의해 상기 포집통(30)의 내주면을 향해 부풀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압(P1)은
    상기 통로부(28)에 포함되는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내부압(P2)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내측의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상기 유동공간(41)에서 공기의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20)는
    바디부(21);
    상기 바디부(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쓰레기, 오물 및 공기가 수용되는 분리통(21a);
    상기 분리통(21a)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통(30)으로부터 상기 분리통(21a)을 분리하는 분리판(23);
    상기 분리판(23)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통(21a) 및 포집통(30)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통(21a)을 통과한 쓰레기 및 오물이 이동하는 노즐(23a); 및
    상기 노즐(23a)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포집용봉지(40)의 상부를 모아서 부착하기 위한 노즐캡(23b);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용봉지(40)는
    상부가 상기 노즐(23a)의 외주면 및 상기 노즐캡(23b)의 내주면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분리장치(20)는
    상기 포집용봉지(40)의 중앙 및 하부가 각각 상기 포집통(30)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집통(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20)는
    분리통(21a)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통(21a)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원추형 바스켓(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추형 바스켓(22)은
    외주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7)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 바스켓(2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20)는
    상기 통로부(28) 및 분리통(21a)과 각각 연통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통(21a)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2 원통형 바스켓(25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21a)은
    내주면에 상기 흡입구(15)를 통과한 쓰레기가 상기 포집통(30)으로 나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베인(21b)이 각각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21a)은
    내주면에 상기 분리통(21a)에서 나선형으로 이동한 쓰레기가 상기 노즐(23a)로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부(23c)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20)는
    바디부(21)의 내측에 구비되는 분리부(21c); 및
    상기 포집용봉지(40)의 상부를 모아서 원터치 방식으로 부착하기 위해 상기 분리부(21c)의 외주면의 하부에 결합되는 노즐링(23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20)는
    상기 통로부(28) 및 분리통(21a)과 각각 연통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통(21a)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통형 바스켓(25a)은
    외주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7)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KR1020220114392A 2022-09-08 2022-09-08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KR102583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392A KR102583939B1 (ko) 2022-09-08 2022-09-08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CN202211578680.6A CN117657634A (zh) 2022-09-08 2022-12-05 利用袋子的垃圾以及污物收集装置
PCT/KR2022/019888 WO2024053798A1 (ko) 2022-09-08 2022-12-08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392A KR102583939B1 (ko) 2022-09-08 2022-09-08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939B1 true KR102583939B1 (ko) 2023-09-27

Family

ID=8818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392A KR102583939B1 (ko) 2022-09-08 2022-09-08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83939B1 (ko)
CN (1) CN117657634A (ko)
WO (1) WO202405379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523A (ko) * 2005-08-18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JP2009201553A (ja) * 2008-02-26 2009-09-10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KR102372980B1 (ko) 2021-12-30 2022-03-11 (주)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499B1 (ko) * 2000-10-10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577680B1 (ko) * 2005-03-29 2006-05-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523A (ko) * 2005-08-18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JP2009201553A (ja) * 2008-02-26 2009-09-10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KR102372980B1 (ko) 2021-12-30 2022-03-11 (주)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3798A1 (ko) 2024-03-14
CN117657634A (zh)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613B1 (ko) 진공청소기용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8570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23915B1 (ko) 먼지 분리장치
KR100783143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6532620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KR100612204B1 (ko)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7341611B2 (en) Compact cyclonic bagless vacuum cleaner
KR101317125B1 (ko) 분리 장치
US6398834B2 (en) Cyclon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CN100430146C (zh) 旋风式分离装置
KR19990036437A (ko) 표면 세척 또는 건조용 액체 픽업 기구
US20040250374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having two cyclone chambers
KR102372980B1 (ko)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EP2835088B1 (en) Separation system for wet vacuum cleaners
KR102583939B1 (ko)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WO2002078505A2 (en) Vacuum cleaner including a cyclone separator
KR100657923B1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식 집진유니트
KR101147750B1 (ko)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125007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100809776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437365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06795B1 (ko)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US20220125259A1 (en) Unopenable canister for vacuum cleaner
KR101208496B1 (ko)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1196029B1 (ko) 집진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