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980B1 -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980B1
KR102372980B1 KR1020210192011A KR20210192011A KR102372980B1 KR 102372980 B1 KR102372980 B1 KR 102372980B1 KR 1020210192011 A KR1020210192011 A KR 1020210192011A KR 20210192011 A KR20210192011 A KR 20210192011A KR 102372980 B1 KR102372980 B1 KR 102372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llection
garbage
ba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희
홍수정
Original Assignee
(주)씨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씨앤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9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980B1/ko
Priority to PCT/KR2022/012022 priority patent/WO20231281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18Impermeable dust collect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5),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 및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장치(16), 상기 분리장치(16)와 연통되어,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를 상기 흡입구(15) 및 분리장치(16)를 통해 흡입하는 진공흡입장치(25),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부(28), 상기 분리장치(16)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통(30), 상기 포집통(30)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측면 및 밑면에 다수의 기공(36)이 관통 형성되는 봉지지지통(35), 상기 봉지지지통(35)의 내부에 삽입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포집용봉지(40) 및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포집통(30) 및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도관(45)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41)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Device that Collects Garbage Using Bag}
본 발명은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집통의 내부에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삽입하여, 상기 봉지를 통해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먼지 등이 흡입되도록 제작된 청소 기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카펫이 깔려 있는 거실 바닥의 먼지 등을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흡입하여, 청소한다.
도 1은 기존의 진공청소기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는 흡입구, 구동모터 및 회전날개로 구성된 진공흡입장치, 분리장치, 포집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공청소기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Driving Motor)는 회전날개를 사전에 설정된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진공청소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변환시킨다. 그 이후, 먼지, 찌꺼기 및 공기는 압력차에 의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다.
그 이후, 분리장치는 압력차에 의해 흡입된 먼지 또는 찌꺼기 등의 쓰레기를 걸러낸다. 그 이후, 먼지 또는 찌꺼기 등의 쓰레기는 포집통에 포집된다.
그 이후, 공기는 진공흡입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기존의 진공청소기에서는 사용자가 먼지 및 찌꺼기 등의 쓰레기가 포집된 포집통을 진공청소기와 분리한 후, 별도의 쓰레기통에 포집통에 포집된 쓰레기를 털어서 버려야 한다.
이로 인해, 포집통의 내부가 잔존하는 먼지 및 찌꺼기로 인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쓰레기통 및 그 주변이 공중에 비산하는 다수의 먼지 및 찌꺼기로 인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쓰레기 배출 시, 포집통 및 쓰레기통을 깨끗하게 세척해야 할 뿐만 아니라, 쓰레기통의 주변까지 추가로 청소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2021-000262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통의 내부에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삽입하여, 상기 봉지를 통해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봉지 및 쓰레기를 한번에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포집통, 쓰레기통 및 상기 쓰레기통의 주변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는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5),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 및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장치(16), 상기 분리장치(16)와 연통되어,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를 상기 흡입구(15) 및 분리장치(16)를 통해 흡입하는 진공흡입장치(25),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부(28), 상기 분리장치(16)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통(30), 상기 포집통(30)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측면 및 밑면에 다수의 기공(36)이 관통 형성되는 봉지지지통(35), 상기 봉지지지통(35)의 내부에 삽입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포집용봉지(40) 및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포집통(30) 및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도관(45)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41)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통(30)은 외부 일측에 상기 흡입도관(45)의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연결부(33)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28)는 외부 일측에 상기 흡입도관(45)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연결부(2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장치(16)에서는 상기 분리장치(16)를 통과하는 공기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여, 흡입압(P1)이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도관(45)에서는 상기 흡입도관(45)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포집통(30) 및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공간압(P3)이 상기 흡입압(P1)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내부압(P2)보다 상기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봉지(40)는 상기 내부압(P2)를 갖는 공기에 의해 상기 봉지지지통(35)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고, 상기 흡입압(P1)은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에 포함되는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내부압(P2)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내측의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봉지지지통(35) 및 포집통(30) 사이의 상기 유동공간(41)에서 공기의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장치(16)는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되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포함하고,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는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외측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쓰레기 및 공기가 수용되는 바디부(21) 및 상기 바디부(21)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21)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바스켓(22)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21)는 내측이 비어 있고, 하부에 분리판(23)이 수평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22)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 또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22)은 외주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23)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및 포집통(30)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통과한 쓰레기가 이동하는 관통홀(23a)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장치(16)는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되는 필터형 분리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형 분리장치(50)는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흡입구(15) 및 포집통(30)과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가 이동하는 분리통(51), 상기 필터형 분리장치(50)의 외측에 구비되는 몸체부(52), 상기 몸체부(52)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중공(53a)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지지판(53) 및 상기 필터지지판(5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통(30)에서 상기 필터지지판(53)으로 이동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54) 및 상기 필터(54)의 하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필터(54)의 저면에 부착되는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통(51)의 내경 치수는 상기 흡입구(15)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는 상기 분리통(51)에 접선 방향으로 접속되고, 상기 분리통(51)에서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쓰레기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분리통(51)의 내측을 회전하며, 상기 포집통(30)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분리통(51)을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분리통(51)을 통과한 쓰레기를 포집하고, 상기 진공흡입장치(25)는 상기 포집통(30)에 수용된 공기 및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의 표면에는 상기 포집통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 시, 상기 공기에 포함된 다수의 미세먼지가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4)는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다수의 미세먼지를 걸러내고, 상기 진공흡입장치(25)는 상기 필터(54)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필터지지판(53)의 다수의 중공(53), 상기 통로부(28)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에서는 사용자가 포집통의 내부에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삽입하여, 상기 봉지를 통해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봉지 및 쓰레기를 같이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포집통, 쓰레기통 및 상기 쓰레기통의 주변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집통 및 쓰레기통을 세척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통의 주변도 추가로 청소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에서는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쓰레기 포집용 봉지로 사용할 수 있어, 쓰레기 포집용봉지에 대한 형성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진공청소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론형 분리장치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에서 공기 및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형 분리장치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에서 공기 및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에서 분리통의 구조 및 공기,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는 흡입구(15), 분리장치(16), 진공흡입장치(25), 통로부(28), 포집통(30), 봉지지지통(35), 포집용봉지(40) 및 흡입도관(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흡입구(15)는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가 된다. 이때, 흡입구(15)는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장치(16)는 흡입구(15)와 연통되어,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 및 공기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분리장치(16)는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 또는 타원형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진공흡입장치(25)는 분리장치(16)와 연통되어,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를 흡입구(15) 및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된 분리장치(16)를 통해 흡입한다. 이때, 진공흡입장치(25)는 분리장치(16)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통로부(28)는 일측 및 타측이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와 각각 연통되어,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를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포집통(30)은 분리장치(16)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포집통(30)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분리장치(16)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쓰레기는 분리장치(16)를 통과하여, 원심력에 의해 포집통(30)에 수용된다.
그리고, 봉지지지통(35)은 포집통(30)의 내측에 구비되고, 봉지지지통(35)의 내측면 및 밑면에는 다수의 기공(36)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봉지지지통(35)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봉지지지통(35)의 외경 치수는 포집통(30)의 내경 치수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포집용봉지(40)는 봉지지지통(35)의 내부에 삽입되고, 포집용봉지(40)의 내측에는 분리장치(16)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가 수용된다. 이때, 포장용봉지(40)는 비닐, 종이 또는 기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41)이 형성된다.
한편, 흡입도관(45)의 일측 및 타측은 포집통(30) 및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된다. 따라서, 흡입도관(45)은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가 된다.
이때, 흡입도관(45)은 2번 절곡되고, 내측이 비어 있는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흡입도관(45)은 원형 파이프가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의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는 흡입도관(45)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한다.
그리고, 흡입도관(45)의 일측은 포집통(30)과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흡입도관(45)의 타측은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유동공간(41)에서 유입된 공기는 흡입도관(45)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5)로 배출된다.
한편, 포집통(30)의 외부 일측에는 흡입도관(45)의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연결부(33)가 형성된다.
그리고, 통로부(28)의 외부 일측에는 흡입도관(45)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연결부(29)가 형성된다.
한편, 진공흡입장치(25)의 타측에는 진공흡입장치(25)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출구필터(46)가 구비된다.
한편, 분리장치(16)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및 필터형 분리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에서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바로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된다.
그리고, 필터형 분리장치(50)에서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1)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11)의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11)에서 공기 및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는 바디부(21), 바스켓(22) 및 분리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바디부(21)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외측에 구비되고, 바디부(21)의 내측에는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쓰레기 및 공기가 수용된다. 이때, 바디부(21)는 내측이 비어 있고, 바디부(21)의 하부에는 분리판(23)이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바디부(21)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스켓(22)은 바디부(21)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바디부(21)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바스켓(22)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 또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스켓(22)의 외주면에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된다.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바디부(21), 바스켓(22)의 다수의 통공(22a)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5)로 배출된다.
그리고, 분리판(23)은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집통(30)으로부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분리한다. 이때, 분리판(23)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또는 타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판(23)의 상면 일측에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및 포집통(30)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통과한 쓰레기가 이동하는 관통홀(23a)이 관통 형성된다.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쓰레기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분리판(23)의 관통홀(23a)을 통과하여, 원심력에 의해 포집용봉지(40)에 수용된다.
한편, 진공흡입장치(25)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흡입압(P1), 포집용봉지(40)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내부압(P2), 봉지지지통(35) 및 포집통(30) 사이의 유동공간(41)에서 공기의 압력을 공간압(P3)으로 정의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쓰레기는 흡입구(15),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및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관통홀(23a)을 통과하여, 봉지지지통(35)의 내측에 삽입된 포장의 봉지에 수용된다.
그리고,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흡입구(15),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바스켓(22)의 통공(22a)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진공흡입장치(25) 및 출구필터(4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바스켓(22)에서 상기 바스켓(22)의 통공(22a)을 통과하는 공기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압(P1)은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도관(45)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포집통(30) 및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상부에 구비된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있어, 공간압(P3)은 흡입압(P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공간압(P3)은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포집용봉지(40)는 내부압(P2)을 갖는 공기에 의해 봉지지지통(35)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된다. 따라서, 포집용봉지(40)는 봉지지지통(35)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변환된다.
다음으로, 필터형 분리장치(50)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지 및 필터형 분리장치(50)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2)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12)의 상세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12)에서 공기 및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쓰레기 포집장치(12)에서 분리통(51)의 구조 및 공기, 쓰레기의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봉지 및 필터형 분리장치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2)는 필터형 분리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필터형 분리장치(50)는 분리통(51), 몸체부(52), 필터지지판(53), 필터(54),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분리통(51)은 일측 및 타측이 각각 흡입구(15) 및 포집통(30)과 연통되어, 흡입구(15)를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때, 분리통(51)은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분리통(51)의 내경 치수는 흡입구(15)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고, 흡입구(15)는 분리통(51)에 접선 방향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몸체부(52)는 필터형 분리장치(50)의 외측에 구비된다. 이때, 몸체부(52)는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지지판(53)은 몸체부(52)의 상부에 부착되고, 필터지지판(53)의 상면에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중공(53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필터지지판(53)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54)는 필터지지판(53)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집통(30)에서 몸체부(52)로 이동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그리고, 필터 소제용 필름(54a)은 필터(54)의 하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터(54)의 저면에 부착된다.
한편, 분리통(51)에서는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쓰레기가 원심력에 의해 분리통(51)의 내측을 회전하며, 포집통(30)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포집통(30)은 분리통(51)을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를 수용한다.
그리고, 포집통(30)은 분리통(51)을 통과한 쓰레기를 포집한다. 그리고, 진공흡입장치(25)는 포집통(30)에 수용된 공기 및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포집통(30)에 수용된 공기가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 시, 필터 소제용 필름(54a)의 표면에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대부분의 미세먼지가 쌓이게 된다. 그리고, 필터(54)는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나머지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그리고, 진공흡입장치(25)는 필터(54)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지지판(53)의 다수의 중공(53), 통로부(28)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포집통(30)에 수용된 공기 및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필터 소제용 필름(54a) 및 필터(54)를 통과한다.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대부분의 미세먼지는 필터 소제용 필름(54a)의 표면에 쌓이게 되고, 나머지 미세먼지는 필터(54)를 통해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필터 소제용 필름(54a) 및 필터(54)를 통해 다수의 미세먼지가 걸러진 공기는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필터지지판(53)의 다수의 중공(53a), 몸체부(52) 및 통로부(28)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54)를 소제하지 않더라도 필터 소제용 필름(51a)만 별도로 분리하여 소제함으로써, 필터(54)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필터형 분리장치(50)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2)에서는 필터형 분리장치(50)를 제외한 쓰레기 포집장치의 기본적인 구조 및 기능은 도 3에 도시된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1)와 각각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에서는 사용자가 포집통(30)의 내부에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삽입하여, 상기 봉지를 통해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봉지 및 쓰레기를 같이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포집통(30), 쓰레기통 및 상기 쓰레기통의 주변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집통(30) 및 쓰레기통을 세척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통의 주변도 추가로 청소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에서는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봉지를 쓰레기 포집용 봉지로 사용할 수 있어, 쓰레기 포집용봉지(40)에 대한 형성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11: 싸이클론형 분리장치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12: 필터형 분리장치를 적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15: 흡입구 16: 분리장치
20: 싸이클론형 분리장치 21: 바디부
22: 바스켓 22a: 통공
23: 분리판 23a: 관통홀
25: 진공흡입장치 28: 통로부
29: 제2 연결부 30: 포집통
33: 제1 연결부 35: 봉지지지통
36: 기공 40: 포집용봉지
41: 유동공간 45: 흡입도관
46: 출구필터 50: 필터형 분리장치
51: 분리통 52: 몸체부
53: 필터지지판 53a: 중공
54: 필터 54a: 필터 소제용 필름
P1: 흡입압 P2: 내부압
P3: 공간압 ΔP: 압력강하값

Claims (6)

  1.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10)는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5);
    상기 흡입구(15)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 및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장치(16);
    상기 분리장치(16)와 연통되어, 실내의 쓰레기 및 공기를 상기 흡입구(15) 및 분리장치(16)를 통해 흡입하는 진공흡입장치(25);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와 각각 연통되어, 상기 분리장치(16) 및 진공흡입장치(25)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부(28);
    상기 분리장치(16)의 하부에 구비되는 포집통(30);
    상기 포집통(30)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측면 및 밑면에 다수의 기공(36)이 관통 형성되는 봉지지지통(35);
    상기 봉지지지통(35)의 내부에 삽입되고, 쓰레기가 수용되는 포집용봉지(40); 및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포집통(30) 및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유동공간(41)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도관(45);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41)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및 포집통(3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30)은
    외부 일측에 상기 흡입도관(45)의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연결부(33)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28)는
    외부 일측에 상기 흡입도관(45)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연결부(2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16)에서는
    상기 분리장치(16)를 통과하는 공기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여, 흡입압(P1)이 내부압(P2)보다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도관(45)에서는
    상기 흡입도관(45)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포집통(30) 및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와 각각 연통되어, 공간압(P3)이 상기 흡입압(P1)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내부압(P2)보다 상기 압력강하값(ΔP)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봉지(40)는
    상기 내부압(P2)를 갖는 공기에 의해 상기 봉지지지통(35)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고,
    상기 흡입압(P1)은
    상기 분리장치(1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통로부(28)에 포함되는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내부압(P2)은
    상기 포집용봉지(40) 내측의 공기의 압력이고,
    상기 공간압(P3)은
    상기 봉지지지통(35) 및 포집통(30) 사이의 상기 유동공간(41)에서 공기의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16)는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되는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포함하고,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는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의 외측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쓰레기 및 공기가 수용되는 바디부(21); 및
    상기 바디부(21)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21)에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바스켓(22);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21)는
    내측이 비어 있고, 하부에 분리판(23)이 수평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22)은
    내측이 비어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 또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22)은
    외주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2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23)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 및 포집통(30)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싸이클론형 분리장치(20)를 통과한 쓰레기가 이동하는 관통홀(23a)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16)는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진공흡입장치(25)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기로부터 쓰레기가 분리되는 필터형 분리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형 분리장치(50)는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흡입구(15) 및 포집통(30)과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5)를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가 이동하는 분리통(51);
    상기 필터형 분리장치(50)의 외측에 구비되는 몸체부(52);
    상기 몸체부(52)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면에 상기 진공흡입장치(2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중공(53a)이 관통 형성되는 필터지지판(53); 및
    상기 필터지지판(5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포집통(30)에서 상기 필터지지판(53)으로 이동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54); 및
    상기 필터(54)의 하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필터(54)의 저면에 부착되는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통(51)의 내경 치수는
    상기 흡입구(15)의 내경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는
    상기 분리통(51)에 접선 방향으로 접속되고,
    상기 분리통(51)에서는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쓰레기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분리통(51)의 내측을 회전하며, 상기 포집통(30)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분리통(51)을 통과한 공기 및 쓰레기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분리통(51)을 통과한 쓰레기를 포집하고,
    상기 진공흡입장치(25)는
    상기 포집통(30)에 수용된 공기 및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의 표면에는
    상기 포집통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 측으로 이동 시, 상기 공기에 포함된 다수의 미세먼지가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4)는
    상기 필터 소제용 필름(54a)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다수의 미세먼지를 걸러내고,
    상기 진공흡입장치(25)는
    상기 필터(54)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필터지지판(53)의 다수의 중공(53), 상기 통로부(28)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KR1020210192011A 2021-12-30 2021-12-30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KR102372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011A KR102372980B1 (ko) 2021-12-30 2021-12-30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PCT/KR2022/012022 WO2023128116A1 (ko) 2021-12-30 2022-08-11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011A KR102372980B1 (ko) 2021-12-30 2021-12-30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980B1 true KR102372980B1 (ko) 2022-03-11

Family

ID=8081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011A KR102372980B1 (ko) 2021-12-30 2021-12-30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2980B1 (ko)
WO (1) WO20231281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116A1 (ko) * 2021-12-30 2023-07-06 (주)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KR102583939B1 (ko) 2022-09-08 2023-09-27 주식회사 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498A (ko) * 2000-10-10 2002-04-17 구자홍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343679Y1 (ko) * 2003-11-28 2004-03-04 (주)신영프레시젼 미세먼지 필터링장치가 구비된 진공청소기
KR20050056817A (ko) * 2003-12-10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미세 먼지 제거장치
KR100809776B1 (ko) * 2007-03-23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20210002623U (ko) 2020-05-19 2021-11-26 이정용 음압표시장치가 구비된 무소음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7494A (en) * 1982-04-19 1984-08-28 Jones Judson O Industrial vacuum cleaner
KR102372980B1 (ko) * 2021-12-30 2022-03-11 (주)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498A (ko) * 2000-10-10 2002-04-17 구자홍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343679Y1 (ko) * 2003-11-28 2004-03-04 (주)신영프레시젼 미세먼지 필터링장치가 구비된 진공청소기
KR20050056817A (ko) * 2003-12-10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미세 먼지 제거장치
KR100809776B1 (ko) * 2007-03-23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20210002623U (ko) 2020-05-19 2021-11-26 이정용 음압표시장치가 구비된 무소음 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116A1 (ko) * 2021-12-30 2023-07-06 (주)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KR102583939B1 (ko) 2022-09-08 2023-09-27 주식회사 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WO2024053798A1 (ko) * 2022-09-08 2024-03-14 (주)씨앤씨솔루션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116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980B1 (ko)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포집장치
KR101622724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101250077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10048570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JP4333812B2 (ja) 電気掃除機
US6398834B2 (en) Cyclon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RU2328961C1 (ru)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JP2007105451A (ja) 真空掃除機用マルチ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2006204909A (ja) 真空掃除機用の集塵装置
JP2002051947A (ja) 真空掃除機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20020031435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160089201A (ko) 진공 청소기용 집진장치
GB2402897A (en) Dual cyclone separator module
KR101641257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101641256B1 (ko) 진공 청소기용 집진장치
KR100992221B1 (ko) 진공 청소기
KR100545378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102583939B1 (ko) 봉지를 이용한 쓰레기 및 오물 포집장치
KR100789837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125007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100565581B1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00067036A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540438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CN112386167A (zh) 格栅过滤器,过滤系统以及吸尘器
KR100570369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