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756B1 -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 Google Patents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756B1
KR102583756B1 KR1020230039478A KR20230039478A KR102583756B1 KR 102583756 B1 KR102583756 B1 KR 102583756B1 KR 1020230039478 A KR1020230039478 A KR 1020230039478A KR 20230039478 A KR20230039478 A KR 20230039478A KR 102583756 B1 KR102583756 B1 KR 102583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re
frame
data center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욱래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드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드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드케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5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providing data protection in case of earthquakes, floods, storms, nuclear explosions, intrusions,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랙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방염포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저수조에 일정 수위의 물을 채워 서버랙을 잠기게 하여 열폭주 현상을 방지하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켜 서버랙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하면서 화재를 추가적으로 진압함과 아울러 열에 의해 증발되는 수위만큼 물을 보충하여 안정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Data center server with fire spread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을 촉발하는 핵심기술로서 인공지능(AI), 및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기술을 꼽고 있다.
국내의 경우, 데이터 산업 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서비스가 부각되면서 데이터 산업 규모는 더욱 커질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상기 빅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센터라는 하드웨어적인 기반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며, 데이터 센터야 말로 빅데이터를 저장 및 유통시키는 핵심 인프라라고 할 수 있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의 경우, 네이버, 카카오, LG CSN, 하나금융, 삼성SDS 등을 위시로 한 150여개의 데이터센터가 있으며, 앞으로 준공 예정인 수 까지 포함시키면 그 수는 더욱 많아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한편, 끊임없이 가동되어야하는 데이터센터의 특성상, 지진 또는 화재는 가동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는 치명적 요소이이다.
실제로 카카오의 데이터센터가 화재사고로 인해 일부 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으며, 이에 각 데이터센터들은 지진이나 화재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21931호(2018.01.24.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버랙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방염포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저수조에 일정 수위의 물을 채워 서버랙을 잠기게 하여 열폭주 현상을 방지하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켜 서버랙의 상부에서 분사하면서 화재를 진압함과 아울러 열에 의해 증발되는 수위만큼 물을 보충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의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가 장착되며,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좌,우로 연속 설치되는 서버랙; 상기 서버랙의 외부에 이격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방염포를 하강시키는 제1 작동부; 상기 제1 작동부에 권취되며, 클러치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화재 발생시에는 클러치에 의해 고정상태가 해제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프레임의 전·후방을 폐쇄시키는 방염포;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방수포를 상승시키는 제2 작동부; 상기 서버랙의 하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 상기 제2 작동부의 작동으로 상승하여 상기 저수조에 물을 저장하도록 하여 화재를 방지하는 방수포;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서버랙의 상부로 펌핑하고, 펌핑된 물을 서버랙으로 분사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물 분사부; 물 분사시 열에 의해 증발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증발된 수위만큼 물을 보충하는 물 보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랙은, 전·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면은 전이방지판이 고정되어 폐쇄되며, 상기 전이방지판에 의해 일측 또는 양측에 연속 설치되는 서버랙으로 화재가 전이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방염포가 권취되는 샤프트; 일측의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샤프트와 구동모터에 형성된 휠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체인;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상기 방염포는, 하단부의 내,외측에 각각 밀착되는 무게판; 상기 무게판을 방염포에 고정시키는 리벳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측 단부에 이중 구조의 휠이 고정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프레임의 양측 상단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휠에 각각 권취되며 가이드롤러를 통해 하부로 연장되어 방수포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포는 하부지지대와 고정지지대 사이에 연결되며, 평상시에는 저수조 내부에 접혀져 수납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제2 작동부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하여 펼쳐지면서 저수조에 물이 저장되며, 상기 하부지지대는 제2 작동부의 와이어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지지대는 저수조의 바닥부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의 전·후에 형성되어 방염포의 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강성을 높이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방염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물 분사부는, 저수조 내부에 구비되는 펌핑모터; 상기 펌핑모터로부터 서버랙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순환되는 물을 서버랙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물 보충부는, 상기 저수조 내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부;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저수조 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이면 저수조 내부에 기준치를 충족하도록 물을 보충하는 물 보충관;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저수조 내의 수위가 기준치에 도달하면 물 보충을 중단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랙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방염포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저수조에 일정 수위의 물을 채워 서버랙을 잠기게 하여 열폭주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켜 서버랙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하면서 화재를 추가적으로 진압함과 아울러 열에 의해 증발되는 수위만큼 물을 보충하여 안정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작동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서버랙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에 화재 발생시 방염포가 하강하여 서버랙을 질식상태로 만드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에 화재 발생시 방수포를 상승시켜 물을 저장하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충격방지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구김방지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방염포의 하강으로 구김방지부가 회전 작동하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의 측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는, 서버랙(10), 프레임(20), 제1 작동부(30), 방염포(40), 제2 작동부(50), 저수조(60), 방수포(70), 물 분사부(80), 물 보충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랙(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복수의 서버모듈(M)이 장착된다.
상기 서버랙(10)은 양측면과 상면이 폐쇄되고 전·후방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서버랙(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면은 전이 방지판(11)이 고정되어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버랙(10)은 좌,우로 연속 설치되도록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제작된다.
상기 서버랙(10)은 각 모서리부 및 상,하단부가 앵글(12)로 연결되어 기본 골격을 이루게 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무정전전원공급장치인 유피에스(UPS) 및 서버모듈이 장착된다.
상기 전이 방지판(11)은 서버랙(10)의 양측면을 폐쇄하게 되므로 서버랙(10)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화재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서버랙(10)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서버랙(10)의 외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양측면이 수직판(21)을 통해 폐쇄되고, 상단부에는 상부고정판(22)이 고정되어 프레임(20)의 강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 상부고정판(22)은 수직판(21)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상부고정판(22)의 양측 내부에는 제2 작동부(50)의 가이드롤러(53)가 고정되며 샤프트(51)에 고정된 이중 구조의 휠(5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보호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20)은 서버랙(10)이 1개만 설치될 경우, 서버랙(1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설치되어 서버랙을 감싸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랙(10)이 좌,우 연속으로 설치되어 5개의 서버랙(10)이 한 조를 이루게 될 경우, 상기 프레임(20)은 5개의 서버랙(10)을 모두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버랙(10)은 개별 제작되어 좌,우로 연속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이며, 프레임(20)은 서버랙(10)의 수에 상관없이 설치되는 서버랙(10) 모두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 작동부(30)는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방염포(40)를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작동부(30)는 지지부재(31), 샤프트(32), 구동모터(33), 구동체인(34), 클러치(3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31)는 프레임(20)의 수직판(21) 내측에 고정되어 샤프트(32)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이며, 상기 지지부재(31)는 금속재질의 판재를 절곡하여 제조된다.
상기 지지부재(31) 중 일측의 지지부재(31)는 구동모터(33)를 고정하기 위해 다단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중 타측의 지지부재(31)는 사각형상으로 절곡되어 수직판(21) 내측에 고정되며 샤프트(32)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32)는 일측 단부는 다단으로 절곡된 지지부재(31)에 결합되어 베어링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32)의 타측 단부는 사각형상으로 절곡된 지지부재(31)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모터(33)는 일측의 지지부재(31)의 절곡된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체인(34)은 구동모터(33)의 축에 형성된 휠과 샤프트(32)에 형성된 휠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3)의 구동으로 샤프트(3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33)는 화재 방지시스템의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큰 화재가 아닐 경우 프레임(20)의 하부로 하강한 방염포(40)를 다시 권취하도록 샤프트(32)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클러치(35)는 샤프트(32)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샤프트(32)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고, 클러치(35)는 일측의 지지부재(31) 내측에서 샤프트(32)의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클러치(35)는 화재 및 연기가 감지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클러치(35)에 전원이 공급되어 샤프트(32)를 물고 있으므로 상기 샤프트(32)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센서부를 통해 화재 또는 연기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클러치(35)에 전원 공급을 중단시키게 되고 샤프트(32)를 물고 있는 클러치(35)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샤프트(3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32)는 제어부에 의해 회전을 제어할 수도 있고, 화재로 인해 정전이 되면 클러치(35) 측으로 전기 공급이 중단되어 샤프트(32)를 물고 있는 클러치(35)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샤프트(32)가 회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35)는 전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샤프트(32)의 회전을 제어하는 전자클러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클러치는 종래의 클러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염포(40)는 제1 작동부(30)의 샤프트(32)에 일정 길이로 권취된다. 화재 또는 연기가 감지되기 전에는 방염포(40)가 샤프트(32)에 권취되어 서버랙(10)의 전·후방을 개방한 상태가 되고, 화재 또는 연기가 감지되면 방염포(40)가 자중에 의해 빠르게 하강하여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방염포(40)의 하단부 내,외측에는 일정 무게를 가지는 무게판(41)이 각각 밀착되고, 상기 무게판(4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벳(42)이 체결되어 무게판(41)을 방염포(4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제2 작동부(50)는 프레임(20) 상부에 설치되어 방수포(70)를 상승시키는 구성이다.
제2 작동부(50)는 구동축(51), 구동모터(52), 가이드롤러(53), 와이어(5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51)은 프레임(20)의 상부 중앙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구동축(51)의 양측 단부에는 이중 구조의 휠(511)이 고정된다.
상기 휠(511)은 구동축(51)을 기준으로 양측에 와이어(54)가 각각 연결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51)의 일측 단부에는 구동축(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53)는 프레임(20)의 양측 상단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하면서 와이어(54)를 가이드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54)의 일측 단부는 이중 구조의 휠(511)에 각각 권취되고, 타측 단부는 방수포(70)의 하부 지지대(71)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작동부(50)의 구동모터(52)는 화재 방지시스템의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큰 화재가 아닐 경우 프레임(20)의 중간부 측으로 상승한 방수포(70)를 다시 하강시켜 저수조(60) 내부에 접혀지도록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60)는 화재 또는 연기가 감지되면, 저수조(60) 일측 또는 프레임(20)의 상부에 마련되는 물 공급수단을 통해 저수조(60)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담아 화재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저수조(60)는 프레임(2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하며, 저수조(60)의 높이는 60cm로 형성된다.
상기 물 공급수단은 저수조의(60) 상부에 배관파이프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저수조(60)의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드레인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포(70)는 제2 작동부(50)의 작동으로 상승하여 상기 저수조(60)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방수포(70)는 화재 또는 연기가 감지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방수포(70)가 저수조(60) 내부에 접혀져 수납되어 있다가 센서부에 의해 화재 또는 연기가 감지되어 감지온도가 80~90℃ 이상이면 구동축(51)이 회전되어 방수포(70)가 펼쳐지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수포(70)는 저수조(60)의 상단부로부터 40cm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방수포(70)는 하부지지대(71)와 고정지지대(7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지지대(71)는 제2 작동부(50)의 와이어(54) 하단에 고정되고, 고정지지대(72)는 저수조(60) 내부의 바닥부에 고정된다.
또한, 물 분사부(80)는 저수조(60)에 저장된 물을 서버랙(10)의 상부로 펌핑하여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 분사부(80)는 펌핑모터(81), 공급관(82), 분사노즐(83)을 포함한다.
상기 펌핑모터(81)는 저수조(60)의 내부에 장착되어 저수조(6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게 되며, 상기 공급관(82)은 펌핑모터(81)로부터 펌핑된 물을 서버랙(10) 상부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83)은 공급관의 단부에 고정되어 공급관(82)으로 펌핑된 물을 서버랙(10) 상부에서 분사하게 되므로 서버랙(10)에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랙(10)의 양측면은 내열 소재의 전이방지판(11)을 통해 폐쇄된 구조로 형성되므로 서버랙(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연속 설치되는 다른 서버랙(10)으로 화재가 전이되지 않게 하여 화재 확산을 줄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물 보충부(90)는 분사노즐(83)을 통해 서버랙(10)으로 물 분사시 저수조(60)에 저장된 물의 일정량은 열에 의해 증발하게 되며, 이렇게 증발된 수위만큼 저수조(60)에 물을 보충하게 된다.
상기 물 보충부(90)는 수위감지센서(91), 물 보충관(92), 밸브(93)를 포함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91)는 저수조(60) 내부에 장착되어 저수조(60)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물 보충관(92)은 열에 의해 증발된 수위만큼 저수조(60) 내부에 물을 보충하게 되며, 물 보충관(92)은 저수조(60)의 상부로 상승하는 방수포(70)에 간섭받지 않도록 방수포(70)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93)는 물 보충관(92) 상에 설치되어 물 보충시에는 개방되고, 물 보충이 완료되면 폐쇄된다.
즉, 상기 물 보충부(90)는 수위감지센서(91)에서 저수조(60)의 수위가 감지되면 감지된 수위정보가 제어부로 전달된다.
제어부는 밸브(93)를 제어하여 개방하게 되고, 물 보충관(92)을 통해 저수조(60) 내부에 물이 보충된다. 수위감지세서(91)는 저수조(60)의 물이 일정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는 밸브(93)를 제어하여 물 보충관(92)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의 전·후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00)는 지지체(101), 가이드레일(10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101)는 프레임(20)의 전,후방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20)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02)은 각각의 지지체(101) 내측방향에 절곡된 형상으로 고정되며 상기 방염포(4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02)은 방염포(40)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여 서버랙(20)을 최대한 질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방염포(40)가 가이드레일(102)을 따라 하강할 때, 방염포(40) 하부의 무게판(41)이 프레임(20)의 하부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탄력있게 흡수하는 충격흡수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110)는 외부케이스(111), 제1 완충부재(112), 격판(113), 탄성부재(114), 제2 완충부재(115)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11)는 프레임(20)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승하강작동을 하면서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제1 완충부재(112)는 외부케이스(111)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상단부가 외부케이스(111)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방염포(40)의 하강시 충격을 1차로 완충시키게 된다.
상기 격판(113)은 금속 또는 수지재질로 형성되어 탄성부재(114)와 완충부재(115)를 분리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14)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방염포(40)의 하강시 충격을 2차로 완충시키게 된다.
상기 제2 완충부재(115)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며, 탄성부재(114) 사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방염포(40)가 프레임(20) 하부로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충격흡수부(110)의 반발력이 발생할 경우, 방염포(40) 하부의 무게판(41)이 상부로 튕겨져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승강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방지부는 가이드레일(102)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리브(116)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116)에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승강방지부재(117)가 장착된다.
상기 축에는 스프링(118)이 장착되어 승강방지부재(117)의 회전 후, 최초상태로 복원되도록 하여 방염포(40)의 하강 후, 무게판(41)의 상부를 지지하여 방염포(40)가 상부로 튕겨져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염포(40)가 가이드레일(102)을 따라 프레임(20)의 하부로 하강할 때, 가이드레일(102) 내부에 위치한 방염포(40)의 양측 단부가 구겨지지 않고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구김방지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김방지부(120)는, 타격리브(121), 지지프레임(122), 구김방지부재(123), 작동공간(124)을 포함한다.
상기 타격리브(121)는 방염포(40)의 하단부에 고정된 무게판(41)의 상단부 양측에 돌출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2)은 가이드레일(102)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며, 가이드레일(102)의 내측방향과 외측방향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김방지부재(123)은 지지프레임(122) 내측에 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방염포(40)의 하강시 타격리브(121)의 타격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김방지부재(123)는 타격판(123a) 및 구김방지가이드(123b)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판(123a)은 타격리브(12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구김방지가이드(123b)는 타격판(123a)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2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타격판(123a)과 구김방지가이드(123b)는 둔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작동공간(124)은 가이드레일(102)에 관통형성되어 구김방지부재(123)가 회전작동하는 공간이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2)의 내측에는 구김방지부재(123)의 구김방지가이드(123b)를 지지하여 평상시 구김방지가이드(123)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지지편(12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2)의 내측 하부에는 방염포(40)의 하강으로 구김방지부재(123)가 회전할 때, 타격판(123a)이 탄력있게 회전하도록 하는 탄성편(126)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26) 일측의 지지편(125) 하부에는 스토퍼(127)가 형성되며, 상기 방염포(40)의 하강으로 구김방지부재(123)가 회전한 후, 타격판(123a)이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방염포(40)의 하강으로 구김방지부재(123)가 회전하게 되면, 구김방지가이드(123b)가 방염포(40)의 양측에 근접하게 위치되거나 밀착되어 방염포(40)가 팽팽하게 펼쳐지게 된다.
예를 들어 구김방지부재(123)가 없는 상태에서는 방염포(40)가 하강할 때, 바닥 충격에 의한 반발력 또는 가이드레일(102)에 제대로 가이드되면서 하강하지 않을 경우 방염포(40)에 구김이 발생하여 서버랙(10)의 질식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데, 본 발며인 구김방지부(120)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는 화재 또는 연기가 감지되면, 프레임(20) 또는 프레임(20)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온도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게 되고,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1 작동부(30) 및 제2 작동부(5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센서부를 통해 화재 또는 연기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클러치(35)에 전원 공급을 중단시키게 되고 샤프트(32)를 물고 있는 클러치(35)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샤프트(3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32)는 제어부에 의해 회전을 제어할 수도 있고, 화재로 인해 정전이 되면 클러치(35) 측으로 전기 공급이 중단되어 샤프트(32)를 물고 있는 클러치(35)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샤프트(32)가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샤프트(32)에 권취되어 있던 방염포(40)는 하단부에 고정된 무게판(41)의 하중에 의해 샤프트(32)가 회전하면서 방염포(40)가 프레임(20)의 하부로 빠르게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방염포(40)가 프레임(20) 하부로 하강하게 되면, 서버랙(10)의 전,후방을 폐쇄하여 서버랙(10)을 질식 상태로 만들게 되므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게 되고 더 이상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버랙(10) 또는 프레임(20) 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제어부는 제2 작동부(50)의 구동모터(52)를 작동시켜 와이어(54)를 상승시키게 되며, 상기 와이어(54)의 상승으로 방수포(70)가 프레임(20)의 중간부분으로 상승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때, 물 공급수단을 통해 물이 공급되고, 공급되는 물은 저수조(60) 내부에 일정 수위로 저장되며, 이렇게 저장되는 물은 프레임(20)의 중간부분에 위치한 서버모듈(M)을 침수시켜 화재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저수조(60)에 저장된 물은 펌핑모터(81)를 통해 펌핑됨과 동시에 분사노즐(83)을 통해 서버랙(10)의 상부에 물을 분사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서버랙(10)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천정부에서 스프링클러를 통해 물이 분사됨과 동시에 물 분사부(80)의 분사노즐(83)을 통해 추가로 물이 분사되므로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저수조(60)에 저장된 물이 일정량 증발할 수 있는데, 물 보충부(90)는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수위감지센서(91)가 증발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증발된 양만큼 물을 보충하므로 화재를 안정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서버랙 11: 전이 방지판
20: 프레임
30: 제1 작동부 31: 지지부재
32: 샤프트 33: 구동모터
34: 구동체인 35: 클러치
40: 방염포
50: 제2 작동부 51: 구동축
52: 구동모터 53: 가이드롤러
54: 와이어
60: 저수조
70: 방수포 71: 하부지지대
72: 고정지지대
80: 물 분사부 81: 펌핑모터
82: 공급관 83: 분사노즐
90: 물 보충부 91: 수위감지센서
92: 물 보충관 93: 밸브
100: 가이드부 101: 지지체
102: 가이드레일
110: 충격흡수부
120: 구김방지부 121: 타격리브
122: 지지프레임 123: 구김방지부재
124: 작동공간

Claims (9)

  1. 내부에 다수의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가 장착되며,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좌,우로 연속 설치되는 서버랙;
    상기 서버랙의 외부에 이격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방염포를 하강시키는 제1 작동부;
    상기 제1 작동부에 권취되며, 클러치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화재 발생시에는 클러치에 의해 고정상태가 해제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프레임의 전·후방을 폐쇄시키는 방염포;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서버랙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방수포를 상승시키는 제2 작동부;
    상기 서버랙의 하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
    상기 제2 작동부의 작동으로 상승하여 상기 저수조에 물을 저장하도록 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방수포;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서버랙의 상부로 펌핑하고, 펌핑된 물을 서버랙으로 분사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물 분사부;
    물 분사시 열에 의해 증발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증발된 수위만큼 물을 보충하는 물 보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랙은,
    전·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면은 전이방지판이 고정되어 폐쇄되며, 상기 전이 방지판에 의해 일측 또는 양측에 연속 설치되는 서버랙으로 화재가 전이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방염포가 권취되는 샤프트;
    일측의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샤프트와 구동모터에 형성된 휠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체인;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염포는,
    하단부의 내,외측에 각각 밀착되는 무게판;
    상기 무게판을 방염포에 고정시키는 리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측 단부에 이중 구조의 휠이 고정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프레임의 양측 상단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휠에 각각 권취되며 가이드롤러를 통해 하부로 연장되어 방수포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는 하부지지대와 고정지지대 사이에 연결되며, 평상시에는 저수조 내부에 접혀져 수납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제2 작동부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하여 펼쳐지면서 저수조에 물이 저장되며,
    상기 하부지지대는 제2 작동부의 와이어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지지대는 저수조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부는,
    저수조 내부에 구비되는 펌핑모터;
    상기 펌핑모터로부터 서버랙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순환되는 물을 서버랙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물 보충부는,
    상기 저수조 내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저수조 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이면 저수조 내부에 기준치를 충족하도록 물을 보충하는 물 보충관;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저수조 내의 수위가 기준치에 도달하면 물 보충을 중단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염포가 프레임의 하부로 하강할 때, 상기 방염포의 양측 단부가 구겨지지 않고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구김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김방지부는,
    상기 방염포의 무게판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타격리브;
    가이드레일의 외측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김방지부재;
    상기 가이드레일에 관통형성되어 구김방지부재가 회전작동하는 작동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KR1020230039478A 2023-03-17 2023-03-27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KR102583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35458 2023-03-17
KR1020230035458 2023-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756B1 true KR102583756B1 (ko) 2023-09-27

Family

ID=8818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478A KR102583756B1 (ko) 2023-03-17 2023-03-27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7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931B1 (ko) 2017-08-22 2018-01-24 제니퍼 동 데이터 센터를 위한 랙 마운트 서버 냉각 시스템
KR20210092039A (ko) * 2020-01-15 2021-07-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방염 시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KR102444490B1 (ko) * 2022-04-22 2022-09-19 주식회사아이티존 친환경 저압 냉매를 이용한 서버랙의 온도제어 및 화재대응 구조
KR20230025546A (ko) * 2021-08-12 2023-02-2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시 화재감지 및 확산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529018B1 (ko) * 2022-11-16 2023-05-03 이계원 담수형 배터리 랙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931B1 (ko) 2017-08-22 2018-01-24 제니퍼 동 데이터 센터를 위한 랙 마운트 서버 냉각 시스템
KR20210092039A (ko) * 2020-01-15 2021-07-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방염 시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KR20230025546A (ko) * 2021-08-12 2023-02-2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시 화재감지 및 확산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444490B1 (ko) * 2022-04-22 2022-09-19 주식회사아이티존 친환경 저압 냉매를 이용한 서버랙의 온도제어 및 화재대응 구조
KR102529018B1 (ko) * 2022-11-16 2023-05-03 이계원 담수형 배터리 랙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756B1 (ko) 화재 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데이터센터 서버
KR102622154B1 (ko) 질식 소화기능을 갖는 화재 방지시스템
CN108617128A (zh) 一种防火电气柜
US105991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kiosk which responds to natural disasters
CN208852285U (zh) 一种便于存放且易于固定的风电用灭火装置
US9885142B2 (en) Tumble dryer with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CN208809356U (zh) 一种具有防碰撞功能的灭火器存储设备
CN209548566U (zh) 一种挡烟屏障
CN208655396U (zh) 一种基于电供热的变压器设备
CN210915144U (zh) 一种安全性能高的升降机
JP5556125B2 (ja) スクリーン装置、及びスクリーンの錘部材の引き上がり防止機構
CN215529478U (zh) 一种机电设备防护装置
CN218270089U (zh) 监控干燥装置及具有其的监控装置
KR102273735B1 (ko) 배터리 스토리지 유닛 및 배터리 보관실
KR102363074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인명구조 소방설비
CN206495068U (zh) 可折叠洗衣机用安全开关
CN217908689U (zh) 一种防撞灭火器
KR101157613B1 (ko) 드럼 세탁기의 진동 감지장치
CN207768957U (zh) 一种灭火器存储箱
JP2014189374A (ja) 物品収納設備
JP2006317230A (ja) 燃料貯蔵プールの柵構造
CN220510556U (zh) 一种配电柜安全防护结构
CN212064648U (zh) 一种防抽屉碰撞的数控防潮柜
CN220341315U (zh) 降温防护装置
CN209659781U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监控系统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