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065B1 - 솔레노이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065B1
KR102583065B1 KR1020160060075A KR20160060075A KR102583065B1 KR 102583065 B1 KR102583065 B1 KR 102583065B1 KR 1020160060075 A KR1020160060075 A KR 1020160060075A KR 20160060075 A KR20160060075 A KR 20160060075A KR 102583065 B1 KR102583065 B1 KR 102583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ange
solenoid
stator assemb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417A (ko
Inventor
이수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06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9Hydraul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assembly of valve plates or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어느 한 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 측은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어느 한 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 측은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2 플랜지에 결합하는 솔레노이드 하우징를 제공하여, 프레스 공정이 가능하여 대량 생산을 통한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Solenoid housing and solenoid}
실시예는 솔레노이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변속기에 사용되는 압력 조절용 밸브로서, 솔레노이드가 있다.
솔레노이드는 오일의 유입유로, 유로유로, 공급유로 등과 연결되어 오일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변속기의 작동 유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유량을 공급하게 되는데, 작동 해제 시 스프링의 힘으로 위치가 복원되기 때문에 작동 유압의 정밀 제어가 어렵다.
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2개의 스테이터 조립체를 축방향으로 배열하여 양방향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양 방향으로 샤프트를 움직여 양 방향으로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는 2개의 스테이터 조립체를 감싸는 긴 원통형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2개의 스테이터 조립체에 대한 자력 흐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서는 2개의 스테이터 조립체를 공간적으로 구획하는 백요크(back)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솔레노이드의 하우징은 부품수가 많고 이에 따른 하우징 제작 공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조립 시간이 증가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백요크를 삭제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프레스(press) 공법을 사용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어느 한 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 측은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어느 한 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 측은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2 플랜지에 결합하는 솔레노이드 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랜지는 중심에 형성된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중심에 형성된 제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이 정렬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동심축 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우징의 개방된 어느 한 측을 덮는 제1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홀과 정렬되는 제3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우징은 개방된 어느 한 측의 테두리에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는 절개되어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된 어느 한 측을 덮는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2 홀과 정렬되는 제4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하우징은 개방된 어느 한 측의 테두리에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절개되어 상기 제2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어느 한 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 측은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어느 한 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 측은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2 플랜지에 결합하는 솔레노이드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제1 스테이터 조립체와,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스테이터 조립체와 상 정렬되는 제2 스테이터 조립체와, 상기 제1 스테이터 조립체 및 상기 제2 스테이터 조립체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걸쳐 배치되는 플런저 조립체 및 상기 플런저 조립체에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랜지는 중심에 형성된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중심에 형성된 제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홀의 직경은 상기 제1 스테이터 조립체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플런저 조립체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홀의 직경은 상기 제2 스테이터 조립체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플런저 조립체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가 비교적 짧은 2개의 원통형 하우징을 결합하여 솔노이드 하우징을 구현함으로써, 프레스 공정이 가능하여 대량 생산을 통한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향 플랜지와 제2 내향 플랜지가 상호 결합하여, 인접한 스테이터 조립체의 자속 흐름을 차단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백요크를 대체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솔레노이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솔레노이드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솔레노이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솔레노이드 하우징(100)과,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와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와, 플런저 조립체(400)와, 샤프트(500)와 마그넷(600)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은 제1 하우징(110)의 내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은 제2 하우징(120)의 내측에 마련된다.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와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는 동심축(CL) 상으로 정렬된다.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와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에는 보빈에 코일이 권선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플런저 조립체(400)는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 및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의 내측에 배치된다. 플런저 조립체(400)는 축방향으로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와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를 걸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플런저 조립체(40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걸쳐 형성된다.
플런저 조립체(400)는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 또는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에 감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샤프트(500)는 플런저 조립체(400)의 중심에 연결되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마그넷(600)은 플런저 조립체(400)의 양 단부를 마주보도록 솔레노이드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600)은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 또는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에 감긴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에 따라 축방향을 따라 양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플런저 조립체(4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솔레노이드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축방향으로 기준으로 길이를 줄이고자 2개의 하우징을 결합하여 솔레노이드 하우징(100)을 구성한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각각 드로잉(drawing)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때문에 제관공정을 통한 방법보다 솔레노이드 하우징(100)의 제작 공수 및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4는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의 어느 한 측은 제1 플랜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0)의 다른 측은 개방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11)는 제1 하우징(110)의 테두리에서 중심을 향하여 내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11)는 중심에 제1 홀(111a)을 형성한다. 제1 홀(111a)은 플런저 조립체(400)가 관통하여 지나게 된다.
제2 하우징(120)의 어느 한 측은 제2 플랜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120)의 다른 측은 개방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21)는 제2 하우징(120)의 테두리에서 중심을 향하여 내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21)는 중심에 제2 홀(121a)을 형성한다. 제2 홀(121a)은 플런저 조립체(400)가 관통하여 지나게 된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하우징(100)을 대량 생산하는데 용이하며, 제작 공수 및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12)가 마주 보도록 배치하여 상호 결합된다.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12)는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결합 구조물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동심축(CL)을 가지도록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호 결합된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12)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와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에사 발생하는 자력의 흐름과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존의 백요크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 홀(111a) 및 제2 홀(121a)의 직경(D1)은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 및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의 내경(D2)보다 작고, 플런저 조립체(400)의 외경(D3)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제1 홀(111a) 및 제2 홀(121a)의 직경(D1)은 각각 제1 플랜지(111)의 폭 및 제2 플랜지(112)의 폭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이에 직경(D1)이 내경(D2)보다 작아야 제1 스테이터 조립체(200)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흐름과 제2 스테이터 조립체(300)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플랜지(111)의 폭 및 제2 플랜지(112)의 폭을 확보할 수 있다.
제 1 커버(130)는 제1 하우징(110)의 개방된 어느 한 측을 덮는다. 그리고 제 1 커버(130)는 샤프트(500)가 관통하는 제3 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커버(140)는 제2 하우징(120)의 개방된 어느 한 측을 덮는다. 그리고 제 2 커버(140)는 샤프트(500)가 관통하는 제4 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각각 제1 돌기(112) 및 제2 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버(130) 및 제2 커버(140)는 각각 제1 슬롯(132)과 제2 슬롯(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112)는 제1 하우징(110)의 개방된 어느 한 측의 테두리에서 돌출된다. 제2 돌기(122)는 제2 하우징(120)의 개방된 어느 한 측의 테두리에서 돌출된다. 제1 슬롯(132)은 제1 커버(130)에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롯(142)은 제2 커버(140)에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112)가 제1 슬롯(132)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110)과 제1 커버(130)의 위치를 정렬시킨다. 또한, 제2 슬롯(142)은 제2 커버(140)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120)과 제2 커버(140)의 위치를 정렬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솔레노이드 하우징
110: 제1 하우징
111: 제1 플랜지
111a: 제1 홀
120: 제2 하우징
121: 제2 플랜지
121a: 제2 홀
130: 제1 커버
131: 제3 홀
140: 제2 커버
141: 제4 홀
200: 제1 스테이터 조립체
300: 제2 스테이터 조립체
400: 플런저 조립체
500: 샤프트
600: 마그넷

Claims (18)

  1.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어느 한 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 측은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어느 한 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 측은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2 플랜지에 결합하는 솔레노이드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제1 스테이터 조립체;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스테이터 조립체와 동심축 상 정렬되는 제2 스테이터 조립체;
    상기 제1 스테이터 조립체 및 상기 제2 스테이터 조립체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걸쳐 배치되는 플런저 조립체;및
    상기 플런저 조립체에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테이터 조립체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흐름과 상기 제2 스테이터 조립체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흐름을 차단하고,
    제1 홀의 직경은 상기 제1 스테이터 조립체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플런저 조립체의 외경보다 크고, 제2 홀의 직경은 상기 제2 스테이터 조립체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플런저 조립체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이 정렬되도록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가 마주보고 결합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개방된 어느 한 측의 테두리에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제1 커버는 절개되어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개방된 어느 한 측의 테두리에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제2 커버는 절개되어 상기 제2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동심축 상으로 배열되는 동심축 솔레노이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홀과 정렬되는 제3 홀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2 홀과 정렬되는 제4 홀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12. 삭제
  13. 삭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테두리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060075A 2016-05-17 2016-05-17 솔레노이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KR102583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75A KR102583065B1 (ko) 2016-05-17 2016-05-17 솔레노이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75A KR102583065B1 (ko) 2016-05-17 2016-05-17 솔레노이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17A KR20170129417A (ko) 2017-11-27
KR102583065B1 true KR102583065B1 (ko) 2023-09-27

Family

ID=6081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075A KR102583065B1 (ko) 2016-05-17 2016-05-17 솔레노이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0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0629A (ja) * 2007-05-31 2008-12-11 Takano Co Ltd ソレノイド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314U (ja) * 1981-07-01 1983-01-13 安藤 正一 ソレノイド
KR20080086037A (ko) * 2007-03-21 2008-09-2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솔레노이드 밸브
KR101381216B1 (ko) * 2012-09-07 2014-04-07 박경호 안전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0629A (ja) * 2007-05-31 2008-12-11 Takano Co Ltd ソレノイド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17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9790B2 (ja) パイロット式電磁弁
US10734147B2 (en) Electromechanical solenoid having a pole piece alignment member
US9046188B2 (en) Solenoid actuator with magnetic sleeving
JP5971146B2 (ja) リニアソレノイド
EP2850328B1 (en) Magnetic bearing and method for mounting a ferromagnetic structure around the core of a magnetic bearing
KR101900587B1 (ko) 폴 피스와 플럭스 슬리브의 정렬불량에 강한 솔레노이드
CN103671940B (zh) 一种悬浮导向支撑电磁阀
CN101614298B (zh) 操作磁体和防粘盘
JP5842840B2 (ja) リニアソレノイド
CN105804828A (zh) 电磁致动器
KR20160147781A (ko) 전자기 작동 장치
WO2016104392A1 (ja) ソレノイド
CA2922819C (en) Control solenoid with improved magnetic circuit
US20150129785A1 (en) Electromagnetic valve
KR102583065B1 (ko) 솔레노이드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CN107567646A (zh) 具有减小性能变化的电磁致动器
WO2019021531A1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油圧調整機構
EP3039691B1 (en) Control solenoid with improved magnetic circuit
EP3026306B1 (en) Solenoid valve
US3488614A (en) Electromagnetic actuating device
JP2019173786A (ja) 緩衝器
KR101609565B1 (ko) 통기 구조를 가지는 보빈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CN204258449U (zh) 一种基于磁饱和原理实现转子定位的定子结构
JP6249285B2 (ja) 電磁弁
RU2013151585A (ru) Двухканальный электр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усилитель мощ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