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806B1 - 틈새 고정형 북 앤드 - Google Patents

틈새 고정형 북 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806B1
KR102582806B1 KR1020210164785A KR20210164785A KR102582806B1 KR 102582806 B1 KR102582806 B1 KR 102582806B1 KR 1020210164785 A KR1020210164785 A KR 1020210164785A KR 20210164785 A KR20210164785 A KR 20210164785A KR 102582806 B1 KR102582806 B1 KR 10258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desk
shelf
main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7477A (ko
Inventor
김현지
Original Assignee
김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지 filed Critical 김현지
Priority to KR1020210164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80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7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20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가볍고 운반이 편리하면서도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직립된 서적들의 중량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넘어지지 않고 서적들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으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 폭에 구애 받지 않고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틈새 고정형 북 앤드가 개시된다. 상기 틈새 고정형 북 앤드는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에 바닥판이 밀착되며 상기 바닥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과 수직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측판에 의해 서적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판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삽입되어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부를 책상이나 선반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본체부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틈새 고정형 북 앤드{NICHE FIXED BOOKEND}
본 발명은 틈새 고정형 북 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이나 선반의 길이에 맞춰 설치되어 서적들을 직립된 상태로 진열할 수 있는 틈새 고정형 북 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문서적이나 정기 간행물, 또는 각종 책 등과 같은 서적들을 정리하기 위해 북 앤드가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북앤 드는 대체적으로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하부면이 책 또는 간행물과 같은 서적에 의해 눌려지고 상부 수직면은 책 또는 간행물과 같은 서적이 옆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책 또는 간행물과 같은 서적을 지지함으로써 서적들을 가지런하게 직립된 상태로 진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북 앤드의 경우에는 제품의 무게가 가볍기는 하지만 꽂는 서적의 수량이 증가하면 서적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북 앤드를 구비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과 관리 소홀로 인하여 분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2813호(2006.11.24.)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볍고 운반이 편리하면서도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직립된 서적들의 중량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넘어지지 않고 서적들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틈새 고정형 북 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 폭에 구애 받지 않고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틈새 고정형 북 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에 바닥판이 밀착되며 상기 바닥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과 수직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측판에 의해 서적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판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삽입되어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부를 책상이나 선반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본체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틈새 고정형 북 앤드를 제시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는 상기 측판에 의해 측면부가 지지되는 서적의 바닥면에 의해 눌려 지지되도록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바닥판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판과 수직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삽입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폭에 맞추어 길이 조절되어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틈새 밀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틈새 밀착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밀착되며 나사 체결 홀이 마련되는 간격 조절블록과,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여 상기 간격 조절블록의 나사 체결 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폭에 맞추어 상기 간격 조절블록에 나사 체결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밀착 나사부 및, 상기 밀착 나사부에 부착되는 탄성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는 직립된 상태로 진열되는 서적을 지지하는 본체부를 얇은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하여 중량이 가볍고 운반이 편리하면서도, 본체부에 고정판이 결합된 본체부 고정수단의 지지판과 틈새 밀착부재를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 사이에 형성된 틈새 사이로 삽입하여 틈새 밀착부재를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상기 본체부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서적들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본체부가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는 가벼워서 운반과 설치가 매우 편리하다는 종래의 일반적인 북 앤드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틈새 밀착부재를 책상이나 선반의 측변부와 벽체 사이에 형성된 틈새 사이로 삽입하여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에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서적을 지탱하는 본체부를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서적의 중량에 의해 본체부가 손쉽게 넘어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북 앤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는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폭에 상관없이 틈새 밀착부재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는 경량성과 운반의 용이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이용하여 본체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많은 양의 서적을 견고하게 직립된 상태로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켜 고객 만족도와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가 책상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가 책상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가 책상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가 책상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정형 북 앤드(100)는 본체부(110) 및, 본체부 고정수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바닥판(111) 및, 측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1)은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21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측판(112)은 상기 바닥판(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111)과 수직이 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10)는 바닥판(111)과 측판(112)이 'L'자 형태가 되도록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부(110)는 바닥판(111)이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21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111)과 수직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측판(112)에 의해 서적의 측면부를 지지함으로써 서적들을 가지런하게 직립된 상태로 진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는 지지판(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3)은 상기 측판(112)에 의해 측면부가 지지되는 서적의 바닥면에 의해 눌려 지지되도록 상기 바닥판(111)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고정수단(120)은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판(111)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120)와 벽체(W)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G)에 삽입되어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10)를 책상이나 선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 고정수단(120)은 고정판(121), 지지판(122) 및, 틈새 밀착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1)은 상기 본체부(110)의 바닥판(111)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121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21a)로는 상기 고정판(121)과 본체부(110)의 바닥판(111)을 관통하는 볼트(B)와, 상기 볼트(B)에 체결되는 너트((N)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22)은 상기 고정판(12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판(121)과 수직이 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G)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22)에는 틈새 밀착부재()의 밀착 나사부()에 의해 관통되는 복수개의 체결 홀(122a)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새 밀착부재(123)는 상기 지지판(122)에 결합되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G)의 폭에 맞추어 길이 조절되어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 사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틈새 밀착부재(123)는 간격 조절블록(123a), 밀착 나사부(123b) 및, 탄성 밀착부(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블록(123a)은 상기 지지판(122)에 밀착되며 나사 체결 홀(h1)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간격 조절블록(123a)은 나사 체결 홀(h1)이 상기 지지판(12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 홀(122a) 중 어느 하나의 체결 홀(122a)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판(122)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밀착 나사부(123b)는 상기 지지판(122), 즉 상기 지지판(122)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체결 홀(122a)을 관통하여 상기 간격 조절블록(123a)의 나사 체결 홀(h1)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G)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간격 조절블록(123a)에 나사 체결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밀착부(123c)는 상기 밀착 나사부(123b)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마주하는 벽체(W)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를 설치하는 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100)를 측면부(220)가 벽체(W)와 밀착된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2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부(110)의 바닥판(111)에 본체부 고정수단(120)의 고정판(121)을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121a)를 사용하여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10)의 바닥판(111)에 본체부 고정수단(120)의 고정판(121)을 결합시킨 다음,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210)에 바닥판(111)과 지지판(113)이 밀착되도록 본체부(110)를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210)에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바닥판(111)에 고정판(121)이 결합된 본체부 고정수단(120)의 지지판(122)은 책상이나 선반의 측변부(220)와 벽체(W)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G)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G)에 본체부 고정수단(120)의 지지판(122)이 삽입됨과 동시에 본체부(110)의 바닥판(111)과 지지판(113)이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210)에 밀착되도록 바닥판(111)에 본체부 고정수단(120)이 결합되어 있는 본체부(110)를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210)에 올려놓는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 고정수단(120)이 결합되어 있는 본체부(110)를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210)에 올려놓은 후,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G)의 폭에 맞추어 상기 간격 조절블록(123a)에 나사 체결되는 밀착 나사부(123b)의 깊이를 조절하여 상기 밀착 나사부(123b)에 부착되는 탄성 밀착부(123c)는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마주하는 벽체(W)에 견고하게 밀착되고 간격 조절블록(123a)은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10)를 벽체(W)에 밀착되어 있는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2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100)는 책상이나 선반을 벽체(W)에 밀착시켰을 경우 발생되는 책상이나 선반과 벽체(W) 사이의 틈새(G)에 틈새 밀착부재(123)가 결합된 지지판(122)을 삽입한 후,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와의 사이에 틈새 밀착부재(123)가 견고하게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여 본체부(110)를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2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100)는 본체부(110)를 얇은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함으로써 북 앤드를 경량화시킴으로써 제품 중량은 매우 가벼우면서도, 본체부(110)가 설치되는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 사이에 본체부(110)에 고정판(121)이 결합되어 있는 본체부 고정수단(120)의 지지판(122)과 틈새 밀착부재(123)가 삽입되어 상기 틈새 밀착부재(123)가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본체부(110)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본체부(110)에 서적에 의한 큰 중량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본체부(110)가 쓰러지지 않고 서적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100)는 틈새 밀착부재(123)가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G)의 폭에 맞추어 길이 조절되어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 사이에 형성된 틈새(G)에 삽입되어 밀착 고정됨으로써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G)의 폭에 상관없이 견고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100)는 직립된 상태로 진열되는 서적을 지지하는 본체부(110)를 얇은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하여 중량이 가볍고 운반이 편리하면서도, 본체부(110)에 고정판(121)이 결합된 본체부 고정수단(120)의 지지판(122)과 틈새 밀착부재(123)를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 사이에 형성된 틈새(G) 사이로 삽입하여 틈새 밀착부재(123)를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상기 본체부(11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서적들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본체부(110)가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100)는 가벼워서 운반과 설치가 매우 편리하다는 종래의 일반적인 북 앤드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틈새 밀착부재(123)를 책상이나 선반의 측변부(220)와 벽체(W) 사이에 형성된 틈새(G) 사이로 삽입하여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에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서적을 지탱하는 본체부(110)를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210)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서적의 중량에 의해 본체부(110)가 손쉽게 넘어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북 앤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틈새 고정형 북 앤드(100)는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220)와 벽체(W)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G)의 폭에 상관없이 틈새 밀착부재(123)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본체부 (111) : 바닥판
(112) : 측판 (113) : 지지판
(120) : 본체부 고정수단 (121) : 고정판
(122) : 지지판 (123) : 틈새 밀착부재
(123a) : 간격 조절블록 (123b) : 밀착 나사부
(123c) : 탄성 밀착부

Claims (4)

  1. 책상이나 선반의 상부면에 바닥판이 밀착되며 상기 바닥판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과 수직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측판에 의해 서적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판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삽입되어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부를 책상이나 선반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본체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틈새 고정형 북 앤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측판에 의해 측면부가 지지되는 서적의 바닥면에 의해 눌려 지지되도록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틈새 고정형 북 앤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바닥판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판과 수직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삽입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폭에 맞추어 길이 조절되어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틈새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틈새 고정형 북 앤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밀착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밀착되며 나사 체결 홀이 마련되는 간격 조절블록;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여 상기 간격 조절블록의 나사 체결 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책상이나 선반의 측면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폭에 맞추어 상기 간격 조절블록에 나사 체결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밀착 나사부; 및
    상기 밀착 나사부에 부착되는 탄성 밀착부를 포함하는 틈새 고정형 북 앤드.
KR1020210164785A 2021-11-25 2021-11-25 틈새 고정형 북 앤드 KR102582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785A KR102582806B1 (ko) 2021-11-25 2021-11-25 틈새 고정형 북 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785A KR102582806B1 (ko) 2021-11-25 2021-11-25 틈새 고정형 북 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477A KR20230077477A (ko) 2023-06-01
KR102582806B1 true KR102582806B1 (ko) 2023-09-26

Family

ID=8677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785A KR102582806B1 (ko) 2021-11-25 2021-11-25 틈새 고정형 북 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8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080Y1 (ko) 2003-12-29 2004-06-10 주식회사 홍미 진열장 보조 지지대
CN201968146U (zh) 2011-03-08 2011-09-14 赵诗婷 一种方便固定的书立
CN202354823U (zh) 2011-10-21 2012-08-01 潘文俊 一种可固定在书桌上的书立
CN202681111U (zh) 2012-07-27 2013-01-23 张玉钱 一种防滑书立
CN204764283U (zh) 2015-06-18 2015-11-18 王录阳 课桌用可固定书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550A (ja) * 1994-12-28 1996-07-16 Sekisui Jushi Co Ltd 吊り棚
KR100652813B1 (ko) 2005-09-08 2006-12-01 주식회사 세명네오퍼스 북 앤드
KR200482966Y1 (ko) * 2015-04-03 2017-03-22 우봉윤 나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목 지지용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080Y1 (ko) 2003-12-29 2004-06-10 주식회사 홍미 진열장 보조 지지대
CN201968146U (zh) 2011-03-08 2011-09-14 赵诗婷 一种方便固定的书立
CN202354823U (zh) 2011-10-21 2012-08-01 潘文俊 一种可固定在书桌上的书立
CN202681111U (zh) 2012-07-27 2013-01-23 张玉钱 一种防滑书立
CN204764283U (zh) 2015-06-18 2015-11-18 王录阳 课桌用可固定书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477A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5794A (en) Adjustable support bracket that slides and adjusts within a channel
US6202570B1 (en) Communications equipment relay rack
EP1940633B1 (en) Desktop organizer
US6196141B1 (en) Vertically stabilized adjustable shelf bracket assembly
US6792876B2 (en) Tabletop suspension system
US20070251905A1 (en) Shelving merchandising system
US6082560A (en) Closet organizer suspension system
CN105939636A (zh) 搁架系统
US9060603B1 (en) Modular cable wine rack system
US10213016B2 (en) Interchangeable modular shelf system
US20140374555A1 (en) Mounting bracket
US20110315838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necting modular office furniture components
KR102582806B1 (ko) 틈새 고정형 북 앤드
US20070278168A1 (en) Decorative wall hanging assembly
US6357608B1 (en) Closet organizer suspension system
US10905238B1 (en) Bracket for drawer slide rail
EP1862093A1 (en) Shelf stand assembly
KR101912935B1 (ko) 파티션 거치대 및 파티션 거치대 선반
US20120312944A1 (en) Sign Holder and Coupon Dispenser
US5346167A (en) Peg board hanger
JP2014004145A (ja) 仕切板取付装置
CA2820345C (en) Shelf-type display fixture
US20180347603A1 (en) Toolless Mounting System For An Electronics Rack Component
US20020088915A1 (en) Document holder
KR200211941Y1 (ko)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