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721B1 - 발광형 표지판 - Google Patents

발광형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721B1
KR102582721B1 KR1020220184588A KR20220184588A KR102582721B1 KR 102582721 B1 KR102582721 B1 KR 102582721B1 KR 1020220184588 A KR1020220184588 A KR 1020220184588A KR 20220184588 A KR20220184588 A KR 20220184588A KR 102582721 B1 KR102582721 B1 KR 102582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light
light source
rear end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운
웅진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운, 웅진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운
Priority to KR102022018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opt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40Arrangements responsive to adverse atmospheric conditions, e.g. to signal icy roads or to automatically illuminate in fo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heating or dr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the ends of optical fib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형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의 후단과 광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표지판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는 발광형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형 표지판은 복수의 관통홀이 문자 또는 기호 등을 표현하기 위한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패널; 선단이 상기 관통홀에 고정되는 복수의 광섬유; 상기 광섬유의 후단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모듈은, 분리구성된 제1분체와 제2분체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상기 광섬유들의 후단을 고정하는 후단홀더; 상기 광섬유들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후단홀더와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광원이 실장되어 발광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체와 제2분체는 상기 광섬유의 후단과 광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형 표지판{LIGHTING SIGN BOARD}
본 발명은 발광형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의 후단과 광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표지판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는 발광형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지판은 인도나 차도와 같은 도로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 통행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각종 안내나 경고 혹은 주의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예컨대, 도로 표지판이나 안내 표지판은 운전자에게 목적지를 안내하고 교통안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및 보조표지 등이 법령에 의해 구체적 형태와 규격이 정해져 있다.
또한, 차량이 다니는 도로뿐만 아니라 인도에도 설치되어 보행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인식하거나 주의 의무를 부과하기도 한다.
종래부터 표지판은 철판과 같은 판재 위에 재귀반사가 이루어지는 반사지를 소정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등의 패턴으로 제공하였다.
그러나 야간이나 악천후에는 표지판의 시인성 및 판독성이 저하되어 운전자에 정확한 정보제공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발광형 표지판이 개시되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패널부재에 표지판의 표시내용을 표현할 수 있게 복수의 관통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즉, 표지판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내용을 구성하도록 상기 패널부재(110)의 표면에 관통홀(112)이 문양이나 문자, 숫자 및 기호의 형태에 맞춰 형성된다.
또한 발광형 표지판에는 광섬유 홀더부재(1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광섬유 홀더부재(120)는 패널부재(110)의 관통홀(112)에 광섬유(12)의 선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광섬유(12)의 선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패널부재(110)의 관통홀(112)에 삽입되게 설치된다.
또한, 발광형 표지판에는 고정유닛(1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유닛(150)은 광원유닛(14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손실을 줄이면서 광섬유(12)로 빛을 전달할 수 있게 상기 광섬유 번들부(130)와 광원유닛(1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형 표지판은 광원의 휘도 분포가 균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광원(LED)의 밝기와 갯수 및 조사각도의 변화에 따라 표지판의 시인성 및 판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유닛은 복수의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 및 해제하는데, 발광형 표지판을 고소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소작업시 체결 및 분리시간이 길어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발광형 표지판의 유지보수시 고정유닛을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
등록특허 제151104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의 후단과 광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표지판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는 발광형 표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원의 밝기와 갯수 또는 조사각도 변화에 따라 밝기와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발광형 표지판의 시인성 및 판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형 표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발광형 표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광형 표지판은 복수의 관통홀이 문자 또는 기호 등을 표현하기 위한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패널; 선단이 상기 관통홀에 고정되는 복수의 광섬유; 상기 광섬유의 후단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모듈은, 분리구성된 제1분체와 제2분체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상기 광섬유들의 후단을 고정하는 후단홀더; 상기 광섬유들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후단홀더와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광원이 실장되어 발광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체와 제2분체는 상기 광섬유의 후단과 광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제1분체와 제2분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을 기립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 이상의 슬릿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분체와 제2분체는 각각 양측면에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분체와 제2분체의 체결부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분체와 제2분체를 결합시키는 고정링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표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단홀더는 외주면에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분체 또는 제2분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위치설정돌기가 삽입되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분체 및 제2분체 중 어느 하나는 결합되는 접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분체 및 제2분체는 상기 회로기판의 전측 내주면에 반사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섬유의 후단과 광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로 인해 표지판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광원의 밝기와 갯수 또는 조사각도 변화에 따라 밝기와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발광형 표지판의 시인성 및 판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링을 이용하여 제1분체와 제2분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형 표지판을 고소에 설치하는 경우, 신속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시 고정링을 분리하면 제1분체와 제2분체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발광형 표지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광형 표지판의 일 실시예의 전체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원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원모듈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분리사시도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요부를 각각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광원모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발광형 표지판은 복수의 관통홀이 문자 또는 기호 등을 표현하기 위한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패널(60)과, 선단이 상기 관통홀에 고정되는 복수의 광섬유(F)와, 다수의 상기 광섬유들(F)의 후단과 광원(30) 및 회로기판(20)을 고정하는 광원모듈(1)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6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에는 상기 광섬유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70)가 구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원모듈(1)의 사시도이고, 도 5는 광원모듈(1)의 일부 절개사시도이며, 도 6은 광원모듈(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광원모듈(1)은 후단홀더(40)와 회로기판(20)을 내장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로 분리형성된 후, 이들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로 분리형성함으로써, 내부에 후단홀더(40)와 회로기판(20) 등을 내장하고 손쉽게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의 결합면에는 각각 적어도 1 이상의 결합돌기(15)와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의 결합 전에 상기 결합돌기(15)를 결합홈에 결합하여 위치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는 후단홀더(40)를 안착하는 안착부(12)와, 회로기판(20)을 장착하는 기판장착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2)는 원통형상(링형상)의 후단홀더(40)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원통형태의 중공부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2)에는 위치설정홈(12a)이 적어도 1 이상 형성된다.
상기 후단홀더(40)는 가장자리에 위치설정돌기(43)가 적어도 1 이상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설정돌기(43)가 상기 위치설정홈(15)에 삽입되어 후단홀더가 안정적으로 안착부(12)에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단홀더(40)는 광섬유(F)들, 즉 광섬유 다발(bunddle)의 후단이 묶음 형태로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후단홀더(40)는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부(41)가 형성된 원통형상(링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리브(42)가 적어도 1 이상 형성된다(도 7 참조).
상기 기판장착부(11)는 대략 사각형태의 회로기판(20)을 수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기판장착부(11)의 양측 내벽에는 상기 회로기판(20)을 수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슬릿(도 9의 11a~11d 참조)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슬릿은 양측 내벽이 아니라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양측 내벽과 바닥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로기판(20)이 설치되는 슬릿(11a~11d)이 순차적으로 4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후단홀더(40)에서 가장 먼 제1슬릿(11a)부터, 후단홀더(40)에 가장 근접한 제4슬릿(11d)까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20)을 제1슬릿(11a)에 삽입 설치하면, 후단홀더(40)에 고정된 광섬유(F)의 후단에서 광원(30)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20)을 제4슬릿(11d)에 삽입 설치하면, 후단홀더(40)에 고정된 광섬유(F)의 후단에서 광원(30)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깝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릿((11a~11d))이 복수개 형성됨으로서, 광섬유(F)의 후단과 광원(3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복수의 슬릿((11a~11d))은 상기 광섬유(F)의 후단과 광원(3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를 결합한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원통형태로 돌출된 체결부(13)가 형성된다. 즉,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는 양측에 단면이 반원인 체결부(13A,13B)가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13)의 외주에는 링형태의 고정링(5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를 결합한 상태에서 원통형태의 체결부(13)의 외주에 고정링(50)을 결합하여 상기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를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를 나사결합하는 것보다 결합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 한편, 발광형 표지판은 고소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유지보수시 작업자가 사다리차를 타고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 분리하여 교체나 수리하게 되는데, 이 경우, 고소에서 다수의 나사를 해제하여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를 분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의 상기 체결부(13)에서 고정링(50)을 분리하면 상기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도 분리된다. 따라서 고소작업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13)에는 외주에는 원주방향으로 고정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50)의 내주에는 원주방향으로 걸림턱(5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링(50)을 상기 체결부(13)에 결합할 때 상기 걸림턱(51)이 상기 고정홈(14)에 안착되어 고정링(50)이 체결부(13)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체결부(13)에 고정링(50)을 고정할 때, 상기 고정링(50)의 내부에는 걸림턱(51)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간섭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링(50)은 가장자리에 복수의 절개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52)가 형성되어 연신 및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절개부(5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턱(51)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음에도 체결부(13)가 관통하더라도 걸림턱(51)이 간섭되지 않고 관통할 수 있는 것이다(도 8 참조).
또한, 상기 제1분체(10A)와 제2분체(10B)가 단차결합하도록 접면에 단차부(16,17)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분체의 체결부(13)에 단차부(16)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제2분체(10B)에도 단차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분체(10A)분체의 접면 측벽에도 단차부(1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차부(16,17)가 형성됨으로써, 빗물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광원의 빛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원모듈(1)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광원(30)이 실장된 회로기판(20)과, 광섬유(F)의 후단이 묶음으로 고정된 후단홀더(40)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광원(30)과 광섬유 후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으로서 4개의 슬릿((11a~11d))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9는 상기 회로기판(20)이 후단홀더(40)와 가장 먼 제1슬릿(11a)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10은 상기 회로기판(20)이 후단홀더(40)와 비교적 가까운 제3슬릿(11c)에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d2<d1).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원모듈(1)은 광원(30)과 광섬유(F) 후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광원(30)과 광섬유(F) 후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은 표지판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광원인 LED의 밝기와 갯수 또는 조사각도가 변화하게 되면, 표지판의 밝기와 휘도가 변화하게 된다. 이것은 발광형 표지판의 시인성 및 판독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과 광섬유 후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거리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휘도분포를 균일하게 조정하고, 표지판의 시인성과 판독성이 우수한 광원과 광섬유 후단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는 것이다.
1: 광원모듈
10: 하우징
10A: 제1분체
10B: 제2분체
11a~11d: 슬릿
12: 홀더안착부
13: 체결부
20: 회로기판
30: 광원
40: 후단홀더
50: 고정링

Claims (7)

  1. 복수의 관통홀이 문자 또는 기호 등을 표현하기 위한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패널;
    선단이 상기 관통홀에 고정되는 복수의 광섬유;
    상기 광섬유의 후단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모듈은,
    분리구성된 제1분체와 제2분체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상기 광섬유들의 후단을 고정하는 후단홀더;
    상기 광섬유들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후단홀더와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광원이 실장되어 발광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체와 제2분체는 상기 광섬유의 후단과 광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분체와 제2분체는 각각 양측면에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분체와 제2분체의 체결부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분체와 제2분체를 결합시키는 고정링이 더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의 표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은 가장자리에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제1분체와 제2분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을 기립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 이상의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홀더는 외주면에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분체 또는 제2분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위치설정돌기가 삽입되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체 및 제2분체 중 어느 하나는 결합되는 접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체 및 제2분체는 상기 회로기판의 전측 내주면에 반사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KR1020220184588A 2022-12-26 2022-12-26 발광형 표지판 KR102582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588A KR102582721B1 (ko) 2022-12-26 2022-12-26 발광형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588A KR102582721B1 (ko) 2022-12-26 2022-12-26 발광형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721B1 true KR102582721B1 (ko) 2023-09-26

Family

ID=8819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588A KR102582721B1 (ko) 2022-12-26 2022-12-26 발광형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72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129Y1 (ko) * 2001-12-27 2002-03-18 백정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사인보드의 발광장치
KR100612474B1 (ko) * 2005-04-15 2006-08-16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를 이용한 광고장치용 광원유니트
KR101179984B1 (ko) * 2012-04-06 2012-09-07 주식회사 인터원 엘이디 경관 조명
KR101291425B1 (ko) * 2012-12-12 2013-07-30 투인산업 주식회사 발광형 표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3975B1 (ko) * 2013-07-23 2014-06-13 투인산업 주식회사 발광형 표지판
KR101511049B1 (ko) 2014-12-18 2015-04-20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KR20160034583A (ko) * 2014-09-22 2016-03-30 주식회사 지엘티 광섬유를 이용한 표지판의 고정부재
KR20170007912A (ko) * 2015-07-13 2017-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라이트가이드 시스템
KR102373112B1 (ko) * 2021-08-23 2022-03-14 신도산업 주식회사 광섬유 발광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광섬유 발광형 표지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129Y1 (ko) * 2001-12-27 2002-03-18 백정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사인보드의 발광장치
KR100612474B1 (ko) * 2005-04-15 2006-08-16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를 이용한 광고장치용 광원유니트
KR101179984B1 (ko) * 2012-04-06 2012-09-07 주식회사 인터원 엘이디 경관 조명
KR101291425B1 (ko) * 2012-12-12 2013-07-30 투인산업 주식회사 발광형 표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3975B1 (ko) * 2013-07-23 2014-06-13 투인산업 주식회사 발광형 표지판
KR20160034583A (ko) * 2014-09-22 2016-03-30 주식회사 지엘티 광섬유를 이용한 표지판의 고정부재
KR101511049B1 (ko) 2014-12-18 2015-04-20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KR20170007912A (ko) * 2015-07-13 2017-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라이트가이드 시스템
KR102373112B1 (ko) * 2021-08-23 2022-03-14 신도산업 주식회사 광섬유 발광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광섬유 발광형 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2656B2 (en) Puddle lamp for vehicle
KR102373112B1 (ko) 광섬유 발광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광섬유 발광형 표지판
KR102582721B1 (ko) 발광형 표지판
KR200472902Y1 (ko) 차량용 무드등
KR20160130107A (ko) 발광, 반사 겸용 표지판
KR200448559Y1 (ko) 입체형 간판 설치대
JP2016040441A (ja) 照明装置
US11442212B2 (en) Optical fiber illumination apparatus
CN112136171B (zh) 用于车辆踏板的电气装置
KR20100104696A (ko) 3색 발광 led를 이용하는 차로별 교통신호등
KR20190000245A (ko) 조립형 광섬유 표지판
KR101710561B1 (ko) 터널용 입체형 이정표
JP2016219215A (ja) 車両用灯具
KR20200124922A (ko) 사고방지용 교통안내 표지판
KR101995967B1 (ko) 톨게이트 옥탑용 지명 표지판
KR100871660B1 (ko) 도로 표지판
CN219832099U (zh) 面光源装置
US20060215385A1 (en) Combined instrument
US20240052990A1 (en) Exterior Luminaire for a Motor Vehicle
KR200402836Y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도로 교통표시기
KR102280974B1 (ko) 단속 장비 모형이 구비된 단속 정보 안내판
JP7401289B2 (ja) 車両用灯具
KR100961262B1 (ko) 유도로 안내등
KR200310752Y1 (ko) 터널 소화기 표시등
KR20240043844A (ko)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