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063B1 -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 Google Patents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063B1
KR102582063B1 KR1020200047894A KR20200047894A KR102582063B1 KR 102582063 B1 KR102582063 B1 KR 102582063B1 KR 1020200047894 A KR1020200047894 A KR 1020200047894A KR 20200047894 A KR20200047894 A KR 20200047894A KR 102582063 B1 KR102582063 B1 KR 102582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ave
energy
radio
dielectric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852A (ko
Inventor
이광재
전순익
변우진
조인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4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063B1/ko
Priority to US17/235,248 priority patent/US20210322793A1/en
Publication of KR2021012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2Radiation therapy using microwaves
    • A61N5/022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7Locating particular structures in or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2Radiation therapy using microwaves
    • A61N5/04Radiators for near-field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52Ultrasound therapy using the same transducer for therapy and imaging

Abstract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은 대상 체로부터 산란된 산란 신호 및 상기 대상 체에 대한 사전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원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 체의 유전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특성 해석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 체의 병변에 조사될 전파의 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한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의 에너지를 고출력 에너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METHOD OF IRRADIATING WAVE ENERGY AVAILABLE FOR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고령 사회 노령인 질환 치료는 암질환을 비롯한 난치성 질환 및 퇴행성 근골격 질환 등을 치료하는 방법일 수 있다. 고령 사회 노령인 질환 치료는 절개 수술 등의 치료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환자의 고통 및 체력적 부담 재발 등의 부작용 때문에 비 침습 에너지 치료가 대체 치료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비 침습 에너지 치료는 생체 외부에서 고밀도 에너지를 생체 내부 병변에 조사하여 에너지가 열로 변환하는 열 치료 방법일 수 있다.
비 침습 에너지 치료에 사용되는 전파 에너지는 훌륭한 비 침습 기술로 연구되고 있다. 전파 에너지는 방사선 보다 상대적으로 무해하며 초음파와 같은 뼈, 공기 구조물 적용에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비 침습 에너지 치료 기술은 절개 없이 시술하기 때문에 목표하는 병변까지 정확히 전파 에너지가 조사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상용 기술로는 대략적인 전파의 생체 전파 연산과 임상 실험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파 에너지를 조사하는 수준이어서 정밀 조사 운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현재 근골격 질환에서 널리 쓰이는 초음파 열 치료하는 경우에는 골격에 의해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의도치 않은 고열 발생 화상 등의 부작용 때문에 전문 의료인의 운용 하에 문지름 시술이 수행되고 있다. 문지름 시술 방법은 병변 부위에 집중적인 에너지 전달 효율이 떨어지는 시술 방법이며 전문 의료인의 인력 부하 등의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8919호(발명의 명칭: 생체조직에 대한 마이크로파 포커싱 및 열 이미징 방법 및 장치)가 있다.
실시예들은 대상 체에 보다 정밀하고 효율적으로 전파 에너지를 조사하며, 프로그램 구성 순으로 자동으로 운용을 수행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들은 무인 자동 운용되는 열 치료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은 대상 체로부터 산란된 산란 신호 및 상기 대상 체에 대한 사전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원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 체의 유전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특성 해석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 체의 병변에 조사될 전파의 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한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의 에너지를 고출력 에너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은 상기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따라 상기 고출력 에너지로 조절된 전파를 상기 병변에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외형 및 근골격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파악하게 하는 제1 유전 특성 및 상기 대상 체의 내부 조직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파악하게 하는 제2 유전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개략적인 유전 특성으로 상기 대상 체의 외형의 형태 및 크기와, 상기 대상 체의 근육 및 뼈와 같은 근골격에 대한 개략적인 유전 특성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세부적인 유전 특성으로 상기 대상 체의 내부 근육, 지방, 신경 및 혈관의 분포와, 골격 및 뼈의 구조 및 위치에 대한 세부적인 유전 특성일 수 있다.
상기 사전 측정 정보는 상기 병변의 부위, 상기 병변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체의 외형에 대한 형태, 크기 및 지름, 상기 대상 체의 내부 근육 분포, 골격 및 뼈 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체에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조사하여 상기 대상 체로부터 산란되는 상기 산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산란 신호 및 상기 사전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전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사전 측정 정보 및 상기 제1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전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 조사 파라메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전 특성 및 상기 제2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에 대한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파의 에너지를 고출력 에너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증폭하여 상기 고출력 에너지의 전파로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고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상기 병변에 조사될 전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대상 체로부터 산란된 산란 신호 및 상기 대상 체에 대한 사전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원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 체의 유전 특성을 획득하고, 상기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특성 해석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 체의 병변에 조사될 전파의 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한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하고, 상기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의 에너지를 고출력 에너지로 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따라 상기 고출력 에너지로 조절된 전파를 상기 병변에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외형 및 근골격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파악하게 하는 제1 유전 특성 및 상기 대상 체의 내부 조직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파악하게 하는 제2 유전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개략적인 유전 특성으로 상기 대상 체의 외형의 형태 및 크기와, 대상 체의 근육 및 뼈와 같은 근골격에 대한 개략적인 유전 특성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세부적인 유전 특성으로 상기 대상 체의 내부 근육, 지방, 신경 및 혈관의 분포와, 골격 및 뼈의 구조 및 위치에 대한 세부적인 유전 특성일 수 있다.
상기 사전 측정 정보는 상기 병변의 부위, 상기 병변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체의 외형에 대한 형태, 크기 및 지름, 상기 대상 체의 내부 근육 분포, 골격 및 뼈 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대상 체에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조사하여 상기 대상 체로부터 산란되는 상기 산란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산란 신호 및 상기 사전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전 특성을 획득하고, 상기 사전 측정 정보 및 상기 제1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전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유전 특성 및 상기 제2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에 대한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출력하고, 상기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증폭하여 상기 고출력 에너지의 전파로 조절하고, 상기 고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상기 병변에 조사될 전파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전파가 조사될 경로인 전파 조사 채널의 채널 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채널 수에 기초하여 상기 고출력 에너지로 조절된 전파를 조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 에너지 조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의 전파 조사 계획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의 자동 운용 전파 에너지 조사 시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 에너지 조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파 에너지 조사 시스템(10)은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치료 시스템일 수 있다.
전파 에너지 조사 시스템(10)은 대상 체(100) 및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300)를 포함한다.
대상 체(100)는 치료가 요구되는 병변을 포함하는 신체 부위일 수 있다. 신체 부위는 치료하고자 하는 무릎, 목, 허리 및 머리 등 신체의 다양한 부위일 수 있다. 대상 체(100)의 병변은 전파를 이용한 에너지 치료가 요구될 수 있다. 전파의 에너지는 생체 내부에서 열로 변환될 수 있다.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300)는 실시간으로 대상 체(100)의 유전 특성을 획득하고, 유전 특성에 따라 결정된 전파(또는 전파의 에너지)를 대상 체(100)의 병변에 조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300)는 전파의 에너지를 결정하는 실시간 고속 전파 연산 방법을 이용하여 대상 체(100)에 대한 전파 환경을 사전 파악하고, 전파 환경에 기초하여 전파 시술 계획을 수립하며, 전파 시술 계획에 기초하여 전파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100)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술한 전파 환경 사전 파악, 전파 시술 계획 수립 및 전파 시술 수행 과정을 실시간 및 자동으로 운용할 수 있다.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300)는 실시간 및 자동 운용을 통해 대상 체(100)에 보다 정밀하고 효율적으로 전파 에너지를 조사하여 기존의 전문의료인의 직접 시술 없이 무인 자동 운용되는 에너지 치료 기술(또는 치료 방법 및 시스템이)이 제공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300)는 안테나 모듈(310), 스위치 모듈(330) 및 컨트롤러(350)를 포함한다.
안테나 모듈(310)은 안테나 배열 소자 및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배열 소자는 복수의 안테나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들은 대상 체(100) 주위에 위치하고, 대상 체(100)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대상 체(100)와 전파 정합이 잘 되도록 부드럽게 부착되기 위해서, 주머니 및 패드 등으로 대상 체(100)를 감쌀 수 있다.
안테나 모듈(310)은 각 안테나 별(또는 각 채널 별)로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들은 대상 체(100)의 산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저출력의 전파를 대상 체(100)의 병변에 조사하고, 저출력의 전파에 의해 대상 체(100)로부터 산란되는 산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저출력의 전파는 저전력(또는 저출력 에너지)로 출력되는 미약 전파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들은 대상 체(100)의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서 고출력의 전파를 대상 체(100)의 병변에 조사할 수 있다. 고출력의 전파는 고전력(또는 고출력 에너지)로 출력되는 전파 신호일 수 있다.
스위치 모듈(330)은 전파 조사 계획 모드 및 전파 조사 시술 모드를 스위칭하여 전파 조사 계획 모드 및 전파 조사 시술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유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모듈(330)은 전파 조사 계획 모드에서 산란 신호 측정기(351)와 연결되어 안테나 모듈(310)과 산란 신호 측정기(351)를 연결할 수 있다. 전파 조사 계획 모드는 대상 체(100)에 유전 특성에 따라 대상 체(100)의 병변에 조사될 전파의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추출(또는 결정)하여 대상 체(100)의 병변을 치료할 수 있는 고출력 에너지로 전파의 에너지를 결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스위치 모듈(330)은 전파 조사 시술 모드에서 전파 전력 선형 증폭기(355)와 연결되어 안테나 모듈(310)과 전파 전력 선형 증폭기(355)를 연결할 수 있다. 전파 조사 시술 모드는 전파 조사 계획 모드를 통해 결정된 고출력의 전파 에너지를 병변에 조사하여 병변을 치료하는 과정일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산란 신호 측정기(351), 연산기(352), 전파 생성기(353), 전파 전력 조절기(354), 전파 전력 선형 증폭기(355) 및 콘솔기(356)를 포함할 수 있다. 산란 신호 측정기(351), 연산기(352), 전파 생성기(353), 전파 전력 조절기(354), 전파 전력 선형 증폭기(355) 및 콘솔기(356)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산란 신호 측정기(351)는 안테나 통신(310)에 신호를 송수신하여 수신된 산란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 체(100)의 산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산란 신호 측정기(351)는 획득된 산란 정보를 연산기(352)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산란 신호 측정기(351)는 산란 정보를 데이터화된 형태(또는 산란 정보 행렬)로 연산기(352)에 전송할 수 있다. 산란 정보는 대상 체(100)의 내부 구조에 따른 독특한 산란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조직들은 서로 다른 조직 구조(또는 서로 다른 조직 구조의 물리적 분포)에 따라 서로 다른 전자기적 특성(또는 산란 특성)을 가진다. 전자기적 특성은 생체 조직에 대한 유전 특성으로 생체 조직의 유전율 및 도전율일 수 있다. 전파가 조사된 생체 조직들은 서로 다른 조직 구조의 물리적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 산란 신호가 방출된다. 이때, 산란 신호는 생체 조직들 각각의 내부 구조에 따른 독특한 산란 정보를 포함한다. 산란 정보는 산란 신호의 크기, 위상 값 및 파형 등 일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체(100)의 산란 정보는 대상 체(100)의 내부 구조(예를 들어, 뼈, 장기, 근육 및 지방 등)의 물리적 분포(예를 들어, 크기, 위치 및 모양등)에 따라 결정된 산란 신호의 크기, 위상 값 및 파형 등 일 수 있다.
연산기(352)는 획득된 산란 정보 및 대상 체(100)에 대한 사전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산란 정보를 물리적 분포(또는 영상 및 이미지)로 복원하여 대상 체(100)의 유전 특성을 획득하고, 복원 결과인 대상 체(100)의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전 측정 정보는 사전에 미리 측정하여 획득된 부가적인 정보로, 대상 체(100) 및 대상 체(100)의 병변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일 수 있다. 사전 측정 정보는 대상 체(100)의 병변의 부위, 위치, 대상 체(100)의 외형에 대한 형태, 크기 및 지름에 대한 정보, 대상 체(100)의 내부 근육 분포, 골격 및 뼈 구조 등의 해부학적 정보일 수 있다. 해부학적 정보는 근육 및 뼈 등의 구조적 특정 정보일 수 있다. 대상 체(100)의 유전 특성은 대상 체(100)의 전자기적 특징으로 대상 체(100)의 복소 유전 값 및 전자기 현상을 결정 짖는 정량 수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체(100)의 복소 유전 값은 대상 체(100)의 전기적 유전율과 전기적 도전율로 정량 값을 가지는 물리적 수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대상 체(100)의 전자기 현상을 결정 짖는 정량 수치는 전계값 및 그린 함수 값 등일 수 있다.
전파 생성기(353)는 대상 체(100)에 조사될 전파를 생성할 수 있다.
전파 전력 조절기(354)는 전파 생성기(353)가 생성한 전파의 에너지를 연산기(352)에서 결정된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따른 저출력 에너지로 조절하여 저출력의 전파 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파 전력 조절기(354)는 전파의 에너지를 안테나 모듈(310)의 각 채널 별로 조절할 수 있다.
전파 전력 선형 증폭기(355)는 전파 전력 조절기(354)에서 출력된 저출력의 전파 에너지를 고출력 에너지로 증폭하여 고출력의 전파 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다.
콘솔기(356)는 컨트롤러(350)에 포함된 각 모듈의 전기적 및 기계적 타이밍 제어를 수행하는 기본적인 운영기로, 세부적인 운영 제어 및 운영 프로그램 동작기일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컨트롤러(350)에 포함된 각 모듈을 통해 전파 조사 계획 동작 및 자동 운용 전파 에너지 조사 시술 동작(또는 자동 운용 전파 에너지 치료 시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파 조사 계획 동작은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자동 운용 전파 에너지 조사 시술 동작은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의 전파 조사 계획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다.
컨트롤러(350)는 연산기(352)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간 고속 전파 연산 프로세스를 통해 전파 조사 계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350)는 연산기(352)를 통해 실시간 고속 전파 연산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대상 체(100)의 병변에 조사될 전파의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하고,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따라 병변에 조사될 전파의 에너지를 고출력 에너지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간 고속 전파 연산 프로세스는 개략 복원 해석 동작, 조밀 복원 해석 동작 및 특성 해석 동작일 수 있다. 개략 복원 해석 동작 및 조밀 복원 해석 동작은 대상 체(100)의 유전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동작이고, 특성 해석 동작은 대상 체(100)에 조사될 전파의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대상 체(100)의 유전 특성은 대상 체(100)의 외형 및 근골격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파악하게 하는 제1 유전 특성 및 대상 체(100)의 내부 조직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파악하게 하는 제2 유전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전 특성은 대상 체(100)의 외형의 형태 및 크기와, 대상 체(100)의 근육 및 뼈와 같은 근골격에 대한 개략적인 유전 특성일 수 있다. 제2 유전 특성은 대상 체(100)의 내부 근육, 지방, 신경 및 혈관 등의 분포와, 골격 및 뼈 등의 구조 및 위치에 대한 세부적인 유전 특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기(352)는 개략 복원 해석을 수행하여 대상 체(100)의 개략적인 유전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대상 체(100)가 안테나 모듈(310)에 로딩되는 경우, 스위치 모듈(330)은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300)의 모드를 전파 조사 계획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300)의 모드가 전파 조사 계획 모드로 전환된 경우, 컨트롤러(350)는 안테나 모듈(310) 및 산란 신호 측정기(351)를 통해 대상 체(100)에 저출력의 전파 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산란 신호 측정기(351)를 통해 대상 체(100)로부터 산란되는 산란 신호를 획득하고, 산란 신호에 기초하여 산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310). 이때, 안테나 모듈(310)의 안테나 소자 수는 채널 수로 등가될 수 있다. 산란 정보의 품질과 전파 에너지 조사 효율은 채널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란 신호 측정기(351)는 대상 체(100)의 산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N 개 라인으로 안테나 모듈(310)과 연결되어, # 1 채널로 송신 신호를 인가하고, 나머지 채널(# 2 채널 내지 # N 채널)에서 대상 체(100)로부터 산란된 산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산란 신호 측정기(351)는 상술한 방식으로 순서대로 # 2 채널 내지 # N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로 송신 신호를 송신하여 전 채널에 대한 산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콘솔기(356)는 산란 신호 측정기(351)를 조절하여 정해진 순서대로 스위칭하며 채널 별 산란 신호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솔기(356)는 # 1 채널 신호를 획득하게 하는 등의 특정 채널 신호를 획득하게 하는 세부적인 운영일 담당할 수 있다.
산란 신호 측정기(351)는 전 채널에 대한 산란 신호에 기초하여 최종 산란 정보를 획득하고, 연산기(352)에 전송할 수 있다.
연산기(352)는 획득된 산란 정보를 이용한 개략 복원 해석(또는 개략 복원 해석 프로세스)을 수행하여 대상 체(100)의 개략적인 유전 특성인 제1 유전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320). 제1 유전 특성은 대상 체(100)의 외형, 근육 및 뼈에 대한 개략적인 물리적 분포 결과(또는 유전 특성 분포)일 수 있다. 물리적 분포 결과는 대상 체(100)의 외형, 근육 및 뼈에 대한 개략적인 영상 및/또는 이미지로 대상 체(100)의 형태, 크기 등 대상 체(100)의 외형에 대한 다양한 유전 특성과 대상 체(100)의 근육 및 뼈의 위치, 형태 및 크기에 대한 유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개략 복원 해석은 전파의 전자기적 현상을 수치 해석하기 위한 전산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산 프로그램은 전자기 현상 수치 해석 프로그램으로, 역 산란 복원을 수행하여 산란 정보를 대상 체(100)에 대한 물리적 분포로 복원하고, 물리적 분포에 기초하여 대상체(100)의 제1 유전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역 산란 복원은 입력 신호(X)와 출력 신호(Y)를 통해 내부 특성 함수 M을 구하는 과정일 수 있다(예를 들어, Y=M*X). 내부 특성 함수(M)은 유전 특성을 반영하고 있을 수 있다.
전자기 현상 수치 해석 프로그램은 산란 정보에 기초하여 유전 특성 결과를 복원하기 위해서 유전 특성의 초기값, 경계조건 등의 조건값을 요구할 수 있다. 경계조건은 대상 체(100)의 외부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전자기 현상을 복잡한 계산 없이 간단한 조건으로 설정하여 계산하는 추가 조건식일 수 있다. 대상 체(100)의 외부는 관심 대상이 아니지만, 대상 체(100)의 외부 전자기장이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을 수 있다.
보다 실제와 유사한 조건 값이 입력되는 경우, 전자기 현상 수치 해석은 보다 빠르고 정밀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 산란 복원 과정은 M 값을 임의의 초기값(M0)으로 설정하여 정답에 근접하는 값으로 반복 업데이트하여 최종 M을 구하는 과정일 수 있다. 정답에 근접하는 값은 오차(a)가 0에 가까운 값일 수 있다. 초기값이 반영된 역 산란 복원 과정은 Y
Figure 112020040808310-pat00001
M0*X이며, Y = M0*X+a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다 빠르고 정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연산기(352)는 산란 신호뿐만 아니라 대상 체(100)에 대한 사전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체의 개략적인 유전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330). 사전 측정 정보는 유전 특성 결과를 복원하기 위한 조건값으로, 대상 체(100)의 크기 및 부위 정보 등의 대상 체(100)에 대한 외부 정보일 수 있다. 대상 체(100)에 대한 외부 정보는 대상 체(100)의 사전 측정된 병변의 부위, 병변의 위치, 병변의 직경(또는 외형 지름), 대상 체(100)의 외형 형태, 크기 및 지름 등일 수 있다. 대상 체(100)가 무릎 관절염 열 치료가 요구되는 경우, 사전 측정 정보는 대상 체(100)의 무릎의 위치 및 직경, 무릎 관절의 지름 등일 수 있다. 대상 체(100)가 무릎이고, 무릎의 직경이 설정되는 경우, 대상 체(100)의 최 외각은 피부, 지방 등의 값을 간단한 경계 조건으로 입력하여 개략 복원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의 무릎 관절은 거의 유사한 구조이기에, 무릎 관절의 해부학적 구조 등의 보완 정보는 다양한 치료 대상 자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사전 측정 정보가 초기값, 경계조건 값으로 개략 복원 해석에 입력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전 특성 분포 결과의 획득 소요 시간 감소와 유전특성 분포 결과 품질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산기(350)는 개략 복원 해석을 수행한 후, 시술 상황 및 정확도 필요에 의해 조밀 복원 해석을 수행하여 대상 체(100)의 세부적인 유전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340).
예를 들어, 연산기(352)는 개략적인 유전 특성인 제1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대상 체(100)의 세부적인 유전 특성인 제2 유전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연산기(352)는 개략 해석 결과인 개략적인 유전 특성을 초기값, 경계 조건 값으로 하여, 좀더 세부적인 유전 특성 분포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세부적인 유전 특성은 대상 체(100)의 내부 조직에 대한 세부적인 물리적 분포 결과일 수 있다. 세부적인 유전 특성은 대상 체(100)의 내부 근육 분포, 골격, 뼈 구조 및 위치 등 대상 체(100)의 내부 조직에 대한 다양한 유전 특성일 수 있다.
또한, 연산기(352)는 조밀 복원 해석 동작에서도 대상 체(100)의 개략적인 유전 특성뿐만 아니라 대상 체(100)에 대한 사전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조밀 복원 해석의 소요시간 및 결과 품질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산기(350)는 개략 및 조밀 복원 해석시 획득된 대상 체(100)의 유전 특성 분포를 이용한 특성 해석 동작을 수행하여(350) 대상 체(100)에 조사될 전파에 대한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할 수 있다(360). 전파 조사 파라메터는 대상 체(100)의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 병변에 조사될 전파에 대한 다양한 파라메터일 수 있다. 전파 조사 파라메터는 전파의 에너지와 위상을 조절하기 위한 파라메터로 안테나 모듈(310)의 각 채널의 가중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를 이용하여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대상 체(100) 외부에 위치한 안테나 모듈(310)에서 적절하게 조절된 에너지와 위상의 전파를 병변에 조사하여야 한다. 전파가 조사된 병변에는 전파 에너지가 집속된다. 이때, 중요한 파라메터는 안테나 모듈(310)의 각 채널 별 크기와 위상이며 이를 전파 조사 파라미터라고 명명할 수 있다. 운영 방식에 따라 연속 파(continuous wave)를 치료 전파 소스로 사용하는 경우, 전파 조사 파라메터는 연속파의 크기와 위상에 대한 파라메터일 수 있다. 운영 방식에 따라 펄스 파를 치료 전파 소스로 사용하는 경우, 전파 조사 파라메터는 펄스 파의 펄스 크기 및 펄스 폭에 대한 파라메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기(352)는 전자기 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 체(100)의 개략적인 유전 특성 및 세부적인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병변에 조사될 전파에 대한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할 수 있다. 연산기(352)는 특성 해석을 수행하는 전자기 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 체(100)의 유전 특성 분포를 프로파일로 하여 목표하는 병변에 효율적인 전파 에너지를 조사하기 위한 전산 모의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산 모의 해석은 역 산란 해석으로, 컴퓨터에 의해 전자기장 해석 방정식을 풀어 실제 전자기장을 예측하는 해석일 수 있다. 연산기(352)는 결정된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콘솔기(356)에 출력하며 연산기(352)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대상 체(100)의 병변에 조사되어 병변을 치료할 전파의 에너지를 고출력 에너지로 결정함으로써, 병변에 전파를 조사하기 위한 계획인 전파 조사 계획 동작을 완료(또는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솔기(356)는 전파의 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해서 전파 전력 조절기(354)에 전파 전력 조절기(354)의 가중치(예를 들어, 전력 크기 및 위상)를 조절하는 콘솔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연속 파(continuous wave)를 치료 전파 소스로 사용하는 경우, 콘솔기(356)는 전파 전력 조절기(354)에 각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인 전력의 크기와 위상을 입력하여 각 채널 별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전파 전력 조절기(354)는 가중치가 조절된 소 전력을 출력하며, 전파 전력 선형 증폭기(355)는 소 전력에 대응하는 대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전파 전력 선형 증폭기(355)는 파라미터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전파 조사 파라메터는 전파 전력 조절기(354) 및 전파 전력 선형 증폭기(355)의 채널 별 전력 가중치로 입력될 수 있다.
channel 1(CH1)에 요구되는 파라미터가 3W(크기), 0도(위상)이고, channel 2(CH2)에 요구되는 파라미터가 10W(크기), 90도(위상)인 경우, 전파 조사 파라미터는 CH1(3,0), CH2(10,90)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전파 전력 조절기(354)의 입력 RF 전력이 모든 채널에1mW로 균등하게 입력되는 경우, 가중치에 의해 CH1에서는 3mW, 0도로 조절된 전파가 출력되고, CH2에서는 10mW, 90도로 조절된 전파가 출력될 수 있다. 전파 전력 선형 증폭기(355)는 모든 채널의 전력을 1000배(30dB) 증폭하여, 각 채널로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CH1에서는 3W, 0도로 조절된 전파가 출력되고, CH2에서는 10W, 90도로 조절된 전파가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의 자동 운용 전파 에너지 조사 시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컨트롤러(350)는 실시간 고속 전파 연산 프로세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동 운용 전파 에너지 치료 조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350)는 실시간 고속 전파 연산 프로세스(410 및 420)를 수행한 후, 자동 운용 전파 에너지 치료 조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대상 체(100)가 로딩되는 경우(410), 컨트롤러(350)는 스위치 모듈(330)의 전파 조사 계획 모드를 통해 산란 신호 측정기(351)에서 산란 정보를 획득하고, 연산기(352)에서 실시간 고속 전파 연산을 통해 전파 조사 계획에 필요한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420).
컨트롤러(350)는 스위치 모듈(330)의 전파 조사 시술 모드로의 전환을 통해 콘솔기(356)에서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의해 결정된 조절 가중치로 전파의 에너지를 고출력 에너지로 조절하여 고출력 에너지로 조절된 전파를 병변에 조사할 수 있다(440).
예를 들어, 컨트롤러(350)는 대상 체(100)의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서 콘솔기(356)를 통해 연산기(352)에서 결정된 전파 에너지에 따라 전파의 에너지를 고출력으로 조절하여 대상 체(100)의 병변에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350)는 결정된 고출력의 전파 에너지에 기초하여 고출력의 전파 에너지가 조사될 경로인 전파 조사 채널의 채널 수(또는 에너지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소자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결정된 채널 수에 기초하여 고출력 에너지가 조절된 전파를 병변에 조사할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프로그램된 전파 조사 계획에 기초하여 다음 시술 위치 및 조사 전력을 변경(또는 조정)함으로써(430 및 450), 실시간 고속 전파 연산을 재수행하여 전파 조사를 반복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350)는 대상 체(100)의 효율적인 치료를 위해서 개략 복원 해석 동작을 수행하고, 개략 복원 해석 동작에 따라 결정된 개략적인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병변에 대한 우선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개략 복원 해석 동작과 병행하여 개략 복원 해석 결과에 기반한 조밀 복원 해석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고, 조밀 복원 해석 동작에 따라 개략적인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350)는 조정된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고출력의 전파 에너지 출력, 전파 조사 계획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치료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에 의해 누적된 시술이 완료되는 경우, 컨트롤러(350)는 수행될 시술을 평가하고(460), 평가가 완료되면 자동 운용 전파 에너지 조사 시술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의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가 대상 체로부터 산란된 산란 신호 및 상기 대상 체에 대한 사전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원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 체의 유전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가 상기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특성 해석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 체의 병변에 조사될 전파의 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한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가 상기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의 에너지를 고출력 에너지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가 상기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따라 상기 고출력 에너지로 조절된 전파를 상기 병변에 조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외형 및 근골격에 대한 물리적 분포 결과를 파악하게 하는 제1 유전 특성 및 상기 대상 체의 내부 조직에 대한 물리적 분포 결과를 파악하게 하는 제2 유전 특성을 포함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외형의 형태 및 크기와, 상기 대상 체의 근육 및 뼈와 같은 근골격에 대한 유전 특성인,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내부 근육, 지방, 신경 및 혈관의 분포와, 골격 및 뼈의 구조 및 위치에 대한 유전 특성인,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측정 정보는 상기 병변의 부위, 상기 병변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체의 외형에 대한 형태, 크기 및 지름, 상기 대상 체의 내부 근육 분포, 골격 및 뼈 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정보인,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체에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조사하여 상기 대상 체로부터 산란되는 상기 산란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산란 신호 및 상기 사전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전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전 측정 정보 및 상기 제1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전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조사 파라메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전 특성 및 상기 제2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에 대한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의 에너지를 고출력 에너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증폭하여 상기 고출력 에너지의 전파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고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상기 병변에 조사될 전파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하는 단계는,
    전파가 조사될 경로인 전파 조사 채널의 채널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채널 수에 기초하여 상기 고출력 에너지로 조절된 전파를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11.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대상 체로부터 산란된 산란 신호 및 상기 대상 체에 대한 사전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원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 체의 유전 특성을 획득하고, 상기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특성 해석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 체의 병변에 조사될 전파의 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한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하고, 상기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의 에너지를 고출력 에너지로 결정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따라 상기 고출력 에너지로 조절된 전파를 상기 병변에 조사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외형 및 근골격에 대한 물리적 분포 결과를 파악하게 하는 제1 유전 특성 및 상기 대상 체의 내부 조직에 대한 물리적 분포 결과를 파악하게 하는 제2 유전 특성을 포함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외형의 형태 및 크기와, 대상 체의 근육 및 뼈와 같은 근골격에 대한 유전 특성인,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 특성은 상기 대상 체의 내부 근육, 지방, 신경 및 혈관의 분포와, 골격 및 뼈의 구조 및 위치에 대한 유전 특성인,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측정 정보는 상기 병변의 부위, 상기 병변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체의 외형에 대한 형태, 크기 및 지름, 상기 대상 체의 내부 근육 분포, 골격 및 뼈 구조에 대한 해부학적 정보인,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대상 체에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조사하여 상기 대상 체로부터 산란되는 상기 산란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산란 신호 및 상기 사전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전 특성을 획득하고, 상기 사전 측정 정보 및 상기 제1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유전 특성을 획득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유전 특성 및 상기 제2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전파에 대한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를 결정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채널 별 전파 조사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출력하고, 상기 저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증폭하여 상기 고출력 에너지의 전파로 조절하고, 상기 고출력 에너지의 전파를 상기 병변에 조사될 전파로 결정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전파가 조사될 경로인 전파 조사 채널의 채널 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채널 수에 기초하여 상기 고출력 에너지로 조절된 전파를 조사하는, 전파 에너지 조사 장치.
KR1020200047894A 2020-04-21 2020-04-21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2582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94A KR102582063B1 (ko) 2020-04-21 2020-04-21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US17/235,248 US20210322793A1 (en) 2020-04-21 2021-04-20 Method of radiating wave energy available for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94A KR102582063B1 (ko) 2020-04-21 2020-04-21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852A KR20210129852A (ko) 2021-10-29
KR102582063B1 true KR102582063B1 (ko) 2023-09-25

Family

ID=7808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894A KR102582063B1 (ko) 2020-04-21 2020-04-21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322793A1 (ko)
KR (1) KR1025820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2063A1 (en) 2012-07-06 2014-01-09 Paul F. Turner Tissue heating prediction using feedpoint em field determination
US20180250522A1 (en) * 2017-03-06 2018-09-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ceiver of generating microwave signal and therapy system including the transceiv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405B1 (ko) * 2015-04-02 2023-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조직에 대한 마이크로파 포커싱 및 열 이미징 방법 및 장치
KR102579385B1 (ko) * 2017-10-16 2023-09-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파 온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2063A1 (en) 2012-07-06 2014-01-09 Paul F. Turner Tissue heating prediction using feedpoint em field determination
US20180250522A1 (en) * 2017-03-06 2018-09-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ceiver of generating microwave signal and therapy system including the trans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852A (ko) 2021-10-29
US20210322793A1 (en)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jnen et al. Clinical integration of software tool VEDO for adaptive and quantitative application of phased array hyperthermia in the head and neck
US8617073B2 (en) Focusing ultrasound into the brain through the skull by utilizing both longitudinal and shear waves
JP4558504B2 (ja) 超音波治療における組織異常の修正
Trefná et al. Time-reversal focusing in microwave hyperthermia for deep-seated tumors
US4860752A (en) Invasive microwave array with destructive and coherent phase
US9417302B2 (en) Therapeutic apparatus for treating a subject using magnetic nanoparticles
JP7041682B2 (ja) 音響場および頭蓋骨の不均一性の克服
Hynynen et al. Temperature distributions during clinical scanned, focused ultrasound hyperthermia treatments
CN102019044B (zh) 相控型高强度聚焦超声和磁共振融合的肿瘤治疗系统
US20090221999A1 (en) Thermal Ablation Design and Planning Methods
KR102207919B1 (ko) 초음파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RU250804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мониторинга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рч безопасного мит сканирования
EP23525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ultrasound therapy
Samulski et al. Heating deep seated eccentrically located tumors with an annular phased array system: a comparative clinical study using two annular array operating configurations
Salgaonkar et al. Model‐based feasibility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prostate hyperthermia with a commercial MR‐guided endorectal HIFU ablation array
Nizam-Uddin et al. Enhanced energy localization in hyperthermia treatment based on hybrid electromagnetic and ultrasonic system: proof of concept with numerical simulations
KR20180106453A (ko) 열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파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579385B1 (ko) 마이크로파 온열기
Nguyen et al. Realistic simulation environment to test microwave hyperthermia treatment of breast cancer
KR102582063B1 (ko) 무인 자동 운용이 가능한 전파 에너지 조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CN213372445U (zh) 用于肿瘤治疗的物理靶向热疗系统
KR20180110857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의 스캐닝 장치 및 방법
KR102464313B1 (ko) 전기장 암 치료 시스템을 위한 품질 보증 장치 및 방법
RU2661766C2 (ru) Облучение сфокусированным ультразвуком высокой интенсивности
Mozerova et al. Monitoring regional hyperthermia via microwave imaging: a feasibility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