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508B1 -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508B1
KR102581508B1 KR1020210114141A KR20210114141A KR102581508B1 KR 102581508 B1 KR102581508 B1 KR 102581508B1 KR 1020210114141 A KR1020210114141 A KR 1020210114141A KR 20210114141 A KR20210114141 A KR 20210114141A KR 102581508 B1 KR102581508 B1 KR 10258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overdenture
healing
imag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3133A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210114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508B1/en
Priority to PCT/KR2022/002686 priority patent/WO2023027273A1/en
Publication of KR2023003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1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5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61C13/1013Arch forms
    • A61C13/1016Methods or apparatus for mounting, holding or positioning a set of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아수복 정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가상삽입홈이 설정된 가상임시틀니가 설정되는 제1단계; 상기 가상삽입홈에 대응하는 임시삽입홈이 형성된 임시틀니가 제조되는 제2단계; 대상악궁에 식립된 픽스츄어의 상측에 힐링부가 구비된 어버트먼트가 체결되고, 상기 임시삽입홈이 보정홈으로 보정 형성되는 제3단계;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에 대한 보정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매립부가 설정된 가상오버덴쳐베이스가 생성되되, 상기 가상오버덴쳐베이스가 제조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가상매립부에 대응하는 매립부가 형성된 오버덴쳐베이스가 제조되는 제4단계; 및 상기 픽스츄어에 상기 어버트먼트가 분리되고 어태치먼트가 교체 체결되되, 상기 매립부의 일측에 하우징캡이 부착 고정되어 디지털 오버덴쳐가 최종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o improve tooth restoration precis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setting a virtual temporary denture with a virtual insertion groove; A second step of manufacturing temporary dentures having temporary insertion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insertion grooves; A third step in which an abutment with a healing part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installed in the target arch, and the temporary insertion groove is corrected and formed into a correction groove; A virtual overdenture base with a virtual embedding portion set is created based on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of the corrected temporary denture, and the virtual overdenture base is transmitted to a manufacturing device to create an overdenture base with an embed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embedding portion formed. Fourth stage of manufacturing;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abutment is separated from the fixture, the attachment is replaced and fastened, and a housing cap is attach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embedded part to finally manufacture the digital overdenture. do.

Description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

본 발명은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수복 정밀성이 개선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that improves tooth restoration precision.

일반적으로, 틀니 또는 보철은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체하여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치주조직이다. 이때, 상기 틀니 또는 보철은 구강 내부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틀니 또는 보철은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완전틀니(denture), 부분/완전보철(dental prosthesis)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dentures or prosthetics are artificial periodontal tissues in the oral cavity that replace missing natural teeth and artificially restore their appearance and function. At this time, the denture or prosthesis can be installed inside the oral cavity to restore masticatory function and prevent deformation of periodontal tissue. The dentures or prosthetics can be divided into partial/complete dentures and partial/complete prosthesis depending on the number of missing teeth.

한편, 상기 틀니는 그의 내면측 형합홈에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어 잇몸의 표면에 접착되어 설치되며, 잇몸에 직접적인 교합압력이 가해진다. 이로 인해, 상기 틀니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이물감 및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기 보철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고정되므로 교합압력으로 인한 잇몸의 이물감 및 통증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철이 구강에 실질적으로 영구 고정되어 세척 등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틀니와 상기 보철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오버덴쳐가 개시되고 있다.Meanwhile, the denture is installed by applying dental adhesive to its inner molding groove and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gums, and direct occlus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gums. Because of this, there was a problem of causing a foreign body sensation and pain in patients using the dentur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osthesis is fixed to a fixture installed in the alveolar bone, the sensation of a foreign body in the gums and pain caused by occlusal pressure can be reduced. Howev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prosthesis was substantially permanently fixed to the oral cavity, making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difficult. Accordingly, an overdenture that compensates for the shortcomings of the denture and the prosthesis has been disclosed.

상세히, 상기 오버덴쳐는 상기 보철과 같이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면서도 상기 틀니와 같이 구강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세척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때, 상기 오버덴쳐에는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어태치먼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다.In detail, the overdenture, like the prosthesis, is fixed to a fixtur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is detachable from the oral cavity like the denture, making it easy to maintain, such as cleaning. At this time, the overdenture includes a coupling means that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abutment/attachment fixed to the fixture.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복수개의 상기 어버트먼트를 경유하는 바(bar)타입으로 구비되거나, 복수개의 상기 어태치먼트에 개별 매칭되는 캡(cap)타입으로 구비된다.Here, the coupling means is provided as a bar type that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abutments, or is provided as a cap type that individually matches the plurality of attachments.

상세히, 상기 바타입의 결합수단은 환자의 치열궁을 따라 전체적으로 배치되도록 절곡된 절곡바로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상기 바타입의 결합수단이 체결되는 삽입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버덴쳐의 내면에는 상기 절곡바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가 동시에 삽입되는 홀더삽입부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바타입의 결합수단은 복수개의 상기 어버트먼트에 동시에 체결되므로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detail, the bar-type coupling means is formed as a bent bar bent to be disposed entirely along the patient's dental arch, and the abutment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to which the bar-type coupling means is fastened. 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verdenture, a holder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bending bar and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are simultaneously inserted is formed in a groove shape. In this way, the bar-type coupling means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install because it is simultaneously fastened to a plurality of the abutments.

그러나, 상기 바타입의 결합수단이 체결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가 잇몸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피가 커진다. 또한, 상기 오버덴쳐에 상기 잇몸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어버트먼트 및 상기 절곡바가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인공잇몸부의 두께 및 높이가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오버덴쳐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므로, 상기 오버덴쳐를 환자의 수직고경에 맞게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오버덴쳐를 환자의 수직고경에 맞게 제작하기 위해 상기 인공잇몸부에 고정되는 인공치아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volume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protruding above the gum increases so that the bar-type coupling means is fastened. In addition, the thickness and height of the artificial gum portion must be formed to be large so that the abutment and the bending bar protruding above the gum can be inserted into the overdenture as a whole. As a result, the overall height of the overdenture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overdenture to fit the patient's vertical diameter. In addition, in order to manufacture the overdenture to fit the patient's vertical diameter, the size of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fixed to the artificial gum portion is relatively small,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aesthetics are deteriorated.

한편, 상기 캡타입의 결합수단은 복수개의 상기 어태치먼트에 끼움식 또는 자력에 의한 부착식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캡타입의 결합수단은 상기 인공잇몸부의 내면에 형성된 매립홈에 끼워지며, 경화성 레진을 통해 부착 고정된다. Meanwhile, the cap-type coupling means is provided as a fitting type or a magnetic attachment type for the plurality of attachments. At this time, the cap-type coupl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embedded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rtificial gum part, and is attached and fixed through curable resin.

여기서, 종래에는 상기 오버덴쳐를 제조한 후, 상기 오버덴쳐가 구강에 설치되는 위치와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위치를 예측하여 상기 매립홈을 가공하였다. 이로 인해, 상기 매립홈에 부착 고정된 상기 캡타입의 결합수단과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위치가 정확하지 못하며 위치 편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부에서는 상기 매립홈의 직경을 크게하여 상기의 위치 편차를 극복하고자 하였다.Here, in the related art, after manufacturing the overdenture, the embedment groove was processed by predicting the location where the overdenture would be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fixture. Because of thi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ture and the cap-type coupling means attached and fixed to the buried groove were not accurate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was large. Accordingly, some attempted to overcome the positional deviation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buried groove.

그러나, 상기 매립홈의 직경을 크게 확장시키면 상기 임시잇몸부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강도가 약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오버덴쳐의 설치 위치를 맞추기 위한 교합과정에서 상기 임시잇몸부가 파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경화성 레진이 주입되는 양이 증가되므로 이를 경화시키기 위한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경화성 레진이 경화되기 전 상기 오버덴쳐의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 위치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diameter of the buried groove is greatly expanded, the thickness of the temporary gum portion becomes thinner and its strength becomes weaker. Because of thi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temporary gum portion was fractured during the occlusal process to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verdenture. Additionally, as the amount of the curable resin injected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ime required to cure it increases. Moreover, when the overdenture flows before the curable resin is harde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sitional accuracy is deteriorated.

한국 등록특허 제10-1409084호Korean Patent No. 10-140908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수복 정밀성이 개선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with improved tooth restoration precis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악궁에 고정되되 상단 외주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설되어 하부측과 단차지게 형성된 어태치먼트를 통해 구강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내면에 하우징캡이 고정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강에 대한 이미지정보가 플래닝부를 통해 가상 통합된 플래닝이미지에 설정되는 식립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상삽입홈이 설정된 가상임시틀니가 설정되는 제1단계; 상기 가상임시틀니가 제조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가상삽입홈에 대응하는 임시삽입홈이 형성된 임시틀니가 제조되는 제2단계; 상기 대상악궁에 상기 식립정보에 대응하여 식립된 픽스츄어의 상측에 잇몸의 재생범위를 설정하도록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인 단면적을 가지는 힐링부가 구비된 어버트먼트가 체결되고, 상기 임시삽입홈이 상기 힐링부에 대응하는 보정홈으로 보정 형성되는 제3단계;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에 대하여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는 보정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하우징캡의 부피를 초과하는 가상매립부가 설정된 가상오버덴쳐베이스가 생성되되, 상기 가상오버덴쳐베이스가 상기 제조장치로 전송되어 인공치아부 및 상기 가상매립부에 대응하는 매립부가 형성된 인공잇몸부를 포함하는 오버덴쳐베이스가 제조되는 제4단계; 및 상기 픽스츄어에 상기 어버트먼트가 분리되고 상기 어태치먼트가 교체 체결되되, 상기 매립부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캡이 부착 고정되어 디지털 오버덴쳐가 최종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cap fixed on the inner side to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through an attachment that is fixed to the target arch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radial outer direction of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and is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lower s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comprising: a first step of setting a virtual temporary denture with a virtual insertion groove s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placement information in which image information about the oral cavity is set in a virtual integrated planning image through a planning unit; A second step in which the virtual temporary denture is transmitted to a manufacturing device to manufacture a temporary denture having a temporary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insertion groove; An abutment provided with a healing portion having a continuous cross-sectional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installed in the target arch in response to the placement information to set the gum regeneration range, and the temporary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A third step of forming correction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healing portion; A virtual overdenture base in which a virtual embedding portion exceeding the volume of the housing cap is set is created based on a correction scanning image obtained through an imaging device for the corrected temporary denture and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wherein the virtual overdenture base is A fourth step of manufacturing an overdenture base including an artificial tooth portion and an artificial gum portion formed with an embedd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embedded portion, which is transmitted to the manufacturing device;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abutment is separated from the fixture, the attachment is replaced, and the housing cap is attach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embedded part to finally manufacture the digital overdenture. provides.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픽스츄어에 임시 설치되는 어버트먼트의 힐링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인 단면적으로 구비되어 임시틀니의 보정과정에서 릴라이닝 레진이 유입되어 걸리는 언더컷 구조가 제거됨으로써 보정홈이 형성된 임시틀니를 분리시 픽스츄어에 견인력이 가해지면서 유동됨을 방지하므로 식립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healing part of the abutment temporarily installed on the fixture is provided with a continuous cross-sectional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ndercut structure where relining resin flows in during the correction process of the temporary denture and gets caught is eliminated, so that the temporary denture with the correction groove formed can be separated. Since traction is applied to the fixture and it is prevented from moving, placement precis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둘째, 힐링부의 외주가 하우징캡의 외경에 대응됨에 따라 임시틀니의 보정스캐닝이미지에 표시되는 보정홈이미지와 디지털라이브러리에서 선택 추출되는 가상하우징캡 간의 매칭도가 향상됨으로써 매립홈의 설계정보가 정밀하게 설정되므로 디지털 오버덴쳐의 구강 내 설치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Second, a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ling part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ousing cap, the matching between the correction groove image displayed on the correction scanning image of the temporary denture and the virtual housing cap selected and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is improved, allowing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embedded groove to be accurately obtained. As a result, the installation precision of the digital overdenture in the oral cav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셋째, 매립홈으로부터 벤트홀이 인공잇몸부의 일측으로 연통 형성됨에 따라 경화성 레진의 주입 또는 제거를 위해 인공치아부에 홀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인공치아부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며, 경화성 레진이 하우징캡의 개구측으로 배출되어 어태치먼트와 하우징캡 사이로 유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Third, as the vent hole is formed from the embedded groove to one side of the artificial gum part, there is no need to form a hole in the artificial tooth part for injection or removal of the curable resin, so the durability of the artificial tooth par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curable resin is added to the housing cap. I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side and prevented from flowing in between the attachment and the housing cap.

넷째, 벤트홀이 설측으로 경사지게 개구 형성되므로 교합압력을 통해 잉여레진이 벤트홀의 외부로 밀려 배출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마감할 수 있으며, 벤트홀을 마감한 흔적이 실질적으로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심미감이 개선되므로 환자의 사용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ourth, since the vent hole is opened slanted to the lingual side, even if excess resin is pushed out of the vent hole through occlusal pressure, it can be easily removed and finished, and the traces of finishing the vent hole are practically not revealed to the outside, improving aesthetics. As this is improved,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us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서 플래닝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서 임시틀니의 내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서 임시틀니의 보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힐링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서 가상오버덴쳐베이스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서 최종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manufacturing system for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planning imag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a temporary dentur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correction process of a temporary dentur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 and 6b are illustrations showing an abutment including a healing part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creation process of a virtual overdenture bas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nal digital overdentur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이하에서 상측은 상악을 기준으로 치아의 교합면에 대응하는 방향이고 하측은 상악을 기준으로 치근측에 대응하는 방햐응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t this time, hereinafter,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upper side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occlusal surface of the teeth based on the upper jaw, and the lower side i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tooth root side based on the upper jaw.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overdentur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은 가상임시틀니 설정, 임시틀니, 제조, 임시틀니 보정, 오버덴쳐베이스 제조 및 최종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ies of steps such as virtual temporary denture setting, temporary denture manufacturing, temporary denture correction, overdenture base manufacturing, and final digital overdenture manufacturing.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디지털 오버덴쳐는 각 환자의 구강 환경에 맞게 설계 및 제조된 치아수복물로서, 대상악궁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치아수복물이다. 상세히,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내면에는 하우징캡이 고정되며, 상기 대상악궁에는 상기 하우징캡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어태치먼트가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digital overdentur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a dental restoration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suit the oral environment of each patient,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target dental arch. In detail, a housing cap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gital overdenture, and an attachment that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housing cap is fixed to the target arch.

이때,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대상악궁에 식립된 픽스츄어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단 외주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설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의 하부측에 상기 걸림돌기와 단차진 걸림홈이 언더컷(undercu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캡의 내주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구속돌기가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캡과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구속돌기의 결합을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ttachmen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installed in the target arch,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in a radial outer direction around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attachment. Accordingly, a locking groove that is stepp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n undercut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Additionally, a restraining protrusion o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may protrude in a radial inward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using cap. Accordingly, the housing cap and the attachment can b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restraining protrusion.

여기서, 상기 대상악궁은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가 요구되는 치악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무치악(edentulous jaw)인 상악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대합악궁은 상기 대상악궁과 교합되는 치악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유치악(dentulous jaw)인 하악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하악 또는 상하악이 모두 무치악인 경우에 설치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target arch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dental jaw requiring the digital overdentur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ined and illustrated as the upper jaw, which is an edentulous jaw. In addition, the opposing arch,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dental jaw that occludes with the target arch,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ined and shown as the lower jaw, which is a dentulous jaw. Of course, in some case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gital overdenture installed when the lower jaw or both upper and lower jaw are edentulous.

더불어, 상기 임시틀니는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에 대한 정확한 설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1차 제조되는 틀니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임시틀니는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기간 중 환자가 임시로 사용 가능하므로 활용성 및 치아수복 과정에서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temporary denture is a denture that is first manufactured in order to obtain accurate design information for the digital overdenture. In addition, since the temporary denture can be temporarily used by the patient during the manufacturing period of the digital overdenture, usability and convenience in the tooth restoration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은 촬상장치(201), 플래닝부(202), 제조장치(203)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시스템(20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gital overdenture may be performed through a digital overdenture manufacturing system 200 including an imaging device 201, a planning unit 202, and a manufacturing device 203.

상세히, 상기 촬상장치(201)는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m2,m3) 및 치조골정보(m7)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촬상장치(201)는 치과용 스캐너와 CT촬상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치과용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의 외면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m2,m3)가 이미지로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과용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틀니의 표면정보가 3차원 이미지로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치과용 스캐너는 구강에 사용하기 쉬운 이동형 스캐너 및 상기 임시틀니를 정확하게 스캐닝할 수 있는 고정형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T촬상장치를 이용하여 치조골의 형상, 굴곡 및 하치조신경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치조골정보(m7)가 3차원 이미지 및 단면이미지로 획득될 수 있다.In detail, the imaging device 201 is used to acquir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m3) and alveolar bone information (m7) about the target arch and the opposing arch. It is desirable that the imaging device 201 be understood as a concept encompassing a dental scanner and a CT imaging device. That is,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m3) about the outer surface of the target arch and the opposing arch can be obtained as an image using the dental scanner. Additionally, surface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denture can be obtain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using the dental scanner. At this time, the dental scanner may include a mobile scanner that is easy to use in the oral cavity and a fixed scanner that can accurately scan the temporary denture. In addition, using the CT imaging device, alveolar bone information (m7), which can confirm the shape and curvature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position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can be obtain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cross-sectional image.

상기 플래닝부(202)는 상기 촬상장치(201)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정보들과 후술되는 디지털라이브러리(204)에 기저장된 디지털정보를 취합, 산출 및 모델링하는 컴퓨터장치의 연산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촬상장치(201)를 통해 획득된 상기 이미지정보들이 상기 플래닝부(202)로 로딩되며, 상기 플래닝부(202)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이미지정보들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정보들이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가상 정렬된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치아수복 계획 수립 및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설계를 위한 플래닝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The planning unit 202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calculation unit of a computer device that collects, calculates, and models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imaging device 201 and digital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20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imaging device 201 is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202, and the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display connected to the planning unit 202. Then, the image information is virtually aligned corresponding to the preset vertical height. Accordingly, a planning image can be created for establishing an overall tooth restoration plan and designing the digital overdenture.

여기서,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204)는 치아수복에 사용되는 구성품의 기본 외형정보가 3차원 벡터데이터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204)에는 후술되는 실물의 어버트먼트 및 실물의 어태치먼트 장치 등에 대한 복수의 3차원 외형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204)에는 상기 임시틀니 및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설계를 위한 3차원 외형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라이브러리(204)는 상기 플래닝부(202)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204)에 기저장된 정보가 선택 추출되어 상기 플래닝부(202)로 로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204)는 상기 플래닝부(202)에 포함된 저장소로 구비될 수도 있다.Her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digital library 204 is a database in which basic external appearance information of components used for tooth restoration is stored as three-dimensional vector data. In detail, the digital library 204 may store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external appearance information on physical abutments and attachment devic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digital library 204 may also stor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nformation for designing the temporary denture and the digital overdenture. This digital library 204 is connected to the planning unit 202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204 can be selectively extracted and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202. Alternatively, the digital library 204 may be provided as a storage included in the planning unit 202.

상기 제조장치(203)는 상기 임시틀니의 설계정보 또는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300)의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임시틀니 또는 디지털 오버덴쳐를 실물로 제조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장치(203)는 3D 프린터, 치과용 CNC 또는 금형장치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device 203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temporary denture or a digital overdenture in real form based on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denture or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digital overdenture 300. The manufacturing device 203 may be equipped with a 3D printer, dental CNC, or mold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서 플래닝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lanning imag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래닝이미지(m1)는 환자의 구강에 대한 이미지정보들을 기반으로 생성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planning image (m1) is preferably generated based on image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oral cavity.

상세히, 상기 대상악궁과 상기 대합악궁의 각 3차원 표면정보(m2,m3) 및 상기 치조골정보(m7)가 상기 플래닝부(202)로 로딩되어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된다. 그리고, 3차원 표면정보(m2,m3)들과 상기 치조골정보(m7)가 기설정된 수직고경(occlusal vertical dimension,VD)에 대응하도록 가상 정렬됨에 따라 상기 플래닝이미지(m1)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래닝이미지(m1)에는 픽스츄어의 식립정보(m8)가 치열궁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m3) and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m7) of the target arch and the opposing arch are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202 and display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Then, the planning image (m1) can be generated as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m3) and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m7) are virtually aligned to correspond to a preset vertical dimension (occlusal vertical dimension, V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ieces of fixture placement information (m8) are set in the planning image (m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dental arch line.

그리고, 상기 플래닝이미지(m1)를 기반으로 가상임시틀니(m60)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상임시틀니(m60)는 상기 임시틀니의 설계정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임시틀니(m60)는 가상임시잇몸부(m62)와 가상임시치아부(m6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임시치아부(m61)의 높이 및 치열은 상기 수직고경(VD) 및 상기 대합악궁과의 저작관계가 고려되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임시잇몸부(m62)는 상기 가상임시치아부(m61)의 치근측을 감싸도록 연결되되, 상기 가상임시잇몸부(m62)의 내면윤곽이 상기 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m2)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temporary denture (m60) is set based on the planning image (m1). Her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virtual temporary denture (m60) is design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denture. The virtual temporary denture (m60) includes a virtual temporary gum portion (m62) and a virtual temporary tooth portion (m61). Here, the height and row of teeth of the virtual temporary tooth unit (m61) can be set by considering the vertical diameter (VD) and the chewing relationship with the opposing arch. In addition, the virtual temporary gum part (m62) is connected to surround the root side of the virtual temporary tooth part (m61), and the inner contour of the virtual temporary gum part (m62) contains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of the target arch. ) can be set in response to.

이때, 상기 식립정보(m8)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상삽입홈(m63)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상삽입홈(m63)은 상기 임시틀니에 형성되는 임시삽입홈의 설계정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삽입홈(m63)은 후술되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최대 단면적 및 돌출높이를 초과하는 제1용적의 홈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하에서 어버트먼트라 함은 힐링부가 구비된 어버트먼트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insertion groove (m63) is s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information (m8).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virtual insertion groove m63 is design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temporary denture. The virtual insertion groove m63 is preferably set as a groove with a first volume exceeding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and protrusion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abutment hereinafter refers to an abutment provided with a healing part.

여기서, 상기 제1용적은 상기 식립정보(m8)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위치오차간격(5)이 포함되어 설정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오차간격(5)은 상기 식립정보(m8)와 상기 픽스츄어(8)의 실제식립위치(6) 간에 발생 가능한 오차값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용적은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최대 단면적 및 돌출높이에 상기 위치오차간격(5)이 반경값 및 높이로 더 포함되어 설정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volume is set to include a preset position error interval (5) centered on the placement information (m8). The position error interval (5)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n error value that can occur between the placement information (m8) and the actual placement position (6) of the fixture (8).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first volume is set by adding the position error interval 5 as the radius value and height to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and protrusion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서 임시틀니의 내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서 임시틀니의 보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힐링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a temporary dentur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correction diagram of a temporary dentur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And, Figures 6a and 6b are illustrations showing an abutment including a healing part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상임시틀니(m60)가 상기 제조장치(203)로 전송되어 상기 가상삽입홈(m63)에 대응하는 상기 임시삽입홈(63)이 형성된 상기 임시틀니(60)가 제조된다. 이때, 상기 임시틀니(60)는 임시잇몸부(62) 및 임시잇몸부(62)를 포함하는데, 상기 임시잇몸부(62)와 상기 임시치아부(61)가 일체로 3차원 프린팅된 후 도색과정을 거쳐 제조됨이 바람직하다.2 to 5, the virtual temporary denture (m60) is transmitted to the manufacturing device 203, and the temporary insertion groove (63)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insertion groove (m63) is formed. ) is manufactured. At this time, the temporary denture 60 includes a temporary gum portion 62 and a temporary gum portion 62, and the temporary gum portion 62 and the temporary teeth portion 61 are three-dimensionally printed and then paint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한편, 상기 대상악궁(2)에 상기 픽스츄어(8)가 상기 식립정보에 대응하여 식립된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8)의 정확한 식립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서지컬 가이드는 상기 플래닝이미지(m1)를 기반으로 설계되고 상기 제조장치(203)를 통해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지컬 가이드는 상기 식립정보(m8)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드릴 등의 기구가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8)가 정확한 위치에 식립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xture 8 is installed in the target dental arch 2 in response to the placement informa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urgical guide be provided to guide the exact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ture 8. Here, the surgical guide is preferably designed based on the planning image (m1) and manufactured through the manufacturing device 203. The surgical guide has a guide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information (m8). Accordingly, the fixture 8 can be installed in an accurate position as a tool such as a drill is suppor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픽스츄어(8)의 상측에 상기 힐링부(41)가 구비된 어버트먼트(40)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힐링부(41)는 잇몸의 재생범위를 설정하도록 기능하며,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인 단면적으로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 힐링부(41)가 구비된 어버트먼트(40)와 어버트먼트(40)는 동일한 의미인 것으로 도 5에서 동일한 번호로 설명 및 도시한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5, it is preferable that the abutment 40 provided with the healing part 41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8. The healing part 41 functions to set the gum regeneration range, and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upper part has a continuous cross-sectional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inafter, the abutment 40 provided with the healing portion 41 and the abutment 40 have the same meaning and are described and shown with the same numbers in FIG. 5.

그리고, 상기 임시틀니(60)의 내면부에 릴라이닝 레진(s1)이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릴라이닝 레진(s1)은 경화 후 쿠션감이 있으면서도 압력에 의해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릴라이닝 레진(s1)은 실리콘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라이닝 레진(s1)이 도포된 상기 임시틀니(60)가 상기 대상악궁(2)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임시틀니(60)의 내면부에 도포된 상기 릴라이닝 레진(s1)과 상기 대상악궁(2)이 마주보게 배치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relining resin (s1)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emporary denture (60). Here, the relining resin (s1)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has a cushioning feeling after curing and is not excessively deformed by pressure. For example, the relining resin (s1) may be made of silicone material. Then, the temporary denture 60 coated with the relining resin s1 is installed in the target arch 2. At this time, the relining resin (s1)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emporary denture (60) and the target arch (2)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여기서, 상하악이 교합되면,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임시삽입홈(63)과 상기 힐링부(41) 사이의 간극에 상기 릴라이닝 레진(s1)이 충진 가압된다. 즉, 상기 힐링부(41) 및 상기 힐링부(41)의 부피보다 큰 용적으로 형성된 상기 임시삽입홈(63) 사이가 상기 릴라이닝 레진(s1)으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틀니(60)의 내면부와 상기 대상악궁(2)의 외면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에도 상기 릴라이닝 레진(s1)이 충진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릴라이닝 레진(s1)에 상기 힐링부의 외형에 대응하는 홈이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when the upper and lower jaws occlude, the relining resin s1 is filled and pressed into the gap between the temporary insertion groove 63 and the healing portion 41 through occlusal pressure. That is, the space between the healing part 41 and the temporary insertion groove 63 formed with a volume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healing part 41 may be filled with the relining resin s1. In addition, the relining resin s1 may be filled and pressed into the gap occurring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emporary denture 6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arget arch 2. Accordingly,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heal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relining resin s1 in a negative shape through the occlusal pressur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임시삽입홈(63)이 보정홈(163)으로 보정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정홈(163)은 상기 대상악궁(2)에 실제로 식립된 상기 픽스츄어(8)의 실제식립위치(6) 및 상기 어버트먼트의 결합위치가 고려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임시틀니(60)의 보정과정을 통해 실제 픽스츄어(8)의 식립위치와 수복계획단계에서 수립된 식립정보(m8) 간의 미소한 시술오차까지 보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틀니(60)의 보정과정을 통해 형성된 상기 보정홈(163)을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300)의 정확한 설계정보가 획득되므로 치아수복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orary insertion groove 63 is formed into a correction groove 163 through this process. The correction groove 163 may be formed by considering the actual installation position 6 of the fixture 8 actually installed in the target arch 2 and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abutment. Therefore, through the correction process of the temporary denture 60, even the slightest surgical error between the actual placement position of the fixture 8 and the placement information (m8) established in the restoration planning stage can be compensated. In addition, since accurate design information of the digital overdenture 300 is obtained based on the correction groove 163 formed through the correction process of the temporary denture 60, tooth restoration precis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힐링부(41)는 상기 어버트먼트(4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잇몸의 재생범위를 설정하도록 기능한다. 상세히, 상기 픽스츄어(8)를 상기 치조골(1)에 식립하기 위해, 먼저 상기 치조골(1)을 덮고 있는 연조직인 잇몸이 절개 및 제거된다. 이때, 상기 잇몸은 잇몸제거용 드릴기구를 통해 도려내듯 제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잇몸에 절개홀(3)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잇몸의 제거범위, 즉 상기 절개홀(3)의 내경은 상기 하우징캡(10)의 외경을 초과하는 단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잇몸의 절개부위는 최소화되면서도 상기 픽스츄어(8)의 식립과정에서 주변 조직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Meanwhile, the healing part 4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40 and functions to set the regeneration range of the gums. In detail, in order to install the fixture 8 into the alveolar bone 1, the gum, which is a soft tissue covering the alveolar bone 1, is first incised and removed. At this time, the gums can be removed as if cut out using a drill tool for gum removal, and through this, a circular incision hole (3) can be formed in the gums. The removal range of the gum,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incision hole 3, may correspond to a cross-sectional area excee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housing cap 10. Accordingly, the incision area of the gum can be minimized and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tissues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fixture 8 can be minimized.

여기서, 상기 힐링부(41)는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인 단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힐링부(41)는 외주에 반경 내외측으로 함몰 또는 돌출되면서 형성되는 언더컷이 포함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힐링부(41)가 구비된 상기 어버트먼트(40)는 상기 걸림돌기(24)로 인한 언더컷이 형성된 상기 어태치먼트를 대신하여 치조골(1)과 잇몸의 치유기간 중 상기 픽스츄어(8)에 결합된다. 따라서, 보정이 완료된 상기 임시틀니(60)를 상기 대상악궁(2)에서 분리시 상기 릴라이닝 레진(s1)이 상기 언더컷으로 유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어태치먼트에 견인력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8)가 상기 치조골(1)에 식립된 초기위치 및 방향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치조골(1)의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Here, the healing portion 41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its upper portion has a continuous cross-sectional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healing portion 41 does not include an undercut formed by recessing or protruding radially inward or outward on the outer circumference. Moreover, the abutment 40 provided with the healing portion 41 replaces the attachment in which the undercut is formed due to the locking protrusion 24 and is used to replace the fixture 8 during the healing period of the alveolar bone 1 and the gums. ) is combined with. Therefore, when the temporary denture 60 for which corrections have been completed are separated from the target arch 2, the problem of traction being applied to the attachment due to the relining resin s1 flowing into the undercut can be fundamentally eliminated. . Through this, the initial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ixture 8 installed in the alveolar bone 1 can be fixed, and safe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preventing damage to the alveolar bone 1.

이때,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어버트먼트는 통상의 힐링어버트먼트(40A)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힐링어버트먼트(40A)는 상단부가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티타늄 등의 금속재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힐링부는 별도의 캡부재, 즉 힐링캡(41a)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정홈은 상기 힐링캡(41a)이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단계와,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임시삽입홈이 상기 힐링부(41a)의 외형에 대응하는 음형으로 보정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referring to Figure 6a, the abutment is provided as a normal healing abutment (40A). This healing abutment (40A) has an overall upper par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titanium. It can be. Additionally, the healing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ap member, that is, the healing cap 41a. Therefore, the correction groove is formed by combining the healing cap 41a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and the temporary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to a negati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healing portion 41a through the occlusal pressure. It may be formed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correction.

여기서, 상기 힐링어버트먼트(40A)는 치유기간 중 잇몸의 재생범위를 설정하는 고유의 기능은 수행 가능하지만 스캔바디로서의 기능은 없다. 따라서, 상기 힐링캡(41a)은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되며, 외면부에 스캔정렬면부(42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대상악궁을 스캔하는 과정에서 빛의 산란이 방지되면서도 상기 스캔정렬면부(42a)를 통해 위치 및 방향이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healing abutment 40A can perform its own function of setting the regeneration range of the gums during the healing period, but does not function as a scan body. Therefore, the healing cap 41a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t least one scan alignment surface portion 42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rough this, scattering of light is prevented in the process of scanning the target arch, and the position and direction can be accurately displayed through the scan alignment surface portion 42a.

더욱이, 상기 힐링캡(41a)이 실질적으로 상기 잇몸의 재생범위를 설정하는 수단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보정홈이 상기 힐링부, 즉 상기 힐링캡(41a)의 외형에 대응하는 음형으로 보정 형성될 수 있다.Moreover, the healing cap 41a may actually function as a means for setting the regeneration range of the gums. In addition, the correction groove may be formed into a negati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healing portion, that is, the healing cap 41a, through the occlusal pressure.

상세히, 상기 힐링어버트먼트(40A)가 상기 픽스츄어(8)에 고정되고, 상기 힐링캡(41a)이 상기 힐링어버트먼트(40A)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절개홀(3)의 내측 상부로 상기 힐링캡(41a)이 결합된 상기 힐링어버트먼트(40A)의 상단부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힐링캡(41a)이 돌출된 상기 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가 상기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임시틀니의 보정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detail, the healing abutment (40A) is fixed to the fixture (8), and the healing cap (41a)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aling abutment (40A). Accordingly, the upper end of the healing abutment (40A) to which the healing cap (41a) is coupled protrudes toward the inner upper part of the incision hole (3). In addition,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where the healing cap 41a protrudes can be obtained through the imaging device. Subsequently, the correction process of the temporary denture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이때, 상기 힐링캡(41a)이 상기 보정홈의 내주에 끼움되어 상기 힐링어버트먼트의 상단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힐링캡(41a)의 내면이 상기 보정홈의 내면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치조골 및 잇몸의 치유기간 중에 환자가 상기 임시틀니를 임시로 사용시 상기 힐링캡(41a)의 내부에 상기 힐링어버트먼트의 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힐링캡(41a)이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므로 상기 임시틀니를 사용시 상기 교합압력으로 인해 상기 보정홈의 내면이 상기 힐링어버트먼트에 직접 가압되어 변형 또는 파손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healing cap 41a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rrection groove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healing abutment.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healing cap 41a may function as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ection groove. Therefore, when a patient temporarily uses the temporary denture during the healing period of the alveolar bone and gums, the upper end of the healing abutment can be 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healing cap 41a. At this time, since the healing cap 41a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ith a predetermined strength, when using the temporary denture,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ection groove is directly pressed against the healing abutment due to the occlusal pressure, preventing deformation or damage in advance. It can also be prevented.

또는,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어버트먼트는 힐링스캔바디(40B)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힐링부(41b)는 상기 힐링스캔바디(40B)의 상단부에 상기 하우징캡의 외주에 대응하는 단면적으로 가지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힐링부(41b)의 외면에는 상기 스캔정렬면부(42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힐링스캔바디(40B)는 하나의 어버트먼트 부재가 힐링어버트먼트 기능 및 스캔바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별도의 캡부재를 요구하지 않아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ure 6b, the abutment may be provided as a healing scan body (40B). Additionally, the healing portion 41b may be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healing scan body 40B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cap. At this time, the scan alignment surface portion 42b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ling portion 41b.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healing scan body 40B is one abutment member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the healing abutment function and the scan body function.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not requiring a separate cap member.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서 가상오버덴쳐베이스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virtual overdenture bas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에 대한 보정스캐닝이미지(m162)가 상기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162)는 상기 임시틀니의 전체적인 내외면을 스캐닝하여 획득되되, 상기 보정홈을 포함하는 상기 임시잇몸부의 내면부에 대한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이 소거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거라 함은 이미지의 일부분이 삭제되거나 비가시화처리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7, it is preferable that a corrected scanning image (m162) of the temporary denture is acquired through the imaging device. Here, the correction scanning image (m162) is obtained by scanning the entire inner and outer surface of the temporary denture, an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ima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emporary gum portion including the correction groove is erased. .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erasure means that part of the image is deleted or rendered invisible.

그리고,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162)가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162)에는 상기 보정홈에 대응하는 보정홈이미지(m163)가 오목하게 표시됨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rection scanning image (m162) is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rection groove image (m163)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on groove is displayed concavely in the correction scanning image (m162).

한편,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162)를 기반으로 가상오버덴쳐베이스(m301)가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상오버덴쳐베이스(m301)는 실물의 오버덴쳐베이스에 대한 설계정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덴쳐베이스는 인공잇몸부와 인공치아부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overdenture base (m301) is created based on the correction scanning image (m162). Her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virtual overdenture base (m301) is design information for the actual overdenture base. The overdenture base includes an artificial gum portion and an artificial tooth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더불어, 상기 가상오버덴쳐베이스(m301)에는 상기 하우징캡의 부피를 초과하는 가상매립부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상매립부는 상기 오버덴쳐베이스에 실제로 형성되는 매립부의 설계정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virtual buried portion exceeding the volume of the housing cap is set in the virtual overdenture base (m301).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virtual embedment part is design information of the embedment part actually formed in the overdenture base.

상세히, 상기 인공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인 가상잇몸부(m303)가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162) 또는 상기 플래닝이미지에 표시되는 상기 대상악궁의 3차원 외형정보 상측으로 가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gum part (m303), which is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artificial gum part, is virtually arrang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displayed in the correction scanning image (m162) or the planning image.

그리고, 상기 인공치아부의 3차원 외형정보인 가상치아부(m302)가 상기 가상잇몸부(m303)의 상단에 가상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상잇몸부(m303)의 내면부 윤곽은 상기 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m2) 또는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162)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치아부(m302)는 상기 대합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m3)를 기반으로 치열 및 저작면 형상이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상치아부(m302)와 상기 가상잇몸부(m303)의 기본적인 이미지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상기 가상임시치아부(도 3의 m61)와 상기 가상임시잇몸부(도 3의 m62)와 동일한 데이터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tooth part (m302), which is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artificial tooth part, is virtually aligned at the top of the virtual gum part (m303). At this time, the inner contour of the virtual gum portion (m303)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2) or the correction scanning image (m162) of the target arch. In addition, the virtual tooth portion (m302) may have its dentition and chewing surface shape se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m3) of the opposing arch. Moreover, the basic image data of the virtual tooth portion (m302) and the virtual gum portion (m303) are substantially the same data as the virtual temporary tooth portion (m61 in FIG. 3) and the virtual temporary gum portion (m62 in FIG. 3).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여기서, 상기 가상치아부(m302)의 하부측에 가상매립홈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매립홈은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를 기반으로 그 위치가 가상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매립홈와 연통되는 가상벤트홀(m306)이 상기 가상치아부(m302)의 치근측과 이격되어 후측으로 경사지게 연통 설정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virtual buried groove is set on the lower side of the virtual tooth portion (m302). The position of the virtual buried groove may be virtually aligned based on the correction groove image (m163).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vent hole (m306) communicating with the virtual buried groove is spaced apart from the root side of the virtual tooth portion (m302) and communicated at an angle toward the rear.

상세히, 상기 가상잇몸부(m303)는 상기 어태치먼트 장치가 상기 대상악궁(2)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피가 고려되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태치먼트 장치는 상기 픽스츄어와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를 상호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어태치먼트 및 상기 하우징캡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virtual gum portion (m303)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of the attachment devic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target arch (2). Here, the attachment device is a means for coupling the fixture and the digital overdenture to each other, and preferably includes the attachment and the housing cap.

상기 가상잇몸부(m303)가 설정되고, 상기 가상치아부(m302)의 치근측이 상기 가상잇몸부(m303)의 상단을 따라 가상 중첩된다. 이때, 상기 가상잇몸부(m303)의 상단측에 상기 가상치아부(m302)와 상기 가상잇몸부(m303)의 중첩영역에 대응하는 가상조립홈(m303a)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벤트홀(m306)은 상기 가상조립홈(m303a)과 이격되어 가상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벤트홀과 후술되는 조립홈이 각각 구분될 수 있다.The virtual gum portion (m303) is set, and the root side of the virtual tooth portion (m302) is virtually overlapped along the top of the virtual gum portion (m303). At this time, a virtual assembly groove (m303a)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area of the virtual tooth portion (m302) and the virtual gum portion (m303) may be set on the upper side of the virtual gum portion (m303). Also, the virtual vent hole (m306) can be set to be virtually spaced apart from the virtual assembly groove (m303a). Accordingly, a vent ho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n assembly groov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distinguished.

이때, 상기 가상매립부는 다음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virtual burial part is preferably set through the following series of processes.

먼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하우징캡의 3차원 외형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하우징캡(m10)이 선택 추출되어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에 상기 가상하우징캡(m10)이 기설정된 매칭정보를 기준으로 가상 중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매칭정보는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로부터 산출되는 직경 또는 단면적, 상기 직경에 대응하는 중심라인,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에 표시되는 스캔정렬면부 형상으로부터 산출되는 특정위치정보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First,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housing cap (m10)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housing cap is selected and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and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housing cap (m10) is virtually overlapped with the corrected home image (m163) based on preset matching information. Here, the matching information includes a diameter or cross-sectional area calculated from the correction groove image (m163), a center lin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and specific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shape of the scan alignment surface displayed on the correction groove image (m163). can be set.

이어서,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가 상기 가상하우징캡(m10)으로 대체 스왑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왑(swap)이라 함은 하나의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처리 또는 영상처리에 따라 변형된 이미지로 대체 또는 교환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가 상기 가상하우징캡(m10)으로 대체 스왑될 수 있다.Subsequent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rection home image (m163) is replaced with the virtual housing cap (m10). Her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swap means replacing or exchanging one image with another image processing or an image transformed according to image processing. That is, the correction home image (m163) can be replaced with the virtual housing cap (m10).

그리고, 상기 가상매립부, 특히 상기 가상매립홈은 상기 가상하우징캡(m10)의 외면윤곽으로부터 상기 여유간격을 포함하여 확장되어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상매립홈은 상기 가상하우징캡(m10)의 외면윤곽을 기반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가상벤트홀(m306)은 상기 가상매립홈과 연통되되 상기 가상조립홈(m303a)과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buried portion, particularly the virtual buried groove, may be set to be expanded from the outer surface contour of the virtual housing cap m10 to include the clearance gap. That is, the virtual buried groove is set based on the outer contour of the virtual housing cap (m10). Additionally, the virtual vent hole (m306) may be set to be inclin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virtual buried groove and be spaced apart from the virtual assembly groove (m303a).

더욱이, 상기 가상매립부는 다음의 일련의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Moreover, the virtual burial unit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series of processes.

먼저, 상기 힐링부의 3차원 외형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힐링부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 추출되어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에 상기 가상힐링부가 기설정된 매칭정보를 기준으로 가상 중첩될 수 있다. First, a virtual heal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3D external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healing unit may be selected and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and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In addition, the virtual healing unit may be virtually superimposed on the corrected home image (m163) based on preset matching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보정홈(163)은 상기 릴라이닝 레진(s1)에 상기 힐링부의 외형에 대응하는 음형이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의 3차원 내면윤곽과 상기 가상힐링부의 3차원 외면윤곽에 상호 공통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부분이 상기 매칭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칭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가상힐링부가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와 가상 중첩되되,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가 상기 가상힐링부로 대체 스왑될 수 있다.Here, the correction groove 163 is formed in a negati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healing portion in the relining resin (s1). That is, a common portion may be included in the three-dimensional inner contour of the corrected home image (m163) and the three-dimensional outer contour of the virtual healing unit. And, the common part can be set as the matching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the virtual healing unit virtually overlaps with the corrected home image (m163), and the corrected home image (m163) can be replaced with the virtual healing unit.

이때, 상기 가상하우징캡(m10)이 상기 가상힐링부와 가상 중첩되되, 상기 가상힐링부가 상기 가상하우징캡(m10)으로 대체 스왑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상하우징캡(m10)에 대응하는 규격, 직경, 높이, 상호 매칭되는 어태치먼트에 대한 선택정보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상기 가상하우징캡(m10)의 외형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상힐링부에 대응되는 규격, 직경, 높이 및 상호 매칭되는 가상하우징캡(m10)에 대한 선택정보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상기 가상힐링부의 외형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상호 매칭되는 상기 가상하우징캡(m10)과 상기 가상힐링부가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irtual housing cap (m10) virtually overlaps with the virtual healing part, but the virtual healing part can be replaced with the virtual housing cap (m10). In detail,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standard, diameter, height, and mutually matching attachments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housing cap (m10) are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along with the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virtual housing cap (m10). In addition,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standard, diameter, height, and matching virtual housing cap (m10)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healing unit is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along with the external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healing unit. Accordingly, the virtual housing cap (m10) and the virtual healing unit that match each other can be easily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더욱이, 상기 가상하우징캡(m10)과 상기 가상힐링부는 세트화되어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가상이미지가 선택되면 그것과 연계된 다른 가상이미지가 세트로 추출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가상이미지에 다수계의 다른 가상이미지가 연계되어 세트화되되, 다수개의 다른 가상이미지에서 실제 치아수복에 요구되는 최적의 가상이미지가 상기 선택정보를 기반으로 정확하게 추출될 수 있다.Moreover, the virtual housing cap (m10) and the virtual healing unit can be set and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Therefore, when one virtual image is selected, other virtual images associated with it can be extracted as a set. At this time, a plurality of other virtual images are linked to one virtual image and set, and the optimal virtual image required for actual tooth restoration can be accurately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different virtual images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선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하우징캡(m10)이 정확한 위치에 가상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상기 가상매립부가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에 대응하여 더욱 정확하고 정밀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And,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the virtual housing cap m10 can be virtually aligned at the correct position.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the virtual embedment part can be set to a more accurate and precise position in response to the correction groove image (m163).

한편, 상기 가상오버덴쳐베이스(m301)는 다음의 일련의 과정을 더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virtual overdenture base (m301) can be set by further including the following series of processes.

상세히, 상기 힐링부가 돌출된 상기 대상악궁의 제1정렬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보정홈이 보정 형성된 상기 임시틀니에 대한 제2정렬스캐닝이미지가 상기 촬상장치(201)를 통해 각각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정렬스캐닝이미지는 실질적으로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162)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획득된 상기 제1정렬스캐닝이미지와 상기 제2정렬스캐닝이미지가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될 수 있다.In detail, a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of the target arch with the healing portion protruding and a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of the temporary denture with the correction groove formed therein may be respectively acquired through the imaging device 20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is substantially the correction scanning image (m162). And, the obtained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and the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may be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여기서, 상기 제1정렬스캐닝이미지는 상기 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 및 상기 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 외측으로 돌출 표시되는 상기 힐링부의 3차원 표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정렬스캐닝이미지는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may include 3D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dental arch and 3D surface information of the healing portion displayed to protrude outside the 3D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dental arch. And, the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may include the correction home image (m163).

이때, 상기 제1정렬스캐닝이미지와 상기 제2정렬스캐닝이미지는 상호 매칭되는 이미지영역을 기반으로 가상 중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정렬스캐닝이미지와 상기 제2정렬스캐닝이미지는 각각에 포함된 상기 힐링부의 3차원 표면정보와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를 기준으로 상호 가상 중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and the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may be virtually overlapped based on image areas that match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and the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may virtually overlap each other based on the 3D surface information of the healing part and the correction groove image (m163) included in each.

여기서, 상기 제1정렬스캐닝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내면부 윤곽이 더욱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정렬스캐닝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보정홈이미지(m163)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매립홈의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와 상기 대상악궁 간의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Here, the inner contour of the digital overdenture can be more accurately se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included in the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virtual buried groove can be accurately set based on the correction groove image (m163) included in the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Through this, precision between the digital overdenture and the target arch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상기 힐링부의 외면에 상기 스캔정렬면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1정렬스캐닝이미지와 상기 제2정렬스캐닝이미지의 동일한 위치에 상기 스캔정렬면부가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정렬스캐닝이미지와 상기 제2정렬스캐닝이미지는 각 이미지에 포함된 스캔정렬면부이미지를 비교영역으로 가상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정렬스캐닝이미지 간의 정합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scan alignment surface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ling portion, the scan alignment surface portion can be displayed as an image at the same position of the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and the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Accordingly, the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and the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may be virtually overlapped with the scan alignment surface portion image included in each image as a comparison area. Through this, the degree of matching between each alignment scanning image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상기 플래닝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가상오버덴쳐베이스(m301)가 상기 제조장치로 로딩되어 오버덴쳐베이스가 실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overdenture base (m301) created through the planning unit is loaded into the manufacturing device to manufacture the actual overdenture base.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서 최종 디지털 오버덴쳐(300)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S. 8A and 8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nal digital overdenture 300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gital over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보철은 후술되는 과정을 통해 최종 제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the digital prosthesis can be finally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described later.

상세히, 상기 오버덴쳐베이스(301)는 인공치아부(302)와 인공잇몸부(30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공치아부(302)는 상기 대상악궁(2)에 소실된 치아를 대신하도록 구비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공잇몸부(303)는 상기 대상악궁(2)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인공치아부(302)가 기설정된 치열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overdenture base 301 preferably includes an artificial tooth portion 302 and an artificial gum portion 303.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302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portion provided to replace a missing tooth in the target arch 2. In addition, the artificial gum portion 303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target dental arch 2, and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302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portion disposed in response to a preset dental arch.

이때, 상기 인공잇몸부(303)에는 상기 가상매립부에 대응하는 매립부(30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매립부(304)는 상기 가상매립홈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된 매립홈(305)과 상기 가상벤트홀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된 벤트홀(306)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embedding part 304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embedding part is formed in the artificial gum part 303. In detail, the buried portion 304 preferably includes a buried groove 305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virtual buried groove and a vent hole 306 formed through the virtual vent hole to correspond to the virtual vent hole.

상기 인공치아부(302)와 상기 인공잇몸부(303)는 색상, 강도 등이 고려되어 각각 상이한 재질로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공잇몸부(303)는 아크릴계 올리고머 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인공치아부(302)는 지르코늄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공치아부(302)의 하단부가 상기 인공잇몸부(303)의 상단부에 형성된 조립홈(303a)에 삽입 고정됨에 따라 상기 오버덴쳐베이스(301)가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홈(303a)은 상기 가상조립홈을 기반으로 상기 인공잇몸부(303)에 형성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 artificial tooth portion 302 and the artificial gum portion 303 may be separately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aking color, strength, etc. into consideration. For example, the artificial gum portion 303 may be made of an acrylic oligomer resin, and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302 may be made of zirconium or the like. Then, the overdenture base 301 can be manufactured as the lower end of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302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assembly groove 303a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rtificial gum portion 303.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assembly groove 303a is formed in the artificial gum portion 303 based on the virtual assembly groove.

상세히, 상기 픽스츄어(8)로부터 상기 어버트먼트가 분리되고 상기 어태치먼트(20)가 교체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립홈(305)에 경화성 레진(r1)이 충진되고 상기 하우징캡(10)이 상기 매립홈(305)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화성 레진(r1)이 잇몸에 직접 점찹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대상악궁(2)의 외면에 프로텍트커버(9)가 씌워질 수 있다. 이러한 프로텍트커버(9)는 고무재질의 얇은 막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어태치먼트(20)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abutment is separated from the fixture 8 and the attachment 20 is replaced and fastened. 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buried groove 305 is filled with curable resin (r1) and the housing cap 10 is inserted into the buried groove 305. Here, a protective cover 9 may be cover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arget arch 2 to prevent the curable resin r1 from directly sticking to the gums. This protective cover 9 may be made of a thin rubber film, and a hole may be formed through it to expose the upper end of the attachment 20.

이때, 상기 매립홈(305)는 기설정된 여유간격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캡(10)의 부피를 초과하도록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여유간격을 통해 상기 하우징캡(10)을 상기 매립홈(305)에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상기 경화성 레진(r1)의 충진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ried groove 305 includes a preset clearance, and is preferably recessed to exceed the volume of the housing cap 10. Accordingly, a space filled with the curable resin (r1) for firmly attaching the housing cap 10 to the buried groove 305 can be secured through the clearance.

그리고, 상기 오버덴쳐베이스(301)가 상하악 사이에 교합되어 상기 하우징캡(10)이 상기 어태치먼트(20)와 매칭 결합되도록 상기 매립홈(305) 내에서 위치가 보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300)의 최종 제조과정에서 상기 어태치먼트(20)와 상기 하우징캡(10) 간의 미소한 오차까지 최종 보완되므로 구강에 설치시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lso, the position of the overdenture base 301 within the embedding groove 305 can be corrected so that the overdenture base 301 is engag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 so that the housing cap 10 is matched and coupled to the attachment 20. That is, during the final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gital overdenture 300, even the slightest error between the attachment 20 and the housing cap 10 is compensated for, so that precis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when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이때, 상기 매립부(304)는 상기 매립홈(305)의 일측으로 연통되는 상기 벤트홀(306)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트홀(306)은 설측에 대응하는 상기 인공잇몸부(303)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관통되며, 상기 매립홈(305)와 연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버덴쳐베이스(301)가 상하악 사이에 교합되면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경화성 레진(r1)이 상기 벤트홀(306)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ried portion 304 preferably includes the vent hole 306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buried groove 305. The vent hole 306 extends obliquely to one side of the artificial gum portion 303 corresponding to the tongue, and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buried groove 305. Therefore, when the overdenture base 301 is engag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 the curable resin (r1) can be moved through the vent hole 306 through the occlusal pressure.

즉, 상기 매립홈(305)와 상기 하우징캡(10) 사이의 간극에 실질적으로 충진 가압된 경화성 레진(r1)을 제외한 잉여레진(r2)이 상기 벤트홀(306)로 인입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벤트홀(306)은 상기 매립홈(305)와 상기 하우징캡(10) 사이의 간극을 채우고 남은 잉여레진(r2)이 이동되어 외측으로 배출되는 통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잉여레진(r2)이 상기 매립홈(305)의 개구측으로 과도하게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20)가 삽입되는 부분인 상기 하우징캡(10)의 개구측에 상기 잉여레진(r2)이 과도하게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잉여레진(r2)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캡(10)의 내주가 좁아지면서 상기 어태치먼트(20)와 상기 하우징캡(10) 간의 결합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at is, excess resin (r2) excluding the curable resin (r1) substantially filled and pressurized into the gap between the buried groove 305 and the housing cap 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vent hole 306. In this way, the vent hole 306 fills the gap between the buried groove 305 and the housing cap 10 and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emaining excess resin (r2) is mov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cess resin r2 from being excessively pushed out toward the opening of the buried groove 305.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adhesion of the excess resin r2 to the opening side of the housing cap 10, which is the portion where the attachment 20 is inser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cap 10 is narrowed due to the excess resin r2 and the coupling precision between the attachment 20 and the housing cap 10 is reduced.

이때,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잉여레진(r2)이 상기 벤트홀(306)의 단부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벤트홀(306) 내부가 상기 잉여레진(r2)으로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캡(10)을 상기 매립홈(305)에 고정한 후 상기 벤트홀(306)을 매립하기 위한 별도의 과정이 불필요하다. 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300)의 제조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cess resin (r2) is moved to the end side of the vent hole 306 through the occlusal pressure, and the inside of the vent hole 306 may be filled with the excess resin (r2).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process to bury the vent hole 306 after fixing the housing cap 10 to the buried groove 305. Through this, the manufacturing convenience of the digital overdenture 300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상기 벤트홀(306)과 상기 조립홈(303a)이 연통됨으로 인하여 상기 조립홈(303a)에 상기 경화성 레진(r1)이 유입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트홀(306)을 수직방향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인공치아부(302)에 홀을 형성시켜야 하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ent hole 306 and the assembly groove 303a are in communication, the problem of the curable resin r1 flowing into the assembly groove 303a can be fundamentally solved. In addition, the problem of having to form a hole in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302 in order to form the vent hole 306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fundamentally solved.

이를 통해, 상기 인공잇몸부(303)와 상기 인공치아부(302)에 형성된 홀읠 정확하기 정렬시키거나, 상기 인공치아부(302)에 형성된 홀을 매립시키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치아부(302)에 홀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므로 상기 인공치아부(302)가 저작압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벤트홀(306)이 상기 인공잇몸부(303)의 설측으로 개구되므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300)의 외면측으로 상기 벤트홀(306)이 노출되지 않아 심미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hassle of accurately aligning the holes formed in the artificial gum portion 303 and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302 or filling the holes formed in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302 can be eliminated. In addition, since the problem of durability deterioration due to the formation of holes in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302 is prevented,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302 can stably support the masticatory pressure. Moreover, since the vent hole 306 is opened on the lingual side of the artificial gum portion 303, the vent hole 306 is not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gital overdenture 300, and aesthetic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상기 벤트홀(306)이 상기 인공잇몸부(303)의 후측으로 개구됨에 따라 상기 벤트홀(306)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잉여레진(r2)양이 상기 벤트홀(306)의 용적보다 많아 상기 벤트홀(306)의 외부로 상기 잉여레진(r2)이 밀려 배출되더라도 이를 제거하여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트홀(306)을 마감한 흔적이 실질적으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심미감이 향상되며, 환자의 사용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Moreover, as the vent hole 306 is opened to the rear of the artificial gum portion 303, the problem of the vent hole 306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substantially eliminated. Therefore, even if the amount of excess resin (r2) is greater than the volume of the vent hole 306 and the excess resin (r2) is pushed out of the vent hole 306, it can be removed and finished. In addition, since no traces of finishing the vent hole 306 are substantially revealed, aesthetics are improved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us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상기 벤트홀(306)의 외측으로 배출된 상기 잉여레진(r2)을 제거하고 상기 경화성 레진(r1)이 경화되면, 상기 매립부(304)에 상기 하우징캡(10)이 부착 고정되어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300)가 최종 제조될 수 있다.When the excess resin (r2)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nt hole (306) is removed and the curable resin (r1) is cured, the housing cap (1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embedded portion (304) and the digital over The denture 300 can be finally manufactured.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Meanwhile,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equip,” or “have,” as us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Rather than excluding a componen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llowing additional inclusion of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explai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1: 플래닝이미지 m10: 가상하우징캡
m60: 가상임시틀니 m162: 보정스캐닝이미지
8: 픽스츄어 10: 하우징캡
20 : 어태치먼트 24: 걸림돌기
40A: 힐링어버트먼트 40B: 힐링스캔바디
41a: 힐링캡 300: 디지털 오버덴쳐
305: 매립홈 306: 벤트홀
m1: Planning image m10: Virtual housing cap
m60: Virtual temporary denture m162: Correction scanning image
8: Fixture 10: Housing cap
20: Attachment 24: Stumbling protrusion
40A: Healing Abutment 40B: Healing Scan Body
41a: Healing cap 300: Digital overdenture
305: Filled groove 306: Vent hole

Claims (10)

대상악궁에 고정되되 상단 외주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설되어 하부측과 단차지게 형성된 어태치먼트를 통해 구강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내면에 하우징캡이 고정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강에 대한 이미지정보가 플래닝부를 통해 가상 통합된 플래닝이미지에 설정되는 식립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상삽입홈이 설정된 가상임시틀니가 설정되는 제1단계;
상기 가상임시틀니가 제조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가상삽입홈에 대응하는 임시삽입홈이 형성된 임시틀니가 제조되는 제2단계;
상기 대상악궁에 상기 식립정보에 대응하여 식립된 픽스츄어의 상측에 잇몸의 재생범위를 설정하도록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인 단면적을 가지는 힐링부가 구비된 어버트먼트가 체결되고, 상기 임시삽입홈이 상기 힐링부에 대응하는 보정홈으로 보정 형성되는 제3단계;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에 대하여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되고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는 보정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하우징캡의 부피를 초과하는 가상매립부가 설정된 가상오버덴쳐베이스가 생성되되, 상기 가상오버덴쳐베이스가 상기 제조장치로 전송되어 인공치아부 및 상기 가상매립부에 대응하는 매립부가 형성된 인공잇몸부를 포함하는 오버덴쳐베이스가 제조되는 제4단계; 및
상기 픽스츄어에 상기 어버트먼트가 분리되고 상기 어태치먼트가 교체 체결되되, 상기 매립부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캡이 부착 고정되어 디지털 오버덴쳐가 최종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in which a housing cap is fixed on the inner side so that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ably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through an attachment that is fixed to the target arch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radial outer direction of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and is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lower side, comprising:
A first step in which a virtual temporary denture with a virtual insertion groove is s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information set in the planning image in which the image information for the oral cavity is virtually integrated through a planning unit;
A second step in which the virtual temporary denture is transmitted to a manufacturing device to manufacture a temporary denture having a temporary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insertion groove;
An abutment provided with a healing portion having a continuous cross-sectional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installed in the target arch in response to the placement information to set the gum regeneration range, and the temporary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A third step of forming correction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healing portion;
A virtual overdenture base in which a virtual embedding portion exceeding the volume of the housing cap is set is created based on a correction scanning image obtained through an imaging device for the corrected temporary denture and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wherein the virtual overdenture base is A fourth step of manufacturing an overdenture base including an artificial tooth portion and an artificial gum portion formed with an embedd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embedded portion, which is transmitted to the manufactur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comprising a fifth step in which the abutment is separated from the fixture, the attachment is replaced, and the housing cap is attach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embedded part to finally manufacture the digital overden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하우징캡의 부피를 초과하도록 기설정된 여유간격을 포함하여 함몰 형성된 상기 매립부에 경화성 레진이 충진되고 상기 하우징캡이 삽입되는 단계와,
상기 오버덴쳐베이스가 상하악 사이에 교합압력을 통해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캡이 상기 어태치먼트와 매칭 결합되도록 상기 매립부 내에서 위치가 보정되는 단계와,
상기 매립부로부터 상기 인공치아부의 설측에 대응하는 상기 인공잇몸부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연통 형성된 벤트홀을 통해 상기 경화성 레진이 이동 충진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fth step is,
Filling the buried portion, which is recessed with a preset clearance to exceed the volume of the housing cap, with curable resin and inserting the housing cap;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overdenture base within the embedding portion so that the overdenture base is pres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 through occlusal pressure so that the housing cap is matched and coupled to the attachmen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comprising the step of moving and filling the curable resin from the embedding portion through a vent hole formed in oblique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artificial gu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ngual side of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인공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인 가상잇몸부의 상단에 상기 인공치아부의 3차원 외형정보인 가상치아부가 가상 정렬되되, 상기 가상치아부의 하부측에 가상매립부가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가상매립부와 연통되는 가상벤트홀이 상기 가상치아부의 치근측과 이격되어 후측으로 경사지게 연통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fourth step is,
A virtual tooth portion, which is the three-dimensional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is virtually aligned on the top of the virtual gum portion, which is the three-dimensional exterior information of the artificial gum portion, and a virtual embedment portion is set at the lower side of the virtual tooth por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comprising the step of setting a virtual vent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virtual embedment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ot side of the virtual tooth portion and inclined toward the rea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가상매립부는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하우징캡의 3차원 외형정보에 대응되는 가상하우징캡이 선택 추출되어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는 단계와,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에 오목하게 표시되는 보정홈이미지에 상기 가상하우징캡이 기설정된 매칭정보를 기준으로 가상 중첩되는 단계와,
상기 보정홈이미지가 상기 가상하우징캡으로 대체 스왑되되, 상기 가상하우징캡의 외면윤곽으로부터 상기 여유간격을 포함하여 확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2,
In the fourth step, the virtual embedding unit
selecting and extracting a virtual housing cap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housing cap from a digital library and loading it into the planning unit;
Virtually overlapping the virtual housing cap on the correction home image concavely displayed in the correction scanning image based on preset matching informa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ction groove image is swapped with the virtual housing cap and expanded from the outer contour of the virtual housing cap to include the clearance gap.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가상매립부는
상기 힐링부의 3차원 외형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힐링부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 추출되어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는 단계와,
상기 보정홈이미지에 상기 가상힐링부가 기설정된 매칭정보를 기준으로 가상 중첩되는 단계와,
상기 어태치먼트와 연계정보를 포함하는 가상하우징캡이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되 상기 가상하우징캡이 상기 가상힐링부와 가상 중첩 및 대체 스왑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4,
In the fourth step, the virtual embedding unit
selecting and extracting a virtual heal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3D external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healing unit from the digital library and loading it into the planning unit;
Virtually overlapping the virtual healing unit on the corrected home image based on preset matching information;
Digital 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irtual housing cap containing the attachment and linkag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and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and the virtual housing cap is set including the step of virtual overlap and replacement swap with the virtual healing unit.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힐링부가 별도의 캡부재로 구비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단계와,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임시삽입홈이 상기 힐링부의 외형에 대응하는 음형으로 보정되어 상기 보정홈으로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third step is,
The healing part is provided as a separate cap member and is combin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comprising the step of correcting the temporary insertion groove into a negati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healing portion through occlusal pressure to form the correction groov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가상삽입홈은 상기 식립정보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위치오차간격이 포함되도록 상기 힐링부를 포함하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최대 단면적 및 돌출높이를 초과하는 제1용적의 홈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보정홈은
상기 임시틀니의 내면부에 릴라이닝 레진이 도포되고 상기 대상악궁에 배치되는 단계와,
상기 위치오차간격이 상기 픽스츄어의 실제식립위치에 대응되도록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임시삽입홈과 상기 힐링부 사이의 간극에 상기 릴라이닝 레진이 충진 가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보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econd step, the virtual insertion groove is a groove of a first volume exceeding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and protrusion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including the healing portion so that a preset position error interval is included around the installation information. is set,
In the third step, the correction groove is
Applying relining resi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emporary denture and placing it on the target arch;
Digital 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error interval is corrected by filling and pressing the relining resin into the gap between the temporary insertion groove and the healing portion through occlusal pressure so that the position error interval corresponds to the actual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ture.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힐링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에 상기 하우징캡의 외주에 대응하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6,
In the third step, the healing part is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cap.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힐링부가 돌출된 상기 대상악궁의 제1정렬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보정홈이 보정 형성된 상기 임시틀니에 대한 제2정렬스캐닝이미지가 상기 촬상장치를 통해 각각 획득되어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는 단계와,
상기 제1정렬스캐닝이미지와 상기 제2정렬스캐닝이미지가 상호 매칭되는 힐링부이미지 및 상기 보정홈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상 중첩되는 단계와,
상기 보정홈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매립부가 설정되되, 상기 제1정렬스캐닝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대상악궁의 3차원 표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공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인 가상잇몸부의 내면윤곽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fourth step is,
A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of the target arch with the healing portion protruding and a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of the temporary denture with the correction groove formed are respectively acquired through the imaging device and loaded into the planning portion;
Virtually overlapping the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and the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based on the healing portion image and the correction home image that match each other;
The virtual embedding part is set based on the correction groove image, and the inner contour of the virtual gum part, which is the 3D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artificial gum part, is set based on the 3D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included in the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overdenture comprising the step of: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힐링부의 외면에는 스캔정렬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제1정렬스캐닝이미지와 상기 제2정렬스캐닝이미지는 각 이미지에 포함된 스캔정렬면부이미지를 비교영역으로 가상 중첩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9,
In the third step, a scan alignment surface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ling portion,
In the fourth step, the first alignment scanning image and the second alignment scanning image are virtually overlapped with the scan alignment surface portion image included in each image as a comparison area.
KR1020210114141A 2021-08-27 2021-08-27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 KR1025815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141A KR102581508B1 (en) 2021-08-27 2021-08-27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
PCT/KR2022/002686 WO2023027273A1 (en) 2021-08-27 2022-02-24 Overden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coupling device for overdenture appli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141A KR102581508B1 (en) 2021-08-27 2021-08-27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133A KR20230033133A (en) 2023-03-08
KR102581508B1 true KR102581508B1 (en) 2023-09-22

Family

ID=8550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141A KR102581508B1 (en) 2021-08-27 2021-08-27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50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5619A (en) 2010-09-30 2012-04-19 Shiken:Kk Plate denture, and artificial tooth used for the same
US20160228220A1 (en) 2015-02-10 2016-08-11 Zimmer, Inc. Configurations for the connection of dental restorations with abutments
US20180021109A1 (en) 2016-07-22 2018-01-2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ystems and methods for dental abutments with cement-retained crowns
JP6339093B2 (en) 2012-12-11 2018-06-06 ゼスト、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ー、カンパニーZest Ip Holdings,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device
KR102013298B1 (en) 2018-03-08 2019-08-23 주식회사 디오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26A (en) * 1979-06-15 1981-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ubstrate holding jig for substrate treatment
KR101409084B1 (en) 2012-01-02 2014-06-17 이홍량 dentures
KR102296246B1 (en) * 2019-10-11 2021-08-31 주식회사 디오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5619A (en) 2010-09-30 2012-04-19 Shiken:Kk Plate denture, and artificial tooth used for the same
JP6339093B2 (en) 2012-12-11 2018-06-06 ゼスト、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ー、カンパニーZest Ip Holdings,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device
US20160228220A1 (en) 2015-02-10 2016-08-11 Zimmer, Inc. Configurations for the connection of dental restorations with abutments
US20180021109A1 (en) 2016-07-22 2018-01-2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ystems and methods for dental abutments with cement-retained crowns
KR102013298B1 (en) 2018-03-08 2019-08-23 주식회사 디오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133A (en)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262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rgical guide for a dental implant
KR101940743B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dental prosthesis
KR10186281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KR10179715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KR10205490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gital dental prosthesis
KR101544774B1 (en) method for fixing surgical guide of dental implant using alignment piece
US1189645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verdenture and flattening guide applied thereto for manufacturing the overdenture
KR10227565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gital denture
KR10201329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KR102541583B1 (en) provisional prosthesis set for dental resto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visional prosthesis using thereof
KR10259034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
KR10238539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library
KR20220025408A (en) implant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KR10258150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
KR10154477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u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KR10268139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KR102581509B1 (en) digital overden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61778B1 (en) method and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KR20220117404A (en)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restoration
KR20220117405A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design
KR20220050457A (en) assembly type digital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631937B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with emergency profile inde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14144B1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sign of surgical guide
KR102396859B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KR102510423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