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177B1 -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 Google Patents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177B1
KR102581177B1 KR1020210116248A KR20210116248A KR102581177B1 KR 102581177 B1 KR102581177 B1 KR 102581177B1 KR 1020210116248 A KR1020210116248 A KR 1020210116248A KR 20210116248 A KR20210116248 A KR 20210116248A KR 102581177 B1 KR102581177 B1 KR 10258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total heat
filter
steriliz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360A (ko
Inventor
이예찬
이예진
Original Assignee
이예찬
이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찬, 이예진 filed Critical 이예찬
Priority to KR102021011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1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공기의 급기 및 배기시 온도 편차를 줄이고 공기의 필터링 중에 전열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에 대한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열교환기의 내부에 내장되는 필터의 오염 및 막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관을 통해 전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에어디퓨저의 내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를 배치시키고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을 배치하여 실내 공기에 대한 살균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 전열교환시스템{TOTAL HEAT EXCHANGE SYSTEM}
본 발명은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외 공기의 급기 및 배기시 온도 편차를 줄이고 공기의 필터링 중에 전열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에 대한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열교환기의 내부에 내장되는 필터의 오염 및 막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관을 통해 전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에어디퓨저의 내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를 배치시키고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을 배치하여 실내 공기에 대한 살균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새로운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환기유니트(VENTILATION UNIT)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히, 학교 및 병원 등과 같이 대중이용시설의 경우에는 실내의 공기가 급격하게 오염될 수 있어 환기유니트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신선한 외부공기를 탁한 실내공기와 환기시켜 공기오염도를 낮추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시 서로 열회수하여 온도차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열교환소자가 설치된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많이 설치하고 있다.
한편, 국내를 기준으로 3월 중순에서 6월 중순까지, 9월 중순에서 11월 중순까지(통상 중간기로 불림)는 전열교환 환기에 따른 냉, 난방부하가 단순 외기도입이나 일반(바이패스)환기 대비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중간기에는 전열교환환기보다는 단순 외기도입을 통한 일반(바이패스)환기가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외기도입을 통한 외기냉방은 냉난방 에너지의 사용량이 많은 학교 교실이나 병실 등에 매우 효과적이어서 효율적 냉난방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화재시와 같이 실내공기의 배출이 급격하게 이루어져야 할 경우,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배출되면 공기의 이동 속도가 현저히 저하되므로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기존 열교환 환기장치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함과 동시에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토출하는 과정에서, 실외로 배출하는 실내 공기와 실내로 토출하는 실외 공기 사이에 열교환시켜서, 실내로 토출되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실내 공기에 가깝게 한다.
이에, 실외 공기로 실내를 환기시키더라도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낮추어서, 냉방 또는 난방에 소요되는 부하의 증가를 최소화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272674호 및 공개특허 제10-2008-0024379호는 실내외 공기의 유동을 고르게 하여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켰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들에서 개시한 열교환 환기장치는 환기할 시의 열교환 효율을 개선하는 데 치우쳐서 실질적으로 단일 용도로만 사용되는 사용상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더라도 열교환하는 열량이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고, 실외 공기의 실내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실외 공기의 유입통로에 설치하는 댐퍼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경우 팬의 송풍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동작하게 되며,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
기존 열교환 환기장치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1875호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등록일자 : 2015.05.1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에 있어서,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실내 흡입공간과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 배출공간이 실내측 유로전환 댐퍼에 의해 상호 연통 가능하고,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실외 흡입공간과 실외로 공기를 토출하는 실외 배출공간이 실외측 유로전환 댐퍼에 의해 상호 연통 가능한 하우징; 실내 흡입공간과 실외 배출공간을 연통시키는 통로 및 실외 흡입공간과 실내 배출공간을 연통시키는 통로가 상호 교차되어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실외 흡입공간에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실내 배출공간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실내측 배기팬; 실외 배출공간의 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는 실외측 배기팬; 실내측 유로전환 댐퍼 및 실외측 유로전환 댐퍼를 폐쇄 동작시키고 실내측 배기팬 및 실외측 배기팬을 가동시키는 환기 동작모드와, 실내측 유로전환 댐퍼 또는 실외측 유로전환 댐퍼를 연통 동작시키고 실내측 배기팬 및 실외측 배기팬을 가동시켜서 실외 공기에 실내 공기를 혼합하여 환기하는 혼기 동작모드를 선택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기존 전열교환기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51179호 "전열교환기"(공개일자 : 2018.05.1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환기구와 급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의 반대면인 타측면에 외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외기구로 흡입된 공기와 상기 환기구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열교환 유닛; 상기 열교환 유닛의 상측에 상기 환기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는 어퍼 에어 가이드; 및 상기 환기구와 상기 열교환 유닛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환기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소자 또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가이드하는 루버 장치를 포함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전열교환기의 경우에는 단순히 열교환을 통해 실내,외의 공기를 급기하거나 배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살균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전염성 바이러스에 대한 대응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실외 급기측과 실내 배기측에 각각 필터가 구비되어 있으나,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경우 필터의 오염이 쉽게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필터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경우 전열교환기의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1875호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등록일자 : 2015.05.1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51179호 "전열교환기"(공개일자 : 2018.05.16)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외 공기의 급기 및 배기시 온도 편차를 줄이고 공기의 필터링 중에 전열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에 대한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열교환기의 내부에 내장되는 필터의 오염 및 막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을 통해 전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에어디퓨저의 내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를 배치시키고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을 배치하여 실내 공기에 대한 살균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외의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는 중에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온도 편차를 줄이고, 실외의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과 배관을 통해 실내의 제1에어디퓨저측으로 공급하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제2에어디퓨저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열교환기는 내부 중간에 전열교환소자가 마련되는 전열교환유니트가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측으로 공급되는 실,내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결합되고 내측면에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과, 상기 제1살균등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되는 제1광촉매로 구성된 살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제1급기구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일측면과 제1배기구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일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기구측과 연결되는 측면에 구비되는 미디엄필터 및 제1헤파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미디엄필터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내에서 발생되는 오존의 외부 배출을 저감시키도록 오존을 흡착하는 허니컴 구조의 제1미디엄필터와, 상기 제1미디엄필터과 하나의 필터로 구성되도록 결합되고 카본을 흡착하는 흡착판 형태의 제2미디엄필터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에어디퓨저는 내부에 상기 전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필터링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필터링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살균필터링수단은 상기 제1에어디퓨저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프리필터와, 상기 제2프리필터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에어디퓨저의 내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살균등과, 상기 제2살균등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살균등의 빛에너지로 광촉매 반응하는 제2광촉매와, 상기 제2광촉매의 하측에 배치되는 카본필터 및 상기 카본필터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헤파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적인 요소로는 실내,외의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는 중에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온도 편차를 줄이고, 실외의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과 배관을 통해 실내의 제1에어디퓨저측으로 공급하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제2에어디퓨저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열교환기는 내부 중간에 전열교환소자가 마련되는 전열교환유니트가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측으로 공급되는 실,내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결합되고 내측면에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과, 상기 제1살균등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되는 제1광촉매로 구성된 살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제1급기구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일측면과 제1배기구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일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기구측과 연결되는 측면에 구비되는 미디엄필터 및 제1헤파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미디엄필터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내에서 발생되는 오존의 외부 배출을 저감시키도록 오존을 흡착하는 허니컴 구조의 제1미디엄필터와, 상기 제1미디엄필터과 하나의 필터로 구성되도록 결합되고 카본을 흡착하는 흡착판 형태의 제2미디엄필터로 구성되되, 상기 전열교환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실외측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1급기구,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급기구 및 전열교환소자를 통해 공급된 실외측 공기를 실내측으로 공급하는 제2급기구,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1배기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배기구로부터 전달되는 실내 공기를 실외측으로 배기하는 제2배기구를 구비하되, 상기 제1,2급기구와 상기 제1,2배기구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유량 흐름량을 계측하고 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제1,2,3,4유량감지센서와, 상기 제1,2급기구의 유량 차이와 상기 제1,2배기구의 유량 차이를 판단하고 기준치보다 더 높을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터부재의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 및 경보장치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 제3특징적인 요소로는, 실내,외의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는 중에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온도 편차를 줄이고, 실외의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과 배관을 통해 실내의 제1에어디퓨저측으로 공급하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제2에어디퓨저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열교환기는 내부 중간에 전열교환소자가 마련되는 전열교환유니트가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측으로 공급되는 실,내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결합되고 내측면에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과, 상기 제1살균등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되는 제1광촉매로 구성된 살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제1급기구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일측면과 제1배기구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일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기구측과 연결되는 측면에 구비되는 미디엄필터 및 제1헤파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미디엄필터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내에서 발생되는 오존의 외부 배출을 저감시키도록 오존을 흡착하는 허니컴 구조의 제1미디엄필터와, 상기 제1미디엄필터과 하나의 필터로 구성되도록 결합되고 카본을 흡착하는 흡착판 형태의 제2미디엄필터로 구성되되, 상기 전열교환기는 상기 제1살균등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제1광촉매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더 구비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 제4특징적인 요소로는 실내,외의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는 중에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온도 편차를 줄이고, 실외의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과 배관을 통해 실내의 제1에어디퓨저측으로 공급하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제2에어디퓨저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열교환기는 내부 중간에 전열교환소자가 마련되는 전열교환유니트가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측으로 공급되는 실,내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결합되고 내측면에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과, 상기 제1살균등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되는 제1광촉매로 구성된 살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제1급기구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일측면과 제1배기구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일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기구측과 연결되는 측면에 구비되는 미디엄필터 및 제1헤파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미디엄필터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내에서 발생되는 오존의 외부 배출을 저감시키도록 오존을 흡착하는 허니컴 구조의 제1미디엄필터와, 상기 제1미디엄필터과 하나의 필터로 구성되도록 결합되고 카본을 흡착하는 흡착판 형태의 제2미디엄필터로 구성되되, 상기 살균수단의 제1살균등과 제1광촉매가 하우징의 외측면을 개폐하도록 착탈되는 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살균등과 제1광촉매를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상기 제1살균등과 제1광촉매의 좌,우측 테두리를 각각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측에 가이드돌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동레일과,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이 수용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홈의 상기 이동레일의 좌,우측 이동시 상기 가이드돌부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가이드홈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 내에 구비된 살균수단을 이용하여 전열교환기 내부를 살균함과 아울러, 상기 전열교환기 내에 배치된 필터부재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살균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살균필터링수단은 제1에어디퓨저에 배치되어 상기 전열교환기에서 실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필터링 및 필터에 대한 살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살균수단은 상기 제1살균등과 제1광촉매를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가이드레일의 고정레일 및 이동레일에 의해 제1살균등과 제1광촉매를 각각 커버의 내측에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레일을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제1살균등과 제1광촉매의 사이즈 변화에 관계없이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살균수단은 상기 제1살균등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제1광촉매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제1살균등의 빛을 제1광촉매측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1광촉매의 광촉매 반응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전열교환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전열교환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살균필터링수단이 구비된 제1에어디퓨저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살균수단이 결합된 커버와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착탈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착탈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반사판이 구비된 살균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 전열교환기가 빌딩 건물 전열교환기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내,외의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는 중에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00)를 통과시켜 온도 편차를 줄이고, 실외의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100)과 배관을 통해 실내의 제1에어디퓨저(210)측으로 공급하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제2에어디퓨저(220)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전열교환기(100)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열교환기(100)는 내부 중간에 전열교환소자가 마련되는 전열교환유니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측으로 공급되는 실,내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가 내장되는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2)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결합되고 내측면에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310)과, 상기 제1살균등(310)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되는 제1광촉매(320)로 구성된 살균수단(300)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제1급기구(152)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일측면과 제1배기구(156)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120)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일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기구(154)측과 연결되는 측면에 구비되는 미디엄필터(130) 및 제1헤파필터(137)로 구성되고, 상기 미디엄필터(130)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내에서 발생되는 오존(O3)의 외부 배출을 저감시키도록 오존을 흡착하는 허니컴 구조의 제1미디엄필터(130a)와, 상기 제1미디엄필터(130a)과 하나의 필터로 구성되도록 결합되고 카본을 흡착하는 흡착판 형태의 제2미디엄필터(130b)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은 실내,외기를 급기 및 배기하기 위해 실외의 배관과 실내의 배관 사이에 연결되는 전열교환기(100)와, 상기 전열교환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실외 공기를 실내측으로 공급하는 제1에어디퓨저(210)와, 건물의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기(100)를 통해 실외측으로 배기시키는 제2에어디퓨저(220)로 구성된다.
상기 전열교환기(100)의 하우징(102)은 내부 중앙에 전열교환소자가 배치되는 전열교환유니트(110)가 마련되고,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를 중심으로 하우징(102)의 외측에 제1,2급기구(152,154)와 제1,2배기구(156,158)가 마련된다.
상기 전열교환기(100)는 상기 하우징(102)의 일측에 배치되고 실외측 공기를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1급기구(OA;152), 상기 하우징(102)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급기구(152) 및 전열교환소자를 통해 공급된 실외측 공기를 실내측으로 공급하는 제2급기구(SA;154), 상기 하우징(102)의 타측에 배치되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1배기구(RA;156), 상기 하우징(10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배기구(156)로부터 전달되는 실내 공기를 실외측으로 배기하는 제2배기구(EA;158)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열교환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급기구(152,154)와 상기 제1,2배기구(156,158)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유량 흐름량을 계측하고 이를 제어부(600)측으로 출력하는 제1,2,3,4유량감지센서(510,520,530,540)와, 상기 제1,2급기구(152,154)의 유량 차이와 상기 제1,2배기구(156,158)의 유량 차이를 판단하고 기준치보다 더 높을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터부재의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710) 및 경보장치(720)를 더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급기구(15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제1유량감지센서(51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600)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급기구(154)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제2유량감지센서(52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600)측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1배기구(15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제3유량감지센서(53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600)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배기구(158)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제4유량감지센서(54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600)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급기구(152)를 통과하여 하우징(102)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전열교환유니트(110)를 통과하여 제2급기구(154)를 통해 실내측으로 급기되는 중에 필터부재의 필터를 거쳐 손실되는 유량값을 기준치값과 비교 판단하고, 상기 제1배기구(156)를 통과한 실내 오염된 공기가 전열교환유니트(110)를 통과하여 제2배기구(158)를 통해 실외측으로 배기되는 중에 필터부재의 필터를 거쳐 손실되는 유량값을 기준치값과 비교 판단하여 기준치값보다 더 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710)와 경보장치(720)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710)는 사용자에게 필터 교체시기를 모니터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상기 경보장치(720)는 필터 교체시기를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필터부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급기구(152)측과 연결되는 전열교환유니트(110)의 일측면과 제1배기구(156)측과 연결되는 전열교환유니트(110)의 타측에 제1프리필터(120)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일측면과 반대편인 상기 제2급기구(154)측과 연결되는 측면에 미디엄필터(130)가 구비된다.
상기 미디엄필터(130)는 카본 필터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디엄필터(130)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내에서 발생되는 오존(O3)의 외부 배출을 저감시키도록 오존을 흡착하는 허니컴 구조의 제1미디엄필터(130a)와, 상기 제1미디엄필터(130a)과 하나의 필터로 구성되도록 결합되고 카본을 흡착하는 흡착판 형태의 제2미디엄필터(130b)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미디엄필터(130)는 전열교환유니트(110) 내에 마련된 오존 발생기로부터 오존을 발생시켜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외부로 오존이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헤파필터(137)는 카본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필터링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제1프리필터(120)와 근접되는 위치에 광촉매필터(13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40"은 바이패스 유로를 전환시키는 댐퍼(14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에어디퓨저(210)는 내부에 상기 전열교환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필터링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필터링수단(4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살균필터링수단(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에어디퓨저(21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프리필터(410)와, 상기 제2프리필터(4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에어디퓨저(210)의 내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살균등(420)과, 상기 제2살균등(420)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살균등(420)의 빛에너지로 광촉매 반응하는 제2광촉매(430)와, 상기 제2광촉매(4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카본필터(440) 및 상기 카본필터(44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헤파필터(45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살균수단(300)의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는 하우징(102)의 외측면을 개폐하도록 착탈되는 커버(101)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에어디퓨저(210)는 외기의 공기를 실내측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상기 제1에어디퓨저(2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산업용 공기조화설비(FFU : Fan Filter Unit)에도 동일한 구조의 살균필터링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단(300)은 상기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를 상기 커버(101)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착탈수단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1)의 내측에 상기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의 좌,우측 테두리를 각각 지지하는 가이드레일(500)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500)은 상기 커버(10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510)과, 상기 고정레일(5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측에 가이드돌부(525)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동레일(520)과, 상기 커버(101)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520)이 수용되는 수용홈(530), 및 상기 수용홈(53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홈(530)의 상기 이동레일(520)의 좌,우측 이동시 상기 가이드돌부(525)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가이드홈부(532)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돌부(525)는 상기 가이드홈부(532) 내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테두리 부위가 단턱진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레일(510)과 이동레일(520)로 구성된 가이드레일(500)측에 제1살균등(310)의 좌,우측 테두리 및 제1광촉매(320)의 좌,우측 테두리가 각각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커버(101)의 내측에 각각 2개의 고정레일(510)과 이동레일(520)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레일(52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ㅌ이 상기 수용홈(5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가이드돌부(525)가 상기 가이드홈부(532)에 지지되어 좌,우측 이동이 가이드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의 사이즈 변화에 관계없이 커버(101)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제1살균등(310)은 외부 전원에 의해 발광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UV램프를 채택한다.
또한, 상기 전열교환기(100)는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살균등(3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제1광촉매(320)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35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반사판(350)은 상기 제1광촉매(320)의 광촉매 반응 활성화를 위해 상기 제1살균등(310)의 빛을 제1광촉매(320)측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평판 형태나 프리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살균수단(300)과 살균필터링수단(400)을 이용하여 실내,외기의 급기와 배기시 온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전열교환기(100)의 내부 및 제1에어디퓨저(210)가 가지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공기에 대한 살균 및 필터부재의 살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살균수단(300)은 전열교환기(100)의 커버(101) 내측면에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전열교환기(100) 내부를 살균함과 아울러, 상기 전열교환기(100) 내에 배치된 필터부재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살균필터링수단(400)은 상기 제1에어디퓨저(210)에 배치되어 상기 전열교환기(100)에서 실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필터링 및 필터에 대한 살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살균수단(300)은 상기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를 상기 커버(101)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가이드레일(500)의 고정레일(510) 및 이동레일(520)에 의해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를 각각 커버(101)의 내측에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레일(520)을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의 사이즈 변화에 관계없이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살균수단(300)은 상기 제1살균등(3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제1광촉매(320)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350)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반사판(350)은 상기 제1살균등(310)의 빛을 제1광촉매(320)측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1광촉매(320)의 광촉매 반응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 전열교환기가 빌딩 건물용 전열교환기(100A)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내측에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로 구성된 살균수단(300)이 커버(101)에 결합되어 전열교환기(100)의 하우징(102)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전열교환기(100)는 일반 가정 뿐만 아니라, 빌딩 건물용 전열교환기(100A)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전열교환기 101 : 커버
102 : 하우징 110 : 전열교환유니트
120 : 제1프리필터 130 : 미디엄필터
135 : 광촉매필터 137 : 제1헤파필터
140 : 댐퍼 152 : 제1급기구
154 : 제2급기구 156 : 제1배기구
158 : 제2배기구 210 : 제1에어디퓨저
220 : 제2에어디퓨저 300 : 살균수단
310 : 제1살균등 320 : 제1광촉매
350 : 반사판 400 : 살균필터링수단
410 : 제2프리필터 420 : 제2살균등
430 : 제2광촉매 440 : 카본필터
450 : 제2헤파필터 500 : 가이드레일
510 : 고정레일 520 : 이동레일
525 : 가이드돌부 530 : 수용홈
532 : 가이드홈부

Claims (5)

  1. 실내,외의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는 중에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00)를 통과시켜 온도 편차를 줄이고, 실외의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100)과 배관을 통해 실내의 제1에어디퓨저(210)측으로 공급하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제2에어디퓨저(220)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전열교환기(100)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열교환기(100)는 내부 중간에 전열교환소자가 마련되는 전열교환유니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측으로 공급되는 실,내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가 내장되는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2)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결합되고 내측면에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310)과, 상기 제1살균등(310)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되는 제1광촉매(320)로 구성된 살균수단(300)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제1급기구(152)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일측면과 제1배기구(156)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120)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일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기구(154)측과 연결되는 측면에 구비되는 미디엄필터(130) 및 제1헤파필터(137)로 구성되고,
    상기 미디엄필터(130)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내에서 발생되는 오존(O3)의 외부 배출을 저감시키도록 오존을 흡착하는 허니컴 구조의 제1미디엄필터(130a)와, 상기 제1미디엄필터(130a)과 하나의 필터로 구성되도록 결합되고 카본을 흡착하는 흡착판 형태의 제2미디엄필터(130b)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에어디퓨저(210)는 내부에 상기 전열교환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필터링 및 살균하기 위한 살균필터링수단(40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살균필터링수단(400)은 상기 제1에어디퓨저(21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프리필터(410)와,
    상기 제2프리필터(4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에어디퓨저(210)의 내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살균등(420)과,
    상기 제2살균등(420)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살균등(420)의 빛에너지로 광촉매 반응하는 제2광촉매(430)와,
    상기 제2광촉매(4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카본필터(440) 및 상기 카본필터(44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헤파필터(4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2. 삭제
  3. 실내,외의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는 중에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00)를 통과시켜 온도 편차를 줄이고, 실외의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100)과 배관을 통해 실내의 제1에어디퓨저(210)측으로 공급하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제2에어디퓨저(220)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전열교환기(100)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열교환기(100)는 내부 중간에 전열교환소자가 마련되는 전열교환유니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측으로 공급되는 실,내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가 내장되는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2)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결합되고 내측면에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310)과, 상기 제1살균등(310)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되는 제1광촉매(320)로 구성된 살균수단(300)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제1급기구(152)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일측면과 제1배기구(156)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120)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일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기구(154)측과 연결되는 측면에 구비되는 미디엄필터(130) 및 제1헤파필터(137)로 구성되고,
    상기 미디엄필터(130)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내에서 발생되는 오존(O3)의 외부 배출을 저감시키도록 오존을 흡착하는 허니컴 구조의 제1미디엄필터(130a)와, 상기 제1미디엄필터(130a)과 하나의 필터로 구성되도록 결합되고 카본을 흡착하는 흡착판 형태의 제2미디엄필터(130b)로 구성되되,
    상기 전열교환기(100)는 상기 하우징(102)의 일측에 배치되고 실외측 공기를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1급기구(152), 상기 하우징(102)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급기구(152) 및 전열교환소자를 통해 공급된 실외측 공기를 실내측으로 공급하는 제2급기구(154), 상기 하우징(102)의 타측에 배치되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로 공급하는 제1배기구(156), 상기 하우징(10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배기구(156)로부터 전달되는 실내 공기를 실외측으로 배기하는 제2배기구(158)를 구비하며,
    상기 제1,2급기구(152,154)와 상기 제1,2배기구(156,158)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유량 흐름량을 계측하고 이를 제어부(600)측으로 출력하는 제1,2,3,4유량감지센서(510,520,530,540)와,
    상기 제1,2급기구(152,154)의 유량 차이와 상기 제1,2배기구(156,158)의 유량 차이를 판단하고 기준치보다 더 높을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터부재의 교체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710) 및 경보장치(7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4. 실내,외의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는 중에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00)를 통과시켜 온도 편차를 줄이고, 실외의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100)과 배관을 통해 실내의 제1에어디퓨저(210)측으로 공급하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제2에어디퓨저(220)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전열교환기(100)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열교환기(100)는 내부 중간에 전열교환소자가 마련되는 전열교환유니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측으로 공급되는 실,내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가 내장되는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2)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결합되고 내측면에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310)과, 상기 제1살균등(310)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되는 제1광촉매(320)로 구성된 살균수단(300)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제1급기구(152)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일측면과 제1배기구(156)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120)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일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기구(154)측과 연결되는 측면에 구비되는 미디엄필터(130) 및 제1헤파필터(137)로 구성되고,
    상기 미디엄필터(130)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내에서 발생되는 오존(O3)의 외부 배출을 저감시키도록 오존을 흡착하는 허니컴 구조의 제1미디엄필터(130a)와, 상기 제1미디엄필터(130a)과 하나의 필터로 구성되도록 결합되고 카본을 흡착하는 흡착판 형태의 제2미디엄필터(130b)로 구성되되,
    상기 전열교환기(100)는 상기 제1살균등(31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제1광촉매(320)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35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5. 실내,외의 공기를 급기 및 배기하는 중에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00)를 통과시켜 온도 편차를 줄이고, 실외의 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100)과 배관을 통해 실내의 제1에어디퓨저(210)측으로 공급하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제2에어디퓨저(220)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전열교환기(100)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열교환기(100)는 내부 중간에 전열교환소자가 마련되는 전열교환유니트(110)가 배치되고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측으로 공급되는 실,내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가 내장되는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2)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결합되고 내측면에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되어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제1살균등(310)과, 상기 제1살균등(310)의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되는 제1광촉매(320)로 구성된 살균수단(300)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제1급기구(152)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일측면과 제1배기구(156)측과 연결되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프리필터(120)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의 일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급기구(154)측과 연결되는 측면에 구비되는 미디엄필터(130) 및 제1헤파필터(137)로 구성되고,
    상기 미디엄필터(130)는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10)내에서 발생되는 오존(O3)의 외부 배출을 저감시키도록 오존을 흡착하는 허니컴 구조의 제1미디엄필터(130a)와, 상기 제1미디엄필터(130a)과 하나의 필터로 구성되도록 결합되고 카본을 흡착하는 흡착판 형태의 제2미디엄필터(130b)로 구성되되,
    상기 살균수단(300)의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가 하우징(102)의 외측면을 개폐하도록 착탈되는 커버(101)의 내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를 상기 커버(101)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커버(101)의 내측에 상기 제1살균등(310)과 제1광촉매(320)의 좌,우측 테두리를 각각 지지하는 가이드레일(500)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500)은 상기 커버(10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510)과, 상기 고정레일(5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측에 가이드돌부(525)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이동레일(520)과, 상기 커버(101)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520)이 수용되는 수용홈(530), 및 상기 수용홈(53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홈(530)의 상기 이동레일(520)의 좌,우측 이동시 상기 가이드돌부(525)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가이드홈부(5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KR1020210116248A 2021-09-01 2021-09-01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KR10258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248A KR102581177B1 (ko) 2021-09-01 2021-09-01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248A KR102581177B1 (ko) 2021-09-01 2021-09-01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360A KR20230033360A (ko) 2023-03-08
KR102581177B1 true KR102581177B1 (ko) 2023-09-21

Family

ID=8550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248A KR102581177B1 (ko) 2021-09-01 2021-09-01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1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9432A (ja) * 2007-11-16 2010-12-16 コングック ユニヴァーシティ インダストリアル コーペレーシ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 省エネルギー機能を持つ知能型換気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102A (ko) * 2003-09-09 2005-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의 필터구조
KR101521875B1 (ko) 2014-11-28 2015-05-20 오충록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
KR20180051179A (ko) 2016-11-08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9432A (ja) * 2007-11-16 2010-12-16 コングック ユニヴァーシティ インダストリアル コーペレーシ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 省エネルギー機能を持つ知能型換気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360A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364B1 (ko)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90987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US9393338B2 (en) Air purif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KR102188972B1 (ko)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KR100580288B1 (ko) 살균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흡기유니트
KR101381215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항온항습장치
KR101348786B1 (ko) 냉난방장치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20040075686A (ko)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
KR100810594B1 (ko) 제연기능을 갖는 공기살균순환장치
CN108302685B (zh) 具有内部空气的循环、排出和吸入功能的空气循环系统
US20120083198A1 (en) Fluid cleaning system and method
KR102317253B1 (ko) 흡음기능을 갖는 원통형 광촉매 필터장치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2497520B1 (ko) 환기 기능을 구비한 에어컨
KR102293977B1 (ko)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KR102325618B1 (ko) 광촉매 반응 공기 정화 열교환 환기장치
KR102581177B1 (ko)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KR100858520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200407836Y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CN211177128U (zh) 除菌模块及包括该模块的空调器
KR20000056583A (ko) 공기 조화기
KR20220054019A (ko) 소음저감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2305958B1 (ko) 친환경 냉난방 환기일체형 천정형 공조 유니트
KR102079214B1 (ko) 소음 개선용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CN211822801U (zh) 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