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977B1 -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977B1
KR102293977B1 KR1020200149645A KR20200149645A KR102293977B1 KR 102293977 B1 KR102293977 B1 KR 102293977B1 KR 1020200149645 A KR1020200149645 A KR 1020200149645A KR 20200149645 A KR20200149645 A KR 20200149645A KR 102293977 B1 KR102293977 B1 KR 10229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supply
indoo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149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로 연통된 외기 유입구(11)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2),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실내측에 연통된 급기구(13)와 실내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실내공기 유입구(14)가 형성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중앙부에 장착된 열교환부(2),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실내공기 배기구(12)측에 장착된 배기 송풍기(3),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기구(13) 측에 설치된 급기 송풍기(4)를 구비하는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에는 배기공간(8)과 하우징 측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격벽(30)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30)과 하우징의 측벽 사이에 액상의 소독제 저장용기(32)와 연무기(33)가 배치되어 방역모드시에 연무기에 의해 발생된 소독제 연무가 열교환부(2)와 급기구(13) 사이에 형성된 외기 급기공간(6)과 급기구(13)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를 방역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소독제 연무를 실내로 공급하는 방역모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주기적인 실내 방역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방역을 할 수 있으며, 방역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Heat Exchanger Having Sterilizing Function}
본 발명은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내에 소독제 연무를 생성하는 연무기를 설치하고 실내로의 급기 유로와 연통된 유로를 통해 소독제 연무를 실내로의 급기에 공급하여 급기에 포함될 수 있는 코로나를 비롯한 바이러스균을 살균하여 방역을 수행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사무실, 식당이나 커피숍과 등과 같은 건축물의 경우에는 실내의 내부공기를 환기시켜 주기 위한 환기장치가 별도로 시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내의 냉/난방에 따른 내부공기를 환기시켜 주기 위해서는 대부분 거실 등의 창문을 이용하였으나, 이와 같이 창문 개방을 통해서 실내를 환기시키는 경우에는 외부공기가 실내로 빠르게 유입되면서 실내의 냉/난방된 공기가 쉽게 손실되거나 내부공기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내공기를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동안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열에너지를 회수하도록 함으로써 열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전열교환기의 이용이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전열교환기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10-0592710호(2006년06월16일 등록)에는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되, 실내/외 공기의 에너지를 보존하여 여름철에는 더운 실외의 공기가 열교환 후 쿨링되어 실내로 공급되고, 겨울철에는 차가운 실외의 공기가 열교환 후 히팅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전열교환기로서, 상기 전열교환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에 잔존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CO2 센서와, 상기 CO2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흡입/배출 블로우 모터를 단계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실외의 공기를 청정하게 하여 실내로 급기시키는 다중필터의 사이에는 실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처리하는 자외선 램프가 설치된 전열교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열교환기에 의해 특히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에 최근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 그로부터 배출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체 실내로 급속히 확산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자외선 램프는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처리하기 위한 것이고 극히 짧은 시간동안 작용하게 되어 살균의 효과가 미약하고, 실내공기의 순환시에는 살균기능이 작용되지 않게 되는 점에서 실내공기가 오염된 경우의 실내공기 순환모드에 의한 세균의 확산의 문제가 우려되었다.
이로 인하여 종래 전열교환기를 사용하더라도 실내의 오염에 대한 방역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커피숍에서 거리를 두고 앉아 있었음에도 그 커피숍을 방문한 감염자에 의해 전체 실내 방문객들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10-0592710호(2006년06월16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열교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독제 연무를 발생하는 연무기에 의해 발생된 소독제 연무가 급기유로에 연통된 유로를 통해 실내공기의 순환에 의해 실내로 공급되거나 외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유로에 소독제 연무를 공급하여 효율적인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는, 실외로 연통된 외기 유입구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실내측에 연통된 급기구와 실내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실내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장착된 열교환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실내공기 배기구측에 장착된 배기 송풍기,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기구 측에 설치된 급기 송풍기를 구비하는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배기공간과 하우징 측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과 하우징의 측벽 사이에 액상의 소독제 저장용기와 연무기가 배치되어 방역모드시에 연무기에 의해 발생된 소독제 연무가 열교환부와 급기구 사이에 형성된 외기 급기공간과 급기구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를 방역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역모드에서는 외기 유입구에 제공된 댐퍼와 실내공기 유입구에 면하는 열교환부에 제공된 댐퍼는 폐쇄되며, 상기 격벽에 제공된 댐퍼는 개방하여 연무기 가동시 발생되는 열을 배열토록 배기 송풍기를 약풍가동하고, 급기 송풍기를 가동하여 연무기에서 발생된 소독제 연무가 실내로 공급되어 방역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무기에 의해 저장용기의 소독제로 부터 배출하는 연무가 하우징과 급기공간 사이에 다공판으로 된 격벽이 홀들을 통해 급기공간으로 유입되어 급기구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열교환기는 소독제 연무를 실내로 공급하는 방역모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주기적인 실내 방역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방역을 할 수 있으며, 방역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열교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전열교환기의 기본환기모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전열교환기의 제습을 위한 내부순환모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전열교환기에서 방역모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열교환기는 실외측에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해 실외로 연통된 외기 유입구(11)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외부에 연통된 배기구(12),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실내측에 연통된 급기구(13)와 실내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실내에 연통된 실내공기 유입구(14)가 형성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중앙부에 장착된 열교환부(2),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실내공기 배기구(12)측에 장착된 배기 송풍기(3),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기구(13) 측에 설치된 급기 송풍기(4)를 포함한다.
상기 전열교환기의 하우징 내부는 외기 유입구(11)와 열교환부(2) 사이의 외기 유입공간(5)과, 열교환부(2)와 급기구(13) 사이의 외기 급기공간(6),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열교환부(2)와 유입구(14) 사이의 실내공기 유입공간(7), 상기 실내공기 유입공간(7)에서 실내공기가 열교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열교환부(2)와 배기구(12) 사이의 배기공간(8)으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외기 유입구(11)에는 댐퍼(111)가 제공되어 외기유입구를 개폐시키며, 상기 배기구(12)에도 댐퍼(121)가 장착되어 배기구를 개폐시키도록 되고, 실내공기 유입구(14)에 면하는 열교환부(2)에도 댐퍼(141)가 제공되어 작동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다시 실내로 재순환시키도록 실내공기 유입공간(7)에서 실내로 연통되는 급기공간(6) 사이에 유로(9)가 형성되고 그 유로에는 제습필터(10)가 배치되고 댐퍼(101)에 의해 유로가 개폐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열교환기의 하우징에는 배기공간(8)과 하우징 측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격벽(30)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30)과 하우징의 측벽 사이에 액상의 소독제 저장용기(32)와 연무기(33)가 배치되고, 상기 격벽(30)에는 댐퍼(40)가 제공되어 개방시에 후술하는 연무기(33)의 작동시 발생되는 열이 배기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연무기(33)에 의해 저장용기(32)의 소독제로 부터 배출하는 연무가 하우징과 급기공간(6) 사이에 다공판으로 된 격벽(31)이 홀들을 통해, 후술하는 방역모드에서 연무기(33)에서 발생된 소독제 연무가 급기공간(6)으로 유입되어 급기구(13)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를 방역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는 기본적인 환기모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의 댐퍼(111)와 배기구(12)의 댐퍼(112) 및 실내공기 유입구(14)에 면하는 열교환부(2)에도 댐퍼(141)가 개방되고, 배기 송풍기(3)와 급기 송풍기(4)가 가동되어, 외기가 열교환부(2)와 급기구(13)를 통해 신선한 외기가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공기는 유입구(14)를 통해 열교환부(2) 및 배기구(1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어 실내가 환기된다. 이러한 환기모드는 일반적인 전열교환기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실내공기의 제습을 위한 제습모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송풍기(4)만 가동되고, 댐퍼(111, 112, 141)들은 닫힌 상태에서 댐퍼(101)가 개방되어 유로(9)를 개방하여 실내 공기는 유입구(14)와 제습필터(10)를 통해 제습된 상태로 급기공간(6)과 급기구(13)를 실내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열교환기는 예를들어 카페나, 커피숍과 같은 밀폐 공간에서 영업하거나 업무를 보는 사무실의 실내 방역을 위한 방역모드를 구비하며, 상기 방역모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41)와 댐퍼(101)는 폐쇄되고, 댐퍼(40)는 개방되며, 배기 송풍기(3)를 약풍가동하고, 급기 송풍기(4)를 가동하며, 이와 함께 연무기(33)가 가동하여 저장용기(32)의 액상의 소독제를 연무 상태로서 공급하고, 소독제 연무는 격벽(31)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급기공간(6)과 급기구(1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이때, 배기 송풍기(3)를 약풍으로 가동함으로써 연무기(33)의 가동시 발생되는 열이 댐퍼(40)와 배기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열교환기는 통상적인 환기모드와 제습모드 뿐만 아니라 소독제 연무를 실내로 공급하는 방역모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주기적인 실내 방역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를 통해 실내의 주기적인 방역을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유입구(11)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외부에 연통된 배기구(12), 실내측에 연통되어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실내측에 연통된 급기구(13)와 실내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실내에 연통된 실내공기 유입구(14)가 형성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중앙부에 장착된 열교환부(2),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실내공기 배기구(12)측에 장착된 배기 송풍기(3),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기구(13) 측에 설치된 급기 송풍기(4)를 포함한다.
상기 전열교환기의 하우징 내부는 외기 유입구(11)와 열교환부(2) 사이의 외기 유입공간(5)과, 열교환부(2)와 급기구(13) 사이의 외기 급기공간(6),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열교환부(2)와 유입구(14) 사이의 실내공기 유입공간(7), 상기 실내공기 유입공간(7)에서 실내공기가 열교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열교환부(2)와 배기구(12) 사이의 배기공간(8)으로 분할되어 있다.

Claims (3)

  1. 삭제
  2. 실외로 연통된 외기 유입구(11)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2),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실내측에 연통된 급기구(13)와 실내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실내공기 유입구(14)가 형성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중앙부에 장착된 열교환부(2),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실내공기 배기구(12)측에 장착된 배기 송풍기(3),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기구(13) 측에 설치된 급기 송풍기(4)를 구비하는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배기공간(8)과 하우징 측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격벽(30)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30)과 하우징의 측벽 사이에 액상의 소독제 저장용기(32)와 연무기(33)가 배치되어 방역모드시에 연무기에 의해 발생된 소독제 연무가 열교환부(2)와 급기구(13) 사이에 형성된 외기 급기공간(6)과 급기구(13)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를 방역하도록 되고,
    상기 방역모드에서는 외기 유입구(11)에 제공된 댐퍼(111)와 실내공기 유입구(14)에 면하는 열교환부(2)에 제공된 댐퍼(141)는 폐쇄되며, 상기 격벽(30)에 제공된 댐퍼(40)는 개방하여 연무기 가동시 발생되는 열을 배열토록 배기 송풍기(3)를 약풍가동하고, 급기 송풍기(4)를 가동하여 연무기에서 발생된 소독제 연무가 실내로 공급되어 방역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기(33)에 의해 저장용기(32)의 소독제로 부터 배출하는 연무가 하우징과 급기공간(6) 사이에 다공판으로 된 격벽(31)이 홀들을 통해 급기공간(6)으로 유입되어 급기구(13)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KR1020200149645A 2020-11-10 2020-11-10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KR102293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645A KR102293977B1 (ko) 2020-11-10 2020-11-10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645A KR102293977B1 (ko) 2020-11-10 2020-11-10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977B1 true KR102293977B1 (ko) 2021-08-27

Family

ID=7750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645A KR102293977B1 (ko) 2020-11-10 2020-11-10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078B1 (ko) 2022-06-15 2022-10-26 주식회사 화인아이앤씨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KR102458760B1 (ko) 2022-06-15 2022-10-26 주식회사 화인아이앤씨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스탠드형 전열교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230Y1 (ko) * 2003-02-25 2003-05-16 동서이엔택 주식회사 주택용 다기능 환기 유니트
KR100592710B1 (ko) 2005-04-01 2006-06-28 고모텍주식회사 전열교환기
KR20190068869A (ko) * 2017-12-11 2019-06-19 이창민 공기질에 따른 가변형 환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230Y1 (ko) * 2003-02-25 2003-05-16 동서이엔택 주식회사 주택용 다기능 환기 유니트
KR100592710B1 (ko) 2005-04-01 2006-06-28 고모텍주식회사 전열교환기
KR20190068869A (ko) * 2017-12-11 2019-06-19 이창민 공기질에 따른 가변형 환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078B1 (ko) 2022-06-15 2022-10-26 주식회사 화인아이앤씨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KR102458760B1 (ko) 2022-06-15 2022-10-26 주식회사 화인아이앤씨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스탠드형 전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364B1 (ko)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48786B1 (ko) 냉난방장치
KR102293977B1 (ko) 방역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KR20170103133A (ko) 환기장치
KR20170075385A (ko)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0519310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20180069630A (ko) 지하 공간 폐열회수 공기조화기
KR20210030589A (ko) 주방 공기청정 시스템
KR102285695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CN108720786A (zh) 一种多功能高效消毒干燥柜
KR101381209B1 (ko) 오발코일을 갖는 항온항습장치
KR100640799B1 (ko) 공기 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2420838B1 (ko) 소음저감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1710122B1 (ko) 자연증발식 피톤치드 공급 및 전열구조의 스탠드형 환기장치
KR20180116875A (ko) 내부 바닥열을 이용한 공기순환유닛
KR102079214B1 (ko) 소음 개선용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0598130B1 (ko) 여과환기시스템
KR102432316B1 (ko) 살균기능을 가지는 창문형 에어컨장치
KR20230004987A (ko) 공기순환부 내부유입공기의 살균부가 구비된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KR102274941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KR100321113B1 (ko) 공기청정기
KR102445311B1 (ko) 안티바이러스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KR102274940B1 (ko) 화장실 및 욕실 배기를 이용한 공기 순환 시스템
CN220541159U (zh) 一种吸油烟机
KR102581177B1 (ko) 살균 전열교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