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125B1 - 칼라 엘리베이터를 갖는 풋웨어 물품 - Google Patents
칼라 엘리베이터를 갖는 풋웨어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1125B1 KR102581125B1 KR1020217020112A KR20217020112A KR102581125B1 KR 102581125 B1 KR102581125 B1 KR 102581125B1 KR 1020217020112 A KR1020217020112 A KR 1020217020112A KR 20217020112 A KR20217020112 A KR 20217020112A KR 102581125 B1 KR102581125 B1 KR 102581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arm
- article
- opening
- sole
- collar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2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7
- 210000000474 heel Anatomy 0.000 description 4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40000007320 Pinus strobus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4744 fore-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45 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452 mid-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998 heat s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7 bo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07 heat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00 nickel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75 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895 TPC ET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417 TPC-ET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HZEWFHLRYVTOIW-UHFFFAOYSA-N [Ti].[Ni] Chemical compound [Ti].[Ni] HZEWFHLRYVTO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59 calcane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2 carbon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798 dela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94 fiber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72 metatarsal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LXZNVUGXRDIFK-UHFFFAOYSA-N nickel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Ti].[Ti].[Ti].[Ti].[Ti].[Ti].[Ti].[Ti].[Ti].[Ti].[Ni].[Ni].[Ni].[Ni].[Ni].[Ni].[Ni].[Ni].[Ni].[Ni].[Ni].[Ni].[Ni].[Ni] HLXZNVUGXRDI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8—Heel stiff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10—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metal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16—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23/17—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made of plastic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풋웨어 물품은 발목 칼라(collar)를 용이한 착용을 위한 강하 상태로부터, 착용 중에 착용자의 발을 고정하는 직립 상태로 되돌리는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칼라 엘리베이터는, 풋웨어 물품 중의 다양한 위치, 예컨대 스트로벨(strobel)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칼라 엘리베이터는 다양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풋웨어 물품에 결합할 수 있다. 풋웨어 물품은 칼라 엘리베이터와 함께 작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발목 칼라 등의 다른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칼라(collar) 엘리베이터를 갖는 풋웨어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부 풋웨어 물품은 풋웨어 물품을 신을 때 조작되는 발목 칼라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목 칼라는 착용자의 발이 갑피 내로 슬라이딩할 때 밑창을 향해 눌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풋웨어 물품의 일부는 발목 칼라를 눌린 상태 또는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칼라 엘리베이터의 한 유형의 일례는 미국특허 제9,820,527호에 기재되어 있고, 다른 칼라 엘리베이터의 예는 미국특허 공개 제2018/0110292호 및 미국특허 공개 제2018/0289109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에 기재되어 있는 일부 주제는 도면을 참조하고 있으며, 그 전문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풋웨어 물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도 1의 풋웨어 물품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칼라 엘리베이터를 갖는 또 다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대안적 칼라 엘리베이터를 갖는 또 다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5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해된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5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라 칼라 엘리베이터의 다양한 부분을 갑피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결합을 도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해된 또 다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의 풋웨어 물품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풋웨어 물품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갑피용 대안적 외측 재료 층 및 내측 재료 층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풋웨어 물품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다양한 대안적 칼라 엘리베이터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다양한 대안적 밑창을 도시한다.
도 10d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라 도 10c에 도시된 밑창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또 다른 대안적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풋웨어 물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도 1의 풋웨어 물품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칼라 엘리베이터를 갖는 또 다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대안적 칼라 엘리베이터를 갖는 또 다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5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해된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5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라 칼라 엘리베이터의 다양한 부분을 갑피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결합을 도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해된 또 다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의 풋웨어 물품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풋웨어 물품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갑피용 대안적 외측 재료 층 및 내측 재료 층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풋웨어 물품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다양한 대안적 칼라 엘리베이터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다양한 대안적 밑창을 도시한다.
도 10d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라 도 10c에 도시된 밑창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또 다른 대안적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주제는 법정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본 명세서 전체에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기재된 양태는 한정이 아닌 예시를 의도하며, 설명 자체에는 반드시 청구항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며 기타 현재의 기술 또는 장래의 기술과 관련되어 있는 다양한 요소 또는 요소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을 읽으면, 대안적인 양태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된 양태와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소정의 특징 및 하위조합이 유용하며, 다른 특징 및 하위조합을 참조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는 청구항에 의해 고려되고, 그 범위 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는 특히 사람의 손을 필요로 하는 조정을 최소화하면서, 또는 그러한 조정 없이 착용할 수 있는 풋웨어 물품에 관한 것이며, 그와 관련된 제조 및 방법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은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는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용어와 관련하여 일부 추가적인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단수형("a", "an", "the"),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은 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이러한 항목은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예를 들어, 수량 또는 조건)의 모든 수치는, 첨부된 청구항을 포함하는 문맥을 고려하여 달리 명시적으로 또는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약"이 실제로 수치의 앞에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약"에 의해 모든 경우에 있어서 변경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약"은 기술된 수치가 다소의 부정확성(값의 정확성에 약간 근접, 값에 거의 또는 합리적으로 근사, 거의)을 허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약"에 의해 제공되는 부정확성이 이러한 일반적인 의미로 당업계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경우, 본원에서 사용되는 "약"은 이러한 파라미터를 측정 및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최소한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범위의 개시내용은 모든 값, 및 범위 내의 추가로 분할된 범위를 구체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언급된 모든 참고 문헌은 그의 전문이 본원에 포함된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및 "갖는(having)"은 포괄적이며, 따라서 기술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계, 프로세스 및 동작의 순서는 가능한 경우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적 또는 대안적 단계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나열된 관련 항목의 임의의 하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중 어느 하나"는 참조된 항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된 항목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중 어느 하나"는 참조된 청구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항 중 참조된 청구항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관성 및 편의를 위해, 도시된 예에 대응하는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방향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위", "아래", "상방", "하방", "상단", "하단" 등과 같은 용어는 청구항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한정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도면에 관한 설명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상세한 설명 전체 및 청구항에 사용될 수 있는 용어 "길이 방향"은 구성요소의 길이를 연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신발의 길이 방향은 신발의 전족부 영역과 뒤꿈치 영역 사이에서 연장된다. 용어 "전방" 또는 "앞쪽"은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전족부 영역을 향하는 일반적인 방향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며, 용어 "후방" 또는 "뒤쪽"은 반대 방향, 즉 전족부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구성요소는 길이 방향 축뿐만 아니라 그 축을 따르는 전후방의 길이 방향으로 식별될 수 있다. 길이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축은 또한 앞뒤 방향 또는 앞뒤 방향 축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 전체 및 청구항에 사용될 수 있는 용어 "횡방향"은 구성요소의 폭을 연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신발의 횡방향은 신발의 외측과 내측 사이에서 연장된다. 횡방향 또는 횡방향 축은 좌우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축, 또는 내외측 방향 또는 내외측 방향 축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 전체 및 청구항에 사용될 수 있는 용어 "수직"은 일반적으로 좌우 방향 및 길이 방향 둘 모두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밑창이 지표면에 평탄하게 장착된 경우에, 수직 방향은 지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방향을 나타내는 이들 형용사 각각은 밑창의 개개의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용어 "상방"은 구성요소의 상단을 향하는 수직 방향을 지칭하며, 발등, 체결 영역, 및/또는 갑피의 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하방"은 구성요소의 하단을 향하는, 상방향과는 반대인 수직 방향을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풋웨어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하단을 향할 수 있다.
신발 등의 풋웨어 물품의 "내부"는 신발을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발이 차지하는 공간의 부분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내측"은 조립된 풋웨어 물품에서 구성요소 또는 풋웨어 물품의 내부로 배향된(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외측" 또는 "외부"는 조립된 신발에서 신발의 내부로부터 멀리 배향된(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경우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는 구성요소의 내측과, 조립된 풋웨어 물품의 내부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구성요소는 구성요소의 외측과, 조립된 풋웨어 물품의 외부의 공간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용어 "안쪽" 및 "안쪽으로"는 신발 등의 풋웨어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할 것이며, "바깥쪽" 및 "바깥쪽으로"라는 용어는 신발 등의 풋웨어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할 것이다. 또한, 용어 "근위"는 풋웨어 구성요소의 중앙에 보다 가까운 방향을 지칭하거나, 사용자가 풋웨어 물품을 착용함에 따라 발이 풋웨어 물품에 삽입될 때 발에 보다 가까운 방향이다. 마찬가지로, 용어 "원위"는 풋웨어 구성요소의 중앙으로부터 먼 상대적 위치를 지칭하거나, 사용자가 풋웨어 물품을 착용함에 따라 발이 풋웨어 물품에 삽입될 때 발로부터 보다 먼 방향이다. 따라서, 근위 및 원위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서로 반대되는 용어를 제공하여 상대적 공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양태의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해,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포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는 전형적인 풋웨어 물품(10)의 요소를 설명한다. 도 1은 풋웨어 물품(10)의 외측을 도시하며, 도 2는 풋웨어 물품의 상단을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도면을 설명할 때,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풋웨어 물품(10)은 밑창 구조체(12) 및 갑피(14)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주요 요소를 포함한다. 풋웨어 물품(10)을 (발에 의도대로) 착용하면, 밑창 구조체(12)는 통상적으로 족저면(즉, 발의 하단) 근처에 위치결정된다. 밑창 구조체(12)는 발의 하단을 보호할 수 있으며, 추가로, 지면 반력을 감쇄시키고, 에너지를 흡수하고, 정지마찰을 제공하고, 회내 및 회외 등의 발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갑피(14)는 밑창 구조체(12)에 결합되고 밑창 구조체(12)와 함께 발 수용 캐비티(16)를 형성한다. 즉, 밑창 구조체(12)는 통상적으로 발의 하단을 에워싸지만, 갑피(14)는 발의 배측부(즉, 발의 상단 또는 발등) 위로 연장되고, 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으며, 풋웨어 물품(10)을 발에 고정시킨다. 갑피(14)는 풋웨어 물품(10)을 신을 경우, 발이 발 수용 캐비티(16) 내에 배치될 때 발이 삽입되는 발 삽입 개구(18)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풋웨어 물품(10)은 전족부 영역(20), 중족부 영역(22), 뒤꿈치 영역(24) 및 발목 영역(2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족부 영역(20), 중족부 영역(22) 및 뒤꿈치 영역(24)은 밑창 구조체(12) 및 갑피(14)를 통해 연장된다. 발목 영역(26)은 갑피(14)의 일부에 위치한다. 전족부 영역(20)은 일반적으로 중족골을 지골과 연결하는 발가락 및 관절에 대응하는, 풋웨어 물품(10)의 일부를 포함한다. 중족부 영역(22)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 구역 및 발등에 대응하는 풋웨어 물품(10)의 부분을 포함한다. 뒤꿈치 영역(24)은 종골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 부분에 대응한다. 발목 영역(26)은 발목에 대응한다. 전족부 영역(20), 중족부 영역(22), 뒤꿈치 영역(24) 및 발목 영역(26)은 풋웨어 물품(10)의 정확한 구역을 획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대신에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풋웨어 물품(10)의 일반적인 구역을 나타내는 것을 의도한다. 또한, 풋웨어 물품의 일부는 이들 일반적인 구역을 사용하여 상대적인 용어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조체는 제2 구조체보다 뒤꿈치 쪽에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2 구조체는 발가락 쪽에 있으며 전족부 쪽에 보다 가까울 것이다.
풋웨어 물품(10)은 또한 내측(28)(도 2에서 확인되고 도 1에서는 가려져 있음) 및 외측(30)(도 2에서 확인되고 도 1에서 볼 수 있음)을 갖는다. 내측(28) 및 외측(30)은 전족부 영역(20), 중족부 영역(22), 뒤꿈치 영역(24) 및 발목 영역(26) 각각을 통해 연장되고, 풋웨어 물품(10)의 양측에 대응하고,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각은 풋웨어 물품(10)의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29)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29)은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 및 밑창 구조체의 최후방 지점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29)은 외측(30)의 반대편인 것으로 여겨진다. 통상, 내측은 발의 내측 구역(즉, 다른 발을 향해 있는 표면)에 대응하고, 외측은 발의 외측 구역(즉, 다른 발로부터 먼 곳에서 다른 발을 향해 있는 표면)에 대응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은 풋웨어 물품(10)의 위선 방향 중간선 기준면(3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앞쪽 부분(33) 및 뒤쪽 부분(35)을 포함한다. 위선 방향 중간선 기준면(31)은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29) 및 지표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풋웨어 물품(10)의 최전방 지점과 풋웨어 물품(10)의 최후방 지점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추가로, 이들 용어는 다양한 구조체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풋웨어 물품의 내측 부분에 보다 가까운 제1 구조체는 제2 구조체(외측 구역에 보다 가깝고, 보다 외측에 있음)의 내측에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풋웨어 물품을 설명할 때, "하위" 및 "상위"라는 상대적 용어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부분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발이 수평인 지표면에 평탄하게 놓여 있고 사람이 똑바로 서 있을 때, 사람의 머리 방향으로 보다 가깝게 배향된 상단 부분에 대응하는 한편, 하위 부분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머리로부터 멀리 배향되고 지표면에 보다 가까운 하단 부분에 대응한다.
밑창 구조체(12)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밑창 구조체(12)는 중창(32) 및 겉창(34)을 포함할 수 있다. 중창(32)은 보행, 런닝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 지면 반력을 감쇄시키는(즉, 쿠션을 제공하는) 압축 가능한 폴리머 폼 요소(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중창(32)은 유체-충전 챔버, 플레이트, 조절기, 또는 힘을 추가로 감쇄시키거나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발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중창(32)은 단일의 원피스형 중창일 수 있거나, 하나의 유닛으로서 일체화된 다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중창(32)은 유니솔로서 겉창(34)과 일체화될 수 있다. 겉창(34)은 원피스형일 수 있거나, 몇몇 겉창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정지마찰을 부여하기 위해 텍스처 가공될 수 있는 내마모성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있거나, 중창(32)에 고정된 트레드(tread) 또는 클리트(cleat) 등의 정지마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겉창(34)은 밑창의 길이 및 폭 전체에 걸쳐 연장되거나, 길이 및/또는 폭에 걸쳐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갑피(14)는 또한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피(14)는 가죽, 텍스타일, 또는 기타 합성 또는 천연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갑피(14)는 니트 텍스타일, 직물, 편조물, 부직포, 라미네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갑피(14)는 통기성, 신장, 유연성, 위킹성(wicking), 내수성 등과 관련된 다양한 재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갑피(14)는 통상적으로 밑창 구조체(12)와 겹치며 이에 연결되는 일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연결의 접합부는 바이트라인(biteline)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갑피(14)는 갑피(14)로부터 밑창 구조체(12)의 발-대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재료 패널을 포함하는 "스트로벨(strobe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로벨은 밑창 구조체(12)가 갑피(14)에 부착될 때 갑피(14)를 라스트(last)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풋웨어 물품(10)에 일체화된 밑창 구조체(12)는 발-대면 표면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갑피(14)는, 바이트라인 영역 근처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발-대면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패널(스트로벨로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 풋웨어 물품을 착용할 때, 스트로벨은 발 아래에 위치결정된다. 스트로벨은 안창 또는 다른 재료 층으로 덮일 수 있다.
갑피(14)는 다른 특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갑피(14)는 발 삽입 개구(18)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에 둘레를 형성하는 발목 칼라(36)를 포함한다. 또한, 갑피(14)는 흔히 발목 칼라(36)로부터 연장되는 목부(38)를 포함하며, 세장형 개구(4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따라 둘레를 형성한다. 설포(42)는 세장형 개구(40)에 위치하며, 세장형 개구(40)의 사이즈는 다양한 폐쇄 시스템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끈(44)을 도시하며, 다른 폐쇄 시스템은 탄성 밴드, 후크 앤 루프 스트랩, 지퍼, 버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포(42)의 위치, 및 폐쇄 시스템의 연결부는, 예컨대 풋웨어 물품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 개구를 보다 크게 만드는 것, 및 풋웨어 물품을 발에 고정할 때 개구를 보다 작게 만드는 것에 의해, 발 삽입 개구 및 세장형 개구의 사이즈를 변경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설포(42)는 하나 이상의 개소에서 갑피에 부착되는 별도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설포는 갑피의 일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는 세장형 개구(40)(전족부 개구로도 지칭될 수 있음)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며, 대신에 갑피의 내측과 외측은 수렴하며, 전통적으로 세장형 개구(40)를 포함하는 구역에 걸쳐 연속하고 있다.
풋웨어 물품(10)은 예컨대 러닝 또는 보행 시에 착용 가능한 운동용 신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관하여 설명된 요소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10)에 대한 설명은 다른 유형의 신발, 예를 들어 농구화, 테니스화, 미식 축구화, 축구화, 레저 또는 캐주얼화, 드레스화, 작업화, 샌들, 슬리퍼, 부츠, 하이킹화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제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 각각은 밑창(312)에 결합된 갑피(314)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310)을 도시하며, 갑피(314)는 뒤꿈치 영역(324), 및 발목 칼라(336)가 있는 발목 영역(326)을 포함한다. 발목 칼라(336)는 강하 상태(도 3c에 도시됨)와 직립 상태(도 3a 및 도 3b에 도시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강하 상태에서, 발목 칼라(336)는 밑창(312)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되며, 직립 상태에서, 발목 칼라(336)는 밑창(312)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다. 마찬가지로, 풋웨어 물품(410)은 밑창(412)에 결합된 갑피(414)를 포함하며, 갑피(414)는 뒤꿈치 영역(424), 및 발목 칼라(436)가 있는 발목 영역(426)을 포함한다.
또한, 풋웨어 물품(310)은, 뒤꿈치 영역(324) 및/또는 발목 영역(326) 근처의 갑피(314)에 결합되며, 또한 발목 칼라(336)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하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35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칼라 엘리베이터(350)는 뒤꿈치 영역(324)에 위치결정되고 발목 영역(326)까지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뒤꿈치 영역(324)과 발목 영역(326) 사이에 반드시 정확한 윤곽설정(delineation)이 있는 것은 아니며; 그 대신, 이들 영역에 대한 칼라 엘리베이터(350)의 위치결정을 설명하는 것은, 칼라 엘리베이터(350)가, 보다 하위에 있는 부분(밑창에 보다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보다 상위에 있는 부분(발목 칼라(336)에 보다 가까운 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을 설명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칼라 엘리베이터(350)를 뒤꿈치 영역(324) 근처 및/또는 발목 영역(326) 근처의 갑피(314)에 결합하는 한, 이러한 결합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350)는 뒤꿈치 영역(324)에서 갑피에 결합되거나, 발목 영역(326)에서 결합되거나, 발목 칼라(336)에 결합되거나, 이들의 모든 조합이 가능하다. 칼라 엘리베이터(350)는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의 한 유형의 일례이며,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칼라 엘리베이터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 이외에 하나 이상의 대안적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c는, 발목 칼라(436)를 강하 상태(예를 들어, 도 4c)로부터 직립 상태(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며 칼라 엘리베이터(350)와는 다른 구조체를 갖는 칼라 엘리베이터(450)를 구비한 풋웨어 물품(410)을 도시한다.
예시의 목적으로, 갑피(314) 및 갑피(414)는 가상의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칼라 엘리베이터는 갑피에 대하여 다양한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는 뒤꿈치 영역, 발목 영역, 발목 칼라, 또는 이들의 모든 조합에서, 외부 층과 내측 라이닝(inner lining)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우에 따라 완전히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갑피의 외측 또는 외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 라이닝의 내측 발-대면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풋웨어 물품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탭, 히트 스테이크, 본딩제, 스티치 또는 기타 결합에 의해 발목 칼라의 뒤꿈치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칼라 엘리베이터(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내측 레버 아암을 외측 레버 아암에 결합하고 발목 칼라의 뒤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중앙 연결 밴드를 포함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각각의 레버 아암은 베이스부에 부착되고, 베이스부는 발목 칼라가 강하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레버 아암이 변형됨에 따라 레버 아암에 대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베이스부는 풋웨어 물품의 일부, 예컨대 밑창의 일부 또는 갑피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는 밑창, 밑창 자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앵커(anchor)일 수 있다. 미국특허 제9,820,527호에는 하나 이상의 칼라 엘리베이터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의 일부는 변형 가능 부재 또는 변형 가능 부재들(베이스부를 갖거나 갖지 않음)이라고 지칭될 수 있으며, 미국 특허 제9,820,527호의 전체 개시내용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미국특허 제9,820,527호에 기재되어 있는 변형 가능 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내측 레버 아암을 외측 레버 아암에 결합하는 중앙 연결 밴드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미국특허 제2018/0110292호 및 미국특허 제2018/0289109호 각각에는 복수의 다른 칼라 엘리베이터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의 일부는 컨트롤 바(베이스부를 갖거나 갖지 않음)라고 지칭되며, 미국특허 제2018/0110292호 및 미국특허 제2018/0289109호의 전체 개시내용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미국특허 제2018/0110292호 및 미국특허 제2018/0289109호에 기재되어 있는 컨트롤 바 중 적어도 일부는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내측 레버 아암을 외측 레버 아암에 결합하는 중앙 연결 밴드를 포함한다.
도시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 각각은, 내측 레버 아암(352 및 452)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또한, 도시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 각각은 외측 레버 아암(354 및 454)의 예를 각각 도시하고, 중앙 연결 밴드(356 및 456)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또한, 레버 아암(352 및 354)은 베이스부(358)에 부착되고, 레버 아암(452 및 454)은 베이스부(358)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베이스부(458)에 부착된다. 베이스부(358)는 밑창(312)의 발-대면 표면에 또는 그 근처에 부착되고, 베이스부(358)는 겉창의 일부, 중창의 일부, 안창의 일부, 스트로벨의 일부, 이러한 밑창 층 중 임의의 층 사이에 적층된 재료의 플레이트 또는 시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특히, 베이스부(358)는 레버 아암(352 및 354)이 고정되어 있는 경질 부분 또는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다른 양태를 도시하며, 여기서 베이스부(458)는 갑피의 일부(예를 들어, 힐 카운터(heel counter)), 중창 측벽의 일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부착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458)는 베이스부(358)에 관하여 설명되어 있는 방식으로 풋베드를 통해 연장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풋웨어 물품의 후면을 감싼다.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중앙 연결 밴드는 단일의 연속체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내측 레버 아암과 외측 레버 아암과 중앙 연결 밴드 사이에는 명확한 경계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및 외측 레버 아암, 및 중앙 연결 밴드는 성형되거나, 주조되거나, 3D 프린팅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단일의 일체 형성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내측 레버 아암 및 외측 레버 아암은 기계적 또는 화학적 결합, 마찰 끼워맞춤, 피복, 또는 기타 결합에 의해 중앙 연결 밴드에 연결되는 별도의, 개별적, 별개의 세장형 부재일 수 있다.
칼라 엘리베이터의 일부 구조적 요소에 관해 일반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제 칼라 엘리베이터의 일부 동작 양태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위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칼라 엘리베이터는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중앙 연결 밴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적어도 일부는 갑피의 일부에 부착된다. 일 양태에서, 중앙 연결 밴드는 발목 칼라의 뒤꿈치 부분 근처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앙 연결 밴드는 접착제, 연결 탭, 히트 스테이크, 스티치 등에 의해 발목 칼라의 뒤꿈치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목 칼라가 밑창에 가깝게 강하 상태로 이동하면, 내측 레버 아암 및 외측 레버 아암은 보다 압축된 자세, 또는 보다 부하가 걸린 자세로 변형된다. 달리 말하면, 칼라 엘리베이터는, 가해진 힘이 발목 칼라를 직립 상태로부터 강하 상태로 이동시킬 때, 보다 덜 압축된 구성(예를 들어, 도 3a 및 도 4a)으로부터 보다 더 압축된 구성(예를 들어, 도 3c 및 도 4c)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위치 에너지를 저장한다. 위치 에너지는 가해진 힘의 제거 시, 칼라 엘리베이터를 덜 압축된 구성으로 되돌리며, 칼라 엘리베이터가 갑피에 부착되기 때문에, 발목 칼라도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한다. 발목 칼라가 강하 상태로 이동하면(직립 상태에 비해) 칼라 엘리베이터의 압축이 커질 수 있지만, 직립 상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의 위치 에너지를 여전히 축적하여(즉, 예압 압축) 착용자의 뒤꿈치 주위에서 발목 칼라의 후방, 즉 뒤꿈치 부분의 유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가 상부 뒤꿈치 영역 및/또는 상부 발목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갑피의 일부는 발목 칼라가 직립 상태에 있을 때의 예압 구성으로 칼라 엘리베이터를 유지하거나 보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발목 칼라가 직립 상태에 있을 때 칼라 엘리베이터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중앙 연결 밴드 아래의 갑피의 부분(325 또는 425)은 갑피의 다른 부분보다 유연한 하나 이상의 텍스타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의 보다 유연한 영역은,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힐 카운터 영역에 있을 수 있다. 특히, 갑피의 이러한 보다 유연한 부분(325 또는 425)은 발목 칼라가 강하 상태로 이동할 때 보다 쉽게 꺾일 수 있으며, 칼라 엘리베이터가 덜 압축된 상태로 되돌아올 때 칼라 엘리베이터에 더 적은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풋웨어 물품의 다른 부분이나 전형적인 풋웨어 물품에서의 덜 유연한 갑피에 비하여).
일부 양태에서,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중앙 연결 밴드의 조합은 변형 가능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용어 "변형 가능 요소"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부재를 지칭하며, 탄성적으로 유연한 부재는 굴절시킬 수 있거나 압축할 수 있지만, 비굴절 상태 또는 비압축 상태를 향해 이동하기 위한 편향을 갖는다. 변형 가능 요소는 내측 레버 아암으로부터 외측 레버 아암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일체 형성된 변형 가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내측 레버 아암 및 외측 레버 아암은 힐 피스(heel piece)로도 지칭될 수 있는, 중앙 연결 밴드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별개의 개별적인 변형 가능 요소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변형 가능 요소는 베이스부에 직접 결합되거나, 장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베이스부는 변형 가능 요소를 소정의 위치에 계합시켜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는 레버 아암과 베이스부 사이의 접합부(예를 들어, 359 및 459)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앵커는 밑창(예를 들어, 안창, 중창, 겉창)의 부분과 일체 형성되고/되거나, 결합되고/되거나, 이들의 내부 또는 사이 또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는 밑창들의 사이, 상단 또는 아래에 적층되거나 내장되는 블록, 플레이트 또는 웨지에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밑창(예를 들어, 중창)의 일부는 조각되거나 잘려나갈 수 있고, 그에 따라 앵커에 부착되거나 그를 수용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내외측 배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예를 들어, 베이스부(358))는 앵커가 저항 끼워맞춤, 압축 끼워맞춤, 스냅 끼워맞춤에 의해, 또는 연동 메커니즘/구성을 통해 결합되는 앵커 형상 수용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앵커는 갑피의 부분과 일체 형성되고/되거나, 결합되고/되거나, 이들의 내부, 사이 또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는 갑피, 힐 카운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위치할 수 있다. 단일의 앵커는 풋웨어 물품의 전체 폭을 연장할 수 있거나, 2개의 앵커는 풋웨어 물품의 양측 상에(예를 들어, 내측 및 외측 상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 변형 가능 부재는 베이스부 또는 앵커에 비스듬히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부재는 베이스부에 수직인 각도로 부착되며, 그 후 후방 쪽으로 만곡되거나 원호 형상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변형 가능 부재는, 후방 쪽으로 원호 형상이 되기 전에, 전방으로 경사진 각도(즉, 상방 및 전방)로, 또는 후방으로 경사진 각도(즉, 상방 및 후방)로 부착될 수 있다.
변형 가능 부재와 베이스부 또는 앵커 사이의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변형 가능 요소는 베이스부를 중심으로(예를 들어, 안창, 중창 또는 겉창을 중심으로) 피봇팅하지 않는다(즉, 비피봇식이다). 달리 말하면, 변형 가능 요소는 베이스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변형 가능 요소와 베이스부(또는 앵커) 사이의 계합에는 유격이 없으며, 이는 2개의 구성요소 사이의 상대적 이동이 거의 또는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변형 가능 요소는 튜브, 와이어, 스프링, 형상 기억 구조 또는 재료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형 가능 요소는 하나 이상의 재료, 예를 들어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니켈 티타늄(니티놀), 및 다른 금속 및 합금(형상 기억 또는 기타), 폴리머(형상 기억 또는 기타), 복합 재료, 폼 재료, 흑연, 탄소 섬유, 유리 섬유, TPC-ET, 실리콘, TPU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요소는 티타늄을 포함하거나, 티타늄 와이어일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변형 가능 요소는 제1 재료, 예를 들어 티타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변형 가능 요소는 제2 재료, 예를 들어 흑연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변형 가능 요소는 단일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요소의 제1 단부(예를 들어, 내측 레버 아암의 단부)는 내측 앵커에 내장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며; 변형 가능 요소의 제2 단부(예를 들어, 외측 레버 아암의 단부)는 외측 앵커에 내장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며; 변형 가능 요소의 중간 부분(예를 들어, 중앙 연결 밴드)은 갑피의 뒤꿈치 부분 또는 발목 부분 주위에서 연장되거나, 몇몇 추가적인 힐 피스 구조에 내장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변형 가능 요소는 복수의 별개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요소는 2개의 개별적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구성요소(예를 들어, 내측 레버 아암)는 내측 앵커에 내장되거나 부착된 제1 단부, 및 힐 피스 또는 중앙 연결 밴드의 내측에 내장되거나 부착된 제2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제2 구성요소(예를 들어, 외측 레버 아암)는 유사하게, 외측 앵커에 내장되거나 부착된 제1 단부, 및 힐 피스 또는 중앙 연결 밴드의 외측에 내장되거나 부착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별개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테이프 랩(tape wrap), 직조 인케이싱(woven encasing), 오버몰드(예를 들어, TPU), 열 수축 튜브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상이한 안정성 및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요소는 커버, 슬리브, 오버몰드 또는 열 수축 튜브에 독립적으로 수납되거나 함께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 가능 요소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와이어는 아치형이 되고, 굴절되고, 요동친 후, 초기/정상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변형 가능 요소는 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그의 길이를 따른 별개의 지점에서 가변의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변형 가능 요소(예를 들어, 와이어 또는 2개 이상의 와이어의 번들), 변형 가능 요소(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둘러싸는 고정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요소 및/또는 고정 장치는 그의 길이를 따라 가변 단면, 가변 밀도, 가변 재료 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두께 또는 형상의 변화에 의해, 또는 그 밖에 변형 가능 요소가 일정한 두께 또는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변형 가능 요소를 그의 길이를 따라 비트는 것에 의해, 가변 단면이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 가능 요소는 커버, 슬리브, 오버몰드, 또는 다른 적합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변형 가능 요소의 다른 요소(예를 들어, 와이어, 스프링 등)를 보호할 수 있고, 변형 가능 요소의 굴곡 또는 압축을 제어하고/하거나, 안내하고/하거나, 지지하고/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커버는 그 제조 재료, 형상, 기하학적 구조 등에 기초하여 변형 가능 요소로부터(예를 들어, 와이어(들) 또는 스프링으로부터) 커버로 기계적 굽힘/변형의 힘을 전달함으로써 기계적 응력의 분산을 촉진하도록 구성되어, 변형 가능 요소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억제하며, 그렇지 않으면 변형 가능 요소에 작용하는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기계적 응력으로 인해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는 응력의 분산을 돕고 변형 가능 요소의 동적 굴곡에 기여하기 위해, 그의 길이를 따라 달라지는 치수(예컨대, 깔때기 모양의 테이퍼 형상)를 가질 수 있다. 변형 가능 요소가 파손된 경우, 커버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편향을 여전히 제공함으로써, 발목 칼라를 강하 위치로부터 직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커버는 변형 가능 요소에 추가적 패딩 및/또는 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변형 가능 요소를 느끼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억제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 연결 밴드는 힐 피스로도 지칭될 수 있다. 중앙 연결 밴드는 단일의 연속 유닛으로서 내측 및 외측 레버 아암과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중앙 연결 밴드는 내측 레버 아암과 외측 레버 아암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하는 별개의 피스일 수 있다. 특히, 중앙 연결 밴드는 갑피로의 결합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발목 칼라에 프레임을 제공하여, 발이 삽입될 때 발목 칼라가 발 수용 개구 내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착용자에 의해 착용될 경우, 칼라 엘리베이터(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를 갖는 풋웨어 물품은 착용자가 풋웨어 물품을 조작하기 위해 자신의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착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풋웨어 물품이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발가락은 발 삽입 개구(318 또는 418)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한편, 자신의 발의 아치 또는 뒤꿈치는 발목 칼라(336 또는 436)를 밑창(312 또는 412)을 향해 하방으로 압박하는 데 사용된다. 이처럼 발목 칼라(336 또는 436)를 밑창에 보다 가까운 강하 상태로 조정하면, 발 삽입 개구(318 또는 418)의 사이즈가 커질 수 있다. 착용자의 발이 발 수용 캐비티(316 또는 416) 내로 슬라이딩하면, 칼라 엘리베이터(350 또는 450)는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즉, 도 3c 및 도 4c)로부터 직립 상태(즉, 도 3a 및 도 4a)로 이동시켜 풋웨어 물품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특히,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부 뒤꿈치 영역 및 상부 발목 영역의 잠재적인 구조적 파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직립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또는 편향되도록 동작하는 프레임의 제공에 따른 반복적인 핸즈프리 착용(hands-free donning) 덕분일 수 있다. 또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그리고/또는 끈을 묶기 위해 몸을 아래로 구부리지 않고도, 구둣주걱을 사용하지 않고도, 또는 피팅(fit)을 위한 다른 그러한 조정 기구, 요소 또는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신의 신발을 보다 쉽게 착용하는 것(즉, 신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풋웨어 물품(310 및 410)은 발 수용 개구 내로 착용자의 발을 보다 쉽게 수용하거나, 보다 쉽게 유도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발 수용 개구에 대해 착용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잠재적으로 간단한 착용은 특히, 발목 칼라의 상단선이 발 수용 캐비티를 향해 안쪽으로 접히게 하지 않으면서 보다 큰 발 삽입 개구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 덕분일 수 있다.
풋웨어 물품(310 및 410)의 동작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목 칼라(336 및 436)는 탄성일 수 있거나, 예컨대 발목 칼라가 강하 상태로 이동할 때, 발 삽입 개구(318 및 418)의 팽창을 가능하게 하는 고어링 요소(gor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강하 상태에서, 발 삽입 개구(318 및 418)는 적어도 약 5%, 또는 적어도 약 10%, 또는 적어도 약 15%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된 팽창은 다양한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 삽입 개구의 제1 원주는 발목 칼라가 제1 상태일 때 측정될 수 있으며, 제2 원주는 발목 칼라가 (제1 상태에 비해) 밑창에 가까이 있는 제2 상태일 때 측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태에서 밑창으로부터 발목 칼라까지의 거리는 수직면(즉, 수평 기준면에 대해 수직이고, 지면-접촉 표면이 휴지 위치(at-rest position)에 안착하는 평평한 지표면을 포함함)에서 측정될 수 있고, 거리는 발목 칼라 상단선 에지의 최후방 지점으로부터 밑창의 상단선 에지(예를 들어, 바이트라인에서 밑창이 갑피에 연결되는 곳)까지의 거리로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상태에서의 거리는 제2 상태에서의 거리보다 길 것이고, 일 양태에서는, 제2 거리는 제1 거리의 75% 이하이다. 상술한 예에 이어서, 제1 상태에서의 거리의 75% 이하의 거리를 갖는 제2 상태에서, 원주는 적어도 약 5%, 적어도 약 10%, 또는 적어도 약 15% 팽창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발 삽입 개구(318 및 418)의 원주는, 발목 칼라가 제1 상태에서의 거리의 75% 이하의 거리를 갖는 제2 상태에 있을 때, 적어도 약 1.0 인치(약 2.54 센티미터)만큼 팽창할 수 있다. 발 삽입 개구(318 및 418)의 팽창량은 신발의 스타일 및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강하 상태에서의 밑창(312 및 412) 위의 발목 칼라(336 및 436)의 높이는 직립 상태에서의 높이보다 약 50% 낮지만, 다른 파라미터와 마찬가지로, 이는 신발의 스타일과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발목 칼라(336 및 436)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킬 때 복귀력을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서, 복귀력은 약 1 파운드힘 내지 15 파운드힘이고, 이는 발목 칼라의 다양한 위치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목 칼라는 밑창으로부터의 제1 거리를 갖는 제1 상태, 및 밑창으로부터의 제2 거리(제1 상태에서의 거리보다 짧음)를 갖는 제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제1 상태에서의 거리의 약 85% 이하의 거리를 갖는 제2 상태에서 약 1 파운드힘 내지 약 15 파운드힘의 복귀력을 제공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제1 상태에서의 거리의 약 75% 이하의 거리를 갖는 제2 상태에서 약 1 파운드힘 내지 약 15 파운드힘의 복귀력을 제공한다. 또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제1 상태에서의 거리의 약 50% 이하의 거리를 갖는 제2 상태에서 약 1 파운드힘 내지 약 15 파운드힘의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복귀력은 발목 칼라의 후부가 제2 상태로부터 다시 리바운드되어 착용자의 뒤꿈치 주위에 편안하게 피팅되도록 충분히 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목 칼라(336 및 436)는, 강하 상태에서의 발목 칼라와 밑창 사이의 거리가 직립 상태에서의 거리의 85% 미만, 또는 75% 미만 또는 50% 미만인 경우, 약 1초 미만 안에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발목 칼라(336 및 436)는, 강하 상태에서의 발목 칼라와 밑창 사이의 거리가 직립 상태에서의 거리의 85% 미만, 또는 75% 미만 또는 50% 미만인 경우, 약 0.5초 미만 안에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의 양태에서, 발목 칼라(336 및 436)는, 강하 상태에서의 발목 칼라와 밑창 사이의 거리가 직립 상태에서의 거리의 85% 미만, 또는 75% 미만 또는 50% 미만인 경우, 약 0.2초 미만 안에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리바운드 시간은 외력, 예컨대 착용자의 뒤꿈치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마찰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된다.
풋웨어 물품(310 및 410)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각각) 부분적으로 분해되어 있는 풋웨어 물품(510 및 610)을 나타내는 예시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5a에서는, 갑피(514), 칼라 엘리베이터(550), 베이스부(558), 밑창 인서트(519) 및 밑창(512)이 결합 해제 상태로 도시되며; 도 6a에서는, 갑피(614), 칼라 엘리베이터(650) 및 베이스부(658) 및 밑창(612)이 결합 해제 상태로 도시된다. 풋웨어 물품(510 및 610)은 풋웨어 물품(510)이 구성될 때 베이스부(558 및 658)가 발 수용 캐비티 아래에 위치결정된다는 점에서 풋웨어 물품(310)과 유사하다. 즉, 베이스부(558 및 658)는 밑창(512 및 612)과 발 수용 캐비티(516 및 616) 사이에 위치결정되며, 그에 따라 풋웨어 물품(510 및 610)이 착용 구성에 있을 때, 베이스부(558 및 658)는 발 아래에 위치결정된다. 풋웨어 물품(510 및 610)은 베이스부(558 및 658)가 밑창과 발 수용 캐비티 사이에(예를 들어, 발 아래에) 위치결정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이들은 서로의 다양한 차이도 포함하며, 풋웨어 물품(310)에 포함될 수 있는 변형을 도시하는 데 도움이 된다.
풋웨어 물품(510)은 뒤꿈치 영역(524) 및 발목 영역(526)을 갖는 갑피(514)를 포함한다. 또한, 풋웨어 물품(510)은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발목 칼라(536)를 포함한다. 갑피는 또한 외측 재료 층(513) 및 내측 재료 층(515)을 포함한다. 서로에 대하여, 내측 재료 층(515)은 발 수용 캐비티(516)에 보다 가깝고 외측 재료 층(513)은 발 수용 캐비티(516)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져 있다.
풋웨어 물품(510)은 또한 칼라 엘리베이터(550)를 포함하며, 이의 적어도 일부는 풋웨어 물품이 구성될 때 외측 재료 층(513)과 내측 재료 층(515) 사이에 위치결정된다. 쇄선(551)은 칼라 엘리베이터(550)의 대략적인 위치결정을 위한 일반적인 가이드로서만 제공된다. 내측 재료 층(515)은 적어도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에지(515A)로부터 뒤꿈치 영역(524)을 라이닝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a에서의 기준선 7-7에서 취한 단면도에 기초하여 외측 재료 층(713A 내지 C) 및 내측 재료 층(715A 내지 C)의 대안적인 변형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7a는 내측 재료 층(715A)이 발목 칼라의 상단선 에지로부터 스트로벨 스티치의 근처까지 연장되는 일 양태를 도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다른 양태에서, 내측 재료 층(715B)은 뒤꿈치 영역(524)의 일부만을 라이닝하는 보다 작은 재료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재료 층(715B)은 칼라 엘리베이터(550)와 정렬된 영역을 따라서만 연장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내측 재료 층(715B)은 (외측 재료 층(713B)과 함께) 레버 아암(552 및 554)용 인케이스먼트(encasement), 텍스타일 시스(textile sheath) 또는 채널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측 재료 층은, 내측 재료 층의 일부 위에만 가로놓이며, 칼라 엘리베이터(550)와 정렬된 영역을 따라 연장되어 레버 아암(552 및 554)용 인케이스먼트, 텍스타일 시스 또는 채널의 외벽을 형성하는, (내측 재료 층에 비하여) 작은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또 다른 양태에서, 외측 재료 층(713C) 및 내측 재료 층(715C)은 서로 일체로 니팅되어 레버 아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풋웨어 물품(510)은 예시의 목적으로 칼라 엘리베이터(55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베이스부(558)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550)는 초기에 베이스부(558)와는 별개로 형성되며, 이어서, 앵커 등과 함께 레버 아암 말단 단부(553 및 555)에서 베이스부(558)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베이스부(558) 및 칼라 엘리베이터(550)는 공성형 프로세스 등에 의해 서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베이스부(558)는 레버 아암과 연속하고 있다).
칼라 엘리베이터(5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외측 재료 층(513)과 내측 재료 층(515)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내측 재료 층(515)은 외측 재료 층(513)으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개소에서 분리되어 있는 하단 에지(517)를 포함한다. 따라서, 칼라 엘리베이터(550)는, 하단 에지(517)를 외측 재료 층(513)으로부터 분리하고, 칼라 엘리베이터(550)를 내측 재료 층(515)과 외측 재료 층(513) 사이의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558)는 층(513 및 515) 사이에 칼라 엘리베이터(550)를 삽입하기 전에 칼라 엘리베이터(550)에 부착될 수 있거나, 베이스부(558)는 후속 프로세스 동안에, 예컨대 라스팅(lasting) 프로세스 전 또는 동안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서, 내측 재료 층(515)의 다른 부분은 외측 재료 층(513)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그들 사이에 칼라 엘리베이터(550)를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이들 분리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칼라 엘리베이터(550)의 배치 후, 예를 들어 스티칭 또는 접착제에 의해 외측 재료 층(513)에 결합될 수 있다.
칼라 엘리베이터(550)가 내측 재료 층(515)과 외측 재료 층(513) 사이에 위치결정된 후, 칼라 엘리베이터(550)는 다양한 방식으로 갑피(514)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본딩제가 하나의 옵션이지만, 이들은 몇 가지 단점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550)가 결합 전에 층(513 및 515) 사이에서 자유롭게 떠있는 경우, 본딩 프로세스는 덜 정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풋웨어 물품마다 일관성 없는 위치결정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제제는 갑피 재료의 경성을 증가시키거나 재료 특성(예를 들어, 통기성, 위킹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제제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층간박리가 생길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510)의 칼라 엘리베이터는 중앙 연결 부분(556) 근처에서 기계적 결합에 의해 갑피(514)에 부착되고,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대안적 칼라 엘리베이터(550A 내지 F)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510)은 임의의 칼라 엘리베이터(550 및 550A 내지 F), 또는 이에 관하여 설명된 특징부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칼라 엘리베이터(550A 내지 F)를 설명함에 있어서, 커넥터는 중앙 연결 부분 근처에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되며,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서, 도 5b에 설명되어 있는 커넥터는 중앙 연결 부분과 베이스부 사이의 레버 아암을 따라 다종다양한 위치에 위치결정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510)은, 중앙 연결 부분에 위치결정되고 앞쪽 표면(예를 들어, 도 5a의 561)으로부터 뒤쪽 표면(예를 들어, 563)까지 중앙 연결 부분의 두께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는 개구부를 갖는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풋웨어 물품(510)은,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고 내측 재료 층(515), 외측 재료 층(513), 또는 외측 재료 층(513) 및 내측 재료 층(515) 둘 모두에 연결되는 패스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스너는 외측 재료 층(513) 및 내측 재료 층(515) 각각에서 각 개구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패스너와 계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칼라 엘리베이터의 예는 칼라 엘리베이터(550A 내지 C)로서 도 5b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별개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칼라 엘리베이터(550A 내지 C)와 함께 도시된 패스너 각각은 재료 층(513 및/또는 515)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보다 긴 길이를 갖는 몇몇 형태의 세장형 부재(예를 들어, 나사산, 스터드, 탭 등)를 포함하며, 이는 체결 용량에서 동작할 때 재료 층의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통과하는 세장형 부재의 능력에 기여한다.
이제 도 5b를 참조하면, 칼라 엘리베이터(550A 내지 F) 각각은, 외측 재료 층(513) 및 내측 재료 층(515)을 포함하는, 갑피(514)와 칼라 엘리베이터의 다양한 결합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각각의 단면도와 함께 도시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단면도는 발목 칼라(536)의 후방 부분의 상단선 에지에서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을 따라 취할 수 있고, 각 칼라 엘리베이터의 중앙 연결 부분을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5b에 도시된 커넥터는 레버 아암을 갑피에 연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면도는 외측 재료 층, 내측 재료 층, 또는 외측 재료 층 및 내측 재료 층 둘 모두에 연결된 레버 아암의 구성을 유사하게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510)은 스트랜드 수용 개구부(562A)를 갖는 스티치 구역(560A)을 갖는 칼라 엘리베이터(550A)를 포함한다. 스티치 구역(560A)은 하나 이상의 스티치(564A)가 중앙 연결 부분(556A)에 적용되어 중앙 연결 부분(556A)을 갑피에 결합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더욱이, 스티치 구역(560A)은 스티치(564A)를 적용할 때 (더 두꺼운 벽에 비하여) 바늘이 관통하기 용이한 얇은 벽(566A)을 포함할 수 있다. 얇은 벽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연결 부분(556A)의 앞쪽 표면(561A)의 오목부, 중앙 연결 부분(556A)의 뒤쪽 표면(563A)의 오목부, 또는 앞쪽 표면(561A) 및 뒤쪽 표면(563A) 둘 모두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티치 구역(560A)은 얇은 벽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중앙 연결 부분의 주위 부분과 일치하는 벽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서, 스티치(564A)는 외측 재료 층(513), 스티치 구역(560A) 및 내측 재료 층(515)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버전은 도 5b에서 버전 "A"로 지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서, 스티치는 내측 재료 층(515) 및 스티치 구역(560A)만을 통해 연장될 수 있거나(도 5b의 예시적인 버전 "B" 참조), 외측 재료 층(513) 및 스티치 구역(560A)만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도 5b의 예시적인 버전 "C" 참조). 스트랜드 수용 개구부(562A)는 외측 재료 층(513)과 내측 재료 층(515) 사이에 칼라 엘리베이터(550A)를 삽입하기 전에 스티치 구역(560A)에 구성되는 사전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트랜드 수용 개구부(562A)는 스티치(564A)를 적용할 때 스티치 구역(560A)을 통과하는 바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치 구역(560A)은 칼라 엘리베이터의 중앙 연결 부분을 따라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양태에서, 레버 아암은 레버 아암을 갑피에 부착하기 위해 스티치가 위치결정되는 스티치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510)은, 앞쪽 표면(561B)으로부터 뒤쪽 표면(563B)까지 중앙 연결 부분(556B)의 두께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며,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수용 개구부(562B)를 포함하는 칼라 엘리베이터(550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서로 스냅핑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갖는 분리형 2-부분 커넥터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서로 단단히 체결되어 있다. 일 양태에서, 2-부분 커넥터는 제2 부분의 오목부에 단단히 끼워맞춰지는 헤드를 갖는 하나의 부분 상에 포스트(post)를 갖는 수-암 커넥터이다. 2개의 부분은 다양한 방식, 예컨대 마찰 계합(예를 들어, 변형 가능한 바브(barb)), 스냅 계합(예를 들어, 스터드 및 소켓), 나사 계합, 본딩, 열처리 및 이들의 모든 조합에 의해 서로 단단히 체결될 수 있다. 제1 부분(564B) 및 제2 부분(566B)을 갖는 2-부분 스냅 리벳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2-부분 커넥터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는 대안적으로, 커넥터 수용 개구부(562B)를 통해 삽입되고, 블라인드 리벳 등의 캡으로 형성된 샤프트를 갖는 일단 상에 베이스부를 갖는 원피스형 커넥터일 수 있다. 도 5b에서, 2-부분 커넥터는 외측 재료 층(513), 커넥터 수용 개구부(562B) 및 내측 재료 층(515)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버전은 버전 "D"로 지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서, 커넥터는 내측 재료 층(515) 및 커넥터 수용 개구부(562B)만을 통해 연장될 수 있거나(도 5b의 예시적인 버전 "E" 참조), 외측 재료 층(513) 및 커넥터 수용 개구부(562B)만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도 5b의 예시적인 버전 "F" 참조).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칼라 엘리베이터(550B)의 2-부분 커넥터는 커넥터의 제1 부분이 중앙 연결 부분과 일체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시사하는 의미에서 "분리형"으로 설명될 수 있다. "분리형"은 또한 중앙 연결 밴드 또는 제1 부분의 완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거 방지를 의도하는 방식으로,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이 중앙 연결 부분의 표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지 않음을 시사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형 커넥터는, 커넥터의 일부가 예컨대 칼라 엘리베이터와 일체 형성되거나, 칼라 엘리베이터의 표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됨에 따라, 칼라 엘리베이터의 표면에 사전 결합되는, 550D 내지 F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즉, 550D 내지 F에서 커넥터의 제1 부분은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에 연결되기 전에, 칼라 엘리베이터에 사전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수용 개구부(562B)는 칼라 엘리베이터의 중앙 연결 부분을 따라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양태에서, 레버 아암은 레버 아암을 갑피에 부착하기 위해 커넥터가 위치결정되는 커넥터 수용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510)은, 앞쪽 표면(561C)으로부터 뒤쪽 표면(563C)까지 중앙 연결 부분(556C)의 두께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며, 탭을 형성하고 갑피에 연결된 텍스타일 재료의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탭 수용 개구부(562C)를 포함하는 칼라 엘리베이터(550C)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탭은, 제1의 부분에서 갑피에 부착되고 탭 수용 개구부(562C)를 통해 연장되는 텍스타일 재료의 스트립일 수 있으며, 탭 수용 개구부로부터 스트립이 당겨지거나 이를 통해 미끄러지는 것을 저해하는 몇몇 고정 요소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탭은 탭 수용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고, 반대편인 제2의 부분에서 갑피의 또 다른 부분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탭 수용 개구부(562C)를 통해 중앙 연결 부분(556)의 앞측으로부터 연장되고, 갑피 상으로 다시 연결된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탭(564C)이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탭은 탭 수용 개구부(562C)를 통과한 후 갑피 상에 스티칭되거나, 용접되거나, 압정 고정되거나, 버튼 고정되거나, 스냅핑되거나, 리벳 고정되거나, 그 외의 결합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탭의 원위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치수가 탭 수용 개구부(562C)보다 크고, 재료의 스트립이 탭 수용 개구부(562C)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것을 저해하는 다월 등의 토글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도 5b는 중앙 연결 부분의 앞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발 수용 캐비티를 등지고 있는 갑피의 표면에 연결된 탭을 도시하며, 이 버전은 "G"로 지정된다. 다른 양태에서, 탭은 중앙 연결 부분의 뒤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발 수용 캐비티를 향해 있는 표면 상의 갑피 상에 다시 연결될 수 있다(도 5b에서의 예시적인 버전 "H"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탭 수용 개구부(562C)는 칼라 엘리베이터의 중앙 연결 부분을 따라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양태에서, 레버 아암은 레버 아암을 갑피에 부착하기 위해 갑피로부터 연장되는 탭 또는 재료 스트립이 위치결정되는 탭 수용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510)은 앞쪽 표면(예를 들어, 도 5a의 표면(561)), 뒤쪽 표면(예를 들어, 표면(563)), 또는 앞쪽 표면 및 뒤쪽 표면 둘 모두로부터 연장되는(또는 그 안에 위치하는) 2-부분 커넥터(예를 들어, 수-암 커넥터)의 제1 부분을 갖는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을 갖는 칼라 엘리베이터의 예는 칼라 엘리베이터(550D 내지 F)로서 도 5b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간략히 전술한 바와 같이, 칼라 엘리베이터(550D 내지 F)에서, 커넥터의 제1 부분은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에 연결되기 전에 칼라 엘리베이터에 사전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칼라 엘리베이터(550D 내지 F)를 설명하면,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은 중앙 연결 부분을 내측 재료 층 및/또는 외측 재료 층에 결합하기 위해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제1 부분, 제2 부분, 또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 둘 모두는 외측 재료 층 및/또는 내측 재료 층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어, 2-부분 커넥터를 연결 및 형성하고 중앙 연결 부분을 갑피에 결합할 수 있다. 이 양태는 칼라 엘리베이터(550A 내지 C)에 관하여 설명된 일부 패스너와 유사하며, 여기서 제1 부분은 재료 층(513 및/또는 515)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이는 체결 용량에서 동작할 때 재료 층의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통과하는 제1 부분의 능력에 기여한다. 대안적으로, 커넥터의 일부분은 중앙 연결 부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커넥터의 다른 부분은 중앙 연결 부분을 향해 있는 갑피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커넥터는 갑피의 개구부를 통과하지 않는다.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은 다양한 방식으로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마찰 계합되고, 함께 스냅핑되거나, 서로 나사로 부착되거나, 함께 클립핑되거나, 이들의 모든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은 중앙 연결 부분과 일체 형성될 수 있거나, 본딩 또는 접착제, 용접, 스티칭, 열경화 등에 의해, 중앙 연결 부분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분리형 커넥터 부분일 수 있다. 더욱이,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이 중앙 연결 부분을 향해 있는 갑피의 표면에 부착되는 양태에서, 제2 부분은 본딩 또는 접착제, 용접, 스티칭, 열경화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결합에 의해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510)은 중앙 연결 부분(556D)의 앞쪽 표면(561D)에 부착된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564D)을 포함하는 칼라 엘리베이터(550D)(도 5b)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부분(564D)은 앞쪽 표면(561D)에 일체 형성될 수 있거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앞쪽 표면(561D)에 일부 다른 결합 메커니즘(예를 들어, 본딩 또는 접착제, 용접, 스티칭, 열경화 등)에 의해 사전 결합된 분리형 커넥터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564D)은, 예컨대 서로 마찰 계합되거나, 함께 스냅핑되거나, 서로 나사로 부착되거나, 함께 클립핑되거나, 이들 모두가 조합됨으로써,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566D)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부분(564D)은 내측 재료 층(515)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중앙 연결 부분(556D)을 등지고 발 수용 캐비티(516)를 향해 있는 내측 재료 층(515)의 측면 상의 제2 부분(566D)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버전은 도 5b에서 참조 문자 "I"로 식별된다. 대안적인 양태에서, 제2 부분(566D)은 중앙 연결 부분(556D)을 향해 있는 내측 재료 층(515)의 표면(515J)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 양태는 도 5b에서 참조 문자 "J"로 식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564D)은 칼라 엘리베이터의 중앙 연결 부분을 따라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양태에서, 레버 아암의 앞측은 레버 아암을 갑피에 부착하기 위해 제2 부분에 부착되는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564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510)은 중앙 연결 부분(556E)의 뒤쪽 표면(563E)에 부착된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564E)을 포함하는 칼라 엘리베이터(550E)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부분(564E)은 뒤쪽 표면(563E)에 일체 형성될 수 있거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일부 다른 결합 메커니즘(예를 들어, 본딩 또는 접착제, 용접, 스티칭, 열경화 등)에 의해 사전 결합된 분리형 커넥터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564E)은, 예컨대 서로 마찰 계합되거나, 함께 스냅핑되거나, 서로 나사로 부착되거나, 함께 클립핑되거나, 이들 모두가 조합됨으로써,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566E)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부분(564E)은 외측 재료 층(513)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중앙 연결 부분(556E)을 등지고 발 수용 캐비티(516)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측 재료 층(513)의 측면 상의 제2 부분(566E)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버전은 도 5b에서 참조 문자 "K"로 식별된다. 대안적인 양태에서, 제2 부분(566E)은 중앙 연결 부분(556E)을 향해 있는 외측 재료 층(513)의 표면(513L)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 양태는 도 5b에서 참조 문자 "L"로 식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564E)은 칼라 엘리베이터의 중앙 연결 부분을 따라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양태에서, 레버 아암의 뒤측은 레버 아암을 갑피에 부착하기 위해 제2 부분에 부착되는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564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510)은 제1 2-부분 커넥터 및 제2 2-부분 커넥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칼라 엘리베이터(550F)를 포함한다. 제1 2-부분 커넥터는 중앙 연결 부분(556F)의 뒤쪽 표면(563F)에 부착된 제1 부분(564F)을 포함하고, 제2 2-부분 커넥터는 중앙 연결 부분(556F)의 앞쪽 표면(561F)에 부착된 제1 부분(568F)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부분(564F 및 568F)은 뒤쪽 표면(563F) 및 앞쪽 표면(561F)에 일체 형성될 수 있거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일부 다른 결합 메커니즘(예를 들어, 본딩 또는 접착제, 용접, 스티칭, 열경화 등)에 의해 사전 결합된 분리형 커넥터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564F)은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566F)과 연결되고, 제1 부분(568F)은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570F)과 연결된다(예를 들어, 제1 부분은 서로 마찰 계합되거나, 함께 스냅핑되거나, 서로 나사로 부착되거나, 함께 클립핑되거나, 이들 모두가 조합됨으로써, 각각의 제2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564F 및 568F)은 외측 재료 층(513) 및 내측 재료 층(515)의 각 개구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중앙 연결 부분(556F)을 등지고 있는 외측 재료 층(513) 및 내측 재료 층(515)의 측면 상의 제2 부분(566F 및 570F)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버전은 도 5b에서 참조 문자 "M"으로 식별된다. 대안적인 양태에서, 제2 부분(566F 및 570F)은 중앙 연결 부분(556F)을 향해 있는 외측 재료 층(513) 및 내측 재료 층(515)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 양태는 도 5b에서 참조 문자 "N"으로 식별된다. 도 5b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지만, 다른 양태는 버전 "M"과 "N"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564F)은 제2 부분(566F)에 연결되도록 외측 재료 층(513)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다른 제1 부분(568F)은 중앙 연결 부분(556F)을 향해 있는 내측 재료 층(515)의 표면 상의 제2 부분(570F)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부분(568F)은 제2 부분(570F)에 연결되도록 내측 재료 층(515)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다른 제1 부분(564F)은 중앙 연결 부분(556F)을 향해 있는 외측 재료 층(513)의 표면 상의 제2 부분(566F)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분(564F 및 568F)은 칼라 엘리베이터의 중앙 연결 부분을 따라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양태에서, 레버 아암의 앞측 및 뒤측은 레버 아암을 갑피에 부착하기 위해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에 다양하게 연결되는 몇몇 대안적 칼라 엘리베이터를 설명하였지만, 이제 도 5a를 다시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양태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칼라 엘리베이터(550 또는 550A 내지 F)는 외측 재료 층(513)과 내측 재료 층(515)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칼라 엘리베이터(550 또는 550A 내지 F)는 본 개시내용의 이전 부분에서 설명된 결합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갑피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558)는 칼라 엘리베이터(550 또는 550A 내지 F)에 이미 부착되어 있을 수 있거나(예컨대, 베이스부(558)가 레버 아암과 일체 형성되는 경우), 일부 양태에서, 베이스부(558)는 칼라 엘리베이터(550 또는 550A 내지 F)가 갑피에 부착된 후에 칼라 엘리베이터(550 또는 550A 내지 F)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베이스부(558)는 보드지, 판지, 종이 섬유판 등을 포함하는 밑창 인서트(519)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밑창 인서트(519)는 베이스부(558)의 하단 표면(557)(즉, 발 수용 캐비티(516)를 등지고 밑창(512)을 향해 있는 표면)에 본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밑창 인서트(519)에 대한 결합은 뒤꿈치 칼라가 직립 상태로부터 강하 상태로 이동할 때 베이스부의 상승을 저해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갑피(514)는 갑피(514)의 하부 둘레 에지에 위치결정된 스커트(508)를 포함한다. 스커트(508)는 스커트(508)의 연장된 길이를 포함하는 외측 재료 층(513)의 연속 부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커트(508)는 외측 재료 층(513)의 하부 둘레 에지 주위에 부착된 별도의 재료의 스트립, 예컨대 낮은 신장성의 부직 재료 등일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갑피(514)는 층(513 및 515)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있는 칼라 엘리베이터(550 또는 550A 내지 F), 및 소정의 위치에 있는 베이스부(558) 및 밑창 인서트(519)와 라스팅되는 한편, 스커트(508)는 아래로 당겨지고 밑창 인서트(519)의 하단 표면(521)에 결합된다. 따라서, 일부 양태에서, 밑창 인서트(519)는 라스팅 보드로도 지칭될 수 있다. 특히, 밑창 인서트(519)의 하단 표면(521)에 스커트(508)를 이와 같이 부착하면, 라스트 주위에 갑피(514)의 형상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며, 스커트(508)의 뒤꿈치 부분에서, 하단 표면(521)에 대한 부착은 칼라 엘리베이터에, 사전에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부하를 거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스커트(508)가 밑창 인서트(519)의 하단 표면(521)에 본딩되면, 밑창(512)은 스커트(508) 및 밑창 인서트(519)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갑피가 아직 라스트 상에 있는 동안 행해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스커트(508) 및 밑창 인서트(519) 등의 하나 이상의 구조체가 베이스부(558)와 밑창(512)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일 양태를 도시한다. 대안적인 양태에서, 베이스부는 도 5a의 도시와는 다르게 위치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는 스트로벨 아래에 위치결정될 수 있으며, 이제 도 6a를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를 설명한다. 도 6a는 부분적으로 분해된 풋웨어 물품(610)의 예시를 도시한다. 즉, 갑피(614)는 칼라 엘리베이터(650)로부터 결합 해제된 스트로벨(608), 및 밑창(612)으로부터 결합 해제된 베이스부(658)(레버 아암이 더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가상의 파선으로 표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풋웨어 물품(610)은 풋웨어 물품(610)이 구성될 때 베이스부(658)가 스트로벨(608) 아래에 위치결정된다는 점에서 풋웨어 물품(510)과는 상이하다. 즉, 베이스부(658)는 풋웨어 물품(610)이 구성될 때 스트로벨(608)과 밑창(612) 사이에 위치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6b를 간략히 참조하면, 풋웨어 물품(610)이 결합 상태에 있을 때, 스트로벨(608) 및 베이스부(658)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제시된다.
갑피(614)는 밑창(612)이 갑피(614)에 연결될 때 밑창(612)의 상단선 에지(609)의 대략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바이트라인(623)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갑피(614)는 갑피(614)의 재료 층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스트로벨(608)을 포함하고, 부호 625는 스트로벨 스티치 또는 다른 결합이 위치결정될 수 있는 선을 식별한다. 스트로벨(608)은 갑피(614)의 하단 부분을 완전히 폐쇄하는 연속 패널로 도시된다. 다른 양태에서, 스트로벨(608)은 연속편이 아닐 수 있고/있거나, 스플릿 스트로벨(split strobel) 또는 하프 스트로벨(half strobel) 등의 하단 부분 전체를 폐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갑피(614)는 갑피(614)의 제1 재료 층(613)을 통해 완전히(즉, 발 수용 캐비티를 등지고 있는 제1 표면으로부터, 발 수용 캐비티를 향해 있는 제2 표면까지 완전히) 연장되는 개구부(627)를 포함하며, 개구부(627)는 제1 재료 층(613)과 보다 내부의 제2 재료 층(615) 사이에 위치결정된 레버 아암 영역(651)에 개구를 제공한다. 다르게 말하면, 제1 재료 층(613)은 발 수용 캐비티를 등지고/등지거나 밑창을 향해 있는 외향 표면, 및 발 수용 개구부를 향해 있는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두께는 외향 표면과 내향 표면 사이에 있다. 그 경우, 개구부(627)는 외향 표면으로부터 내향 표면까지 재료 층을 통해 연장된다. 개구부는 다양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는 제1 재료 층의 에지를 따라 형성된 슬릿, 또는 제1 재료 층을 통해 형성된 구멍(예를 들어, 다이-컷됨, 펀칭됨, 천공됨,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개구부는 제1 재료 층(예를 들어, 니트 인(knit in)됨, 엮어넣어짐, 짜넣어짐, 기타 등등)의 형성에서 방적사 또는 섬유 조작에 의해 구성되는 일체 형성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는 다양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으며, 개구부의 둘레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측정되며(예를 들어, 길이, 너비, 원주, 등), 경우에 따라서는, 사이즈에는 칼라 엘리베이터와의 관계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개구부는 레버 아암이 개구부에 위치결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레버 아암의 일부와 동일한 크기의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서는 가려져 있지만, 도 6b에서 풋웨어 물품(610)은 또 다른 레버 아암 영역(653)에 개구를 제공하는 갑피의 반대측 상에 또 다른 개구부(631)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베이스부(658)가 스트로벨(608) 아래(즉, 스트로벨(608)과 밑창(612)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경우, 접합부(659)에서 베이스부(658)에 연결된 레버 아암(652)은 접합부(659)로부터 개구부(627)를 통해 레버 아암 영역(65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도 6b의 단면도는 베이스부(658)와의 접합부(659)로부터 개구부(627)를 통해 레버 아암 영역(651)으로 연장되는 레버 아암(652)을 도시한다. 도 6b는 또한 베이스부(658)로부터 개구부(631)를 통해 레버 아암 영역(653)으로 연장되는 레버 아암(654)을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합부(예를 들어, 659)에서 베이스부(658)에 레버 아암(652 및 654)을 연결하는 것은 마찰 끼워맞춤 결합 등의 앵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레버 아암(652 및 654)은 베이스부(658)와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요소의 예를 도시하며, 다양한 대안적인 양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제1 재료 층(613) 및 제2 재료 층(615)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로 각각, 제1 재료 층(613)은 외측 재료 층이고 제2 재료 층(615)은 내측 재료 층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a의 기준선(7-7)을 따라 취한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일 양태에서, 내측 재료 층(615)은, 갑피의 뒤꿈치 및 발목 영역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되고 다양한 위치에서 외측 재료 층(613)에 결합되는 라이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재료 층(715A)은 발목 칼라의 상단선 에지 근처로부터 스트로벨 스티치(725A) 근처까지 연장되고, 내측 재료 층(715A) 및 외측 재료 층(713A)은 레버 아암 영역(751A)에서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도 7b에 의해 도시된 또 다른 양태에서, 내측 재료 층(715B)은, 레버 아암용 인케이스먼트를 형성하기 위해, 외측 재료 층(713B)의 내향 표면의 선택 부분을 따라서만, 예컨대 레버 아암 영역(751B)을 따라 연장되는 라이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재료 층(715B)은 발목 칼라 아래에 있는 상위 에지를 포함하고, 내측 재료 층(715B) 및 외측 재료 층(713B)은 레버 아암 영역(751B)을 따라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외측 재료 층은, 내측 재료 층의 일부 위에만 가로놓이며, 칼라 엘리베이터와 정렬된 영역을 따라 연장되어 레버 아암(552 및 554)용 인케이스먼트, 텍스타일 시스 또는 채널의 외벽을 형성하는, (내측 재료 층에 비하여) 작은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내측 재료 층 및 외측 재료 층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트-인 레버 아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재료 층(713C) 및 내측 재료 층(715C)은 각각, 서로 일체 형성되고 레버 아암 영역(751C)을 따라 분리되어 있는 니트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풋웨어 물품(610)은 바이트라인 아래에 위치결정된 개구부(627 및 631)를 포함한다. 따라서, 베이스부와의 접합부와 개구부 사이에 있는 레버 아암의 일부는 밑창(612)의 측벽 뒤에 가려진 채로 남아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구부(627 및 631)는 밑창(612)의 상단선 에지 상에 위치결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재료 층 사이의 레버 아암 영역에 들어가기 전에 레버 아암의 적어도 일부는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밑창(612B)의 상단선 에지(609B) 위에 위치결정된 개구부(627B 및 631B)를 갖는 풋웨어 물품(610B)을 포함하는 대안적인 양태가 도시된다. 따라서, 레버 아암(652B 및 654B)은 제1 재료 층(613D)과 제2 재료 층(615D) 사이의 공간(651B 및 653B)으로 들어가기 전에 외측 표면에 노출된다.
다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레버 아암(652 및 654)이 각각의 개구부(627 및 631)에 삽입되면, 레버 아암(652 및 654)은 다양한 방식으로 갑피(614)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외측 재료 층(613) 및 내측 재료 층(615)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티칭, 접착제, 용접 등에 의해 함께 부착되어, 레버 아암과의 끼워맞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사이즈, 형상 및 부피를 갖는 레버 아암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a에서, 레버 아암(652 및 654)은 일반적으로 베이스부(658)와의 접합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테이퍼지며, 따라서 각각의 레버 아암 채널은 개구부(예를 들어, 627 및 631)로부터 원위 단부로 유사하게 테이퍼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레버 아암과 레버 아암 채널 사이의 끼워맞춤은 발목 칼라가 직립 상태와 강하 상태 사이에서 이동할 때, 칼라 엘리베이터와 갑피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기에 충분하다.
다른 양태에서, 레버 아암(652 및 654)은 도 5b에 관하여 설명된 커넥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갑피에 부착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레버 아암(652 및 654)은 스티치, 분리형 2-부분 커넥터 또는 텍스타일 탭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연장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 레버 아암(652 및 654)은 2-부분 커넥터의 사전 결합된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제1 부분은 외측 재료 층 및/또는 내측 재료 층의 외측 표면 또는 내측 표면 상에서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에 부착된다.
도 6a는 풋웨어 물품(610)이 2개의 레버 아암(652 및 654)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이 발목 영역(626)의 후방 주위로 연장되기 전에 종결되는 일 양태를 도시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대안적인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610)은 제1 레버 아암(952) 및 제2 레버 아암(954)을 갖는 칼라 엘리베이터(950)를 포함하며, 각각의 레버 아암(952 및 954)은 발목 영역의 후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즉, 적어도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레버 아암(952 및 95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친다. 도 9a에서, 레버 아암(952 및 954)은 칼라가 직립 상태에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만곡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개구부(627 및 631)에 삽입하기 전에, 레버 아암은 보다 원활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직선형일 수 있다. 그 경우, 레버 아암(952 및 954)의 유연성은, 개구부(627 및 631)와 연통하는 레버 아암 채널(들)에 의해 레버 아암(952 및 954)이 도 9a에 도시된 구성으로 안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칼라 엘리베이터(950)는 폼-핏 채널(form-fit channel), 스티칭, 분리형 2-부분 커넥터(들), 칼라 엘리베이터에 사전 결합된 하나의 부분을 갖는 커넥터, 및 이들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상술한 커넥터에 의해 갑피(61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레버 아암(952) 및 제2 레버 아암(954)은 베이스부(958)와 일체 형성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앵커를 사용하여 베이스부(958)에 부착되는 별도의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9a에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제1 레버 아암 및 제2 레버 아암을 포함한다. 이제 도 9b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풋웨어 물품(610)의 칼라 엘리베이터가 단일 레버 아암(952B 내지 D)을 포함할 수 있는 대안적인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레버 아암(952B 내지 D)이 베이스부(958B 내지 D)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단일 레버 아암은 개구부(627) 또는 개구부(631)에 위치결정될 수 있고, 레버 아암의 길이에 따라 뒤꿈치 및/또는 발목 영역에서 다양한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레버 아암(952B)은 풋웨어 물품(610)의 내측에만 또는 외측에만 레버 아암을 배치하도록 구성된 길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개구부(627)가 내측에 있는 경우, 레버 아암(952B)은 베이스부(958B)로부터 개구부(627)를 통해,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에 대하여 내측에 있는 종단점까지 연장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개구부(627)가 외측에 있는 경우, 레버 아암(952B)은 베이스부(958B)로부터 개구부(627)를 통해,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에 대하여 외측에 있는 종단점까지 연장될 것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레버 아암(952C)은 레버 아암(952B)보다 길고, 개구부(627)가 내측에 있는 경우, 레버 아암(952C)은 베이스부(958C)로부터 개구부(627)를 통해,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에 대하여 외측에 있는 종단점까지 연장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개구부(627)가 외측에 있는 경우, 레버 아암(952C)은 베이스부(958C)로부터 개구부(627)를 통해,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에 대하여 내측에 있는 종단점까지 연장될 것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레버 아암(952D)은 레버 아암(952C)보다 길고, 개구부(627)가 내측에 있는 경우, 레버 아암(952D)은 발목 영역의 후부 주위에서, 베이스부(958D)로부터, 개구부(627)를 통해, 가능하게는 갑피의 반대편 외측의 개구부(631)를 통해 연장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개구부(627)가 외측에 있는 경우, 레버 아암(952D)은 발목 영역의 후부 주위에서, 베이스부(958C)로부터, 개구부(627)를 통해, 가능하게는 갑피의 반대편 내측의 개구부(631)를 통해 연장될 것이다.
레버 아암(952B 내지 D)이 갑피 내에 위치결정되면, 레버 아암(952B 내지 D)은 다양한 방식으로 갑피(614)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외측 재료 층 및 내측 재료 층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티칭, 접착제, 용접 등에 의해 함께 부착되어, 레버 아암과의 끼워맞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사이즈, 형상 및 부피를 갖는 레버 아암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b 내지 도 9d에서, 레버 아암(952B 내지 D)은 일반적으로 베이스부와의 접합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테이퍼지며, 따라서 각각의 레버 아암 채널은 개구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유사하게 테이퍼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레버 아암과 레버 아암 채널 사이의 끼워맞춤은 발목 칼라가 직립 상태와 강하 상태 사이에서 이동할 때, 칼라 엘리베이터와 갑피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기에 충분하다.
다른 양태에서, 레버 아암(952B 내지 D)은 도 5b에 관하여 설명된 커넥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갑피에 부착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레버 아암(952B 내지 D)은 스티치, 분리형 2-부분 커넥터 또는 텍스타일 탭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연장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 레버 아암(952B 내지 D)은 2-부분 커넥터의 사전 결합된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제1 부분은 외측 재료 층 및/또는 내측 재료 층의 외측 표면 또는 내측 표면 상에서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에 부착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550 및 550A 내지 F)는 레버 아암이 개구부(627 및 631)에 위치결정되는 방식으로, 갑피(61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양태에서, 베이스부(558)는 스트로벨(608) 아래에 위치결정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에 포함된 몇몇 상이한 양태에서, 스트로벨 아래에 위치결정된 베이스부를 갖는 다양한 상이한 칼라 엘리베이터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구조화 및 구성은 특정 상황에서 다양한 이점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를 스트로벨 아래에 배치하는 것은 밑창 인서트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스트로벨 라스팅에 적합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밑창 인서트는 발 아래에 원치 않는 경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스트로벨은 경성을 줄이기 위한 흔한 해결책이다. 또한, 스트로벨 라스팅은, 몇몇 상황에서는 보드 라스팅이 스커트를 아래로 당기고 밑창 인서트의 하단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조 관점에서는 보드 라스팅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밑창 인서트를 생략함으로써, 베이스부는 밑창의 상단, 예컨대 중창에 직접적으로 위치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베이스부가 밑창에 연결되거나 그에 고정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풋웨어 물품(610)에 포함될 수 있고, 임의의 전술한 칼라 엘리베이터(550, 550A 내지 F, 650, 950 및 950B 내지 D)와 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밑창(1012A 내지 C)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0a는 풋웨어 물품(610)에 포함되는 경우, 베이스부 및 발 수용 캐비티(618)를 향해 있는 상위 표면(1006A)을 갖는 밑창(1012A)을 도시한다. 도 10a의 쇄선은 베이스부가 상위 표면(1006A)에 부착될 수 있는 대략적인 위치를 도시하는 베이스부 부착 구역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가 칼라 엘리베이터에 부착되고 갑피에 결합되기 전 또는 후에, 베이스부보다 먼저 상위 표면(1006A)이 베이스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위 표면(1006A)은 베이스부 부착 구역 내에 에워싸인 베이스부 타겟 영역(1004A), 및 베이스부 타겟 영역(1004A) 주위의 주변 영역(1003A)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상위 표면(1006A)은 베이스부 타겟 영역(1004A)으로부터 주변 영역(1003A)으로 원활하게 이행한다. 달리 말하면, 서로 직접 인접하는 베이스부 타겟 영역(1004A)의 일부, 및 주변 영역(1003A)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에서 연장된다. 추가로 달리 말하면, 베이스부 타겟 영역(1004A)은 주변 영역(1003A)에 대해 오목하다거나 직립해 있지 않다.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 타겟 영역(1004A)의 사이즈 및 형상은 단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양태에서, 사이즈 및 형상은 밑창(1012A)의 형상에 피팅되도록 커스터마이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의 사이즈는 표면(1006A)의 폭뿐만 아니라 뒤꿈치 쪽 깊이를 실질적으로 메우도록 커스터마이징될 수 있으며, 갑피의 이들 부분을 메우면 풋베드의 핫 스폿 또는 자극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의 두께는 표면(1006A)으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베이스부가 그의 앞쪽 에지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서서히 테이퍼질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또 다른 밑창(1012B)이 도시되며, 밑창(1012B)은 상위 표면(1006B)에 포함된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B)를 포함한다.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B)는 오목부의 바닥(1011B)으로부터 주변 영역(1003B)까지 연장되는 깊이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의 깊이는 밑창을 향해 있는 베이스부 하단 표면으로부터, 발 수용 캐비티를 향해 있는 베이스부 상단 표면까지 측정되는 베이스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베이스부 두께(690)의 일례는 도 6a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가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B)에 부착되는 경우, 베이스부 상단 표면은 실질적으로 표면(1006B)의 주변 영역(1003B)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는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B)에 본딩, 접착, 용접, 열경화 또는 공성형될 수 있다. 특히, 유사한 베이스부 두께 및 오목부 깊이는 풋베드 내의 자극 지점의 존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의 사이즈 및 형상은 갑피의 측면 및 뒷면을 메울 필요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커스터마이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B)의 벽은 베이스부가 밑창(1012B)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저해함으로써 베이스부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양태에서, 베이스부의 하단 표면의 둘레 에지는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의 바닥(1011B)의 둘레 에지에 의해 형성된 2D 형상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2D 형상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10b에서,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B)의 바닥(1011B)의 둘레 에지는 직사각형인 2D 형상을 포함하고,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다른 칼라 엘리베이터의 하단 표면 둘레 에지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직사각형 2D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바닥의 둘레 에지, 및 베이스부 하단 표면의 둘레 에지는 로크-앤드-키(lock-and-key) 타입의 관계로 협력하여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에 포개질 때 베이스부의 회전을 줄이거나 저해할 수 있다. 더욱이, 대응하는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B)가 다종다양한 밑창에 포함되는 경우, 일관된 베이스부 사이즈 및 형상을 상이한 형상의 밑창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이제 도 10c 및 도 10d를 참조하면, 또 다른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610)은 밑창(1012C)을 포함한다. 밑창(1012C)이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도 포함하기 때문에, 밑창(1012C)은 밑창(1012B)과 유사하다.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는 또한, 베이스부의 하단 표면의 둘레 에지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2D 형상을 형성하는 둘레 에지를 갖는 바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밑창(1012C)은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에 베이스부가 위치결정되면 베이스부의 상단에 끼워맞춰지는 베이스부 유지 탭(1002C)도 포함한다. 베이스부 유지 탭(1002C)은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베이스부 유지 탭(1002C)은, 베이스부의 두께(예를 들어, 도 6a의 두께(690))와 조합되는 경우,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의 깊이(1005C)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두께(1001C)(예를 들어, 도 10d 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탭(1002C)은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폭(1005C')보다 짧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폭(1001C')을 포함한다. 따라서, 탭(1002C)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그리고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갭(1007C)이 형성된다. 갭은 끼워맞춤 특징부를 제공하며, 끼워맞춤 특징부는, 베이스부가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 내에 부착될 때, 레버 아암이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 밖으로 저해받지 않고 연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갭에 의해 탭(1002C)은 레버 아암으로부터의 잠재적인 간섭 없이 베이스부의 상단 표면에 맞닿게 동일 평면 상에서 끼워맞춰진다.
탭(1002C)은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탭(1002C)은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 내에 베이스부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고정 요소를 제공한다. 또한, 탭(1002C)은 베이스부 상에 어느 정도의 쿠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때때로 비교적 경질 재료일 수 있다. 또한, 탭(1002C)은 발목 칼라가 강하 상태로 눌릴 때, 베이스부의 앞쪽 에지를 아래로 누르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칼라 엘리베이터에 장력이 생긴다. 이러한 의미에서, 탭(1002C)은 베이스부의 앞쪽 에지를 아래로 누르는 것을 돕도록 동작 가능한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0c에서, 탭(1002C)은 탭과 밑창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앞쪽 조인트로부터, 탭(1002C)의 뒤쪽 자유 에지까지 측정된 길이(1009C)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부는 베이스부의 전방 에지로부터 베이스부의 후방 에지까지 연장되는 베이스부 길이(예를 들어, 도 6a의 길이(692))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 길이는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탭 길이는 베이스부 길이 이하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탭 길이는 베이스부 길이의 75% 이하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탭 길이는 베이스부 길이의 50% 이하이다. 또한, 탭 길이는 베이스부 길이의 25% 이하일 수 있다. 더욱이, 탭 길이는 베이스부 길이의 10% 이하일 수 있으며, 발목 칼라가 강하 상태로 이동할 때 베이스부의 앞쪽 에지가 상승하는 것을 저해하도록 동작한다. 밑창(1012B)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는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1004C) 내로 본딩되거나, 접착되거나, 용접되거나, 열경화되거나, 공성형되거나 이들이 조합될 수 있거나, 밑창(1012C)은 베이스부 주위에서 오버몰딩될 수 있으며, 레버 아암은 갭을 통해 연장된다.
이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풋웨어 물품(510 및 61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포함될 수 있는 또 다른 양태가 도시된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풋웨어 물품(1110)의 일부가 도시되며, 풋웨어 물품(1110)은 밑창(1112), 및 밑창(1112)에 결합되고 밑창(1112)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즉, 도 11b)와,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즉, 도 11a)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발목 칼라(1136)를 포함하는 갑피(1114)를 포함한다. 또한, 풋웨어 물품(1110)은 발목 칼라(1136)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되돌리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1150)를 포함한다. 칼라 엘리베이터(1150)는 스트로벨 또는 밑창 인서트(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됨) 위에, 또는 스트로벨(예를 들어, 도 6a) 아래에 적층될 수 있는 베이스부(1158)를 포함한다. 또한, 칼라 엘리베이터는 임의의 칼라 엘리베이터(550, 550A 내지 F, 650, 950 또는 950B 내지 D)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1150)는 발목 칼라(1136)가 직립 상태로부터 강하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후방으로, 하방으로 또는 후방 및 하방 양쪽으로 굴곡하는 레버 아암(1152)을 포함한다. 레버 아암의 단면(들), 레버 아암의 사이즈, 레버 아암의 형상(들), 레버 아암 내의 오목부 또는 노치 등의 다양한 속성이 레버 아암(1152)의 굴곡 방식에 기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발목 칼라(1136)를 강하 상태로 이동시키는 하방력은 레버 아암의 길이를 따라 상당히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으며, 따라서, 레버 아암은 비교적 직선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후방 및/또는 하방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베이스부(1158)로부터 가장 원위(1180)에 있는 칼라 엘리베이터(1150)의 일부는 최장 거리만큼 조정되거나, 이동하거나, 굴곡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1158)에 가장 가까운 칼라 엘리베이터의 일부는 최단 거리만큼 조정되거나, 이동하거나, 굴곡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1158)와 원위 단부(1180) 사이에서 칼라 엘리베이터(1150)의 일부가 이동하는 거리는 베이스부로부터 원위 단부(1180)까지 직선적인 방식으로 점차 그리고 일관되게 증가한다.
대안적으로, 레버 아암(1152)은 레버 아암의 상위 세그먼트를 레버 아암의 하위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편향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위 부분은 베이스부에 보다 가깝다(레버 아암의 길이를 따라 측정된 경우). 하나 이상의 편향점은, 발목 칼라가 직립 상태로부터 강하 상태로 이동할 때, 상위 세그먼트가 하위 세그먼트에 비해 기하급수적으로 조정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편향점은, 발목 칼라(1136)가 직립 상태로부터 강하 상태로 이동할 때, 레버 아암이 힌지식으로 움직이거나 피벗하여 상위 세그먼트가 하위 부분보다 빠른 속도로 하방으로 조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편향점은 다양한 상황하에서 검출 또는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발목 칼라는 밑창으로부터 제1 거리를 갖는 제1 상태로부터, 밑창으로부터 제2 거리를 갖는 제2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짧고, 편향점은 레버 아암이 레버 아암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보다 큰 정도로 굴절되거나 접히는, 레버 아암의 부분일 수 있다. 제2 거리는 제1 거리의 25% 이하, 제1 거리의 50% 이하, 또는 제1 거리의 75% 이하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레버 아암(1152)은 레버 아암의 상위 세그먼트(1172)와 레버 아암의 하위 세그먼트(1174) 사이에 위치결정된 편향점(1170)을 포함하며, 하위 세그먼트(1174)는 편향점(1170) 또는 상위 세그먼트(1172)보다 베이스부(1158)에 가깝다(레버 아암의 길이를 따라 측정된 경우). 일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1110)은 편향점(1170)과 수평 기준면(1190) 사이의 거리(1176)(도 11a)를 포함하며, 수평 기준면(1190)은 일반적으로 휴지 상태(at-rest state)에서, 지면-접촉 표면이 놓여 있는(여기서, 풋웨어 물품(1110)은 정지해 있음) 비교적 평탄한 지표면의 평면을 포함한다. 다양한 요소가 편향점(1170)의 위치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향점은 보다 얇은 단면 또는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칼라 엘리베이터(1150)를 갑피(1114)에 부착하는 것은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직립 상태로부터 강하 상태로 이동할 때 레버 아암이 편향점에서 보다 크게 굴절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발목 칼라(1136)는 편향점(1170)의 앞쪽에 있는(즉, 풋웨어 물품(1110)의 전족부에 보다 가까운) 최하위 부분(1137)을 갖는 상단선 에지를 포함한다. 또한, 풋웨어 물품(1110)은 최하위 부분(1137)과 수평 기준면(1190) 사이의 높이(1178)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높이(1178)는 거리(1176)보다 작다. 특히, 발목 칼라(1136)의 최하위 부분(1137)의 보다 짧은 높이는, (편향점(1170)에 대해) 앞쪽으로의 위치결정과 함께, 발목 영역(1126)의 후방 부분에 대한 힌지 또는 피벗 지점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발목 칼라(1136)의 후방 부분은 발목 칼라(1136)가 강하 상태로 이동할 때, (보다 높은 발목 칼라를 갖는 다른 풋웨어 물품에 비해) 발목 칼라(1136)의 전방 부분 상에서 적은 정도로 당겨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대안적인 구성은 보다 작은 고어링 요소, 거싯 또는 탄성 패널이 발목 칼라(1136)를 따라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거나, 임의의 고어링 요소, 거싯 또는 탄성 패널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측면은 내측 또는 외측일 수 있고, 풋웨어 물품(1110)의 다른 측면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양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가려져 있는 반대측은 또한, 예컨대 대응하는 레버 아암(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950B 및 950C))이 반대측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특징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에 고유하고 당업자에 의해 실현될 다른 장점과 함께 상기에 설명된 모든 목표 및 목적을 성취하도록 잘 조정되는 것임을 전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소정의 특징 및 하위조합이 유용하며, 다른 특징 및 하위조합을 참조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는 청구항에 의해 고려되고, 그 범위 내에 있다. 많은 가능한 양태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으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원에 설명되거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이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는 도면에 제공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출원 시의 본 출원의 하나 이상의 청구항 또는 항목, 또는 하나 이상의 관련 출원에 포함되는 관련 주제일 수 있는, 본 개시내용의 추가 양태가 이제 설명될 것이지만, 청구항 또는 항목은 이 설명의 하기 부분에 설명되는 주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추가 양태는 도면에 의해 도시된 특징, 도면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특징,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추가 양태를 설명하는 경우, 예시의 목적으로 도면에 의해 도시된 요소를 참조할 수 있다.
다음 항목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양태이다. 리스트는 단지 특정 예일 뿐이며, 본 명세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대신에, 다음 항목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양태 중 일부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그리고 이하에 나열된 항목과 관련하여, "항목 중 임의의 항목"이라는 용어 또는 상기 용어의 유사한 변형은, 항목의 특징이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도록 해석되는 것을 의도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사용되는 "항목 x 내지 y의 풋웨어 물품"이라는 구의 해석은 항목x 내지 항목 y 중 어느 하나 또는 그의 조합의 풋웨어 물품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서 x 및 y는 숫자로 나타낸 항목이다. 즉, 예시적인 항목 4는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장치를 나타낼 수 있고, 이는 항목 1 및 항목 4의 특징이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항목 2 및 항목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항목 3 및 항목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항목 1, 항목 2, 및 항목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항목 2, 항목 3, 및 항목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항목 1, 항목 2, 항목 3, 및 항목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다른 변형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항목 중 임의의 항목"이라는 용어 또는 상기 용어의 유사한 변형은 상기 제공된 예 중 일부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항목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러한 용어의 다른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항목 1: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밑창에 결합되고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발목 칼라를 포함하는 갑피로서, 갑피는, 밑창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고, 밑창을 향해 있는 외향 표면, 및 밑창을 등지고 있고 발 수용 캐비티를 향해 있는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재료 층을 포함하고, 재료 층은 재료 층을 통해 외향 표면으로부터 내향 표면까지 연장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갑피; 및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되돌리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로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외향 표면과 밑창 사이에 위치결정된 베이스부, 및 접합부에서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접합부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는 레버 아암을 갖는,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밑창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재료 층은 갑피의 외측 재료 층의 일부이고; 갑피는 외측 재료 층보다 발 수용 캐비티에 가까운 내측 재료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레버 아암은 레버 아암이 접합부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연장된 후에 외측 재료 층과 내측 재료 층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 항목 2에 있어서, 내측 재료 층은 내측 라이너인, 풋웨어 물품.
항목 4. 항목 2에 있어서, 내측 재료 층 및 외측 재료 층은 레버 아암을 수용하는 레버 아암 관형 인케이스먼트의 양 측부인, 풋웨어 물품.
항목 5. 항목 4에 있어서, 내측 재료 층 및 외측 재료 층은 니트 층이고, 레버 아암 관형 인케이스먼트는 일체로 니팅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6.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개구부는 갑피의 내측에 있는, 풋웨어 물품.
항목 7. 항목 6에 있어서,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는 밑창의 상단선 에지와 갑피 사이의 경계면을 포함하는 바이트라인 아래에 있는, 풋웨어 물품.
항목 8. 항목 6에 있어서,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는 밑창의 상단선 에지와 갑피 사이의 경계면을 포함하는 바이트라인 위에 있는, 풋웨어 물품.
항목 9. 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레버 아암은 베이스부로부터 상방으로 개구부를 통해 갑피의 발목 영역의 후부를 향해 연장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10. 항목 9에 있어서, 레버 아암은 갑피의 내측 상에서 그리고 베이스부의 반대측의 말단 단부에서 종결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11. 항목 9에 있어서, 레버 아암은 갑피의 발목 영역의 후부를 감싸고, 베이스부와는 반대측에 있는 말단 단부에서 그리고 갑피의 외측 상에서 종결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12. 항목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개구부는 내측 개구부이고 레버 아암은 내측 레버 아암이며, 풋웨어 물품은 갑피의 외측 상의 재료 층을 통해 연장되는 외측 개구부; 및 또 다른 접합부에서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외측 개구부를 통해 다른 접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레버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13. 항목 12에 있어서, 내측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 및 외측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는 밑창의 상단선 에지와 갑피 사이의 경계면을 포함하는 바이트라인 아래에 있는, 풋웨어 물품.
항목 14. 항목 12에 있어서, 내측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 및 외측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는 밑창의 상단선 에지와 갑피 사이의 경계면을 포함하는 바이트라인 위에 있는, 풋웨어 물품.
항목 15. 항목 12에 있어서, 내측 레버 아암 및 외측 레버 아암은 둘 모두 베이스부로부터 상방으로 각각의 개구부를 통해 갑피의 발목 영역의 후부를 향해 연장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16. 항목 15에 있어서, 내측 레버 아암은 베이스부와는 반대측에 있는 말단 단부에서 그리고 갑피의 내측 상에서 종결되며, 외측 레버 아암은 베이스부와는 반대측에 있는 말단 단부에서 그리고 갑피의 외측 상에서 종결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17. 항목 15에 있어서, 내측 레버 아암 및 외측 레버 아암은 발목 영역의 후부에서 서로 결합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18. 항목 17에 있어서, 내측 레버 아암 및 외측 레버 아암은 발목 영역의 후부에 위치결정되는 중앙 연결 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19. 항목 17에 있어서,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중앙 연결 부분은 연속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0. 항목 17에 있어서, 내측 레버 아암 및 외측 레버 아암은 발목 영역의 후부에서 서로 겹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1. 항목 17에 있어서, 내측 레버 아암 및 외측 레버 아암은 발목 영역의 후방 부분에서 갑피에 결합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2.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개구부는 갑피의 외측에 있는, 풋웨어 물품.
항목 23. 항목 22에 있어서, 레버 아암은 베이스부로부터 상방으로 개구부를 통해 갑피의 발목 영역의 후부를 향해 연장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4. 항목 23에 있어서, 레버 아암은 갑피의 외측 상에서, 그리고 베이스부의 반대측의 말단 단부에서 종결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5. 항목 23에 있어서, 레버 아암은 갑피의 발목 영역의 후부를 감싸고, 베이스부와는 반대측에 있는 말단 단부에서 그리고 갑피의 내측 상에서 종결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6.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밑창에 결합되고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발목 칼라를 포함하는 갑피;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되돌리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로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베이스부 및 적어도 하나의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베이스부는 스트로벨 아래에 위치결정되며, 그에 따라 베이스부는 스트로벨과 밑창 사이에 위치결정되며, 스트로벨을 향해 있는 상단 표면을 포함하는, 칼라 엘리베이터; 및 칼라 엘리베이터의 베이스부를 향해 있는 밑창의 상단 표면에 포함된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로서, 베이스부는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에 위치결정되는,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7. 항목 26에 있어서, 밑창은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에 위치결정된 베이스부의 상단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탭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8. 항목 27에 있어서, 탭은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의 탭 폭을 포함하고 오목부는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의 오목부 폭을 포함하고; 탭 폭은 오목부 폭보다 작으며, 그에 따라 탭의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는 오목부의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의 안쪽으로 이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레버 아암은 탭의 내측 에지와 오목부의 내측 에지 사이, 또는 탭의 외측 에지와 오목부의 외측 에지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9. 항목 28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버 아암은 베이스부와의 접합부로부터, 내측 에지 사이에서 또는 외측 에지 사이에서, 갑피의 재료 층의 개구부를 통해, 재료 층과 발 수용 캐비티 사이에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0. 항목 28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버 아암은 베이스부와의 접합부로부터, 내측 에지 사이에서 또는 외측 에지 사이에서, 갑피의 재료 층의 외향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1. 항목 27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탭은 탭의 전방 에지로부터 탭의 후방 에지까지 측정된 탭 길이를 포함하며; 베이스부는 베이스부의 전방 에지로부터 베이스부의 후방 에지까지 연장되는 베이스부 길이를 포함하고; 탭 길이는 베이스부 길이 이하인, 풋웨어 물품.
항목 32. 항목 29에 있어서, 탭 길이는 베이스부 길이의 75% 이하인, 풋웨어 물품.
항목 33. 항목 30에 있어서, 탭 길이는 베이스부 길이의 50% 이하인, 풋웨어 물품.
항목 34. 항목 31에 있어서, 탭 길이는 베이스부 길이의 25% 이하인, 풋웨어 물품.
항목 35. 항목 32에 있어서, 탭 길이는 베이스부 길이의 10% 이하인, 풋웨어 물품.
항목 36. 항목 27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탭의 두께와 베이스부의 두께의 조합은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풋웨어 물품.
항목 37. 항목 26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하단 표면의 둘레 에지는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의 바닥의 둘레 에지에 의해 형성된 2D 형상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2D 형상을 형성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8. 항목 26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두께는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풋웨어 물품.
항목 39.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밑창에 결합되고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발목 칼라를 포함하는 갑피로서, 발목 칼라는 내측 또는 외측을 따라 최하위 부분을 갖는 상단선 에지를 포함하고, 최하위 부분은 수평 기준면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갑피; 및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되돌리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로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최하위 부분과 동일 측에 있고, 레버 아암의 상위 세그먼트와 레버 아암의 하위 세그먼트 사이에 위치결정된 편향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편향점은 수평 기준면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큰,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0. 항목 39에 있어서, 최하위 에지는 편향점에 대해 보다 앞쪽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1. 항목 39 또는 40에 있어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밑창 인서트 위에 위치결정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2. 항목 39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내측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외측에는 대응하는 레버 아암이 없는, 풋웨어 물품.
항목 43. 항목 39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외측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내측에는 대응하는 레버 아암이 없는, 풋웨어 물품.
항목 44. 항목 39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버 아암은 내측 레버 아암이고, 칼라 엘리베이터는 외측 레버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5.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밑창에 결합되고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발목 칼라를 포함하는 갑피로서, 갑피는 밑창 인서트의 하단 표면에 부착된 스커트를 포함하고, 갑피는 재료 층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갑피;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되돌리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로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베이스부 및 하나 이상의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베이스부는 밑창 인서트의 상단 표면에 부착되며, 그에 따라 밑창 인서트는 베이스부와 밑창 사이에 위치결정되며, 칼라 엘리베이터는 두께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칼라 엘리베이터; 및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6. 항목 45에 있어서, 제2 개구부는 하나 이상의 레버 아암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7. 항목 45에 있어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중앙 연결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 개구부는 중앙 연결 부분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8. 항목 45 내지 4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넥터는 스티치를 형성하는 방적사의 세그먼트이고, 세그먼트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9. 항목 45 내지 4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넥터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를 갖는 2-부분 커넥터인, 풋웨어 물품.
항목 50. 항목 45 내지 4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커넥터는 2-부분 스냅 리벳인, 풋웨어 물품.
항목 51. 항목 45 내지 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재료 층은 외측 재료 층이고, 칼라 엘리베이터는 외측 재료 층과 발 수용 캐비티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52. 항목 45 내지 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재료 층은 내측 재료 층이고, 내측 재료 층은 칼라 엘리베이터와 발 수용 캐비티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53. 항목 45에 있어서, 갑피는 제3 개구부를 갖는 또 다른 재료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커넥터는 제3 개구부를 통해서도 연장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54. 항목 53에 있어서, 재료 층은 외측 재료 층이고 다른 재료 층은 내측 재료 층이며, 칼라 엘리베이터는 외측 재료 층과 내측 재료 층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55.항목 53에 있어서, 재료 층은 내측 재료 층이고 다른 재료 층은 외측 재료 층이며, 칼라 엘리베이터는 외측 재료 층과 내측 재료 층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56.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밑창에 결합되고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발목 칼라를 포함하는 갑피로서, 갑피는 밑창 인서트의 하단 표면에 부착된 스커트를 포함하고, 갑피는 재료 층의 제1 측면으로부터 재료 층의 제2 측면까지 완전히 연장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갑피;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되돌리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로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베이스부 및 하나 이상의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베이스부는 밑창 인서트의 상단 표면에 부착되며, 그에 따라 밑창 인서트는 베이스부와 밑창 사이에 위치결정되며, 칼라 엘리베이터는 재료 층의 제1 측면에 위치결정되고 칼라 엘리베이터의 표면으로부터 제1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는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칼라 엘리베이터; 및 재료 층의 제2 측면에 위치결정되고 2-부분 커넥터의 제1 부분에 결합되는 2-부분 커넥터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57. 항목 56에 있어서, 커넥터의 제1 부분은 레버 아암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58. 항목 57에 있어서, 표면은 발 수용 캐비티를 향해 있고, 재료 층은 표면과 발 수용 캐비티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59. 항목 57에 있어서, 표면은 발 수용 캐비티를 등지고 있고, 레버 아암은 재료 층과 발 수용 캐비티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60. 항목 56에 있어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중앙 연결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커넥터의 제1 부분은 중앙 연결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61. 항목 60에 있어서, 표면은 발 수용 캐비티를 향해 있고, 재료 층은 표면과 발 수용 캐비티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62. 항목 60에 있어서, 표면은 발 수용 캐비티를 등지고 있고, 중앙 연결 부분은 재료 층과 발 수용 캐비티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63. 항목 56 내지 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함께 스냅핑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64. 항목 56 내지 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서로 마찰 계합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65. 항목 56 내지 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서로 나사 계합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66. 항목 56에 있어서, 갑피는 제2 개구부를 갖는 또 다른 재료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칼라 엘리베이터는 칼라 엘리베이터의 반대측 표면으로부터 제2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는 또 다른 2-부분 커넥터의 또 다른 제1 부분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67. 항목 66에 있어서, 재료 층은 외측 재료 층이고 다른 재료 층은 내측 재료 층이며, 칼라 엘리베이터는 외측 재료 층과 내측 재료 층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68.항목 66에 있어서, 재료 층은 내측 재료 층이고 다른 재료 층은 외측 재료 층이며, 칼라 엘리베이터는 외측 재료 층과 내측 재료 층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Claims (20)
-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상기 밑창에 결합되고 상기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상기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발목 칼라(collar)를 포함하는 갑피로서, 상기 갑피는, 상기 밑창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고, 상기 밑창을 향해 있는 외향 표면, 및 상기 밑창을 등지고 있고 발 수용 캐비티를 향해 있는 내향 표면을 포함하는 재료 층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 층은 상기 재료 층을 통해 상기 외향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향 표면까지 연장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갑피; 및
상기 발목 칼라를 상기 강하 상태로부터 상기 직립 상태로 되돌리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로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는 상기 외향 표면과 상기 밑창 사이에 위치결정된 베이스부, 및 접합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합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는 레버 아암을 갖는, 칼라 엘리베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층의 개구부는 레버 아암 관형 인케이스먼트(encasement)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아암 관형 인케이스먼트는 상기 갑피의 내측 또는 외측 중 하나 이상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개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발목 칼라를 향하며, 상기 레버 아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레버 아암 관형 인케이스먼트 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재료 층은 상기 갑피의 외측 재료 층의 일부이고; 상기 갑피는 상기 외측 재료 층보다 상기 발 수용 캐비티에 가까운 내측 재료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재료 층은 내측 라이너인, 풋웨어 물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재료 층 및 상기 외측 재료 층은 상기 레버 아암을 수용하는 상기 레버 아암 관형 인케이스먼트의 양 측부인, 풋웨어 물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재료 층 및 상기 외측 재료 층은 니트 층이고, 상기 레버 아암 관형 인케이스먼트는 일체로 니팅되는, 풋웨어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층은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의 각 개구부는 그를 통해 연장되는 각각의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각 개구부는 상기 갑피의 내측 또는 상기 갑피의 외측에 있는, 풋웨어 물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밑창의 상단선 에지와 상기 갑피 사이의 경계면을 포함하는 바이트라인(biteline) 아래에 있는, 풋웨어 물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밑창의 상단선 에지와 상기 갑피 사이의 경계면을 포함하는 바이트라인 위에 있는, 풋웨어 물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레버 아암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갑피의 발목 영역의 후부를 향해 연장되는, 풋웨어 물품.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레버 아암은 상기 각각의 레버 아암이 연장되는 상기 개구부와 동일 측에 있는 상기 갑피의 말단 단부에서 종결되는, 풋웨어 물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층은 내측 개구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갑피의 발목 영역의 후부를 향해 연장되는 내측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 층은 외측 개구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외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갑피의 발목 영역의 후부를 향해 연장되는 외측 레버 아암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레버 아암 및 상기 외측 레버 아암은 상기 발목 영역의 후부에서 서로 겹치는, 풋웨어 물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발목 영역의 후부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풋웨어 물품은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는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스티치를 형성하는 방적사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post)를 갖는 2-부분 커넥터인, 풋웨어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의 베이스부를 향해 있는 상기 밑창의 상단 표면에 포함된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밑창은 상기 베이스부 도킹 오목부에 위치결정된 베이스부의 상단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탭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의 탭 폭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의 오목부 폭을 포함하고; 상기 탭 폭은 상기 오목부 폭보다 작으며, 그에 따라 상기 탭의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는 상기 오목부의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의 안쪽으로 이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레버 아암은 상기 탭의 내측 에지와 상기 오목부의 내측 에지 사이, 또는 상기 탭의 외측 에지와 상기 오목부의 외측 에지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칼라는 내측 또는 외측을 따라 최하위 부분을 갖는 상단선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최하위 부분은 수평 기준면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레버 아암은 상기 최하위 부분과 동일 측에 있고 상기 레버 아암의 상위 세그먼트와 상기 레버 아암의 하위 세그먼트 사이에 위치결정된 편향점을 가지며; 상기 편향점은 상기 수평 기준면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풋웨어 물품.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는 내측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외측에는 대응하는 레버 아암이 없는, 풋웨어 물품.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는 외측 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내측에는 대응하는 레버 아암이 없는, 풋웨어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862785969P | 2018-12-28 | 2018-12-28 | |
US62/785,969 | 2018-12-28 | ||
US16/725,754 | 2019-12-23 | ||
US16/725,754 US20200205518A1 (en) | 2018-12-28 | 2019-12-23 | Footwear article with collar elevator |
PCT/US2019/068651 WO2020139990A1 (en) | 2018-12-28 | 2019-12-27 | Footwear article with collar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7696A KR20210107696A (ko) | 2021-09-01 |
KR102581125B1 true KR102581125B1 (ko) | 2023-09-20 |
Family
ID=7112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20112A KR102581125B1 (ko) | 2018-12-28 | 2019-12-27 | 칼라 엘리베이터를 갖는 풋웨어 물품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3) | US20200205518A1 (ko) |
EP (1) | EP3902430B1 (ko) |
JP (1) | JP2022515824A (ko) |
KR (1) | KR102581125B1 (ko) |
CN (2) | CN116268699A (ko) |
DE (1) | DE202019006066U1 (ko) |
WO (1) | WO202013999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88724B1 (en) * | 2016-07-19 | 2021-01-27 | ASICS Corporation | Footwear |
CN112334036B (zh) | 2018-06-28 | 2021-10-29 | 飞思特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 具有致动器臂的快速进入式鞋类 |
US20210204644A1 (en) * | 2018-07-06 | 2021-07-08 | Kentigern Kyle | Shoe with bimodal heel counter and activating elements for rapid entry and release |
US10617174B1 (en) * | 2018-12-21 | 2020-04-14 | Nike, Inc. | Footwear article with doffing ledge |
US10455898B1 (en) | 2018-12-21 | 2019-10-29 | Nike, Inc. | Footwear article with tongue reinforcer |
EP3902426B1 (en) | 2018-12-28 | 2023-07-12 | NIKE Innovate C.V. | Footwear element with locating pe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
US11344077B2 (en) | 2018-12-28 | 2022-05-31 | Nike, Inc. | Footwear article with collar elevator |
US10721994B2 (en) | 2018-12-28 | 2020-07-28 | Nike, Inc. | Heel structure with locating pe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
US11191320B2 (en) | 2018-12-28 | 2021-12-07 | Nike, Inc. | Footwear with vertically extended heel counter |
CN112839539B (zh) | 2019-01-07 | 2022-07-15 | 飞思特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 具有可压缩格状结构的快速进入式鞋 |
KR102580099B1 (ko) | 2019-02-13 | 2023-09-18 |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 신발류 힐 서포트 기구 |
CA3149874A1 (en) * | 2019-09-03 | 2021-03-11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pocket for a compressed medium |
US11497271B2 (en) * | 2020-02-05 | 2022-11-15 | Se-Ho OH | Shoes |
US20230033366A1 (en) * | 2021-07-27 | 2023-02-02 | Walmart Apollo, Llc | Footwear heel support |
US11622598B2 (en) * | 2021-08-16 | 2023-04-11 | Orthofeet, Inc. | Easy-entry shoe with a spring-flexible rear |
WO2023225652A1 (en) * | 2022-05-19 | 2023-11-23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having an energy set zo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029743A1 (en) | 2014-08-01 | 2016-02-04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djustable Heel System |
US20180110292A1 (en) * | 2016-10-26 | 2018-04-26 | Nike, Inc. | Footwear heel spring device |
WO2018217455A1 (en) * | 2017-05-25 | 2018-11-29 | Nike Innovate C.V. | Rear closing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front zipper to rear cord connection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36110A (en) * | 1956-02-28 | hardimon | ||
US905323A (en) * | 1907-10-02 | 1908-12-01 | Sylvester H King | Overshoe-fastener. |
US1972899A (en) * | 1931-10-08 | 1934-09-11 | William W Odell | Shoe and foot-supporting device |
US2629942A (en) * | 1950-11-01 | 1953-03-03 | Tucceri Anthony | Simulated platform shoe |
US2920402A (en) * | 1957-03-18 | 1960-01-12 | Salvador A Minera | Shoe with movable counter |
US2942359A (en) * | 1959-05-20 | 1960-06-28 | Tyer Rubber Company |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gral ankle and heel support |
US3192651A (en) * | 1963-12-16 | 1965-07-06 | Robert D Smith | Shoe having a rear opening |
US3268912A (en) * | 1964-01-06 | 1966-08-30 | Clifford H Whelan | Ankle protector for bowler |
US4685223A (en) * | 1985-10-15 | 1987-08-11 | Long Gordon K | California-type shoe |
JPH0181910U (ko) * | 1987-11-21 | 1989-06-01 | ||
JPH0515765Y2 (ko) * | 1988-06-10 | 1993-04-26 | ||
DE19611797A1 (de) * | 1996-03-26 | 1997-10-02 | Richter Monika Dr | Schuh, der ohne Hände oder andre Hilfsmittel angezogen werden kann |
US5787608A (en) * | 1996-07-30 | 1998-08-04 | Greenawalt; Kent S. | Custom-made footwear |
US20060156517A1 (en) * | 1997-08-22 | 2006-07-20 | Hammerslag Gary R | Reel based closure system |
JP2000139502A (ja) * | 1998-11-16 | 2000-05-23 | Araco Corp | 靴 体 |
US6578288B2 (en) * | 2001-06-29 | 2003-06-17 | Noam Bernstein | Side entry footwear |
DE10247163B4 (de) * | 2002-10-05 | 2015-11-19 | Prüf- und Forschungsinstitut Pirmasens e.V. | Ohne Hilfsmittel, ohne Hilfe der Hände oder ohne entweder Lösen oder Öffnen von Verschlusselementen an- und ausziehbarer Schuh |
US7347011B2 (en) * | 2004-03-03 | 2008-03-25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textile upper |
TW200806215A (en) * | 2006-03-30 | 2008-02-01 | Nelwood Corp | Shoe stability layer apparatus and method |
WO2009154350A1 (ko) * | 2008-06-16 | 2009-12-23 | Shim Sang-Ok | 신발용 뒤축 보조구 |
US8850722B2 (en) * | 2008-07-31 | 2014-10-07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a removable heel member |
US20110119959A1 (en) * | 2009-11-25 | 2011-05-26 | Keith Bodner | External stabilizing structure for work boots |
US10645998B2 (en) * | 2011-05-27 | 2020-05-12 | Nike, Inc. | Shoe with composite upp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US9259049B2 (en) * | 2013-01-22 | 2016-02-16 | Nike, Inc. | Ultralightweight adaptive heel member |
US10182619B2 (en) * | 2014-02-21 | 2019-01-22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woven or non-woven textile with durable water repellant properties |
US9848674B2 (en) * | 2015-04-14 | 2017-12-26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weight-activated cinching apparatus |
CN205568021U (zh) * | 2015-11-18 | 2016-09-14 | 钟胜和 | 一种鞋后帮可弹起的鞋子 |
WO2017184943A1 (en) * | 2016-04-22 | 2017-10-26 | Fast Ip, Llc | Rapid-entry footwear with rebounding fit system |
US10743616B2 (en) | 2016-10-26 | 2020-08-18 | Nike, Inc. | Footwear heel spring device |
-
2019
- 2019-12-23 US US16/725,754 patent/US2020020551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12-27 CN CN202310138412.0A patent/CN116268699A/zh active Pending
- 2019-12-27 DE DE202019006066.9U patent/DE202019006066U1/de active Active
- 2019-12-27 WO PCT/US2019/068651 patent/WO2020139990A1/en unknown
- 2019-12-27 CN CN201980092475.9A patent/CN113453577B/zh active Active
- 2019-12-27 EP EP19839786.1A patent/EP3902430B1/en active Active
- 2019-12-27 JP JP2021537738A patent/JP2022515824A/ja active Pending
- 2019-12-27 KR KR1020217020112A patent/KR1025811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9-22 US US17/950,857 patent/US20230012918A1/en active Pending
-
2023
- 2023-01-12 US US18/096,381 patent/US20230165339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029743A1 (en) | 2014-08-01 | 2016-02-04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djustable Heel System |
US20180110292A1 (en) * | 2016-10-26 | 2018-04-26 | Nike, Inc. | Footwear heel spring device |
WO2018081209A1 (en) | 2016-10-26 | 2018-05-03 | Nike Innovate C.V. | Footwear heel spring device |
WO2018217455A1 (en) * | 2017-05-25 | 2018-11-29 | Nike Innovate C.V. | Rear closing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front zipper to rear cord conne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205518A1 (en) | 2020-07-02 |
CN116268699A (zh) | 2023-06-23 |
CN113453577A (zh) | 2021-09-28 |
DE202019006066U1 (de) | 2024-06-24 |
EP3902430B1 (en) | 2024-03-27 |
US20230165339A1 (en) | 2023-06-01 |
JP2022515824A (ja) | 2022-02-22 |
EP3902430A1 (en) | 2021-11-03 |
KR20210107696A (ko) | 2021-09-01 |
WO2020139990A1 (en) | 2020-07-02 |
CN113453577B (zh) | 2023-02-21 |
US20230012918A1 (en) | 2023-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81125B1 (ko) | 칼라 엘리베이터를 갖는 풋웨어 물품 | |
KR102681506B1 (ko) | 설포 보강재를 갖는 풋웨어 물품 | |
KR102559486B1 (ko) | 비대칭 발목 칼라를 갖는 풋웨어 물품 | |
KR102581124B1 (ko) | 도핑 레지를 갖는 풋웨어 물품 | |
US12042004B2 (en) | Articles of footwear transitional between a foot insertion or removal configuration and a foot supporting configuration | |
KR102632146B1 (ko) | 칼라 엘리베이터를 지닌 신발류 물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