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062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062B1
KR102581062B1 KR1020160136523A KR20160136523A KR102581062B1 KR 102581062 B1 KR102581062 B1 KR 102581062B1 KR 1020160136523 A KR1020160136523 A KR 1020160136523A KR 20160136523 A KR20160136523 A KR 20160136523A KR 102581062 B1 KR102581062 B1 KR 102581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module
display
base modu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607A (ko
Inventor
김현호
나석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062B1/ko
Priority to US15/706,450 priority patent/US10859199B2/en
Priority to PCT/KR2017/011627 priority patent/WO2018074875A1/en
Publication of KR2018004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6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on hinges or piv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으로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좌우방향의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에 좌우방향의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모듈이 외부의 바닥면에 놓이도록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해주는 제 1상태와, 상기 제 1상태로부터 상기 베이스 모듈이 소정 각도 회전된 제 2상태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모듈의 후측부에 상기 제 1회전축이 배치된다.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후측부는 상측 또는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ppratu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배치 방식에 따라 변화되는 구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일예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있다.
종래 기술에는, 외부의 바닥에 세워놓고 사용하는 스탠드 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의 벽체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벽걸이 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도 1a 및 1b를 참고한 종래 기술에는, 상기 스탠드 형 및 벽걸이 형으로 상호 변경 가능하게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으로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모듈(1)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때, 도 1a를 참고한 스탠드 상태와 도 1b를 참고한 벽걸이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a를 참고하여,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의 하측을 지지해주고 외부의 바닥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모듈(3)을 구비한다. 도 1b를 참고하여, 상기 베이스 모듈(3)은 벽걸이 상태서 회전축(O)을 중심으로 회전방향(wo)을 따라 90도 회전하여 배치된다. 벽걸이 상태에서 회전축(O)은 베이스 모듈(3)의 전방부에 배치된다. 벽걸이 상태의 배이스 모듈(3)의 상기 전방부는 스탠드 상태에서 상측을 바라보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스탠드 상태와 벽걸이 상태로 상호 변경 가능하면서도, 벽걸이 상태에서 전후방향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스탠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의 하측방향으로 상하 방향 폭(t)을 형성하는 베이스 모듈(3)이, 벽걸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의 후측방향으로 상기 폭(t)을 형성하며 배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벽걸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의 후측면이 외부의 벽체와 상기 폭(t) 이상으로 이격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벽걸이 상태에서 전후 방향 폭을 감소 시키면서도, 스탠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벽걸이 상태에서 전후 방향 폭을 감소 시키면서도, 벽걸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베이스 모듈을 접촉시켜 배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사용자의 사용 상황에서, 스탠드 상태와 벽걸이 상태로 상호 변경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외관상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해결 수단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좌우방향의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베이스 모듈이 외부의 바닥면에 놓이도록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해주는 제 1상태와, 상기 제 1상태로부터 상기 베이스 모듈이 소정 각도 회전된 제 2상태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모듈의 후측부에 상기 제 1회전축이 배치된다.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후측부는 상측 또는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베이스 모듈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해 상기 베이스 모듈이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링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모듈은, 상기 베이스 모듈에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부에 좌우방향의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 모듈은, 상기 베이스 모듈에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연결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부에 좌우방향의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연결부와, 상기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되는 링크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부는, 상기 제 2상태의 링크 바디가 상기 제 1상태의 링크 바디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면에 가까워지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측에 결합되는 패널 지지 부재와, 상기 패널 지지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 2연결부와 연결된 힌지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고정 부재에는 상기 제 2상태에서 외부의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걸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모듈의 상기 후측부에는 상기 제 2상태에서 외부의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베이스 걸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제 1회전축의 상기 베이스 모듈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링크 바디가 상기 베이스 모듈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제 1회전축의 상기 베이스 모듈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상기 베이스 모듈의 상기 후측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링크 바디가 상기 베이스 모듈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 1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모듈에 고정되고 상기 제 1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링크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링크 바디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부분과 상기 베이스 모듈의 일 부분이, 상기 제 2상태에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 신호를 전달 받는 수신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케비닛과, 상기 베이스 케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화상 신호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화상 신호를 상기 컨트롤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해주기 위해 상기 수신 연결단자와 접촉하는 발신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 연결단자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수신 연결단자와 접촉하는 제 1발신 연결단자와, 상기 제 2상태에서 상기 수신 연결단자와 접촉하는 제 2발신 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후측부는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 1회전축은 상기 베이스 모듈의 하측 및 후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후측부는 상측을 바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 1회전축은 상기 베이스 모듈의 상측 및 후측에 배치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은, 수직 평면 상에서 서로 이격된 제 1레일부 및 제 2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 1슬라이더부와, 상기 제 2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 2슬라이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제 1슬라이더부 및 상기 제 2슬라이더부가 고정되고, 상기 링크 바디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제 1슬라이더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일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슬라이더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슬라이더부는,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링크 바디의 회전 방향과 상기 슬라이더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레일부는, 상기 제 2슬라이더부의 이동 궤적을 따라 수직 평면 상에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링크 바디에서 상기 회전부까지 상기 제 1상태의 전방으로 휘어지게 연장되는 커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해결 수단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으로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좌우방향의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에 좌우방향의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상기 제 1상태와 제 2상태로 상호 변경 가능하면서도, 벽걸이 용도인 상기 제 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면과 외부의 벽체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링크 모듈(10)을 통해서, 상기 제 1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으로 휨 변형 충격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링크 모듈(10)을 통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제 1상태 및 제 2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 모듈(30)이 상기 제 2상태에서도 전면에 노출되어 배치되게 함으로써, 베이스 모듈(30)에 구비된 입력부의 조작이 용이할 수 있고, 베이스 모듈(30)에 설치된 스피커의 음향이 보다 원활하게 출력될 수 있으며, 베이스 모듈(30)에 설치된 통신부가 외부의 신호를 보다 잘 받아 들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 1a는 스탠드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면이고, 도 1b는 벽걸이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면이다.
도 2a 내지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로서, 도 2a는 제 1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 및 2c는 제 2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베이스 모듈(3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을 지지해주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제 1상태의 링크 모듈(50)의 하측부가 전방으로 회전되고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전방부가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이 링크 모듈(50)에 대해 상측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로서, 도 3a 및 3b는 제 1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c는 제 2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베이스 모듈(3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을 지지해주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제 1상태의 링크 모듈(50)의 하측부가 전방으로 회전되고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이 링크 모듈(50)에 대해 후측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가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6a는 도 4의 E1 부분의 하측을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4의 E1 부분의 하측을 바라본 확대 입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E1 부분의 상측을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E2 부분의 확대 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제외한 베이스 모듈(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E3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E4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E5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9의 라인 G-G'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9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을 생략한 상태에서 정면을 바라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벽걸이 보조 부재(70)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후면 입면도이다.
도 16a는 도 15의 E6 부분의 확대 사시도로서, 힌지 고정 부재(15)와 제 1벽걸이 보조 부재(71)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라인 H-H'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힌지 고정 부재(15)와 제 1벽걸이 보조 부재(71)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a는 힌지 고정 부재(15)의 하측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걸이부(10a)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b는 제 1벽걸이 보조 부재(7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은 도 15의 E7 부분의 확대 사시도로서, 베이스 케비닛(31)과 제 2벽걸이 보조 부재(72)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b 및 도 18c는, 도 18a의 후측 입면도로서, 베이스 케비닛(31)과 제 2벽걸이 보조 부재(72)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b는 상기 결합 과정의 전후 상태 중 전 상태를 보여주고, 도 18c는 상기 결합 과정의 전후 상태 중 후 상태를 보여준다.
도 19a 및 도 19b는 베이스 케비닛(31)과 제 2벽걸이 보조 부재(72)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9a는 제 2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후측면에 형성된 베이스 걸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b는 제 2벽걸이 보조 부재(7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도 20 내지 22은, 도 6a, 6b 및 12의 베이스 모듈(30)을 제외한 상태에서 제 1연결부(53)의 측면을 도시한 입면도로서, 제 1연결부(53)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는, 제 1상태에서 제 1연결부(53)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링크 바디(51)가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 1회전축이 위치하는 슬라이더(537)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은, 링크 바디(51)가 레일(53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537)가 레일(53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레일(531)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가까워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소의 참조부호의 뒤에는 콤마(')를 표시한다. 명세서 전체적으로는 일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다른 실시예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전/후/좌/우/상/하”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4 및 10 등에 표시된 전(F), 후(R), 좌(Le), 우(Ri), 상(U) 및 하(D)의 도시에 따라 정의한다. 본 설명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화상을 출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보고 베이스 모듈(30)이 배치된 방향을 하측으로 보고 각 방향을 정의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의 용어 중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는,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 일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평면 형상, 2차원 곡률을 가진 형상 및 3차원 곡률을 가진 형상 등이 될 수 있다. 후술하는 패널 지지 부재(13) 및/또는 힌지 고정 부재(15)의 형상을 곡률을 가진 형상으로 구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이 곡률을 가지게 구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 형상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11)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제 1상태'란 베이스 모듈(30)이 외부의 바닥면에 놓이도록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해주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제 2상태'란 상기 제 1상태로부터 베이스 모듈(30)이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제 1상태 및 제 2상태로 상호 변경하여 각각 스탠드 형 및 벽걸이 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a 내지 3c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상기 제 1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해주는 베이스 모듈(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베이스 모듈(30)의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모듈(50)을 더 포함한다.
도 2a, 3a 및 3b를 참고하여, 상기 제 1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부는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가 접촉하여 지지해주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부는 링크 모듈(50)의 상측부가 접촉하여 지지해준다. 상기 제 1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의 하측면은 외부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상기 제 1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의 상하 방향 두께(t)는 전후 방향의 두께보다 작다.
도 2b, 2c 및 3c를 참고하여, 상기 제 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부 및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의 벽체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부가 외부의 벽체에 고정되고, 링크 모듈(50) 및 베이스 모듈(30)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가 외부의 벽체에 고정되고, 링크 모듈(5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베이스 모듈(30)에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베이스 모듈(30)이 외부의 벽체에 고정되고,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베이스 모듈(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의 전후 방향 두께(t)는 상하 방향의 두께보다 작다.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하 방향이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전후 방향이 되도록, 베이스 모듈(30)은 90도 회전된 위치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Sh)에 제 1회전축(Oa)이 배치된다.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후측부(Sh)는 상측 또는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의 후측부(Sh)가 상기 제 1상태의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되는 예가 후술할 일 실시예(도 2a 내지 2c 참고)이고, 상기 제 2상태의 후측부(Sh)가 상기 제 1상태의 상측을 바라보게 배치되는 예가 후술할 다른 실시예(도 3a 내지 3c 참고)이다.
도 2a 내지 3c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전방(F)으로 화상을 출력한다.
도 2a 내지 3c를 참고하여, 베이스 모듈(30)은 좌우방향의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베이스 모듈(30)은 링크 모듈(50)에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a 내지 3c를 참고하여,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해 베이스 모듈(30)이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링크 모듈(50)은 좌우방향의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링크 모듈(50)은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링크 모듈(50)은 베이스 모듈(30)에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회전축(Oa)와 제 2회전축(Ob)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링크 모듈(50)의 일 단부는 베이스 모듈(30)에 결합되고, 링크 모듈(50)의 타 단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된다.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부에 결합된다.
도 2a 내지 2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는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상태에서, 제 1회전축(Oa)은 베이스 모듈(30)의 하측 및 후측에 배치된다.
도 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와 하측부 중 제 1회전축(Oa)이 배치된 부분(Sh)은 하측부(Sh)이다. 도 2b 및 2c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상태로부터 베이스 모듈(30)이 소정 각도 회전된 제 2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도 2b의 상태 및 도 2c의 상태는 모두 상기 제 2상태의 일 예가 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2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2b상태라 지칭하고 도 2c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2c 상태라 지칭한다. 즉, 제 2상태는 상기 2b 상태와 상기 2c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전방부와 후측부 중 제 1회전축(Oa)이 배치된 부분(Sh)은 후측부(Sh)이다. 반면, 도 1b를 참고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에서 회전축(O)이 배치된 부분이 전방부(Sh)이다.
도 2a를 참고하여,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해준다.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부와 접촉한다.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부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접촉한다.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을 받쳐준다. 제 1회전축(Oa)은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하측부에 배치된다. 제 1회전축(Oa)은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은 상하방향으로 소정 두께(t)를 형성한다. 상기 제 1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은 상기 두께(t)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단 보다 아래에서 형성한다.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전방부는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도 2a 및 2b에는 베이스 모듈(30)의 회전 가능 궤적(w1a)이 도시된다. 제 1회전축(Oa)의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해 상대적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의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한 상대적 위치는 링크 모듈(50)의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변경된다. 제 1회전축(Oa)의 베이스 모듈(30)에 대해 상대적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의 베이스 모듈(30)에 대한 상대적 위치는 베이스 모듈(3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1상태의 링크 모듈(50)의 하측부는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도 2a 내지 2c에는 베이스 모듈(30)의 회전 가능 궤적(w1b)이 도시된다.
도 2b를 참고하여, 상기 2b 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면과 서로 분리된다.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은 상기 제 1상태의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전방부는 상기 제 2상태에서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하측부(Sh)는 상기 제 2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Sh)가 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Sh)에 제 1회전축(Oa)이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의 상기 후측부(Sh)는 상기 제 1상태에서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은 상기 소정 두께(t)를 전후 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은 상기 두께(t)를 제 1회전축(Oa)의 전방에서 형성한다. 상기 제 2상태의 링크 모듈(50)은 상기 제 1상태의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의 링크 모듈(5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의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의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면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상기 2b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단은 베이스 모듈(30)의 상단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2b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단과 베이스 모듈(30)의 상단이 이격된 상기 소정 거리는, 베이스 모듈(30)이 링크 모듈(5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거리(s1)와 대응된다. 상기 2b 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은 링크 모듈(50)에 대해 상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이다. 상기 2b 상태에서, ⅰ베이스 모듈(30)의 링크 모듈(50)에 대한 슬라이딩 가능한 거리(s1) 값과 ⅱ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단이 제 2회전축(Ob)로부터 이격된 거리 값을 합한 값은, 제 1회전축(Oa)과 제 2회전축(Ob) 사이의 거리와 대응된다.
도 2c를 참고하여 상기 2b 상태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기 2c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2c 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은 링크 모듈(50)에 대해 상측으로 슬라이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2c 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은 상기 2b 상태의 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s1) 슬라이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2c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부는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와 접촉한다. 상기 2c 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는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이다.
도 3a 내지 3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는 상측을 바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상태에서, 제 1회전축(Oa)은 베이스 모듈(30)의 상측 및 후측에 배치된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도 3a의 상태 및 도 3b의 상태는 모두 상기 제 1상태의 일 예가 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1a 상태라 지칭하고 도 3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1b 상태라 지칭한다. 즉, 상기 제 1상태는 상기 1a 상태와 상기 1b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와 하측부 중 제 1회전축(Oa)이 배치된 부분(Sh)은 상측부(Sh)이다. 도 3c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상태로부터 베이스 모듈(30')이 소정 각도 회전된 상기 제 2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전방부와 후측부 중 제 1회전축(Oa)이 배치된 부분(Sh)은 후측부(Sh)이다. 반면, 도 1b를 참고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에서 회전축(O)이 배치된 부분이 전방부(Sh)이다.
도 3a를 참고하여,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해준다. 상기 1a 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부와 접촉한다. 상기 1a 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부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접촉한다. 상기 1a 상태의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을 받쳐준다. 제 1회전축(Oa)은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에 배치된다. 제 1회전축(Oa)은 상기 1a 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은 상하방향으로 소정 두께(t)를 형성한다. 상기 제 1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은 상기 두께(t)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단 보다 아래에서 형성한다.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전방부는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도 3a 내지 3c에는 베이스 모듈(30')의 회전 가능 궤적(w2a)이 도시된다. 제 1회전축(Oa)의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해 상대적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의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한 상대적 위치는 링크 모듈(50')의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변경된다. 제 1회전축(Oa)의 베이스 모듈(30')에 대한 상대적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의 베이스 모듈(30')에 대한 상대적 위치는 베이스 모듈(3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1a 상태의 링크 모듈(50')의 하측부는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도 3a 내지 3c에는 베이스 모듈(30')의 회전 가능 궤적(w2b)이 도시된다. 상기 1a 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은 링크 모듈(50')에 대해 후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이다. 상기 1a 상태에서, ⅰ베이스 모듈(30')의 링크 모듈(50')에 대한 슬라이딩 가능한 거리(s2)를 베이스 모듈(30')의 전후방향 거리에서 뺀 값과 ⅱ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단이 제 2회전축(Ob)로부터 이격된 거리 값을 합한 값은, 제 1회전축(Oa)과 제 2회전축(Ob) 사이의 거리와 대응된다.
도 3b를 참고하여 상기 1a 상태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기 1b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1b 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면과 서로 분리된다. 상기 1b 상태의 링크 모듈(50')은 상기 1a 상태의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1b 상태의 링크 모듈(5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상기 1b 상태의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1b 상태의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면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상기 1b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단은 베이스 모듈(30')의 상단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1b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단과 베이스 모듈(30')의 상단이 이격된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1b 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전단이 제 1회전축(Oa)으로부터 돌출된 거리와 대응된다. 상기 1b 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은 링크 모듈(50')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1b 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은 상기 1a 상태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s2) 슬라이딩된 위치에 배치된다.
도 3c를 참고하여,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은 상기 제 1상태의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는 상기 제 2상태에서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Sh)는 상기 제 2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Sh)가 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부(Sh)에 제 1회전축(Oa)이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의 상기 후측부(Sh)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상측을 바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은 상기 소정 두께(t)를 전후 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베이스 모듈(30')은 상기 두께(t)를 제 1회전축(Oa)의 전방에서 형성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부는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와 접촉한다.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는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전방부이다.
이하 도 4 내지 21을 참고하여 상기 일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하기된 설명 내용은 자명한 범위에서 상기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 내지 9는 상기 제 1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고, 도 10 내지 13은 상기 제 2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4a 및 14b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간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도 15 내지 19b는 상기 제 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의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20도 20 내지 22은 링크 모듈(50)의 제 1연결부(53)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발광 소자(미 도시)를 구비하여 전방으로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일 수 있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제 1회전축(Oa)에 평행한 2개의 측단과 수직한 2개의 측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가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의 후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층(미도시)과, 상기 발광 소자의 전면을 덮어주는 커버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 및/또는 상기 커버층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커버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밀폐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소자는 OLED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층은 얇은 유리 재질 이나 얇은 합금 등의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커버층은 얇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두께 0.1T (0.1mm)이고 인바(invar)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층은 두께 0.7T (0.7mm)이고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 소자는 OLED이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플렉서블하게 휘어진다. 상기 인바(invar)는 니켈과 철의 합금이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측에 결합되는 패널 지지 부재(13)를 포함한다. 패널 지지 부재(13)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에 배치된다. 패널 지지 부재(13)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지지한다.
패널 지지 부재(13)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과 결합하는 후면 커버(13)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커버(13)은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13)은 두께 1.2T (1.2mm)이고 A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 커버(13)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을 수직으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을 모두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후방에서 바라볼 때, 패널 지지 부재(13)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 커버(13)은 제 1회전축(Oa)에 평행한 2개의 측단과 수직한 2개의 측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a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을 패널 지지 부재(13)의 전면에 부착시키는 부착 부재(12)를 포함한다. 부착 부재(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을 후면 커버(13)에 결합시킨다. 부착 부재(12)는, 접착력을 가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부재(12)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이 될 수 있다. 부착 부재(12)는, 자석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부재(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후면 커버(13)의 사이에 배치된다. 부착 부재(12)는 얇은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링크 모듈(50)을 고정하는 힌지 고정 부재(15)를 포함한다. 힌지 고정 부재(15)는 패널 지지 부재(13)에 고정된다. 힌지 고정 부재(15)는 패널 지지 부재(13)의 후측면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힌지 고정 부재(15)는 링크 모듈의 후술할 제 2연결부(55)와 결합한다. 물론, 제 2연결부(55)는 후면 커버(13)에 직접 결합되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힌지 고정 부재(15)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 고정 부재(15)는 제 2회전축(Ob)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 고정 부재(15)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 고정 부재(15)는 패널 지지 부재(13)의 후측면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며 배치될 수 있다. 힌지 고정 부재(15)의 양단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양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한 쌍의 링크 모듈(50)은 각각 힌지 고정 부재(15)의 양 단부에 결합된다.
도 14a 및 14b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패널 지지 부재와 힌지 고정 부재(15)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16)를 포함한다. 체결 부재(16)는 스크류일 수 있다. 체결 부재(16)가 스크류 인 경우, 패널 지지 부재(13)의 전면에서 후측으로 패널 지지 부재(13)를 관통하며 스크류의 후측 말단이 힌지 고정 부재(15)의 내부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 부재(16)의 스크류 헤드는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패널 지지 부재(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b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복수의 체결 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부재(16)는 힌지 고정 부재(15)의 상측부(upper portion)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부재(16)는 힌지 고정 부재(15)의 하측부(lower portion)를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부재(16)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2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2열의 체결 부재(16) 들 사이에 힌지축(55a)가 배치될 수 있다. 체결 부재(16)는 힌지축(55a)과의 간섭없이 후면 지지 부재(13)를 힌지 고정 부재(15)에 체결시킨다.
도 14b를 참고하여, 링크 모듈(50)이 힌지 고정 부재(15)에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복수의 체결 부재(16)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부재(16)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2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체결 부재(16)는 링크 모듈(50)과의 간섭없이 후면 지지 부재(13)를 힌지 고정 부재(15)에 체결시킨다.디스플레이 모듈(10)은, 패널 지지 부재(13)의 강성을 보강해주는 보강 부재(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패널 지지 부재(13)의 휨 강성 등을 보강해줄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패널 지지 부재(13)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3)는 디스플레이 패널(11) 및/또는 후면 커버(13)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회전축(Oa)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보강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보강 부재는 제 1회전축(O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회전축(O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보강 부재(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보강 부재(37b)는 회전축(O)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게 형성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을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후술할 컨트롤부에서 받은 화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로 보내주기 위한 배선부(17)를 포함한다. 배선부(17)는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의 각각의 발광 소자로 보내줄 수 있다. 배선부(17)는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후측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부(17)의 상기 캐비닛은 패널 지지 부재(13)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패널 지지 부재(13)와 별도의 부품이 조립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배선부(17)는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선부(17)는 힌지 고정 부재(15)의 하측에서 패널 지지 부재(13)의 다른 부분의 후측면보다 더 뒤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선부(17)는 상기 한 쌍의 링크 모듈(50) 사이에서 패널 지지 부재(13)의 다른 부분의 후측면보다 더 뒤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선부(17)의 후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말단은 힌지 고정 부재(15)의 후측면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부(17)가 후면 커버(13)의 후측면에서 후측 방향으로 돌출된 거리는, ⅰ힌지 고정 부재(15)의 전후방향 두께 및 ⅱ제 2상태의 링크 바디(51)의 전후방향 두께 중 큰 값보다 작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상 신호를 전달 받는 수신 연결단자(18)를 포함한다. 수신 연결단자(18)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부 표면상에 배치된다. 수신 연결단자(18)는 후술할 컨트롤부의 화상 신호를 전달받는다. 상기 컨트롤부가 베이스 모듈(30)에 구비된 경우, 수신 연결단자(18)는 베이스 모듈(30)에 형성된 후술할 발신 연결단자(38)와 접촉하여 화상 신호를 전달받는다. 수신 연결단자(18)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접촉되는 부분과,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접촉되는 부분은 서로 다르다. 상기 제 1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일 부분과 베이스 모듈(30)의 일 부분이, 상기 제 2상태에서 서로 이격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일 부분과 베이스 모듈(30)의 다른 부분이, 상기 제 2상태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발신 연결단자(381, 382)가 각각 제 1상태 및 제 2상태에서 각각 상기 수신 연결단자(18)와 접촉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30)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케비닛(3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상태를 기준으로, 베이스 케비닛(31)은, 상측면과, 하측면(Sh)과, 좌우측면과, 전방면과 후측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상측면과 하측면(Sh)은, 각각 제 2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전방면과 후측면(Sh)이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전방면과 후측면은, 각각 제 2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하측면과 상측면이 된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상측면과 하측면은, 각각 제 2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전방면과 후측면(Sh)이 된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전방면과 후측면은, 각각 제 2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상측면과 하측면이 된다.
도 6a, 6b 및 12를 참고하여, 베이스 케비닛(31)은 후술할 제 1연결부(53)가 배치되는 배치부(31a)를 형성한다. 배치부(31a)는 베이스 케비닛(31)의 표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치부(31a)에 후술할 레일(53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치부(31a)는 제 1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하측면(Sh)에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치부 베이스 케비닛(31)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치부(31a)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좌우방향보다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이다. 배치부(31a)는, 제 2상태에서 좌우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이다. 배치부(31a)는 베이스 케비닛(31)의 양 단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도 7을 참고하여, 베이스 케비닛(31)은 후술할 링크 바디(51)가 상기 제 1상태에서 안착되는 링크 바디 안착부(31b)를 형성한다. 링크 바디 안착부(31b)는 베이스 케비닛(31)의 표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바디(51)는,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상태에서 링크 바디 안착부(31b)에 안착되고 상기 제 2상태에서 상기 링크 바디 안착부(31b)로부터 이격된다. 링크 바디 안착부(31b)는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후측면에 형성된다. 제 1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후측면은 링크 바디(51)의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링크 바디 안착부(31b)는 베이스 케비닛(31)의 상기 경사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 바디 안착부(31b)는 상기 제 1상태에서 링크 바디(51)의 경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이다. 링크 바디 안착부(31b)는 베이스 케비닛(31)의 양 단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도 8을 참고하여, 베이스 케비닛(31)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단이 상기 제 1상태에서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안착부(31c)를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모듈 안착부(31c)는 베이스 케비닛(31)의 표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상기 제 1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 안착부(31c)에 안착되고 상기 제 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 안착부(31c)로부터 이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 안착부(31c)는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케비닛(31)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 안착부(31c)는 상기 제 1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단부를 따라 형성된 홈이다. 디스플레이 모듈 안착부(31c)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베이스 모듈(30)은, 베이스 케비닛(31) 내부에 구비되는 컨트롤부(미 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기 화상 신호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부는 음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전원의 인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부(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는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적외선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모듈(30)은, 상기 화상 신호를 상기 컨트롤부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 로 전달해주기 위해 수신 연결단자(18)와 접촉하는 발신 연결단자(38)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 연결단자(38)는 수신 연결단자(18)와 통신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발신 연결단자(38) 및 수신 연결단자(18)는 불요하다.
발신 연결단자(38)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수신 연결단자(18)와 접촉하는 제 1발신 연결단자(381), 및 상기 제 2상태에서 수신 연결단자(18)와 접촉하는 제 2발신 연결단자(38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연결단자(18)와 제 1발신 연결단자(381)의 연결은 상기 제 2상태에서 차단된다. 수신 연결단자(18)와 제 2발신 연결단자(382)의 연결은 상기 제 1상태에서 차단된다. 수신 연결단자(18)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 1발신 연결단자(381) 및 제 2발신 연결단자(382)는 각각 상기 수신 연결단자(18)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베이스 모듈(30)의 사이에서 연장된 링크 바디(51)를 포함한다. 링크 모듈(50)은, 베이스 모듈(30)에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연결부(53)를 포함한다. 링크 모듈(5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부에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연결부(55)를 포함한다. 링크 바디(51)는, 제 1연결부(53) 및 제 2연결부(55)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된다. 한 쌍의 링크 모듈(50)이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5, 10 및 11을 참고하여, 링크 바디(51)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 바디(5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링크 바디(51)는 상기 제 1상태에서 하측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링크 바디(51)는 상기 제 2상태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다. 링크 바디(51)는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링크 바디(51)는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 1상태에서 링크 바디(5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후측 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지지해준다.
도 9 및 13을 참고하여, 제 2연결부(55)는, 링크 바디(51)가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제 2연결부(55)는, 상기 제 2상태의 링크 바디(51)가 상기 제 1상태의 링크 바디(51) 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면에 가까워지게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 방향 폭이 상기 제 2상태에서 최소화 될 수 있다. 제 2연결부(55)는 상기 제 1상태의 링크 바디(51)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제 2연결부(55)는 상기 제 2상태의 링크 바디(51)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제 2연결부(55)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측에 배치된다. 제 2연결부(55)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측면에 배치된다. 제 2연결부(55)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한 제 2회전축(Ob)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 2회전축(Ob)은 링크 바디(51)의 회전 운동과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다. 도 9 및 13에는 제 2회전축(Ob)의 위치가 도시된다.
제 2연결부(55)는 제 2회전축(Ob)을 가진 힌지 구조를 포함한다. 제 2연결부(55)는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힌지축(55a)을 포함한다. 힌지축(55a)은 힌지 고정 부재(13)와 링크 모듈(50)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힌지 고정 부재(13)와 링크 모듈(50)에는 힌지축(55a)이 관통하는 힌지홀(55b)이 형성된다. 링크 바디(51)는 힌지축(55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6a, 6b, 12 및 19 내지 21을 참고하여, 제 1연결부(53)는 링크 바디(51)가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제 2연결부(55)는,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을 링크 모듈(5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제 1연결부(53)는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을 링크 모듈(5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제 1연결부(53)는 베이스 모듈(30) 측에 배치된다. 제 1연결부(53)는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하측부에 배치된다. 제 1연결부(53)는 제 1회전축(Oa)의 베이스 모듈(3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 1회전축(Oa)은 링크 바디(51)의 회전 운동에 따라 베이스 모듈(30)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변화한다. 도 20도 20 내지 22에는 제 1회전축(Oa)의 위치가 도시된다.
제 1연결부(53)는 제 1회전축(Oa)을 가진 회전부(535)를 포함한다. 회전부(535)는 슬라이더(537) 및 링크 바디(51)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부(535)는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슬라이더(537) 및 링크 바디(51)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부(535)는 제 1회전축(Oa) 상에 배치된 쉐프트(shaft)(미 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쉐프트는 후술할 슬라이더(537)와 커브부(533)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슬라이더(537)와 커브부(533)에는 상기 쉐프트가 관통하는 홀(미 도시)이 형성된다. 링크 바디(51)는 상기 쉐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쉐프트는 슬라이더(537)와 같이 이동한다. 상기 쉐프트는 슬라이더(537)의 슬라이딩에 따라 같이 슬라이딩 된다. 상기 쉐프트는 후술할 제 2슬라이더부(537b)의 좌우방향 중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쉐프트는 제 2슬라이더부(537b)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 2슬라이더부(537b)와 같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1연결부(53)는 링크 바디(51)가 베이스 모듈(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 1연결부(53)는 제 1회전축(Oa)의 베이스 모듈(3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상기 제 1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기 후측부(Sh)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제 1회전축(Oa)의 베이스 모듈(3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상기 후측부(Sh)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제 1회전축(Oa)의 베이스 모듈(3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상기 후측부(Sh)를 따라 슬라이딩하지 못하게, 링크 바디(51)가 베이스 케비닛(31)에 걸린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제 1회전축(Oa)의 베이스 모듈(30)에 대한 상대적 위치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제 1연결부(53)는, 링크 바디(51)가 베이스 모듈(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레일(531) 및 레일(531)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더(537)를 포함한다. 레일(531) 및 슬라이더(537) 중 어느 하나는 베이스 모듈(3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링크 바디(51)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531)은 베이스 모듈(3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537)는 링크 바디(51)에 회전 가능 하게 결합된다.
레일(531)은, 상기 제 1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다. 레일(531)은, 상기 제 2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더(537)는 상기 제 2상태에서 레일(53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더(537)는 상기 제 1상태에서 레일(53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537)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없게, 링크 바디(51)가 베이스 케비닛(31)에 걸린다.
레일(531)은, 수직 평면 상에서 서로 이격된 제 1레일부(531a) 및 제 2레일부(531b)를 포함한다. 레일(531)은, 제 1레일부(531a) 및 제 2레일부(531b)가 배치되고 베이스 모듈(30) 고정되는 레일 바디(531c)를 포함한다. 레일(531)은, 레일 바디(531c)를 베이스 모듈(30)에 고정시키는 레일 고정부(531d)를 포함한다.
레일 바디(531c)는 배치부(31a)에 배치된다. 레일 바디(531c)는 베이스 케비닛(31)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레일 바디(531c)는 베이스 케비닛(31)의 제 1상태의 하측면에 고정된다. 레일 바디(531c)는 좌우방향보다 제 1상태의 전후방향(제 2상태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레일 바디(531c)는, 제 1상태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제 1파트(part)(531c1)와 상기 제 1파트(531c1)의 좌우방향에서 제 1상태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 2파트(531c2)를 포함한다.
제 1파트(531c1)는 제 1상태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1파트(531c1)는 베이스 케비닛(31)의 제 1상태의 하측면에 고정된다. 제 1파트(531c1)의 좌우방향 측단은 제 2파트(531c2)와 연결된다.
제 2파트(531c2)는 제 1상태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레일 바디(531c)는 제 1파트(531c1)의 좌우방향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제 2파트(531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파트(531c2)의 제 1상태의 상단은 제 1파트(531c1)의 측단에 연결된다.
제 1상태에서 레일 바디(531c)는 하측이 오픈(open)되어 상측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은 제 1파트(531c1) 및 제 2파트(531c2)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같이 연장된다. 제 1파트(531c1) 및 한 쌍의 제 2파트(531c2)가 형성하는 홈을 따라 슬라이더(537)가 이동할 수 있다.
레일 고정부(531d)는 레일 바디(531c)의 제 1상태의 상측에 배치된다. 레일 고정부(531d)는 제 1파트(531c1)에 배치된다. 복수의 레일 고정부(531d)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일 고정부(531d)가 제 1상태의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레일 고정부(531d)가 레일 바디(531c)에 형성된다.
제 1상태의 방향을 기준으로 레일 고정부(531d)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일 고정부(531d)는 제 1파트(531c1)의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체결부재의 헤드(예를 들어, 볼트 헤드)가 안착될 수 있다. 도 6a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레일 고정부(531d)가 도시되고, 도 6b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기 이전 상태의 레일 고정부(531d)가 도시된다. 체결부재가 레일 고정부(531d)에 안착되어, 레일 바디(531c)와 베이스 케비닛(31)을 서로 체결시킨다.
레일 고정부(531d)는 제 1파트(531c1)의 상측면에 돌출된 형상을 형성한다. 도 20 내지 22를 참고할 때,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제 1파트(531c)의 일부가 원형의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레일 고정부(531d)가 형성된다. 레일 고정부(531d)의 상기 돌출된 형상에 따라 함몰된 홈이 상기 배치부(31a)의 상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레일부(531a) 및 제 2레일부(531b)는 레일 바디(531c)가 형성한 홀 또는 홈일 수 있다. 제 1레일부(531a) 및 제 2레일부(531b)는 상기 제 2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제 1레일부(531a)가 1개의 슬라이더(537)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레일부(531b)가 1개의 슬라이더(537)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제 1레일부(531a)의 하측부 및 제 2레일부(531b)의 하측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제 1레일부(531a)는 상측부 및 하측부가 직선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제 2레일부(531b)의 상측부는 후측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제 2레일부(531b)의 상측 단부는 제 1레일부(531a)와 같은 수직평면 상에 배치된다.
레일 바디(531c)는 중앙에 슬라이더 바디(537c)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레일 바디(531c)는 후측에서 전방으로 함몰된 홈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슬라이더 바디(537c)는 레일 바디(531c)의 상기 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더(537)는, 제 1레일부(531a)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 1슬라이더부(537a), 및 제 2레일부(531b)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 2슬라이더부(537b)를 포함한다. 슬라이더(537)는 제 1슬라이더부(537a) 및 제 2슬라이더부(537b)가 고정되는 슬라이더 바디(537c)를 포함한다. 제 1슬라이더부(537a)는 제 1레일부(531a)에 삽입되어 제 1레일부(531a)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제 2슬라이더부(537b)는 제 2레일부(531b)에 삽입되어 제 2레일부(531b)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제 1슬라이더부(537a) 및 제 2슬라이더부(537b)는 슬라이더 바디(537c)의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제 1슬라이더부(537a) 및 제 2슬라이더부(537b)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제 1슬라이더부(537a) 및 제 2슬라이더부(537b)는 각각 슬라이더 바디(537c)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 배치된다.
링크 바디(51)가 슬라이더(537)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함과 동시에, 슬라이더(537)는 베이스 모듈(30)에 대해 상대 회전 운동을 한다. 슬라이더(537)는 베이스 모듈(30)에 대해 상대 회전 운동함과 동시에, 레일(531)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상기 회전부(535), 레일(531) 및 슬라이더(537)에 의해, 링크 바디(51)가 베이스 모듈(30)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함과 동시에, 슬라이더(537)는 베이스 모듈(30)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레일(531)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슬라이더 바디(537c)는 베이스 모듈(30)에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더 바디(537c)의 베이스 모듈(30)에 대한 상대 회전은, 제 1레일부(531a)와 제 2레일부(531b)의 궤도를 통해 구현된다. 슬라이더 바디(537c)는, 링크 바디(51)가 슬라이더(537)에 대해 회전할 때, 제 1슬라이더부(537a)를 중심으로 레일(531)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2슬라이더부(537b)는, 레일(531)에 대한 링크 바디(51)의 회전 방향과 슬라이더(537)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이동한다. 제 2레일부(531b)는, 제 2슬라이더부(537b)의 이동 궤적을 따라 수직 평면 상에서 휘어진다. 도 20도 20 내지 22에서, 제 2슬라이더부(537b)의 이동 궤적을 따라 수직 평면 상에서 휘어진 제 2레일부(531b)의 일 부분(531bc)이 도시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제 2레일부(531b)의 일 부분(531bc)은, 말단에서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전방으로 꺾인 후 다시 하측으로 꺾이도록 형성된다.
제 1연결부(53)는, 링크 바디(51)에서 회전부(535)까지 상기 제 1상태의 전방으로 휘어지게 연장되는 커브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브부(533)는 링크 바디(51)의 하측 말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상태에서 커브부(533)는 베이스 모듈(30)의 하측 후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링크 바디(51)의 후측면은 베이스 모듈(30)의 후측면과 같은 수직 평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레일 바디(531c)의 상기 중앙 홈에는 슬라이더 바디(537c)와 함께 커브부(533)가 삽입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링크 바디(51)의 후측면 보다 회전부(535)가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슬라이더 바디(537c)는 상측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레일(531) 및 슬라이더(537)의 구성 대신에, 링크 바디(51)의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상태에서 링크 바디(51)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상기 제 2상태에서 링크 바디(51)의 길이가 줄어들게 될 수 있다. 기 제 2상태에서 링크 바디(51)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측부와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의 상측부가 접촉될 수 있다.
도 15 내지 19b를 참고하여, 상기 제 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의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2상태에서 외부의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부(10a, 31a)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걸이부(10a, 31a)을 고정시켜주고 외부의 벽체에 고정되는 벽걸이 보조 부재(70)를 포함한다. 걸이부(10a, 31a)는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베이스 모듈(3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벽걸이 보조 부재(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결합하는 제 1벽걸이 보조 부재(71)와, 베이스 모듈(30)과 결합하는 제 2벽걸이 보조 부재(72)를 포함한다.
힌지 고정 부재(15)에는 상기 제 2상태에서 외부의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걸이부(10a)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걸이부(10a)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걸이부(10a)가 힌지 고정 부재(15)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걸이부(10a)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벽걸이 보조 부재(71)는 외부의 벽체(wall)과 접촉하는 제 1기판(71d)을 포함한다. 제 1기판(71d)은 외부의 벽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제 1기판(71d)은 전후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제 1벽걸이 보조 부재(71)는 제 1기판(71d)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 1돌출부(71b)를 포함한다. 제 1돌출부(71b)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돌출부(71b)의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홀(71c)이 형성된다. 제 1돌출부(71b)의 후단은 제 1기판(71d)에 연결된다. 상기 홀(71c)은 제 1돌출부(71b) 및 제 1기판(71d)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제 1벽걸이 보조 부재(71)는 디스플레이 걸이부(10a)에 삽입되는 제 1삽입부(71a)를 포함한다. 제 1삽입부(71a)는 디스플레이 걸이부(10a)에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한다. 제 1삽입부(71a)는 제 1돌출부(71b)의 전방부에 연결된다. 제 1돌출부(71b)는 제 1돌출부(71b)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꺾여 연장될 수 있다. 제 1삽입부(71a)는 제 1돌출부(71b)의 전단이 수직평면 상에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돌출부(71b)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 1삽입부(71a)의 둘레는 제 1돌출부(71b)의 둘레보다 크다. 상기 홀(71c)은 제 1삽입부(71a)의 중앙을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하좌우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그 중 상측부가 상기 제 1삽입부(71a)가 된다. 제 1삽입부(71a)는 디스플레이 걸이부(10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삽입부(71a)는 디스플레이 걸이부(10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 1삽입부(71a)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걸이부(10a)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30) 후측부에는, 상기 제 2상태에서 외부의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베이스 걸이부(31d,31f)가 형성된다.
베이스 걸이부(31d,31f)는, 상하방향으로 긴 슬릿(31d)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걸이부(31d,31f)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된 슬릿(3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슬릿(31d)의 상측부는 하측부에 비해 폭이 좁아진다. 상기 한 쌍의 슬릿(31d)의 중앙측 변은 상하방향으로 곧게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슬릿(31d)의 바깥측 변의 하측부는 상하방향으로 곧게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슬릿(31d)의 바깥측 변의 상측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중앙측에 가깝게 기울어진다. 슬릿(31d)의 하측부의 좌우방향 폭은 슬릿(31d)의 상측부의 좌우방향 폭보다 넓다. 슬릿(31d)의 상측부의 좌우방향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베이스 걸이부(31d,31f)는 후술할 제 2돌출부(72b)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돌출부 가이드(31f)를 포함한다. 돌출부 가이드(31f)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돌출부 가이드(31f)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 가이드(31f)는 슬릿(31d)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돌출부 가이드(31f)가 한 쌍의 슬릿(31d)의 중앙측 변에 각각 배치된다. 돌출부 가이드(31f)는 전반인 베이스 케비닛(31)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 가이드(31f)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 2벽걸이 보조 부재(72)는 외부의 벽체(wall)과 접촉하는 제 2기판(72d)을 포함한다. 제 2기판(72d)은 외부의 벽체(wall)에 고정될 수 있는 벽체 고정부(72e)를 포함한다. 제 2기판(72d)은 전후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제 2벽걸이 보조 부재(72)는 제 2기판(72d)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 2돌출부(72b)를 포함한다. 제 2돌출부(72b)는 제 2기판(72d)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제 2기판(72d)을 가상의 사각형의 3개의 변을 따라 절개한 뒤, 상기 가상의 사각형의 나머지 1개의 변을 회전축으로 상기 가상의 사각형에 해당하는 부분을 전방으로 절곡하여 제 2돌출부(72b)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절곡에 의해서, 절곡전에 상기 가상의 사각형이 배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홀(72c)가 형성된다. 상기 홀(72c)은 제 2기판(72d)에 형성된다. 한 쌍의 제 2돌출부(72b)가 한 쌍의 슬릿(31d)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 2돌출부(72b) 사이의 간격은 상측으로 갈수록 가까워지게 배치된다. 한 쌍의 제 2돌출부(72b)의 사이의 간격 중 가장 좁은 부분의 간격은 상기 한 쌍의 슬릿(31d) 사이의 간격과 대응된다. 한 쌍의 제 2돌출부(72b) 및 한 쌍의 절곡부(72a)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한 쌍의 슬릿(31d)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 2돌출부(72b)는 상기 돌출부 가이드(31f)를 따라 베이스 케비닛(3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적 이동할 수 있다.
제 2벽걸이 보조 부재(72)는 디스플레이 걸이부(10a)에 제 2돌출부(72b)와 함께 삽입되는 절곡부(72a)를 포함한다. 절곡부(72a)는 제 2돌출부(72b)의 전방부에 연결된다. 절곡부(72a)는 제 2돌출부(72b)의 전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절곡부(72a)는 한 쌍의 슬릿(31d)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절곡부(72a)는 한 쌍의 제 2돌출부(72b)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한 쌍의 제 2돌출부(72b) 사이의 간격은 상측으로 갈수록 가까워지게 배치된다. 한 쌍의 제 2돌출부(72b) 및 한 쌍의 절곡부(72a)는 상측부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게 기울이져 배치된다. 한 쌍의 절곡부(72a)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한 쌍의 슬릿(31d)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한 쌍의 제 2돌출부(72b)는 한 쌍의 슬릿(31d)의 하측부에서 한 쌍의 슬릿(31d)에 전후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돌출부(72b)는 한 쌍의 슬릿(31d)의 하측부에서 한 쌍의 슬릿(31d)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한 싸ㅇ의 절곡부(72a)가 한 쌍의 슬릿(31d)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이동(도 18b의 화살표 A 참고)되면, 한 쌍의 제 2돌출부(72b)는 한 쌍의 슬릿(31d)의 상측부에서 베이스 케비닛(31)에 걸림된다.(도 18c 참고) 한 쌍의 절곡부(72a)는 한 쌍의 슬릿(31d)의 상측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인출되지 않게 베이스 케비닛(31)에 걸린다. 이 경우, 한 쌍의 제 2돌출부(72b)의 상단은 한 쌍의 슬릿(31d)의 상단에 접촉하여, 한 쌍의 제 2돌출부(72b) 및 한 쌍의 절곡부(72a)의 베이스 케비닛(31)에 대한 상대적 상측이동을 제한한다.
제 2벽걸이 보조 부재(72)는 외부의 벽체와 밀착하여 부착된다. 제 2벽걸이 보조 부재(72)는 제 2벽걸이 보조 부재(72)를 외부의 벽체에 고정시켜주는 벽체 고정부(72e)를 포함한다. 벽체 고정부(72e)는 스크류 등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벽체 고정부(72e)는 상기 한 쌍의 제 2돌출부(72b)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벽체 고정부(72e)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제 2돌출부(72b)는 상기 복수의 벽체 고정부(72e)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사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돌출부(72b)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벽체 고정부(72e)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사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벽체 고정부(72e)는, 제 2기판(72d)에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에 삽입되어 제 2기판(72d)을 외부의 벽체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연결부(53)의 회전 가능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연결부(55)의 회전 가능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상태 및 제 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 베이스 모듈(30) 및 링크 모듈(50)이 상대 운동하지 않게 잠금(lock)시키는 잠금 장치(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의 해제 시에만, 디스플레이 패널(11)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10 : 디스플레이 모듈 10a : 디스플레이 걸이부
11 : 디스플레이 패널 12 : 부착 부재
13 : 패널 지지 부재 15 : 힌지 고정 부재
16 : 체결 부재 17 : 배선부
18 : 수신 연결단자 30 : 베이스 모듈
31 : 베이스 케비닛 31a : 제 1연결부의 배치부
31b : 링크 바디 안착부 31c : 디스플레이 모듈 안착부
31d : 슬릿 31f : 삽입부 가이드
38 : 발신 연결단자
381 : 제 1발신 연결단자 382 : 제 2발신 연결단자
50 : 링크 모듈 51 : 링크 바디
53 : 제 1연결부 531 : 레일
531a : 제 1레일부 531b : 제 2레일부
531c : 레일 바디 531d : 레일 고정부
533 : 커브부 535 : 회전부
537 : 슬라이더 537a : 제 1슬라이더부
537b : 제 2슬라이더부 537c : 슬라이더 바디
55 : 제 2연결부 55a : 힌지축
55b : 힌지홀 70 : 벽걸이 보조 부재
71 : 제 1벽걸이 보조 부재 71a : 제 1삽입부
71b : 제 1돌출부 71c : 홀
71d : 제 1기판
72 : 제 2벽걸이 보조 부재 72a : 절곡부
72b : 제 2돌출부 72c : 홀
72d : 제 2기판 72e : 벽체 고정부
Oa : 제 1회전축 Ob : 제 2회전축
w1a, w2a : 베이스 모듈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
w1b, w2b : 링크 모듈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
s1, s2 : 베이스 모듈의 슬라이딩 방향 및 거리
Sh : 제 2상태의 베이스 모듈의 전방부 및 후측부 중 제 1회전축이 배치되는 부분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결합되는 일단을 지니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링크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링크 모듈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링크 모듈의 상기 타단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베이스 모듈의 제 1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모듈의 제 1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변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링크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베이스 모듈에 교차하며,
    상기 베이스 모듈의 제 2상태에서,
    상기 제 1면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고, 상기 링크 모듈은 상기 베이스 모듈의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나란하며,
    상기 링크 모듈은,
    상기 제 1상태의 상기 베이스 모듈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후면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1면에 반대되는 상기 베이스 모듈의 제 2면은 하측을 향하고, 상기 링크 모듈의 상기 타단은 상기 베이스 모듈의 하측 및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상태에서, 상기 제 1면은 전방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1면은 상측을 향하고, 상기 링크 모듈의 상기 타단은 상기 베이스 모듈의 상측 및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상태에서, 상기 제 1면은 후방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모듈의 상기 타단은,
    상기 베이스 모듈에 좌우방향에 나란한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링크 모듈의 상기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부에 좌우방향에 나란한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모듈은,
    상기 베이스 모듈에 좌우방향에 나란한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연결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부에 좌우방향에 나란한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연결부; 및
    상기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부를 연결하는 링크 바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부는,
    상기 제 1상태보다 상기 제 2상태에서 상기 링크 바디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후측부에 가까워지게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측에 결합되는 패널 지지 부재와,
    상기 패널 지지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 2연결부와 연결된 힌지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고정 부재에는 상기 제 2상태에서 외부의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모듈에는 상기 제 2상태에서 외부의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베이스 걸이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제 1회전축의 상기 베이스 모듈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링크 바디가 상기 베이스 모듈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제 1회전축의 상기 베이스 모듈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상기 베이스 모듈의 상기 제 1면 또는 상기 제 1면에 반대되는 제 2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모듈에 고정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제 1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링크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링크 바디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수직 평면 상에서 서로 이격된 제 1레일부 및 제 2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 1슬라이더부;
    상기 제 2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 2슬라이더부; 및
    상기 제 1슬라이더부 및 상기 제 2슬라이더부가 고정되고, 상기 링크 바디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제 1슬라이더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일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슬라이더 바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슬라이더부는,
    상기 레일에 대한 상기 링크 바디의 회전 방향과 상기 슬라이더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이동하고,
    상기 제 2레일부는,
    상기 제 2슬라이더부의 이동 궤적을 따라 수직 평면 상에서 휘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1면에 반대되는 상기 베이스 모듈의 제 2면은 하측을 향하고,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베이스 모듈의 하측 및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링크 바디에서 상기 회전부까지 상기 제 1상태의 전방으로 휘어지게 연장되는 커브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제 1상태의 상기 베이스 모듈의 후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링크 바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 모듈의 일부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링크 바디 안착부에 안착되되, 상기 제 2상태에서 상기 링크 바디 안착부로부터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 신호를 전달 받는 수신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케비닛;
    상기 베이스 케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화상 신호를 제어하는 컨트롤부; 및
    상기 화상 신호를 상기 컨트롤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해주기 위해 상기 수신 연결단자와 접촉하는 발신 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 연결단자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수신 연결단자와 접촉하는 제 1발신 연결단자; 및
    상기 제 2상태에서 상기 수신 연결단자와 접촉하는 제 2발신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삭제
KR1020160136523A 2016-10-20 2016-10-2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1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23A KR102581062B1 (ko) 2016-10-20 2016-10-20 디스플레이 장치
US15/706,450 US10859199B2 (en) 2016-10-20 2017-09-15 Display apparatus
PCT/KR2017/011627 WO2018074875A1 (en) 2016-10-20 2017-10-20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23A KR102581062B1 (ko) 2016-10-20 2016-10-2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607A KR20180043607A (ko) 2018-04-30
KR102581062B1 true KR102581062B1 (ko) 2023-09-20

Family

ID=6197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523A KR102581062B1 (ko) 2016-10-20 2016-10-2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59199B2 (ko)
KR (1) KR102581062B1 (ko)
WO (1) WO2018074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588B1 (ko) * 2018-10-19 2023-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거치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21549B2 (en) * 2019-01-25 2024-03-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0778856B1 (en) * 2019-07-31 2020-09-15 Seeminex.Com, Inc. Multi-purpose/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ch includes a display monitor and a scanner disposed below the display monitor and extending to cross the display monitor, and a base configured to support the scanner, the base includ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where the first portion at least partially vertically overlapping the display monitor and the scan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8844A1 (en) 2011-10-09 2013-04-11 Wei-Lu Zeng Base of Display Device
US20130127730A1 (en) 2011-11-18 2013-05-23 Wistron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4722B1 (en) * 2002-06-10 2003-08-12 Seng-Ling Tan Display support
JP2004271595A (ja) 2003-03-05 2004-09-30 Sony Corp 表示装置
KR100821530B1 (ko) 2006-06-14 2008-04-11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회동 방법
KR101529689B1 (ko) * 2009-01-12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 장치
US9265346B1 (en) * 2015-03-13 2016-02-23 Anthony Eugene Forney Responsive support system and mou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8844A1 (en) 2011-10-09 2013-04-11 Wei-Lu Zeng Base of Display Device
US20130127730A1 (en) 2011-11-18 2013-05-23 Wistron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4875A1 (en) 2018-04-26
US10859199B2 (en) 2020-12-08
US20180112815A1 (en) 2018-04-26
KR20180043607A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0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2381298B1 (en) Display apparatus
US8523132B2 (en) Back frame module
JP6807007B1 (ja) 電子機器
JP2013150330A (ja) 薄型表示装置用キャビネット及び薄型表示装置
EP2790401A1 (en) Display device
JP2006100671A (ja) 電子機器
US20100301714A1 (en) Cabinet and display apparatus
CN113266995B (zh) 显示组件及具有该显示组件的冰箱
JP2021053157A5 (ko)
KR201900818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920546A1 (en) Display device and speaker for display device
JP6433399B2 (ja) 遊技機
JP5711084B2 (ja) 電気錠および電気錠を備えた建具
JP4348478B2 (ja) 遊技機
JP2007088626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EP3940327A1 (en) Display assembly for use in refrigerator door, refrigerator door, and refrigerator
KR202100412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896679A1 (en) Display device
KR10255765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6647440B1 (ja) キャビネット
EP3862808B1 (en) Display device
EP4092313A1 (en) Display apparatus
JP6624315B1 (ja) 電子機器
CN208101865U (zh) 一种多功能五金支架及触摸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