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782B1 - 호퍼 장치 - Google Patents

호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782B1
KR102580782B1 KR1020200146778A KR20200146778A KR102580782B1 KR 102580782 B1 KR102580782 B1 KR 102580782B1 KR 1020200146778 A KR1020200146778 A KR 1020200146778A KR 20200146778 A KR20200146778 A KR 20200146778A KR 102580782 B1 KR102580782 B1 KR 102580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ozzle
hopper
cone
ho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787A (ko
Inventor
강기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4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78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70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fluid jets
    • B65D88/703Air blowing devices, i.e. devices for the sudden introduction of compressed air in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28Construction or shape of discharge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호퍼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퍼 장치는 수용공간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를 갖는 호퍼 본체와, 호퍼 본체의 내면에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가이드부와, 호퍼 본체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부와, 호퍼 본체의 내면과 가이드부 저면 사이에 구비되며 노즐부에서 분사된 에어가 흐르는 기류 안내 유로 및 노즐부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퍼 장치{HOPPER APPARATUS}
본 발명은 호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물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호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퍼 장치는 저장용기에 수용된 원료를 배출구에서 소량씩 배출해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호퍼 장치는 호퍼의 바닥부에 마련된 배출구에 설치된 게이트를 개폐함으로써 호퍼 내부에 수용된 원료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일정 기간동안 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는 원료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벽면 부분에서부터 고착화가 진행되어 브리징(bridging) 현상에 의해 원료의 배출이 방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해소하고자 호퍼 내부에 회전형 교반 수단을 이용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호퍼 내부에 수용된 저장물의 높이가 10m 이상이고 저장물의 무게가 수십톤에 이르는 대형 호퍼에는 사용이 불가능하여 작업자가 가스 폭발력을 이용하여 원료를 불출시키거나 수작업을 통해 원료를 불출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5-132528호(2005.05.26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저장된 원료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호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를 갖는 호퍼 본체; 상기 호퍼 본체의 내면에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가이드부; 상기 호퍼 본체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호퍼 본체의 내면과 상기 가이드부 저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된 에어가 흐르는 기류 안내 유로; 및 상기 노즐부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호퍼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호퍼 본체는 하측에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콘부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나선 형태로 연장되는 나선형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공기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보텍스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텍스 튜브에서 분리된 온기를 상기 기류 안내 유로에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나선형 리브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는 최하부로부터 최상부까지 순차적으로 에어를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에서 각각 토출되는 에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와, 상기 압력감지부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각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에어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콘부 상단에서 상기 콘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콘부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퍼지공기를 공급하는 퍼지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퍼지장치는 상기 호퍼 본체의 외면 둘레를 감싸며 내부에 상기 퍼지공기가 유입되는 챔버를 갖는 챔버부재와, 상기 호퍼 본체의 내면 둘레를 감싸며 하단이 개구된 슬릿을 갖는 노즐부재와, 상기 챔버와 상기 노즐부재 내측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호퍼 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연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의 온기 배출구는 상기 콘부의 원주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호퍼 본체의 내주를 따라 폐단면 형태로 연장되며 내향 돌출된 폐단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폐단면 리브는 상기 호퍼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폐단면 리브에는 상기 호퍼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플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호퍼 장치에서 원료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퍼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퍼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 안내 유로를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퍼지장치를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퍼 장치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퍼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퍼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퍼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퍼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 안내 유로를 도시한 절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퍼지장치를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호퍼 장치(10)는 내측에 미분말이 저장되는 수용공간(11)을 갖는 호퍼 본체(12)를 포함한다.
호퍼 장치(10)는 개방된 상단을 통해 미분말이 수용공간(11)에 투입 저장되고, 개방된 하단을 통해 수용공간(11)에 저장된 미분말이 호퍼 장치(10) 하부에 위치된 컨베이어(미도시)로 낙하될 수 있다.
호퍼 장치(10)의 하단 개구인 배출구(14)에는 미분말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게이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의 하부를 형성하는 호퍼 본체(12)의 하측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모양의 콘부(13)를 포함할 수 있고, 콘부(13)에는 저장된 미분말의 고형화로 인하여 배출구(14)의 막힘 시 개공을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부(20) 및 노즐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0)는 콘부(13)의 내면(13a)에서 나선 형태로 연장되는 나선형 리브(2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선형 리브(21)는 콘부(13)의 내면(13a)에서 돌출된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나선형 리브(21)의 상면(22)은 콘부(13)의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나선형 리브(21)가 콘부(13)의 내면(13a)에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구성을 통해 나선형 리브(21)의 저면(23)과 콘부(13)의 내면(13a) 사이에는 노즐부(30)에서 토출되는 에어가 나선 형태로 흐르는 소정의 공간인 기류 안내 유로(40)가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 리브(21)는 콘부(13)의 상부로부터 하부쪽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이어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즐부(30)에서 토출된 에어는 기류 안내 유로(40)를 따라 흐르면서 나선형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30)는 기류 안내 유로(40)에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도록 콘부(13)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노즐부(30)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또는 펌프와 같은 공기공급장치(50)와 연결될 수 있고, 공기공급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내부에서 와류 형태로 순환시켜 냉기와 온기를 분리하고, 분리된 온기를 기류 안내 유로(40)에 토출하는 보텍스 튜브(vortex tube)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즐부(30)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노즐몸체(31)의 측방에 공기공급장치(50)와 연결되는 압축공기 주입구(32)가 마련되고, 압축공기 주입구(32)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는 노즐몸체(31) 내부에 위치된 와류생성부(33)에서 회오리 바람과 같은 와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와류는 노즐몸체(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온기와 냉기로 분리된 후 노즐몸체(31)의 양단에 형성된 온기 배출구(34)와 냉기 배출구(35)를 통해 각각 온기와 냉기가 배출된다.
노즐부(30)의 온기 배출구(34)는 콘부(13)를 관통하여 콘부(13)의 내부에 위치되고, 노즐부(30)의 냉기 배출구(35)는 콘부(13)의 외부에 위치된다. 노즐부(30)에서 배출되는 온기는 동결 또는 고형화된 미분말이 콘부(13) 내부에서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부(30)는 나선형 리브(21)의 연장방향(나선방향)을 따라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부(30)는 나선형 리브(21)의 연장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노즐부(30)는 나선형 리브(21)의 나선방향을 따라서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류 안내 유로(40)에 온기를 토출하는 각 노즐부(30)의 온기 배출구(34)는 콘부(13)의 원주 방향을 향햐도록 위치될 수 있고, 각 노즐부(30)에서 토출되는 온기는 나선형 리브(21)의 저면(23)을 따라서 배출구(14) 쪽을 향하는 나선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복수의 노즐부(30)와 공기공급장치(50)는 압축공기 공급라인(5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압축공기 공급라인(51)에는 각 노즐부(30)로 압축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밸브(52)와, 각 노즐부(3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송출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압력센서(53)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어밸브(52)는 밸브 컨트롤러(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개폐 동작할 수 있다. 밸브 컨트롤러는 복수의 노즐부(30)를 통해 온기가 토출되도록 동작할 때 최하부의 노즐부(30)로부터 최상부의 노즐부(30)까지(도 3의 도면번호 ①~⑩) 순차적으로 시간차이를 두고 온기를 토출하도록 복수의 제어밸브(5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선형 리브(21)의 하부에 위치된 기류 안내 유로(40)에서는 콘부(13)의 하부에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부까지 간헐적 나선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컨트롤러는 각 노즐부(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3)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밸브(5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압력센서(53)로부터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노즐부(30) 중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노즐부에 대해서는 집중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른 노즐부(30)로 공급되는 복수의 제어밸브(52)는 닫고, 압력이 높은 노즐부(30)에 대응하는 제어밸브(52)만을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노즐부(30)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콘부(13) 내면에 부착된 고형물이 탈락하지 않아 공기의 유동을 저해하는 부분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밸브 컨트롤러는 다시 최하부의 노즐부(30)로부터 최상부의 노즐부(30)까지 순차적으로 에어를 분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콘부(13)의 상단에는 콘부(13)의 내면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는 퍼지공기를 공급하는 퍼지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퍼지장치(60)는 콘부(13)의 내면에 부착된 고착물을 하방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고압의 퍼지공기를 분출하는 장치로서, 퍼지장치(60)에서 분출되는 퍼지공기는 콘부(13)의 내면을 타고 흐르면서 나선형 리브(21)의 상면(22)에 안내되어 콘부(13)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퍼지장치(60)는 호퍼 본체(12)의 외측에서 호퍼 본체(12)의 외면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의 챔버부재(61)와, 호퍼 본체(12)의 내측에서 호퍼 본체(12)의 내면(12a) 둘레를 감싸는 노즐부재(62)를 포함한다.
챔버부재(61)는 고압의 퍼지공기가 채워지는 내부가 빈 챔버(63)를 구비할 수 있고, 퍼지공기는 챔버부재(61)에 형성된 주입구(64)를 통해 챔버(6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챔버부재(61)의 챔버(63)에 채워진 고압의 퍼지공기는 호퍼 본체(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연통홀(65)을 통해 노즐부재(62)의 내측으로 넘어간 후 노즐부재(62)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된 슬릿(66)을 통해 하방으로 분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퍼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1)에 저장된 미분말이 고착되어 수용공간(11)에 형성된 고착물로 인하여 배출구(14)를 통해 미분말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브릿징(bridging) 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최하부의 노즐부(30,①)부터 최상부의 노즐부(30,⑩)까지 순차적으로 압력공기를 분출시킨다. 이는 배출구(14)와 인접한 위치의 고착물부터 파쇄한 후 순차적으로 압출하여 저장된 미분말을 배출구(14) 쪽으로 밀어내도록 유도함에 의해 저장물은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이때 각 노즐부(30)에서는 보텍스 튜브에 의한 고온의 압력공기가 분출됨에 따라 동결된 저장물은 더욱더 원활히 미끄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즐부(30)에서 분출되는 에어는 소정의 틈새를 갖는 기류 안내 유로(40)를 따라 흐르게 되어 저장물에 의한 유동 저항이 줄어들게 되고, 이를 통해 원활한 나선형 기류 형성이 유도되면서 저장물이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퍼지장치(60)를 통해 콘부(1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퍼지공기를 배출시킴에 의해 콘부(13)의 내면에 부착된 고착물을 하방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퍼지장치(60)로부터 배출된 퍼지공기는 나선형 리브(21)의 상면을 따라 흐르면서 나선형 기류를 유도하여 기류 안내 유로(40)를 따라 흐르는 기류와 함께 저장물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 예에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가이드부(70)는 호퍼 본체(12)의 내주를 따라 폐단면 형태로 연장되며 내향 돌출된 폐단면 리브(71)를 포함할 수 있고, 폐단면 리브(71)는 호퍼 본체(1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폐단면 리브(71)는 저장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호퍼 본체(12)의 중앙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폐단면 리브(71)와 호퍼 본체(12)의 내면 사이에는 기류 안내 유로(8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폐단면 리브(71)에는 호퍼 본체(12)의 반경방향으로 절개된 슬릿(72)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플랩부(73)가 구비될 수 있다.
기류 안내 유로(80)에는 호퍼 본체(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노즐부(90)에 의해 압축공기가 토출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노즐부(90)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는 기류 안내 유로(80)를 따라 흐르면서 저장물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면서 압축공기의 충격에 의해 폐단면 리브(71)에 진동을 유발시켜 저장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의 노즐부(90)는 최하부의 노즐부로부터 최상부의 노즐부 까지 순차적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호퍼 장치, 11: 수용공간,
12: 호퍼 본체, 13: 콘부,
20: 가이드부, 21: 나선형 리브,
30: 노즐부, 40: 기류 안내 유로,
50: 공기공급장치, 51: 압축공기 공급라인,
52: 제어밸브, 53: 압력센서,
60: 퍼지장치, 61: 챔버부재,
62: 노즐부재, 71: 폐단면 리브,
72: 슬릿, 73: 플랩부.

Claims (11)

  1.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와, 하측에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콘부를 갖는 호퍼 본체;
    상기 콘부의 내면에서 상기 콘부의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며, 상기 콘부의 상부로부터 하부쪽으로 나선 형태로 연이어 연장된 나선형 리브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호퍼 본체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나선형 리브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되 상기 콘부의 원주방향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호퍼 본체의 내면과 상기 나선형 리브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된 에어가 상기 콘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기류 안내 유로;
    상기 노즐부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및
    상기 콘부의 상단에서 상기 콘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콘부의 내면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나선형 리브의 상면을 향해 퍼지공기를 공급하는 퍼지장치;를 포함하는 호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공기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보텍스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텍스 튜브에서 분리된 온기를 상기 기류 안내 유로에 토출하는 호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나선형 리브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는 최하부로부터 최상부까지 순차적으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호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에서 각각 토출되는 에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와, 상기 압력감지부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각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에어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호퍼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장치는 상기 호퍼 본체의 외면 둘레를 감싸며 내부에 상기 퍼지공기가 유입되는 챔버를 갖는 챔버부재와, 상기 호퍼 본체의 내면 둘레를 감싸며 하단이 개구된 슬릿을 갖는 노즐부재와, 상기 챔버와 상기 노즐부재 내측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호퍼 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연통홀을 포함하는 호퍼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온기 배출구는 상기 콘부의 원주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호퍼 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46778A 2020-11-05 2020-11-05 호퍼 장치 KR102580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78A KR102580782B1 (ko) 2020-11-05 2020-11-05 호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78A KR102580782B1 (ko) 2020-11-05 2020-11-05 호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787A KR20220060787A (ko) 2022-05-12
KR102580782B1 true KR102580782B1 (ko) 2023-09-20

Family

ID=8159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778A KR102580782B1 (ko) 2020-11-05 2020-11-05 호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7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553B1 (ko) * 1992-05-15 2000-04-01 나까니시 히로유끼 건조호퍼 및 그를 사용한 분말건조방법
JP3640129B2 (ja) * 1997-10-07 2005-04-20 関西電力株式会社 集塵装置のホッパ
JP4331710B2 (ja) 2005-09-02 2009-09-16 三菱重工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集塵装置及びダストの排出方法
KR101166220B1 (ko) 2010-11-18 2012-07-16 이종삼 볼텍스 튜브
JP2012201366A (ja) * 2011-03-23 2012-10-22 Sumitomo Heavy Ind Ltd 活性炭受入ホッ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090U (ja) * 1984-04-26 1985-11-20 日立造船株式会社 粉粒体貯蔵タンクのホツパ−装置
JP2005132528A (ja) 2003-10-29 2005-05-2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ホッパ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553B1 (ko) * 1992-05-15 2000-04-01 나까니시 히로유끼 건조호퍼 및 그를 사용한 분말건조방법
JP3640129B2 (ja) * 1997-10-07 2005-04-20 関西電力株式会社 集塵装置のホッパ
JP4331710B2 (ja) 2005-09-02 2009-09-16 三菱重工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集塵装置及びダストの排出方法
KR101166220B1 (ko) 2010-11-18 2012-07-16 이종삼 볼텍스 튜브
JP2012201366A (ja) * 2011-03-23 2012-10-22 Sumitomo Heavy Ind Ltd 活性炭受入ホッ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787A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6258A (en) Apparatus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free-flowing bulk material
US3377004A (en) Metered dispensing container
US5228604A (en) Dosage dispensing device for filling machines
RU2256513C2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лотностью распыляемого аэрозоля для распы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ействующего на принципе сжимания емкости
EP0850838A1 (en) Valve with controlled-action obturator for the metered delivery of fluids in automatic machines for filling containers and the like
KR102136934B1 (ko) 고속공기를 이용한 어류용 사료살포기
KR20060114656A (ko) 과립형 재료를 위한 유동화 장치
KR102580782B1 (ko) 호퍼 장치
US3545488A (en) Dip tubes for aerosol valve assemblies
US1339977A (en) Container for comminuted material
US2274708A (en) Means for handling material
US7114638B2 (en) Bin partitions to improve material flow
US8628276B2 (en) Fluidising apparatus with swirl-generating means
US3125256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delivering measured quantities
PH22019500008U1 (en) Aerosol metering valve
SI9400112A (en) Pouring device with a part for regulation of stream velocity
ES2310385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dosificacion de material a granel.
US4456156A (en) Unloading apparatus for silo
US3357748A (en) Material feed regulator
ITMI20000338A1 (it) Ugello di riempimento con intercettazione di liquidi in alimentazioneper macchine riempitrici
FI96297C (fi) Laitteisto jauhemaisen aineen annostukseen säiliöstä
AU740533B2 (en) A dosing device and a method for dosed feeding of grained, pelletized or granulated mass material out from a container
KR102061949B1 (ko) 에어로졸 스프레이용 중력밸브
US1778100A (en) Concrete gun
US4630531A (en) Bulk si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