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491B1 -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491B1
KR102580491B1 KR1020230043275A KR20230043275A KR102580491B1 KR 102580491 B1 KR102580491 B1 KR 102580491B1 KR 1020230043275 A KR1020230043275 A KR 1020230043275A KR 20230043275 A KR20230043275 A KR 20230043275A KR 102580491 B1 KR102580491 B1 KR 102580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ing
coupling portion
tooth root
hybrid
i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수
Original Assignee
권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수 filed Critical 권기수
Priority to KR102023004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Means or methods for correctly replacing a dental model, e.g. dowel pins; Dowel pin positioning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은 관통구를 가지는 코핑 본체; 상기 코핑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며 인공 치근의 상단에 결합되는 치근 결합부; 상기 코핑 본체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인공 치근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치근 결합부는 상기 코핑 본체의 하부에 직접 연결되며 평면상 다각 형상을 가지는 상부 결합부, 그리고 상기 상부 결합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평면상 원 형상을 가지는 하부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HYBRID IMPRESSION COPING}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에서 임플란트 보철을 제조하기 위해 인상 채득 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시술 후 인공치아가 완성되면 자연치와 유사한 충분한 강도와 심미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에 해당하는 픽스쳐(fixture), 지대주에 해당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인공 치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인공 치근은 자연치아의 치근과 같이 결손된 치아부위의 치조골속에 심어져 인공치아를 지지하는 고정체이고, 지대주는 잇몸 부위에서 치조골에 심겨져 있는 인공 치근과 인공 치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인공 치아가 지대주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자연 치아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재현하게 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시술 대상자의 치아 형태에 따라 보철물을 제작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시술 대상자의 치아 모양을 인상재로 떠서 정확한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이 모형을 가지고 가장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하여 실제로 시술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치아 모형을 만들기 위해 인공 치근의 상부에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을 결합하고 그 위에 유동 가능한 인상재를 씌워 치아 및 구강조직의 형태를 음형(陰型)을 만드는 인상 채득(impression taking) 작업을 하고 이 음형에 랩 아날로그와 임프레션 코핑의 결합체를 삽입한 후 석고 등을 부어서 치아 모형을 제작한다. 여기서,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이란 구강내에 식립된 인공 치근(fixture)의 위치 및 방향을 치아 모형에 그대로 전사하는 인상 채득 시 사용되는 도구이다.
일반적으로 임프레션 코핑은 헥사 구조(Hexa type)의 임프레션 코핑과 비헥사 구조(Non hexa type)의 임프레션 코핑으로 나누어진다.
헥사 구조의 임프레션 코핑으로 인상 채득을 하면 인공 치근에 체결되는 헥사 구조의 지대주(Abutment)와 비헥사 구조의 지대주를 모두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인상 채득 시 헥사 구조의 임프레션 코핑은 구강 내의 인공 치근과 정확한 체결이 어려워서, 인공 치근과의 체결을 위해 스크류(Screw) 외에 다른 도구가 필요하기도 하다. 그리고, 헥사 구조의 임프레션 코핑과 인공 치근간의 체결 후 엑스 레이 등을 이용하여 완전히 체결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초보자들은 헥사 구조의 임프레션 코핑과 인공 치근을 체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어금니 안쪽에 있는 인공 치근과는 체결이 어렵고 에러가 많아지게 된다.
또한, 비헥사 구조(Non hexa type)의 임프레션 코핑으로 인상 채득을 하면, 구강 내의 인공 치근과 정확한 체결이 용이하므로, 인공 치근과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비헥사 구조 임프레션 코핑과 인공 치근간의 체결 후 엑스 레이 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상 채득 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초보자들도 충분히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비헥사 구조 임프레션 코핑으로 인상 채득을 하면 비헥사 구조의 지대주(Abutment)만 제조할 수 있으며, 헥사 구조의 지대주는 제조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이하게 헥사 구조의 지대주와 비헥사 구조의 지대주를 모두 제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은 관통구를 가지는 코핑 본체; 상기 코핑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며 인공 치근의 상단에 결합되는 치근 결합부; 상기 코핑 본체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인공 치근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치근 결합부는 상기 코핑 본체의 하부에 직접 연결되며 평면상 다각 형상을 가지는 상부 결합부, 그리고 상기 상부 결합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평면상 원 형상을 가지는 하부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결합부의 길이는 상기 하부 결합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상부 결합부의 길이는 상기 하부 결합부의 길이의 절반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결합부는 육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결합부의 측벽은 복수의 측벽 평면부, 그리고 인접하는 측벽 평면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측벽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벽 모서리부는 제1 경사각을 가지며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하부 결합부의 측벽은 제2 경사각을 가지며 경사지고, 상기 제1 경사각과 상기 제2 경사각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구강 내의 인공 치근과 정확한 체결이 용이하므로, 인공 치근과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용이하게 헥사 구조의 지대주와 비헥사 구조의 지대주를 모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과 인공 치근간의 체결 후 엑스 레이 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상 채득 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초보자들도 충분히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핑 본체 및 치근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을 인공 치근에 체결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코핑 본체 및 치근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은 코핑 본체(100), 치근 결합부(200), 스크류(300), 그리고 코핑 헤드부(400)를 포함한다.
코핑 본체(10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00a)를 가질 수 있다. 코핑 본체(100)의 상부에는 코핑 헤드부(400)가 위치하고, 코핑 본체(100)의 하부에는 치근 결합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코핑 본체(100), 코핑 헤드부(400), 그리고 치근 결합부(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핑 헤드부(400)는 코핑 본체(100)의 상부에 연결되며, 치아 모형의 본을 뜨기 위한 인상재(impression material)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부분이다.
치근 결합부(200)는 코핑 본체(1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치근 결합부(200)는 인공 치근(FIX)과 결합될 수 있다. 인공 치근(FIX)의 내부에는 치근 결합부(200)가 삽입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다각 홈(F1)이 형성되며, 스크류(300)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부(F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치근 결합부(200)는 인공 치근(FIX)의 상단에 형성된 다각 홈(F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치근 결합부(200)는 중앙에 상하 방향을 관통하는 결합 관통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관통부(도시하지 않음)는 관통구(100a)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코핑 본체(100)에 삽입된 스크류(300)가 치근 결합부(200)도 관통할 수 있다.
치근 결합부(200)는 상부 결합부(210), 그리고 하부 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합부(210)는 코핑 본체(100)의 하부에 직접 연결되며 평면상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평면상 육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면상 팔각 형상 등 다양한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결합부(220)는 상부 결합부(210)의 아래에 위치하며 평면상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결합부(210)의 길이(d1)는 하부 결합부(220)의 길이(d2)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상부 결합부(210)의 길이(d1)는 하부 결합부(220)의 길이(d2)의 절반일 수 있다.
상부 결합부(210)의 측벽(211)은 복수의 측벽 평면부(211a), 그리고 인접하는 측벽 평면부(211a)를 연결하는 복수의 측벽 모서리부(211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 모서리부(211b)는 제1 경사각(θ1)을 가지며 경사질 수 있다.
하부 결합부(220)의 측벽(221)은 제2 경사각(θ1)을 가지며 경사질 수 있다. 이 때, 제1 경사각(θ1)과 제2 경사각(θ1)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결합부(210) 및 하부 결합부(220)는 인공 치근(FIX)의 다각 홈(F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300)는 코핑 본체(100)의 관통구(100a)를 관통할 수 있다. 스크류(300)는 스크류 본체(310), 그리고 스크류 본체(310)의 하단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나사부(320)는 인공 치근(FIX)의 암나사부(F2)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치근 결합부(200)와 인공 치근(FIX)간의 체결 시 코핑 본체(100) 및 치근 결합부(200)를 관통한 스크류(300)가 회전하여 인공 치근(FIX)과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스크류(300)가 회전하여 잠기면 완전히 체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스크류(300)가 잠기지 않으면 체결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은 스크류(300)를 이용하여 구강 내의 인공 치근(FIX)과 정확한 체결이 용이하므로, 인공 치근(FIX)과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평면상 육각 형상의 상부 결합부(210)와 평면상 원 형상의 하부 결합부(220)를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치아 모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헥사 구조의 지대주와 비헥사 구조의 지대주를 모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과 인공 치근(FIX)간의 체결 후 엑스 레이 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상 채득 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초보자들도 충분히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코핑 본체 200: 치근 결합부
210: 상부 결합부 220: 하부 결합부
300: 스크류 400: 코핑 헤드부
FIX: 인공 치근

Claims (6)

  1. 관통구를 가지는 코핑 본체;
    상기 코핑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며 인공 치근의 상단에 결합되는 치근 결합부;
    상기 코핑 본체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인공 치근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스크류;
    를 포함하고,
    상기 치근 결합부는
    상기 코핑 본체의 하부에 직접 연결되며 평면상 다각 형상을 가지는 상부 결합부; 및
    상기 상부 결합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평면상 원 형상을 가지는 하부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결합부의 측벽은 복수의 측벽 평면부, 그리고 인접하는 측벽 평면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측벽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벽 모서리부는 제1 경사각을 가지며 경사지며,
    상기 하부 결합부의 측벽은 제2 경사각을 가지며 경사지고, 상기 제1 경사각과 상기 제2 경사각은 동일한,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의 길이는 상기 하부 결합부의 길이보다 작은,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의 길이는 상기 하부 결합부의 길이의 절반인,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는 육각 형상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5. 삭제
  6. 삭제
KR1020230043275A 2023-04-03 2023-04-03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KR102580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275A KR102580491B1 (ko) 2023-04-03 2023-04-03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275A KR102580491B1 (ko) 2023-04-03 2023-04-03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491B1 true KR102580491B1 (ko) 2023-09-21

Family

ID=8818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275A KR102580491B1 (ko) 2023-04-03 2023-04-03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4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220A (ko) * 2001-11-01 2005-05-06 아스트라 테크 에이비 개량된 인상 제작용 컴포넌트
JP2008529572A (ja) * 2005-02-08 2008-08-07 バイオテクノロジー インスティチュート、アイ エムエーエス ディー、 エス.エル. 細い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関連する部品
KR20120086886A (ko) * 2011-01-27 2012-08-06 (주) 코웰메디 다기능성 임플란트용 마운트
JP2012517861A (ja) * 2009-02-13 2012-08-09 イートン メディカル エルエルシー インプラントと共に使用される構成要素、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20140118136A (ko) * 2013-03-28 2014-10-0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 임플란트용 티타늄금속계 다용도 지대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220A (ko) * 2001-11-01 2005-05-06 아스트라 테크 에이비 개량된 인상 제작용 컴포넌트
JP2008529572A (ja) * 2005-02-08 2008-08-07 バイオテクノロジー インスティチュート、アイ エムエーエス ディー、 エス.エル. 細い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関連する部品
JP2012517861A (ja) * 2009-02-13 2012-08-09 イートン メディカル エルエルシー インプラントと共に使用される構成要素、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20120086886A (ko) * 2011-01-27 2012-08-06 (주) 코웰메디 다기능성 임플란트용 마운트
KR20140118136A (ko) * 2013-03-28 2014-10-0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 임플란트용 티타늄금속계 다용도 지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1416A (en) Endosseous dental implant system for overdenture retention, crown and bridge support
US6325628B1 (en) Temporary implant components, system and method
US6283752B1 (en) Universal impression coping system
KR100841218B1 (ko) 임플란트 장치
JP2013517905A (ja) 歯科用プラットフォームのアセンブリ及び方法
KR101707905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2014516716A (ja) 2部材からなる歯科用部品
US20030044749A1 (en) Stable dental analog systems
US20090035721A1 (en)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ression-taking device assembly
CN106377329A (zh) 个性化多牙根磨牙种植体
US9877809B2 (en) Abutment system for immediate implants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KR10218129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KR102280897B1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580491B1 (ko) 하이브리드 임프레션 코핑
US20180280121A1 (e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KR20110022876A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및 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CN212261580U (zh) 贴骨人工牙体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255014B1 (ko)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RU2744713C2 (ru) Комплекс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KR20090005848U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11660168B2 (en)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