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258B1 - 제스처 인식 모듈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제스처 인식 모듈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258B1
KR102580258B1 KR1020180061918A KR20180061918A KR102580258B1 KR 102580258 B1 KR102580258 B1 KR 102580258B1 KR 1020180061918 A KR1020180061918 A KR 1020180061918A KR 20180061918 A KR20180061918 A KR 20180061918A KR 102580258 B1 KR102580258 B1 KR 102580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wireless
unlock
gesture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472A (ko
Inventor
스콧 패트릭 디베이츠
더글라스 라우트너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13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4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07C2009/003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and the lock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65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 G07C9/006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with switch-buttons
    • G07C9/00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with switch-buttons actuated in a predetermined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시스템은 제스처 인식 모듈을 포함하고 제스처 인식 모듈을 사용하여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기능 타입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선으로 무선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스처를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기능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게 하기 위해 코드를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Description

제스처 인식 모듈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WITH GESTURE RECOGNITION MODULE}
많은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어떤 방식으로든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관여하게 할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보안된 도어 또는 캐비닛 상의 록(lock)은 보안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보안된 도어 또는 캐비닛을 언록킹(unlock)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된 도어 또는 캐비닛으로의 액세스를 허용하고 언록킹하는 보안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보안 배지(security badge)를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보안 배지를 배지 판독기에 근접하게 스와이프(swipe)하여 도어를 언록킹할 수 있다. 그러나, 보안된 도어 또는 캐비닛을 언록킹하기 위한 이 기법은 사용자에게 보안 배지로 추가적인 불편한 모션들을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안 배지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이들은 물리적으로 이들의 포켓들을 살펴보거나 또는 보안 배지를 이들의 지갑으로부터 검색해야 할 수 있다. 그 후에, 사용자는 배지 판독기에 근접하게 보안 배지를 물리적으로 배치시켜야 한다. 이는 추가적인 시간이 걸리게 할 수 있고, 사용자가 급한 경우, 사용자를 지체시킬 수 있다.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또는 추가적인 물리적 관여를 요구한다.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의 실시예들이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동일한 번호들이 도면들에 도시되는 동일한 피처(feature)들 및 컴포넌트들을 지칭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스처들을 사용하여 무선 상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 환경을 예시한다.
도 2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구현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환경을 예시한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도어 록을 예시한다.
도 5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설명하는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6은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개관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 타입들을 구현하는 무선 디바이스, RFID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능 또는 기능 타입들을 구현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제스처 인식 모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들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선으로 무선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코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코드는 무선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야기하거나 또는 달리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스처 인식 모듈을 사용하여 제스처를 검출하고,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기능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게 하는 것, 예를 들어, 상기에 언급된 상태 변화를 야기하는 것에 유효한 코드를 RFID 디바이스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스처가 검출될 때, 코드가 송신되어 무선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유도하도록 제스처가 기능 타입과 연관된다. 이는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무선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관여하게 해야 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한 상태 변화는, 동작 상태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임의의 상태 변화에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도어, 캐비닛, 또는 다른 록킹가능 디바이스와 같은 보안된 물체인데, 이 보안된 물체는 그 보안된 물체로의 액세스를 허용 또는 거부하는 록과 같은 보안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구성되고,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록 - 이 경우에는, 무선 록 디바이스 - 으로부터 언록 패스코드(unlock passcode)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언록 제스처를 검출하고, 언록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를 언록킹하기 위해 언록 패스코드를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기능 타입은 무선 록 디바이스의 록킹/언록킹에 관련되고, 대응하는 상태 변화는 록킹된 상태로부터 언록킹된 상태로, 또는 언록킹된 상태로부터 록킹된 상태로의 전이 중 하나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는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무선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관여하게 해야 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의 피처들 및 개념들이 임의의 수의 상이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환경들, 및/또는 구성들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예시적인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예시적인 동작 환경
도 1은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에 대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 환경(100)을 예시한다. 예시적인 환경(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2) 및 무선 디바이스(104)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모션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센서들(106)을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제스처 인식 모듈(108)을 포함하는데, 이 제스처 인식 모듈(108)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웨어링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제스처가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센서들(106)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센서들(106)은,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가속도계(들), 자이로스코프(들), 힘 센서(들), 열 센서(들), 및 제스처 인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논의 목적들을 위해, 제스처 인식 모듈(108)은 단일 모듈로서 예시되지만, 제스처 인식 모듈(108)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또한 프로세싱 시스템 및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추가적인 다양한 컴포넌트들, 및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디바이스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수 및 조합의 컴포넌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환경(10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또한,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무선 디바이스(104)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112)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110)을 포함한다. 트랜시버들(110)은,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블루투스, Wi-Fi, 무선 주파수 식별(radio-frequency identification)(RFID), 셀룰러,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NFC) 등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04)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4)는,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액세스 코드와 같은 코드(114), 및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116)을 포함한다. 코드(114)는 무선 디바이스(104), 또는 그 무선 디바이스(104)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을 개시하도록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에 제공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104)에 의해 사용되고 일부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코드(114)는 무선 디바이스(104)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 송신될 수 있고, 일단 제스처 인식 모듈이 특정 제스처를 인식한다면, 코드(114)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04)로 재송신되어 그 특정 제스처 및 코드와 연관된 기능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는 인증 또는 검증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4)는 또한 프로세싱 시스템 및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추가적인 다양한 컴포넌트들, 및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디바이스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수 및 조합의 컴포넌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트랜시버들(116)은 무선 디바이스(104)가 코드(114)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에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112)을 가능하게 한다. 트랜시버들(116)은,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블루투스, Wi-Fi, RFID, 셀룰러, NFC 등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구현들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04)로부터 코드(114)를 수신하고 코드(114)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코드는 특정 제스처, 및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그 제스처와 연관된 기능과 연관되거나 또는 달리 그에 "맵핑"된다. 제스처 인식 모듈(108)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제스처를 검출할 때, 코드(114)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04)로 다시 송신 또는 재송신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부터 코드(114)를 다시 수신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는 그것이 제스처 및 코드와 연관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제 알게 된다.
다른 예에서, 환경(100)은 모바일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 웨어러블 디바이스(102), 및 무선 디바이스(104)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 및 무선 디바이스(104)와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트랜시버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트랜시버들은,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블루투스, Wi-Fi, 무선 주파수 식별(RFID), 셀룰러, 근거리 통신(NFC) 등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04)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프로세싱 시스템 및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추가적인 다양한 컴포넌트들, 및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디바이스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수 및 조합의 컴포넌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함께 동작하여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104)로부터 코드(114)를 수신하고 코드(114)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제스처 인식 모듈(108)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제스처를 검출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특정 제스처가 수행되었다는 표시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부터 수신하고, 표시에 응답하여, 코드(114)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04)로 다시 송신 또는 재송신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코드(114)를 다시 수신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104)는 제스처 및 코드와 연관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 환경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제 고려한다.
예시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도 2는 도 1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확대도를 예시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프로세서(들)(202)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204)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204) 상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로서 구체화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운영 체제(도시되지 않음)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서(들)(2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제스처 인식 모듈(108) 및 제어 모듈(20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스처 인식 모듈(108) 및 제어 모듈(206)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204) 상에 저장된다. 그러나, 제스처 인식 모듈(108) 및 제어 모듈(206)은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204) 상에 상주하는 것으로서 예시되지만, 제스처 인식 모듈(108) 및 제어 모듈(206)은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스처 인식 모듈(108)은 웨어링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제스처가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센서들(106)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센서들(106)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고, 모션은 제스처와 연관되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모션은,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에 후속하여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 그에 후속하여 제3의 상이한 방향으로의 또 다른 움직임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3개의 움직임들은 센서들(106)에 의해 감지된 후에 제스처 인식 모듈(108)에 의해 식별되어 특정 제스처와 연관될 수 있다.
제어 모듈(20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디바이스 컴포넌트들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6)은 특정 제스처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다는 표시를 제스처 인식 모듈(108)로부터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 후에, 제어 모듈(206)은 보안 정보(208), 예를 들어, 코드(114),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204)에 저장된 다른 정보를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트랜시버들(110)에게 지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6)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4)은 트랜시버들(110)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104)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에, 수신된 정보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204) 상에 저장되고, 상술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스처 인식 모듈(108) 및/또는 제어 모듈(206)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보안 정보(208)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104)와 연관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예를 계속하면, 무선 디바이스(104)에 의해 저장된 코드(114)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에 송신되고, 보안 정보(208)로서 저장 또는 유지된다. 추가적으로, 보안 정보(208)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와 무선 디바이스(104)의 페어링 정보, 공개/개인 암호화 키들, 사용자 크리덴셜(user credential)들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104)와의 통신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다양한 디바이스 컴포넌트들에 전력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와 같은 전원(210)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제스처들을 이제 고려한다.
동작 환경에서의 예시적인 제스처들
도 3a 및 도 3b는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에 대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 환경(300)을 예시한다. 예시적인 환경(300)은 도 1로부터의 무선 디바이스(104)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손목 밴드로서 도시됨)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무선 디바이스(104)에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도 3a를 고려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무선 디바이스(104)로부터 거리 D1에 있어서 거리 D1이 양측 모두의 디바이스들의 트랜시버들의 통신 범위(304) 내에 있다. 거리 D1은 무선 디바이스(104)가 코드(예를 들어, 코드(114))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에 통신하기 위한 제1 임계 거리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 및 무선 디바이스(104)는 각각 대략 10미터의 통신 범위를 전형적으로 갖는 블루투스 트랜시버를 구현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블루투스 통신 범위 내에 있을 때, 무선 디바이스(104)는 코드(114)를 블루투스 트랜시버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에 송신한다. 추가적으로, 무선 디바이스(104)는 코드(114)가 블루투스를 통해 송신될 때 무선 디바이스(104)의 메모리에 저장된 추가적인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에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블루투스를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104)에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무선 디바이스(104)로부터 거리 D1에 있거나 또는 그 내에 있을 때, 무선 디바이스(104)는 통신을 위해 디바이스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페어링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의 예를 계속하면, 무선 디바이스(104)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블루투스를 통해 이전에 페어링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고 디바이스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페어링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의 페어링은 임의의 적합한 블루투스 페어링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b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현재는 무선 디바이스(104)로부터 거리 D2에 있어서 거리 D2가 상이한 통신 범위 내에 있다. 통신 범위는 양측 모두의 디바이스들의 트랜시버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와 연관될 수도 있거나 또는 연관되지 않을 수도 있다. 거리 D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코드를 무선 디바이스(104)에게 다시 통신하기 위한 제2 임계 거리이고, 여기서 거리 D2는 거리 D1보다 더 작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수동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104)는 RFID 판독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4)의 RFID 판독기는 대략 1미터의 통신 범위를 전형적으로 갖는 유도식 커플링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RFID 태그와 통신하도록 구현된다. 유도식 커플링은 무선 디바이스(104)의 RFID 판독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RFID 태그에 전력공급하게 하고 그와 통신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거리 D1 및 거리 D2에서 통신하도록 동일한 타입의 트랜시버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D1 및 거리 D2에서 통신하기 위해 블루투스 트랜시버들이 각각의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거리 D1 및 거리 D2에서 통신하도록 RFID 트랜시버들이 각각의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104)로부터 코드를 수신한 후에, 사용자는 제스처를 실행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특정 제스처가 수행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거리 D2 내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센서들(106)을 통해 시계 방향 트위스팅 제스처(310) 및 반시계 방향 제스처(312)를 수행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스처를 수행하였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그 후에 무선 디바이스(104)로부터 수신된 코드를 RFID 태그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104)에게 다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4)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부터 코드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104) 또는 그 무선 디바이스(104)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디바이스 상에서 코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술된 바와 같은 손목 밴드보다는, 셔츠 또는 재킷의 슬리브 또는 커프스(cuff)와 같은 의류 물품에 내장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는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에 대해 의류 물품에 내장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104)는 각각 블루투스 트랜시버를 구현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무선 디바이스(104)로부터 거리 D1에 있을 때, 무선 디바이스(104)는 코드를 블루투스 트랜시버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통신한다. 추가적으로, 무선 디바이스(104)는 코드가 송신될 때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추가적인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104)에 송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수동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104)는 각각 RFID 판독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RFID 판독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RFID 태그와 통신하고 무선 디바이스(104)의 RFID 판독기와 통신하도록 구현된다.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무선 디바이스(104)로부터 거리 D2에 있을 때, 사용자는 제스처를 실행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특정 제스처가 수행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 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RFID 태그를 통해 제스처를 수행하였다는 표시를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통신할 수 있다.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후에 RFID 판독기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104)로부터 수신된 코드를 무선 디바이스(104)에게 다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4)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코드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104) 또는 그 무선 디바이스(104)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디바이스 상에서 코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04)는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들에서, 무선 디바이스(104)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제스처에 기초하여 언록킹 또는 록킹하는 도어 록이다. 도어 록의 형태의 하나의 그러한 무선 디바이스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예시적인 도어 록(400)은 프로세서(들)(402)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404)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404) 상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로서 구체화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운영 체제(도시되지 않음)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서(들)(4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어 록(400)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404)는 상태 변화 모듈(406) 및 보안 모듈(40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태 변화 모듈(406) 및 보안 모듈(408)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404) 상에 저장된다. 그러나, 상태 변화 모듈(406) 및 보안 모듈(408)은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404) 상에 상주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상태 변화 모듈(406) 및 보안 모듈(408)은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보안 모듈(408)은 코드들 또는 패스코드들을 생성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404)에 저장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상태 변화 모듈(406) 또는 다른 모듈(도시되지 않음)은 코드(114)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안 모듈(408)은 또한 코드(114)의 각각의 사용 후에 새로운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모듈(408)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코드를 확인한 후에, 보안 모듈(408)은 도어 록(400)을 언록킹/록킹하기 위한 새로운 코드를 생성하고 새로운 코드를 코드(114)로서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보안 모듈(408)은 다수의 상이한 코드들을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코드는 도어 록(400)의 특정 기능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보안 모듈(408)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언록 코드 및 록 코드를 생성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도어 록(400)의 언록 기능과 연관된 제스처(예를 들어, 도 3의 요소(310))를 수행하면, 도어 록(4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언록 코드를 수신한다. 이와 달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도어 록(400)의 록 기능과 연관된 다른 제스처(예를 들어, 도 3의 요소(312))를 수행하면, 도어 록(4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록 코드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언록 코드 또는 록 코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보안 모듈(408)은 새로운 언록 코드 또는 새로운 록 코드를 생성 및 저장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보안 모듈(408)은 또한 통신을 위해 도어 록(400)을 디바이스들과 페어링하기 위한 페어링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모듈(408)은 도어 록(4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02) 사이의 보안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암호화 키들을 생성한다. 암호화 키들은 특정 무선 사양(예를 들어, 블루투스 사양 v1.1 또는 더 새로운 것)에 따르는 공개/개인 키들 또는 임의의 적합한 암호화 키들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트랜시버들(420) 중 하나는 도어 록(4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02) 사이의 보안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암호화 키들을 생성하고, 보안 모듈(408)은 하나의 트랜시버로부터 암호화 키들을 획득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404)에 저장한다.
상태 변화 모듈(406)은 정보를 디바이스 정보(410)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404)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변화 모듈(406)은 도어 록(400)의 록 메커니즘(412)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고, 록 상태(414)로서 록 메커니즘(412)의 스테이터스(status)를 표시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록 상태(414)는 도어 록(400)의 록 메커니즘(412)이 록킹되어 있는지 또는 언록킹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어 록(4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코드(114)를 수신 및 인증하고, 록 메커니즘(412)이 록킹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록 상태(414)에 기초하여, 상태 변화 모듈은 록 상태(414)를 언록킹하고 업데이트하라고 록 메커니즘(412)에게 지시한다. 대안적으로, 현재 록 상태(414)가 록 메커니즘(412)이 언록킹되어 있음을 표시하면, 상태 변화 모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코드(114)를 수신 및 인증하는 것에 응답하여 록킹하라고 록 메커니즘(412)에게 지시한다.
디바이스 정보(410)는 또한 도어 록(400)의 핸들(418)과 연관된 핸들의 타입을 표시하는 핸들 타입(416)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418)과 록 메커니즘(412)은 기능적으로 분리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록 메커니즘(412)이 록킹되어 있고, 사용자가 핸들(418)을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하려고 시도하면, 사용자가 핸들(418)을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다. 도어 언록킹의 기능은 도어 록(400)의 록 메커니즘(412)에 의해 제어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핸들(418)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하향의 시계 방향의 회전을 요구하는 레버 타입 핸들이다. 도어 록(400)을 위한 다른 타입들의 핸들들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418)이 예시된 바와 같은 레버 타입 핸들인 것보다는, 핸들(418)은 노브(knob) 타입 핸들일 수 있고 핸들 타입(416)은 핸들(418)이 노브 타입 핸들임을 표시한다. 다른 예에서, 도어 록(400)은 어떠한 핸들도 갖고 있지 않은 전력공급형 슬라이딩 도어 상에서 구현되고, 핸들 타입은 도어 록(400)이 어떠한 핸들도 갖고 있지 않음을 표시할 수 있다.
록 상태(414) 및/또는 핸들 타입(41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록(4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도어 록(400)의 블루투스 통신 범위(예를 들어, 거리 D1) 내에 있을 때 블루투스를 통해 코드(114)를 록 상태(414) 및/또는 핸들 타입(416)과 함께 트랜시버들(420)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에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록 상태(414) 및/또는 핸들 타입(41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도어 록(400) 사이의 페어링 프로세스 동안, 또는 추가적인 통신 트랜잭션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어떠한 제스처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 하여금 코드(114)를 도어 록(400)에 다시 송신하게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로서 도어 록(4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활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제스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코드(114)를 도어 록(400)에 송신하는 트리거 이벤트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도어 록(4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도어 록(400)과 연관된 핸들 타입(416)이 레버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도어를 언록킹하는 것과 연관되는 제스처 타입에 맵핑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도어 록을 언록킹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 하여금 코드(114)를 무선 디바이스(102)에 다시 송신하게 하는 특정 제스처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로서 핸들 타입(416)을 활용할 수 있다. 이 특정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하향 회전 모션이 레버 핸들을 갖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전형적인 모션이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사용자가 하향 회전 모션을 수행할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하향 회전 모션을 검출하고, 그 결과, 도어 록을 언록킹하기 위해 코드(114)를 도어 록(400)에 다시 송신한다. 도어 록(400)은 생성 및/또는 저장된 코드에 대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부터 수신된 코드를 검증한다. 수신된 코드가 확인 및 매칭되면, 도어 록(400)은 도어를 언록킹한다. 코드가 확인되지 않으면, 도어 록(400)은 록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많은 경우들에서, 이들이 도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기 전에 도어가 언록킹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어 록(4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도어 록과 연관된 핸들 타입(416)이 노브임을 표시할 수 있다. 그 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트위스팅 모션이 노브 핸들을 갖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전형적인 모션이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사용자가 트위스팅 모션을 수행할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트위스팅 모션을 검출하고 도어 록을 언록킹하기 위해 코드(114)를 도어 록(400)에 다시 송신한다.
또 다른 예에서, 도어 록(400)은 슬라이딩 도어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도어 록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도어 록과 연관된 핸들 타입이 슬라이딩 도어 핸들이거나 또는 핸들이 전혀 없음을 표시한다. 그 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사용자의 손의 수평 스와이프 모션이 코드(114)가 도어 록(400)에 송신되게 할 것이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사용자가 수평 스와이프 모션을 수행할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수평 스와이프 모션을 검출하고 도어 록을 언록킹하기 위해 코드(114)를 도어 록(400)에 다시 송신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도어 록(400)의 핸들(418)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고, 도어가 록킹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어를 전형적으로 개방하는 모션을 핸들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핸들에 대한 이 모션을 검출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션이 도어 록을 언록킹하기 위한 제스처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스처는 사용자가 도어 핸들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할 때 도어를 언록킹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핸들과의 어떠한 상호작용 없이 공중에서 동일한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동일한 모션을 검출하여 도어가 언록킹되게 할 수 있다.
구현들에서, 도어 록(400)은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록(400)은 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부터 유효한 코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도어 록을 언록킹한 후에, 도어 록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재송신된 코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04)는 차량의 엔진을 시동 또는 정지시키는 차량의 점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점화 디바이스는 차량을 시동/정지시키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에 의해 활용될 수 있는 코드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이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점화 디바이스는 점화 디바이스와 연관된 점화 상태 및 점화 타입을 포함하는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화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점화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통신 범위(예를 들어, 거리 D1) 내에 있을 때 코드 및/또는 정보를 블루투스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에게 통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어떠한 제스처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 하여금 코드를 점화 디바이스에 다시 송신하게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로서 점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점화 디바이스에 보다 가까이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가 RFID 통신 범위(예를 들어, 거리 D2) 내에 있는 동안 시계 방향 트위스팅 제스처(310) 또는 다른 적합한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점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제스처가 차량을 시동하기 위한 적절한 제스처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계 방향 트위스팅 제스처(310)를 수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차량을 시동하기 위해 코드를 점화 디바이스에 다시 송신할 수 있다. 점화 디바이스는 생성/저장된 코드에 대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로부터 수신된 코드를 검증할 수 있다. 수신된 코드가 확인 및 매칭되면, 점화 디바이스가 차량을 시동할 수 있다. 코드가 확인되지 않으면, 점화 디바이스가 차량을 시동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제스처들 및 동작 환경들을 고려하여, 상술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채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를 이제 고려한다.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에 대한 예시적인 기법들
도 5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의 예시적인 방법(500)을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서비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방법들, 및/또는 동작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를 들어, 고정 로직 회로부), 수동 프로세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들의 일부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해 로컬 및/또는 원격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메모리 상에 저장되는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고, 구현들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프로그램들, 함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들, 예컨대, 그리고 제한 없이,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FPGA)들,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들, 주문형 표준 제품(Application-specific Standard Product)(ASSP)들, 시스템-온-칩 시스템(System-on-a-chip system)(SoC)들, 복합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CPLD)들 등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이 설명되는 순서는 제한으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임의의 수 또는 조합의 설명된 방법 동작들은 방법, 또는 대안적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예시된 다이어그램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지정되고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무선 디바이스"로 지정된다.
동작들은 사용자가 상술된 것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단계 504에서, (상기의) 무선 디바이스(104)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진다. 무선 디바이스(104)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블루투스, Wi-Fi, RFID, 셀룰러, NFC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이 무선 디바이스(104)를 검출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4)가 검출되지 않으면(즉, "아니오" 브랜치), 동작들은 504로 되돌아가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스캐닝을 계속한다. 대안적인 예에서, 504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504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검출될 때(즉, 504로부터의 "예" 브랜치), 그러면 506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신뢰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디바이스들이 이전에 페어링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진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신뢰되지 않으면(즉, 506으로부터의 "아니오" 브랜치), 508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한다. 페어링은 디바이스들 사이의 보안 통신(예를 들어, 암호화된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디바이스들 사이의 보안 키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공개 키들을 교환할 수 있어서, 다른 디바이스의 공개 키로 암호화되는 각각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송신들이 다른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개인 키로만 단지 암호화해제될 수 있다. 51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무선 디바이스(104)와 페어링하거나 또는 달리 신뢰 관계를 확립한다. 상기의 대안적인 예를 계속하면, 506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신뢰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디바이스들이 이전에 페어링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진다. 무선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는 공개 키들을 교환할 수 있어서, 다른 디바이스의 공개 키로 암호화되는 각각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송신들이 다른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개인 키로만 단지 암호화해제될 수 있다. 5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104)와 페어링하거나 또는 달리 신뢰 관계를 확립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신뢰되면(즉, 506으로부터의 "예" 브랜치) 또는 510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무선 디바이스의 페어링 후에, 512에서, 코드(예를 들어, 코드(114))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코드(114)는 보안 정보(208)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다. 상기의 대안적인 예를 계속하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신뢰되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디바이스의 페어링 후에, 512에서, 코드(예를 들어, 코드(114))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514에서, 코드가 수신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저장된 후에, 제스처가 수행되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진다. 제스처가 수행되는 것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션, 포지션, 가속도, 방향 변화들 등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즉, 센서들)이 채용될 수 있다.
제스처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지 않으면(즉, 514로부터의 "아니오" 브랜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스처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지 또는 제스처가 수행되기를 단순히 기다리는지 여부를 계속 결정한다.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514에서의 프로세스를 반복하고 사용자가 무선 디바이스의 검출 범위 외측으로 이동하는 조건이 있을 수 있다. 이 조건을 해결하기 위해, 방법은 504에서 재시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스처가 수행되면(즉, 514로부터의 "예" 브랜치), 516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512에서 수신된 코드를 무선 디바이스에 다시 송신한다. 상기의 대안적인 예를 계속하면, 제스처가 수행되면, 516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는 제스처가 수행된다는 표시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그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의 표시에 응답하여 코드를 무선 디바이스에 다시 송신한다.
518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재송신된 코드를 수신하고, 코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 자체와 연관된,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디바이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을 고려하여, 상술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채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제스처들 및 동작 환경들을 이제 고려한다.
예시적인 디바이스
도 6은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바이스(6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예시적인 디바이스(600)는, 임의의 타입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팅, 통신, 엔터테인먼트, 게이밍, 미디어 재생, 및/또는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와 같은, 이전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컴퓨팅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104)는 예시적인 디바이스(600)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600)는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디바이스 데이터(604)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트랜시버들(602)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 데이터는 임의의 타입의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트랜시버들은 다양한 IEEE 802.15(블루투스TM) 표준들을 준수하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 라디오들, 다양한 IEEE 802.11(WiFiTM) 표준들 중 임의의 것을 준수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라디오들, 셀룰러 폰 통신을 위한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 라디오들, 다양한 IEEE 802.16(WiMAXTM) 표준들을 준수하는 무선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WMAN) 라디오들, 및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유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이더넷 트랜시버들을 포함한다.
디바이스(600)는 또한, 디바이스로의 사용자 선택가능 입력들, 메시지들, 음악, 텔레비전 콘텐츠, 레코딩된 콘텐츠, 및 임의의 콘텐츠 및/또는 데이터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데이터, 미디어 콘텐츠, 및/또는 입력들이 수신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입력 포트들(606)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포트들은 USB 포트들, 동축 케이블 포트들, 및 플래시 메모리, DVD들, CD들 등을 위한 다른 직렬 또는 병렬 커넥터들(내부 커넥터들을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 포트들은 디바이스를 임의의 타입의 컴포넌트들, 주변 기기들, 또는 액세서리들 예컨대 마이크로폰들 및/또는 카메라들에 커플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600)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프로세싱하는 시스템-온-칩(SoC)으로서 구현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 시스템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예를 들어, 임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등)의 프로세싱 시스템(608)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시스템은 하드웨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하드웨어는 집적 회로 또는 온-칩 시스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복합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CPLD), 및 실리콘 및/또는 다른 하드웨어의 다른 구현들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디바이스는 610에서 일반적으로 식별되는 프로세싱 및 제어 회로들과 관련하여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고정 로직 회로부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600)는 디바이스 내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커플링하는 임의의 타입의 시스템 버스 또는 다른 데이터 및 커맨드 전송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는 제어 및 데이터 라인들뿐만 아니라 상이한 버스 구조체들 및 아키텍처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600)는 또한, 데이터 및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프로그램들, 함수들 등)의 지속적 저장을 제공하고,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과 같이 데이터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메모리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들(612)을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메모리(612)의 예들로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고정식 및 착탈식 매체 디바이스들, 및 컴퓨팅 디바이스 액세스를 위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임의의 적합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전자 데이터 스토리지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및 다양한 메모리 디바이스 구성들의 다른 타입들의 저장 매체들의 다양한 구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600)는 또한 대용량 저장 매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메모리는 디바이스 데이터(604), 다른 타입들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및 다양한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들(614)(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메커니즘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운영 체제(616)는 메모리 디바이스에서의 소프트웨어 명령어들로서 유지되고 프로세싱 시스템(60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들은 또한 임의의 형태의 제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신호 프로세싱 및 제어 모듈, 특정 디바이스에 고유한 코드,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등과 같은 디바이스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디바이스(6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제스처 인식 모듈(618), 제어 모듈(620), 상태 변화 모듈(622), 및/또는 보안 모듈(624)을 포함하고, 디바이스(600)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2)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104)로서 구현될 때와 같이, 하드웨어 컴포넌트들로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스처 인식 모듈(618)의 예는 제스처 인식 모듈(108)이고, 제어 모듈(620)의 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2)에 의해 구현되는 제어 모듈(206)이다. 상태 변화 모듈(622)의 예는 상태 변화 모듈(406)이고, 보안 모듈(624)의 예는 도어 록(400) 또는 무선 디바이스(104)에 의해 구현되는 보안 모듈(408)이다.
디바이스(600)는 또한 도어 록(400)에서 구현되는 록 메커니즘(412)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록 메커니즘(626)을 포함한다.
디바이스(600)는 또한 오디오 시스템(630)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632)을 위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프로세싱 시스템(628)을 포함한다. 오디오 시스템 및/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오디오, 비디오, 디스플레이,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 디스플레이, 및/또는 달리 렌더링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들은 RF(무선 주파수) 링크, S-비디오 링크, HDMI(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복합 비디오 링크, 컴포넌트 비디오 링크, DVI(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 아날로그 오디오 커넥션, 또는 다른 유사한 통신 링크, 예컨대 미디어 데이터 포트(634)를 통해 오디오 컴포넌트에게 및/또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게 통신될 수 있다. 구현들에서, 오디오 시스템 및/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통합된 컴포넌트들이다. 대안적으로, 오디오 시스템 및/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예시적인 디바이스에 대한 외부의 주변 컴포넌트들이다.
디바이스(600)는 또한,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때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전원들(63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들은 충전 및/또는 전력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플렉서블 스트립 배터리, 재충전가능 배터리, 충전식 수퍼-커패시터, 및/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능동 또는 수동 전원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스처들을 사용하는 무선으로 유도된 상태 변화의 실시예들이 피처들 및/또는 방법들에 특정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는 설명된 특정 피처들 또는 방법들로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특정 피처들 및 방법들은 예시적인 구현들로서 개시되고, 다른 동등한 피처들 및 방법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로, 다양한 상이한 실시예들이 설명되고, 각각의 설명된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설명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2)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무선 록 디바이스(wireless lock device)로부터의 언록 패스코드(unlock passcode),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와 연관된 핸들 타입, 및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가 록킹되어 있는지 또는 언록킹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록 스테이터스(lock status)를 포함함 -;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언록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핸들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언록 제스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언록 제스처를 결정하는 것과 상기 록 스테이터스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를 언록킹하고 상기 록 스테이터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언록 패스코드를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전에 페어링되지 않았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전에 페어링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언록 패스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 밴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 제스처는 핸들 선회 모션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RFID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언록 제스처는 도어 핸들 선회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RFID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
  9.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
    무선 록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트랜시버; 및
    통신 버스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 및 상기 무선 트랜시버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상기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정보는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로부터의 언록 패스코드,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와 연관된 핸들 타입, 및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가 록킹되어 있는지 또는 언록킹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록 스테이터스를 포함함 -;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언록 제스처를 검출하고;
    상기 핸들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언록 제스처를 결정하고;
    상기 특정 언록 제스처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를 언록킹하고 상기 록 스테이터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언록 패스코드를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전에 페어링되지 않았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전에 페어링되었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언록 패스코드를 수신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 밴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 제스처는 핸들 선회 모션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언록 제스처는 도어 핸들 선회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RFID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6. 시스템으로서,
    제스처 인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인식 모듈을 사용하여 특정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기능 타입들을 구현하는 무선 디바이스; 및
    RFID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언록 패스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핸들 타입을 획득하고;
    상기 특정 제스처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검출된다는 표시를 상기 핸들 타입에 기초하여 수신하고;
    상기 특정 제스처가 검출된다는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게 하는 것에 유효한 상기 언록 패스코드를 상기 RFID 디바이스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타입들 중 상기 하나는 언록킹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의류 물품에 내장되는,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제스처는 트위스팅 제스처를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타입들 중 상기 하나는 언록킹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제스처는 트위스팅 제스처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 밴드를 포함하는,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새로운 언록 패스코드가 상기 언록 패스코드의 각각의 사용 후에 생성되고 상기 무선 록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 패스코드의 각각의 사용 후에 새로운 언록 패스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언록 패스코드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80061918A 2017-05-30 2018-05-30 제스처 인식 모듈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580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08,867 US10108272B1 (en) 2017-05-30 2017-05-30 Wearable device with gesture recognition module
US15/608,867 201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72A KR20180131472A (ko) 2018-12-10
KR102580258B1 true KR102580258B1 (ko) 2023-09-20

Family

ID=6383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918A KR102580258B1 (ko) 2017-05-30 2018-05-30 제스처 인식 모듈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108272B1 (ko)
KR (1) KR102580258B1 (ko)
CN (1) CN1089862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1087B2 (en) 2005-03-16 2020-07-21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for networked touchscreen with integrated interfaces
US11343380B2 (en) 2004-03-16 2022-05-2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automation
US10237237B2 (en) 2007-06-12 2019-03-1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20050216302A1 (en) 2004-03-16 2005-09-29 Icontrol Networks, Inc. Business method for premises management
US11244545B2 (en) 2004-03-16 2022-02-0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10127802B2 (en) 2010-09-28 2018-11-13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th parallel processing architecture
US11916870B2 (en) 2004-03-16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US11811845B2 (en) 2004-03-16 2023-11-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20120324566A1 (en) 2005-03-16 2012-12-20 Marc Baum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7633385B2 (en) 2007-02-28 2009-12-15 Ucontro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d controlling an alarm system from a remote server
US11212192B2 (en) 2007-06-12 2021-12-28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831462B2 (en) 2007-08-24 2023-11-28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ling data routing in premises management systems
US11916928B2 (en) 2008-01-24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20170185278A1 (en) * 2008-08-11 2017-06-29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US11758026B2 (en) 2008-08-11 2023-09-12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1792036B2 (en) 2008-08-11 2023-10-17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US8638211B2 (en) 2009-04-30 2014-01-28 Icontrol Networks, Inc. Configurable controller and interface for home SMA, phone and multimedia
US8836467B1 (en) 2010-09-28 2014-09-16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ed reporting of account and sensor zone information to a central station
US11405463B2 (en) 2014-03-03 2022-08-0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US10108272B1 (en) 2017-05-30 2018-10-23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device with gesture recognition module
US10599826B2 (en) * 2017-09-05 2020-03-24 OpenPath Security Inc. Decoupled authorization for restricted resource access
US10299304B1 (en) * 2017-11-15 2019-05-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ly communicating a status of a wireless technology device to a non-paired device
CN110415391B (zh) * 2018-04-27 2024-03-05 开利公司 使用可佩戴设备的无缝进入控制系统
US10380813B1 (en) * 2018-07-19 2019-08-13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otion pattern of a user for authentication
EP3894996B1 (en) * 2018-12-14 2023-08-23 Carrier Corporation Gesture based security system
CN110022252A (zh) * 2019-05-14 2019-07-16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RFID和蓝牙mesh的智能开关控制系统
CN112150682A (zh) * 2019-06-27 2020-12-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智能门禁卡、智能门锁终端及智能门禁卡识别方法
US20210011993A1 (en) * 2019-07-08 2021-01-14 ViaBlitz Inc. Device Rotational Control of Applications
CN110751758B (zh) * 2019-09-29 2021-10-12 湖北美和易思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锁系统
US11562054B2 (en) * 2020-04-03 2023-01-24 Proxy, Inc. Authorized gesture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CN112158151A (zh) * 2020-10-08 2021-01-01 南昌智能新能源汽车研究院 一种基于5g网络的自动驾驶汽车手势控制系统及其方法
KR20220059975A (ko) * 2020-11-02 2022-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3361450A (zh) * 2021-06-24 2021-09-07 上海鼎算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rfid的活动序列识别方法、系统、介质及终端
CN113641967B (zh) * 2021-07-08 2022-08-30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解锁终端设备的方法及通信系统
US11835008B1 (en) * 2023-01-12 2023-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and engine exhaust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1265B2 (en) * 2002-06-11 2017-07-11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martphone-based vehicle control methods
US7983450B2 (en) * 2009-03-16 2011-07-19 The Boeing Compan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cognizing a gesture
US20160086391A1 (en) * 2012-03-14 2016-03-24 Autoconnect Holdings Llc Fleetwide vehicle telematics systems and methods
US9921661B2 (en) * 2012-10-14 2018-03-20 Neonode Inc. Optical proximity sensor and associated user interface
CN103661245A (zh) * 2013-11-29 2014-03-26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检测装置及设备
US9666005B2 (en) * 2014-02-14 2017-05-30 Infinitekey,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US9690387B2 (en) * 2014-06-13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mputing system in communication with a wearable device
US9986086B2 (en) * 2014-07-3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60016490A (ko)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92419B1 (ko) * 2014-09-11 202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6155297B (zh) * 2015-04-20 2019-06-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解锁方法和设备
US9533653B2 (en) * 2015-05-29 2017-01-0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egating control of vehicle features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015114A (ko) * 2015-07-30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 제어 방법
US9939910B2 (en) * 2015-12-22 2018-04-10 Intel Corporation Dynamic effects processing and communications for wearable devices
US9939913B2 (en) * 2016-01-04 2018-04-10 Sphero, Inc. Smart home control using modular sensing device
CN206128889U (zh) * 2016-03-01 2017-04-26 河南久匀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无钥匙开启的智能门锁
WO2017176618A1 (en) * 2016-04-04 2017-10-12 Analog Devices, Inc. Wireless keyless entry systems and methods
CN106445145A (zh) * 2016-09-27 2017-02-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识别手势的方法及穿戴式电子设备
CN106682480A (zh) * 2016-11-29 2017-05-17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解密系统及方法、智能穿戴设备和智能移动终端
US10108272B1 (en) 2017-05-30 2018-10-23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device with gesture recognition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91221B2 (en) 2020-06-23
US20190025935A1 (en) 2019-01-24
KR20180131472A (ko) 2018-12-10
US10108272B1 (en) 2018-10-23
CN108986259A (zh)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0258B1 (ko) 제스처 인식 모듈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EP3215973B1 (en) Distributing biometric authentication between devices in an ad hoc network
US10115252B2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and access control method
KR102192419B1 (ko)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7667043B (zh) 用于将对车辆特征的控制授权给可穿戴电子装置的系统和方法
TWI602048B (zh) 使用者認證裝置
US20140279528A1 (en) Wearable Authentication Device
US9870663B2 (en) Authentication of a user provided with a mobile device by a vehicle
CN114501363A (zh) 用于车辆的被动进入/被动启动系统以及方法
US11463449B2 (en) Authentication for key access
US11044611B2 (en) Authentication for device access
CN109479063B (zh) 使用端到端安全元件通信的嵌入式系统的授权控制
KR102301742B1 (ko) 키패드 없는 스마트 도어락 키 등록 및 사용방법과 그 출입관리 시스템
WO2013123453A1 (en) Data storag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210279307A1 (en) Method for the secure interaction of a user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further entity
US11636720B2 (en) Authentication system
US11849550B2 (en) Portable dock for electronic key retention devices
US11640453B2 (en) User authentication facilitated by an additional device
JP6633401B2 (ja) 電子錠システム
US11063929B2 (en) Body area network for authentication and service provision
KR20240078788A (ko) Uwb를 이용한 디지털 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