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218B1 - 혹한기 응급 키트 - Google Patents

혹한기 응급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218B1
KR102580218B1 KR1020230057721A KR20230057721A KR102580218B1 KR 102580218 B1 KR102580218 B1 KR 102580218B1 KR 1020230057721 A KR1020230057721 A KR 1020230057721A KR 20230057721 A KR20230057721 A KR 20230057721A KR 102580218 B1 KR102580218 B1 KR 102580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emergency kit
bag
emergency
blan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세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세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세이프
Priority to KR102023005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7/00First-aid k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97Blankets with active heating or cooling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77Other details of hot water bottles, heat packs or cold pa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혹한기 응급 키트는, 지퍼를 매개로 개폐 가능한 상태에서, 외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복수 개의 주머니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주머니에 각각 수용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핫팩과 상기 핫팩을 수용하는 보온백을 포함한 보온백 어셈블리;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 가능한 것으로, 대상자가 깔고 앉는 에어 매트; 대상자의 신체를 감싸는 보온 담요를 포함한 보온 담요 어셈블리; 핫팩과 두건을 포함한 두부(頭部) 보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폭염 대비용 응급 키트에 의하면, 핫팩, 보온포, 에어 매트, 두건과 같이 복합적인 혹한기 대비 응급 용품을 케이스에 안정적이면서 소형 사이즈로 보관하여 전문적인 응급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물론 운반과 휴대의 편의성을 겸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혹한기 응급 키트{First aid kit for Cold weather}
본 발명은 혹한기 응급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종래에 핫팩을 제공하는 정도의 단순한 처치 방법을 넘어서 상당히 전문적이면서 신속한 처치 과정을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처치 과정을 순서에 맞게 자세히 알려줌으로써 초보자라도 쉽게 처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 내에 다양한 세부 구성품을 보관하여 운반 및 휴대의 편의성도 겸비하는 혹한기 전문 대비용 응급 키트에 관한 것이다.
추운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 야외훈련을 하는 군인, 운동선수, 야외 노동자와 같이 추위에 노출된 대상자는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질환은 떨림, 소름과 같은 가벼운 증상부터 동상이나 저체온증과 같이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증상까지 다양한 양태로 발현될 수 있다.
저체온증은 떨림, 현기증과 같은 경미한 증세에서 호흡이 느려지고 맥박이 약해지면서 동공이 확장되거나 의식을 잃는 심각한 증세까지 다양한 증상이 발현될 수 있고, 동상 역시 간지럼을 느끼는 것부터 심할 경우 절단까지 이를 정도로 심각한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이같이 추위에 노출될 때는 여러 겹으로 적절하게 옷을 입히고 사지를 가리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냉기에 노출되는 상태를 피하는 등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고, 상황에 맞추어 응급 처치를 취할 필요성이 따른다.
국내 특허 제 1477612호인 휴대용 저체온증 치료기는, 각각이 열전 소자를 포함하여 신체의 일부를 냉각하는 복수의 냉각모듈들을 포함하는 패드부; 신체에 접촉되어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센서; 및 상기 체온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열전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저체온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모듈들 각각은, 상기 열전소자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신체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와의 사이에 상기 열전 소자가 배치되며, 사이 열전 소자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열을 발산시키는 열발산부; 및 상기 열전 소자와 상기 접착부 사이에 배치되고 열전도도가 우수한 전열부; 및 상기 열전 소자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기 전열부와 상기 열발산부 사이에 배치된 단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전열부 방향으로 흡열하며 상기 열발산부 방향으로 발열하여, 상기 열발산부에서는 외부로 열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단순히 대상자에게 온열을 발생하는 접착부만을 제공하는데 이는 핫팩을 여러 개 부착한 것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역할을 제공하는 것에 그쳐 동상에 취약한 손과 발을 우선적으로 보호하거나 냉기로부터 대상자의 머리나 몸통을 차단하는 기본적인 기능조차 원활하게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전문적이면서 신속한 처치 과정을 추위에 노출된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처치 과정을 순서에 맞게 자세히 알려줌으로써 초보자라도 쉽게 처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 내에 다양한 세부 구성품을 보관하여 운반 및 휴대의 편의성도 겸비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혹한기 대비용 응급 키트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 제 1477612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문적이면서 신속한 처치 과정을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처치 과정을 순서에 맞게 자세히 알려줌으로써 초보자라도 쉽게 처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 내에 다양한 세부 구성품을 보관하여 운반 및 휴대의 편의성도 겸비하는 혹한기 대비용 응급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핫팩, 보온포, 에어 매트, 두건과 같이 복합적인 대처를 수행할 수 있는 세부 구성품을 비교적 소형 케이스 내부에 깔끔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과 대상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하는 에어 매트에 방오 및 내마모 등의 복합적인 성능을 강화하여 위생과 재사용 환경을 강화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혹한기 응급 키트는, 지퍼를 매개로 개폐 가능한 상태에서, 외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복수 개의 주머니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주머니에 각각 수용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핫팩과 상기 핫팩을 수용하는 보온백을 포함한 보온백 어셈블리;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 가능한 것으로, 대상자가 깔고 앉는 에어 매트; 대상자의 신체를 감싸는 보온 담요를 포함한 보온 담요 어셈블리; 핫팩과 두건을 포함한 두부(頭部) 보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머니는, 전면 부위가 망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에어 매트의 표면에는, 폴리(글리세롤세바케이트)((Poly(glycerol sebacate), PGS) 및 폴리피롤(polypyrole)과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를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층이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폭염 대비용 응급 키트에 의하면,
1) 핫팩, 보온포, 에어 매트, 두건과 같이 복합적인 혹한기 대비 응급 용품을 케이스에 안정적이면서 소형 사이즈로 보관하여 전문적인 응급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물론 운반과 휴대의 편의성을 겸비할 수 있고,
2) 응급 처리 과정을 알기 쉽게 기록하여 초보자라도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응급 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3) 야외 바닥과 대상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하여 특히 위생이나 방오성을 강화해야 하는 에어 매트에 기능성 코팅층을 코팅 처리하여 위생 및 방오/내마모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응급 키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에서 내부 구성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머니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온백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온 담요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두부 보온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응급 키트의 세부 구성품을 활용하여 응급 처리를 수행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응급 처리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응급 키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스를 개방한 상태에서 내부 구성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특히 강추위나 혹한, 찬바람에 의해 휴식이나 치료가 필요한 환자, 즉 대상자를 응급 처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추위에 노출된 대상자는 동상이나 오한, 저체온증, 레이노 현상, 한랭 두드러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자는 바람과 물기를 막은 따뜻한 환경에서 최대한 몸을 움츠려 체온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여러 조치가 필요하다.
즉, 본 발명의 혹한기 응급 키트는 상술한 다양한 응급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여러 구성품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된 복수 개의 내부 구성품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10)는 천 가방과 유사한 구조를 취한 상태에서 일 측(상부)에 손잡이(13)를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케이스(10)의 전면 부위에는 '혹한기 응급키트'라는 문구가 부착/인쇄되어 해당 케이스(10)의 폭염 대비/처지 용도를 명확하게 알려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이 케이스(10)를 찾거나 식별하도록 한다.
케이스(10)는 지퍼(11)를 매개로 개폐가 가능한데, 케이스(10)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지퍼(11)를 개방하면 내측에 복수 개의 주머니(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주머니(20) 각각에 후술할 다양한 내부 구성품이 수용되어 있다.
즉, 케이스(10)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 후 지퍼(11)를 잠근 다음 돌돌 말거나 접어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내부 구성품은 주머니(20)에 각각 수용되어 있고 각각의 주머니(20)의 전면에는 해당 내부 구성품의 사용 용도와 방법에 대한 문구가 기록되어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도 알기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춘다.
주머니(20)는 이름 그대로 내부 구성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현재 공지된 다양한 재질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지만 응급 처치의 신속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를 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머니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머니(20)는 전면 부위가 망체(21)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지퍼(22)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주머니(20)의 전면 부위가 망체(21)로 이루어져 내부 구성품이 지퍼(22)를 열지 않아도 곧바로 식별 가능하고 망체(21)의 일 측에는 상술한 문구, 즉 내부 구성품의 사용 용도와 방법에 대한 문구가 기록된 시트가 부착되어 있다.
더불어, 지퍼(22)를 통해 주머니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각 내부 구성품을 해당 주머니(20)에 수용한 다음 지퍼(22)를 통해 닫을 수 있어, 내부 구성품이 케이스(10) 내부에서 서로 엉키거나 섞이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케이스(10)에 포함된 세부 구성품에 대한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온백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보온백 어셈블리(100)는 복수 개의 핫팩(110)과, 이 핫팩(110)을 수용하는 보온백(120)을 포함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때, 핫팩(110)은 내부에 수용된 발열체에 충격을 가하면 발열체가 열을 발생하는 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일회용 핫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회용 핫팩은 외피와 이 외피 내부에 물주머니 및 발열체를 포함한 것으로서, 충격을 가하여 물주머니를 터트려 물이 발열체와 혼합하도록 한 다음 발열체와 물의 혼합 과정에서 열을 발생하여 뜨거워지는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이때, 발열체는 융해열이 높은 것으로 잘 알려진 아세트산나트륨으로 이루어져 물주머니의 물과 혼합하면서 결정화되는 과정에서 발열 반응을 하고 이 발열 반응에서 저장된 열을 방출한다.
더불어, 물주머니의 물은 혼합물을 희석하여 발열 반응을 완화하여 피부에 순간적인 고열을 제공함으로 화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온백(120)은 대상자의 손이나 발을 감싸는 주머니 형태의 백으로서, 상술한 핫팩(110)을 활성화(물주머니를 터트려 발열 반응을 촉진)시킨 상태에서 수용한 다음 손이나 발을 감싸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보온백 어셈블리(100)는 복수 개의 핫팩(110)과,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제 1 보온백(121)과, 제 1 보온백(121)보다 큰 사이즈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핫팩(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제 2 보온백(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온백(121)은 손을 감싸는 것에 특화된 사이즈를 가진 것으로서, 양손에 장착할 수 있도록 2개로 이루어져 있고 이 제 1 보온백(121) 각각에는 1개의 핫팩(110)을 수용한다.
제 2 보온백(122)은 발을 감싸는 것에 특화된 사이즈, 즉 제 1 보온백(121)보다 큰 사이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역시 양발에 장착할 수 있도록 2개로 이루어져 있고 이 역시 1개의 핫팩(110)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핫팩(110)은 총 7개로 이루어져 2개의 제 1,2 보온백(121,122)에 총 4개가 사용되고, 나머지 3개는 좌측, 우측 겨드랑이와 가슴 부분에 접촉시켜 동상에 취약한 양손과 양발 보호는 물론 온기를 느끼기에 유리한 겨드랑이와 가슴 부위를 보온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에어 매트(200)는 1 내지 2개로 구성되어 바닥의 냉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에어 매트(200)는 공기 주입구와 이를 개폐하는 캡을 구비하여, 공기 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킨 다음 캡으로 막아 일정한 체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에어 매트에는 대략 90% 가량의 공기를 채워 공기의 과잉 충전으로 너무 단단한 성질을 가져 대상자가 깔고 앉기에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러한 에어 매트(200)는 외부 바닥에 직접 접촉하므로 이물질로부터 대상자를 보호할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에어 매트(200)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추가로 코팅 처리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온 담요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보온 담요 어셈블리(300)는 대상자의 신체를 감싸 냉기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 신체와 보온 담요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한 다음 해당 공기층에 의하여 보온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보온 담요(310)를 포함한다.
이 보온 담요(310)는 은박 재질, 즉 알루미늄막이 코팅된 폴리에텔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이루어진 얇은 시트 형태를 가져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으면서 우수한 냉기 차단 기능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온 담요 어셈블리(300)는 상술한 보온 담요(310)를 보관하는 담요 케이스(320)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보온 담요(310) 및 이 보온 담요(310)를 수용하는 담요 케이스(320)를 포함한 보온 담요부와, 반창고(330), 및 절단 도구(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담요 케이스(32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위에 개폐 가능한 뚜껑(321)을 포함하여 보온 담요(310)를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보온 담요(310)를 접어 상당히 작은 체적으로 만든 다음 보관할 수 있어 휴대 및 운반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반창고(330)는 이면에 접착제가 코팅된 것으로서 신체의 특정 부위에 일정 길이만큼 잘라 부착하여 보온 담요(310)를 고정함으로써 외부 바람 등에 보온 담요가 쉽사리 날라가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한다.
더불어 절단 도구(340)는 잘 알려진 가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반창고(330)를 일정 길이로 쉽게 자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가위로 이루어진 절단 도구(340)의 일 측 날은 커터의 기능을 겸비하도록 날카로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두부 보온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두부(頭部) 보온 어셈블리(400)는 특히 대상자의 두부, 즉 머리 부위를 감싸는 것으로서 이 역시 1개의 핫팩(410)이 포함된 상태에서 이 핫팩(410)과 함께 두부를 감쌀 수 있는 두건(4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건(420)은 물기를 흡수할 수 있는 일반적인 수건과 같은 흡수성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풍성 재질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내부 구성품에 의하여 응급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응급 키트의 세부 구성품을 활용하여 응급 처리를 수행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응급 처리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응급 처리 시트(500)가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응급 처리 시트(500)는 대상자 스스로 응급 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 숙지 사항을 알리는 문구가 기록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안전한 장소 찾기, 평평한 바닥으로 이동, 젖거나 언 피복은 제거, 피부의 물기 제거, 몸을 움츠려 체온 손실 방지와 같은 숙지 사항이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 또는 응급 처치자는 이를 확인하고 침착하게 자신 스스로 또는 대상자의 응급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우선 핫팩(110) 7개를 손으로 강하게 움켜쥐어 물주머니를 터트린 다음 흔들어 발열체의 발열을 유도한다.
이후, 보온백(120)에 수용한 다음 양손과 양발에 장착하고 좌우 겨드랑이와 가슴에 핫팩(110)을 밀착하여 온열을 공급한다.
그다음, 에어 매트(200)를 꺼내어 공기를 주입한 다음 깔고 앉아 바닥의 냉기를 차단한다.
이때, 사용자의 양발과 둔부 등이 이 에어 매트(200) 상에 위치시켜 바닥의 냉기로부터 확실하게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다음, 보온 담요(310)를 펼친 다음 은박 재질 부위를 안쪽으로 위치하여 머리를 제외한 전신을 둘러 감싸고 반창고(330)와 절단 도구(340)를 이용하여 보온 담요(310)를 신체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1개의 핫팩(410)을 활성화하여 목 뒤쪽에 댄 후 상술한 반창고(330)로 고정한 다음 두건(420)으로 대상자의 머리와 목을 완전히 감싼다.
대신, 눈 부위는 외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두건(420)으로 가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혹한기 응급 키트는 종래에 단순히 핫팩만을 제공하는 단순한 처치 방법을 넘어서 상당히 전문적이면서 신속한 처치 과정을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처치 과정을 순서에 맞게 자세히 알려줌으로써 초보자라도 쉽게 처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 내에 다양한 세부 구성품을 보관하여 운반 및 휴대의 편의성도 겸비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중에서, 특히 에어 매트(200)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상태에서 바닥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내부 구성품으로서 야외 바닥에서의 각종 이물질이 묻을 개연성이 상당이 높은데 일회용 핫팩과 달리 에어 매트(200)에서 공기를 빼내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이물질로부터 에어 매트(200)의 표면이나 대상자의 신체 부위를 보호할 필요성이 다른 내부 구성품보다 절실하다.
이를 위하여, 에어 매트(200)의 표면에는 폴리(글리세롤세바케이트)((Poly(glycerol sebacate), PGS) 및 폴리피롤(polypyrole)과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를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층이 코팅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글리세롤세바케이트)(PGS : Poly(glycerol sebacate))는 최근에 특히 조직 공학, 재생 의학 및 생의학 응용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생분해성 및 생체 적합성 엘라스토머 폴리머이다.
이 폴리(글리세롤세바케이트)(PGS)는 바이오디젤 생산의 부산물인 글리세롤(C3H8O3)과 피마자유에서 추출한 세박산(C10H18O4)을 중축합을 통하여 합성한 물질로서 특정한 화학식이 없는 대신 합성에 사용되는 단량체(글리세롤과 세박산)를 기반으로 한 반복 단위 구조를 취한다.
즉, 중축합 과정에서 글리세롤과 세박산은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모노머 사이에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고 폴리머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PGS의 반복 단위 구조는 글리세롤과 세박산 분자 사이의 에스테르 결합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PGS에서 세바스산에 대한 글리세롤의 비율과 중합도는 다양하게 처리할 수 있다.
폴리(글리세롤세바케이트)(PGS)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에어 매트(200)의 표면에서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제공하여 대상자의 알러지 유발 등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에어 매트(200)의 전반적인 기계적 특성을 향상하여 이물질이나 바닥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 저항성, 즉 내마모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생분해성 폴리머이므로 생물학적 환경에 노출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독성 성분으로 분해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인 대안의 역할을 제공하고,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 수지재로 제작된 에어 매트(200)의 표면에 대한 접착력이 뛰어나서 에어 매트(200)의 표면에서 쉽사리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술한 친환경적인 생체 적합성에 대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폴리피롤(polypyrole)은 도전성을 갖는 유기 물질로서, 단단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어 코팅층 유효 성분으로 첨가 시 내구성을 높이고, 방오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에어 매트의 표면에서 안티블로킹(anti-blocking)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흄드 실리카는 건식 실리카로도 하며, 빛을 산란하는 특성과 자연적인 흡수성을 지니며, 높은 화학적 안정성을 지니고 전기 절연성을 지닌 물질이다.
이러한 흄드 실리카가 기능성 코팅층에 포함될 시 기능성 코팅층의 코팅 피막의 강도를 높이고 에어 매트의 표면에서의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성 코팅층이 에어 매트(200)의 표면에 코팅 처리됨에 따라, 에어 매트(200)의 표면에 방오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안티블로킹 효과를 제공하며, 나아가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이물질이 에어 매트(200)의 표면에 쉽게 붙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기능성 코팅층의 구성에 따른 물성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능성 코팅층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실시예 1로 구성되어 있고, 비교예는 공지의 코팅 조성물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1>
폴리피롤 50 중량부, 폴리(글리세롤세바케이트) 40 중량부, 흄드 실리카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코팅층 100 중량부을 완성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비교예>
공지의 하드 코팅층 조성물로써, 고형분 기준 100 중량부에 대해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HX-920UV, Kyoeisha Chemical Co., Ltd) 64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중량부, 입자직경이 500nm인 실리카 입자 0.3중량부, 메틸에틸케톤(MEK)에 분산된 입자직경이 15nm인 나노 실리카 미립자 15 중량부, 도전성 무기물 AZO 3 중량부, 도전성 유기물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PEDOT) 5중량부, 광중합 개시제 (Irgacure-184, Ciba사) 6.7 중량부를 혼합하고, 희석용제 메틸에틸케톤(MEK)으로 희석하여 굴절률 1.53의 고형분 45%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한국 공개특허 10-2015-0136179호에 따른 하드 코팅층 조성물이라 할 수 있다.
[실험예 1] 방오성 실험
이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2, 비교예의 코팅 조성물을 가로 세로 1미터, 두께 1센티미터의 구조물 표면에 분사 후 건조 처리하여 구조물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한 뒤, 후술할 방식을 통해 연필경도와 물방울 접촉각, 촉진내후성을 검사하였다. 더불어, 여기서 평가되는 연필경도와 물방울 접촉각, 촉진내후성은 다음을 기준으로 측정된다.
연필경도 : SHINTO Scientific사의 HEIDON-14EW 기기를 사용하여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경도 측정 시, 연필은 MITSUBISHI사의 연필을 사용하고, speed: 60mm/min, scale: 10.0mm, force: 19.6N, 하중 1kg, 연필과 방오 코팅층 간의 각도: 45°로 측정하였다. 동일 경도의 연필로 5회 반복하여 연필경도를 측정하여 코팅층에 흠집이 보이지 않는 연필경도 중 연필경도가 가장 큰 값을 연필경도로 하였다.
물방울 접촉각 : 전자동접촉각계 DM700(쿄와계면과학주식회사 제품)을 사용하여, 방오 코팅층 상에 2㎕의 순수를 적하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촉진내후성(Accelerated Weathering Testing) 평가 : ASTM D-4587 규정에 따라 제조된 방오 코팅층의 색차(△E)를 측정하였다. △E는 2,000시간 동안 방오코팅 후의 방오 코팅층 변색 정도를 정량화하여 측정하였다.
표 1은 방오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연필경도 물방울접촉각(°) 촉진내후성(△E)
실시예 1 8H 4.9° 0.61
비교예 6H 11° 1.8
표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코팅층은 비교예 대비 방오성과 경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방울 접촉각이 5°이하로서 초친수성을 나타내며 내후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삭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혹한기 응급 키트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케이스 11: 지퍼
12: 손잡이 20: 주머니
21: 망체 22: 지퍼
100: 보온백 어셈블리 110: 핫팩
120: 보온백 121: 제 1 보온백
122: 제 2 보온백 200: 에어 매트
300: 보온 담요 어셈블리 310: 보온 담요
320: 담요 케이스 321: 뚜껑
330: 반창고 340: 절단 도구
400: 두부 보온 어셈블리 410: 핫팩
420: 두건 500: 응급 처리 시트

Claims (7)

  1. 혹한기 응급 키트로서,
    지퍼를 매개로 개폐 가능한 상태에서, 외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복수 개의 주머니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주머니에 각각 수용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핫팩과 상기 핫팩을 수용하는 보온백을 포함한 보온백 어셈블리; 및,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 가능한 것으로, 대상자가 깔고 앉는 에어 매트; 및,
    대상자의 신체를 감싸는 보온 담요를 포함한 보온 담요 어셈블리; 및,
    핫팩과 두건을 포함한 두부(頭部) 보온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매트의 표면에는,
    폴리(글리세롤세바케이트)((Poly(glycerol sebacate), PGS) 및 폴리피롤(polypyrole)과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를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층이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전면 부위가 망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백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핫팩과,
    상기 복수 개의 핫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제 1 보온백과,
    상기 제 1 보온백보다 큰 사이즈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 개의 핫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제 2 보온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 담요 어셈블리는,
    상기 보온 담요 및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위에 개폐 가능한 뚜껑을 포함하여 상기 보온 담요를 수용하는 담요 케이스를 포함한 보온 담요부와,
    반창고 및,
    상기 반창고를 자를 수 있는 절단 도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키트는,
    응급 처치 순서 컨텐츠를 기록한 응급 처리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키트.
  6. 삭제
  7. 삭제
KR1020230057721A 2023-05-03 2023-05-03 혹한기 응급 키트 KR10258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721A KR102580218B1 (ko) 2023-05-03 2023-05-03 혹한기 응급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721A KR102580218B1 (ko) 2023-05-03 2023-05-03 혹한기 응급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218B1 true KR102580218B1 (ko) 2023-09-19

Family

ID=8819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721A KR102580218B1 (ko) 2023-05-03 2023-05-03 혹한기 응급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2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66Y1 (ko) * 2012-10-12 2013-10-22 강호언 마스크 일체형 편직 모자
KR20140134882A (ko) * 2013-05-15 2014-11-25 박현창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
KR101477612B1 (ko) 2013-05-31 2014-12-30 한국기계연구원 휴대용 저체온증 치료기
US20190298475A1 (en) * 2016-06-09 2019-10-03 Genuine First Aid International Ltd. Easy access bandages
CN213190621U (zh) * 2020-06-14 2021-05-14 昆山市第二人民医院 一种急诊护理用多功能急救箱
CN216754806U (zh) * 2021-11-26 2022-06-17 欣乐加生物科技温州有限公司 一种生命急救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66Y1 (ko) * 2012-10-12 2013-10-22 강호언 마스크 일체형 편직 모자
KR20140134882A (ko) * 2013-05-15 2014-11-25 박현창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
KR101477612B1 (ko) 2013-05-31 2014-12-30 한국기계연구원 휴대용 저체온증 치료기
US20190298475A1 (en) * 2016-06-09 2019-10-03 Genuine First Aid International Ltd. Easy access bandages
CN213190621U (zh) * 2020-06-14 2021-05-14 昆山市第二人民医院 一种急诊护理用多功能急救箱
CN216754806U (zh) * 2021-11-26 2022-06-17 欣乐加生物科技温州有限公司 一种生命急救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19762A1 (zh) 一种自发热保温膜及由其制备的面膜和眼膜
JP4527724B2 (ja) 発熱体及び型成形発熱体用包材
EP1090614B1 (en) Eye pillow
CA2768859C (en) Cooling products and methods
AU2008228804B2 (en) Thermal device
JP2006306828A (ja) 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及びパック化粧料用キット
JPWO2006006656A1 (ja) 発熱体
MX2009002575A (es) Recubrimiento termico.
WO2007108235A1 (ja) 冷却又は加温用シート
JPWO2006006655A1 (ja) 発熱パッド及びその使用方法
JPWO2006006662A1 (ja) 発熱体
WO2005115280A1 (en) Conformable heat transfer pack
JP3521856B2 (ja) 冷却・温熱目枕
AU2013338062B2 (en) Temperature changing blankets
JP4323155B2 (ja) 発熱体
CN107233158A (zh) 一种相变保暖面罩
KR102580218B1 (ko) 혹한기 응급 키트
JP2009240650A (ja) 発熱体
JP5348583B2 (ja) 発熱体及び発熱体の製造方法
EP0454184B1 (en) Passive heating pad
JPWO2017042947A1 (ja) 発熱具
KR102580207B1 (ko) 폭염 대비용 응급 키트
CN206348529U (zh) 贴面防护组件及含其的虚拟现实头戴式设备
CN209884487U (zh) 退热贴
CN213993903U (zh) 一种便携式无源暖宝加热垫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