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882A -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 - Google Patents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4882A KR20140134882A KR20130054836A KR20130054836A KR20140134882A KR 20140134882 A KR20140134882 A KR 20140134882A KR 20130054836 A KR20130054836 A KR 20130054836A KR 20130054836 A KR20130054836 A KR 20130054836A KR 20140134882 A KR20140134882 A KR 201401348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sity polyethylene
- film
- rust
- layer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2—Corrosion inhibi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필름으로 외부 습기를 차단하고, 내부 제습제, 기화성 방청제를 첨가한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청필름은 외부 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제습제를 포함하고 있어 녹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사전에 방지한다. 또한 반투명의 필름이므로 내부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으며, 분자구조가 다른 수지의 복층구조로 내습성이 우수하며, 별도의 제습제(실리카겔, 제올라이트)가 필요 없이도 우수한 제습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투습성, 내습성, 저비용의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에 관한 발명이다.
현재 금속관련 포장재는 부식방지와 같은 단순한 기능성을 가지며, 포장 대상인 금속제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방청지, 방청액, 방청그리스, 방청유, 방청파우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금속제품의 부식방지 방법은 포장비용의 증가, 낮은 생산성, 공정의 추가로 인한 번거로움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화성 방청 스트레치 제품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보편적인 기술은 일반적인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혹은 LDPE+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에 기화성 방청제를 3 내지 7%를 혼합하여 블로운 압출 성형 기법으로 필름을 생산한다. 이때 생산되는 필름의 두께는 80㎛ 내지 100㎛이며, 이렇게 필름의 두께가 두꺼운 이유는 녹에 주원인인 물분자가 제품포장을 했을 경우 포장지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즉 투습율을 줄이기 위해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기화성 방청제를 사용한 방청필름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81789, 10-2004-0078672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발명들은 방청필름의 두께가 100㎛ 내외로 상당히 두꺼우며, 그로 인한 비용증가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방청필름과 금속제품 사이에 남아있는 수분의 제거가 어려워 이로 인한 녹의 생성을 막기 어려우며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하기 부적합하다는 단점 또한 존재하게 된다. 게다가 포장지 내외면에 기화성 방청제가 기화되어 방청성능의 50%는 포장내부가 아닌 외부로 기화되게 되며, 첨가한 기화성 방청제의 역할이 크게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층의 필름 구조를 가지면서도 투습율을 월등히 상승시키면서 두께를 30%이상 줄여 원가를 줄이고, 방청제를 내면만 처리하여 방청제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포장 시 방청필름과 포장대상인 금속제품 사이에 남아있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청필름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방청이 필요한 철, 비철용 제품을 위한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는,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층;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를 포함하는 혼합수지층;및
저밀도폴리에틸렌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생석회 및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하는 내층;
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방청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를 포함하는 혼합수지층;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층;및
저밀도폴리에틸렌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생석회 및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하는 내층;
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방청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내층 제조 시 폴리올레핀수지 중 저밀도폴리에틸렌 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힛씰성, 접착강도, 저온씰성, 파대강도 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필름의 적층구조에 특징이 있으며, 이중 어느 하나의 층이 제외되는 경우는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물성을 달성할 수 없다.
습기에 취약한 철, 비철에 사용하기 위해서 투습도가 0.5 g/㎡/24h이하의 물성이 요구되며, 본 발명은 외측필름 및 중층필름으로 투습방지를 하고. 하층필름에 제습제 및 기화성 방청제를 사용하고, 하기 적층구조로 적층함으로써 이러한 물성을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층을 구성하는 필름은 폴리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계이므로 합지를 하기 위해서 접착제나 다른 첨가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공압출 튜불라법으로 1개의 다이스에 3개의 다이스 립으로 3층의 필름이 나와서 접착이 되므로 다른 공정 필요 없이 한 번에 필름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필름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양태를 도시한 것으로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층(30);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를 포함하는 혼합수지층(20); 및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되는 에틸렌계수지와 생석회(CaO), 기화성방청제를 포함하는 내층(1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방청필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를 도시한 것으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를 포함하는 혼합수지층(20);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층(30); 및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되는 에틸렌계수지와 생석회(CaO),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하는 내층(1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방청필름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 및 제 2양태에서 상기 내층(10)은 포장되는 포장체의 표면과 대응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층(30)은 내습성을 부여 및 필요에 따라 색상 및 표면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한 층으로, 고밀도폴리에틸렌수지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수지는 밀도가 0.941 내지 0.965g/cm3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0.941g/cm3 미만인 경우는 내습성이 취약해지며, 상기 범위에서 목적으로 하는 물성을 만족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혼합수지층(20)은 고밀도폴리에틸렌층(30)에서 차단하는 물분자를 한 번 더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필렌수지와 에틸렌수지를 혼합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를 사용한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분자구조가 달라 서로 다른 형상의 그물을 붙여 놓은 것처럼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분자구조에서 미흡한 부분을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가 채워줘서 우수한 내습성을 부여한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에틸렌과공중합체를 한 것이다. 밀도는 0.900 내지 0.910g/cm3인 범위에서 목적으로 하는 물성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만 사용 할 경우 에틸렌과 접착강도가 떨어져 공압출 시 접착층을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접착를 해야 하며, 에틸렌만 사용할 경우 필름 간 접착은 우수하나 내습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층(10)은 습기에 약한 철, 비철 제품에 대응하여 내습성, 흡습성 및 방청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되는 에틸렌계수지와 생석회(CaO),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한다.
상기 내층은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생석회(CaO) 및 기화성 방청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수지는 상기 혼합수지층(20)에 포함되는 에틸렌수지와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내층에 사용되는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의 밀도는 0.905 내지 0.945g/cm3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0.905 미만인 경우는 내열성, 내마모성 강성, 슬립성, 열간씰성 등이 떨어질 수 있고, 0.945 초과인 경우는 접착강도, 힛씰강도, 저온씰성, 파대강도 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밀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밀도폴리에틸렌수지는 밀도가 0.910 내지 0.925g/cm3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수지는 밀도가 0.918 내지 0.945g/cm3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메탈로센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는 밀도가 0.915 내지 0.925g/cm3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수지는 내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 중 98.8 내지 9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석회(CaO)는 흡습성 뿐만 아니라 대전방지성을 우수하게 하는 것으로, 그 함량은 0.2 내지 0.9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2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그 효과가 미미하며, 0.9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지나친 흡습성으로 제품에 얼룩 및 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석회(Cao)는 평균입경이 1 내지 1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경이 1㎛미만인 경우는 흡습효과가 미미하고, 10㎛를 초과하는 경우는 필름을 만들었을 경우 분산성이 떨어질 수 있고, 흡습속도가 느려질 수 있어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방청제는 주로 기화성 부식방지제로 철용(ferrous metals) 또는 다목적용(ferrous and nonferrous metals) 모두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철용 부식방지제는 질산나트륨 혹은 질산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와 우르트로핀(urotropine), 카바마이드(carbamide),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 또는 암모늄벤조에이트(ammonium benzoate)의 혼합물, 또는 디사이클로헥실아민나이트라이트(dicyclohexylamine nitrite, DICAN)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다목적용 방청제로는 크롬염 또는 이산화질소(NO2)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미노니트로벤조에이트(aminonitrobenzoate)와 아미노디니트로벤조에이트(aminodinitrobenzoate) 또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청제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이소프로필 암모니움 나이트라이트(DIPAN), 디사이클로 헥실암모니움 나이트라이트(DICHAN)와 DIPAN의 혼합물, 아질산소다와 요소 혹은 우로트론 비닐계의 혼합물, 각종 아민의 모노 및 디 니트롤 안식향산염계, 아질산소다와 안식향산 암모니움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화성 방청제는 0.3 내지 1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며, 1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원가 상승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7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청필름을 구성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층, 혼합수지층 또는 내층에 안료, 전도성 고분자, 계면활성제, 광안정제 및 산화방지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방청필름의 색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도전성 잉크 처리 및 인쇄를 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또는 계면활성제는 상기 방청필름에서 대전방지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en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전도성 고분자, 1내지 4급 아민염 등의 지방족아민염 및 그 4급 암모늄염, 방향족 4급 암모늄염, 복소환 4급 암모늄염, 포스포늄염, 설포늄염 등의 오늄화합물을 포함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또는 계면활성제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광안정제는 주로 자외선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자외선 흡수제, 소광제(quencher) 모두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계, 옥사닐라이드계, hindered amine(HALS)계, 금속착염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옥틸옥시벤조페논(2-hydroxy-4-n-octyloxy benzophenone), 테트라메틸피퍼리딘세바케이트(bis-(2,2,6,6,-tetramethyl-4-piperidine sebac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1차, 2차 산화방지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페놀계로서 황 함유 페놀, 비스페놀, 폴리페놀 등과 방향족 아민계, 포스파이트계, 유황 에스테르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phosphite), 디부틸메틸페놀(2-6-di-tert-butyl-4-methylphenol)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첨가제는 고밀도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01 내지 0.07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은 공압출 라미네이션, 접착법 등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적층방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며, 공압출 튜불라 방법으로 적층을 하는 것이 제조원가를 절감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다층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각각 층에 사용되는 수지, 수지의 혼합물 또는 수지와 제습제의 혼합물을 각각의 압출기에 투입한 후 수지가 용융압출되는 온도로 가열하여 3개의 토출부위(다이스 립)를 가진 1개의 다이스로 공압출 튜불라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거나, 공압출 티다이법으로 성형하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기에 투입 시 미리 혼련한 상태의 마스터배치로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은 투습율이 0.5g/m2/24hr 이하인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g/m2/24hr인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방청필름의 투습율은 방청필름으로 보호되는 제품에 녹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청필름은 투습율이 0.5g/m2/24hr 이하인 경우, 2년 내지 3년간 방청효과를 가지게 되며, 0.1 내지 0.3g/m2/24hr인 경우, 3년 내지 5년 정도의 방청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제품이 대형일 경우, 대형 방청포장 제조 시 내부에 들어가는 방습포가 필요 없다.
또한 상기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은 40 내지 7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두께가 40㎛ 미만인 경우 외부로부터 수분이 용이하게 투과될 수 있으며, 70㎛ 이상인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반투명의 필름이므로 내부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으며, 분자구조가 다른 수지의 복층구조로 내습성이 우수하며, 별도의 제습제(실리카겔, 제올라이트)가 필요 없이도 우수한 제습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기화성 방청제의 사용으로 녹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금속성분이 사용되지 않고, 필름 외부로 빠져나가는 기화성 방청제가 최소화 되어 기존 필름에 비해 효율이 뛰어나다. 따라서 방청포장 내부에 사용하는 방습포의 사용도 필요가 없다. 또한 외부 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제습제를 포함하고 있어 내부에 존재하는 물분자를 가수분해하여 녹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사전에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과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청필름을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과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청필름을 나타내었다.
이하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 기재한 물성은 다음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밀도
수지의 밀도는 ASTM D1505의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투습도(g/㎡/24h)
KS K0594:2008 (염화칼슘법)의 측정방법에 의해 물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투습컵의 면적은 0.00283㎡, 투습컵의 높이는 25mm, 흡습제는 CaCl2, 온도 42± 3℃, 상대습도 92± 3%조건에서 실험하였다.
3) 녹 발생정도
철 100mm × 100mm를 200mm × 200mm 비닐필름(봉투)에 각각 넣고, 습도 92% ±2%, 온도 42℃±2℃의 항온항습기에 넣어서 90일 경과 후 녹 발생 정도를 파악한다. 녹 발생 정도의 수치는 100cm2 당 녹 발생정도를 확인하여 %로 환산하였다.
[실시예 1]
제 1압출기에 고밀도폴리에틸렌(삼성토탈사, HDPE F120A, 밀도 0.956g/cm3, 용융지수 0.044g/10min)을 투입하고 170℃로 용융하여 제 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 2 압출기에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삼성토탈사, RF401, 밀도 0.9g/cm3이며, 용융지수 7g/10min)를 투입하고 160℃로 용융하여 제 2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 3 압출기에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대림폴리사, XP-3300, 밀도 0.919g/cm3, 용융지수 2.0g/10min) 99.2중량%과 생석회(CaO, 평균입경 1㎛) 0.3 중량%, 기화성 방청제(RUSTEC-MB102, 러스트케미칼) 0.5중량% 투입하고, 160℃로 용융하여 제 3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압출기, 제 2 압출기 및 제 3 압출기에서 용융압출되는 용융물을 멀티다이를 이용하여 제 1 조성물/제 2 조성물/제 3 조성물 순으로 공압출 튜불라법으로 압출하여 최종 두께 60㎛인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상기 다층필름의 각 층의 두께비는 제 1 조성물층 : 제 2 조성물층 : 제 3 조성물층이 3 : 5 : 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2 조성물/제 1 조성물/제 3 조성물 순으로 공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필름의 각 층의 두께비는 제 2 조성물층 : 제 1 조성물층 : 제 3 조성물층이 3 : 5 : 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제 1압출기에 고밀도폴리에틸렌(삼성토탈사, HDPE F920A, 밀도 0.956g/cm3, 용융지수 0.044g/10min)을 투입하고 170℃로 용융하여 제 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 2 압출기에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삼성토탈사, RF402, 밀도 0.9g/cm3, 용융지수 7g/10min)를 투입하고 160℃로 용융하여 제 2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 3 압출기에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케미칼, 한화5321, 밀도 0.921g/cm3 이며, 용융지수 3.0g/10min) 30중량%,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SK케미칼, FN410, 밀도 0.919g/cm3, 용융지수 1.0g/10min) 69 중량%, 생석회(CaO, 평균입경 1㎛) 0.5 중량% 및 기화성 방청제(RUSTEC-MB102, 러스트케미칼) 0.5중량%를 투입하고, 160℃로 용융하여 제 3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압출기, 제 2 압출기 및 제 3 압출기에서 용융 압출되는 용융물을 멀티다이를 이용하여 제 1 조성물/제 2 조성물/제 3 조성물 순으로 공압출 튜불라법으로 압출하여 최종 두께가 60㎛인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필름의 각 층의 두께비는 제 1 조성물층 : 제 2 조성물층 : 제 3 조성물층이 4 : 4 : 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2 조성물/제 1 조성물/제 3 조성물 순으로 공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필름의 각 층의 두께비는 제 2 조성물층 : 제 1 조성물층 : 제 3 조성물층이 4 : 4 : 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제 1압출기에 고밀도폴리에틸렌(삼성토탈, HDPE F120A, 밀도 0.956g/cm3, 용융지수 0.044g/10min)을 투입하고 170℃로 용융하여 제 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 2 압출기에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삼성토탈, RF401, 밀도 0.9g/cm3, 용융지수 7g/10min)를 투입하고 160℃로 용융하여 제 2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 3 압출기에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SK케미칼, FN810, 밀도 0.919g/cm3, 용융지수 1.0g/10min) 99중량%, 생석회(CaO, 평균입경 1㎛) 0.5 중량% 및 기화성 방청제(RUSTEC-MB102, 러스트케미칼) 0.5중량%를 투입하고, 160℃로 용융하여 제 3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압출기, 제 2 압출기 및 제 3 압출기에서 용융압출되는 용융물을 멀티다이를 이용하여 제 1 조성물/제 2 조성물/제 3 조성물 순으로 공압출 튜불라법으로 압출하여 최종 두께가 50㎛인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필름의 각 층의 두께비는 제 1 조성물층 : 제 2 조성물층 : 제 3 조성물층이 5 : 3 : 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2 조성물/제 1 조성물/제 3 조성물 순으로 공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필름의 각 층의 두께비는 제 2 조성물층 : 제 1 조성물층 : 제 3 조성물층이 4 : 4 : 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고밀도폴리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말레인산 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5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제 1압출기에 고밀도폴리에틸렌(삼성토탈사, HDPE F120A, 밀도 0.956g/cm3, 용융지수 0.044g/10min) 100중량부에 말레인산 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5 중량부 투입하고 170℃로 용융하여 제 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 2 압출기에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삼성토탈사, RF401, 밀도 0.9g/cm3, 용융지수 7g/10min)를 투입하고 160℃로 용융하여 제 2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 3 압출기에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삼성토탈 7120S, 밀도 0.919g/cm3, 용융지수 4.0g/10min) 99.2중량%, 생석회(CaO, 평균입경 10㎛) 0.3 중량% 및 기화성 방청제(RUSTEC-MB102, 러스트케미칼) 0.5 중량%를 투입하고, 160℃로 용융하여 제 3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압출기, 제 2 압출기 및 제 3 압출기에서 용융압출되는 용융물을 멀티다이를 이용하여 제 1 조성물/제 2 조성물/제 3 조성물 순으로 공압출 튜불라법으로 압출하여 최종 두께가 50㎛인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필름의 각 층의 두께비는 제 1 조성물층:제 2 조성물층:제 3 조성물층이 5 : 3 : 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층 조성물로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대림폴리사, XP-3300, 밀도 0.919g/cm3, 용융지수 2.0g/10min) 100중량%을 제 3압출기에 투입하고, 제습제, 기화성 방청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로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제 1압출기, 제 2 압출기 및 제 3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압출되는 용융물을 멀티다이를 이용하여 제 1 조성물/제 2 조성물/제 3 조성물 순으로 공압출 튜불라법으로 압출하여 최종 두께가 60㎛인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필름의 각 층의 두께비는 제 1 조성물층 : 제 2 조성물층 : 제 3 조성물층이 5 : 3 : 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내층 조성물로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대림폴리사, XP-3300, 밀도 0.919g/cm3, 용융지수 2.0g/10min) 99.7중량%과 생석회(CaO, 평균입경 1㎛) 0.3 중량%를 제 3 압출기에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성물로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압출기, 제 2 압출기 및 제 3 압출기에서 용융압출되는 용융물을 멀티다이를 이용하여 제 1 조성물/제 2 조성물/제 3 조성물 순으로 공압출 튜불라법으로 압출하여 최종 두께가 80㎛인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필름의 각 층의 두께비는 제 1 조성물층 : 제 2 조성물층 : 제 3 조성물층이 5 : 3 : 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내층 조성물로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대림폴리사, XP-3300, 밀도 0.919g/cm3, 용융지수 2.0g/10min) 99.5중량% 및 기화성 방청제(RUSTEC-MB102, 러스트케미칼)를 0.5중량%를 제 3압출기에 투입한 것 외에는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LDPE(한화 5321,밀도 0.921g/cm3 ,용융지수는 3.0g/10min) 100중량부에 대하여, LLDPE(SK, FN410, 밀도 0.919g/cm3) 20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 고분자수지 99.5 중량% 및 기화성 방청제(RUSTEC-MB102, 러스트케미칼) 0.5 중량% 첨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압출기에 투입하고 공압출 튜불라법을 이용하여 최종 두께가 80㎛인 일반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LDPE(한화 5321,밀도 0.921g/cm3 ,용융지수는 3.0g/10min) 100중량부에 대하여, LLDPE(SK, FN410, 밀도 0.919g/cm3) 20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 고분자수지 99 중량%에 제습제 0.5중량% 및 기화성 방청제 0.5 중량% 첨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압출기에 투입하고 공압출 튜불라법을 이용하여 최종 두께가 80㎛인 일반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비교예 4와 동일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최종 두께가 100㎛인 일반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비교예 5와 동일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최종 두께가 100㎛인 일반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LDPE(한화 5321,밀도 0.921g/cm3 ,용융지수는 3.0g/10min) 100중량부에 대하여, LLDPE(SK, FN410, 밀도 0.919g/cm3) 20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압출기에 투입하고 공압출 튜불라법을 이용하여 최종 두께가 100㎛인 일반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내층 조성물로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대림석유화학, XP-3300, 밀도 0.919g/cm3, 용융지수 2.0g/10min) 99.7중량%과 제습제로 염화칼슘 0.3 중량%를 제 3압출기에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성물로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제 1압출기, 제 2 압출기 및 제 3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압출되는 용융물을 멀티다이를 이용하여 제 1 조성물/제 2 조성물/제 3 조성물 순으로 공압출 튜불라법으로 압출하여 최종 두께가 60㎛인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필름의 각 층의 두께비는 제 1 조성물층 : 제 2 조성물층 : 제 3 조성물층이 5 : 3 : 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0]
내층 조성물로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대림석유화학, XP-3300, 밀도 0.919g/cm3, 용융지수 2.0g/10min) 99.7중량%과 제습제로 염화칼슘 0.5 중량%를 제 3 압출기에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성물로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제 1압출기, 제 2 압출기 및 제 3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압출되는 용융물을 멀티다이를 이용하여 제 1 조성물/제 2 조성물/제 3 조성물 순으로 공압출 튜불라법으로 압출하여 최종 두께가 60㎛인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다층필름의 각 층의 두께비는 제 1 조성물층 : 제 2 조성물층 : 제 3 조성물층이 5 : 3 : 2 이었다. 상기 제조된 방청필름의 내부습도, 투습도, 녹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1]
상기 표 1과 같이 다층필름으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8과 일반필름으로 제조된 비교예 4 내지 8을 비교하면, 투습도에서 큰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 낮은 투습도에 제습제 및 방청제를 첨가하여 포장 후 내부습도가 크게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포장 후에도 녹이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비교예 4 내지 8은 투습도가 크게 떨어져 포장후의 내부습도가 오히려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5, 7과 같이 제습제를 첨가하여도 녹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8과 비교예 1 내지 3을 비교하면, 투습도는 실시예 및 비교예가 동일한 물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제습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 3의 경우 포장 후 내부습도가 미세하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제습제를 첨가한 비교예 2는 포장 후 내부습도가 절반으로 하락하였으나 내부습기에 따른 녹의 발생을 억제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제습제로 염화칼슘을 사용한 비교예 9, 10의 경우 오히려 내부의 습도를 높이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염화칼슘이 외부의 습기를 당겨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10 : 내층(제습제, 기화성 방청제 첨가층)
20 : 혼합수지층
30 : 고밀도폴리에틸렌층
20 : 혼합수지층
30 : 고밀도폴리에틸렌층
Claims (11)
-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층;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를 포함하는 혼합수지층;및
저밀도폴리에틸렌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생석회 및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하는 내층;
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방청필름. -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를 포함하는 혼합수지층;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고밀도폴리에틸렌층;및
저밀도폴리에틸렌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생석회 및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하는 내층;
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방청필름.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98.8 내지 99.5 중량%, 생석회 0.2 내지 0.9중량% 및 기화성 방청제 0.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방청필름.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층, 혼합수지층 또는 내층에 안료, 전도성 고분자, 계면활성제, 광안정제 및 산화방지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청필름.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41 내지 0.965g/cm3인 방청필름.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수지는 밀도가 0.900 내지 0.910g/cm3인 방청필름.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0 내지 0.925g/cm3인 방청필름.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8 내지 0.945g/cm3인 방청필름.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는 밀도가 0.905 내지 0.945g/cm3인 방청필름.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의 투습율은 0.5g/m2/24hr 이하인 방청필름.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석회는 평균입경이 1 내지 10㎛인 방청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54836A KR20140134882A (ko) | 2013-05-15 | 2013-05-15 |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54836A KR20140134882A (ko) | 2013-05-15 | 2013-05-15 |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4882A true KR20140134882A (ko) | 2014-11-25 |
Family
ID=5245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54836A KR20140134882A (ko) | 2013-05-15 | 2013-05-15 |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34882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65517A (zh) * | 2017-03-31 | 2017-07-21 | 昆山金盟塑料薄膜有限公司 | 一种防锈膜及其制备方法 |
WO2017204461A1 (ko) * | 2016-05-27 | 2017-11-30 | 주식회사 빌트존 | 아스팔트 바인더 개질용 포장재 및 이로 포장된 개질아스팔트 및 그 제조 방법 |
KR101964938B1 (ko) * | 2018-11-29 | 2019-04-03 | 양우정 | 이종재질 접착을 위한 접착 표면층을 갖는 자착식 방수시트 |
KR20230046421A (ko) * | 2021-09-30 | 2023-04-06 | 박상우 | 흡습제를 포함하는 기화성 방청제 조성물 |
KR102580218B1 (ko) * | 2023-05-03 | 2023-09-19 | 주식회사 넥스트세이프 | 혹한기 응급 키트 |
-
2013
- 2013-05-15 KR KR20130054836A patent/KR20140134882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04461A1 (ko) * | 2016-05-27 | 2017-11-30 | 주식회사 빌트존 | 아스팔트 바인더 개질용 포장재 및 이로 포장된 개질아스팔트 및 그 제조 방법 |
CN106965517A (zh) * | 2017-03-31 | 2017-07-21 | 昆山金盟塑料薄膜有限公司 | 一种防锈膜及其制备方法 |
KR101964938B1 (ko) * | 2018-11-29 | 2019-04-03 | 양우정 | 이종재질 접착을 위한 접착 표면층을 갖는 자착식 방수시트 |
KR20230046421A (ko) * | 2021-09-30 | 2023-04-06 | 박상우 | 흡습제를 포함하는 기화성 방청제 조성물 |
KR102580218B1 (ko) * | 2023-05-03 | 2023-09-19 | 주식회사 넥스트세이프 | 혹한기 응급 키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82211B1 (ko) | 적층 구조 및 이것으로 제조된 스탠드업 파우치 | |
JP5134002B2 (ja) | 食品包装用バリアフィルム | |
KR20140134882A (ko) | 고기능 기화성 방청필름 | |
CA2688092C (en) | Multilayer film structure | |
US20090029182A1 (en) | Multilayer barrier film | |
KR20170094270A (ko) | 종방향 연신된 다층 필름 | |
CN101405136A (zh) | 金属化多层薄膜,制造方法和由其制得的制品 | |
JP6133095B2 (ja) | 多層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50036289A (ko) | 컬 저항성 차단 필름 | |
US20150143782A1 (en) | Polymer Sheet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 |
KR101720537B1 (ko) | 제습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습 수축필름 | |
KR101360676B1 (ko) | 내충격성이 우수한 기화성 방청 열수축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94900B1 (ko) | 대전방지 및 방청 필름 | |
CA3115167A1 (en) | Barrier film and implementations thereof | |
JP7472603B2 (ja) | 防錆性ストレッチフィルム | |
JP7439437B2 (ja) | 透明吸水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 | |
US20130130005A1 (en) | Vapor dispersible plastic film with paint adherence & cling | |
JP7556206B2 (ja) | 防錆性フィルム | |
CN107000371B (zh) | 多层结构、制造其的方法以及包含其的包装 | |
KR102628973B1 (ko) | 탄소중립 친환경 나노무기입자 충진 폴리에틸렌 필름 랩 | |
JP2021160772A (ja) | 防錆性フィルム | |
KR20130029934A (ko) | 전자제품 포장용 다층필름 | |
KR102568720B1 (ko) | 플라스틱 함량 감소 탄소중립 대응 친환경 기체차단성 복합필름 | |
JP2022155875A (ja) | 透明吸湿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透明吸湿積層体 | |
JP2021160768A (ja) | 防錆性フィル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