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126B1 -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126B1
KR102580126B1 KR1020230038121A KR20230038121A KR102580126B1 KR 102580126 B1 KR102580126 B1 KR 102580126B1 KR 1020230038121 A KR1020230038121 A KR 1020230038121A KR 20230038121 A KR20230038121 A KR 20230038121A KR 102580126 B1 KR102580126 B1 KR 102580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sales
platform service
pamphlet
business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로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로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로버
Priority to KR102023003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전자 팸플릿에 영업사원정보를 입력하여 전자명함을 추가하는 영업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전자 팸플릿의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생성부, 전자 팸플릿의 레이아웃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연동시키는 연동부, 영업 단말로부터 영업사원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전자 팸플릿 내 전자명함을 삽입 및 영업사원정보를 전자명함에 입력하는 명함삽입부, 영업 단말의 전자명함이 포함된 전자 팸플릿의 링크를 생성하여 영업 단말로 제공하는 개별링크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TOTAL MOBILE PLATFORM SERVICE OR SUPPORTING SALES FORCE}
본 발명은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 팸플릿에 전자명함, 소셜미디어 및 동영상을 첨부하여 전송하고 기업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전자 팸플릿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영업사원은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다양한 요인 중에서도 인적 교환가치 창출을 위한 핵심 기능을 담당한다. 보험사업의 영업분야는 고객 접점에서 기업의 핵심가치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영업사원의 역량은 기업성공 여부를 결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환경 속 기업은 영업사원 관리(Sales Force Management)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SOCO(Selling Orientation Customer Orientation)라는 측정수단을 통해 고객지향성(Customer-Orientation)을 실증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확보되었다. 고객지향성 개념은 고객과 상호 이익 및 장기적 관계를 추구하며 고객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한 모든 활동을 수행하는 마케팅 컨셉을 조직 내에서 실천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적판매, 영업성과, 고객만족을 다루는 연구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주제이다. 기업조직의 분위기, 관리자의 통제, 영업사원 특성, 교육 등 조직과 개인 수준에서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인들이 분석되었으며, 고객지향성은 기업 성과와 지속적인 성장에 핵심 요소로 밝혀졌다.
이때, 고객의 견적요청에 차량견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전자 카탈로그를 배포한 후 배포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영업활동에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3-0018654호(2023년02월07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2-0122804호(2012년11월07일 공개)에는, 고객이 선택한 제조사, 모델, 등급, 옵션, 색상 및 할인과, 현금, 할부, 리스 및 렌트와 같은 구매유형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실시간으로 무한대로 제공하는 구성과, 전자 카탈로그에 모니터링 코드를 삽입한 후 전자문서를 생성하고, 전자 카탈로그에 포함된 모니터링 코드를 통하여 영업상황정보를 수집한 후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고객이 선택한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견적을 제공하는 구성은 보험사 견적페이지와 같이 신차 견적페이지도 존재하여 공지기술만을 개시할 뿐이고, 후자의 경우에도 전자 카탈로그가 몇 번 공유되었는지 등이 모니터링될 뿐 정확한 영업상황정보가 파악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영업사원의 고객지향성은 영업사원이 고객과 상호작용(Interaction)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구매를 돕는 활동을 의미하는데, 장기적인 고객의 선호를 파악하고 관계를 유지하여 기업의 목표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판매지향적 판매보다는 고객지향적 판매가 중요한 요인으로 손꼽히고 있지만, 전자 카탈로그는 단방향 매체로 고객과 상호작용이 불가하고, 한 번 만들어진 경우 이를 영업사원의 영업형태에 맞게 변경할 수가 없다. 이에, 영업사원별 초기화면을 설정할 수 있고, 소셜미디어도 등록할 수 있으며, 발송하고자 하는 고객에 맞는 개인화된 팸플릿을 제공할 수 있고, 보험약관이나 계약서도 모바일 기반으로 디지털로 송신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업사원별 초기화면을 설정할 수 있고, 소셜미디어도 등록할 수 있으며, 발송하고자 하는 고객에 맞는 개인화된 팸플릿을 제공할 수 있고, 보험약관이나 계약서도 모바일 기반으로 디지털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홍보물을 통합하여 효율적인 광고집행 및 홍보효과를 제고할 수 있으며, 웹페이지 또는 프로모션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신속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단방향의 광고매체가 아닌 쌍방향 마케팅이 가능하며, 우편 및 지류인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전자 팸플릿에 영업사원정보를 입력하여 전자명함을 추가하는 영업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전자 팸플릿의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생성부, 전자 팸플릿의 레이아웃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연동시키는 연동부, 영업 단말로부터 영업사원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전자 팸플릿 내 전자명함을 삽입 및 영업사원정보를 전자명함에 입력하는 명함삽입부, 영업 단말의 전자명함이 포함된 전자 팸플릿의 링크를 생성하여 영업 단말로 제공하는 개별링크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영업사원별 초기화면을 설정할 수 있고, 소셜미디어도 등록할 수 있으며, 발송하고자 하는 고객에 맞는 개인화된 팸플릿을 제공할 수 있고, 보험약관이나 계약서도 모바일 기반으로 디지털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홍보물을 통합하여 효율적인 광고집행 및 홍보효과를 제고할 수 있으며, 웹페이지 또는 프로모션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신속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단방향의 광고매체가 아닌 쌍방향 마케팅이 가능하며, 우편 및 지류인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기업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기업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기업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영업 단말(400)로부터 전자 팸플릿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영업 단말(400)의 전자명함이 포함된 전자 팸플릿 내 텍스트, 사진, 동영상, 이미지, 소셜미디어 링크, 유튜브 채널 등을 출력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한 후, 견적을 출력하거나 견적을 내는 페이지로 이동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업 서버(500)로부터 전자 팸플릿(Pamphlet)의 템플릿(Template)을 수신하고, 기업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와 전자 팸플릿 내 템플릿의 항목 간 연동관계를 설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자 팸플릿을 매 달 새로 만들지 않고, 업데이트된 정보만 데이터베이스 연동으로 자동으로 전자 팸플릿 내에 삽입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업 단말(400)에서 전자명함을 만들기 위해 사진, 이름, 전화번호, 소셜미디어 링크 등을 입력하면, 기 설정된 템플릿 내 항목에 각각의 정보가 자동으로 삽입되어 전자명함을 생성하고, 전자명함이 전자 팸플릿 내에 삽입되도록 페이지를 구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업 단말(400)에서 전자명함을 생성한 후 전자 팸플릿을 공유하는 경우, 영업사원 각각 개별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영업사원의 페이지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자책 형태로 전자 팸플릿을 구성하여 책장넘기는효과 등을 적용하고, 확대 또는 축소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은,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영업사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은, 전자명함을 생성하기 위해 영업사원의 정보를 입력하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개별링크를 생성해주면,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업 서버(500)는,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자 템플릿을 생성하거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자 템플릿의 제작 의뢰를 하는 기업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기업 서버(500)는 프로모션 정보나 새로운 모델에 대한 홍보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기업의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기업 서버(500)의 기업은, 보험사나 자동차 회사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기업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생성부(310), 연동부(320), 명함삽입부(330), 개별링크부(340), 명함노출부(350), 업데이트부(360), 정보삽입부(370), 소셜미디어부(380), 링크부(390), 리뷰요약부(391), UI부(393), 필수정보제공부(395), 견적부(39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업 서버(500)로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업 서버(500)는,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영업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업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성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전자 팸플릿의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자 팸플릿은 전자책과 같은 포맷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전자책을 만들 수 있는 파일 포맷의 종류는 XML, PDF, E-PUB의 세 가지가 있는데, 발전되는 스마트 환경에서 EPUB 3.0 기술과 HTML5를 이용하여 사진이나 영상,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한 사용 환경을 이용할 수도 있다. EPUB은 국제 디지털 출판 포럼에서 공식 표준으로 채택된 포맷인데, 국제 디지털 출판 포럼(IDPF,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에서 제정한 개방형 자유 전자서적 표준으로 지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의 형식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화 되어 보여줄 수 있다. 래스터나 벡터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고, 메타데이터, DRM 지원, CSS 지원, 렌더링, 기능 확장을 위한 XML기능 지원이 되어 다양한 미디어 표현이 가능하다.
다만, PDF 포맷의 경우 한 번 만들어지면 이를 수정하기가 어려우므로,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템플릿 형태로 생성한 후, 업데이트가 되면 전자 팸플릿을 다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전자 팸플릿 내에 내용만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차 구매의 경우 매 달 프로모션의 대상, 범위 및 혜택이 달라질 수도 있고, 월드컵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등 정보가 변하게 되는데, 이때마다 팸플릿을 계속 만들어내고, 한 번 고객에게 보낸 팸플릿을 영업사원이 또 보내야 한다면 영업사원과 고객 모두 시간의 낭비만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형태의 프론트엔드(Front-End)를 직관적인 UI/UX로 제공하고, 기업 서버(500)에서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이미 배포된 전자 팸플릿의 내용도 함께 업데이트되는 형식으로 동기화되어 변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각 자동차 대리점마다 서로 다른 프로모션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 프로모션에 따른 내용을 영업 단말(400)에서 입력하면, 이미 배포된 전자 팸플릿의 내용도 함께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HTTP 프로토콜과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여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수 있다. 서버 측면(Server-Side) 또는 백엔드(Back-End) 개발은 PHP, C++, Python, JavaScript, Go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장점을 이용하여 설계한다. 프론트엔드(Front-End) 개발은 스크립트 언어를 포함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JavaScript만 사용한다. JavaScript는 HTML과 CSS를 제어하기가 편리하고, 비동기 처리 및 동적 처리를 지원한다. 웹 서비스를 구현하는 대표적 기술은 HTML, CSS, JavaScript이다. HTML은 웹에서 문서의 구조, CSS는 문서의 스타일, 자바스크립트는 문서 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다른 스크립트 언어들 중 대표적으로 Python을 보면, 다양한 라이브러리가 존재하는데, HTML을 관리하고 JSON과 같은 파일을 제어하며 동기 또는 비동기 처리로 개발을 충분히 진행할 수 있지만, 몇 십 년간 여전히 JavaScript가 압도적으로 프론트엔드 측면에서 우위를 가져가고 있다.
이때, 전자 팸플릿을 웹페이지로 구축하기 위해 템플릿 에디터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템플릿 에디터는, 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방식의 웹 개발 도구일 수 있다. 이때, WYSIWYG는, 웹 표준으로 구현되어 모든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고, 기존 JQuery에 의존하는 다양한 플러그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WYSIWYG는, 편집 과정에서 화면에 포맷된 낱말이나 문장이 출력물과 동일하게 나오는 방식을 말하며, 편집 명령어를 입력하여 글꼴이나 문장 형태를 바꾸는 방식과 구별된다. 현재 대부분의 워드 프로세스는 WYSIWYG 방식을 쓰고 있으나 HTML이나 TeX는 편집 명령어를 통해 편집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문서의 호환성 및 범용성 때문이다. 이때, 프레임워크란 웹 개발을 빠르게 완성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프레임워크에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로는 Bootstrap, Foundation, Semantic UI가 있고 백엔드 프레임워크로는 Symfony, Ruby on Rails가 있으며 언어로는 Java, PHP, Python을 사용한다.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는 사용자들에게 보이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백엔드 프레임워크는 웹의 로직과 작동을 담당한다.
웹페이지는, 반응형 웹(Responsive Web)을 기반으로 화면의 크기에 따라 최적화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일 수 있다. 이때, 반응형 웹은, 말 그대로 데스크톱, TV, 내비게이션, 모바일 단말기 등 다양한 단말기의 화면에 반응하는 웹사이트로 각 단말기별로 별개의 웹사이트를 제작하기보다 하나의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소스 코드를 사용하여 하나의 웹사이트를 제작하고, 사용자가 접속하는 다양한 단말기 화면의 크기에 자동으로 반응해서 웹사이트의 레이아웃을 조절하여 최적화된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기술을 말한다.
<반응형 웹>
반응형 웹사이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공통적인 기술 요소가 필요하다. ① 첫 번째는 적용하려는 스타일들을 단말기의 해상도에 맞게 레이아웃을 전환하도록 하는 CSS(Cascading Style Sheets)3의 미디어 쿼리(Media Query)이다. ② 두 번째는 유동형 그리드(Fluid Grid)이며, ③ 세 번째 기술요소는 유동형 이미지(Fluid Image)이다. 반응형 웹의 첫 번째 기술요소인 미디어 쿼리는 CSS3의 모듈 중 하나로,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말기별로 적용할 CSS 파일을 다르게 지정해 주는 기술이다. 미디어 쿼리는 다른 반응형 웹 기술과 달리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면 인터넷 익스플로러 8 이하 버전을 비롯한 여러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디어 쿼리의 속성은 단말기의 종류, 웹 브라우저의 가로 해상도, 그리드와 비트맵 설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디어 쿼리의 경우 여러 가지 속성으로 사용자 단말기 상태를 확인하여 웹페이지를 제공하지만, 모바일 단말 유형이나 해상도 등 미디어 쿼리 속성을 정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값들이 많아지면서 각 속성별로 이에 대응하는 정확한 중단점(Break Point)이 나와 있지 않은 상태이다.
중단점이란 미디어 쿼리를 작성할 때 화면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CSS를 적용할 분기점을 말한다. 이 중단점을 어떻게 지정하느냐에 따라 CSS가 달라지고 화면 레이아웃이 바뀌는데, 대부분 단말기의 화면 크기를 기준으로 한다. 하지만 시중의 모든 단말기를 반영할 수는 없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와 태블릿, 데스크톱 정도로만 구분한다. 그리고, 처리속도나 화면 크기 등에서 다른 단말기보다 모바일 단말기의 제약 조건이 더 많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의 레이아웃을 기본으로 하여 CSS를 만든다. 그리고 나서, 좀 더 사양이 좋고 화면이 큰 태블릿과 데스크톱에 맞춰 더 많은 기능과 스타일을 추가한다. 계속적으로 많은 모바일 단말기가 출시되어도 여러 가지 값을 이용하는 속성의 기준이 확실히 정해진다면 공간정보를 포함한 많은 콘텐츠에서 미디어 쿼리를 이용한 반응형 웹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반응형 웹의 두 번째 기술요소는 유동형 그리드 시스템(Fluid Grid System)이다. 유동형 그리드 시스템의 그리드(Grid)란 격자, 바둑판이라고 할 수 있는데, 화면을 바둑판처럼 여러 개의 기본 요소로 나눈 후 몇 개씩 합쳐 내용을 배치하는 것을 그리드 시스템이라고 한다. 이때, 화면을 나누는 기본요소를 칼럼(Column)이라고 한다. 웹사이트를 설계할 때 그리드 시스템을 이용하면 화면을 규칙적으로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을 일관성 있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웹사이트 제작도 쉽고 보는 사람에게도 안정감을 줄 수 있다. 고정 그리드(Fixed Grid) 시스템에서는 화면 너비를 몇 픽셀(PX)로 하는가에 따라 나누기도 하고, 화면을 몇 개의 칼럼으로 나누는가에 따라 나누기도 한다. 화면의 너비를 고정해 놓고 그 너비 안에서 칼럼을 나누어 요소들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화면 너비를 특정 값으로 고정해 놓으면 그 안에 표시할 요소들의 너빗값을 지정할 수 있고, 너비가 항상 일정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원하는 레이아웃을 만들기도 쉽다.
하지만, 여러 종류의 단말기를 이용해서 접속하면 브라우저 창의 너비가 작은 단말기에서 접속했을 때 웹 사이트 일부가 가려져서 스크롤 막대를 사용해 화면을 옮기면서 봐야 한다. 이렇게 너빗값이 고정된 고정 그리드의 한계를 해결한 것이 바로 유동형 그리드이다. 화면 너비를 특정 값으로 고정해 놓지 않고 브라우저 창의 너비에 따라 콘텐츠 너비가 달라지게 하는 방법이다. 이 유동형 그리드는 반응형 웹의 중요 요소 중 하나이다. 유동형 그리드는 웹 콘텐츠 모두를 감싸고 있는 요소의 너비를 기준으로 각 요소의 너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전체를 감싸고 있는 요소를 #container라고 한다면 #container 안에 있는 각 요소의 너비를 #container의 너빗값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면 된다. 소수점 이하가 길어지면 소수점 이하 다섯 자리까지만 표시해 주는 것이 좋다. 유동형 그리드에서 너비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너빗값을 구한 후 헤더, 내비게이션, 주 콘텐츠, 부 콘텐츠 등과 같은 페이지의 구성 요소를 고정된 픽셀(Pixel, PX)이 아닌 상대 비율인 % 등과 같은 단위로 사용한다. 이러한 유동형 그리드는 미디어 쿼리와의 조합을 통하여 단말기에 따른 가변적 최적 레이아웃 표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반응형 레이아웃은, 다섯 가지 패턴으로 나눌 수 있는데, 유동형 패턴(Mostly Fluid) 레이아웃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모바일 화면을 제외한 대부분의 화면에서 사이트의 레이아웃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브라우저 창의 너비에 따라 콘텐츠의 크기만 조절한다. 아주 큰 화면에서는 콘텐츠 영역의 너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좌우에 여백을 남겨주고, 모바일 화면에서는 콘텐츠가 수직으로 쌓여 표시되는 방식이다. 칼럼 드롭(Column Drop) 패턴은 여러 칼럼으로 구성된 레이아웃에서 흔히 사용하는 패턴으로, 화면 너비가 좁아지면 칼럼들이 아래로 떨어지도록(Drop) 구성한다. 이 패턴 역시 모바일 기기 화면 크기가 되면 모든 칼럼이 하나씩 수직으로 배치된다. 어느 위치에서 칼럼이 아래로 떨어질지는 화면 너비에 따라 혹은 콘텐츠 흐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레이아웃 이동(Layout Shifter) 패턴은 칼럼 드롭 패턴과 유사하게 화면 크기에 따라 칼럼을 드롭해 레이아웃을 재배치하는 형태이다. 칼럼 드롭 패턴이 원래 순서를 유지하면서 칼럼을 아래로 드롭하는 것이라면 레이아웃 이동 패턴은 칼럼의 순서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칼럼을 드롭한다. 레이아웃을 많이 바꾸게 되면 제작에 더 많은 노력이 들기 때문에 칼럼 드롭 패턴보다는 자주 사용하지 않지만, 접속하는 기기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방문자에게 색다른 경험을 줄 수 있다.
살짝 수정(Tiny Tweaks) 패턴은 크기별로 스크린에 맞는 레이아웃이나 디자인을 미세하게 수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스크린 기기별로 약간의 이미지 수정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해주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캔버스 밖으로(Off Canvas) 패턴은 스크린에 크기별로 콘텐츠의 칼럼 중 일부분만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슬라이드 시키는 방식으로 원하는 콘텐츠 일부분을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반응형 웹 구현 방식을 의미한다. 반응형 웹 디자인을 모바일 화면에 맞게 적용하다 보면 콘텐츠 칼럼을 하나씩 수직으로 쌓게 된다. 그래서 콘텐츠가 많으면 작은 모바일 화면에 다 담기 힘든 경우가 있다. 이럴 때 일부 콘텐츠를 화면 밖에 감춰두었다가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만 화면에 나타나도록 하는 패턴이다. 이러한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반응형 웹사이트를 만들 때, 굳이 하나의 레이아웃만 사용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2 개 혹은 3 개의 레이아웃을 섞어서 사용 가능하다.
반응형 웹의 세 번째 기술요소는 유동형 이미지(Fluid Image)이다. 반응형 웹 사이트의 레이아웃은 브라우저 창의 너비에 따라 화면 요소의 너비도 함께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이 기본이다. 그렇다면 애초에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이미지나 동영상 같은 멀티미디어 요소들을 사용하면 문제점이 생긴다. 유동형 이미지란 화면 너비에 따라 이미지의 너비와 높이가 바뀌는 이미지를 말한다. 이미지 같은 멀티미디어 요소들은 웹 문서에 삽입할 때 너비와 높이 값을 지정하게 되어 있고, 값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원래 크기대로 삽입된다. 이때, 화면 너빗값에 따라 이미지의 너비가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CSS를 이용해 이미지 너빗값을 상대 비율인 %로 지정하는데, 원래 크기 이상으로 늘리게 되면 화질이 깨지게 된다. 따라서, Max-Width 속성을 사용해 최대 너빗값 이상으로는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유동형 이미지 지정 방법이다. 유동형 이미지로 처리했을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몇 가지 발견되었는데, 가장 큰 문제는 레티나(Retina) 이미지처럼 높은 해상도를 가진 이미지의 처리문제이다. 웹 사이트 로고나 작은 아이콘 같은 이미지는 큰 문제가 없지만 레티나급의 이미지를 크기만 줄여서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하면 화면에 보여지는 모습은 작아 보여도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데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미디어 쿼리를 이용해 데스크톱에서는 큰 이미지를 표시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작은 이미지를 표시하게끔 지정하더라도 웹 브라우저에서는 웹사이트에 포함된 모든 이미지를 일단 불러온 후에 단말기에 따라 어떤 이미지는 감추고 어떤 이미지는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레티나 이미지 파일까지 불러오게 된다.
반응형 웹의 장점은 첫 번째 단말기의 화면 크기나 해상도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응형 웹 기술을 이용하면 데스크톱이나 스마트폰뿐 아니라 스마트 TV, 게임 콘솔 등 웹 브라우저가 포함된 단말기라면 어떤 단말기에서나 화면 크기와 해상도에 상관없이 가장 알맞은 레이아웃을 보여준다. 두 번째 화면의 변화에 즉시 반응한다는 것이다. 모바일 화면에서 화면 방향을 가로나 세로로 돌리더라도 즉시 그 방향에 맞게 사이트 내용이 배치된다. 데스크톱에서도 웹 브라우저 화면 크기를 바꾸면 새로 바뀐 화면 크기에 맞게 웹 사이트 레이아웃이 바뀐다. 세 번째 어느 기기에서든 사이트 주소가 같다. 반응형 웹사이트는 하나의 사이트주소를 이용한다. 모바일 사이트 주소를 따로 만들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데스크톱의 즐겨찾기를 동기화해서 여러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고, 개발자 입장에서도 웹사이트 주소를 통일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엔진에 최적화시킬 수 있다. 네 번째 단말기마다 따로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 아니어서 관리해야 할 코드가 한 가지뿐이기 때문에 코드와 콘텐츠 유지가 간단하고 편리하다. 특히, 반응형 웹에 사용되는 코드들은 Server 측 코드가 없고 HTML과 CSS로만 되어 있어 복잡하지 않다. 다섯 번째 최신 웹 표준을 따른다. 반응형 웹에서 사용하는 기술들은 국제 웹 표준화 기구인 W3C에서 웹 표준으로 지정한 HTML과 CSS로 이루어져 있고 주요 최신 브라우저들에서 지원하고 있다.
<적응형 웹>
접속하는 단말기를 인식해서 그에 맞는 UI를 조금 더 세밀하게 구성하고 싶다면, 반응형 웹보다는 구스타프손(Gustafson)이 제안한 적응형 웹(Adaptive Web)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적응형 웹은 데스크톱, 스마트폰, 태블릿 기기 등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도록 미리 웹 페이지 구성 요소를 최적의 상태로 마련해 두고 웹서비스 요청시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즉, 반응형 웹이 기기 해상도와 사용자 선호에 따라 모든 요소와 그리드가 서로 영향을 주며 유기적으로 바뀌는 것 이라면, 적응형 웹은 해상도를 포함한 사용자 선호에 따라 여러 가지 레이아웃과 디자인을 표출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응형 웹 뿐만 아니라 적응형 웹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웹호스팅>
이렇게 만들어진 웹페이지에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웹호스팅이 필요한데, 호스팅(Hosting)이란 웹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공간과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호스팅 서비스(Hosting Service)란 기술적인 어려움과 함께 비용투자, 전산인력 채용의 부담 등으로인해 독자적으로 IT 인프라를 구축, 운영하기 위한 기반장치와 인프라를 갖추기 어려운 고객들에게 최적화된 IDC(Internet Data Center)의 공간에서 네트워크와 서버 장비를 임대해주고, 전문기술인력의 지원을 이용해 고객들이 웹사이트 운영이나 기업 비즈니스 메일 이용, 파일 서버 운용 등 자사의 필요에 맞는 서비스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도록 기반 IT 자원을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렇게 웹호스팅까지 마무리되면 일반 고객들이 접속할 수 있는 웹페이지의 생성이 완료된다.
연동부(320)는, 전자 팸플릿의 레이아웃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팸플릿의 1 페이지 2 번 유닛(항목)이, 기업 서버(500)의 DB의 D 부분과 연동되어 있다면, 기업 서버(500)에서 사진을 바꾸거나 수정을 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면, 전자 팸플릿의 1 페이지 2 번 유닛 내 콘텐츠가 자동으로 바뀔 수 있다. 만약 상술한 웹페이지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업 서버(500)에서 변경하는 내용이 바로 웹페이지의 내용이므로 이러한 동기화는 필요없을 수 있다.
명함삽입부(330)는, 영업 단말(400)로부터 영업사원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전자 팸플릿 내 전자명함을 삽입 및 영업사원정보를 전자명함에 입력할 수 있다. 영업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전자 팸플릿에 영업사원정보를 입력하여 전자명함을 추가할 수 있다.
개별링크부(340)는, 영업 단말(400)의 전자명함이 포함된 전자 팸플릿의 링크를 생성하여 영업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영업사원의 전자명함이 생성되면, 이 전자 팸플릿은 영업사원의 전자 팸플릿이 되고, 영업사원의 전자 팸플릿의 고유 URL, 즉 개별 링크를 생성하여 영업 단말(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영업 단말(400)은 개별 링크를 고객인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개별 링크에 따라 영업사원의 전자명함이 포함된 전자 팸플릿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명함노출부(350)는, 영업 단말(4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전자명함이 포함된 전자 팸플릿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의 메시지 내 썸네일(Thumbnail)에 전자명함이 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 메신저로 전달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개별 링크를 클릭하지 않아도 보이는 썸네일에 전자명함이 보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전자명함을 이용하여 소셜미디어 등의 온라인으로 연결을 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영업 단말(400)의 전자명함을 포함한 전자 팸플릿을 누가 클릭했는지, 클릭만 하고 바로 껐는지 또는 클릭한 후 연동되는 페이지에서 체류했는지 등을 구글 애널리틱스 등의 사용자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분석해주는 툴을 이용하여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영업 단말(400)로 전자명함을 제공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업사원의 영업활동을 지원해주는 플랫폼과 연동시켜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업의사결정지원, 기업정보열람, 인맥지도, 접촉이력정보를 제공하고 구글지도 등의 지도 API와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정보제공에 동의한 경우를 전제한다. 또, 영업사원이 언제, 어디서, 누구를 만났는지 등을 제공할 때 지도와 연동시켜 표시해줄 수도 있다.
이때, 언제, 어디서, 어떤 고객을 만났으며 통화여부가 자동으로 기록되므로 영업활동의 적극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영업 리드관리가 가능하다. 어떤 고객은 많이 만났음에도 매출이 적고 어떤 고객은 적게 만났음에도 매출이 많았다면 이러한 정보는 향후 영업기회 포착에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척도를 사용하여 우수고객, 유망고객, 잠재고객을 분류하여 영업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영업사원은 자신이 만난 고객의 소득정도, 소비성향, 제품사용 여부, 제품지식, 영업사원에 대한 우호성 등을 주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향후 이 정보를 파레토 분석하여 영업사원이 우선적으로 만나야 하는 유망한 고객을 알 수 있다.
목표탐색 기능은 목표 매출액을 달성하려면 어떤 고객을 대상으로 영업활동을 촉진시키는 것이 좋은지를 알려준다. 세일즈 파이프라인 진척도가 높은 고객을 종료시키는 것이 매출액 달성이 용이할 것이다. 또한, 과거 매출 실적이 우수한 고객을 알려준다면 목표 매출액을 조기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WHAT-IF 분석은 목표탐색 기능과 반대로 인위적으로 세일즈 파이프라인의 상태 변경 또는 우수고객 그룹을 변경할 경우 예상 매출액이 얼마나 민감하게 변화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민감도가 높다는 것은 매출액 기여도가 높은 고객들을 중점관리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차원 분석은 시각적 효과를 위하여 매출액, 수주 금액, 판매량, 만남횟수 등을 3차원 그래프로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이때 독립변수가 되는 차원은 고객명, 거래처, 지역, 기간, 직위, 제품명 등이 될 수 있다.
영업활동관리란 고객과의 관계형성의 기회를 발견하고 관계형성, 상담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장기적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관리를 말하며 이를 위해서는 고객 분류가 필요하다. 고객 분류는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첫째, 파레토 법칙인 20%의 고객이 매출의 80%를 달성한다는 룰을 적용, 고객을 A, B, C로 분류한다. A 그룹 고객은 우수고객으로 매출액 순위 상위 80% 이상, 고객 수 20% 이하에 해당되며, C 그룹 고객은 매출액 순위 하위 20% 이하, 고객 수 60% 이상에 해당되는 고객으로 정한다. B 고객은 보통고객으로 A, B에 속하지 않는 고객이 된다. 둘째, 거래의 최근성, 거래빈도, 거래금액을 고려한 RFM(Recency, Frequency, Monetary) 방법을 사용한다. 고객별 RFM 점수를 계산한 후 점수 순으로 각 그룹으로 분류하는데, 고객별 RFM 점수는 최근성, 거래빈도 및 매출액에 각각의 가중치를 곱한 후 합산하는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업데이트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기업 서버(5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프로모션 및 구매혜택을 포함하는 판촉 데이터를 업로드한 경우, 판촉 데이터가 전자 팸플릿 내 기 설정된 항목에서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도록 연동시킬 수 있다.
정보삽입부(370)는, 전자명함이 위치한 페이지의 배경에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동영상을 삽입하고, 페이지의 하단에 롤링배너를 삽입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부(380)는, 영업 단말(4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또는 채널의 계정을 입력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또는 채널로 이동되도록 링크를 삽입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는 예를 들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등일 수 있고 채널은 유튜브, 틱톡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링크부(390)는, 기업 서버(5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또는 채널의 계정을 입력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또는 채널의 링크를 연동시켜 전자 팸플릿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또는 채널의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부(380)에서 영업사원의 소셜미디어나 채널로 이동시켜주었다면, 링크부(390)는, 소셜미디어나 채널의 페이지를 전자 팸플릿 내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업이 르노코리아자동차라면, 르노코리아자동차의 유튜브의 화면을 전자 팸플릿 내에서 볼 수 있도록 연동시키고 페이지 이동이 존재하는 링크만 주는 구성이 아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팸플릿에서 다시 유튜브 사이트로 페이지 이동을 하지 않아도 전자 팸플릿 내에서 체류할 수 있게 된다.
리뷰요약부(391)는, 전자 팸플릿이 소개하는 상품의 모델 또는 고유식별코드별로 적어도 하나의 리뷰를 추출한 후, 적어도 하나의 리뷰를 요약하여 평점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업이 르노코리아자동차라면, 르노코리아자동차에서 업로드한 영상 이외에도, 일반인의 시승기나 리뷰 등도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이때 모든 댓글을 사용자가 다 읽지 않아도 되도록 리뷰요약을 해줄 수 있다. 리뷰 내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추출된 키워드에 대한 긍정(Positive) 또는 부정(Negative)의 감성점수를 부여하여 키워드로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 상품에 대한 리뷰와 별점이 쌓이면 별점은 평점으로 평균낼 수 있기 때문에 한 눈에 볼 수 있지만, 리뷰는 구매자가 일일이 다 읽어봐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일부 구매자는 평점낮은순으로 정렬하여 단점부터 파악한 후 구매자가 수용할 수 있는 단점이면 사는 경우도 존재하는데, 각 리뷰로부터 키워드를 TF-IDF로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대하여 리뷰어들이 개선을 요구했는지(부정)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는지(긍정) 등을 표기해주는 경우 소비자가 일일이 수 많은 리뷰를 읽어보지 않아도 상품을 고르기 쉬워진다. 이를 위해, TF-IDF로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 이외에도 상품 리뷰에 존재하는 다양한 측면(Aspect)를 고려하여 측면 요약을 생성하는 기법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각 상품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크롤링한 상품 리뷰 데이터를 정제한 후 측면 요약 정답 데이터셋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측면 기반 단어 확장 기법(Attention-based Aspect Extraction, ABAE)를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만 있으면 측면 요약이 가능한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측면 추출 모델>
측면 추출 방법으로 이전 연구에서 제안된 Attention 기반의 비지도 측면 추출 모델인 ABAE(Attention-based Aspect Extraction)을 이용할 수 있다. ABAE의 궁극적인 목적은 측면 임베딩(Aspect Embedding)을 학습하는 것이다. 문장의 단어인 w는 Word2Vec 모델로 학습된 임베딩 행렬 E(V×d)를 d차원의 벡터 ew로 변환되어 모델에 입력된다.
Figure 112023033139198-pat00001
Figure 112023033139198-pat00002
Figure 112023033139198-pat00003
Figure 112023033139198-pat00004
Figure 112023033139198-pat00005
Figure 112023033139198-pat00006
여기서 V는 어휘의 크기를 의미하며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변환 행렬 M을 통해 측면과 관련 없는 단어를 걸러내고, 문장 전체의 문맥 정보를 포함하는 ys와 내적하여 문장과 걸러진 단어와의 관계 di를 얻는다. ABAE의 입력(Input)으로 리뷰 문장의 단어 리스트가 들어오면 먼저 Attention 매커니즘을 통해 측면과 관련이 없는 단어들을 필터링하기 위해 수학식 3을 계산한다. 그 후 필터링된 단어 임베딩(Word Embedding)으로부터 문장 임베딩(Sentence Embedding) zs 를 만들기 위해 수학식 4를 계산한다. 그리고, K 개의 측면 임베딩에 대한 가중치 벡터를 구하기 위해 수학식 5를 계산한다. 측면과 단어가 같은 임베딩 공간에 있도록 하기 위해서 측면 임베딩 행렬 T를 활용하여 문장 임베딩을 측면 임베딩의 선형 결합으로 재구성(Reconstruct) 하여 수학식 6을 계산한다.
Figure 112023033139198-pat00007
Figure 112023033139198-pat00008
Figure 112023033139198-pat00009
ABAE는 재구성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의 입력 문장에 대해서 학습 데이터에서 무작위로 m 개의 문장을 부정 표본(Negative Sample)으로 두고 부정 표본들의 단어 임베딩 값을 평균으로 계산한 벡터를 ni로 표현한다. 재구성된 rs가 zs 와는 유사하지만 ni와는 다르도록 수학식 7을 목적함수(Objective Function)로 두고 학습한다. 측면 임베딩 행렬의 중복 문제를 해결하여 측면 임베딩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수학식 7의 정규화 과정을 거치고 최종적인 목적함수는 수학식 9로 정의된다. 결과적으로, 학습을 통해 각 문장의 측면에 해당되는 대표 단어를 얻게 된다. 이때, 수학식 9의 λ는 하이퍼 파라미터로 수학식 8의 정규화 항의 가중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모델을 학습하기 전에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해 형태소 분석을 사용해 문장들을 토큰화를 진행하면서 학습에 필요가 없는 태그들은 제거할 수 있다. 동일한 의미를 가지지만 어말이나 어미가 달라 별개로 추출이 되는 토큰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태소 분석기의 어간 추출 기능을 사용해 각 토큰의 어간만을 추출해 어말어미를 덧붙여 동일 토큰으로 만들어 주는 전처리를 할 수 있고, 단어 임베딩은 Gensim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Word2Vec의 CBOW 방식으로 임베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어 벡터들을 입력으로 모델의 학습을 진행할 수 있고, 하이퍼 파라미터인 측면의 개수, 배치 크기, 최적화 방식을 각각 세팅할 수 있다.
<요약 모델>
ABAE를 사용해 얻은 측면을 활용하여 요약을 하기 위해 한국어 뉴스 데이터로 사전 학습이 된 KoBART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BART는 양방향 트랜스포머(Bidirectional Transformer) 와 자기 회귀(AutoRegressive) 트랜스포머가 결합된 Seq2Seq구조로, 특히 BERT의 양방향 Encoder와 GPT의 AutoRegressive Decoder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Denoising Auto-Encoder로 Noise Function으로 손상이 된 텍스트를 복구하도록 사전학습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측면 요약을 수행하는 경우, 상품이 자동차라면, 차량의 성능, 품질, 안전성 등 다양한 상품의 측면이 요약될 수 있고, 이 각각의 측면이 추출되었으면, 이 측면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예를 들어, 안전성은 어느 정도인지 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비율과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비율에 대비하여 점수를 줄 수 있다. 이때, 각 키워드에 대한 감성(감정)분석의 연구는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공지기술을 이용하기로 한다.
UI(User Interface)부(393)는, 전자 팸플릿의 페이지 책장넘김효과와, 스프레드(Spread) 및 핀치(Pinch)에 대응하는 확대 및 축소를 포함하는 제스쳐(Gestur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팸플릿의 상하좌우 단부를 클릭하여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한만큼 책장이 넘겨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각종 제스처를 이용하여 확대나 축소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원하는 검색어를 찾을 수 있도록 상단에 검색창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태그를 제시하여 태그를 선택하면 바로 원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필수정보제공부(395)는, 영업 단말(400)에서 상품에 대한 필수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때, 필수정보가 포함된 링크를 전송하거나, 전자 팸플릿 내 페이지에 포함되도록 페이지를 추가생성한 후, 추가생성된 페이지 내 필수정보를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 배치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수정보는 보험사의 경우 약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계약의 경우 전자계약을 지원하고, 전자서명을 받아 계약을 완료시킬 수도 있다.
견적부(397)는, 전자 팸플릿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옵션에 따른 견적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자 팸플릿의 템플릿을 구축할 수 있고, (b)와 같이 기업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도록 설정한 후 연동 및 자동 업데이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와 같이 영업 단말(400)에서 전자명함을 위해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전자 팸플릿이 영업사원의 전자 팸플릿이 되도록 개별 링크를 생성하여 영업 단말(400)로 전달하고, (d)와 같이 소셜미디어 및 메신저 등을 통하여 고객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명함>
도 4a 내지 도 4d는 영업활성화를 위한 전자명함 서비스인데, 전자명함이 중앙에 배치되고 배경에는 홍보영상이 삽입되어 있고 하단에는 배너가 배치된다. 도 4b와 같이 DM, 즉 고객에게 직접 메시지를 보내는 것도 가능하며, 도 4c 및 도 4d와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전자 팸플릿>
도 4e와 같은 전자 팸플릿은 도 4f와 같이 비대면 영업이 증가하고 온라인으로 광고의 축이 이동하고 있으며 신속하고 다양한 정보를 빠르게 전달해야 할 필요성으로 도 4g와 같은 전자 팸플릿을 제공한다. 도 4h와 같이 모델별 개별링크를 제공하고, 매달 구매혜택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모델 특장점을 요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전자 팸플릿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명함이 도 4i와 같이 포함될 수 있고, 도 4j와 같이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기능을 탑재하고, 공유 시 썸네일에 영업사원의 명함이 노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k와 같이 모델 기사 및 포스팅을 매달 업데이트시킬 수 있고 도 4l과 같이 유튜브 링크를 연동시켜 페이지 이동없이 또는 페이지 이동을 이용하여 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 또 도 4m과 같이 데이터를 나열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정보를 선별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가격표를 제공할 수 있고, 도 4n과 같이 견적내기 링크로 이동시키거나 전자 팸플릿에서 직접 견적을 내볼 수 있도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도 4o와 같이 UI/UX를 책넘김효과를 지원하고, 확대, 축소 등의 제스처를 지원할 수 있다. 현재 이 전자 팸플릿은 http://ad-renaultsamsungm.com/a2p10400/QM6 페이지에 구현되어 있는데, 도 4p와 같이 전자명함이 두 번째 페이지부터 포함되고, 그 다음에는 그 달의 전자 팸플릿이 시작된다. 양쪽의 화살표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이동할 수도 있지만 도 4q와 같이 책장넘김효과를 지원하고, 도 4r과 같이 마지막 페이지에는 기업의 견적내기 링크를 제공하여 도 4s와 같이 기업의 페이지로 고객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전자 팸플릿의 레이아웃을 생성하고(S5100), 전자 팸플릿의 레이아웃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연동한다(S5200).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영업 단말로부터 영업사원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전자 팸플릿 내 전자명함을 삽입 및 영업사원정보를 전자명함에 입력하고(S5300), 영업 단말의 전자명함이 포함된 전자 팸플릿의 링크를 생성하여 영업 단말로 제공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전자 팸플릿에 영업사원정보를 입력하여 전자명함을 추가하는 영업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전자 팸플릿의 레이아웃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전자 팸플릿의 레이아웃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연동시키는 연동부, 상기 영업 단말로부터 상기 영업사원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전자 팸플릿 내 전자명함을 삽입 및 영업사원정보를 상기 전자명함에 입력하는 명함삽입부, 상기 영업 단말의 전자명함이 포함된 전자 팸플릿의 링크를 생성하여 상기 영업 단말로 제공하는 개별링크부, 상기 영업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상기 전자명함이 포함된 전자 팸플릿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메시지 내 썸네일(Thumbnail)에 상기 전자 팸플릿 중 상기 전자명함이 노출되도록 설정하는 명함노출부, 상기 전자명함이 위치한 페이지의 배경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동영상을 삽입하고, 상기 페이지의 하단에 롤링배너를 삽입하는 정보삽입부, 상기 기업 서버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또는 채널의 계정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또는 채널의 링크를 연동시켜 상기 전자 팸플릿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또는 채널의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명함노출부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사용자의 네비게이션 경로를 분석한 결과인, 상기 영업 단말의 전자명함을 포함한 전자 팸플릿을 누가 클릭했는지, 클릭만 하고 바로 껐는지 및, 클릭한 후 연동되는 페이지에서 체류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업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프로모션 및 구매혜택을 포함하는 판촉 데이터를 업로드한 경우, 상기 판촉 데이터가 상기 전자 팸플릿 내 기 설정된 항목에서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도록 연동시키는 업데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영업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또는 채널의 계정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 또는 채널로 이동되도록 링크를 삽입하는 소셜미디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전자 팸플릿이 소개하는 상품의 모델 또는 고유식별코드별로 적어도 하나의 리뷰를 추출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뷰를 요약하여 평점과 함께 제공하는 리뷰요약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전자 팸플릿의 페이지 책장넘김효과와, 스프레드(Spread) 및 핀치(Pinch)에 대응하는 확대 및 축소를 포함하는 제스쳐(Gesture) 기능을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영업 단말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필수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때, 상기 필수정보가 포함된 링크를 전송하거나, 상기 전자 팸플릿 내 페이지에 포함되도록 페이지를 추가생성한 후, 추가생성된 페이지 내 상기 필수정보를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필수정보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전자 팸플릿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옵션에 따른 견적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견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30038121A 2023-03-23 2023-03-23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8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121A KR102580126B1 (ko) 2023-03-23 2023-03-23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121A KR102580126B1 (ko) 2023-03-23 2023-03-23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126B1 true KR102580126B1 (ko) 2023-09-19

Family

ID=88196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121A KR102580126B1 (ko) 2023-03-23 2023-03-23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1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80B1 (ko) * 2011-07-12 2013-08-16 유승학 광고지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62226A (ja) * 2016-03-10 2017-09-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49652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슬로그업 클라우드 기반 가전제품 거래 o2o 설치 중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80B1 (ko) * 2011-07-12 2013-08-16 유승학 광고지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62226A (ja) * 2016-03-10 2017-09-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49652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슬로그업 클라우드 기반 가전제품 거래 o2o 설치 중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9594B2 (en) Automated testing materials in electronic document publishing
JP2022168031A (ja) アンケート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0028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dular configurable creative units for delivery via intext advertising
Södergård et al. Integrated multimedia publishing: combining TV and newspaper content on personal channels
KR102138896B1 (ko) 소셜미디어, 마케팅 및 전자상거래를 통합한 o2o 기반 멀티플랫폼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818143A (zh) 一种页面配置、生成方法及装置
KR20090005097A (ko) 웹 커뮤니티 및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데이터를 변환하는시스템 및 방법
CN101288067A (zh) 从电子文档组装、提取和配置内容的方法和装置
US20100083129A1 (en) User Interface for Internet Advertisement
US11574343B2 (en) Automatic generation of electronic advertising messages containing one or more automatically selected stock photography images
JP2011527062A (ja) ホームページ統合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143172A1 (en) System, method, software arrangement and computer-accessible medium for a mobile-commerce store generator that automatically extracts and converts data from an electronic-commerce store
KR102019958B1 (ko) 콘텐츠 제작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US9471558B2 (en) Generation of introductory information page
KR20180039019A (ko) 상황-특정 기록 프레임워크와 관련된 방법 및 시스템
US11164219B1 (en) Automatic generation of electronic advertising messages
Balajee et al. Web Design Focusing on Users Viewing Experience with Respect to Static and Dynamic Nature of Web Sites
KR102580126B1 (ko) 영업활동지원을 위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098929A (ko) 사용자 지향적 개인 출판물 저작 도구를 이용하는 웹 기반의 온라인 전자책 출판 방법 및 웹 기반의 온라인 전자책 출판 시스템
KR102224782B1 (ko) 지역 콘텐츠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8184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generation of charts in a personalized video
Sun et al. Model-directed web transactions under constrained modalities
Leib et al. Web-based menu design: A conjoint value analysis
KR101255199B1 (ko) 사용자 지향적 개인 출판물 저작 도구를 이용하는 웹 기반의 온라인 전자책 출판 시스템.
JP2018500676A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デジタルカタログを構築する方法、及び上記方法を応用するコンピューター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並びにインタラクティブなデジタルカタロ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