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607B1 -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 Google Patents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607B1
KR102579607B1 KR1020230029968A KR20230029968A KR102579607B1 KR 102579607 B1 KR102579607 B1 KR 102579607B1 KR 1020230029968 A KR1020230029968 A KR 1020230029968A KR 20230029968 A KR20230029968 A KR 20230029968A KR 102579607 B1 KR102579607 B1 KR 102579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unit
electrolyte
voltage
corrosion
monitor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9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5561A (en
Inventor
김수경
김도형
소준영
최동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3002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607B1/en
Publication of KR2023003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5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60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2Electrochemical measuring systems for weathering, corrosion or corrosion-protection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학잡음을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잡음을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센서는, 대상 구조물에 대한 전기화학반응에서 전압 및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 및 상기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The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over time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to the target structure. A sensing unit for: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measuring voltage and current signals using the sensing results.

Description

전기화학잡음을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센서{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본 발명은 전기화학잡음을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 구조물에 직접 접촉시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화학잡음을 측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대상 구조물에 대한 잡음 저항 및 부식 속도를 도출하기 위한, 전기화학잡음을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and a corrosion monitoring device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osion monitoring device using the same, by directly contacting the target structure and detecting voltage and current signals to measure electrochemical noise, This relates to 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to derive noise resistance and corrosion rate.

일반적으로, '바이오매스(biomass)'라 함은 화학적 에너지로 사용 가능한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생물체, 즉 바이오에너지의 에너지원을 의미하고, 바이오매스 연료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되는 기체, 액체, 고체 형태의 연료를 말하는데, 예를 들어,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바이오제트연료 등이 있다.In general, 'biomass' refers to living organisms such as plants, animals, and microorganisms that can be used as chemical energy, that is, an energy source of bioenergy, and biomass fuel refers to gas, liquid, and gas produced from biomass. It refers to fuels in solid form, such as bioethanol, biodiesel, and biojet fuel.

바이오매스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 노내에서는 기존 석탄 보일러 노내의 연소 특성과는 다른 연소 환경으로 인해 부식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In boiler furnaces using biomass fuel, corrosion problems are occurring seriously due to a combustion environment that differs from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existing coal boiler furnaces.

즉, 이러한 바이오매스 연료는 화석 연료보다 저렴하지만, 낮은 연소율, 높은 수분함량, 다양한 화학 조성, 연소시 알칼리 염화물이 연소가스로 다량 배출될 뿐 아니라, 수퍼히터 튜브 등에 용착하여 열전도도를 낮추고 심각한 부식 문제를 발생시켜 유지 관리 비용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se biomass fuels are cheaper than fossil fuels, but due to their low combustion rate, high moisture content, and diverse chemical composition, not only are a large amount of alkali chloride emitted as combustion gas during combustion, but they also melt on super heater tubes, lowering thermal conductivity and causing serious corrosion. This can cause problems and significantly increase maintenance costs.

기존에 부식 감지 방식은 측정하고자 하는 구조물 또는 강재와 같은 재질의 탐촉자를 이용하여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측정하거나, 구조물 또는 강재가 놓인 환경인자를 측정하여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추정하는 간접적인 방식을 주로 이용하였다.Existing corrosion detection methods are mainly indirect methods of measuring resistance to corrosion using a pro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tructure or steel to be measured, or estimating resistance to corrosion by measuring environmental factors in which the structure or steel is placed. used.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구조물 또는 강재와 같은 재질의 탐촉자라 하더라도 노출된 환경에 따라 재료의 상태가 달라 정확한 내식성을 측정할 수 없으며, 실시간의 내식성을 측정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However, this method cannot accurately measure corrosion resistance even if the probe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structure or steel, as the state of the material varies depending on the exposed environment, and has limitations in measuring corrosion resistance in real time.

따라서, 기존의 부식 감지 방식은 실시간으로 부식 정보를 직접적인 방식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existing corrosion detection methods require technology that can directly measure corros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provide the result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7612호 (2012.11.27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07612 (registered on November 27,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 구조물에 직접 접촉시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화학잡음을 측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대상 구조물에 대한 잡음 저항 및 부식 속도를 도출하기 위한, 전기화학잡음을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to derive noise resistance and corrosion rate for the target structure in real time by measuring electrochemical noise by detecting voltage and current signals by directly contacting the target structure. It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잡음을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센서는, 대상 구조물에 대한 전기화학반응에서 전압 및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 및 상기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전압 및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over time in an electrochemical reaction to a target structure;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converts the results of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over time into digital signals using the sensing results.

상기 센싱부는, 전기화학반응을 위한 전해질 용액이 채워진 전해질 영역부; 상기 전해질 용액 내부에 삽입되어 전압 및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전극; 및 상기 전해질 용액과 상기 대상 구조물 사이에 전해질 이온을 교환시키기 위한 멤브레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includes an electrolyte area fill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for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n electrode inserted into the electrolyte solution to sense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over time; and a membrane member for exchanging electrolyte ions between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target structure.

상기 전극은, 백금(pt), 카본막대(carbon rod), 포화 칼로멜 전극(Saturated Calomel Electrode, SCE), 은/염화은 전극(Ag-AgCl electr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electrode may be any one of platinum (pt), carbon rod, saturated calomel electrode (SCE), and silver/silver chloride electrode (Ag-AgCl electrode).

상기 멤브레인 부재는, 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 PVdF-HFP)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ra FluoroEthylene, PTF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t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일종 또는 이종이상 선택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The membrane member is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 (PVdF-HFP) copolymer, polyvinylidene fluoride, polysulfone, polyether sulfone, poly Tetra-Fluoroethylene (PTFE), polyethylene, polycarbonate, polypropylene, polyvinylalcohol, polyphenylene sulfide, cellulose acetate ), polyamide, polyacrylonitrile, etc. One or more types may be selected and used.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 영역부의 하부면을 개방시켜 형성하고, 상기 멤브레인 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프레임; 및 상기 멤브레인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rame formed by opening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region and sealed by the membrane member; and a frame stopper for fixing the membrane member to the frame.

상기 프레임은, 테프론, 에폭시 수지, 고무 재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rame may be made of any one of Teflon, epoxy resin, and rubber materials.

상기 센싱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는, 핀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센싱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핀커넥터를 사이에 두고 서리 이격되어 적층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n connector, and the sensing unit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be stacked with the pin connector interposed between them.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부를 상부측에 설치하고, 상기 신호처리부를 하부측에 설치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를 밀봉시키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는 센서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부의 외측면과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오링이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ensor case including a case body installing the sensing unit on the upper side and installing the signal processing unit on the lower side, and a case cover sealing the case body; further comprising: an out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An O-ring may be inserted betwee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본 발명은 대상 구조물에 직접 접촉시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화학잡음을 측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대상 구조물에 대한 잡음 저항 및 부식 속도를 도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electrochemical noise by detecting voltage and current signals by directly contacting the target structure, so that noise resistance and corrosion rate for the target structure can be derived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부식 정보를 직접적인 방식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measure corros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provide the resul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잡음을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센싱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도 1의 신호처리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도 3의 ZRA에서 측정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식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ensing unit of Figure 1;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ignal processing unit of Figure 1;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voltage and current signals measured at the ZRA of Figure 3;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corrosion monitoring device using 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ttached drawings. Additio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term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alternatives may be used to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s or spacing depic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include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erm “unit”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the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wealth”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copy”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un on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part” refers to software components, such a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Includ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잡음을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잡음을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센서(이하 '부식 모니터링 센서'라 함)(1)는, 대상 구조물에 직접 접촉시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화학잡음(electrochemical noise)을 측정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corrosion monitoring sensor (1) using electrochemical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rosion monitoring sensor') detects voltage and current signals by directly contacting the target structure. to measure electrochemical noise.

여기서, 전기화학잡음이라 함은 전기화학반응에서의 전류나 전압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의미하며, 전기화학반응 도중 발생하는 잡음 저항으로 분석될 수 있다. 그리고, 잡음 저항은 전극 주위에서의 전기화학반응에 관한 반응 속도(부식 속도)를 도출하기 위해 이용된다.Here, electrochemical noise refers to the change in current or voltage over time in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nd can be analyzed as noise resistance generated during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In addition, noise resistance is used to derive the reaction rate (corrosion rate) regarding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around the electrode.

한편, 부식 모니터링 센서(1)는 핀커넥터(pin connector)(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신호처리부(30)와 센싱부(100)가 센서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신호처리부(30)와 센싱부(100)는 핀커넥터(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어 있다.Meanwhile, the corrosion monitoring sensor 1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30 and a sensing unit 100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n connector 20 and are installed inside the sensor case 10. Here, the signal processing unit 30 and the sensing unit 100 are stack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pin connector 20 in between.

그리고, 신호처리부(30)와 센싱부(100) 각각은 핀커넥터(2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를 위한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다. 이때, 신호처리부(30)와 센싱부(100) 각각은 핀커넥터(20)와 리드선을 통해 연결된다. 선호처리부(30)는 외부 통신을 위한 통신선이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gnal processing unit 30 and the sensing unit 100 are each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n connector 20, separation and installation for maintenance are easy. At this time, the signal processing unit 30 and the sensing unit 100 are each connected to the pin connector 20 and a lead wire. The preference processing unit 3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line for external communication.

한편, 센서 케이스(10)는 케이스 본체(11)와 케이스 커버(12)를 서로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1)와 케이스 커버(12)는 제1 오링(o-ring)(12a)을 통해 밀봉되어 결합된다.Meanwhile, the sensor case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se body 11 and the case cover 12 can be separa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The case body 11 and the case cover 12 are sealed and coupled through a first O-ring (12a).

먼저, 신호처리부(30)는 케이스 본체(11)의 내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걸이턱(11a)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30)는 걸이턱(11a)에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First, the signal processing unit 30 is fixed to the hook 11a extending in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 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unit 30 may be fastened to the hanging shoulder 11a through screw coupling.

다음, 센싱부(100)는 케이스 본체(11)의 하부에 조립되어 측정하려는 대상 구조물에 직접 접촉한다.Next, the sensing unit 100 is assemb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se body 11 and directly contacts the target structure to be measured.

그런데, 센싱부(100)와 케이스 본체(11)는 서로 조립할 때 존재하는 틈새를 통해 외부 이물질이 침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부(100)의 외측면과 케이스 본체(11)의 내측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오링(40)이 삽입된다.However, external foreign substances may penetrate the sensing unit 100 and the case body 11 through gaps that exist when the sensing unit 100 and the case body 11 are assembled together. Accordingly, the second O-ring 40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도 2는 상기 도 1의 센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sensing unit of FIG.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00)는 부식 감지 모니터링을 위한 대상 구조물(S)에 대한 전기화학반응에서 전압 및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센싱한다.As shown in FIG. 2, the sensing unit 100 senses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over time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to the target structure (S) for corrosion detection and monitoring.

이러한 센싱부(100)는 전기화학반응을 위한 전해질이 채워진 하나 이상의 전해질 영역부(110), 전해질 영역부(110)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130), 전해질 영역부(110)와 대상 구조물(S) 사이의 이온 교환을 위한 멤브레인 부재(140), 멤브레인 부재(140)를 프레임(130)에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 마개(150)를 포함한다. This sensing unit 100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lyte area 110 filled with an electrolyte for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 frame 130 for forming the electrolyte area 110, an electrolyte area 110, and a target structure (S ) includes a membrane member 140 for ion exchange between the membrane members 140 and a frame stopper 150 for fixing the membrane member 140 to the frame 130.

먼저, 전해질 영역부(110) 각각은 동일한 부피를 갖는 영역으로 전해질(예를 들어, K+, Na+, Ca2 +, Mg2 +, Cl- 등)이 포함된 용액 즉, 전해질 용액이 채워져 있다. 이때, 전해질은 부식 환경을 모사하는 경우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First, each of the electrolyte regions 110 is a region having the same volume and is filled with a solution containing an electrolyte (e.g., K + , Na + , Ca 2 + , Mg 2 + , Cl - , etc.), that is, an electrolyte solution. there is. At this time, any electrolyte may be used as long as it simulates a corrosive environment.

또한, 전해질 영역부(110) 각각은 전해질 용액 내부에 전압 및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의 전극(12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In addition, each electrolyte region 110 is installed with one electrode 120 inserted into the electrolyte solution to detect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over time.

여기서, 전극(120)은 전기적인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응성이 낮은 재료[예를 들어, 백금(pt), 카본막대(carbon rod), 포화 칼로멜 전극(Saturated Calomel Electrode, SCE), 은/염화은 전극(Ag-AgCl electrode) 등]가 적합하다. 이러한 전극(120)은 일단이 전해질 영역부(110)의 용액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에 핀커넥터(20)에 연결되는 리드선(121)이 연결된다. 이때, 리드선(121)은 전극(120) 타단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된다.Here, the electrode 120 is made of a low-reactivity material that does not affect the electrical signal (e.g., platinum (pt), carbon rod, Saturated Calomel Electrode (SCE), silver/silver chloride) electrode (Ag-AgCl electrode, etc.)] is suitable. One end of this electrode 120 is inserted into the solution of the electrolyte region 110, and a lead wire 121 connected to the pin connector 2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t this time, the lead wire 12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ectrode 120 by screwing.

다음, 프레임(130)은 전해질 영역부(110)에 채워진 전해질 용액과 반응하지 않도록 내화학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재질(예를 들어, 테프론, 에폭시 수지, 고무 등)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frame 130 is preferably selected from a material (eg, Teflon, epoxy resin, rubber, etc.) with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waterproofing so as not to react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filled in the electrolyte region 110.

특히, 프레임(130)은 전해질 영역부(110)의 하부면을 개방하는 구조로 제작되고, 멤브레인 부재(140)에 의해 밀봉된다. In particular, the frame 130 is manufactured in a structure that opens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region 110 and is sealed by the membrane member 140.

여기서, 멤브레인 부재(140)는 전해질 용액 내의 전해질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기공 크기(pore size)를 갖는 고분자 물질을 사용한다. 고분자 물질은 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 PVdF-HFP)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ra FluoroEthylene, PTF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t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일종 또는 이종이상 선택 사용된다.Here, the membrane member 140 uses a polymer material having a pore size through which electrolyte ions in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move. Polymer materials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 (PVdF-HFP) copolymer, polyvinylidene fluoride, polysulfone, polyether sulfone, polytetra- PolyTera FluoroEthylene (PTFE), polyethylene, polycarbonate, polypropylene, polyvinyl alcohol, polyphenylene sulfide, cellulose acetate, One or more types are selected and us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mide, polyacrylonitrile, etc.

이러한 멤브레인 부재(140)는 전해질 용액이 빠져나가지 않고, 전해질 이온이 대상 구조물(S)과 반응할 수 있는 기공 크기를 갖는다. 이때, 멤브레인 부재(140)가 대상 구조물(S)에 밀착하면, 전해질 이온은 대상 구조물(S)과 반응하여 전압 및 전류 신호가 발생한다. 전극(120)은 발생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감지한다.This membrane member 140 has a pore size that allows electrolyte ions to react with the target structure (S) without allowing the electrolyte solution to escape. At this time, when the membrane member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arget structure (S), the electrolyte ions react with the target structure (S) to generate voltage and current signals. The electrode 120 detects the generated voltage and current signals.

그리고, 멤브레인 부재(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마개(150)에 의해 고정된다. 프레임 마개(15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볼트/너트 결합 구조(151)로 조립될 수 있다.And, the membrane member 140 is fixed by the frame stopper 150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stopper 150 may be composed of a pair and assembled into a bolt/nut combination structure 151.

프레임 마개(150)는 멤브레인 부재(14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며, 프레임(130)과 동일 재질 또는 다른 재질이라도 상관없다. 프레임 마개(150)는 프레임(130)과 마찬가지로 내화학성이 우수한 재질이 바람직하다.The frame stopper 150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serves to secure the membrane member 140, and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rame 130 or a different material. Like the frame 130, the frame stopper 15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도 3은 상기 도 1의 신호처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ZRA에서 측정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signal processing unit of FIG. 1,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voltage and current signals measured at the ZRA of FIG. 3.

도 3을 참조하면, 신호처리부(30)는 센싱부(100)를 통해 감지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ignal processing unit 30 converts the voltage and current signal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100 into digital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outside.

신호처리부(30)는 ZRA(Zero Resistance Ameter) 센싱부(31), 증폭부(32), A/D 변환부(33), 필터부(34), 데이터 통신부(35)를 포함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30 includes a Zero Resistance Ameter (ZRA) sensing unit 31, an amplifying unit 32, an A/D converting unit 33, a filter unit 34, and a data communication unit 35.

ZRA 센싱부(31)는 전극(120)을 통해 감지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측정하는 무저항 전류계일 수 있다.The ZRA sensing unit 31 may be a non-resistance ammeter that measures voltage and current signals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120.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극(120)은 3개의 전극 즉, 제1 전극, 제2 전극, 제3 전극이 순서대로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ZRA 센싱부(31)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류 신호를 측정하거나, 제1 전극과 제3 전극 사이의 전압 신호를 측정한다. ZRA 센싱부(31)는 도 4와 같이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electrode 120 includes three electrodes, that i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d a third electrode, arranged in order. In this case, the ZRA sensing unit 31 measures a current sign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r a voltage sign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The ZRA sensing unit 31 can measure voltage and current signals as shown in FIG. 4.

증폭부(32)는 ZRA 센싱부(31)를 통해 측정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증폭하고, A/D 변환부(33)는 증폭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필터부(34)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필터링하고, 데이터 통신부(35)는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외부[후술할 제어부(2)]에 전달한다.The amplification unit 32 amplifies the voltage and current signals measured through the ZRA sensing unit 31, and the A/D conversion unit 33 converts the amplified electric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filter unit 34 filter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nd the data communication unit 35 transmits the filtered digital signal to the outside (control unit 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식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corrosion monitoring device using 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식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장치는, 부식 모니터링 센서(1), 제어부(2), 메모리(3), 출력부(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5, the corrosion monitoring device using 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1), a control unit (2), a memory (3), and an output unit (4). .

전술한 바와 같이, 부식 모니터링 센서(1)는 대상 구조물(S)의 부식 감지 모니터링을 통해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측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rrosion monitoring sensor 1 measures voltage and current signals through corrosion detection and monitoring of the target structure (S).

제어부(2)는 측정된 전압 및 전류 신호로부터 잡음 저항 및 부식 속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출력부(4)를 통해 그 결과를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2 calculates the noise resistance and corrosion rate in real time from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signals and outputs the results through the output unit 4.

여기서, 제어부(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고, 메모리(3)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며, 출력부(4)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의 실행 결과를 출력한다. 제어부(2), 메모리(3) 및 출력부(4)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2 is at least one processor and execute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the memory 3 stores th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and the output unit 4 outputs execution results of th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The control unit 2, memory 3, and output unit 4 may be included in a computer, laptop, smartphone, etc.

구체적으로, 잡음 저항(noise resistance)(Rn)은 전위 표준편차(σV)와 전류 표준편차(σI)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다.Specifically, noise resistance (Rn) is calculated using the potential standard deviation (σ V ) and current standard deviation (σ I )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잡음 저항(Rn)은 분극 저항(Rp)과 동일시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전기화학 타펠측정법에 의해 부식속도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분극 저항(Rp)이 이용된다.Noise resistance (Rn) can be equated to polarization resistance (Rp). According to the general electrochemical Tafel measurement method, the corrosion rate is determined by polarization resistance (Rp)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여기서, βox,M는 양극타펠상수이고, βred,C는 음극타펠상수이다.Here, β ox,M is the positive Tafel constant, and β red,C is the negative Tafel constant.

이에, 부식 속도(mm/year)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ly, the corrosion rate (mm/year)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3 below.

여기서, E.W.(Equivalent Weight)는 ∑fiMi/ni으로 나타낼 수 있고, fi는 원자분률, Mi는 원자량, ni는 원자가이다.Here, EW (Equivalent Weight) can be expressed as ∑f i M i /n i , where f i is the atomic fraction, M i is the atomic weight, and n i is the valence.

또한, 제어부(2)는 측정된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부식 종류를 확인기 위한 이미 알려진 로컬리제이션 인덱스(localization index)를 계산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2)는 균일 부식 또는 국부 부식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균일 부식의 경우에는 로컬리제이션 인덱스값은 10-3이 되고, 국부 부식의 경우에는 더 큰 값을 나타낸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2 uses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signals to calculate a known localization index to confirm the type of corrosion.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2 can determine the type of uniform corrosion or localized corrosion. In the case of uniform corrosion, the localization index value is 10 -3 , and in the case of local corrosion, the value is larger.

일부 실시 예에 의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Method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focuses on the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as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apparatus and method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deletions, substitu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in the form and details of .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부식 모니터링 센서 2 ; 제어부
3 ; 메모리 4 ; 출력부
10 ; 센서 케이스 11 ; 케이스 본체
12 ; 케이스 커버 12a : 제1 오링
20 ; 핀커넥터 30 ; 신호처리부
31 ; ZRA 센싱부 32 ; 증폭부
33 ; A/D 변환부 34 ; 필터부
35 ; 데이터 통신부 40 ; 제2 오링
100 ; 센싱부 110 ; 전해질 영역부
120 ; 전극 121 ; 리드선
130 ; 프레임 140 ; 멤브레인 부재
150 ; 프레임 마개 S ; 대상 구조물
One ; Corrosion monitoring sensor 2 ; control unit
3 ; memory 4 ; output unit
10 ; sensor case 11 ; case body
12 ; Case cover 12a: first O-ring
20 ; pin connector 30; Signal processing unit
31 ; ZRA sensing unit 32; amplification unit
33 ; A/D conversion unit 34; filter part
35 ; Data Communication Department 40; 2nd o-ring
100 ; Sensing unit 110; electrolyte area
120 ; electrode 121; lead wire
130 ; frame 140 ; absence of membrane
150 ; Frame stopper S ; target structure

Claims (1)

대상 구조물에 대한 전기화학반응에서 전압 및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된 전압 및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전기화학반응을 위한 전해질 용액이 채워진 전해질 영역부;
상기 전해질 용액 내부에 삽입되어 전압 및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전극;
상기 전해질 용액과 상기 대상 구조물 사이에 전해질 이온을 교환시키기 위한 멤브레인 부재; 및
상기 전해질 영역부의 하부면을 개방시켜 형성하고, 상기 멤브레인 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는,
핀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센싱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핀커넥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며,
상기 멤브레인 부재는 상기 전해질 용액이 빠져나가지 않고, 상기 전해질 이온만이 상기 대상 구조물과 반응할 수 있는 기공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잡음을 이용한 부식 모니터링 센서.
A sensing unit for sensing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over time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to the target structure; and
It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converts the results of changes over time in the voltage and current sensed by the sensing unit into a digital signal,
The sensing unit,
An electrolyte area fill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for electrochemical reaction;
an electrode inserted into the electrolyte solution to sense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over time;
a membrane member for exchanging electrolyte ions between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target structure; and
A frame formed by opening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region and sealed by the membrane member,
The sensing unit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n connector, and the sensing unit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are stack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pin connector in between,
A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rane member has a pore size such that the electrolyte solution does not escape and only the electrolyte ions can react with the target structure.
KR1020230029968A 2018-09-27 2023-03-07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KR102579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968A KR102579607B1 (en) 2018-09-27 2023-03-07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793A KR102509172B1 (en) 2018-09-27 2018-09-27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and corrosion monitor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0230029968A KR102579607B1 (en) 2018-09-27 2023-03-07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793A Division KR102509172B1 (en) 2018-09-27 2018-09-27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and corrosion monitoring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561A KR20230035561A (en) 2023-03-14
KR102579607B1 true KR102579607B1 (en) 2023-09-19

Family

ID=7028211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793A KR102509172B1 (en) 2018-09-27 2018-09-27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and corrosion monitor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0230029968A KR102579607B1 (en) 2018-09-27 2023-03-07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KR1020230029969A KR102580247B1 (en) 2018-09-27 2023-03-07 Corrosion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793A KR102509172B1 (en) 2018-09-27 2018-09-27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and corrosion monitoring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969A KR102580247B1 (en) 2018-09-27 2023-03-07 Corrosion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091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052A (en) 2022-01-24 2023-08-0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Monitoring cell for scanning vibrating electrode technique tes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7046A1 (en) * 1983-12-24 1985-07-04 Gunter 3560 Biedenkopf Schuss Measuring probe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potential above the base of liquid containers having cathodic corrosion protection
WO2008008567A2 (en) * 2006-07-12 2008-01-17 Pepperl & Fuchs, Inc. Corrosion measurement field device
JP4141841B2 (en) 2001-03-27 2008-08-27 サウスウエスト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Sensor array and method for electrochemical corrosion monitoring
US20110210014A1 (en) * 2008-11-03 2011-09-01 Garosshen Thomas J Corrosion sensor system
CN102680387A (en) * 2012-04-28 2012-09-19 中交四航工程研究院有限公司 Real-time monitoring sensor for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17003378A (en) * 2015-06-09 2017-01-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Reference electro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0153A (en) * 1984-03-23 1985-10-09 Toshiba Corp Metal corrosion measuring apparatus
KR101207612B1 (en) 2010-11-18 2012-12-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esting cell for sensing of electric corrosion used galvanic sensor for sensingof electric corrosion of steel-concrete struct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7046A1 (en) * 1983-12-24 1985-07-04 Gunter 3560 Biedenkopf Schuss Measuring probe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potential above the base of liquid containers having cathodic corrosion protection
JP4141841B2 (en) 2001-03-27 2008-08-27 サウスウエスト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Sensor array and method for electrochemical corrosion monitoring
WO2008008567A2 (en) * 2006-07-12 2008-01-17 Pepperl & Fuchs, Inc. Corrosion measurement field device
US20110210014A1 (en) * 2008-11-03 2011-09-01 Garosshen Thomas J Corrosion sensor system
CN102680387A (en) * 2012-04-28 2012-09-19 中交四航工程研究院有限公司 Real-time monitoring sensor for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17003378A (en) * 2015-06-09 2017-01-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Reference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561A (en) 2023-03-14
KR102509172B1 (en) 2023-03-14
KR20200035584A (en) 2020-04-06
KR20230035562A (en) 2023-03-14
KR102580247B1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607B1 (en) Corrosion monitoring sensor using electrochemical noise
CN110573869B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toxic gas sensors using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JP7143218B2 (en) Air cleaner and air cleaning method
CN104380094A (en) Analyte sensing device
Farquhar et al. Understanding and correcting unwanted influences on the signal from electrochemical gas sensors
US9513248B2 (en) Potentiometric sensor
US8382974B2 (en) Sensor to measure a concentration of alkali alcoholate
US20230003634A1 (en) Low-power sensor network
CN107436328A (en) The calibration method of transformer insulation oil on-line chromatograph analyzer
JP2018529936A (en) Refrigerant analyzer and method of using refrigerant analyzer
US9052282B2 (en) Water analysis measurement arrangement
US1084471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alyte concentration
US118111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fuel cell membrane degradation
Hattori et al. Safty estimation of two calcium ion-sensitive plasticized poly (vinyl chloride) membrane for bioimaging apparatus
US11209384B2 (en) Electrochemical sensor containing an internal reference cell
EP3974786A1 (en) Differential capacitance continuous level sensor systems
Joshi Voltammetric quantification of cholesterol over Polyindole Tungsten Carbide Modified Electrode
JP5897372B2 (en) Electrochemical gas sensor, method for selectively detecting CO and H2, and method for modifying electrochemical gas sensor
Gao Novel Electrochemical Methods for Acidity Monitoring: Theory, Design and Application
Dameron et al. NREL's e-Ca Test: A Scalable, High-Sensitivity Water Permeation Measurement Methodology (Poster)
Zhu et al. A Novel Three-Electrode Solid Electrolyte Hydrogen Gas Sensor
JP2022045205A (en) System for measuring chloride under severe environment and method for measuring chloride under severe environment
Bánszegi et al. Detecting soil microbial activity via an electrochemical activity sensor
RU69641U1 (en) DEVICE FOR ANALYSIS OF THE CONTENT OF CARBON MONOXIDE IN THE AIR
Payab et al. Gold nanoparticles linked to gold DVD platform via L-cysteine self-assembly monolayer: A novel voltammetric sensor for detection of hydraz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