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461B1 -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 Google Patents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461B1
KR102579461B1 KR1020220184996A KR20220184996A KR102579461B1 KR 102579461 B1 KR102579461 B1 KR 102579461B1 KR 1020220184996 A KR1020220184996 A KR 1020220184996A KR 20220184996 A KR20220184996 A KR 20220184996A KR 102579461 B1 KR102579461 B1 KR 10257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tray
wall
tra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식
Original Assignee
박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식 filed Critical 박순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6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deforming bodies with which the ice is in contact, e.g. using inflat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트레이에서 결빙된 얼음을 쉽게 탈빙 가능토록 한 것으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용기함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를 사용하여 용기함체의 뚜껑을 트레이 덮개로 사용하면서 탈빙유도테를 사용하여 결빙된 얼음 트레이의 셀에 결빙되어진 얼음의 탈빙이 용이하여 경제성을 갖게 되면서도 위생적으로 제조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Ice tray provides ease of de-icing}
본 발명은 얼음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얼음트레이의 셀에 결빙된 얼음을 쉽게 탈빙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가정이나 업소에서 일정한 크기(통상 큐빅의 형태)와 형태로 얼음을 제조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은 상부가 개방되고, 복수의 셀이 구비되는 얼음 트레이를 사용하게 되고, 상기 얼음트레이의 셀에 물을 채움토록 한 후 바로 냉동실에 넣어 결빙토록 하거나 또는 대량의 얼음을 제조할 경우에는 개방된 얼음트레이의 상부를 덮개로 덮어준 후 다단으로 적층하여 냉동실에 넣어 대량으로 결빙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빙이 완료되면 얼음트리이를 냉동실에서 꺼내어 상온의 정수물에 씻거나 또는 대부분 얼음트레이를 좌우로 비틀어서 셀에서 결빙된 얼음이 셀에서 탈빙가능토록 한 후 얼음용기에 담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에 얼음트레이를 좌우로 비틀게 되면 셀에 결빙되어진 얼음이 탈빙이 용이하게 셀이 경사지게 구비되어져 순간적으로 튀어오르게 되면서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비틀림이 전달되지 않는 부분에는 완전한 탈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손을 사용하여 셀에서 꺼내게 되는 등의 비 위생적인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탈빙된 것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함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함의 내측에 걸림테를 구비토록 한 후 상기 걸림테에 결빙된 상태에서의 얼음트레이가 엎어진 상태로 내입되어지고, 그 상태에서 걸림테에 걸림되어지면 얼음트레이의 이면에서 작동가압판을 위치토록 한 후 작동가압판을 가압토록 하면 작동가압판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작동되는 승강핀들이 각각의 셀의 이면을 밀어주게 되면서 셀에 결빙된 얼음이 탈빙되어질 수 있고 탈빙된 얼음은 수용함에 수용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상기 수용함이 얼음의 탈빙시에만 사용가능한 것이고, 또한 가압판의 구조가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작동되는 승강핀의 결합이 요구됨은 물론 이러한 제작을 위하여는 별도의 부품의 사용과 조립에 따른 원가상승에 의하여 탈빙용으로 한정사용하기에는 실용적이지 못하여 비 경제적인 부분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얼음트레이의 셀에서 결빙된 얼음의 탈빙이 간단한 구조로 가능하면서 탈빙의 용이성은 물론 이러한 것을 저렴하게 제공가능토록 하여 경제성을 갖도록 하고, 동시에 탈빙되는 얼음이 위생적으로 보관이나 취급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용기함체와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를 사용하여 용기함체의 용기뚜껑을 얼음트레이의 덮개로도 사용하면서 탈빙유도테를 용기함체와 얼음트레이를 연결하여 얼음트레이의 셀에 결빙되어진 얼음의 탈빙이 얼음트레이의 셀의 이면에서 가압하는 것만으로 탈빙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간단한 조립구조에 의하여 얼음트레이의 셀에 결빙되어진 얼음의 탈빙이 용이하게 될 수 있음은 물론 위생적으로 탈빙할 수 있는 것이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도 가능토록 될 수 있고, 사용자가 조작의 용이성도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트레이에 덮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트레이 덮개가 용기함체의 뚜껑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트레이의 셀에 결빙된 상태에서 덮개를 제거하고 탈빙유도테를 사용하여 탈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4는 도3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탈빙유도테의 또 다른 일실시예.
도6 및 도6a는 본 발명의 탈빙유도테의 제2실시예.
도7 및 도7a는 본 발명의 탈빙유도테의 제3실시예
도8 및 도8a는 본 발명의 탈빙유도테의 제4실시예
도9는 종래 트레이에 덮개가 구비된 상태에서 탈빙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내공간(111)을 갖는 용기함체(110)와, 상기 용기함체(110)의 상단테두리(112)를 감싸면서 탈착되어지게 결합되어지는 용기뚜껑(120)으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00)와, 상기 밀폐용기(100)를 구성하는 용기함체(110)의 용기뚜껑(120)으로 탈착될 수 있도록 되는 얼음트레이(200)와, 상기 얼음트레이(200)의 셀(220)에 결빙된 얼음을 탈빙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용기 뚜껑(120)이 제거된 용기함체(110)와 뒤집어진 얼음트레이(200)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이들이 서로 이탈되지 않게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탈빙유도테(30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기뚜껑(120)을 얼음트레이(200)의 덮개로 사용하기 위하여 또는 탈빙유도테(300)를 용기함체(110)와 얼음트레이(200)와 연결되기 위하여 다음의 구조를 갖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용기뚜껑(120)은 용기함체(110)의 상단테두리(112)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폭의 내입홈테(121)가 구비되고, 상기 내입홈테(121)에 의하여 용기뚜껑(120)의 상면으로는 돌출테두리(122)가 구비되어지며, 이러한 돌출테두리(122)로 인하여 얼음트레이(200)의 개방된 상부가 용기뚜껑(120)으로 덮여진 상태에서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의 적층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얼음트레이(200)도 상기 용기뚜껑(120)의 내입홈테(1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얼음트레이(200)의 테두리에는 상단테두리(210)가 돌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얼음트레이(200)의 상단테두리(210)는 복수의 셀(220)을 구획하는 구획벽(230)의 상측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어지는 것이고, 상기 얼음트레이(200)의 상단테두리(210)의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탈빙유도테(300)가 용기함체(110)와 얼음트레이(20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게 연결될 경우에 복수의 셀(220)에 결빙되어진 얼음이 탈빙될 경우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토록 일정한 폭의 받침면이 구비되는 받침테(24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탈빙유도테(300)는 용기함체(110)의 내공간(111)을 형성하는 벽면(113)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일정한 깊이로 내입되어지는 지지벽(310)과 상기 지지벽(310)이 일정깊이로 내입된 상태에서 용기함체의 상단테두리(112)에 걸쳐질 수 있는 걸림테(320)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테(320)의 상방으로는 지지벽(310)과 연장되면서 얼음트레이(200)의 상단테두리(210)를 구성하는 연장면(211)과 밀착되면서 그 하단에 구비되는 받침테(240)에 선단이 밀착될 수 있는 끼임벽(330)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끼임벽(330)은 연장면(211)과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탈빙유도테(300)는 용기함체(110)와 얼음트레이(200)가 동일한 규격(예를 들어 용기함체(110)의 내공간(111)의 면적과 얼음트레이(200)의 받침테(240)가 형성되는 면적이 동일할 경우)을 형성할 경우에는 지지벽(310)과 끼임벽(330)이 동일한 수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걸림테(320)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펼쳐지는 구조일 수 있지만 만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함체(110)의 내공간(111)이 얼음트레이(200)의 받침테(240)의 면적보다 클 경우에는 단턱(340)에 의하여 절곡된 상태에서 끼임벽(330)이 구비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단턱(340)은 지지벽(31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얼음트레이의 상단테두리(210)는 뒤집어진 상태에서 끼임벽(330)에 연장면(211)이 끼임되면서 단턱(340)의 상면(320a)에 받쳐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상면(320a)의 외측으로는 걸림테(320)가 돌출되면서 용기함체(110)의 상단테두리(112)에 받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빙유도테(300)의 지지벽(310)을 길게 형성할 경우에는 얼음트레이(200)의 셀(220)에 결빙되어진 얼음을 쟁반등에 탈빙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에는 가능하면 지지벽(310)의 길이가 결빙된 얼음의 높이보다 높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고, 쟁반등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지지벽(310)의 선단이 쟁반등의 바닥면에 위치되게 놓고 탈빙유도테(300)의 끼임벽(330)의 선단이 얼음트레이(200)의 받침테(240)에 밀착되면서 얼음트레이의 상단테두리(210)가 단턱의 상면(320a) 또는 걸림테(320)에 받쳐지게 되어 얼음트레이(20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셀(220)의 이면을 가압함으로서 용기함체(110)가 없을 경우에도 간단하게 탈빙도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탈빙유도테(300)는 가능하면 경질로 제작토록 함으로서 연질의 얼음트레이(200)가 뒤집어져 얼음트레이(200)의 받침테(240)가 끼임벽(330)의 선단(330a)에 받쳐진 상태에서 셀(220)의 이면을 가압할 경우에 얼음트레이(200)의 상단테두리(210)가 걸림테(320)와 밀착되어져 셀(220)의 이면만이 가압되어지면서 탈빙이 용이하게 일어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탈빙유도테(300)는 도7과 도7a 및 도8과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일실시예로 제공됨으로서 더욱더 안정적인 탈빙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끼임벽(330)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외벽(350)을 구비하여 내입홈테(360)를 구비토록 하여 얼음트레이(20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얼음트레이(200)의 상단테두리(210)가 내입홈테(360)에 내입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얼음트레이(200)의 상단테두리(210)가 일정깊이로 내입되어지도록 함으로서 뒤집어진 얼음트레이(200)의 이면에서 셀(220)의 이면을 가압할 경우에 상단테두리(210)가 외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벌어질 수 있는 것을 차단하여 셀(220)의 이면의 가압시 가압되는 압력이 손실이 없이 완전하게 전달토록 하여 탈빙의 용이성은 물론 얼음트레이(200)가 뒤집어지면서 발생될 수 있는 물기의 누출도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얼음트레이(200)의 셀(220)이 다열과 다종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전체적으로 셀(220)이 구비된 결빙면(370)이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얼음트레이(200)의 셀(220)을 이면에서 가압할 경우에는 셀(200)이 다열과 다종으로 이루어지는 결빙면을 형성하여 상기 결빙면(370)이 전체적으로 하향되면서 출렁이게 되면서 셀의 정확한 가압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용이한 결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얼음트레이(200)의 셀(220)을 구획하는 구획벽(230)에 밀착지지될 수 있도록 탈빙유도테(300)의 내측으로는 격자판(380)을 일체로 구비하여 얼음트레이(200)의 셀(220)에 결빙된 얼음을 뒤집어서 탈빙할 경우에 각각의 셀(220)만이 가압되어져 용이한 탈빙이 가능토록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격자판(380)은 끼임벽(330)이 형성된 부분에만 형성토록 함으로서 얼음트레이(200)가 뒤집어서 내입홈테(360)에 상단테두리(210)가 끼임될 경우에 셀(220)을 구획하는 구획벽(230)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내입홈테(360)로 인하여 얼음트레이(200)가 긴밀하게 끼임된 상태에서 분리의 용이성은 물론 탈빙유도테(300)의 취급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양변으로는 손잡이(390)를 외벽(35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손잡이(390)는 손잡이판(391)이 돌출되는 부분에는 외벽(350)이 개방되어지게 개방부(392)를 형성함으로서 청소후 물기의 제거의 용이성도 제공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개방부(392)의 양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져 보강면(393)을 손잡이판(391)의 양변까지 구비토록 함으로서 손잡이판(391)이 강한 지지력도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0:밀폐용기
110:용기함체 111:내공간
112:상단테두리 120:용기뚜껑
121:내입홈테 122:돌출테두리
200:얼음트레이
210:상단테두리 220:셀
230:구획벽 240:받침테
300:탈빙유도테
310:지지벽 320:걸림테
330:끼임벽 340:단턱
350:외벽 360:내입홈테
370:결빙면 380:격자판
390:손잡이 391:손잡이판
392:개방부 393:보강면

Claims (10)

  1. 상단테두리(112)의 하방으로 형성되는 벽면에 의하여 내공간이 형성되는 용기함체와
    상기 용기함체의 내공간을 형성하는 벽면의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으면서 일정한 깊이로 내입되어지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이 용기함체의 내벽면에 일정깊이로 내입된 상태에서 용기함체의 상단테두리(112)에 이면(320b)이 걸쳐질 수 있는 걸림테와 상기 걸림테의 상방으로는 얼음트레이의 상단테두리(210)를 구성하는 연장면과 밀착되면서 얼음트레이의 상단테두리(21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테의 상면(320a)에 밀착될 수 있는 끼임벽으로 구비되는 탈빙유도테(300)와
    상기 탈빙유도테의 끼임벽이 끼임되어지는 연장면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테의 상면(320a)에 밀착될 수 있는 상단테두리(210)와 다수의 구획벽에 의한 복수의 셀과 상기 끼임벽의 선단이 밀착되어지는 받침테로 이루어진 얼음트레이와
    상기 용기함체의 상단테두리(112) 또는 얼음트레이의 상단테두리(210)에 탈착될 수 있게 내입홈테(121)가 구비되고, 상기 내입홈테의 이면으로는 돌출테두리(122)가 구비되어 용기함체의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고, 얼음트레이의 뚜껑으로 사용되면서 얼음트레이가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다단적층이 가능토록 되는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지는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빙유도테(300)는, 용기함체의 내공간의 넓이가 얼음트레이의 받침테의 넓이보다 클 경우에는, 지지벽의 상단 외측으로는 걸림테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벽의 상단 내측으로 절곡되는 단턱면과 그의 선단에서 직립되게 연장되는 끼임벽이 구비되어져 용기함체의 상단테두리는 걸림테의 이면과 밀착되고, 얼음트레이의 상단테두리는 단턱면의 상면에 밀착되어지는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빙유도테(300)의 지지벽(310)을 하방으로 길게 형성하여 얼음트레이(200)의 셀(220)에 결빙되어진 얼음을 쟁반에서도 탈빙이 가능토록 지지벽(310)의 길이가 결빙된 얼음의 높이보다 높게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벽(310)의 선단이 쟁반등의 바닥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탈빙유도테(300)의 끼임벽(330)이 얼음트레이의 연장면과 밀착될 수 있는 상태에서 걸림테의 상면에 얼음트레이의 상단테두리가 밀착토록 한 후 얼음트레이(200)의 뒤집어진 상태에서 셀(220)의 이면을 가압함으로서 용기함체(110)가 없을 경우에도 간단하게 탈빙도 가능하게 될 수 있는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빙유도테(300)는 경질로 이루어져 연질의 얼음트레이(200)가 뒤집어져 얼음트레이(200)의 상단테두리를 구성하는 연장면에 끼임벽(330)이 밀착되는 상태에서 얼음트레이의 상단테두리가 걸림테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끼임벽의 선단이 얼음트레이의 받침테에 동시에 받쳐져 셀(220)의 이면을 가압할 경우에 탈빙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빙유도테의 끼임벽(330)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외벽(350)을 구비하여 내입홈테(360)를 구비하고,
    상기 내입홈테의 폭은 얼음트레이(20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얼음트레이(200)의 상단테두리(210)가 내입되어져 고정질 수 있는 폭으로 이루어지는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빙유도테(300)의 내측으로는 격자판(380)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격자판은 얼음트레이(200)의 셀(220)을 구획하는 구획벽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380)은 끼임벽(330)의 상단까지 형성토록 되는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빙유도테(300)의 취급을 용이토록 양변으로는 손잡이(390)를 외벽(35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토록 하는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90)는 손잡이판(391)이 돌출되는 부분에는 외벽(350)이 개방되어지게 개방부(392)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392)의 양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져 보강면(393)을 손잡이판(391)의 양변까지 구비토록 하는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KR1020220184996A 2022-12-21 2022-12-26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KR102579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80912 2022-12-21
KR1020220180912 2022-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461B1 true KR102579461B1 (ko) 2023-09-21

Family

ID=8818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996A KR102579461B1 (ko) 2022-12-21 2022-12-26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4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8131B1 (en) * 1999-08-06 2001-01-02 Business World Trade, Inc. Ice cube tray and dispenser
JP2005090814A (ja) * 2003-09-16 200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噴射式製氷機
US20050151049A1 (en) * 2004-01-09 2005-07-14 Mathieu Lion Ice cube tray with server cover
KR101038344B1 (ko) * 2010-12-02 2011-05-31 광주광역시 남구 제빙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8131B1 (en) * 1999-08-06 2001-01-02 Business World Trade, Inc. Ice cube tray and dispenser
JP2005090814A (ja) * 2003-09-16 200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噴射式製氷機
US20050151049A1 (en) * 2004-01-09 2005-07-14 Mathieu Lion Ice cube tray with server cover
KR101038344B1 (ko) * 2010-12-02 2011-05-31 광주광역시 남구 제빙용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88412A (en) Stackable display case
KR100733299B1 (ko) 김치 냉장고용 김치 용기
CN101850879A (zh) 蛋盒
KR101888040B1 (ko) 기능성 음식물 쓰레기통
KR102579461B1 (ko) 탈빙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얼음트레이
KR200465164Y1 (ko)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KR20150003192U (ko) 다용도 냉동용기
KR100738719B1 (ko) 김치냉장고의 서랍 저장용기
KR20100000379U (ko) 이쑤시개 사탕 케이스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JP4178324B2 (ja) 茎付き花セット台と茎付き花収容容器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101306572B1 (ko) 반찬용기 보관케이스
KR20050081348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200474242Y1 (ko)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20140005944U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채반
KR101379755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AU2020204169A1 (en) A dishwashing basket for elongate articles
JP3549821B2 (ja) ハム等のスライス食品の保存容器
KR100405894B1 (ko) 음식물 배달통
JP2006089078A (ja) 卵収納容器
KR200334592Y1 (ko) 김치절단용기
RU213977U1 (ru) Переносной модуль хранения
KR200383903Y1 (ko) 아이스크림 용기
KR100679649B1 (ko) 냉장고의 반찬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