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274B1 -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274B1
KR102579274B1 KR1020210074700A KR20210074700A KR102579274B1 KR 102579274 B1 KR102579274 B1 KR 102579274B1 KR 1020210074700 A KR1020210074700 A KR 1020210074700A KR 20210074700 A KR20210074700 A KR 20210074700A KR 102579274 B1 KR102579274 B1 KR 102579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layer
weight
concrete
plana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981A (ko
Inventor
김준수
Original Assignee
에코엔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엔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엔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27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 PET 또는 PE 재질의 시트지, 합판, 시멘트 또는 절연 처리된 강철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발열층과, 상기 베이스층과 발열층 사이에 삽입되는 전극과, 상기 발열층 위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습기나 수분으로부터 발열층을 보호하고 절연 차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의 면상발열체가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면상발열체의 발열을 통해 콘크리트의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GANG FORM HAVING FLAT TYPE HEATING ELEMENT}
본 발명은 부직포, PET 또는 PE 재질의 시트지, 합판, 시멘트 또는 절연 처리된 강철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발열층과, 상기 베이스층과 발열층 사이에 삽입되는 전극과, 상기 발열층 위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습기나 수분으로부터 발열층을 보호하고 절연 차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의 면상발열체가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면상발열체의 발열을 통해 콘크리트의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설공사는 초고층화, 대형화, 다기능 및 장스팬 구조 등으로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아지고 있어, 그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이 중요함에도 현실은 그렇지 않고 오히려 콘크리트 구조물의 붕괴 및 결함으로 인한 중대 재해 횟수는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많은 건설 공정 중 다른 공정에 비해 갱폼 공사는 구조물의 품질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콘크리트 타설 중 갱폼의 붕괴 및 도괴사고는 대형재해로 이어져 근로자의 사망 등 인적 피해와 더불어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문제를 많이 야기시키는 공정이다.
콘크리트 양생이란 충분한 수분과 열이 존재하는 조건 하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콘크리트가 지속적인 수화반응을 통하여 굳은 콘크리트의 물성을 발현하는 과정으로서, 양생과정에서 수화반응이 지속될 수 있는 충분한 콘크리트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초기 콘크리트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수화반응이 급속히 진행되는 경우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공극을 증가시켜 내구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콘크리트(한중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수화반응의 지연과 콘크리트 중의 수분동결로 인한 동해를 유발하여 수분의 급격한 증발로 인해 습윤상태를 충분히 유지시키지 못하고, 내부 수화열과 외부온도로 인하여 콘크리트 온도가 더욱 높아짐에 따라 균열발생 등 콘크리트의 치명적인 결함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다.
즉, 건설공사에 있어서 갱폼 공사는 콘크리트가 응결, 경화하는 동안 콘크리트를 일정한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키는 역할과 콘크리트가 경화되는데 필요한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온도에 외부조건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과 구조 안전성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가설물로 갱폼의 성능과 조립상태, 콘크리트 타설 방법 등의 시공사항은 구조물의 품질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소홀히 취급해서는 안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갱폼은 임시 가설구조물로써 콘크리트가 양생 되면 곧 제거되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설계, 시공면에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갱폼 자체도 과거에 비해 크게 달라지지 않고 다만, 소재에 있어서 과거에 주로 사용되던 목재를 현재에 와서 합성수지나 금속재료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그 모양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고 대형화한 것 뿐 콘크리트 양생에 적절한 보온성과 단열성을 유지시켜 양질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하기 위한 기술은 거의 알려진바 없다.
한편, 갱폼의 종류로는 목재,합판, 경질섬유판, 합성수지재, 알루미늄패널, 강판 등이 있으며, 상기 갱폼의 형식으로는 일반갱폼, 유로폼(Euroform), 슬라이딩폼, 수직이동 갱폼, 테이블 갱폼, 터널식 갱폼, 와플갱폼, 트레블링 갱폼 등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갱폼은 크게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판재와, 상기 판재를 지지하는 틀체부로 구성된다. 틀체부는 전체적으로 4각형을 이루며 판재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철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판재 및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한 앵글로 되어 있었다.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프레임 및 판재가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받을 때 이 하중을 나누어 주기 위한 앵글이 적절히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판재는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어서 리벳 등으로 체결되었다.
이러한 갱폼의 판재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제조한 프레임에 결합시키고 사용한다. 그러나 합성수지제 판재는 목재 합판에 비해 내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수명이 길고 콘크리트접합 면과 쉽게 분리된다는 탈형의 용이함 등의 이점이 있으나, 실제적 건설 현장에서 작업환경인 겨울철에 갱폼을 사용하는 경우 급격한 기상상태 또는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시 또는 경화시의 수축력 등의 차이는 갱폼내 콘트리트가 경화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콘크리트경화에 따른 성형물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므로, 겨울철에는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갱폼은 겨울철 저온상태인 가혹한 환경하에서 갱폼의 판재 및 프레임 자체에 자국이 형성되거나 강성이 점차 열화되어 조립하고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에 따른 그 제작 내지 작업비용이 상승하고 많은 인력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겨울철 기상이나 온도의 영향에 따라 갱폼의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2-0094257호에 "한중콘크리트용 단열거푸집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은 건설물 수직거푸집용 외부 보양막에 있어서, 상기 수직거푸집은 갱폼, 셀프클라이밍 폼 시스템(self climbing system), 레일클라이밍 폼 시스템(railclimbing system), 테이블 폼(table form), 철제프레임패널, 알루미늄 합금제 프레임 패널, 프레임리스 방식의 패널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수직거푸집용 외부 보양막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제1필름층 및 제2필름층과,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2필름층 사이에 위치하며 다수의 공기포켓이 포함되는 합성수지제 버블 필름층을 포함하는 버블 시트부, 및 상기 버블 시트부의 제1필름층 또는 제2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위치하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수지 그물망을 포함하되, 상기 버블 시트부의 버블 필름층의 개별 공기 포켓이 각각 상기 제1필름층 및 상기 제2필름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일체를 이루며, 상기 수지 그물망을 형성하고 있는 각 필라멘트가 상기 제1필름층 또는 제2필름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일체를 이루어지며, 보온효과를 통해 통해 겨울철 갱폼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거푸집은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많게 되면 압력에 의해 표면판이 변형되고 단열재 역시 변형에 의해 국부적 탈리현상 발생으로 단열효과가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단열성능을 충분히 발휘하여 콘크리트 수화열 보존 및 콘크리트 경화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여 원활한 콘크리트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갱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갱폼에 있어서, 상기 갱폼의 일면에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의 면상발열체가 구비되어, 상기 면상발열체의 발열을 통해 콘크리트의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면상발열체는, 부직포, PET 또는 PE 재질의 시트지, 합판, 시멘트 또는 절연처리된 강철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되며, 카본블랙과 탄소섬유와 고분자 수지와 유기용제를 혼합하여 조성된 혼합물을 원료로 하여 형성되는 발열층과; 상기 베이스층과 발열층 사이에 삽입되는 전극과; 상기 발열층 위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습기나 수분으로부터 발열층을 보호하고 절연 차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카본블랙 5~15중량%와, 0.1~0.5mm길이의 촙 형태의 탄소섬유 1~5중량%와, 고분자 수지 30~40중량%와, 유기용제 40~6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내한성, 난연성, 내약품성 또는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1종 또는 그 이상의 첨가제 1~5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층은 불소계 발수성 코팅제로 코팅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첨가제는 에틸렌 글리콜, 불소수지 또는 분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의 단열성능을 통해 콘크리트의 수화열 보존 및 콘크리트 경화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원활한 양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를 접착성을 갖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로 조성하여 갱폼에 시공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신속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갱폼의 시공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갱폼이라 함은 철판의 일면에 복수의 수평지지대 및 수직지지대가 격자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대규모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갱폼이라 함은 콘크리트 양생 후 이를 철거 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일반갱폼뿐만 아니라 시스템폼(RCS폼, ACS폼), 유로품(Euroform), 슬라이딩폼, 수직이동 갱폼, 테이블 갱폼, 터널식 갱폼 등을 통칭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갱폼(10)의 일면에 플렉시블한 필름형태의 면상발열체(20)를 구비하여 상기 면상발열체의 단열성능을 통해 콘크리트 수화열 보존 및 콘크리트 경화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도 콘크리트의 원활한 양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면상발열체는 베이스층(21)과, 발열층(22)과, 전극(23) 및 코팅층(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층(21)은 소정 두께의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발열층(22), 전극(23) 및 코팅층(24)의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층(21)의 일면(예를 들어 저면)은 접착성을 갖는 접착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층을 보호하는 보호필름(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면상발열체(20)를 갱폼(10)에 부착할 때에는 상기 보호필름(210)을 제거한 후 접착면을 갱폼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21)은 부직포, PET 또는 PE 재질의 시트지, 합판, 시멘트 또는 절연 처리된 강철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베이스층이 곡면을 가질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부직포나 시트지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면상발열체는 곡면을 가질 수 있는 대상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은 면상 발열체의 발열 온도에 따라 적절한 소재를 선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층(22)은 상기 베이스층(21)의 타측면(예를 들어 상면)에 형성되는 층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발열층(22)은 카본블랙과, 탄소섬유와, 고분자 수지와, 유기용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을 원료로 하여 형성된다.
상기 카본블랙은 발열시 온도에 의한 수축 이완작용으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기능이 부여되는 것으로, 분말크기가 100nm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카본블랙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15중량%가 혼합되며, 5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함량 미달로 인해 도막의 은폐력이 약하며 전도성이 저하되어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중량%를 초과하면 분산체의 흡유량이 커서 분산공정에서 점도가 상승되어 유동성이 약해지므로 기재에 도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소섬유는 0.1~0.5mm길이의 촙 형태의 것을 사용하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5중량%가 혼합된다.
탄소섬유(Carbon Fiber)라 함은 탄소 원자의 결정구조를 이용한 고강도 섬유로 복합재료생산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강화섬유로서, 탄소섬유 제조전의 물질(Precursor)에 따라 PAN계와 Pitch계 탄소섬유로 구분하고 있으며, 주로 PAN계 탄소섬유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술한 탄소섬유 중 Pan계 탄소섬유는 흑연의 결정이 불완전하나 섬유의 축방향으로 배열시킨 것으로, 섬유의 지름은 5∼10μ이고, 보통 수천∼수만개의 다발로 되어 있다. 부드럽고 검으면서도 금속 광택이 난다. 폴리아크리로니트릴 섬유(털실과 담요 등에 쓰이는 섬유로, 보통 아크릴 섬유라고 불림)를 짜서 만든다.
상기 Pitch계 탄소섬유는 석유화학 공업이나 콜탈 공업에서 부생되는 높은 비점 성분을 피치라 한다. 피치류를 불활성 기상 중에서 가열하면 350∼500℃에서 액정상태를 나타낸 후, 굳어져 이른바 코크스가 된다. 이 액정상태를 나타내는 피치류는 축합 다환다핵 방향족 분자의 혼합물이다. 이것을 용융 방사하여 얻은 피치섬유를 산화분위기에서 가열하면 산화섬유라는 불용불융의 섬유로 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불용불융의 산화섬유를 불활성 기상 중에서 1000℃ 이상의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만든다. 액정 상태에서는 방향족 분자가 층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방사하면 방향족 분자가 섬유축 방향으로 평행으로 배열된 구조가 되고, 탄소화 하면 탄소의 6원환 망면이 고도로 배향된 고성능 탄소섬유가 된다.
상기 탄소섬유는 고탄성 고인장강도(철의 10배의 강도, 7배의 탄성율), 낮은 열팽창율(이로 인하여 항공우주산업이나 군수 및 자동차 등에 도입), 경량성과 고강도(밀도가 철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철의 1/4 무게를 가지고 있다), 전도성(탄소 발열선으로 사용), 내식성, 내약품성, 내피로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분자 수지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을 구성하는 유효성분간의 결합력 및 면상발열체에 대한 부착력을 제공하는 바인더로 사용된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우레탄-아크릴계, 에스터계, 에테르계, 폴리비닐알콜계, 폴리비닐부티랄계, 셀룰로즈계 및 에폭시계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30~40중량%가 혼합된다. 상기 고분자 수지가 30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부착력이 약하고, 40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전기 전도성이 저하되며 상기 혼합물의 밀링 작업시 마름현상이 심해져 페이스트를 원활하게 조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레탄계 고분자 수지는 비극성 유기용제와 상용성이 좋고, 무기 콜로이달 졸과 실란으로부터 합성된 무기수지는 극성 유기용제와 상용성이 좋기 때문에 유기용제는 고분자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콜류로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등이 있고, 에테르류로서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이 있으며, 케톤류로서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아세톤, 디아세톤알콜 등이 있고, 에스테르류로서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이 있으며, 방향족으로서 자일렌, 톨루엔 등이 있고,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로서 클로로포름, 염화 메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등이 있으며, 질소포함화합물로서 니트로메탄,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이 있고, 그 외에 디메틸설폭시드 또는 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혼합물의 점도를 고려하여 전체 조성물의 40~60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층(22)은 상기의 비율로 혼합되어 조성된 혼합물을 교반하여 조성된 페이스트를 상기 베이스층(21)의 표면에 인쇄코팅한 후 건조하여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혼합물을 교반할 때에는 초음파(Ultrasonic), 롤 밀링(Roll Milling), 볼 밀링(Ball Milling), 제트밀링(Zet Milling), 스크루 혼합(Screw Mixing) 또는 어트리션 밀링(Attrition Milling)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법으로 교반하여 분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음파로 1차 분산을 진행하고 2차로 스크루 혼합을 진행하여 혼합물, 특히 카본블랙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의 내한성, 난연성, 내약품성 또는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1종 또는 그 이상의 첨가제 1~5중량부가 더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물 형성시 상기 면상발열체의 내한성(동결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혼합물에 에틸렌 글리콜이 더 혼합될 수 있고, 내약품성 및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불소수지가 더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블랙, 탄소섬유, 고분자 수지, 유기용제가 서로 엉키지 않고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분산제(예를 들어 BYK사의 'BYK-9077')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유효성분 중 카본블랙은 입자 구조가 랜덤 또는 구상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이러한 카본블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입자들이 서로 쉽게 뭉치거나 떨어지기 때문에 발열층으로 인쇄 시 도포 분포도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으로 인해 발열층의 저항치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어 발열 온도가 높은 부위의 발열체가 낮은 부위에 비해 먼저 열화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피착제와 발열층의 접착력이 낮아져 쉽게 박리 또는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저항 안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1~5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카본블랙의 함량이나 내한성, 내약품성 또는 난연성 향상을 위해 더 혼합되는 첨가제의 양에 따라 상기의 범위 내에서 혼합되는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분산제가 1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카본블랙, 탄소섬유, 고분자 수지, 접착제가 서로 엉켜서 한쪽으로 쏠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발열층으로 인쇄시 도포 분포도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1중량부 이상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나 내약품성 및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예를 들어 불소수지) 또한 1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함량 미달로 인해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1중량부 이상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기능성 첨가제들이 모두 혼합될 경우 그 합이 5중량부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23)은 상기 베이스층과 발열층 사이에 삽입되며, 예를 들어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극이 베이스층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층에 전류를 제공하여 발열층의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23))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선(230)이 연결된다. 상기 전극(23)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층(22)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열층(22)이 발열된다.
상기 코팅층(24)은 상기 발열층 위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습기나 수분으로부터 발열층을 보호하고 절연 차단한다.
상기 코팅층(24)은 스프레이 코팅법 또는 스크린 인쇄법 등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층의 재질로는 기존에 사용되어지는 고무계 타입의 실리콘, 아크릴계, 우레탄 등이 있으나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 불소계 방습, 방수, 절연 코팅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상기 불소계 발수성 코팅제는 불소계 용매에 소수성을 가진 Perfluoro 알킬리를 함유하는 코팅제로서, 각종 PCB (자동차 ECU, 전기식 온수기 제어기판, 에어컨 실외기 기판, 신호제어기판, 이동통신기지국 기판 등), LED등, 기타 전기 제품 등에 사용된다. 상기 불소계 코팅제를 코팅하고자 하는 대상의 표면에 도포하면 불소 피막을 형성하게 되어 매우 낮은 표면장력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방습, 방수성이 아주 우수하며 장시간에 걸쳐서 신뢰성을 유지한다. 상기 불소계 코팅제는 기존 고무계 코팅제 대비 코팅 두께를 줄이면서도 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기는 입력전원, 회로수, 허용전류, 부하용량 등을 고려하여 제작된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온도조절기의 기본적인 구성과 기능은 일반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상기 갱폼(10)의 일면에 상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수 있는 면상발열체(20)를 부착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시 콘크리트 수화열의 외부 노출 방지, 외부온도와의 열교환 차단 및 콘크리트 경화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원활한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면상발열체를 접착성을 갖는 필름형태로 조성하여 갱폼에 시공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신속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갱폼의 시공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먼저, PET 재질로 형성되는 시트지를 소정 규격의 필름 형태로 절단하여 베이스층(21)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덴카블랙 10중량%와, 탄소섬유 5중량%와, 수성 아크릴 수지 35중량%와, 유기용제 5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한 다음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3중량부와, 에틸렌 글리콜 1중량부와, 불소수지 1중량부를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롤 밀링(Roll milling)하여 페이스트를 조성한 다음 상기 페이스트를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인쇄코팅한 후 건조시켜 발열층(22)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층(21)과 발열층(22) 사이에 전극(23)을 삽입한 후 상기 발열층 위에 불소계 발수성 코팅제를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24)을 형성함으로써 플렉시블한 필름형태의 면상발열체를 조성하였다.
이후, 상기 면상발열체(20)를 철판(11)의 일면에 부착한 다음 복수의 수평지지대(12) 및 수직지지대(13)를 격자형태로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을 완성하였다.
10 : 갱폼
11 : 철판
12 : 수평지지대
13 ; 수직지지대
20 : 면상발열체
21 : 베이스층
210 : 보호필름
22 : 발열층
23 : 전극
230 : 전선
24 : 코팅층

Claims (4)

  1. 갱폼에 있어서,
    상기 갱폼(10)의 일면에는 플렉시블한 필름형태의 면상발열체(20)가 구비되어, 상기 면상발열체의 발열을 통해 콘크리트의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면상발열체(20)는,
    부직포, PET 또는 PE 재질의 시트지, 합판, 시멘트 또는 절연처리된 강철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21)과;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되며, 카본블랙과 탄소섬유와 고분자 수지와 유기용제를 혼합하여 조성된 혼합물을 원료로 하여 형성되는 발열층(22)과;
    상기 베이스층과 발열층 사이에 삽입되는 전극(23)과;
    상기 발열층 위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습기나 수분으로부터 발열층을 보호하고 절연 차단하는 코팅층(24);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카본블랙 5~15중량%와, 0.1~0.5mm길이의 촙 형태의 탄소섬유 1~5중량%와, 고분자 수지 30~40중량%와, 유기용제 40~6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내한성, 난연성, 내약품성 또는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1종 또는 그 이상의 첨가제 1~5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불소계 발수성 코팅제로 코팅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에틸렌 글리콜, 불소수지 또는 분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
  4. 삭제
KR1020210074700A 2021-06-09 2021-06-09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 KR102579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700A KR102579274B1 (ko) 2021-06-09 2021-06-09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700A KR102579274B1 (ko) 2021-06-09 2021-06-09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981A KR20220165981A (ko) 2022-12-16
KR102579274B1 true KR102579274B1 (ko) 2023-09-15

Family

ID=8453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700A KR102579274B1 (ko) 2021-06-09 2021-06-09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2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169B1 (ko) * 2008-05-15 2009-02-10 (주)담스코 면상발열체
KR101029147B1 (ko) * 2010-11-05 2011-04-13 김현철 액상발열조성물, 이를 이용한 발열시트 및 발열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410A (ko) * 2006-09-30 2008-04-04 강석환 면상발열체용 도전성 잉크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면상발열체
KR102151095B1 (ko) * 2018-10-01 2020-09-02 이준용 갱폼 히팅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169B1 (ko) * 2008-05-15 2009-02-10 (주)담스코 면상발열체
KR101029147B1 (ko) * 2010-11-05 2011-04-13 김현철 액상발열조성물, 이를 이용한 발열시트 및 발열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981A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ung Cement reinforced with short carbon fibers: a multifunctional material
CN105482399A (zh) 一种不饱和聚酯树脂纤维增强片状模塑料及其制备方法
WO2018033042A1 (zh) 高纤维含量纤维增强聚氨酯硬泡复合板材及其制作方法
CN102257221A (zh) 复合结构元件及其制造方法
BR112012000203B1 (pt) método para proteção de um substrato contra relâmpagos
JP6767148B2 (ja) 亀裂進展抑制樹脂組成物及び亀裂進展抑制方法
CN104497473A (zh) 一种纤维增强酚醛泡沫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273356B1 (ko) 단열부직포를 이용한 복합시트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복합시트 방수 공법
CN109593504A (zh) 一种双组分聚氨酯修补胶及其制备方法
KR102579274B1 (ko)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갱폼
CN105239817A (zh) 一种复合材料变电构架
US8367178B1 (en) Carbon phenolic ablative gap filler
CN109049865A (zh) 一种三维传热通道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040173B1 (ko) 난연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공법
CN116925325A (zh) 一种胶囊型固化剂、固化自调控型纤维网格及其施工方法
CN104558479A (zh) 一种轨道板用喷涂聚氨酯泡沫材料及其施工方法
CA3081981A1 (en) Lightning strike protection
CN106519697A (zh) 一种封孔组合物、使用该组合物封孔的应变隔离垫及其制造方法
TWI793219B (zh) 碳纖維之製造方法
CN102694256B (zh) 一种玻璃钢天线罩
KR20220165982A (ko) 히팅 갱폼
KR101848280B1 (ko) 스키 제조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과 이에 의해 제조된 스키 제조용 프리프레그 및 이를 이용한 섬유 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KR101498998B1 (ko) 구조물 보강용 고강도 복합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US9963619B2 (en)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s, assemblies includ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s, and related methods
CN102220817B (zh) 一种新型复合材料型材及输变电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