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253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253B1
KR102579253B1 KR1020180148380A KR20180148380A KR102579253B1 KR 102579253 B1 KR102579253 B1 KR 102579253B1 KR 1020180148380 A KR1020180148380 A KR 1020180148380A KR 20180148380 A KR20180148380 A KR 20180148380A KR 102579253 B1 KR102579253 B1 KR 102579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display panel
coupled
display device
ed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693A (ko
Inventor
황학모
송선복
김세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2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서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백커버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이 들뜨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가장자리 영역을 벤딩하여 가장자리 영역에서도 영상 구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 디스플레이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벼우며, 고 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로 자발광이 가능하여 광원 유닛을 생략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등이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각 화소는 발광 소자와, 그 발광 소자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화소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최근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심 영역이 휘어진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급되고 있고, 또한 엣지 부분을 벤딩하여 엣지 영역에서 영상 구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엣지 부분에서 벤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이 균일한 형상으로 벤딩되지 못하여 들뜨거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서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백커버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이 들뜨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심영역에 결합되는 제1백커버와, 가장자리 영역에 결합되는 제2백커버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1백커버와 제2백커버로 벤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1백커버와 제2백커버의 일 측 단부 형상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 패널의 엣지 부분이 들뜨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서로 분리된 제1백커버와 제2백커버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을 벤딩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영상 구현이 가능하여 제로 베젤을 실현할 수 있고, 가장자리 영역에서 균일한 라운드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백커버와 제2백커버에 각각 홈패턴과 돌출패턴을 구비하여 분할형 백커버의 강성을 확보하고, 조립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백커버들 사이에 탄성부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울리불리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벤딩 과정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벤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벤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벤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 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돌기와 장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 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 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벤딩 과정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제1백커버(120), 제2백커버(130) 및 케이스탑(140)을 포함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서브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기본 픽셀은 화이트(W), 레드(R), 그린(G), 블루(B) 서브 픽셀들 중 컬러 혼합으로 화이트 표현이 가능한 적어도 3개 서브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 픽셀은 R/G/B 조합의 서브 픽셀들, W/R/G 조합의 서브 픽셀들, B/W/R 조합의 서브 픽셀들, G/B/W 조합의 서브 픽셀들로 구성되거나, W/R/G/B 조합의 서브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를 구비하여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타이밍 컨트롤러와,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와,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필요한 다양한 구동 전압들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전원부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타이밍 컨트롤러 등에 공급되는 디지털 회로의 구동 전압과,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되는 아날로그 회로의 구동 전압과,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이용되는 게이트 온 전압(게이트 하이 전압) 및 게이트 오프 전압(게이트 로우 전압) 등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전원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시 필요한 복수의 구동 전압(EVDD, EVSS)과, 레퍼런스 전압을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기초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공급받는다. 시스템은 컴퓨터, TV 시스템, 셋탑 박스, 태블릿이나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초 타이밍 제어 신호들은 도트 클럭,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기초 타이밍 제어 신호들과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된 타이밍 설정 정보(스타트 타이밍, 펄스폭 등)를 이용하여 데이터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 타이밍을 각각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 신호들 및 게이트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햅틱 일체형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커버 글라스(미도시)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터치스크린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패널, 유기발광패널, 플라즈마 패널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에 적용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제1백커버(120) 및 제2백커버(130)는 스테인리스 스틸(SUS: Steel Use Stainless) 또는 알루미늄(Al: Aluminium)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비중이 크고 더 얇은 소재나, 비중이 작고 더 두꺼운 소재를 설계 변경하여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백커버(120)와 제2백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심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에 각각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벤딩시키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이 벤딩되는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1백커버(120)와 제2백커버(130)의 일 측 단부가 결합된 형상은 대략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백커버(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심영역(CA)에 결합되고, 제2백커버(13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이 케이스탑(140)과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백커버(120)와 제2백커버(130)의 일 측 단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벤딩되면서 밀착 지지되기 때문에 제1백커버(120) 및 제2백커버(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벤딩 및 결합되는 과정에서 들뜨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벤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압력 또는 마찰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벤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제1백커버(120)와, 제2백커버(130) 및 케이스탑(140)을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이 벤딩되는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1백커버(120)와 제2백커버(130)의 일 측 단부가 결합된 형상은 대략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백커버(120)의 일 측 단부와 제2백커버(130)의 일 측 단부는 대략 원의 1/4 형상으로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1백커버(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심영역에 부착되고, 제2백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에 각각 결합된다. 제2백커버(13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과 함께 케이스 탑(140)이 동시에 스크류 또는 패스너(fastner)와 같은 고정부재(134)에 의해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된다. 그러면 제1백커버(120)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벤딩시키면 제2백커버(130)가 제1백커버(120)의 배면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패스너(133)에 의해 결합된다. 물론 패스너(133)에 의한 결합구조 이외에도 후크 구조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백커버(120)와 제2백커버(130) 중 어느 하나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내측으로 파인 홈 패턴(121)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는 홈 패턴(121)에 대응하는 돌출패턴(131)이 마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백커버(120)의 배면에 홈 패턴(121)이 마련되고, 제2백커버(130)의 배면에 돌출패턴(131)이 마련되어 홈 패턴(121)과 돌출패턴(131)이 결합되면서 백커버들(120, 130)의 부품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조립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홈 패턴(121)에 돌출패턴(131)이 결합되면, 제1백커버(120)와 제2백커버(130)의 결합면을 따라서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때문에 각 백커버의 일 단부에서 반원 형상의 라운드를 유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벤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백커버(13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을 고정하는 구조는 케이스탑(140)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서 제2백커버(130)의 상면과 함께 레진(resin, 240)을 도포하여 부착 고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레진(240)을 통하여 부착하는 경우, 부착과정이 용이하고 별도의 구조물이 추가적으로 결합되지 않아서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백커버(120)와 제2백커버(130) 역시 패스너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벤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제1백커버(220)와, 제2백커버(230) 및 케이스탑(140)을 포함한다.
이때 제1백커버(220)의 일 측 단부는 반원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된 라운드부(222)와, 라운드부(222) 내측으로 제1백커버(220)의 배면에 홈 패턴(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백커버(2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심영역(CA)에 부착되고, 제2백커버(2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2백커버(23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과 함께 케이스탑(140)이 동시에 패스너(234)에 의해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이 제2백커버(230) 상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된다. 그러면 제1백커버(220)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영역을 벤딩시키면 제2백커버(230)가 제1백커버(220)의 배면에서 패스너(233)에 의해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된다. 이 경우에도 물론 패스너(233)에 의한 결합구조 이외에도 후크 구조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백커버(220)의 라운드부(222)는 제2백커버(230)의 결합과 관계없이 일정한 곡선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을 일정한 곡면으로 벤딩시킬 수 있고, 조립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이 밀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 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돌기와 장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1백커버(220)의 배면에는 라운드부(222) 내측으로 홈 패턴(221) 상에 탄성부(323)가 구비된다.
탄성부(323)는 코일 스프링 구조를 가지며 홈 패턴(221) 상에서 라운드부(222)로부터 제2백커버(230)의 일 단부를 가압(인장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2백커버(2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EA)과 케이스탑(140)과 함께 도 4에 표기된 화살표 방향(라운드부(2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항상 인장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커버들(220, 230) 사이에서 열팽창 차이에 의한 길이 보상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구부러지거나 수축되지 않고 항상 텐션을 유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에서 열팽창으로 길이가 늘어난 구조에 대응하여 탄성부(323)가 길이를 보상(늘어남)함과 동시에, 저온에서 다시 수축하면서 길이가 줄어든 구조에 대응하는 보상(줄어듬)도 가능하다. 따라서 길이가 줄어든 구조에 대해서 탄성부(323)가 줄어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제1백커버(220)의 홈 패턴(221)은 제2백커버(230)의 돌출패턴(23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홈 패턴(221) 상에서 제2백커버(230)가 일정 간격 유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제1백커버(220)의 배면에서 제2백커버(230)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위해서, 도 5와 같이, 제1백커버(220)의 홈 패턴(221) 상에는 결합돌기(224)가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제2백커버(230)는 결합돌기(224)가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송이 가능하도록 장공(232)이 형성된다. 물론 장공(232)은 결합돌기(224)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부(323)는 적용환경에 따라서 스프링 상수값(K)을 조절하여 텐션력을 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코일 스프링 외에 판 스프링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일 측 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백커버(220)의 배면에는 라운드부 내측으로 홈 패턴(221) 상에 탄성부(425)가 패드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패드 형태의 탄성부(425)는 조립이 용이하고, 적은 공간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드 형태의 탄성부(425)는 다양한 굳기를 가지는 우레탄(Urethane), 합성고무, 실리콘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 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1백커버(520)와 제2백커버(530) 사이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EA)에서 하부 편광판(Polarizer, 111)이 연장되어 고정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을 고정한다. 또한 제2백커버(530)는 패스너(533)에 의해 제1백커버(520) 상에서 하부 편광판(111)과 함께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제1백커버(520)의 단부는 반원 형상으로 곡면인 라운드부(522)가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 부분은 이 라운드부(522)에 접촉하면서 곡면으로 폴딩된다.
또한 제1백커버(520)의 배면에 홈부(535)가 형성되고, 홈부(535)에 제2백커버(53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제1백커버(520)의 배면 외관이 평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2a에 있어서, 제2백커버(130)의 배면에 홈부가 형성되고, 홈부에 케이스 탑(140)이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도 7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결합되는 미드 프레임(112)을 나타낸다. 미드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법으로 부착된다. 다만, 제1백커버(520) 상에서 라운드부(522)가 시작되는 부분까지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백커버(520)의 라운드부(522)가 시작되는 부분은 미드 프레임(112)이 부착되는 두께를 고려하여 소정의 단턱(113)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라운드부(522)를 따라서 미드 프레임을 붙여서 제1백커버(520)의 배면에 결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드 프레임(112)은 제1백커버(520)의 상면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서 부착된다. 이렇게 디스플레이 패널(110) 배면에 미드 프레임(112)가 결합되면, 얇은 디스플레이패널(110) 배면에 마련된 구성품의 자국이 나면서 배면이 시인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얇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잡거나 옮길 때 소성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취급성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미드 프레임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강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언급한 시인방지 및 취급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0.3mm 이상의 두께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앞서 언급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패널
120, 220 : 제1백커버
130, 230 : 제2백커버
140 : 케이스탑

Claims (14)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백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 결합되는 제1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하지 않는 제2영역을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이 벤딩되면서 상기 제1백커버와 결합되는 제2백커버; 및
    상기 제2백커버 상부에 위치한 케이스 탑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백커버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케이스 탑 사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백커버와 제2백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된 가장자리 영역 배면을 지지하는 일 측 단부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백커버와 제2백커버 중 어느 하나의 일 측 단부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백커버와 제2백커버 중 어느 하나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내측으로 파인 홈 패턴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홈 패턴에 대응하는 돌출패턴이 마련되어 상기 홈 패턴과 돌출패턴이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탑은 상기 제2백커버의 상기 제2영역 상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백커버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는 레진으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백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가장자리 영역의 벤딩 형상에 대응하도록 일 측 단부의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라운드부와,
    상기 제1백커버의 배면 상에서 상기 라운드부 내측으로 형성된 홈 패턴에 결합되어, 상기 제2백커버를 상기 홈 패턴 내부에서 상기 제1백커버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백커버는,
    상기 홈 패턴 상에 돌출된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탄력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장공이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백커버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미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백커버 상에는 상기 미드 프레임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상기 라운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드 프레임은 상기 단턱 안쪽으로 상기 제1백커버 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가장자리 영역에 밴딩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백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 이격하며 상기 제1백커버에 결합되는 제2백커버; 및
    상기 제2백커버 상부에 위치한 케이스 탑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탑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탑과 결합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제1백커버의 배면 사이에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백커버를 상기 제1백커버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2백커버가 상기 제1백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백커버는 상기 제1백커버의 배면 상의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탄력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장공은 상기 결합돌기의 길이보다 긴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연장된 광학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중심영역에 결합되는 제1백커버; 및
    상기 광학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이 벤딩되면서 상기 제1백커버와 결합되는 제2백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편광판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48380A 2018-11-27 2018-11-27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9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380A KR102579253B1 (ko) 2018-11-27 2018-11-27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380A KR102579253B1 (ko) 2018-11-27 2018-11-2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693A KR20200062693A (ko) 2020-06-04
KR102579253B1 true KR102579253B1 (ko) 2023-09-15

Family

ID=7108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380A KR102579253B1 (ko) 2018-11-27 2018-11-2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2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6535B2 (en) *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KR101876540B1 (ko) * 2011-12-28 2018-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51634B1 (ko) * 2013-11-28 2020-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78951B1 (ko) * 2014-04-28 2020-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48677B1 (ko) * 2014-12-08 2021-05-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장치
KR102506631B1 (ko) * 2015-06-08 2023-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385232B1 (ko) * 2015-06-30 2022-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1579B1 (ko) * 2015-11-16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56022B1 (ko) * 2016-07-06 202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6467B1 (ko) * 2016-11-23 2023-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89902B1 (ko) * 2016-12-23 2023-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693A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222B1 (ko)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US10617017B2 (en) Rollable display
KR10257858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1597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341320B2 (en) Cover botto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905615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343025B2 (en) Display device
KR1021316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488604B1 (en) Display device
US803129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tablet computer having a chassis fastening member that receives a printed circuit board
US2009020733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9105840A (ja) バックカバー及びこれを備えるディスプレイ装置
US1060755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1202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5792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02616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901275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89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623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2135A (ko) 표시 장치
KR1026484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03381A (ko) 프레임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모듈
KR1024664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0826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165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