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605B1 -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605B1
KR102578605B1 KR1020220115582A KR20220115582A KR102578605B1 KR 102578605 B1 KR102578605 B1 KR 102578605B1 KR 1020220115582 A KR1020220115582 A KR 1020220115582A KR 20220115582 A KR20220115582 A KR 20220115582A KR 102578605 B1 KR102578605 B1 KR 102578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stal
evaluation
dynamic characteristics
gra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605B9 (ko
Inventor
이문진
김태성
김용명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15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605B1/ko
Priority to US18/349,008 priority patent/US2024008517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605B1/ko
Publication of KR10257860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605B9/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등급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해안 오염 발생시 제거와 복원을 위해 정적인 해안 평가와 함께 동적인 해안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단순히 해안의 형태에만 근거한 정적인 방식으로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해안에 대한 동적 특성이 반영되지 아니하여 해안 오염 발생시 효과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환경민감도지수(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에 더하여, 예를 들면, 해수의 유동특성과 파랑특성 및 해수면 특성 등과 같이, 해안의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되며, 이를 이용하여, 해안등급 평가결과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고 방제계획을 수립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해상 방제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oastal grade reflecting dynamic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해안의 등급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해안 오염 발생시 제거와 복원을 위해 정적인 해안 평가와 함께 동적인 해안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해안에 대한 동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고 단순히 해안의 형태에만 근거한 정적인 방식으로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해안 오염 발생시 효과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환경민감도지수(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 ESI)에 근거한 해안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ESI 등급에 근거한 정적 평가와 함께 해당 해안의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히 해안의 형태에 따른 정적 특성만을 고려함으로 인해 해안에 대한 동적 특성이 반영되지 아니하여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에 더하여, 예를 들면, 조류, 해류, 이안류 등의 유속, 유향 및 공간적 분포 등을 포함하는 해수의 유동특성과, 파고 및 쇄파대 등을 포함하는 파랑특성 및 약최저저조위, 약최고고조위, 극한 해수면 높이 등을 포함하는 해수면 특성 등과 같이, 해안의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여 해안 등급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여 방제계획을 수립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염물질에 대한 방제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해상 방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 및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전세계적으로 해상을 통한 무역거래나 화물운송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박의 충돌이나 침몰 등과 같은 해상사고의 발생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해안 부근에는 각종 어장이나 양식장이 분포되어 있고, 해안선을 따라서는 해수욕장이나 레저 및 관광 등을 위한 각종 시설들이 곳곳에 분포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해상사고의 발생이 증가하고 해안선 부근에 각종 시설들이 설치됨에 따라, 최근에는, 예를 들면, 사고로 인해 선박의 연료가 유출되는 등과 같이, 각종 해양오염 사고의 발생확률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해양오염 사고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방제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해양오염 사고시 오염물질을 방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먼저,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3320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3320호는, 해양에서의 기름 및 위험유해물질(HNS: Hazard and Noxious Substance)에 의한 해양오염사고 발생시 신속한 해안오염 방제를 위한 현장 오염조사 및 방제조치를 수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된 해안구획분할 기준정보와 해안분류별 방제방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해안구획 분할 대상 해안의 해안특성 정보, 좌표정보, 이미지 지도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지도정보를 분석하여 해안의 영역별 해안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지도정보분석부; 지도정보분석부에 의해 추출된 해안특성 정보에 따라 해안을 구획 분할하는 해안구획분할부; 및 분할된 해안구획들의 해안특성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해안분류별 방제방법정보를 이용하여 해안방제방법을 생성하는 해안방제방법 생성부를 포함하여, 작업의 효율성, 물리적 형상, 퇴적환경 및 방제작업 등의 해안특성을 고려하여 방제전략을 수립을 위한 구획을 분할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해양오염사고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방법 생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해양오염 사고시 오염물질을 방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8829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가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8829호는, 해양 위험유해물질(Hazard and Noxious Substance ; HNS) 유출 오염사고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에 있어서,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서버;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서버에 접속하고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지는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서버에 접속하고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앱을 설치하여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해안선의 환경민감도지수(ESI)에 근거하여 위험유해물질(HNS)의 유출시 우선 방제대상 지역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해양 HNS 오염사고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해양오염 사고시 오염물질을 방제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즉, 해양 오염사고의 발생시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단순히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용 가능한 방제방법을 선택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의 지리적인 특징이나 환경적인 특징 등과 같은 해안특성을 반영하여 적절한 방제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해안특성을 반영하여 방제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종래, 일반적으로, 환경민감도지수(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 ESI)를 이용하여 해안선의 형태에 따라 분류된 ESI 등급에 따라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해안평가 방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해양 오염사고의 발생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오염물질의 제거와 복원을 위해서는 해안선의 형태와 같은 정적인 해안평가와 함께 해당 지역의 해수유동이나 파랑 및 해수면 특성 등과 같은 동적인 해안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상기한 바와 같은 ESI 등급에 따른 기존의 해안평가 방식은 단순히 해안선의 형태에 근거한 정적인 평가방법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한 종래기술의 내용들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의 해양오염 방제장치 및 방법들은 해양 오염사고의 발생시 해당 지역에 대한 환경민감도지수(ESI)에 기반한 ESI 등급에 근거하여 방제계획을 수립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그로 인해, 해안평가에 동적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정적인 특성만이 반영되어 보다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방제계획의 수립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해안평가 장치 및 방법과 해양오염 방제장치 및 방법들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을 모두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것에 의해 보다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방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해안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3320호 (2019.03.2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8829호 (2018.05.2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해안 오염 발생시 제거와 복원을 위해 정적인 해안 평가와 함께 동적인 해안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단순히 해안의 형태에만 근거한 정적인 방식으로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해안에 대한 동적 특성이 반영되지 아니하여 해안 오염 발생시 효과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환경민감도지수(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ESI 등급과 함께 해당 해안의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히 해안의 형태에 따른 정적 특성만이 반영되어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에 더하여, 예를 들면, 조류, 해류, 이안류 등의 유속, 유향 및 공간적 분포 등을 포함하는 해수의 유동특성과, 파고 및 쇄파대 등을 포함하는 파랑특성 및 약최저저조위, 약최고고조위, 극한 해수면 높이 등을 포함하는 해수면 특성 등과 같이, 해안의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여 해안 등급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여 방제계획을 수립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염물질에 대한 방제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해상 방제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해안평가를 위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데이터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정적특성 및 동적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해안평가부; 상기 해안평가부의 평가결과와 상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처리과정 및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출력부;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및 상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수집부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에 대한 정적특성 데이터와 동적특성에 대한 동적특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별도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 및 동적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적특성 데이터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ESI(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등급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적특성 데이터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유동특성 정보와 파랑특성 정보 및 해수면특성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동특성 정보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조류, 해류, 이안류의 유속, 유향 및 공간적 분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랑특성 정보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파고 및 쇄파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해수면특성 정보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약최저저조위, 약최고고조위, 극한 해수면 높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해안평가부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ESI 등급의 분류내용에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유동특성 정보와 파랑특성 정보 및 해수면특성 정보를 각각 반영하여 최종 해안등급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정적특성과 동적특성이 모두 반영된 ESI 등급 평가결과를 생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안평가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ESI 등급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을 나타내는 해안등급을 결정하는 처리와, 상기 데이터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동적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유동특성 정보와 파랑특성 정보 및 해수면특성 정보를 미리 정해진 설정 및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동적특성을 나타내는 해안등급을 결정하는 처리가 각각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해안평가부의 평가결과 및 해안등급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와, 상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처리과정 및 결과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모니터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별도의 표시수단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안평가부의 평가결과 및 해안등급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나 서버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해안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의 데이터수집부를 통하여,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해안평가를 위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데이터 수집단계;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의 해안평가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정적특성 및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등급을 결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해안평가단계; 및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의 출력부 및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해안평가단계의 처리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출력하고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외부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데이터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지역마다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정적특성 및 동적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다수의 해안평가 시스템; 각각의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지역의 해안등급 평가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각 지역별 해안등급 및 해안평가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각종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특정 지역에서 해양 오염사고 발생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안등급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고 방제계획을 수립하여 미리 정해진 연락처에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방제서버; 및 각각의 사용자가 각 지역의 해안등급 및 해안평가에 대한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기 위해 각각의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 및 상기 방제서버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은, 상기에 기재된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정적특성과 동적특성을 모두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고 평가과정에서 얻어지는 각종 데이터를 상기 방제서버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방제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PC나 노트북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 방제방법에 있어서, 정적특성 및 동적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다수의 해안평가 시스템을 각각의 지역마다 설치하는 시스템 구축단계; 및 상기 시스템 구축단계에서 설치된 각각의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지역의 해안등급 평가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방제서버에서 수신하여 각 지역별 해안등급 및 해안평가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특정 지역에서 해양 오염사고 발생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고 방제계획을 수립하여 미리 정해진 연락처에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방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은, 상기에 기재된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방제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에 더하여, 예를 들면, 조류, 해류, 이안류 등의 유속, 유향 및 공간적 분포 등을 포함하는 해수의 유동특성과, 파고 및 쇄파대 등을 포함하는 파랑특성 및 약최저저조위, 약최고고조위, 극한 해수면 높이 등을 포함하는 해수면 특성 등과 같이, 해안의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ESI 등급과 함께 해당 해안의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것에 의해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해안 오염 발생시 제거와 복원을 위해 정적인 해안 평가와 함께 동적인 해안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단순히 해안의 형태에만 근거한 정적인 방식으로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해안에 대한 동적 특성이 반영되지 아니하여 해안 오염 발생시 효과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여 해안 등급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여 방제계획을 수립하고 오염물질에 대한 방제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해상 방제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기존의 방식에 비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우리나라 해안에 대한 ESI 등급 분류체계를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ESI 등급의 분류예를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해상 방제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해안 오염 발생시 제거와 복원을 위해 정적인 해안 평가와 함께 동적인 해안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해안에 대한 동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고 단순히 해안의 형태에만 근거한 정적인 방식으로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해안 오염 발생시 효과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환경민감도지수(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 ESI)에 근거한 해안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ESI 등급에 근거한 정적 평가와 함께 해당 해안의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순히 해안의 형태에 따른 정적 특성만을 고려함으로 인해 해안에 대한 동적 특성이 반영되지 아니하여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에 더하여, 예를 들면, 조류, 해류, 이안류 등의 유속, 유향 및 공간적 분포 등을 포함하는 해수의 유동특성과, 파고 및 쇄파대 등을 포함하는 파랑특성 및 약최저저조위, 약최고고조위, 극한 해수면 높이 등을 포함하는 해수면 특성 등과 같이, 해안의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여 해안 등급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여 방제계획을 수립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염물질에 대한 방제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해상 방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 상세하게는,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는 각각 기존의 ESI 등급 분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우리나라 해안에 대한 ESI 등급 분류체계를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ESI 등급의 분류예를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ESI 등급은, 해안선의 형태와 그에 따른 일반적인 특징에 근거하여 해안등급을 1 등급부터 8 등급(8A, 8B)까지 총 10개의 등급으로 분류한 것으로, 해양오염 방제계획의 수립시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러한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가 반영되고 있다.
여기서, 해양 오염사고의 발생시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오염물질의 제거와 복원을 위해서는 해안선의 형태와 같은 정적인 해안평가와 함께 해당 지역의 해수유동이나 파랑 및 해수면 특성 등과 같은 동적인 해안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상기한 바와 같은 ESI 등급에 따른 기존의 해안평가 방식은 단순히 해안선의 형태에 근거한 정적인 평가방법에 그치는 것이므로, ESI 등급에 따른 해안평가만으로는 최선의 방제계획을 보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ESI 등급 1 및 ESI 등급 2에 파도에 노출된 지형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어 파랑 특성이 일부 고려된 것이라 할 수도 있으나, 이는 단지 파도에 대한 노출 여부를 의미하는 것일 뿐, 파랑의 강도나 쇄파대 등과 같은 파랑 특성에 대한 고려는 없으므로 동적 특성이 고려된 것이라 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정적 특성만이 반영되고 동적 특성은 반영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던 기존의 ESI 등급에 따른 해안평가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더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해안평가를 위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수집부(11)와, 데이터수집부(11)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정적 특성 및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해안평가부(12)와, 시스템(10)의 전체적인 처리과정 및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출력부(13)와,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14) 및 상기한 각 부와 시스템(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데이터수집부(11)는,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에 대한 데이터와 동적특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별도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거나 통신부(14)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 및 동적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정적특성 데이터는, 예를 들면, 해당 지역에 대한 ESI 등급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한 동적특성 데이터는, 예를 들면, 해당 지역의 유동특성 정보와 파랑특성 정보 및 해수면특성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유동특성 정보는, 예를 들면, 해당 지역의 조류, 해류, 이안류 등의 유속, 유향 및 공간적 분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파랑특성 정보는 파고 및 쇄파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해수면특성 정보는 약최저저조위, 약최고고조위, 극한 해수면 높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해안평가부(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데이터수집부(11)를 통해 수집된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 데이터 및 동적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에 대한 평가와 동적특성에 대한 평가가 각각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해안평가부(12)는, 예를 들면, 기존의 ESI 등급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지역의 정적특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이러한 ESI 등급에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해당 지역의 유동특성 정보와 파랑특성 정보 및 해수면특성 정보를 반영하여 최종 해안등급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해안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해안등급은, 예를 들면, 기존의 ESI 등급에 따른 분류를 그대로 이용하여 각각의 항목에 동적특성을 적절히 부가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한 해안평가부(12)는, ESI 등급과 함께,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동적특성을 평가한 해안등급을 별도로 부여하는 것에 의해 정적특성을 나타내는 해안등급과 동적특성을 나타내는 해안등급을 각각 나누어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더욱이, 상기한 출력부(13)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해안평가부(12)를 통해 수행된 평가결과 및 해안등급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와, 시스템(10)의 전체적인 처리과정 및 결과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별도의 표시수단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어부(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해안평가부(12)를 통해 수행된 평가결과 및 해안등급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출력부(13)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한 통신부(14)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나 서버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10)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과정을 컴퓨터나 전용의 하드웨어를 통해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해안평가 방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10) 및 방법을 이용하여, 해상 오염시고 발생시 오염물질에 대한 방제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해상 방제시스템 및 방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10)을 이용한 해상 방제시스템(2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 방제시스템(20)은, 크게 나누어, 각각의 지역마다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다수의 해안평가 시스템(21)과, 각각의 해안평가 시스템(21)으로부터 해당 지역의 해안등급 평가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각 지역별 해안등급 및 해안평가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각종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특정 지역에서 해양 오염사고 발생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지역의 정적 및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등급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고 방제계획을 수립하여 미리 정해진 연락처에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방제서버(22) 및 각각의 사용자가 각 지역의 해안등급 및 해안평가에 대한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기 위해 각각의 해안평가 시스템(21) 및 방제서버(22)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해안평가 시스템(21)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10)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을 모두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고 평가과정에서 얻어지는 각종 데이터를 방제서버(22)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23)는, 예를 들면, PC와 같은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 가능한 정보통신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지역마다 해안평가 시스템(21)을 설치하여 각각의 지역에 대한 해안등급을 평가하고, 특정 지역에서 해상 오염사고 발생시 방제서버(62)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지역의 정적 및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등급 평가결과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고 방제계획을 수립하여, 예를 들면, 관계기관이나 담당부서 및 담당자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연락처의 사용자 단말기(23)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의 방식에 비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예를 들면, 전국 단위의 광범위한 지역에 대하여도 대규모의 해상 방제시스템(20) 및 방법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해안등급 정보를 이용하여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고 방제계획을 수립하는 처리과정의 보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기존의 방제정보지도(ESI Map) 제공장치 및 방법이나 해양오염 방제시스템 및 방법들의 구성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헌 등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에 더하여, 예를 들면, 조류, 해류, 이안류 등의 유속, 유향 및 공간적 분포 등을 포함하는 해수의 유동특성과, 파고 및 쇄파대 등을 포함하는 파랑특성 및 약최저저조위, 약최고고조위, 극한 해수면 높이 등을 포함하는 해수면 특성 등과 같이, 해안의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ESI 등급과 함께 해당 해안의 동적 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것에 의해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해안 오염 발생시 제거와 복원을 위해 정적인 해안 평가와 함께 동적인 해안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단순히 해안의 형태에만 근거한 정적인 방식으로 해안등급을 평가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해안에 대한 동적 특성이 반영되지 아니하여 해안 오염 발생시 효과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ESI 등급에 근거한 해안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해안에 대한 정적 특성과 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해안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여 해안 등급을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여 방제계획을 수립하고 오염물질에 대한 방제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해상 방제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기존의 방식에 비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11. 데이터수집부 12. 해안평가부
13. 출력부 14. 통신부
15. 제어부 20. 해상 방제시스템
21. 해안평가 시스템 22. 방제서버
23. 사용자 단말기

Claims (12)

  1.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해안평가를 위해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에 대한 정적특성 데이터와 동적특성에 대한 동적특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데이터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정적특성 및 동적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해안평가부;
    상기 해안평가부의 평가결과와 상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처리과정 및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출력부;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및
    상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적특성 데이터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ESI(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등급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적특성 데이터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조류, 해류, 이안류의 유속, 유향 및 공간적 분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유동특성 정보와,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파고 및 쇄파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랑특성 정보 및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약최저저조위, 약최고고조위, 극한 해수면 높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해수면특성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안평가부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ESI 등급의 분류내용에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유동특성 정보와 파랑특성 정보 및 해수면특성 정보를 각각 반영하여 최종 해안등급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정적특성과 동적특성이 모두 반영된 ESI 등급 평가결과를 생성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집부는,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에 대한 정적특성 데이터와 동적특성에 대한 동적특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별도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 및 동적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안평가부는,
    상기 데이터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ESI 등급에 따라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정적특성을 나타내는 해안등급을 결정하는 처리와,
    상기 데이터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동적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유동특성 정보와 파랑특성 정보 및 해수면특성 정보를 미리 정해진 설정 및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의 동적특성을 나타내는 해안등급을 결정하는 처리가 각각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해안평가부의 평가결과 및 해안등급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와, 상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처리과정 및 결과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모니터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별도의 표시수단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안평가부의 평가결과 및 해안등급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나 서버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9. 청구항 1항, 청구항 2항, 청구항 6항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해안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의 데이터수집부를 통하여,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해안평가를 위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데이터 수집단계;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의 해안평가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대상 지역에 대한 정적특성 및 동적특성이 반영된 해안등급을 결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해안평가단계; 및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의 출력부 및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해안평가단계의 처리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출력하고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외부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데이터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평가 방법.
  10. 해상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지역마다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정적특성 및 동적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다수의 해안평가 시스템;
    각각의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지역의 해안등급 평가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각 지역별 해안등급 및 해안평가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각종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특정 지역에서 해양 오염사고 발생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안등급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고 방제계획을 수립하여 미리 정해진 연락처에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방제서버; 및
    각각의 사용자가 각 지역의 해안등급 및 해안평가에 대한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기 위해 각각의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 및 상기 방제서버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은,
    청구항 1항, 청구항 2항, 청구항 6항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정적특성과 동적특성을 모두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고 평가과정에서 얻어지는 각종 데이터를 상기 방제서버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방제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PC나 노트북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방제시스템.
  12. 해상 방제방법에 있어서,
    정적특성 및 동적특성을 반영하여 해안등급을 평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다수의 해안평가 시스템을 각각의 지역마다 설치하는 시스템 구축단계; 및
    상기 시스템 구축단계에서 설치된 각각의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지역의 해안등급 평가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방제서버에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각 지역별 해안등급 및 해안평가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특정 지역에서 해양 오염사고 발생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방제정보지도(ESI Map)를 작성하고 방제계획을 수립하여 미리 정해진 연락처에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방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안평가 시스템은,
    청구항 1항, 청구항 2항, 청구항 6항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방제방법.
KR1020220115582A 2022-09-14 2022-09-14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578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582A KR102578605B1 (ko) 2022-09-14 2022-09-14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
US18/349,008 US20240085179A1 (en) 2022-09-14 2023-07-07 Dynamic characteristic-reflected shorelin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582A KR102578605B1 (ko) 2022-09-14 2022-09-14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605B1 true KR102578605B1 (ko) 2023-09-14
KR102578605B9 KR102578605B9 (ko) 2024-03-13

Family

ID=8801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582A KR102578605B1 (ko) 2022-09-14 2022-09-14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85179A1 (ko)
KR (1) KR1025786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850A (ko) * 2001-12-29 2003-07-12 에스케이 주식회사 해양오염 방제방법 및 시스템
KR20180037554A (ko) * 2017-01-19 2018-04-1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해양 내 민감자원 및 민감지역의 가치 평가 방법
KR101848829B1 (ko) 2016-09-29 2018-05-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KR20190006794A (ko) * 2017-07-11 2019-01-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850A (ko) * 2001-12-29 2003-07-12 에스케이 주식회사 해양오염 방제방법 및 시스템
KR101848829B1 (ko) 2016-09-29 2018-05-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KR20180037554A (ko) * 2017-01-19 2018-04-1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해양 내 민감자원 및 민감지역의 가치 평가 방법
KR20190006794A (ko) * 2017-07-11 2019-01-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963320B1 (ko) 2017-07-11 2019-03-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오염사고 대응을 위한 해안 방제 방법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605B9 (ko) 2024-03-13
US20240085179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nawar et al. Disruptive technologies as a solution for disaster risk management: A review
Silber et al. The role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n reducing vessel threat to whales: Process, options, action and effectiveness
Christensen et al. A risk-based approach for determining the future potential of commercial shipping in the Arctic
Azcárate et al.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monitoring: Arctic key gaps and bridging pathways
Wright et al. Marine observing applications using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CN113554540A (zh) 一种海上危化品突发事故应急处理方法和系统
Ribeiro et al. First approach of a storm surge early warning system for Santos region
CN115170980B (zh) 一种基于卫星影像识别的输气管道高后果区智能识别方法
Grubesic et al. A strategic planning approach for protecting environmentally sensitive coastlines from oil spills: Allocating response resources on a limited budget
Turna et al. A causative analysis on ECDIS-related grounding accidents
Jeevan et al. Implication of e-navigation on maritime transportation efficiency
KR102578605B1 (ko)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
Kuonen et al. Relating ocean condition forecasts to the process of end-user decision making: A case study of the Oregon commercial fishing community
Williamson et al. Improving efficacy of tsunami warnings along the we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JP2010139462A (ja) 地震配信システム
KR101848829B1 (ko)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Sharma et al. DisasterAWARE–A Global Alerting Platform for Flood Events
Grubesic et al. Estimating potential oil spill trajectories and coastal impacts from near-shore storage facilities: A case study of FSO Nabarima and the Gulf of Paria
Artana et al. Real-time monitoring of subsea gas pipelines, offshore platforms, and ship inspection scores using a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Reeve Of whales and ships: impacts on the great whales of underwater noise pollution from commercial shipping and proposals for regul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Musaoglu et al. Use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the determination of high-risk areas regarding marine traffic in the Istanbul Strait
KR20220084752A (ko) 해양기상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기반 선박항로추천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Ventikos et al. Enhanced decision making through probabilistic shipwreck risk assessment: focusing on the situation in Greece
Zhou Spatial risk assessment of maritime transportation in offshore waters of China using machine learning and geospatial big data
KR20210054109A (ko)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