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829B1 -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829B1
KR101848829B1 KR1020160125680A KR20160125680A KR101848829B1 KR 101848829 B1 KR101848829 B1 KR 101848829B1 KR 1020160125680 A KR1020160125680 A KR 1020160125680A KR 20160125680 A KR20160125680 A KR 20160125680A KR 101848829 B1 KR101848829 B1 KR 10184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map
control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506A (ko
Inventor
이문진
오상우
정정열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25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829B1/ko
Priority to PCT/KR2017/006365 priority patent/WO2018062665A1/ko
Publication of KR2018003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7/3024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선의 유형, 프랙탈 차원 및 파랑 정보를 통합하여 해안선의 환경민감도 지수를 도출하여 위험유해물질(HNS: Hazard and Noxious Substance)의 유출 시 우선 방제 대상 지역을 설정하여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해양 HNS 오염 사고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접속된 사용자에게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호작용을 수행하며 방제정보지도를 제공하는 방제정보지도제공부; 및 방제정보지도 제작을 위한 지휘체계 및 연락처체계 정보와, 환경정보와, 지도 및 위성 영상 정보와, 방제지침정보와, 해안선정보와, 민감자원정보와, 방제자원정보와, 물자보급정보를 저장하여 방제정보지도제공부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ESI MAP SERVICE APPARATUS FOR HNS SPILL RESPONSE}
본 발명은 해상에서의 위험유해물질(HNS: Hazard and Noxious Substance) 방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안선의 유형, 프랙탈 차원 및 파랑 정보를 통합하여 해안선의 환경민감도 지수를 도출하여 방제 대상 우선 지역을 설정하여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해양 HNS 오염 사고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해안과 해상은 해상교통을 이용한 물자의 유동이 빈번하며, 경제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유조선과 케미컬선의 통항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해상교통을 이용한 무역이 활발하기 때문에 해안에 공업시설이나 비축기지가 집중되어 있다. 또한, 해안선을 따라 어장 및 양식장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각종 레저 및 관광시설이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집약적인 해안 이용의 특성 때문에 기름 또는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가 해상에 유출되어 해양 오염을 유발하는 사고의 발생 확률이 높으며, 해안으로 확산되어 해안의 자연환경과 사회·경제 자원에 피해를 유발할 수 있고, 이를 방제하기 위한 방제인력 및 해안 주민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해양 오염사고가 발생하고 오염원이 확산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방제활동을 위해서는 사고 지역에 대한 공간적 이해와 민감자원 및 방제자원의 분포 등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이고 적절한 방제전략의 수립과 실행이 필요하다.
방제활동은 해양공간에서 이루어지며, 오염의 공간적 특성과 방제자원과 민감자원의 공간 분포 특성이 중요한 방제지원 정보가 된다. 이와 같은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방제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해서 공간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종이지도 또는 문서파일 형태의 방제정보지도는 방제전략 수립 시 정보 활용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해양 오염사고에 대한 방제활동에서 해상의 유출유 및 HNS 제거 및 확산 억제 활동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방제정보지도(ESI Map: Environment Sensitivity Index Map)는 중요한 정보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기름 또는 HNS 등의 해상 오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제정보지도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한국등록특허 10-1391359 한국등록특허 10-1497958 한국등록특허 10-1567431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안선의 유형, 프랙탈 차원 및 파랑 정보를 통합하여 해안선의 환경민감도 지수를 도출하여 위험유해물질(HNS: Hazard and Noxious Substance)의 유출 시 우선 방제 대상 지역을 설정하여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해양 HNS 오염 사고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는,
접속된 사용자에게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호작용을 수행하며 방제정보지도를 제공하는 방제정보지도제공부; 및
방제정보지도 제작을 위한 지휘체계 및 연락처체계 정보와, 환경정보와, 지도 및 위성 영상 정보와, 방제지침정보와, 해안선정보와, 민감자원정보와, 방제자원정보와, 물자보급정보를 저장하여 방제정보지도제공부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는,
거리측정, 면적측정, 해당 위치의 속성 정보 조회, 지도 확대 및 축소, 위성영상 표시, 방제 처리제 사용 지침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조회메뉴와, 문자열 검색, 영역 검색, 경위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질의메뉴와, 도형과 오일펜스와 방제선이나 경비정을 포함하는 선박 및 메모 작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황도작성메뉴 및 오염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오염메뉴를 포함하는 주메뉴바;
방제자원, 지형정보, 생물정보, 항만시설, 천연자원, 해안형태, 연안자원 및 친수공간을 방제정보지도에 표시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방제정보지도선택메뉴창;
해안선의 환경민감도를 등급 리스트를 표시하는 환경민감도창;
메뉴별 팝업 정보를 표시하는 팝업 정보창;
방제정보를 포함하는 방제정보지도 이미지를 출력하는 메인화면; 및
방제정보지도의 전체지도를 표시하는 전체지도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휘체계 및 연락체계 정보는,
오염사고 방제관련 지휘체계 및 연락처 체계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정보는,
물리적 특성, 수문학적 특성, 조류 및 해류 특성, 바람 정보, 기후 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정보는 전문가를 통한 지역 평가를 통해서 획득되며, 계절별 또는 수시로 변경되는 자료에 대해서는 기상청 등과 연계되어 실시간으로 자료를 연계하거나 기간별 자료를 구축하여 사고 일시에 맞는 자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지도 및 위성영상 정보는
각 위치별로 위엄유해물질 유출 사고 시 대처해야할 방제지침 정보를 참조하기 위해 표시되는 지역별 방제 참조 인덱스를 포함한다.
상기 방제지침정보는,
위험유해물질 별, 환경민감도 별 방제절차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해안선정보는,
해안선의 유형, 환경민감도지수, 위치별 방제 행동 요령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민감도지수는,
ESI 분류체계와 파랑정보와 해안선의 프랙탈차원 정보에 각각 가중치를 곱하여 합산한 값을 기준으로 등급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민감자원정보는,
수산자원, 천연자원, 문화자원 및 인공시설 자원을 포함하는 민감자원의 위치와 설명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방제자원정보는,
방제장비의 공간적 분포와 사용 방법 및 사용 시 주의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 매뉴얼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물자보급정보는
사고 발생 시 동원 가능한 방제기관과 담당자 이름 및 연락처 정보, 가장 신속하게 동원 가능한 방제기관의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해안선의 유형, 프랙탈 차원 및 파랑 정보를 통합하여 해안선의 환경민감도 지수를 도출하여 위험유해물질(HNS: Hazard and Noxious Substance)의 유출 시 우선 방제 대상 지역을 설정하여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해양 HNS 오염 사고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1)의 실시예로서의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300)의 블록도.
도 3은 방제정보지도 제공 인터페이스(351)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상황도 작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어 "예시적인" 은 "예로서, 일례로서, 또는 예증으로서 역할을 한다."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시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들은 다른 양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하다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시스템(1)에서 본 발명의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의 실시예로서의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300),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통신망(400)을 통해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는 개인용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로컬 영역에서 직접 접속되는 로컬 사용자 단말기(110)와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용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로컬 사용자 단말기(110)는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300) 실시간 정보의 반영을 위해 기상청서버(미 도시), 재난관리서버(미 도시) 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기상 정보 또는 재난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1)의 실시예로서의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300)의 블록도이다.
도 2와 같이,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300)는 입력부(310) 출력부(320), 표시부(330), 통신부(340), 방제정보지도제공부(350) 및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관련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저장부(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300)는 도시되지 않은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입력부(310)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의 관리를 위한 제어 명령과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데이터 또는 구동 명령을 입력받는 키보드가 접속되는 키보드입력포트, USB 입력장치, 마그네틱 저장장치 또는 광디스크 저장장치 등의 저장장치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버 등의 리드라이트장치, 또는 파일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파일 입력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20)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 과정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프린터, 플로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30)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300)의 처리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표시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40)는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300)가 통신망(400)을 통해 외부 통신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랜카드 등의 통신장치로 구성 된다.
상기 방제정보지도제공부(350)는 사용자 단말기(100), 로컬 사용자 단말기(110) 또는 휴대용 단말기(200)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앱을 배포하거나, 이미 배포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앱에서 출력되는 방제정보제공 인터페이스(351)와 상호 작용을 수행하여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제정보지도제공부(350)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웹서비스 기능을 구비하며, 클라이언트 서버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서버 서비스를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35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방제정보지도 제공 인터페이스(351)는 사용자 단말기(100), 로컬 사용자 단말기(110) 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앱에 의해 실행되어 출력된 후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300)의 방제정보지도제공부(350)와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 것에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351)는 주메뉴바(352), 방제정보지도선택메뉴창(353), 환경민감도창(354), 전체지도창(355), 메인화면(356), 지휘 및 연락체계 팝업창(327)과 물자보급정보팝업창(358)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메뉴바(352)는 거리측정, 면적측정, 해당 위치의 속성 정보 조회, 지도 확대 및 축소, 위성영상 표시, 방제 처리제 사용 지침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조회메뉴와, 문자열 검색, 영역 검색, 경위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질의메뉴와, 도형과 오일펜스와 방제선이나 경비정을 포함하는 선박 및 메모 작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황도작성메뉴 및 오염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오염메뉴를 포함한다.
상기 방제정보지도선택메뉴창(353)은 방제자원, 지형정보, 생물정보, 항만시설, 천연자원, 해안형태, 연안자원 및 친수공간을 방제정보지도에 표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환경민감도창(354)은 해안선의 ESI등급, 프랙탈 차원, 파랑의 세기 정보를 종합하여 위험유해물질의 오염의 제거의 난이도, 오염의 유해성을 반형하도록 하는 환경민감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해안선의 ESI등급은 다음의 표 1과 같이 8등급으로 분류된다.
[표 1]
Figure 112016094732433-pat00001
상기 파랑등급은 하기의 표 2와 같이 분류된다.
[표 2]
Figure 112016094732433-pat00002
그리고 상기 프랙탈 차원의 산출 식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6094732433-pat00003
이다. 상기 프랙탈 차원은 프랙탈 도형의 임의의 배율(r)의 확대 시, 확대된 상태에서 포함된 프랙탈 도형(자기 닮음 도형)의 수의 로그 비율로 계산되는 것으로서, 비정수 차원을 가진다.
상기 환경 민감도는 [해안선에 따른 ESI등급*가중치 + 파랑등급*가중치 + 프랙탈 차원]의 형태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민감도는 각각의 ESI등급, 파랑등급, 프랙탈 차원의 비선형 식으로 도출될 수 있다. 이때 유의 사항은 ESI 등급이 높고 프랙탈 차원이 높을수록 위험유해물질의 제거가 어려운 상태를 나타내며, 오염지역의 평균 파랑이나 오염 시의 파랑의 등급이 높을수록 오염물질의 확산이 더욱 빨리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환경민감도는 종래기술에 비해 더욱 정확하게 오염지역의 오염 제거의 어려움, 오염물질의 확산 예측 등의 지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중치는 오염물의 씻김이 유리한 경우에는 +로 확산이 오염을 가속시키는 경우에는 -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체지도창(355)은 방제정보제공 서비스 대상이 되는 전체 영역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고, 특정 오염대상 영역을 전체 지도 영역에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화면(356)은 특정 오염대상 영역에 대한 상세 지도 정보와 위성이사진 정보 등을 표시하고, 정보조회, 정보질의, 메뉴의 선택에 따른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팝업창 들이 표시된다. 상기 상세 지도 정보 또는 위성사진 정보에는 환경민감도 정보를 포함하는 해안선정보, 물리적 또는 수문학적 특성, 조류 및 해류 특성, 바람 정보, 기후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 수산자원, 천연자원, 문화자원, 양식장 등의 인공시설 등의 위치와 설명을 포함하는 민감자원정보, 계절별 출연되는 어종, 철새 등의 정보와 소음을 유발하는 항공방제 제약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생물자원정보, 위험유해물질의 처리제, 오일펜스, 유회수기 등의 위험유해물질 회수기 등의 장비의 공간적 분포와 사용 방법과 장비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을 포함하는 방제자원정보, 사고 발생 시 동원 가능한 방제 기관과 담당자 이름 및 연락처 정보와 가장 신속하게 동원 가능한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물자보급정보 등이 표시되거나 링크 된다. 또한, 오염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나 보호 구혁 등의 우선지역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환경민감도 분석을 ESI, 파랑, 프랙탈 차원 정보를 이용하여 세분화하며, 갯벌과 같은 민감구역의 조석에 의한 공간변화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메인화면에는 세부 구분된 지역의 지도 또는 위성 사진 정보와 함께 해안선 위치별 해안선정보, 환경정보, 민감자원정보, 생물자원정보, 방제자원정보, 물자보급정보, 방제우선지역정보가 함께 표시되거나 링크된다.
다시,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저장부(360)는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관련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하드디스크, EP-ROM 등의 컴퓨터가 읽고 쓸 수 있는 저장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방제정보지도 제공을 위한 기본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지휘체계 및 연락체계 DB(361), 환경정보DB(362), 지도DB(363), 방제지침DB(364), 해안선정보DB(365), 민감자원DB(366), 방제자원DB(367), 물자보급DB(368)을 포함한다.
상기 지휘체계 및 연락체계 DB(361)는 오염사고 방제관련 지휘체계 및 연락처 체계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환경정보DB(362)는 물리적 특성, 수문학적 특성, 조류 및 해류 특성, 바람 정보, 기후 특성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환경정보DB(362)는 사고 현장의 일반적 개요뿐만 아니라 오염 확산에 영향을 주는 수문학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 기상 개관, 오염사고에 의한 위험 평가 자료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환경정보DB(362)의 환경정보는 전문가를 통한 지역 평가를 통해서 획득되며, 계절별 또는 수시로 변경되는 자료에 대해서는 기상청 등과 연계되어 실시간으로 자료를 연계하거나 기간별 자료를 구축하여 사고 일시에 맞는 자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갱신된다.
상기 지도DB(363)는 GIS 기반 방제정보지도 제공을 위해 전국을 구역별로 분할한 상세 지도 정보와 구역별 위성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지도 및 위성영상 정보는, 각 위치별로 위험유해물질 유출 사고 시 대처해야할 방제지침 정보를 참조하기 위해 표시되는 지역별 방제 참조 인덱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도DB(363)는 방제 관련 공간 정보 마다 다양한 방제 자원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속성 정보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도상에서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통합하여 총체적으로 공간 이해와 탐색에 활용된다.
다음의 [표 3]은 지도DB(363)에 저장되는 공간별 속성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6094732433-pat00004
상기 방제지침DB(364)는 HNS 위험물질별, 오염지역의 환경민감도 정보별로 수립된 방제지침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각각의 방제지침정보를 각각의 방제정보지도 제공 시 해당 지역의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시 대처해야할 방제요령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해당 지역의 방제 참조 인덱스를 포함한다.
상기 해안선정보DB(365)는 해안선의 유형, 환경민감도지수, 위치별 방제 행동 요령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해안선정보DB(365)의 저장 정보 중 상기 위치별 방제 행동 요령 정보는 지역별 방제 참조인텍스에 의해 데이터 링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민감자원DB(366)는 수산자원, 천연자원, 문화자원 및 인공시설 자원을 포함하는 민감자원의 위치와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민감자원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방제자원DB(367)는 유처리제, 유회수기, 오일펜스 등의 위험유해물 방제를 위한 장비의 공간적 분포와 사용 방법 및 장비사용 시 주의 사항을 포함하는 방제자원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물자보급DB(368)는 사고 발생 시 동원 가능한 방제기관과 담당자 이름 및 연락처 정보, 가장 신속하게 동원 가능한 방제기관의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물자보급정보를 저장한다.
도 4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 로컬단말기(110) 또는 휴대용 단말기(200)들이 접속된 후 특정지역에 대한 방제정보지도 제공 요청 신호를 수신(S10)하면, 데이베이스의 저장데이터로부터 해당 지역의 상세 지도 정보 또는 위성 사진 정보를 추출한 후, 환경민감도가 표시된 해안선 위치별 해안선정보, 환경정보, 민감자원정보, 생물자원정보, 방제자원정보, 물자보급정보, 방제우선지역정보를 추출하여 합성한 방제정보지도를 생성하여 제공한다(S20). 상기 방제정보지도는 사용자 단말기(100), 로컬단말기(110) 또는 휴대용 단말기(200)들에 출력된 방제정보지도 제공 인터페이스(351)에 출력된다.
사용자들은 방제정보지도가 방제정보지도 제공 인터페이스(351)에 출력된 후에는 주메뉴바의 메뉴들을 이용하여 정보조회, 정보질의, 상황도제공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정보요청신호를 방제정보제공서버(300)로 송신한다. 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한 방제정보제공서버(300)의 방제정보지도제공부(350)는 수신된 요청 신호에 따라, 정보조회응답과정(S30), 정보질의응답과정(S40) 및 상황도제공과정(S50)의 수행에 의한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상기 정보조회응답과정(S30)에서 사용자는 방제정보지도 제공 인터페이스(351)에서 임의의 지점이나 영역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거리측정, 면적측정, 해당 위치의 속성정보 조회, 지도 확대 및 축소, 위성영상 표시, 유처리제 등의 방제자원 사용 지침 표시 요청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방제정보지도제공부(350)는 수신된 요청 신호에 따라, 거리측정, 면적측정, 해당 위치의 속성정보, 지도 확대 및 축소, 위성영상 표시, 유처리제 등의 방제자원 사용 지침 표시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한 후 방제정보지도 제공 인터페이스(351)를 전송하여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정보질의응답과정(S40)에서 사용자는 방제정보지도 제공 인터페이스(351)에서 문자열 검색, 영역검색, 경위도 검색 등의 정보질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방제정보지도 제공 인터페이스(351)는 질의에 따른 응답데이터를 추출하여 방제정보지도 제공 인터페이스(351)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성가 상황도제공과정(S50)에서 사용자는 방제정보지도 제공 인터페이스(351)를 통해 지도 상에 점, 선, 면 도형, 오일펜스, 방제선, 경비정, 기타 선박 그리기, 메모 작성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는 방제정보제공부(350)로 전송된 후 지도 또는 위성사진 상에 통합되어 저장됨으로써, 타 사용자들에게 해당 지역의 방제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황도 작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상황도는 지도 상에 방제 대상 지역을 사용자가 입력하여 도시한 것으로, 이 후 접속자에게는 연재 방제 대상 지역의 설정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1:위험유해물질 방제 정보 지도 제공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기
110: 로컬단말기 200: 휴대용단말기
351: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 352: 주메뉴바
353: 방제정보지도선택메뉴창 354: 환경민감도창
355: 전체지도창 356: 메인화면
357: 지휘 및 연락체계 팝업창 358: 물자보급정보팝업창

Claims (11)

  1. 해양 위험유해물질(Hazard and Noxious Substance ; HNS) 유출 오염사고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에 있어서,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지는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앱을 설치하여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는,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의 관리를 위한 제어명령과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 내용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비스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부;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
    접속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호작용을 수행하여 방제정보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제정보지도제공부; 및
    방제정보지도 제작을 위한 지휘체계 및 연락처체계 정보, 환경정보, 지도 및 위성영상정보, 방제지침정보, 해안선정보, 민감자원정보, 방제자원정보 및 물자보급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방제정보지도제공부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해안선정보는, 해안선의 유형, 환경민감도지수, 위치별 방제 행동 요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민감도지수는, 해안선의 ESI 등급, 파랑등급 및 프랙탈차원 정보에 각각 가중치를 곱하여 합산한 값에 근거하여 위험유해물질에 대한 오염 제거의 난이도 및 오염의 유해성이 반영된 환경민감도 지수를 도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ESI 등급이나 파랑 등급만을 이용하여 환경민감도를 결정하는 것에 비해 더욱 정확하게 오염지역에 대한 오염 제거의 어려움 및 오염물질의 확산예측에 대한 지표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해안선의 유형, 파랑 정보 및 프랙탈 차원을 통합하여 해안선의 환경민감도 지수를 도출하고 방제대상 우선지역을 설정하여 방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해양 오염사고에 대한 효율적인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로 특정지역에 대한 방제정보지도 제공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해당 지역의 상세 지도정보 또는 위성사진 정보를 추출하고, 환경민감도가 표시된 해안선 위치별 해안선정보, 환경정보, 민감자원정보, 생물자원정보, 방제자원정보, 물자보급정보, 방제우선지역정보를 추출하여 합성한 방제정보지도를 생성한 후, 상기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출력하며,
    상기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에 상기 방제정보지도가 출력된 후 주메뉴바의 메뉴들을 통하여 정보조회, 정보질의, 상황도제공 요청신호를 포함하는 정보요청신호가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에 수신되면, 상기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서버는 수신된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는 상기 방제정보지도제공부로 전송된 후 지도 또는 위성사진에 통합되어 저장되는 것에 의해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일의 단말기로만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동시에, 해양 오염사고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제정보지도제공 인터페이스는,
    거리측정, 면적측정, 해당 위치의 속성 정보 조회, 지도 확대 및 축소, 위성영상 표시, 방제 처리제 사용 지침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조회메뉴와, 문자열 검색, 영역 검색, 경위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질의메뉴와, 도형과 오일펜스와 방제선이나 경비정을 포함하는 선박 및 메모 작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황도작성메뉴 및 오염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오염메뉴를 포함하는 주메뉴바;
    방제자원, 지형정보, 생물정보, 항만시설, 천연자원, 해안형태, 연안자원 및 친수공간을 방제정보지도에 표시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방제정보지도선택메뉴창;
    해안선의 환경민감도를 등급 리스트를 표시하는 환경민감도창;
    메뉴별 팝업 정보를 표시하는 팝업 정보창;
    방제정보를 포함하는 방제정보지도 이미지를 출력하는 메인화면; 및
    방제정보지도의 전체지도를 표시하는 전체지도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휘체계 및 연락체계 정보는,
    오염사고 방제관련 지휘체계 및 연락처 체계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는,
    물리적 특성, 수문학적 특성, 조류 및 해류 특성, 바람 정보, 기후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도 및 위성영상 정보는,
    각 위치별로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시 대처해야 할 방제지침 정보를 참조하기 위해 표시되는 지역별 방제 참조 인덱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제지침정보는,
    위험유해물질 별, 환경민감도 별 방제절차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민감자원정보는,
    수산자원, 천연자원, 문화자원 및 인공시설 자원을 포함하는 민감자원의 위치와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제자원정보는,
    방제장비의 공간적 분포와 사용 방법 및 사용 시 주의 사항을 포함하는 사용 매뉴얼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자보급정보는,
    사고 발생 시 동원 가능한 방제기관과 담당자 이름 및 연락처 정보, 가장 신속하게 동원 가능한 방제기관의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유해물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KR1020160125680A 2016-09-29 2016-09-29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KR10184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80A KR101848829B1 (ko) 2016-09-29 2016-09-29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PCT/KR2017/006365 WO2018062665A1 (ko) 2016-09-29 2017-06-16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680A KR101848829B1 (ko) 2016-09-29 2016-09-29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506A KR20180035506A (ko) 2018-04-06
KR101848829B1 true KR101848829B1 (ko) 2018-05-28

Family

ID=6176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680A KR101848829B1 (ko) 2016-09-29 2016-09-29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8829B1 (ko)
WO (1) WO20180626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961A (ko) * 2018-07-31 2020-02-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Gis 기반 화학안전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78605B1 (ko) 2022-09-14 2023-09-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1482B (zh) * 2019-05-24 2024-03-26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受众的地震应急制图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545B1 (ko) * 2001-12-29 2007-04-24 에스케이 주식회사 해양오염 방제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1163A (ko) * 2011-04-26 2012-11-05 (주)비엔티솔루션 웹 3d를 이용한 실시간 해양공간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67431B1 (ko) * 2014-05-12 2015-11-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유류오염사고 발생시 효율적인 방제방안 수립을 위한 유출유 확산 예측 방법
KR20160072432A (ko) * 2014-12-15 2016-06-23 (주)라이온플러스 해양환경 관측자료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545B1 (ko) * 2001-12-29 2007-04-24 에스케이 주식회사 해양오염 방제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961A (ko) * 2018-07-31 2020-02-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Gis 기반 화학안전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44022B1 (ko) * 2018-07-31 2020-08-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Gis 기반 화학안전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78605B1 (ko) 2022-09-14 2023-09-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적 특성이 반영된 해안평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665A1 (ko) 2018-04-05
KR20180035506A (ko)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ves et al. Multidisciplinary oil spill modeling to protect coastal communities and the environment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Tunnell et al. Measuring plastic pellet (nurdle) abundance on shorelines throughout the Gulf of Mexico using citizen scientists: Establishing a platform for policy-relevant research
KR101848829B1 (ko) 위험유해물질 방제정보지도 제공 장치
Walker et al.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sediments in sydney harbour, Nova Scotia, Canada
Duarte et al. Quantitative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industrial accidents: the case of oil ship transportation in the coastal tropical area of northeastern Brazil
Fatehian et al. A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environmental pollution of coastal zones: A case study in Nowshahr, Iran
Rocha et al. Use of ecosystem health indicators for assessing anthropogenic impacts on freshwaters in Argentina: a review
Bennett-Martin et al. Mapping marine debris across coastal communities in Belize: developing a baseline for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of litter on beach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Quanz et al. Aquatic ecological risk assessment frameworks in Canada: a case study using a single framework in South Baymouth, Ontario, Canada
Harwell et al. Ecosystem services consideration in the remediation process for contaminated sites
Thomas et al. A low-cost toolbox for high-resolution vulnerability and hazard-perception mapping in view of tsunami risk mitigation: Application to New Caledonia
Barbeiro et al. Assessing the actions of the Brazilian Federal Government to respond to the 2019 mysterious oil spill: a perpective of the national environmental agency
Bruce et al. Risk assessments of contaminated sedi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weight of evidence strategies–a Swedish case study
Ayers-Rigsby et al. Act local: Climate-change policy at the county level in South Florida
Mukuyu et al. Do needs motivate the exchange of data in transboundary waters? Insights from Africa’s shared basins
Bühler et al. Genetic damage induced by water pollutants in the freshwater fish Hyphessobrycon luetkenii (Characidae) in a reservoir of the Canela National Forest, Brazil
Souto et al. Citizen science as a tool for collaborative site-specific oil spill mapping: the case of Brazil
Burns et al. Conceptual basis of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a geospatial perspective
Tarpley et al. Best practices for shoreline cleanup and assessment technique (SCAT) from recent incidents
Ritchie Maritime oil spills—Environmental lessons and experiences with special reference to low-risk coastlines
Olson et al. Geospatial methods to examine shoreline erosion in the Chippewa Flowage: A case study
Stefanescu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the history of flood and flash flood events in Romania
CN113159710A (zh) 傍河水源井污染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Bartlett GIS and the coastal zone: An annotated bibliography
Smallwood et al. Small‐scale estimation of recreational fishing effort and catch from broad‐scale survey data: A case study using multiple‐use Marine Protected Areas in Western Austral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